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4403B1 - 차량용 카페트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카페트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4403B1
KR0154403B1 KR1019950004786A KR19950004786A KR0154403B1 KR 0154403 B1 KR0154403 B1 KR 0154403B1 KR 1019950004786 A KR1019950004786 A KR 1019950004786A KR 19950004786 A KR19950004786 A KR 19950004786A KR 0154403 B1 KR0154403 B1 KR 0154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mold
trimming
mold base
carpet
de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364A (ko
Inventor
김병철
Original Assignee
김병철
두올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철, 두올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병철
Priority to KR1019950004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4403B1/ko
Publication of KR960033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4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44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Landscapes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운 차량용 카페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이트재를 재단하여 예열하고 프레스성형단에 공급하여 프레스성형하므로서 카페트프리폼을 얻고 이를 트리밍단으로 이송하여 트리밍하므로서 완성카페트를 얻도록한다. 상기 프레스성형단에서 프레스성형된 카페트프리폼을 탈형없이 하부모울드베이스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모울드베이스를 상기 트리밍단으로 이동시켜 상기 트리밍단에서 트리밍하고 상기 카페트프리폼을 트리밍하여 얻은 완성카페트를 역시 탈형없이 상기 완성카페트가 상기 하부모울드베이스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하부모울드베이스를 대기단으로 이동하였다가 탈형단에서 상기 완성카페트를 탈형하고 상기 탈형단에서 상기 하부모울드베이스를 상기 프레스성형단으로 순환이동 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카페트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카페트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차량용 카페트의 한 예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종래 기술의 제조공정흐름도.
제3도는 종래 기술의 제조공정을 보인 개략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하부모울드베이스의 이동위치를 보인 개략 설명도.
제6도는 본 발명의 하부모울드베이스의 이동수단을 보이고 각 이동 위치를 보인 평면도.
제7a도-제7c도는 하부모울드베이스가 이동수단에 의하여 이동되는 과정을 보인 개략측면도.
제8도는 하부모울드베이스가 승강레일에 의하여 상승된 상태에 놓여 고정레일측으로 이동준비가 완료된 상태를 보인 제6도의 VIII-VIII선부분 상에 단면도.
제9도는 하부모울드베이스가 고정레일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보인 제8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10도는 하부모울드베이스의 저면레인안내로의 구조와 승강레일의 구조를 분리하여 보인 제8도의 X-X선에 해당하는 단면도.
제11도는 하부모울드베이스의 저면레일안내로와 고정레일의 구조를 보인 제10도와 유사한 제8도의 XI-XI선부분 단면도.
제12도는 하부모울드베이스의 고정수단을 보인 제6도의 XII-XII선부분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4 : 시이트제 41 : 프레스성형단
44 : 카페트 프리폼 46 : 하부모울드베이스
47 : 트리밍단 54 : 완성카페트
55 : 대기단 57 : 탈형단
본 발명은 차량용 카페트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연성 시이트제를 프레스성형하고 트리밍하는 일련의 과정이 모울드베이스의 순환이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한 차량용 카페트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카페트와 같은 바닥제는 차량샤시의 내부바닥면 형상에 따른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어 차량의 내부바닥면상에 따른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어 차량의 내부바닥면상에 전개된다. 이러한 차량용 카페트는 합성섬유의 부직포등으로 만들어지고 바닥면 형상에 일치하는 형상을 갖도록 가열가압되어 성형된다.
도면의 제1도는 이러한 차량용 카페트의 한 예를 보인 것으로, 변부프레임부분(1)과 이 부분보다 얕게 요입된 요입부분(2)으로 구성되고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분(3)이 형성되어 있다. 변부프레임부분(1)과 요입부분(2)는 프레스성형으로 형성되고 절개부분(3)는 전체 가장자리부분과 함께 트리밍과정에서 형성된다.
제2도와 제3도는 종래기술의 차량용 카페트 제조공정을 보인 것으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시이트제(4)가 시이트제 롤(5)로부터 공급되어 적당한 크기로 재단된 다음 재단된 시이트제(4)가 가열기(6)에 의하여 전반적으로 예열되고 예열된 시이트제(4)가 하부모울드(7)와 램(8)에 의하여 승강작동하는 상부모울드(9)로 구성되는 프레스성형기(10)에 공급되어 프레스성형된다. 프레스성형된 카페트프리폼(carpet preform)(11)이 인위적으로 탈형된 후 트리밍기(12)에 옮겨진다. 이 트리밍기(12)는 프레스성형기(10)의 하부모울드(7)와 동형의 하부트리밍모울드(13)와 램(14)에 의하여 승강작동하는 상부트리밍모울드(15)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카페트 프리폼(11)이 트리밍되고 이후 필요에 따라서 스크랩이 제거되고 요구된 차량용 카페트를 얻게 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시이트제(4)가 시이트제 롤(5)로부터 프레스성형기(10)까지 자동공급될 수 있으나 프레스성형기(10)에서 프레스성형된 카페트프리폼(11)을 탈형하고 이를 트리밍기(12)에 공급하는데 자동화가 아루어지지 않아 카페트 프리폼(10)의 탈형과 트리밍기(12)에 대한 공급으로 이루어지는 단순반복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를 필요로 한다.
이는 생산성의 저하, 불량율의 증가 및 인위적인 생산의 변화를 가져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이 없는 차량용 카페트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스성형기와 트리밍기의 하부모울드가 동일한 것을 감안하여 하부모울드가 재가된 하부모울드베이스를 프레스성형기로부터 트리밍기로 순환이동시켜 공정의 자동화를 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부모울드베이스를 프레스성형단에서 트리밍단으로 이동시키고 다시 트리밍단에서 대기단으로 이동시킨 후 트리밍단에서 탈형단으로 이동시켰다가 프레스성형단으로 순환이동시켜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불량율은 감소시키며 인위적 생산변화를 제거하고 생산인원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차량용 카페트의 제조방법은 시이트제를 재단하여 예열하고 프레스성형단에 공급하여 프레스성형하므로서 카페트 프리폼을 얻고 이를 트리밍단으로 이송하여 트리밍하므로서 완성카페트를 얻도록한 것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성형단에서 프레스성형된 카페트 프리폼을 탈형 없이 하부모울드베이스에 배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하부모울드베이스를 상기 트리밍단으로 이동시켜 상기 트리밍단에서 트리밍하고 상기 카페트 프리폼을 트리밍하여 얻은 완성카페트를 역시 상기 완성카페트가 상기하부모울드베이스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하부모울드베이스를 대기단으로 이동하였다가 탈형단에서 상기 완성카페트를 탈형하고 상기 탈형단에서 상기 하부모울드베이스를 상기 프레스성형단으로 순환이동시키는 것을 반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차량용 카페트의 제조장치가 제공되는 바, 시이트제를 재단하여 예열하고 하부모울드와 상부모울드를 갖는 프레스성형기로 구성되는 프레스성형단에 공급하여 프레스성형하므로서 카페트 프리폼을 얻고 이를 트리밍단으로 이송하여 완성카페트를 얻도록한 것에 있어서, 상기 하부모울드를 재가하는 하부모울드베이스의 저면에 한쌍의 종방향 레일안내요로와 횡방향 레일안내요로를 형성하고, 프레스성형단에 한쌍의 종방향 승강레일과 한쌍의 횡방향 승강레일을 배치하여 상기 하부모울드베이스가 각 레일안내요로를 통해 각 승강레일상에 배치되게 하며, 상기 프레스성형단에 인접하여 배치된 트리밍단에도 종방향 승강레일과 횡방향 승강레일을 배치하고, 다시 상기 트리밍단에 인접하여 대기단과, 이 대기단에 인접하고 또한 프레스성형단에 인접하는 탈형단을 배치하여 상기 프레스성형단과 트리밍단과 마찬가지로 종방향 승강레일과 횡방향 승강레일을 배치하며, 상기 프레스성형단과 상기 트리밍단사이, 그리고 대기단과 탈형단 사이에는 종방향 승강레일에 일적선상으로 놓이는 종방향 고정레일을 배치하고, 상기 트리밍단과 상기 대기단 사이, 그리고 탈형단과 프레스성형단사이에는 횡방향 승강레일에 일직선상으로 놓이는 횡방향 고정레일을 배치하며, 각 프레스성형단과 트리밍단, 트리밍단과 대기단, 대기단과 탈형단, 그리고 탈형단과 프레스성형단 사이에 하부모울드베이스를 밀어 이동시키는 푸셔를 갖는 이송체인을 각각 착설하여 상기 각 프레스성형단, 트리밍단, 대기단 및 탈형단으로 하부모울드베이스를 순환이동시 하부모울드베이스의 이동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된 승강레일을 선택적으로 승강시켜 하부모울드베이스를 안내이동시키므로서 프레스성형단에서 프레스성형된 카페트프리폼을 하부모울드베이스에스 탈형없이 트리밍단으로 이동시켜 완성카페트를 얻고 대가단을 통해 탈형단에서 완성카페트를 탈형할 수 있도록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제조공정흐름을 보인 것이다. 여기에서, 시이트 재공급단계(20)에서 시이트가 공급되어 재단단계(22)에서 재단되고 예열단계(24)에서 예열된 후 프레스성형단계(26)에서 프레스성형되는 일련의 시이트제공급 계통은 종래기술과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이 종래 기술로부터 구별되는 톡징은 이후 제5도에서 개략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프레스성형단계(26), 트리밍단계(28), 대기단계(30) 및 탈형단계(32)가 순환배치되는 점이다. 이를 제5도에 관련하여 설명한다.
예열된 시이트제(34)가 하부모울드(36)와 램(38)에 의하여 승강되는 상부모울드(40)로 구성되는 프레스성형단(41)의 프레스성형기(42)의 하부모울드(36)상에 공급되어 프레스성형된다. 프레스성형기(42)에서 예비성형된 카페트 프리폼(44)이 하부모울드(36)상에서 탈형되지 않는 상태로 이 하부모울드(36)를 재가하고 있는 하부모울드베이스(46)가 트리밍단(47)의 트리밍기(48)로 이동된다. 이 트리밍기(48)는 상기한 바와 같은 하부모울드(36)와, 램(50)에 의하여 승강되는 상부트리밍모울드(52)로 구성된다. 이 트리밍기(48)에서 상부트리밍모울드(52)에 의하여 하부모울드(36)상의 카페트프리폼(44)이 트리밍되어 완성카페트(54)를 얻게 된다. 프레스성형기(42)와 트리밍기(48)는 하부모울드베이스(46)가 직진이동할 수 있는 위치에 놓여 있다. 완성카페트(54)가 트리밍완료된 상태에서 아직은 탈형되지 않고 하부모울드베이스(46)가 상기 직진이동방향에서 직각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의 대기단(55)으로 이동되어 완성카페트(54)의 냉각셋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시 대기단(55)에서 하부모울드베이스(46)는 프레스성형단(41)에 인접한 위치의 탈형단(57)으로 이동되어 여기에서 완성카페트(54)가 탈형된다. 이 탈형단(57)에서 완성카페트(54)가 탈형되면 하부모울드베이스(46)가 프레스성형단(41)으로 이동되어 다음 시이트재(34)를 프레스성형할 준비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은 실질적으로 시이트제(34)가 프레스성형 되고 트리밍되는 하부모울드베이스(46)가 프레스성형단(41), 트리밍단(47), 대기단(55)과, 탈형단(57)을 순환이동하는 것에 있다.
제6도는 이러한 하부모울드베이스(46)의 순환이동수단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하부모울드베이스(46)의 순환이동수단을 설명하기에 앞서, 각 작동단, 즉 프레스성형단(41), 트리밍단(47), 대기단(55)과 탈형단(57)에서 하부모울드베이스(46)가 정지하여 각 작동단의 해당작동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하는 작동수행시간은 예를 들어 프레스성형단(41)은 60초, 트리밍단(47)은 30초, 대기단(55)는 10초, 그리고 탈형단(57)은 20초이며, 이들 시간은 상대적이어서 동일시간비율로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작동단으로의 순환이동로에는 1-4개의 하부모울드베이스(46)가 운전될 수 있으나, 제6도에서는 이러한 순환이동로에 3개의 하부모울드베이스(46)가 순환운전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제6도에서, 각 작업단, 즉 프레스성형단(41), 트리밍단(47), 대기단(55) 및 탈형단(57)에는 하부모울드베이스(46)를 지지하고 이를 이동안내하는 한쌍의 종방향 승강레일(58a)(58b)와 한쌍의 횡방향 승강레일(60a)(60b)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들 승강레일(58a)(58b),(60a)(60b)은 직사각형의 형태로 배열된다. 한편, 하부모울드베이스(46)의 저면에는 제8도-제11도에서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중앙에 보다 깊은 폭이 좁은 로울러안내요로를 갖는 레일안내요로가 형성되어 있다. 즉 하부모울드베이스(46)의 저편에는 종방향 승강레일(58a)(58b)이 결합되는 종방향 레일안내요로(62a)(62b)와 횡방향 승강레일(60a)(60b)이 결합되는 횡방향 레일안내요로(64a)(64b)가 하부모울드베이스(46)의 종방향 및 횡방향의 전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는 프레스성형단(41)과 트리밍단(47)사이, 그리고 대기단(55)과 탈형단(57)사이에는 이들 각 단의 종방향 승강레일(58a)(58b)과 일직선상에 놓이는 한쌍의 종방향 고정레일(66a)(66b)가 고정배치되고, 트리밍단(47)과 대기단(55)사이, 그리고 탈형단(57)과 프레스성형단(41)사이에는 이들 각단의 횡방향 승강레일(60a)(60b)과 일직선상에 놓이는 한쌍의 횡방향 고정레일(68a)(68b)이 고정배치된다.
한편, 프레스성형단(41)의 종방향 승강레일(58a)(58b)과, 프레스성형단(41)과 트리밍단(47)사이의 종방향 고정레일(66a)(66b)의 외측부에는 하부모울드베이스(46)의 진행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프레스성형단(41)상에 놓인 하부모울드베이스(46)의 후방으로부터 종방향고정레일(66a)(66b)의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이송체인(70a)(70b)이 배치된다. 이들 이송체인(70a)(70b)은 전후의 각 체인스프로켓(72a)(72b)에 결합되고 전방측에 체인스프로켓(72a)에는 모우터(74)의 구동력이 전달된다. 그리고 이송체인(70a)(70b)에는 하부모울드베이스(46)를 밀어 이송시키는 푸셔(76)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이송체인(70a)(70b)은 상기 프레스성형단(41)이외에 트리밍단(47), 대기단(55) 및 탈형단(57)에도 하부모울드베이스(46)의 이송을 위하여 동일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스성형단(41)과 트리밍단(47)에는 이들 작업단에서 하부모울드베이스(46)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각 하부모울드베이스(46)의 모서리부근에 착설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은 이후 제12도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언급된 하부모울드베이스(46)의 저면에 형성된 종방향 레일안내요로(62a)(62b)와 횡방향 레일안내요로(64a)(64b)에는 제8도-제1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들의 중앙에 깊이가 깊고 폭이 좁은 로울러안내요로(7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각 승강레일(58a)(58b),(60a)(60b)은 제 8도 및 제10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그 상부면네 오일리스메탈층(oilless metal layer)(80)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의 중앙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개의 로울러(82)가 착설되어 있다. 각 승강레일의 오일리스 메탈층(80)은 하부모울드베이스(46)의 각 레일안내요로(62a)(62b),(64a)(64b)에 접하고 로울러(82)는 중앙의 로울러안내요로(78)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각 승강레일(58a)(58b),(60a)(60b)은 양측이 기초바닥면에 고정된 수압실린더(84)의 피스턴(86)에 조인트(88)를 통하여 연결되고 중앙에는 수직하방으로 승강포스트(90)가 연장되고 이는 기초바닥면에 고정된 오일리스메탈부싱(92)에 결합된다. 따라서 승강레일은 수압실린더(84)의 작동으로 승강되고 승강포스트(90)에 의하여 수직승강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각 고정레일(66a)(66b),(68a)(68b)은 그 자체가 승강레일(58a)(58b),(60a)(60b)의 승강높이에 높이가 고정되게 지지대(94)에 의하여 고정지지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부면에 오일리스 메틸층(80)이 형성되고 로울러(82)가 착설된 것이 승강레일과 동일하다.
제12도는 상기 언급된 바 있는 하부모울드베이스(46)의 고정수단(96)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96)을 제6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프레스성형단(41)과 트리밍단(47)에서 하부모울드베이스(46)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이들 작업단에 도달한 하부모울드베이스(46)의 모서리를 고정토록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하부모울드베이스(46)의 모서리에는 핀결합공(98)이 형성된 핀결합관(100)이 착설되고 하부모울드베이스(46)의 모서리부근에는 피스턴형태의 고정핀(102)을 갖는 수압실린더(104)가 브라킷트(106)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하부모울드베이스(46)의 고정이 요구될 때에 수압실린더(104)가 작동되어 고정핀(102)이 핀결합공(98)에 결합토록 하강된다. 이로써 하부모울들베이스(46)가 안정되게 고정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주로 제4도-제7도에 의거하여 그 작동관계가 설명된다.
먼저, 통상적인 방법으로 시이트재(34)가 시이트재공급단계(20)에서 공급되고 재단단계(22)에서 적당한 크기로 재단되어 예열기(24)에서 가열된 후에 프레스성형단계(26)고 공급된다.(이상 제4도 참조).
제5도세서, 시이트제(34)는 상기 프레스성형단계(26)에 해당하는 프레스서형단(41)으로 공급되어 프레스성형기(42)의 하부모울드(36)상에서 상부모울드(40)에 의하여 예비성형된다. 이때에 하부모울드(36)를 재가하고 있는 하부모울드베이스(46)는 제6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각 모서리에 배치된 고정수단(96)에 의하여 안정되게 고정된다. 이는 제12도에서 상세히 보인 바와 같이 하부모울드베이스(46)에 착설된 핀결합관(100)의 핀결합공(98)에 수압실린더(104)에서 연장되는 고정핀(102)이 결합되어 하부모울드베이스(46)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예비성형된 카페트 프리폼(44)은 하부모울드(36)상에 놓인 상태에서 이 하부모울드(36)를 재가한 하부모울드베이스(46)가 트리밍단(47)으로 이동된다.
이때에, 프레스성형단(41)에 놓인 하부모울드베이스(46)느 그 하측의 종방향 승강레일(58a)(58b)과 횡방향 승강레일(60a)(60b)이 하강된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다가 하부모울드베이스(46)가 트리밍단(47)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놓인 종방향 승강레일(58a)(58b)만이 상승하고 고정수단(96)은 고정핀(102)이 상측으로 후퇴하여 하부모울드베이스(46)를 놓아준다. 이와 같이하여 하부모울드베이스(46)는 종방향 승강레일(58a)(58b)에 의하여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상태로 지지된다. 종방향 승강레일(58a)(58b)은 하부모울드베이스(46)의 저면에 형성된 종방향 레일안내요로(62a)(62b)에 결합되고, 횡방향 승강레일(60a)(60b)은 횡방향 레일안내요로(64a)(64b)에서 벗어난 상태가 된다.
하부모울드베이스(46)를 프레스성형단(41)에서 트리망단(41)에서 트리밍단(47)으로 이동시키는 실직적인 이동수단은 이송체인(70a)(70b)이다. 이 이송체인(70a)(70b)이 모우터(74)에 의하여 구동되면 하부모울드베이스(46)의 후방에 결합된 푸셔(76)가 하부모울드베이스(46)를 밀어 이 하부모울드베이스(46)가 상승된 종방향 승강레일(58a)(58b)상에서 미끄럼이동한다. 이러한 하부모울드베이스(46)는 그 저면의 로울러아내요로(78)에서 안내되는 종방향 승강레일(58a)(58b)상의 로울러(82)와 종방향 레일안내요로(62a)(62b)의 양측부에 접하여 활동하는 오일리스메탈층(80)의 도움으로 원활하게 미끄럼이동하게 된다.
미끄럼이동하는 하부모울들베이스(46)는 트리밍단(47)이 이르기전에 프레스성형단(41)과 트리밍단(47)사이에 배치된 종방향 고정레일(66a)(66b)위로 중계된다. 이송체인(70a)(70b)의 푸셔(76)에 의하여 계속 이동하는 하부모울드베이스(46)으로 진입하며, 이때에 트리밍단(47)의 종방향 승강레일(58a)(58b)이 상승하여 하부모울드베이스(46)를 받아들이게 된다. 하부모울드베이스(46)를 트리밍단(47)으로 이동시킨 이송체인(70a)(70b)의 푸셔(76) 다시 처음 위치로 복귀된다.
트리밍단(47)에서 하부모울드베이스(46)는 이를 받아들인 종방향 승강레일(58a)(58b)이 하강하고 이와 함께 횡방향 승강레일(60a)(60b)가 하부모울드베이스(46)를 안정된 하강위치에서 지지하게 되며, 모서리에 배치된 고정수단(96)이 하부모울드베이스(46)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부모울드베이스(46)에 의하여 옮겨진 카페트 프리폼(44)은 트리밍기(48)의 상부트리밍모울드(52)(제5도)에 의하여 트리밍되어 완성카페트(54)를 얻게 된다.
완성카페트(54)가 트리밍되어 완료된 하부모울드베이스(46)는 이 트리밍단(47)에서 대기단(55)으로 이동된다. 이때에 하부모울드베이스(46)는 프레스성형단(41)으로부터 트리밍단(47)으로 이동되는 이동진로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이동된다. 트리밍단(47)에서, 하부모울드베이스(46)는 고정수단(96)이 해제되고 종방향 승강레일(58a)(58b)는 하강위치에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횡방향 승강레일(60a)(60b)이 상승하여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며 트리밍단(47)로부터 대기단(55)으로 연장된 이송체인(70a)(70b)의 푸셔(76)에 의하여 트리밍단(47)과 대기단(55)사이에 놓인 횡방향 고정레일(68a)(68b)측으로 이동되었다가 대기단(55)의 상승된 횡방향 승강레일(60a)(60b)상으로 옮겨진다. 이후 상승되었던 횡방향 승강레일(60a)(60b)이 하강되면서 하부모울드베이스(46)는 이 횡방향승강레일(60a)(60b)과 종방향 승강레일(58a)(58b)상에서 하강된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이후에 대기단(55)에서는 완성카페트(54)의 냉각이 완료되어 그 형태가 거의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하는 시간이 경과된 후, 하부모울드베이스(46)는 종방향 승강레일(58a)(58b)이 상승하고 푸셔(76)에 의하여 대기단(55)과 탈형단(57)사이의 종방향 고정레일(66a)(66b)측으로 이동하고 연속하여 탈형단(57)의 상승된 종방향 승강레일(58a)(58b)상에 옮겨진다.
탈형단(57)에서는 상승되던 종방향 승강레일(58a)(58b)이 하강되어 하부모울드베이스(46)기 이 종방향 승강레일(58a)(58b)과 횡방향 승강레일(60a)(60b)에 의하여 지지되며, 이 상태에서 하부모울드베이스(46)의 하부모울드(36)로부터 완성카페트(54)가 언로딩, 즉 탈형된다.
완성카페트(54)가 탈형된 후에 하부모울드베이스(46)는 탈형단(57)의 횡방향 승강레일(60a)(60b)이 상승하고 이 탈형단(57)으로부터 프레스성형단(41)측으로 연장된 이송체인(70a)(70b)의 푸셔(76)에 의하여 탈형단(57)과 프레스성형단(41)사이의 횡방향 고정레일(68a)(68b)을 통해 프레스성형단(41)의 상승된 횡방향 승강레일(60a)(60b)상에 옮겨진다.
이 프레스성형단(41)에서, 횡방향 승강레일(60a)(60b)이 하강하여 하부모울드베이스(46)가 하강되어 있는 이 횡방향 승강레일(60a)(60b)과 종방향 승강레일(58a)(58b)상에 놓이고 고정수단(96)에 의하여 고정되어 다음의 예열된 시이트제(34)가 공급되기를 대기한다.
이러한 하부모울드베이스(46)의 순환이동, 즉 프레스성형단(41)-트리밍단(47)-대기단(55)-탈형단(57)으로의 순환이동으로 프레스성형기(42)에서 카페트 프리폼(44)을 탈형하였다가 트리밍기(48)로 옮길 필요가 없어 공정의 자동화를 기하는 동시에 트리밍기(48)에 카페트 프리폼(44)을 옮겨 싣는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제품의 오정렬에 위한 트리밍에러의 발생을 줄이므로서 불량율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서 전반적으로 공정의 자동화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불량율을 감소시키고 인위적 생산변화를 제거하며 생산인원을 줄여 코스트를 낮출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서는 차량용 카페트를 예로들어 제조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차량용 카페트 이외에 유연성 있는 다른 제품을 프레스성형 및 트리밍하는데 적용될 수도 있다.

Claims (8)

  1. 시이트재(34)를 제단하여 예열하는 예열단계(24), 예열된 시이트제(34)를 프레스성형단(41)에 공급하여 하부모울드베이스(41)상에서 프레스성형하므로서 카페트프리폼(44)을 얻는 프레스성형단계(26), 카페트프리폼(44)을 트리밍단(47)으로 이송하여 트리밍하므로서 완성카페트(54)를 얻는 트리밍단계(28)와, 완성카페트(54)의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대기단계(30)와, 완성카페트(54)를 탈형하는 탈형단계(32)로 구성되는 차량용카페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성형단계(26), 트리밍단계(28), 대기단계(30) 및 탈형단계(32)가 순환배치되고, 상기 프레스성형단계(26)에서 프레스성형된 카페트프리폼(44)이 탈형없이 하부모울드베이스(46)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트리밍단(47)으로 이동되며, 상기 트리밍단(47)에서 트리밍된 완성카페트(54)가 역시 탈형없이 하부모울드베이스(46)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대기단계(30)와 탈형단계(32)로 순환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페트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성형단(41), 상기트리밍단(47), 상기 대기단(55)과 상기 탈형단(57)이 사각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하부모울드베이스(46)가 사각형의 이동진로를 따라 순환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시이트제(34)를 재단하여 예열하고 하부모울드(36)와 상부모울드(40)를 갖는 프레스성형기(42)로 구성되는 프레스성형단(41)에 공급하여 프레스성형하므로서 카페트 프리폼(44)을 얻고 이를 트리밍단(47)으로 이송하여 완성카페트(54)를 얻도록 한 차량용 카페트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모울드(36)를 재가하는 하부모울드베이스(46)의 저면에 한쌍의 종방향 레일안내요로(62a)(62b)와 한쌍의 횡방향 레일안내요로(64a)(64b)를 형성하고, 프레스성형단(41), 트리밍단(47), 대기단(55) 및 탈형단(57)에 각각 한쌍의 종방향 승강레일(58a)(58b)과 한쌍의 횡방향 승강레일(60a)(60b)을 배치하여 상기 하부모울드베이스(46)가 각 레일안내요로(62a)(62b),(64a)(64b)를 통해 각 승강레일(58a)(58b),(60a)(60b)상에 배치되게 하며, 상기 프레스성형단(41)과 상기트리밍단(47)사이, 그리고 대기단(55)과 탈형단(57)사이에는 종방향 승강레일(58a)(58b)에 일직선상으로 놓이는 종방향 고정레일(66a)(66b)을 배치하고 상기 트리밍단(47)과 상기 대기단(55)사이, 그리고 탈형단(57)과 프레스성형단(41)사이에는 횡방향승강레일(58a)(58b)에 일직선상으로 놓이는 횡방향 고정레일(68a)(68b)을 배치하며, 각 프레스성형단(41)과, 트리밍단(47), 트리밍단(47)과 대기단(55), 대기단(55)과 탈형단(57), 그리고 탈형단(57)과 프레스성형단(41)사이에 하부모울드베이스(46)를 밀어 이동시키는 푸셔(76)를 갖는 이송체인(70a)(70b)을 각 착성하여 상기 각 프레스성형단(41), 트리밍단(47), 대기단(55) 및 탈형단(57)으로 하부모울드베이스(46)를 순환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페트의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프레스성형단(41), 상기 트리밍단(47), 상기 대기단(55)과 상기 탈형단(57)이 사각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하부모울드베이스(46)가 사각형의 이동진로를 따라 순환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레일(58a)(58b),(60a)(60b)이 수압실린더(84)에 의하여 승강될 수 있도록 지지되고 하부모울드베이스(46)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선택된 승강레일(58a)(58b),(60a)(60b)이 고정레일(66a)(66b),(68a)(68b)의 높이와 일치되게 상승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체인(70a)(70b)의 푸셔(76)가 하부모울드베이스(46)의 이동방향 후측에서 하부모울드베이스(46)의 후방측에 접하여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청구범위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성형단(41)과 트리밍단(47)에서 이들 프레스성형단(41)과 트리밍단(47)에 배치되는 하부모울드베이스(46)가 각 모서리부분에서 수압실린더(104)로부터 하향연장된 고정핀(102)에 의하여 고정되는 고정수단(96)으로 안정되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각 승강레일(58a)(58b),(60a)(60b)과 고정레일(66a)(66b), (68a)(68b)의 상부면 중앙에 로울러(82)가 착설되고, 하부모울드베이스(46)의 레일안내요로(62a)(62b),(64a)(64b)에는 중앙에 로울러안내요로(78)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50004786A 1995-03-09 1995-03-09 차량용 카페트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0154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4786A KR0154403B1 (ko) 1995-03-09 1995-03-09 차량용 카페트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4786A KR0154403B1 (ko) 1995-03-09 1995-03-09 차량용 카페트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364A KR960033364A (ko) 1996-10-22
KR0154403B1 true KR0154403B1 (ko) 1998-11-16

Family

ID=19409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4786A KR0154403B1 (ko) 1995-03-09 1995-03-09 차량용 카페트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44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135B1 (ko) * 2000-09-08 2003-06-19 주식회사 예림 자동차 실내바닥용 카펫성형장치
KR20040032535A (ko) * 2002-10-10 2004-04-17 윤관원 자동차용 롤매트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102038932B1 (ko) * 2019-05-31 2019-10-31 (주)무등기업평동 차량용 플로워 카페트의 스크랩 제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135B1 (ko) * 2000-09-08 2003-06-19 주식회사 예림 자동차 실내바닥용 카펫성형장치
KR20040032535A (ko) * 2002-10-10 2004-04-17 윤관원 자동차용 롤매트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102038932B1 (ko) * 2019-05-31 2019-10-31 (주)무등기업평동 차량용 플로워 카페트의 스크랩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364A (ko) 199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172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glass sheets
AU653253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bending glass sheets
CZ36895A3 (en) Method of bending glass panes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US5876477A (en) Apparatus for heating and bending glass sheets involving raising a glass sheet towards furnace heat sources
CZ300627B6 (cs) Zarízení a zpusob pro tvarování nejméne jednoho skleneného tabulovitého dílce
KR101750261B1 (ko) 곡면 윈도우 글라스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면글라스 제조방법
JP2001524062A (ja) ガラス板コンベヤ式曲げ装置
JPS60204632A (ja) 著しく湾曲したガラス板の製造装置
KR0154403B1 (ko) 차량용 카페트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JPH06142996A (ja) タンデムプレスラインの金型交換・成形方法および設備
KR0119376B1 (ko) 판유리의 성형방법
CN214735387U (zh) 一种曲面玻璃定位系统
KR19980702657A (ko) 공정 과정 중 제품의 제조에 관한 장치 및 방법
US4505774A (en) Instrument panel manufacturing system
KR100359546B1 (ko) 타이어 가황처리 시스템 및 그 금형 개폐·가황처리스테이션
JPS6362459B2 (ko)
EP0549823A1 (en) Mold exchanging device for blow molding apparatus
US5186958A (en) Industrial equipment for manufacturing compression moldings
CN218429590U (zh) 一种注塑模具用快速换模库
JP2501608B2 (ja) 光学素子の成形方法
CN115072971B (zh) 一种曲面玻璃定位系统及定位方法
JPH0940181A (ja) クッション体の供給装置および供給方法
JPH08150623A (ja) タイヤ加硫設備
JPH0238331A (ja) 合せガラス用の素板ガラスの曲げ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6062205A (ja) 成形金型の段替え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