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814B1 - 마루밑 공간을 이용한 주택 - Google Patents

마루밑 공간을 이용한 주택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814B1
KR0153814B1 KR1019940025049A KR19940025049A KR0153814B1 KR 0153814 B1 KR0153814 B1 KR 0153814B1 KR 1019940025049 A KR1019940025049 A KR 1019940025049A KR 19940025049 A KR19940025049 A KR 19940025049A KR 0153814 B1 KR0153814 B1 KR 0153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space
house
fixed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5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5224A (ko
Inventor
이꾸오 이이다
히로시 오끼따
마사후미 마쓰모도
히로시 구기미야
Original Assignee
이꾸오 이이다
가부시기 가이샤 이이다 껜찌꾸 셋게이 지무쇼
히로시 오끼따
가부시기 가이샤 씨스템 겐 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꾸오 이이다, 가부시기 가이샤 이이다 껜찌꾸 셋게이 지무쇼, 히로시 오끼따, 가부시기 가이샤 씨스템 겐 소오 filed Critical 이꾸오 이이다
Publication of KR950025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5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8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0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역량(逆梁)구조를 채용한 주택에 있어서, 수평구체부분(Sh)과 역들보(1, 2)로 마루밑 공간(3)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제1거주공간(9)및 제2거주공간(10)을 서로 인접하여 형성한다. 제1거주공간(9)은 중앙에 요부(111)을 지닌 스킵플로어로 된 고정플로어(11)를 구비함과 동시에, 제2거주공감(10)은 슬라이드할 수 있는 가동플로어(15)를 구비하고 있어, 제2거주공간(10)의 하방의 마루밑공간(3)에 대용량의 물품수납부(19)가 형성된다. 가동플로어(15)를 고정플로어(11)의 상부에 겹치는 위치에 슬라이드 하게 함에 따라, 물품수납부(19)를 크게 개방하여 물품의 출입을 용이하게 할수 있다.

Description

마루밑 공간을 이용한 주택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주택의 평면도.
제2도는 도1의 2 -2 선 단면도.
제3도는 가동마루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4 - 4 선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주요부분확대도.
제6도는 제1실시예의 한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7도는 제1실시예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8도는 제1실시예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9도는 제1실시예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10도는 제1실시예의 또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11도는 제2실시예에 의한 주택의 평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12 - 12 선 단면도.
제13도는 가동마루의 평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14 - 14 선 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15 - 15 선 확대단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16 - 16 선 화살도표.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의 수평구체(驅體)부분으로부터 여러개의 역 들보를 상향으로 돌출설치하고, 역 들보에 의하여 둘려쌓인 수평구체부분의 상방에 플로어(floor)를 개재하여 거주공간을 형성하여서 된 주택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설명]
수평구체부분으로부터 여러개의 역 들보를 상향으로 돌출설치한 이른바 역량구조(逆梁構造)를 채용함에 따라 물품의 수납에 이용할 수 있는 마루밑 공간을 형성하는 연구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이미 제안된 바 있다(예컨데, 일본 특허 공개 평 5-340081 호 공보 참조).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것은 플로어에 형성한 개구부를 개재하여 바닥밑공간에 물품을 내었다 넣었다 하고 있으므로, 이 개구부에서 손이 다달으는 범위밖에 물품을 수납할 수 없고, 커다란 용적을 갖는 마루밑 공간 전체를 충분히 활용할 수 없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전술한 사정에 비추어서 이루어 놓은 것으로, 마루밑 공간을 물품 수납공간으로서 충분히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구체부분으로부터 여러개의 역 들보를 상향을 돌출설치하고, 역 들보에 의하여 둘러쌓인 수평구체부분의 상방에 각 플로어를 개재하여 서로 인접하는 제1, 제2거주공간을 형성하여서 되는 주택에 있어서, 상기 제1거주공간에 설치된 플로어 이동이 불능한 고정플로어로 하고, 제1거주공간에 인접하는 제2거주공간에 설치된 플로어를 제1거주공간의 고정플로어에 겹치는 위치까지 수평으로 슬라이드 할수 있는 가동 플로어로 하고, 제2거주공간의 하방의 마루밑 공간에 물품수납부를 형성하고, 가동플로어를 고정플로어에 겹치는 위치에 수평으로 슬라이드하므로서 물품수납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밑 공간을 이용한 주택을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동 플로어를 고정플로어에 겹치는 위치에 수평으로 슬라이드시켜서 물품수납부에 물품을 내었다 넣었다 할수 있고, 이에따라 대용적의 물품수납부를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구체부분으로부터 여러개의 역 들보를 상향으로 돌출설치하고, 역 들보에 의하여 둘려쌓인 수평구체부분의 상방에 플로어를 개재하여 서로 인접하는 제1, 제2거주공간을 형성하여서 된 주택에 있어서, 상기 제1거주공간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설치되어서 중앙에 마루밑 공간내에 돌출하는 요부가 형성된 제2고정플로어와, 제1고정플로어의 상면에 겹치는 위치 및 제2고정플로어의 상면에 겹치는 위치 사이를 수평으로 슬라이드 할수 있는 가동플로어 등을 구비하여서 되었고, 가동플로어를 수평으로 슬라이드 시킴에 따라 이 가동플로어와 제1고정플로어의 요부(凹部)또는 제2고정플로어의 요부와의 사이에 물품수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밑 공간을 이용한 주택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동플로어와 제1고정플로어의 요부와의 사이, 또는 가동플로어와 제2고정플로어의 요부와의 사이에 물품의 출입이 용이한 대용적의 물품수납부를 형성할 수 있고, 더욱이 가등플로어의 위치를 수평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제1고정플로어의 요부 또는 제2고정플로어의 요부를 덮어서 제1, 제2거주공간의 분위기를 바꿀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가하여, 가동플로어를 입력에 따라 슬라이드 시키도록 하면, 코스트를 소면할 수 있다.
또, 가동플로어를 구동원에 따라 슬라이드 할수 있게 하면, 중량이 큰 가동플로어이였어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고정플로어에 이 고정플로어의 벽부분에서 요부에 인출하는 설합을 설치하면, 마루밑 공간을 한층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고정플로어에 이 고정플로어의 벽부분에서 요부에 인출되는 테이블을 설하면, 마루밑 공간을 한층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가동플로어에 물품수납부내에 돌출하는 난방기구를 설치하면, 집합주택에 있어서도 난방기구의 사용, 효율적인 배치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및 그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에 있따라서 다음에 상세히 설명하는 가장 적합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제10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뜻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이트 슬랩으로 된 집합주택의 구체(S)는 수평방향으로 뻗어서 건물을 상하 여러개의 계층으로 구획하는 수평구체부분(Sh)과, 연직방향으로 뻗어서 인접하는 수평구체부분(Sh)사이를 서로 접속하는 연직구체부분(Sv)등을 구비한다.
수평구체부분(Sh)에는, 그 상면에 여러개의 역 대들보(1 …)와, 이 역 대들보(1 …)보다도 높이가 약간 낮은 여러개의 역 소들보(2 …)등을 상향으로 일체가 되게 돌출설치한 이른바 역량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역 대들보(1 …)는 한집의 거주부분의 외주를 둘려쌓도록 형성되었고, 또 역 소들보(2 …)는 역 대들보(1 …)사이를 서로 연결하도록 격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역 대들보(1 …)및 역 소들보(2 …)의 측면과 수평구체 부분(Sh)의 상면등에 의하여, 여러개의 마루밑공간(3 …)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연직구체부분(Sv)은 기둥(4 …)과 외벽(5 …)과 내벽(6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쪽의 외벽(5)의 바깥쪽에는 발코니(7)가 형성됨과 동시에, 다른쪽 외벽(5)의 바깥쪽에는 통로(8)가 형성되어 있따.
거주부분에는, 제1거주공간(9)을 구성하는 거실과, 제2거주공간(10)을 구성하는 일본식가옥의 양식에 따른 방실인 다다미방이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거주공간(9)의 플로어를 구성하는 고정플로어(11)는 이른바 스킵플로어이며, 그 중앙에 형성된 요부(111)는 높이 약 30 ㎝ 의 단형상의 벽부(112)를 개재하여 외주부(113)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즉, 고정플로어(11)의 요부(111)는 마루밑 공간(3)의 내부에 하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정플로어(11)는 역 대들보(1)및 역 소들보(2)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사이에 가설한 여러개의 마루판받침(12 …)의 상면에 지지되어 있다.
고정플로어(11)의 벽부(112)에는 식당(13)의 하방의 마루밑공간(3)에서 고정플로어(11)의 요부(111)로 향하여 끌어내는 3개의 설합(14 …)이 설치되어 있고, 이에따라 마루밑 공간(3)의 유효한 이용을 도모하게 된다.
다음에,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제2거주공간(10)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2거주공간(10)은 주위보다도 한단 높은 가동플로어(15)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플로어(15)는 정방형의 프레임형으로 형성된 선틀(stile)(16)과, 이 선틀(16)의 안쪽으로 끼워맞추도록 고정된 금속벌집구조의 기판(17)과, 이 기판(17)의 상면에 재치된 여러장의 일본의 전통적인 다다미(18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정방형상의 다다미가 사용된다. 가동플로어(15)의 하방에는 역 대들보(플로어)및 역 소들보(2 …)에 의하여 구획형성된 마루밑공간(3)을 그대로 이용한 높이가 약 50 ㎝ 의 물품수납부(19)가 형성된다. 더욱이, 제2거주공간(10)에 인접하는 서양식 가옥의 양식에 따른 방실인 서양식방(20)과의 사이에, 일본식 가옥의 양식에 따른 벽장(21)및 마루의 사이(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벽장(21)및 마루의 사이(22)는 고정되어 있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플로어(15)의 선틀(16)의 하면양측단에는 마루면을 전동하는 각 7 개의 로울러(23 …)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면 앞단부에는 마루면을 전동하는 2 개의 로울러(23, 23)가 설치되어 있다. 또, 기판(17)의 하면후부 양측단에는 물품수납부(19)의 측벽(191, 191)을 전동하는 각 3개의 로울러(24 …)가 브래킷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플로어(15)는 통상 도1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있고 벽장(21)및 마루사이(22)에 접속하고 있고, 제2거주공간(10)으로서의 일본식방의 마루면으로서 사용된다. 물품수납부(19)에 물품을 출입하도록 가동플로어(15)를 입력으로 눌러서 도1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슬라이드시켜서 고정플로어(11)의 상면에 중첩하면, 가동플로어(15)의 하방에 물품수납부(19)가 크게 개방된다. 가동플로어( 15)는 마루면을 전동하는 로울러(23 …)에 의하여 가벼운 힘으로 슬라이드 할수 있고, 또 물품수납부(19)의 측벽(191, 191)을 전동하는 로울러(24 …)에 따라 위치차이를 규제한다. 이와같이, 가동플로어(15)를 고정플로어(11)의 상면에 겹치는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킴에 따라 물품수납부(19)를 크게 개방할 수 있으므로, 대용적의 물품수납부(19)의 내부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함과 동시에 물품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수납부(19)에는 여러 가지의 작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으나, 그 이외의 여러 가지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구를 한줄로 늘어놓고 어린이들의 놀이터로서 사용할수 있으며, 또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드를 놓고 야간에 침실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9도 및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3가지 설합(14 …)중의 하나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탁자(35)와 바꿔놓으면, 그 탁자(35)를 고정플로어(11)의 벽부(112)에서 요부(111)로 끌어내어서 적절한 높이로 조절하여, 식사등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정플로어(11)외주부(113)를 의자대신에 이용하여 걸터앉을 수 있다.
또, 가동플로어(15)를 제2거주공간(10)에 위치하게 하면, 그 하방의 물품수납부(19)를 이용하여 일본의 전통적인 나방기구인 포트스토우브(호리고다쯔)(36)를 설치할 수 있다. 즉, 가동플로어(15)의 상면에서 오목한 요부에 난방수단을 설치하고, 그 주위의 단부에 걸터앉아, 발을 요부에 넣어서 온난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제11도∼ 제16도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더욱이,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1실시예에서 부재에 대응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쳐져 있다.
제2실시예는 제2거주공간(10)의 가동플로어(15)의 하부 [제1실시예의 물품수납부(19)의 위치] 에 제2고정플로어(25)를 구비하고 있고, 따라서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의 고정플로어(11)에 대응하는 제1고정플로어(11)와 새로운 제2고정플로어(11)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요부(251)와 벽부(252)와 외주부(253)와 설합(14 …)을 구비하고 있다.
가동플로어(15)는 선틀(16), 기판(17)및 다다미(18 …)로 구성되엇고, 이 가동플로어(15)에는 벽장(21)및 마루의 상이(22)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가동플로어(15)는 여러개의 로울러(23 …)에 의하여 마루면 위에 지지되어 있으며, 구동원으로서의 감속기 부속모우터 926)에 의하여 이동한다. 즉, 도15 및 도1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외벽(5)의 내면하단에 잇따라서 설치한 베이스보오드(34)에 파묻어 넣은 합성수지제의 랙(rack)(27)에 감속기 부속모우터(26)의 출력축(28)에 설치한 피니언(29)이 맞물리고, 또한 베이스 보오드(34)에 랙(27)과 평행하게 파묻어 넣은 가이드레일(30)에 가동플로어(15)의 측면에 설치한 2 개의 슬라이더(31, 31)가 슬라이딩이 자유롭도록 끼워 맞춘다. 가이드레일(30)은 단면이 u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더(31, 31)에 순환할 수 있도록 설치한 여러개의 보올(311…)이 가이드레일(30)의 내면을 전동함에 따라, 가동플로어(15)는 작은 마찰저항으로 원활하게 안내된다. 가동플로어(15)에 감속기 부속 모우터(26)를 설치하였음에 따라, 벽장(21)에 물품을 수납하여 무거워진 가동플로어(15)를 용이하게 슬라이드하게 할수 있다.
그리고, 가동플로어(15)가 도 11에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있을 때, 제1고정플로어(11)가 스킵플로어를 구비한 거실로서 이용이 가능하며 가동플로어(15)가 일복식방의 마루면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가동플로어(15)와 제2고정플로어(25)가 상하로 겹침에 따라, 가동플로어(15)의 하면과 제2고정플로어(25)의 요부(251)와의 사이에 물품수납부(32)가 구획형성된다.
거실의 위치와 일본식방의 위치를 갈아넣도록 감속기 부속모우터(26)를 구동하면, 가이드레일(30)에 슬라이딩에 자유롭도록 끼워 맞추는 슬라이더(31, 31)에 안내된 가동플로어(15)가 랙(27)및 피니언(29)의 맞물림에 의하여 주행하고, 도11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에로 이동한다. 그 결과, 이번에는 제2고정플로어(25)가 스킵플로어를 구비한 거실로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벽장(21)및 마루사이(22)를 일체로 구비한 가동플로어(15)가 일본식방으로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동플로어(15)가 일본식 방으로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동플로어(15)와 제1고정플로어(11)가 상하로 겹침에 따라, 가동플로어(15)의 하면과 제1고정플로어(11)의 요부(111)와의 사이에 물품수납부(33)가 구획형성된다.
이와같이, 제2실시예에 의하면 거실 및 일본식방의 위치를 임의로 갈아넣을 수 있고, 그 경우에 가동플로어(15)의 하부에 물품수납부(32)또는 물품수납부(33)를 형성할 수 있다. 또, 가동플로어(15)의 이동은 감속기 부속모우터(26)로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고, 더욱이 물품을 출입하는 경우에 물품수납부(32, 33)를 크게 개방할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에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의 설계변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제1실시예의 가동플로어(15)를 입력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대신에 구동원으로 슬라이드 시킬수 있고, 제2실시예의 가동플로어(15)를 구동원으로 슬라이드시키는 대신에 입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또, 제1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플로어(11)는 반드시 요부(111)를 구비할 필요는 없고, 평탄하여도 좋다. 또, 제2실시예에 있어서, 고정플로어(11, 25)에 설합(14 …)뿐 아니라 탁상(35)을 설치할 수 있고, 또한 가동플로어(15)에 물품수납부(32, 33)를 이용하여 난방기구(36)를 설치할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은 집합주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어서, 단독주택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본식 가옥에서 일반적으로 볼수 있는 양식의 구조를 이용한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종 다양한 양식의 가옥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게 될 것이다.

Claims (12)

  1. 수평구체부분(Sh)로부터 여러개의 역 대·소들보(1, 2)를 상향으로 돌출 설치하고, 역 대·소들보(1, 2)에 의하여 둘려쌓인 수평구체부분(Sh)의 상방에 각 플로어(11, 15)를 개재하여 서로 인접하는 제1, 제2거주공간(9, 10)을 형성하여서 된 주택에 있어서, 상기 제1거주공간(9)에 설치된 플로어를 이동할 수 없는 고정플로어(11)로 하고, 제1거주공간(9)에 인접하는 제2거주공간(10)에 설치된 플로어를 제1거주공간(9)의 고정플로어(11)에 겹치는 위치까지 수평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는 가동플로어(15)로 하고, 제2거주공간(10)의 하방에 마루밑공간(3)에 물품수납부(19)를 형성하고, 가동플로어(15)를 고정플로어(11)에 겹치는 위치에 수평으로 슬라이드 시키므로서, 물품수납부(19)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밑 공간을 이용한 주택.
  2. 수평구체부분(Sh)으로 부터 여러개의 역 대·소들보(1, 2)를 상향으로 돌출 설치하고, 역 대·소들보(1, 2)에 의하여 둘려쌓인 수평구체부분(Sh)의 상방으로 각 플로어(11, 15)를 개재하여 서로 인접하는 제1, 제2거주공간(9, 10)을 형성하여서 된 주택에 있어서, 상기 제1거주공간(9)에 이동할 수 없도록 설치되어서 중앙에 마루밑공간(3)내에 돌출하는 요부(111)가 형성된 제1고정플로어(11)과, 제1거주공간(9)에 인접하는 제2거주공간(10)에 이동할 수 없도록 설치되어서 중앙에 마루밑공간(3)내에 돌출하는 요부(251)가 형성된 제2고정플로어(25)와, 제1고정플로어(11)의 상면에 겹치는 위치 및 제2고정플로어(25)의 상면에 겹치는 위치사이를 수평으로 슬라이드 할수 있는 가동플로어(15)를 구비하여서 되었고, 가동플로어(15)를 수평으로 슬라이드 시킴에 따라 이 가동플로어(15)와 제1고정 플로어(11)의 요부(111)또는 제2고정플로어(25)의 요부(251)와의 사이에 물품수납부(32, 3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밑 공간을 이용한 주택.
  3. 제1항에 있어서, 가동 플로어(15)가 입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밑 공간을 이용한 주택.
  4. 제1항에 있어서, 가동플로어(15)가 구동원(26)에 의하여 슬라이드 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밑 공간을 이용한 주택.
  5. 제1항에 있어서, 고정플로어(11, 25)에 이 고정플로어(11, 25)의 벽부분(112, 252)에서 요부(111, 251)로 끌어내게 되는 설합(14)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밑 공간을 이용한 주택.
  6. 제1항에 있어서, 고정플로어(11, 25)에 이 고정플로어(11, 25)의 벽부분(112, 252)에서 요부(111, 251)로 끌어내게 되는 탁상(35)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밑 공간을 이용한 주택.
  7. 제1항에 있어서, 가동플로어(15)에 물품수납부(19, 32, 33)내에 돌출하는 난방기구(3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밑 공간을 이용한 주택.
  8. 제2항에 있어서, 가동플로어(15)가 입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밑 공간을 이용한 주택.
  9. 제2항에 있어서, 가동플로어(15)가 구동원(26)에 의하여 슬라이드 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밑 공간을 이용한 주택.
  10. 제2항에 있어서, 고정플로어(11, 25)에 이 고정플로어(11, 25)의 벽부분(112, 252)에서 요부(111, 251)로 끌어내게 되는 설합(14)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밑 공간을 이용한 주택.
  11. 제2항에 있어서, 고정플로어(11, 25)에 이 고정플로어(11, 25)의 벽부분(112, 252)에서 요부(111, 251)로 끌어내게 되는 탁상(35)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밑 공간을 이용한 주택.
  12. 제2항에 있어서, 가동플로어(15)에 물품수납부(19, 32, 33)내에 돌출하는 난방기구(3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밑 공간을 이용한 주택.
KR1019940025049A 1994-02-12 1994-09-30 마루밑 공간을 이용한 주택 KR0153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768494 1994-02-12
JP94-37684 1994-0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224A KR950025224A (ko) 1995-09-15
KR0153814B1 true KR0153814B1 (ko) 1998-11-16

Family

ID=12504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5049A KR0153814B1 (ko) 1994-02-12 1994-09-30 마루밑 공간을 이용한 주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0153814B1 (ko)
CN (1) CN1062325C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6678A (zh) 1996-02-14
KR950025224A (ko) 1995-09-15
CN1062325C (zh) 2001-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2014B2 (ja) 建物の空間構造
KR0153814B1 (ko) 마루밑 공간을 이용한 주택
JP2009243260A (ja) 建物の空間構造
JP2704833B2 (ja) 床下空間を利用した住宅
JP3114870U (ja) 収納構造体
JP4276282B1 (ja) 住宅構造
JP2520014B2 (ja) 室内空間二重利用システム
JPH04202972A (ja) 集合住宅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ーシステム
JP2918280B2 (ja) ユニット住宅の上階玄関構造
JPS637074Y2 (ko)
JPH01250564A (ja) 連棟式八角形住宅の連結構造
JP4394410B2 (ja) 床下収納部構造
JP2585975Y2 (ja) 可動式の収納家具
JP3333692B2 (ja) 床下空間を利用した住宅
JP3373118B2 (ja) 床装置
JP3393739B2 (ja) 住 宅
JP6723699B2 (ja) 二世帯住宅
JP2023136818A (ja) 建築物
JPH11107511A (ja) 住 宅
JP2002120985A (ja) ホームエレベーター
JPH0319824Y2 (ko)
JPH04176968A (ja) 集合住宅構造
JPS6217528Y2 (ko)
JPS5962014A (ja) 移動間仕切家具
JPH01131747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