KR100284044B1 - 연관 관계를 갖는 기능 기기들의 이상 동작 복구 방법 - Google Patents

연관 관계를 갖는 기능 기기들의 이상 동작 복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044B1
KR100284044B1 KR1019980055082A KR19980055082A KR100284044B1 KR 100284044 B1 KR100284044 B1 KR 100284044B1 KR 1019980055082 A KR1019980055082 A KR 1019980055082A KR 19980055082 A KR19980055082 A KR 19980055082A KR 100284044 B1 KR100284044 B1 KR 100284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memory
pointer
result valu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9676A (ko
Inventor
김종욱
Original Assignee
김진찬
주식회사머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찬, 주식회사머큐리 filed Critical 김진찬
Priority to KR1019980055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4044B1/ko
Publication of KR20000039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9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0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0Testing circuits or apparatus; Circuits or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or trou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03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67Redund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정된 독취용 포인터및 저장용 포인터에 의하여 지정된 메모리(10)내의 결과값을 이용하므로써 상호 연관 관계를 갖고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기능 수행부(A-D)를 갖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기능 수행부(A-D)의 결과값을 메모리(10)외에 복구용 메모리(5)에 더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 기능 수행부(A-D)들은 메모리(10)내에 저장되어 있는 연관된 기능 수행부(A-D)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던 중 에러가 발생하면, 연관된 기능 수행부(A-D)로 하여금 복구용 메모리(5)에 저장되어 있는 연관 기능 수행부(A-D)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해당 기능을 재수행하고, 그 결과값을 메모리(10) 및 복구용 메모리(5)에 재 저장케 한다. 그리고, 메모리(10)내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해당 기능을 재 수행하므로써 메모리(10)의 이상으로 인하여 기능 수행부(A-D)가 연속하여 이상 동작하는 경우를 방지한다.

Description

연관 관계를 갖는 기능 기기들의 이상 동작 복구 방법
본 발명은 다수의 기능 기기들을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는 상호 연관 관계(relation)를 갖고 동작하는 다수의 기능 기기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TM 교환기등에서는 하나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수의 기능 기기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 기기들은 상호 연관 관계를 갖고 동작한다. 즉, 하나의 기능 기기의 작동 결과값은 다른 기능 기기의 작동에 필요한 입력값(attribute ; 속성)으로 작용한다. 즉, 기능 기기들은 부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기능 기기의 기능 수행 결과값을 필요로 하므로 기능 기기들간은 상호 연관 관계가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기능 기기들을 이 연관 관계에 따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며, 이러한 수단으로 종래에는 포인터를 이용하였다.
포인터를 이용하는 종래의 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 기능 수행부(A, B, C, D)는 각각 대응하는 기능 기기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이러한 수단은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각각의 프로세서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기능 수행부(A, B, C, D)내에는 관계 설정부(1, 2, 3, 4)가 구성되고, 관계 설정부(1, 2, 3, 4)내에는 독취용 및 저장용 포인터(a,b,c,d)가 각각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관계 설정부(1, 2, 3, 4)내의 독취용 및 저장용 포인터(a, b, c, d) 각각은 메모리(10)내의 어드레스를 각각 지정하며, 이 어드레스에는 기능 수행부(A, B, C, D)의 수행 결과값이 각각 저장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능 수행부(A)의 관계 설정부(1)에는 저장용 포인터(a)및 독취용 포인터(d)가 각각 저장되어 있으며, 기능 수행부(D)로부터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구동을 개시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즉, 기능 수행부(D)로부터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기능 수행부(A)는 독취용 포인터(d)에 대응하는 메모리(10)의 어드레스에 저장된 소정값(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능 수행부(D)의 수행 결과값이 저장된다.)을 독취하고, 이 독취값을 이용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며, 이 수행 결과값을 저장용 포인터(a)에 대응하는 메모리(10)의 어드레스에 저장한다.
기능 수행부(B)의 관계 설정부(2)내에는 독취용 포인터(a) 및 저장용 포인터(b)가 각각 저장되어 있으며, 기능 수행부(B)는 기능 수행부(A)로부터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독취용 포인터(a)에 의하여 지정된 메모리(10)의 어드레스에 저장된 소정값(기능 수행부(A)의 수행 결과값)을 독취하고, 이 독취값을 이용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며, 이 수행 결과값을 저장용 포인터(b)에 대응하는 메모리(10)의 어드레스에 저장한다.
기능 수행부(C)의 관계 설정부(3)에는 독취용 포인터(b) 및 기록용 포인터(c)가 각각 저장되고, 기능 수행부(D)의 관계 설정부(4)에는 독취용 포인터(c) 및 기록용 포인터(d)가 각각 저장되어 있으며, 상술한 기능 수행부(A,B)와 동일하게 이 독취용 포인터(b, c)에 대응하는 메모리(10)의 어드레스내에 결과값을 이용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고, 그 결과값을 저장용 포인터(c, d)에 대응하는 메모리(10)내의 어드레스에 저장한다.
상술한 구성에서와 같이 각 기능 수행부(A-D)들은 관계 설정부(3)내 독취용 포인터 및 저장용 포인터에 의하여 상호 연관 관계를 갖고 작동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기능 수행부(A-D)에 의한 결과값들은 저장부(10)내에 저장되고, 이 결과값은 결국 포인터(a-d)에 의하여 연관된 기능 수행부(A-D)에 전달되므로, 포인터(a-d)에 의하여 지정된 메모리(10)내 결과값은 연관된 기능 수행부(A-D)에 정확하게 전달되어야 하나, 메모리(10)내의 독취 및 기록 과정에서의 오류, 또는 메모리(10)의 이상등으로 인하여 결과값이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기능 수행부(A-D)들은 목적하는 기능을 정확히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예컨데 포인터(a)에 의하여 지정된 기능 수행부(A)의 결과 값이 기능 수행부(B)에 정확히 전달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로 인하여 기능 수행부(B)가 오동작하고, 이에 따라 포인터(b, c, d)로 연결되된 기능 수행부(C, D, A)들 역시 순차적으로 오동작하여 결과적으로 시스템 전체가 이상 동작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기능 수행부(A-B)들은 목적하는 기능이 정확하게 수행되는지의 여부를 자체 진단할 수 있으나, 이상이 발생한 경우로 진단된 경우에도 도 1에서와 같은 구성에서는 잘못 전달된 결과값을 원상태로 복구할 수 있는 방안이 전혀 제시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모리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독취용 및 저장용 포인터에 의하여 상호 연관 관계를 갖고 작동하는 기능 수행부들을 갖는 장치에서 메모리내에 저장되는 결과값의 이상에 대비할 수 있는 연관 관계를 갖는 기능 기기들의 이상 동작 복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인터에 의하여 어드레스의 지정이 가능한 메모리와, 포인터에 의하여 어드레스 지정이 가능한 복구용 메모리와, 다수개의 기능 수행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기능 수행부들은 독취용 포인터및 저장용 포인터에 의하여 연관 관계가 설정되는 장치에서 상기 기능 수행부들의 작동 방법으로서,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독취용 포인터에 대응하는 메모리의 어드레스로부터 다른 기능 수행부의 결과값을 독출하는 제 2 단계와;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에러 신호가 인가되는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와; 에러 신호가 인가되면, 독취용 포인터에 대응하는 복구용 메모리의 어드레스로부터 다른 기능 수행부의 결과값을 독출하는 제 4 단계와; 제 3 또는 제 4 단계의 수행 후에 독출된 결과값을 이용하여 부과된 기능을 행하는 제 5 단계와; 부과된 기능을 에러없이 수행하면, 저장용 포인터에 대응하는 메모리및 복구용 메모리의 어드레스에 수행 결과값을 저장하는 제 6 단계와; 수행 결과값을 저장한 후, 저장용 포인터를 독출용 포인터로 갖는 다른 기능 수행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제 7 단계와; 부과된 기능의 수행중 에러가 발생하면 독출용 포인터를 갖는 다른 기능 수행부에 에러 신호를 인가하는 제 8 단계를 구비한다.
도 1은 기능 기기들이 연관 관계를 갖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행하기 위하여 기능 기기들이 연관 관계를 갖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관 관계를 갖는 기능 기기들의 이상 동작 복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B, C, D : 기능 수행부 1, 2, 3, 4 : 관계 설정부
5 : 복구용 메모리 10 : 메모리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조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장치에 비하여 복구용 메모리(5)가 더 구성되어 있으며, 복구용 메모리(5)에는 메모리(10)와 같이 각 포인터(a-d)별로 소정 값들이 저장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기능 수행부(A-D)들은 종래와 동일하게 관계 설정부(1-4)내의 독취용 및 저장용 포인터(a-d)에 의하여 설정된 연관 관계에 의하여 해당 포인터(a-d)에 대응한 메모리(10)내 소정 어드레스에 저장된 값을 인출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기능 수행부(A-D)들은 종래와 동일하게 관계 설정부(1-4)의 독취용 포인터 및 저장용 포인터에 의하여 연관 관계가 설정되며, 연관 관계가 설정된 기능 수행부(A-D)로부터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독취용 포인터(a-d)에 대응하는 메모리(10)내 어드레스에 저장된 결과값을 이용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고, 수행된 결과값은 종래와 동일하게 저장용 포인트(a-d)에 해당하는 메모리(10)의 소정 어드레스에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을 행하기 위하여 기능 수행부(A-D)들은 다음의 기능을 더 수행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능 수행부(A-D)는 복귀용 메모리(5)내의 해당 포인터에 기능 수행 결과를 더 기록하며, 에러 신호가 인가되면 독취용 포인터에 대응하는 복귀용 메모리(5)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고, 그 결과값을 메모리(10)및 복귀용 메모리(5)에 각각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 수행부(A-D)들은 연관 관계에 있는 기능 수행부(A-D)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소정 기능을 행하는 도중에 독출한 결과값의 이상으로 인한 오동작을 감지할 수 있어야 하며, 오동작을 감지한 경우에는 독취용 포인터(a-d)에 의하여 연관 관계가 설정된 기능 수행부(A-D)에 에러 신호를 인가하여야 한다. 에러 신호를 수신한 기능 수행부(A-D)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독취용 포인터에 대응한 복귀용 메모리(5)의 어드레스에 저장된 결과값을 이용하여 해당 기능을 재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예컨데, 기능 수행부(A)가 기능의 수행중에 오류가 발생된 경우는 독취용 포인터(d)에 대응하는 메모리(10) 어드레스에 저장된 기능 수행부(D)의 결과값이 잘못된 경우이다. 이러한 결과값의 잘못은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10)의 이상 등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오류를 정정하기 위하여는 기능 수행부(D)가 재 동작을 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경우, 기능 수행부(D)가 단순히 재동작하면, 기능 수행부(D)는 독취용 포인터(c)에 의하여 지정된 메모리(10)의 어드레스에 기록된 결과값을 독취하고, 해당 기능을 재수행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의 상태는 메모리(10)의 이상 상태이므로 독취용 포인터(c)에 의하여 지정된 어드레내의 결과값이 정상적이라는 보장이 없으며, 이에 따라서 기능 수행부(D) 역시 오동작할 우려가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능 수행부(A)가 기능의 수행중에 오류가 발생되면, 기능 수행부(A)는 에러 신호를 기능 수행부(D)에 인가하고, 기능 수행부(D)는 에러 신호에 의하여 독취용 포인터(c)에 대응하는 복구용 메모리(5)내 어드레스에 저장되어 있는 기능 수행부(C)의 결과 값을 이용하여 해당 기능을 재수행한다. 해당 기능의 수행 결과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10) 및 복귀용 메모리(5)에 각각 저장되고, 기능 수행부(A)는 메모리(10)의 포인터(a)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에 저장된 기능 수행부(D)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에는 상술한 기능을 행하는 기능 수행부(A-D)들의 작동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 수행부(A-D)들은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가를 판단하고(S1),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독취용 포인터에 대응하는 메모리(10)의 결과값을 독출한다(S2). 그리고, 독출된 결과값을 이용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고(S3), 해당 기능을 에러 발생 없이 정상적으로 수행하였는가를 판단하여(S4), 정상 수행된 경우에는 단계(S5)로,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단계(S7)로 진행한다.
한편, 상술한 단계(S1)에서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 기능 수행부(A-D)는 에러 신호가 인가되는가를 판단하고(S8), 에러 신호가 인가되면 단계(S9)로 진행한다.
단계(S9)에서 기능 수행부(A-D)는 독취용 포인터에 대응하는 복구용 메모리(5)의 결과값을 독출하고, 단계(S3)로 진행하므로써 독출된 결과값을 이용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의 기능 수행부(A-D)는 구동 신호가 인가될 때에는 메모리(10)내의 정보를, 에러 신호가 인가될 때에는 복구용 메모리(10)내의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다.
단계(S5)에서 기능 수행부(A-D)는 기능 수행 결과를 메모리(10)및 복구용 메모리(5)의 어드레스들중 저장용 포인터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에 저장하고, 자신의 저장용 포인터를 독취용 포인터로 갖는 다른 기능 수행부(A-D)에 구동 신호를 출력한 후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S6).
그러나, 단계(S7)로 진행 한 경우에 기능 수행부(A-D)는 자신의 독취용 포인터를 저장용 포인터로 갖는 다른 기능 수행부(A-D)에 에러 신호를 출력한 후에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
즉, 설정된 독취용 포인터 및 저장용 포인터에 의하여 지정된 메모리내의 결과값을 이용하므로써 상호 연관 관계를 갖고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기능 수행부들이 구성된 장치에서 메모리의 이상으로 메모리내의 결과값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복구용 메모리를 별도로 구성하므로써 메모리의 이상에 의한 기능 수행부 및 시스템 전체의 이상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메모리를 이용하여 기능 수행부간의 연관 관계를 형성하는 장치에서 메모리의 이상에 의한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포인터에 의하여 어드레스의 지정이 가능한 메모리와, 포인터에 의하여 어드레스 지정이 가능한 복구용 메모리와, 다수개의 기능 수행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기능 수행부들은 독취용 포인터및 저장용 포인터에 의하여 연관 관계가 설정되는 장치에서 상기 기능 수행부들의 작동 방법으로서,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독취용 포인터에 대응하는 메모리의 어드레스로부터 다른 기능 수행부의 결과값을 독출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에러 신호가 인가되는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에러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독취용 포인터에 대응하는 상기 복구용 메모리의 어드레스로부터 다른 기능 수행부의 결과값을 독출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3 또는 상기 제 4 단계의 수행 후에 상기 독출된 결과값을 이용하여 부과된 기능을 행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부과된 기능을 에러없이 수행하면, 상기 저장용 포인터에 대응하는 메모리및 복구용 메모리의 어드레스에 수행 결과값을 저장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수행 결과값을 저장한 후, 상기 저장용 포인터를 독출용 포인터로 갖는 다른 기능 수행부에 상기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제 7 단계와;
    상기 부과된 기능의 수행중 에러가 발생하면 상기 독출용 포인터를 갖는 다른 기능 수행부에 에러 신호를 인가하는 제 8 단계를 구비하는 연관 관계를 갖는 기능 기기들의 이상 동작 복구 방법.
KR1019980055082A 1998-12-15 1998-12-15 연관 관계를 갖는 기능 기기들의 이상 동작 복구 방법 KR100284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082A KR100284044B1 (ko) 1998-12-15 1998-12-15 연관 관계를 갖는 기능 기기들의 이상 동작 복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082A KR100284044B1 (ko) 1998-12-15 1998-12-15 연관 관계를 갖는 기능 기기들의 이상 동작 복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676A KR20000039676A (ko) 2000-07-05
KR100284044B1 true KR100284044B1 (ko) 2001-03-02

Family

ID=19562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082A KR100284044B1 (ko) 1998-12-15 1998-12-15 연관 관계를 갖는 기능 기기들의 이상 동작 복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40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676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4044B1 (ko) 연관 관계를 갖는 기능 기기들의 이상 동작 복구 방법
JP2006017468A (ja) データ記録装置
JP2731047B2 (ja) プログラムのオペランドチェック方式
JP2751822B2 (ja) Fifoメモリ装置のメモリ制御方法
KR830002883B1 (ko) 마이크로 프로그램 제어장치
JPS6127778B2 (ko)
JPH1125006A (ja) メモリテスト装置
JP3695078B2 (ja) パルス出力命令を持つ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2001125809A (ja) プログラム機器およびその不具合検出方法
JPH1011317A (ja) デジタル制御装置
JPS62166449A (ja) 論理装置の履歴記憶装置
JPH09325900A (ja) プログラム実行トレース装置
JPS61131049A (ja) 記憶装置内容の掃出し保存方式
JPH04293139A (ja) データ保持方法
JPH086864A (ja) メモリ制御用アドレスバス診断方式
JPS63123140A (ja) 履歴情報記憶装置
JPH0552912A (ja) 集積回路
JPH0612292A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JPH09297714A (ja) データバックアップ方法および装置
JPH0341538A (ja) 主記憶装置
JPH11219323A (ja) データパス故障検出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H02285444A (ja) 記憶装置
JPH06103056A (ja) アドレス制御装置
JP2000353109A (ja) エミュレータ及びエ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H04140846A (ja) マイクロプログラム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