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2355B1 - 수신이득 자동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수신이득 자동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2355B1
KR100442355B1 KR10-2000-0054954A KR20000054954A KR100442355B1 KR 100442355 B1 KR100442355 B1 KR 100442355B1 KR 20000054954 A KR20000054954 A KR 20000054954A KR 100442355 B1 KR100442355 B1 KR 100442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evel
attenuated
gai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2252A (ko
Inventor
박성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4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2355B1/ko
Publication of KR20020022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2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3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10Compensating for variations in line bal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78Arrangements for impedance ma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12Compensating for variations in line impedance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이득 자동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교환기 시스템에 있어서는 수신단의 신호 레벨을 보상하기 위한 기능이 없으며 단, 송신단에 선로의 길이에 따른 보상회로를 두고 있으나 사용 환경에 따라 일일이 수동으로 조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선로의 상태에 따라 수신되는 레벨이 비정상적일 경우에는 조정 자체도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계 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감지하여 감쇄된 신호의 이득을 보상하도록 하는 수신이득 조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중계 선로 노후화에 의해 신호가 감쇄될 경우 선로 사용자의 조정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감쇄 및 증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신호의 전송품질을 향상시키고 선로 조정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신이득 자동 조정장치{AUTOMATIC CONTROLLING APPARATUS FOR RECEPTION GAIN}
본 발명은 수신이득 자동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국설 교환기의 중계선 정합 보드의 정합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신이득 자동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중계선 정합을 위한 기술은 정합을 위한 소자를 생산하는 생산자에 의해 보통 제공되었는데, 이를 시스템의 입장에서 보면 송신단에 이 기능을 내장하여 제공하였다.
도1은 종래 국설 교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데이터를 중계선의 종류에 따라 그에 맞는 프레임 형태로 재구성하는 프레이머(Framer)(1)와; 상기 데이터 송신시 그 송신 신호의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송신 임피던스 정합부(2)와; 수신 신호의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수신 임피던스 정합부(3)와; 상기 임피던스 정합된 송신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송신이득 조정부(4)로 구성된다.
여기서, 프레이머(1)는 교환기측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각 중계선 타입(Type)에서 요구되는 프레임 형태로 송신하고, 송신 임피던스 정합부(2)는 이 송신되는 신호를 중계선 선로의 특성에 따른 임피던스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도록 정합한다.
다음, 송신이득 조정부(4)는 상기와 같이 임피던스 정합된 신호를 입력받아 선로의 길이 및 그 감쇄정도에 따라 송신 레벨을 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송신이득 조정부(4)는 교환기에 따라 사용자가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있거나, 회로 설계시에 고정된 값으로 사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 수신 임피던스 정합부(3)는 중계선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선로의 특성에 따라 임피던스 정합하여 프레이머(1)에 입력하게 된다.
그러나, 현 교환기의 중계 정합 장치는 주로 전화국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선로의 길이가 보통 200미터 이내로 짧아 송신이득 조정부(4)가 거의 실효성이 없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상기 종래의 교환기 시스템에 있어서는 수신단의 신호 레벨을 보상하기 위한 기능이 없으며 단, 송신단에 선로의 길이에 따른 보상회로를 두고 있으나 사용 환경에 따라 일일이 수동으로 조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선로의 상태에 따라 수신되는 레벨이 비정상적일 경우에는 조정 자체도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중계선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수신단에서 직접 감지하여 보상하도록 하는 수신이득 자동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국설 교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국설 교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3은 상기 도2에서 수신이득 조정부의 상세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신이득 조정부 10a : B/U 변환부
10b : RMS 변환부 10c : 기준 레벨 비교부
10d : 기준레벨 입력부 10e : 레벨 증폭부
10f : 레벨 감쇄부 10g : 신호 선택부
10h : U/B 변환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계 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감지하여 감쇄된 신호를 보상하도록 하는 수신이득 조정부를 더 포함하고, 그 수신이득이 조정된 신호가 수신 임피던스 정합부에 의해 임피던스 정합하여 프레이머에 입력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국설 교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국설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 중계선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감지하여 감쇄신 신호의 이득을 보상하도록 하는 수신이득 조정부(10)를 더 포함하고, 그 수신이득이 조정된 신호가 수신 임피던스 정합부(3)에 입력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장치 전체의 동작 및 작용은 종래와 비슷하다.
즉, 송신단에서는 교환기 측에서 송신되는 음성정보 및 라인 시그널링용 데이터를 프레이머(1)에 의해 중계선 선로의 특성에 따라 해당 포맷으로 변경하여 출력하고, 송신 임피던스 정합부(2)에서는 그 송신되는 신호를 중계선 선로의 특성에 따른 임피던스의 차이를 보상하여 정합한다.
다음, 송신이득 조정부(4)는 상기와 같이 임피던스 정합된 신호를 입력받아 선로의 길이 및 감쇄정도에 따라 송신 레벨을 조정하게 된다.
다음, 수신측에서는 중계선로를 통해 직접 수신되는 중계선 신호는 본 발명에 의해 더 부가된 수신이득 조정부(10)를 통해 레벨을 가변하고, 수신 임피던스 정합부(3)를 통해 프레이머(1)와 중계선 선로와의 임피던스 차이를 보상하여, 수신 신호의 손실이 최소가 되도록 하여 입력한다.
도3은 상기 도2에서 수신이득 조정부(10)의 상세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계선로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B/U(Bipolar/Unipolar) 변환부(10a)를 통해 유니폴라 신호로 변환되어 RMS 변환부(10b)와 노이즈제거부(10i)로 입력된다.
참고로, 바이폴라 신호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원격지 전송에 적합하도록 변형하여 송신되는 신호이기 때문에 수신시에는 다시 유니폴라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쳐야 된다.
RMS(Root Mean Square) 변환부(10b)로 입력된 신호의 레벨은 RMS값(실효값)으로 변환되고, 기준 레벨 비교부(10c)는 기준레벨 입력부(10d)에서 출력되는 기준 레벨값과 상기 RMS 변환부(10b)에서 출력되는 레벨값을 비교하여, 그 값이 기준 레벨보다 큰지 또는 작은지 여부에 의해 증폭 혹은 감쇄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켜 신호 선택부(10g)에 출력한다.
한편, B/U 변환부(10a)에서 유니폴라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 신호는 노이즈 제거부(10i)를 통하여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고, 레벨 증폭부(10e)와 레벨 감쇄부(10f) 양측에 각각 입력된다.
여기서, 노이즈 제거부(10i)는 레벨 증폭시 노이즈 성분이 증폭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이다.
레벨 증폭부(10e)에서 증폭된 신호와 레벨 감쇄부(10f)에서 감쇄된 신호는 각각 신호 선택부(10g)로 입력되어 레벨 비교부(10c)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증폭되거나 감쇄된 신호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즉, 수신 신호의 레벨(RMS값)이 기준 레벨보다 작으면 신호가 감쇄가 일어난 경우이므로 증폭된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수신 신호의 레벨(RMS값)이 기준 레벨보다 클 경우에는 감쇄된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여 항상 적정 레벨의 신호가 출력될 수있도록 조정한다.
다음, 신호 선택부(10g)의 출력은 U/B 변환부(10h)에 의하여 원래의 바이폴라 신호 형태로 복구되어 수신 임피던스 정합부(3)로 입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수신이득 자동 조정장치는 중계 선로 노후화에 의해 신호가 감쇄될 경우, 선로 사용자의 조정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감쇄 및 증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신호를 안정화시킴으로써, 신호의 전송품질을 향상시키고 선로 조정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중계 정합 장치에 있어서, 중계 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감지하여 감쇄된 신호의 이득을 보상하도록 하는 수신이득 조정부를 더 포함하고, 그 수신이득이 조정된 신호가 수신 임피던스 정합부에 의해 임피던스 정합하여 프레이머에 입력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이득 자동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이득 조정부는 중계선로를 통해 입력된 바이폴라 신호를 유니폴라 신호로 변환하는 B/U 변환부와; 상기 유니폴라 신호의 레벨을 RMS값으로 변환하는 RMS변환부와; 상기 유니폴라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부와; 상기 노이즈 제거된 신호의 레벨을 증폭하는 레벨 증폭부와; 상기 노이즈 제거된 신호의 레벨을 감쇄하는 레벨 감쇄부와; 기준 레벨값과 상기 RMS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레벨값을 비교하여, 수신 신호의 증폭 혹은 감쇄여부를 결정하는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레벨 비교부와; 상기 레벨 비교부에서 출력된 선택신호에 의해 레벨 증폭된 신호 또는 감쇄된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선택부와; 상기 신호 선택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바이폴라 신호로 변환하는 U/B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이득 자동 조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선택부는 수신된 신호의 레벨(RMS값)이 기준 레벨보다 작을 경우 레벨 증폭된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기준 레벨보다 클 경우 레벨 감쇄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이득 자동 조정장치.
KR10-2000-0054954A 2000-09-19 2000-09-19 수신이득 자동 조정장치 KR100442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954A KR100442355B1 (ko) 2000-09-19 2000-09-19 수신이득 자동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954A KR100442355B1 (ko) 2000-09-19 2000-09-19 수신이득 자동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252A KR20020022252A (ko) 2002-03-27
KR100442355B1 true KR100442355B1 (ko) 2004-07-30

Family

ID=19689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954A KR100442355B1 (ko) 2000-09-19 2000-09-19 수신이득 자동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235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487A (ko) * 1986-08-23 1988-05-17 강진구 사설교환기용 국선 감도 자동 이득 보상회로
JPH05316552A (ja) * 1992-05-07 1993-11-26 Nec Corp 公専接続における構内交換機の音声品質保証方式
JPH07123449A (ja) * 1993-10-22 1995-05-12 Hitachi Ltd 自動利得制御機能付局線トランク
KR19990042741A (ko) * 1997-11-28 1999-06-15 윤종용 이득 보상 회로
KR19990046697A (ko) * 1999-04-16 1999-07-05 박종희 중계기이득자동제어회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487A (ko) * 1986-08-23 1988-05-17 강진구 사설교환기용 국선 감도 자동 이득 보상회로
JPH05316552A (ja) * 1992-05-07 1993-11-26 Nec Corp 公専接続における構内交換機の音声品質保証方式
JPH07123449A (ja) * 1993-10-22 1995-05-12 Hitachi Ltd 自動利得制御機能付局線トランク
KR19990042741A (ko) * 1997-11-28 1999-06-15 윤종용 이득 보상 회로
KR19990046697A (ko) * 1999-04-16 1999-07-05 박종희 중계기이득자동제어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252A (ko) 200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37818B2 (ja) 無線装置における送信パワー制御装置
US6459727B1 (en) Very high speed digital subscriber line receiver, and programmable gain amplifier and narrow-band noise remover thereof
KR0184993B1 (ko) 이동 무선 유닛 및 이를 자동적으로 이득 제어하는 방법
KR0137720B1 (ko) 자동이득제어장치
KR20010091576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장치
JP2003234628A (ja) 無線基地局
GB2381162A (en) Wireless transmitter and device for mobile station
KR20000061403A (ko) 자동이득 조절을 위한 무선주파수 중계 증폭장치
KR100442355B1 (ko) 수신이득 자동 조정장치
KR101820741B1 (ko) 이동통신 단말에서 티디엠에이 노이즈 저감 방법 및 장치
US6459397B1 (en) Saturation compensating analog to digital converter
JPH04277909A (ja) 送信電力制御方法
KR100338674B1 (ko) 무선 단말기에서 수신단 증폭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CA2102735C (e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efficiency of electric power amplification
GB2372650A (en) Spread spectrum receiver with improved message intelligibility and reduced power consumption in the presence of interfering signals
EP1193864A2 (en) Distortion compens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mpensating distortion
US7035395B2 (en)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KR100431196B1 (ko) 다중 밴드 모뎀의 이득 제어장치
JP2001086176A (ja) ディジタル送受信機
JP4692346B2 (ja) 受信装置
JP3388339B2 (ja) 自動利得制御方式
US20060222060A1 (en) Transmission/reception signal conversion circuit and transmission/reception signal conversion method
JP2000151315A (ja) 無線通信機の自動音量設定方式
JP2006512828A (ja) モバイルハンドセットの送信電力のための制御手法
KR10064652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고전력 검출 회로 보호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