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4833B1 - 임계영역의 선택기능을 구비한 선로등화기 - Google Patents

임계영역의 선택기능을 구비한 선로등화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4833B1
KR0154833B1 KR1019950029156A KR19950029156A KR0154833B1 KR 0154833 B1 KR0154833 B1 KR 0154833B1 KR 1019950029156 A KR1019950029156 A KR 1019950029156A KR 19950029156 A KR19950029156 A KR 19950029156A KR 0154833 B1 KR0154833 B1 KR 0154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
equalizer
outpu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9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253A (ko
Inventor
유병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29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4833B1/ko
Publication of KR970019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4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4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878Line equalisers; line build-ou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828Arrangements for spectral shap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signals with specified spectral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디디에스 망(Digital Data Service network)을 구비한 디지탈 데이타 전송장치에 적용되는 선로등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수신 저역통과필터, 수신등화기 및 복극성/단극성 복호기가 차례로 연결되어 수신단이 구성되고, 단극성/복극성 부호기, 파형정형기 및 선로구동기가 차례로 연결되어 송신단이 구성된 디지탈 데이타 전송장치에서, 수신등화기(6)의 입력 및 출력신호를 받아들이도록 연결된 신호손실 감지기(8)와 ; 상기 신호손실 감지기(8)의 출력신호와 사용자입력을 받아들이도록 연결된 경로제어기(9)와 ; 파형정형기(2)와 선로구동기(4) 사이에 연결된 송신증폭기(3)와; 상기 송신증폭기(3)와 선로구동기(4)사이 및 파형정형기(2)와 선로구동기(4)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온/오프 동작에 의해 송신경로를 결정할 수 있는 두 개의 스위치(SW1,SW2)가 부가된 구조를 가지며, 임계영역 이상의 손실을 갖는 수신신호에 대하여, 사용자입력(ADNSEL)에 의해 등화여부를 선택할 수 있고, 임계영역 이상의 손실을 가지는 신호를 송신할 경우 이를 송신증폭기(3)에 의해 증폭되도록 함으로써 이후의 수신단에서 등화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임계영역의 선택기능을 구비한 선로등화기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등화기가 적용된 디지탈 데이타 전송장치의 구성 블록도이고,
제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선로등화기가 적용된 디지탈 데이타 전송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극성/복극성 부호기 2 : 파형정형기
3 : 송신증폭기 4 : 선로구동기
5 : 수신 저역통과필터 6 : 수신등화기
7 : 복극성/단극성 복호기 8 : 신호손실 감지기
9 : 경로제어기 SW1, SW2 : 스위치
이 발명은 디지탈 데이타 전송장치의 선로등화기(Cable Equaliz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임계영역 이상의 신호손실에 대한 등화능력을 향상시키고 임계영역 이상의 신호에 대하여 등화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로등화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의 선로 등화기는 디디에스 망(Digital Data Service network)을 구비한 디지탈 데이타 전송장치에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위와 같은 디디에스 망을 구비한 디지탈 데이타 전송장치의 전송선로에는 감쇄왜곡, 지연왜곡 및 선로 임피던스의 변화등과 같은 디디에스 신호의 왜곡이 일어난다. 따라서, 디디에스 망을 구비한 디지탈 데이타 전송장치에는 디디에스 신호의 모든 왜곡 요소를 보상하기 위한 등화장치가 필요하다.
종래의 등화장치들은 등화가 가능한 신호손실의 한계레벨이 장치를 구성하는 방법 또는 구성요소들의 성능에 의해 좌우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경향의 일례로서,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3,824,501호(1974.7.16)에 하리스(Harris)에 의해 바이쿼드(bi-quad) 형태의 자동 선로등화기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하리스의 바이쿼드 형태의 자동 선로등화기는 10 데시벨(dB) 이하의 신호 손실을 갖는 짧은 선로 또는 34 데시벨 이상의 신호 손실을 갖는 매우 긴 선로인 경우에는 만족할 만한 등화 성능을 보이지 못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선로등화기를 설명한다.
제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선로등화기가 적용된 디지탈 데이타 전송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선로등화기가 적용된 디지탈 데이타 전송장치는, 수신 저역통과필터(24)와 수신등화기(25)와 복극성/단극성 복호기(26)가 차례로 연결되어 수신단이 구성되고, 단극성/복극성 부호기(21)와 파형정형기(22)와 선로구동기(23)가 차례로 연결되어 송신단이 구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원이 인가되어 회로의 동작이 시작되면, 수신된 복극성의 신호(Rtip,Rring)가 수신 저역통과필터(24)에 입력된다. 수신 저역통과필터(24)에서는 입력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제거된다.
수신 저역통과필터(24)의 출력신호는 수신등화기(25)에 입력되며, 수신등화기(25)에서는 입력신호가 등화목표치보다 작을 경우 입력신호를 증폭하여 신호레벨이 등화목표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수신등화기(25)의 출력신호는 복극성/단극성 복호기(26)에 입력되며, 복극성/단극성 복호기(26)에서는 복극성의 신호가 단극성의 펄스신호(Rpos,Rneg)로 변환된다.
복극성/단극성 복호기(26)에서 출력되는 단극성의 펄스신호(Rpos,Rneg)는 센트럴 오피스(Central office, 도시하지 않음)에 전송되어 디지탈 데이타 처리동작이 수행되며, 센트럴 오피스에서는 송신하고자 하는 단극성의 펄스신호(Tpos,Tneg)가 생성되어 단극성/복극성 부호기(21)에 출력된다.
단극성/복극성 부호기(21)에서는 송신하고자 하는 단극성의 펄스신호(Tpos,Tneg)가 복극성의 신호로 변환된다. 변환된 복극성의 신호는 파형정형기(22)에 입력되어 신호처리가 수행된다.
파형정형기(22)의 출력신호는 선로구동기(23)에 입력되며, 선로구동기(23)에 의해 입력신호가 전송선로에서 요구되는 레벨로 구동된다. 선로구동기(23)의 출력신호(Ttip,Tring)는 전송선로에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의 선로등화기가 적용된 디지탈 데이타 전송장치에서 등화능력은 수신등화기(25)의 성능에 전적으로 좌우된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선로의 길이가 길어 신호의 왜곡이 심하게 일어나면, 수신신호의 레벨이 수신등화기(25)의 임계 등화능력을 벗어나서 신호의 전송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등화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신등화기의 설계에 많은 노력이 기울여져야 한다.
또한, 센트럴 오피스에서 34 데시벨 이상의 신호 손실을 갖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도록 제어하려고 하더라도, 종래의 선로등화기는 이를 제어할 수단이 없으므로 수신된 신호는 모두 품질에 관계없이 송신된다.
따라서, 34 데시벨 이상의 손실을 갖는 신호의 송신여부를 센트럴 오피스에서 선택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부가회로가 요구된다.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로를 통해 수신된 신호가 임계값인 소정레벨 이상의 신호손실을 가진다면 송신 신호를 증폭시켜 수신된 신호의 신호레벨이 임계 영역내로 들어오도록 함으로써 등화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지탈 데이타 전송장치의 선로등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로를 통해 수신된 신호가 임계값인 소정레벨 이상의 신호손실을 가질때, 임계영역 밖의 수신 신호에 대한 송신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디지탈 데이타 전송장치의 선로등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수신 저역통과필터, 수신등화기 및 복극성/단극성 복호기가 차례로 연결되어 수신단이 구성되고, 단극성/복극성 부호기, 파형정형기 및 선로구동기가 차례로 연결되어 송신단이 구성된 디지탈 데이타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등화기의 입력인 수신된 신호레벨과 상기 수신등화기의 출력인 등화목표치를 비교하여 선로가 소정레벨 이상의 신호손실을 가지는지를 검출하는 신호손실 감지기와 ;
상기 파형정형기와 선로구동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손실 감지기에서 선로가 소정레벨 이상의 신호손실을 가지는 것으로 검출되면, 상기 파형정형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송신증폭기와 ;
상기 송신증폭기와 선로구동기 사이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의해 온/오프가 제어되는 제1스위치와 ;
상기 송신증폭기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송신증폭기와 병렬로 연결되어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의해 온/오프가 제어되는 제2스위치와 ;
상기 신호손실 감지기의 출력신호와 사용자 입력을 받아들여, 선로가 소정레벨 이상의 신호손실을 가지고 있고 사용자 입력이 하이레벨이면 송신증폭기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와 상기 제1스위치를 턴온하기 위한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며, 선로가 소정레벨 이상의 신호손실을 가지고 사용자 입력이 로우레벨이면 상기 제2스위치를 턴온하기 위한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경로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등화기가 적용된 디지탈 데이타 전송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먼저, 제1도를 참조하여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등화기가 적용된 디지탈 데이타 전송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등화기가 적용된 디지탈 데이타 전송장치는, 수신 저역통과필터(5), 수신등화기(6) 및 복극성/단극성 복호기(7)가 차례로 연결된 수신단과 ; 단극성/복극성 부호기(1), 파형정형기(2) 및 선로구동기(4)가 차례로 연결된 송신단과; 상기 파형정형기(2)와 선로구동기(4) 사이에 연결된 송신증폭기(3)와 ; 상기 송신증폭기(3)와 선로구동기(4)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SW1)와 ; 상기 송신증폭기(3)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SW2)와 ; 상기 수신등화기(6)의 입력신호와 출력신호를 받아들이도록 연결되며, 출력신호는 송신증폭기에 인가되도록 연결된 신호손실 감지기(8)와 ; 상기 신호손실 감지기(8)의 출력신호와 사용자 입력(ADNSEL)을 받아들이도록 연결되며, 출력신호가 송신증폭기(3)와 스위치(SW1,SW2)에 인가되도록 연결되는 경로제어기(9)로 구성된다.
상기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등화기가 적용된 디지탈 데이타 전송장치에서 스위치(SW1,SW2)는 전자제어 스위치이며, 릴레이(relay), 트랜지스터(transistor)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구성에서 경로제어기(9)는, 신호손실 감지기(8)의 출력신호와 사용자입력(ADNSEL)을 두 입력으로 하고 출력단은 스위치(SW1)와 연결된 논리곱소자(91)와 ; 상기 사용자 입력을 받아들이도록 연결된 반전기(93)와 ; 상기 반전기(93)의 출력과 신호손실 감지기(8)의 출력신호를 두 입력으로 하고 출력단은 스위치(SW2)와 연결된 논리곱소자(92)로 구성된다.
한편,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신등화기(6)의 등화 임계값이 34 데시벨의 신호레벨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였으나, 이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등화기가 적용된 디지탈 데이타 전송장치를 설명한다.
전원이 인가되어 회로의 동작이 시작되면, 수신된 복극성의 신호(Rtip,Rring)가 수신 저역통과필터(5)에 입력된다. 수신 저역통과필터(5)에서는 입력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제거된다.
수신 저역통과필터(5)의 출력신호는 수신등화기(6)에 입력되며, 수신등화기(6)에서는 수신 신호의 손실에 따라 적응적(adaptive)으로 반복적인 등화작업이 수행되어 신호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수신등화기(6)는 34 데시벨의 임계 등화능력을 가지고 있으나, 이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신등화기(6)의 입력신호와 출력신호는 신호손실 감지기(8)에 입력된다.
또한, 수신등화기(6)의 출력신호는 복극성/단극성 복호기(7)에 입력되며, 복극성/단극성 복호기(7)에서는 복극성의 신호가 단극성의 펄스신호(Rpos,Rneg)로 변환된다.
복극성/단극성 복호기(7)에서 출력되는 단극성의 펄스신호(Rpos,Rneg)는 센트럴 오피스(Central office, 도시하지 않음)에 전송되어 디지탈 데이타 처리동작이 수행되며, 센트럴 오피스에서는 송신하고자 하는 단극성의 펄스신호(Tpos,Tneg)가 생성되어 단극성/복극성 부호기(1)에 출력된다.
단극성/복극성 부호기(1)에서는 송신하고자 하는 단극성의 펄스신호(Tpos,Tneg)가 복극성의 신호로 변환된다. 변환된 복극성의 신호는 파형정형기(2)에 입력되어 신호처리가 수행된다.
한편, 신호손실 감지기(8)에서는 수신등화기(6)의 입력신호인 수신된 신호와 수신등화기(6)의 출력신호인 등화목표치가 비교되며, 수신신호의 신호레벨이 34 데시벨 이상의 신호손실을 가지면 하이(High)레벨의 출력신호가 생성된다.
신호손실 감지기(8)의 출력신호는 송신증폭기(3)와 경로제어기(9)에 입력되며, 송신증폭기(3)는 신호손실 감지기(8)의 하이레벨 출력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입력신호를 증폭한다.
송신증폭기(3)의 증폭동작에 의해 임계 등화능력을 초과하는 신호는 수신시에 임계영역 안으로 들어오게 되어 수신등화기(6)가 정상적인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 입력(ADNSEL)은 경로제어기(9)의 반전기(93)와 논리곱소자(91)에 인가된다. 사용자 입력(ADNSEL)은 센트럴 오피스에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임계값인 34 데시벨 이상의 손실을 가지는 신호에 대해서도 송신단에 의해 송신하기를 원할 경우에는 하이레벨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로우레벨이다.
논리곱소자(91)는 사용자 입력(ADNSEL)과 신호손실 감지기(8)의 출력신호를 두 입력으로 하여 입력에 대한 논리곱연산을 수행하며, 논리곱된 출력신호는 스위치(SW1)에 인가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ADNSEL)이 하이레벨이고 신호손실 감지기(8)의 출력신호가 하이레벨이면, 논리곱소자(91)의 출력신호는 하이레벨로 되어 스위치(SW1)가 턴온된다. 스위치(SW1)의 턴온에 의해 송신증폭기(3)의 출력신호가 선로구동기(4)에 입력되어 송신된다.
사용자 입력(ADNSEL)이 하이레벨이고 신호손실 감지기(8)의 출력신호가 하이레벨일 경우, 논리곱소자(92)의 출력신호는 로우레벨로 되어 스위치(SW2)는 턴오프된다.
다른 경우로서, 사용자 입력(ADNSEL)이 로우레벨이고 신호손실 감지기(8)의 출력신호가 하이레벨이면, 논리곱소자(91)의 출력신호는 로우레벨로 되어 스위치(SW1)는 턴오프되고, 논리곱소자(92)의 출력신호는 하이레벨로 되어 스위치(SW2)는 턴온된다.
스위치(SW1)가 턴오프되고 스위치(SW2)가 턴온되면, 파형정형기(2)의 출력신호가 송신증폭기(3)를 거치지 않고 선로구동기(4)로 바로 입력된다. 따라서, 송신신호가 증폭되지 않았으므로, 수신등화기(6)는 임계영역이내의 손실을 갖는 신호에 대해서만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선로구동기(4)는 입력신호를 전송선로에서 요구되는 레벨로 구동하며, 선로구동기(4)의 출력신호(Ttip,Tring)는 전송선로에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임계영역 이상의 손실을 갖는 수신신호에 대한 등화여부를 선택할 수 있고, 임계영역 이상의 손실을 가지는 신호를 송신할 경우 이를 증폭함으로써 이후의 수신단에서 등화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지탈 데이타 전송장치의 선로등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수신 저역통과필터, 수신등화기 및 복극성/단극성 복호기가 차례로 연결되어 수신단이 구성되고, 단극성/복극성 부호기, 파형정형기 및 선로구동기가 차례로 연결되어 송신단이 구성된 디지탈 데이타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등화기의 입력인 수신된 신호레벨과 상기 수신등화기의 출력인 등화목표치를 비교하여 선로가 소정레벨 이상의 신호손실을 가지는지를 검출하는 신호손실 감지기와 ; 상기 파형정형기와 선로구동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손실 감지기에서 선로가 소정레벨 이상의 신호손실을 가지는 것으로 검출되면, 상기 파형정형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송신증폭기와 ; 상기 송신증폭기와 선로구동기 사이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의해 온/오프가 제어되는 제1스위치와 ; 상기 송신증폭기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송신증폭기와 병렬로 연결되어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의해 온/오프가 제어되는 제2스위치와 ; 상기 신호손실 감지기의 출력신호와 사용자 입력을 받아들여, 선로가 소정레벨 이상의 신호손실을 가지고 있고 사용자 입력이 하이레벨이면 송신증폭기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와 상기 제1스위치를 턴온하기 위한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며, 선로가 소정레벨 이상의 신호손실을 가지고 사용자 입력이 로우레벨이면 상기 제2스위치를 턴온하기 위한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경로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전송장치의 선로등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경로제어기는 사용자입력을 반전하는 반전소자와 ; 상기 신호손실 감지기의 출력신호와 사용자입력을 논리곱하여 논리곱된 결과를 제1스위치에 출력하는 제1논리곱소자와 ; 상기 신호손실 감지기의 출력신호와 상기 반전소자의 출력신호를 논리곱하여 논리곱된 결과를 제2제어스위치에 출력하는 제2논리곱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전송장치의 선로등화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및 제2스위치 각각은 상기 제1논리곱소자와 제2논리곱소자의 출력신호에 의해 온/오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전송장치의 선로등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및 제2스위치는 릴레이, 트랜지스터 또는 이와 유사한 전자제어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전송장치의 선로등화기.
KR1019950029156A 1995-09-06 1995-09-06 임계영역의 선택기능을 구비한 선로등화기 KR0154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9156A KR0154833B1 (ko) 1995-09-06 1995-09-06 임계영역의 선택기능을 구비한 선로등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9156A KR0154833B1 (ko) 1995-09-06 1995-09-06 임계영역의 선택기능을 구비한 선로등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253A KR970019253A (ko) 1997-04-30
KR0154833B1 true KR0154833B1 (ko) 1998-11-16

Family

ID=19426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9156A KR0154833B1 (ko) 1995-09-06 1995-09-06 임계영역의 선택기능을 구비한 선로등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48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4165A (ko) * 1997-12-26 1999-07-15 전주범 음파탐지기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증폭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253A (ko) 1997-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4615B1 (en) Serial digital data communications receiver with improved automatic cable equalizer, AGC system, and DC restorer
US7738654B2 (en) Isolation of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EP0512712B1 (en) Equaliser, operable in decision-feedback or fractional modes
KR970013825A (ko) 송신될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는 송신장치 및 방법과, 수신신호의 이득을 조정하는 수신장치 및 방법(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adjusting gain of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adjusting gain of received signal)
US20090175157A1 (en) Echo cancellation device for full duplex communication systems
EP0040660B1 (en) Equalizing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lines
KR0154833B1 (ko) 임계영역의 선택기능을 구비한 선로등화기
JP3023705B2 (ja) 予備チャンネル切替え装置および方法
US5506549A (en) Cable equalizer
KR101812742B1 (ko) 데이터 수신 장치 및 그의 등화 알고리즘 제어방법
JP3194310B2 (ja) アンテナスイッチ回路
JPH09153845A (ja) 等化器
JPH10256937A (ja) 無線通信機の受信ゲイン切換回路
KR840001024A (ko) 디지탈 전송 시스템
US1953496A (en) Long distance telephone system
JPH06197047A (ja) 等化方式
JP2737409B2 (ja) 伝送路切換回路
JP3479369B2 (ja) ノイズ除去機能を持つ受信装置
JP2004312363A (ja) 無線通信用高周波回路およびそれを備えた通信機
JP2722940B2 (ja) ダイバーシティ受信装置
JP2002247117A (ja) シリアルデジタル映像信号のケーブル補償方法
JP3231684B2 (ja) データ転送システム
JP2012060429A (ja) 双方向中継器
JP2003008471A (ja) ディジタル無線装置
JPS63242032A (ja) 同時送受話無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