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4165A - 음파탐지기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증폭부 - Google Patents

음파탐지기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증폭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4165A
KR19990054165A KR1019970073953A KR19970073953A KR19990054165A KR 19990054165 A KR19990054165 A KR 19990054165A KR 1019970073953 A KR1019970073953 A KR 1019970073953A KR 19970073953 A KR19970073953 A KR 19970073953A KR 19990054165 A KR19990054165 A KR 19990054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amplifier
waveform shaper
equa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73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4165A/ko
Publication of KR19990054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4165A/ko

Links

Landscapes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파탐지기의 데이터 수신장치용 데이터 수신증폭부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수중음향 탐지기의 신호전송모듈에서 전송되는 먹스신호를 수신하여 원래의 송신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수신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 수신증폭부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음파탐지기의 데이터 수신장치에 있어서, 입력측과 출력측에 설치되어 신호의 절연을 수행하기 위한 일대일 변압기; 신호 이외의 잡음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로우패스 필터; 신호전송 선로에서의 주파수특성을 보상하기 위한 등화기; 그리고, 처리된 데이터 신호를 방형파로서 출력하기 위한 파형정형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증폭부를 제공함으로서, 원래의 송신펄스의 타이밍에 일치하는 방형파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음향 탐지 시스템의 수신부의 디먹싱을 위한 정확한 신호를 출력하는 효과가 달성된다.

Description

음파탐지기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증폭부
본 발명은 음파탐지기의 데이터 수신장치용 데이터 수신증폭부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음파탐지기의 신호전송모듈에서 전송되는 먹스신호를 수신하여 원래의 송신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수신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 수신증폭부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음파탐지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회로도이다. 이 음향탐지기 시스템은, 수중의 음향 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다중화하여 전송하기 위한 음향센서부(10)와; 상기 음향센서부(10)를 함상(40)에 연결하기 위한 예인케이블(30)과; 상기 예인케이블(30)에 의해 상기 음향센서부(10)와 연결되는 함상(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함상(40)은 음향센서부(10)로부터 전송된 먹스신호를 처리하는 데이터 수신장치(42)와,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42)로부터 수신된 전기신호 데이터를 분류, 검색, 처리하여 음향신호를 복원하는 자료처리부(44)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음향센서부(10)를 제어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신호 및 전원공급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중에서 발생하는 음향은 해수 입자의 기계적인 소밀 작용에 의해 주변으로 전파된다. 이러한 음향진동은 주파수의 제곱과 진폭과의 곱에 정비례하는 크기로 수중청음기(12)에 도달되어 체적변화를 일으키고, 수중청음기(12)는 상기 체적변화에 반응하여 그 음파와 동형인 전기파형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전기신호는 잡음제거를 위한 차동증폭기(14)를 거쳐 먹스부(16)에 입력된다.
먹스부(16)에 입력된 신호는 순차적으로 멀티플렉싱되어진 후 샘플링 및 양자화 과정을 거쳐 디지털 신호화된 후, 진동격리모듈(미도시)을 거쳐 예인케이블(30)을 통하여 함상(40)으로 전송한다. 이때의 전송신호는 전류의 변화 또는 전압의 변화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나, 예인케이블(30)은 수킬로미터에 이르는 장거리이므로, 전류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함상(40)에서의 예인케이블(30)과 데이터 수신장치(42)의 연결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예인케이블(30)은 윈치(35)를 통하여 감기거나 풀려, 그 예인길이가 조절된다. 윈치(35)의 회전축에는 슬립링(36)이 설치된다. 예인케이블(30)의 일단은 이 슬립링(36)의 고정자에 연결된다. 반면, 또다른 연결케이블(32)의 일단은 상기 슬립링(36)의 회전자에 연결된다. 따라서, 윈치(35)가 회전하면서 예인케이블(30)의 길이가 변화되더라도, 슬립링(36)을 통하여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전송신호는 데이터 수신장치(40)에 입력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의 데이터 수신장치는 전송과정에서 유입되는 잡음성분과 상기 슬립링의 접촉부분에서 발생하는 접촉잡음 등으로 인하여 신호대 잡음비의 저하의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잡음성분으로 인하여 원래의 전송신호를 정확히 복원하기 어려운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데이터 수신부는 송수신 데이터 클록의 동기를 잡는 것이 필요하지만, 전송과정에서 침입하는 여러 잡음에 대한 신호대 잡음비의 저하로 인하여 클럭의 동기가 무너지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원래의 송신파형과 일치하는 방형파 특성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원래의 송신펄스의 타이밍에 일치하는 방형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데이터 수신증폭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음파탐지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회로도,
도 2는 함상의 예인케이블과 데이터 수신장치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데이터 수신장치의 전체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데이터 수신증폭부의 회로구성을 보인 블럭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음향센서부 30, 32 ; 예인케이블
35 ; 윈치 36, 105 ; 슬립링
40 ; 함상 42 ; 데이터 수신장치
100 ; 광대역증폭부 110 ; 데이터 수신증폭부
120 ; 디코딩부 130 ; 디먹싱부
210 ; 일대일 변압기 212 ; 제 1차 로우패스 필터
220, 225 ; 등화기 230 ; 제 2차 로우패스 필터
235 ; 제 3차 로우패스 필터 240 ; 증폭기
250 ; 파형정형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선배열 예인형 수중음향 탐지 시스템의 데이터 수신장치에 있어서, 입력측과 출력측에 설치되어 신호의 절연을 수행하기 위한 일대일 변압기; 신호 이외의 잡음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로우패스 필터; 신호전송 선로에서의 주파수특성을 보상하기 위한 등화기; 그리고, 처리된 데이터 신호를 방형파로서 출력하기 위한 파형정형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증폭부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파형정형기는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강하 특성을 사용한 파형정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파형정형기는 순방향 전압강하값이 0.7V인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그 순방향 전압강하값의 2배의 피크 투 피크값을 갖는 방형파를 출력하는 파형정형기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데이터 수신증폭부를 통하여, 전송잡음제거 및 송신파형 복원성이 뛰어난 음향 탐지 시스템의 수신부를 구현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적용대상인 데이터 수신장치의 전체구성을 보인 블럭구성도이다.
이 수신장치(40)는 광대역증폭부(100), 슬립링(105), 데이터 수신증폭부(110), 디코딩부(120), 그리고 디먹싱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음향센서부(10)의 신호전송모듈로부터 예인케이블(30)을 통하여 전송된 신호는 본 발명의 광대역증폭부(100)에 입력되어 등화 및 증폭되고, 슬립링(36, 105)를 거쳐 데이터 수신증폭부(110)에 입력된다. 데이터 수신증폭부(100)에서는 전송신호를 다시 등화, 증폭 및 파형정형하여, 디코딩부(120)에 입력하고, 디코딩부(120)에서는 클럭신호복원 및 데이터 디코딩이 수행되어, 디먹싱부(130)에 입력된다. 디먹싱부(130)에서는 전송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검출하고 데이터 변환 및 어드레스 카운트가 수행되어 각 채널별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도 4는 음향 탐지 시스템의 수신부 중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데이터 수신증폭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수신증폭부는 일대일 변압기(210), 제 1차 로우패스 필터(212), 등화기(220, 225), 제 2차 및 제 3차 로우패스 필터(230, 235), 증폭기(240, 245) 그리고, 파형정형기(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 회로는 광대역 증폭부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는 펄스 트랜스(210)가 전단에 설치된다. 이 펄스 트랜스(210)는 입력과 출력의 신호 절연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대일 권선 트랜스이다. 이 펄스 트랜스(210)는 광대역으로 주파수 특성이 평탄한 것이 요구되며, 특히 고주파특성이 우수한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펄스 트랜스(210)를 거친 신호는 제 1차 로우패스 필터(212)에 입력된다. 제 1차 로우패스 필터(212)는 음향모듈에서 함상으로 전송되는 전송과정에서 유입되는 잡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버터워스(butterworth) 5차 필터를 2단 구성하여 사용한다. 이 필터는 잡음제거의 측면에서 볼 때에는 그 차단주파수가 가급적 낮을 것이 요망되지만, 너무 낮을 때에는 전송신호의 고조파 성분도 함께 제거되므로, 필터를 거친 파형은 완만한 파형이 되어 송신파형의 재생이 어려워 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송주파수의 2배인 7㎒로 정하였다.
이 로우패스 필터(212)는 다단으로 설치할 수록 차단주파수 이상의 외부 잡음의 제거 특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단 필터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버터워스 필터의 경우 차단주파수의 2배의 주파수에서 30㏈의 감쇄특성을 갖고 있는 바, 본 발명에서 채택한 2단 필터의 경우에는 14㎒에서 60㏈의 감쇄효과가 얻어진다.
제 1차 로우패스 필터(212)에서 출력된 수신신호는 제 1차 등화기(220)에 입력된다. 제 1차 등화기(220)는 전송선로에서의 주파수 감쇄특성을 상쇄하는 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그 등화특성을 가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수신증폭부가 적용되는 음향 탐지시스템에서 사용한 코딩방식은 맨체스터 코딩방식으로서, 신호의 스펙트럼은 데이터 레이트 주파수인 Fc와 그 주파수의 1/2인 Fc/2에 걸쳐 넓게 분포된다. 따라서, 전송선로인 동축케이블의 특성에 따라, 양 주파수에서의 감쇄율이 차이난다. 실험치에 따르면, 3.5㎒의 주파수에서 손실은 52㏈이나, 그 1/2 주파수인 1.75㎒에서의 손실은 32㏈로서 그 차이는 약 20㏈이다. 따라서, Fc와 Fc/2의 주파수에서 신호대 잡음비가 일치하기 위해서, 제 1차 등화기(220)의 사용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데이터 수신증폭부는 그 전단의 광대역 증폭부를 통하여 신호를 입력받는다. 광대역 증폭부에서는 구조상 등화특성의 트리밍이 불가능하여, 정확한 등화특성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일차로 15㏈의 등화를 이룬 후에, 본 발명의 데이터 수신증폭부에서 나머지 등화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등화기(220)는 광대역 증폭부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 레이트 주파수인 Fc와 그 주파수의 1/2인 Fc/2에 걸쳐 0㏈에서 5㏈까지 그 등화율이 가변되는 등화기이다. 이 등화기(220)는 예를 들어 3.5㎒에서 6㏈의 손실을 가지며, 1.75㎒에서 6㏈에서 11㏈의 가변손실을 갖는 가변 등화기(220)이다.
등화기(220)를 거친 신호는 제 2차 로우패스 필터(230)에 입력된다. 이 필터(230)는 버터워스(butterworth) 3차 필터를 사용한다. 이 필터는 잡음제거의 측면에서 볼 때에는 그 차단주파수가 가급적 낮을 것이 요망되지만, 너무 낮을 때에는 전송신호의 고조파 성분도 함께 제거되므로, 필터를 거친 파형은 완만한 파형이 되어 송신파형의 재생이 어려워 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송주파수의 2배인 7㎒로 정하였다.
제 2차 로우패스 필터(230)를 거친 신호는 제 1차 증폭기(240)에 입력된다. 이 증폭기(240)는 상기 제 1차 가변 등화기(220)와 제 2차 로우패스 필터(230)에서의 등화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약 20㏈의 증폭도를 가지며, 데이터 레이트 주파수 및 그 1/2의 주파수에서의 증폭특성이 균일하여야 한다.
제 1차 증폭기(240)를 거친 신호는 다시 제 2차 가변 등화기(225)에 입력된다. 이 등화기는 상기 제 1차 등화기(220)와 동일한 특성을 갖는 등화기이다. 제 2차 가변 등화기(225) 역시 3.5㎒에서 6㏈의 손실을 가지며, 1.75㎒에서 6㏈에서 11㏈의 가변손실을 갖는 가변 등화기(225)이다. 따라서, 상술한 제 1차 등화기(220)와 제 2차 등화기(225)를 거치면 최대 10㏈의 등화를 이룰 수 있다.
제 2차 등화기(225)를 거친 신호는 제 3차 로우패스 필터(235)에 입력된다. 이 필터(235)는 상기 제 2차 로우패스 필터(230)와 동일한 특성을 갖는 필터로서 버터워스(butterworth) 3차 필터를 사용한다.
제 3차 로우패스 필터(235)를 거친 신호는 제 2차 증폭기(245)에 입력된다. 이 증폭기(245)는 상기 제 2차 가변 등화기(225)와 제 3차 로우패스 필터(235)에서의 등화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1차 증폭기(240)와 동일한 특성으로서, 약 20㏈의 증폭도를 가지며, 데이터 레이트 주파수 및 그 1/2의 주파수에서의 증폭특성이 균일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레이트 주파수와 그 1/2 주파수에서 증폭특성이 균일하도록 등화 및 증폭하더라도, 전송매체 및 수신부의 밴드폭 제한으로 인하여 고조파 성분이 제거되기 때문에 원래 송신된 방형파 신호에 일치되는 정확한 타이밍의 신호를 얻기가 어렵다. 이때, 증폭기의 출력 파형을 관찰하면 + 또는 -의 꼭지점이 송신파형의 라이징 또는 폴링 에지에 해당하므로, 미분회로를 사용하면 송신파형과 같은 에지 타이밍을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 2차 증폭기(245)의 후단에 파형정형회로(250)가 설치된다. 이 파형정형회로(250)는 미분회로로서, 출력 레벨을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강하 특성을 사용하여 제한하므로서, 순방향 전압강하값보다 큰 출력신호에 의한 회로지연을 방지하고 방형파에 가까운 출력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순방향 전압강하값이 0.7V인 다이오드를 사용하면, 그 출력은 약 1.4V p-p의 방형파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수신증폭부는 원래의 송신펄스의 타이밍에 일치하는 방형파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음향 탐지 시스템의 수신부의 디먹싱을 위한 정확한 신호를 출력하는 효과가 달성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통상의 지식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

Claims (3)

  1. 광대역증폭부(100)와 디코딩부(120)와 디먹싱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배열 예인형 수중음향 탐지 시스템의 데이터 수신장치에 있어서,
    광대역증폭부와의 신호의 절연을 수행하기 위한 일대일 변압기(210);
    신호 이외의 잡음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 1차 로우패스 필터(212);
    신호전송 선로에서의 주파수특성을 보상하기 위하여 그 등화특성을 가변할 수 있는 등화기(220, 225);
    상기 등화기(220)의 후단에 연결되어 소정의 대역통과특성을 갖는 로우패스 필터(230, 235);
    상기 등화기(220, 225)와 로우패스 필터(230, 235)의 삽입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증폭기(240, 245); 그리고,
    전송신호를 방형파로서 디코딩부에 출력하기 위한 파형정형기(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의 데이터 수신증폭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정형기는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강하 특성을 사용한 파형정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의 데이터 수신증폭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정형기는 순방향 전압강하값이 0.7V인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그 순방향 전압강하값의 2배의 피크 투 피크값을 갖는 방형파를 출력하는 파형정형기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의 데이터 수신증폭부.
KR1019970073953A 1997-12-26 1997-12-26 음파탐지기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증폭부 KR19990054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953A KR19990054165A (ko) 1997-12-26 1997-12-26 음파탐지기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증폭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953A KR19990054165A (ko) 1997-12-26 1997-12-26 음파탐지기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증폭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165A true KR19990054165A (ko) 1999-07-15

Family

ID=66099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953A KR19990054165A (ko) 1997-12-26 1997-12-26 음파탐지기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증폭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41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4186A (ko) * 1997-12-26 1999-07-15 전주범 수중음향 탐지시스템의 데이터 수신장치용 광대역 증폭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3427A (ja) * 1984-09-18 1986-04-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m中間周波増幅回路
JPH04360441A (ja) * 1991-06-07 1992-12-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干渉補償方式
KR950023989A (ko) * 1994-01-31 1995-08-21 배순훈 다채널 데이타수신기
JPH07253468A (ja) * 1993-12-07 1995-10-03 Kaijo Corp 超音波探知装置
KR970019253A (ko) * 1995-09-06 1997-04-30 김광호 임계영역의 선택기능을 구비한 선로등화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3427A (ja) * 1984-09-18 1986-04-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m中間周波増幅回路
JPH04360441A (ja) * 1991-06-07 1992-12-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干渉補償方式
JPH07253468A (ja) * 1993-12-07 1995-10-03 Kaijo Corp 超音波探知装置
KR950023989A (ko) * 1994-01-31 1995-08-21 배순훈 다채널 데이타수신기
KR970019253A (ko) * 1995-09-06 1997-04-30 김광호 임계영역의 선택기능을 구비한 선로등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4186A (ko) * 1997-12-26 1999-07-15 전주범 수중음향 탐지시스템의 데이터 수신장치용 광대역 증폭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67596A3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udio signals via a serial data port in a hearing instrument
FI863169A (fi) Fullstaendigt dubbelriktad hoegtalartelefon foer radio- och kabeltelefonsystem.
EP0094762A3 (en) Automatic time domain equalization of audio signals
CN101140760A (zh) 一种声音信号采集处理系统及方法
US6028946A (en) Microphone with associated amplifier
KR19990054165A (ko) 음파탐지기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증폭부
KR19990054186A (ko) 수중음향 탐지시스템의 데이터 수신장치용 광대역 증폭부
KR0175771B1 (ko) 서브 먹스부를 갖는 선배열 수동 예인형 수중 음향탐지기 음향센서부
KR101027539B1 (ko) 선체에서의 다중채널 초음파 통신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US6327563B1 (en) Wireless microphone system
WO2001078340A3 (de)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filterkoeffizienten eines digitalen zeitbereichsentzerrers für ein multiträgerfrequenzsignal
JP4560858B2 (ja) 送受信装置
KR0174071B1 (ko) 선배열 음향탐지기의 저주파 음향모듈
KR0135566Y1 (ko) 음향대항체계 신호수신부의 양극성/단극성 변환장치
KR0175762B1 (ko) 선배열 예인형 수중 음향탐지기의 보조센서 모듈
KR0175770B1 (ko) 차동증폭방식의 대역필터 및 차동증폭방식의 신호증폭기를 사용하는 선배열 예인형 음향탐지기
KR0167712B1 (ko) 음향 대항 체계 신호수신부의 역다중화 장치
KR0145334B1 (ko) 지하 또는 해저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신호 감지장치
KR19990054182A (ko) 노이즈 감소를 위한 입력필터를 내장한 프리먹스회로
KR0174075B1 (ko) 음향 대항 체계의 신호전송모듈
KR19990054188A (ko) 음파탐지기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장치용 디코더
KR0175784B1 (ko) 수동예인형 선배열 음향탐지기의 잡음제거용 전치증폭기
KR0174073B1 (ko) 이미지 어레이 구동 시스템
KR19990054181A (ko) 음파탐지기의 음향센서부
KR19990054184A (ko) 음탐기의 그룹 동기 및 아날로그 디지털변환을 위한 슬레이브 로직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