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259B1 - 전기기기의 운전제어검지데이터수정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기기의 운전제어검지데이터수정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259B1
KR0153259B1 KR1019900016496A KR900016496A KR0153259B1 KR 0153259 B1 KR0153259 B1 KR 0153259B1 KR 1019900016496 A KR1019900016496 A KR 1019900016496A KR 900016496 A KR900016496 A KR 900016496A KR 0153259 B1 KR0153259 B1 KR 0153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ntrol
nonvolatile memory
memory circuit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6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521A (ko
Inventor
고이찌 이또
도시히로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미다 가쓰시게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 가쓰시게,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미다 가쓰시게
Publication of KR910008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2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00Comparing elements, i.e. elements for effecting comparison directly or indirectly between a desired value and existing or anticipated values
    • G05B1/01Comparing elements, i.e. elements for effecting comparison directly or indirectly between a desired value and existing or anticipated values electric
    • G05B1/04Comparing elements, i.e. elements for effecting comparison directly or indirectly between a desired value and existing or anticipated values electric with sensing of the position of the pointer of a measuring instru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Control By Computer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식기세정기의 수위제어나 의류건조기의 온도제어와 같이, 제조상의 양산공차 보다 고정밀도의 제어정밀도를 필요로 하는 전기기기에 발생하는 사용시 운전상의 문제점의 해소나 원하는 용도에 적합시키기 위한 운전제어검지데이터수정방법 및 장치. 정밀도 높게 제어하려고 하는 대상데이터의 기준치를 제품조립 후 그 기체의 구성부품의 제조공차, 조립정밀도를 포함하는 특성 또는 원하는 용도를 위한 제어치를 입력한 형태로 특정의 운전을 행하여 입력하고, 이 기준치를 불휘발성 기억회로에 기억시켜, 이 기준치를 기초로 운전제어한다.

Description

전기기기의 운전제어검지데이터수정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정기의 운전제어의 플로차트도.
제2도는 식기세정기의 회로블록도.
제3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정기의 다른 운전제어의 플로차트도.
제4도는 식기 세정기의 종래의 운전제어의 플로차트도.
제5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위센서의 개략도.
제6도는 수위센서의 발진회로도.
제7도는 발진 주파수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본원 발명은 전기기기의 운전제어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그 구성하는 부품의 양산공차(量産公差) 이상의 고정밀도로 상태량을 입력하여 제어하는 것을 필요로하는 정밀한 운전제어의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로, 세정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종래의 장치는 식기세정기나 전자동세탁기에서 채용되고 있는 바와 같이 기체(機體)특성에 관련되는 제어데이터나 사용자의 사용법에 의한 운전모드데이터는 마이크로콤퓨터의 데이터에리어에 격납되어 있으며, 전원 또는 백업전원이 통전되고 있는 동안은 데이터가 보존되지만, 전원이 차단되면 데이터의 보존은 불가능하게되고, 재설정을 위한 입력조작 또는 운전이 필요했었다.
상기 종래 기술은 전원을 온하여 오프할 때까지의 매 1회의 운전만을 고려하고 있으며, 그것은 제조자측이 준비한 제어치에 의한 운전모드이며, 반드시 사용자에게 있어서 편리한 것만은 아니었다.
예를 들면 세탁기의 수위(水位)를 보면, 수위검지장치, 그 입력회로, 장착치수 등의 제조상의 불균일에 의해 동일 설정의 수위가 동일 기종의 모든 세탁기에 관해서 동일수심이 아니고, 각 기체고유의 값을 표시하고 있었다. 이것이 문제가 되지 않았던 것은 세탁기의 경우 수심에 비해서 이 오차가 작기 때문이였다. 한편, 식기세정기와 같이 제어하는 수심이 얕으면 저수위에서는 수위 그 자체가 제조불균일중에 포함되어 버려, 반드시 공수위(空水位)를 판독하고, 이 공수위를 기준으로 제어수위를 산출하여 데이터에리어에 격납하여, 전원온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 이것을 기초로 운전제어하고 있으며, 전원차단에 의해 데이터를 상실하기 때문에 재운전시에는 데이터입력운전이 필요했었다. 따라서, 운전개시는 반드시 배수공정부터이며, 조(槽)내의 물을 비우고나서 공수위시의 수위검지장치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초기설정을 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운전을 개시하기 전에 식기를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 운전을 개시하면 이왕에 부어 넣은 뜨거운 물이 모두 배출되게 되어, 한정된 사용법에만 제한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 발명의 기본적 목적은 제조사의 양산공차로부터 고정밀도의 제어정밀도를 필요로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사용할 때 운전상의 문제점, 제조시의 기설정의 제어치로는 납득할 수 없는 사용자의 요구에 대한 부적합을 해결, 해소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제어회로에 불휘발성기억회로를 설치하여 정밀도 높게 제어하려고 하는 대상데이터의 기준치를 제품조립후 그 기체의 구성부품이 제조공차 및 조립정밀도를 포함하는 특성을 입력한 형태로 특정의 운전을 행하여 입력하고, 이 기준치를 불휘발성회로에 기억시키고, 이것을 기초로 운전제어함으로써 달성된다.
또, 통상운전의 도중에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변경하는 제어치(예를 들면 수위에 있어서의 만수위 등의 세정수위)를 입력하고, 운전모드와 관련시켜 불휘발성기억회로에 기억함으로써, 이것을 갱신된 제어치로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적합한 운전제어를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변위치(變位値)를 검출하는 검지수단과, 이 검지수단의 검지치를 입력하는 제어회로와, 이 제어회로의 지시로 운전제어되는 부하로 이루어지는 전기기기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검지수단의 검지치를 실제의 변위치와 합치하도록 수정하고, 이 수정검지데이터를 미리 불휘발성 기억회로에 기억하고, 부하의 운전시에 상기 불휘발성기억회로의 수정검지데이터와 검지수단의 검지치를 대비하여 운전제어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의 운전제어검지데이터수정방법을 제공한다.
기체의 특성을 포함한 기준치를 제어회로의 불휘발성기억회로에 기억하고, 이것을 제어의 기준치로 사용함으로써 검지장치 및 회로의 제조불균일 및 조립오차에 따른 구성부품에 의해서 결정되는 기체고유의 검지데이터의 오차를 포함한 기준치가 되므로, 이 기준치를 기초로 각 단계의 제어치를 산출설정함으로써 조립장착한 부품의 양산관리정밀도(공차) 이상의 정밀도로 운전제어할 수 있다.
또, 개개의 기체 특유의 기준제어치를 조립완성시킨 상태로 입력하고, 전원을 차단해도 소멸하지 않는 불휘발성기억회로에 기억시키므로, 제조공정 내에서의 기입으로 사용자에게 배달된 후에도 고정밀도의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소정의 운전모드로 불휘발성기억회로에 기억한 제어치를 갱신함으로써 개개의 사용자의 기호에 합치된 제어를 할 수 있으며, 이 방법에 의하면 사용할 때마다 즉 전원을 투입할 때마다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운전공정에 제한되지 않고, 기호에 맞는 운전을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의 식기세정기의 제어에 대해 제1도 및 제2도에 따라 설명한다.
식기세정기의 제어에 관한 구성요소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며, 불휘발성기억회로를 가진 제어회로(1)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조작, 확인부로서 전원스위치(2), 입력키(3), LED 를 사용한 표시부(4), 식기세정을 하기 위한 부하로서 세정펌프(5), 송풍팬(6), 히터(7), 배수펌프(8), 운전상태를 검지하는 덮개스위치(9), 수위센서(10), 온도센서(11)로 이루어져 있다. 세정조내의 수위를 계측하는 수위센서(10)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위센서(10)의 도입관(12)내의 공기가 세정조내의 수위에 의해서 변화하는 압력을 벨로즈(13)에 전달하여 벨로즈(13)의 변형을 발생시키고, 이 변형량을 코일(14)의 인덕턴스의 변화량으로 하여, 콜피츠(Colpitz)발진회로(15)의 발진주파수의 변동으로서 제어회로에 입력하고 있다. 탁상형 식기세정기와 같이 제어하는 수위의 변동폭이 작으면, 수위센서(10)의 제조오차와, 도입관(12)의 조립장착시의 오차를 합친 총합오차보다 제어폭이 작아지기 때문에, 조립이 완료된 공정에서 물없는 공수위의 수위센서의 판독치를 제어회로가 가진 불휘발성기억회로에 기억한다. 이 불휘발성기억회로는 전원을 차단해도 그 기억내용이 소실되지 않으므로 수송, 상점전시를 거쳐 최종사용자의 손에 도달했을 때에도, 각 기체에 고유한 공수위의 데이터를 기어하고 있다. 그러므로, 사용할 때에는 이 불휘발성기억회로에 기억되어 있는 공수위데이터에 의거하여 필요로 하는 제어수위를 산출하여 수위제어하기 때문에, 정밀도 높은 제어를 할 수 있다. 즉,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운전모드에 의해 입력한 공수위의 데이터를 불휘발성기억회로에 기입기억하고, 사용운전시에 독출하여 이것을 기준치로 해서 필요한 제어치를 산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공정을 소정의 수순에 따라 제어운전을 행한다.
상기 종합오차에서 크게 점하는 것이 수위센서(10)(검지수단)의 제조오차이다. 수위센서(10)의 출력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진회로(15)를 통해서 자성체(16)의 동작이 발진주파수의 변화로서 추출된다. 자성체(16)의 약간의 변위(수 ㎜)가 커다란 발진주파수의 변화(수 Kz)로서 출력되는 것이다. 이 변화하는 발진주파수를 제어회로(1)의 마이크로콤퓨터(MPU)에 입력하고, 미소수위로부터 고수위까지의 수위를 검지하는 것이다.
수위센서(10)는 많은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개개의 수위센서(10)에는 제조오차에 의한 불균일이 있다. 이 불균일에 의해 동일한 압력에서도 마이크로콤퓨터(MPU)의 검지치는 기체에 따라 달라진다. 이것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소정의 압력으로 소정의 발진주파수가 얻어지는 것만을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 이외의 것은 불량품으로서 사용할 수 없으므로 무용지물이 되는 수위센서가 상당히 있었다.
이 낭비를 없애려는 것이 본원 발명의 목적이다. 즉, 마이크로콤퓨터(MPU)의 내부에 기입가능한 불휘발성기억회로를 구비해둔다. 수위센서(10)에 0수위, 중수위, 고수위의 압력을 건다. 0수위의 압력을 걸었을 때는 불휘발성기억회로에 그 수위라는 취지의 지시를 행한다. 중수위, 고수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하여 불휘발성기억회로에 그 수위라는 취지의 지시를 행한다. 이 기입은 수위센서(10)를 제품에 장착하여, 제품의 수위를 보면서 행하여도 된다. 수위센서(10)를 제품에 장착하기 전에 센서(10)를 단체로 수위를 기입할 때는 불휘발성기억회로는 수위센서(10)측에 배설하지 않으면 안된다. 제품에 장착하고나서 수위를 기입할 때에는 제어회로(1)에 불휘발성기억회로를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수위센서를 단독으로 수위를 기입하고, 제품에 장착하고나서 제품전체로서의 불균일을 보면서 수위의 기입을 제어회로(1)에 배설되어 있는 불휘발성기억회로에 행한다.
이와 같이 실제의 수위(압력)에 맞추면서 그것에 상당하는 내용을 불휘발성기억회로에 기입함으로써, 개개의 수위센서에 불균일성이 있어도 무용화하지 않고 제품에 사용할 수 있다. 개개의 수위센서는 같은 수위(압력)에 대하여 발진주파수가 제각기 달라도 상관 없다.
불휘발성기억회로에 기입하는 데이터는 수위센서의 출력을 직접 입력하는 것은 아니고, 실제의 수위(압력)에 합치하도록 수정한 검지데이터를 작성하여 입력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수위를 미세하게 체크하면서 수정한 검지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은 번잡한 일이다. 그래서, 0수위(공수위)만 체크하여 수정한 검지데이터를 불휘발성기억회로에 입력하고, 그 이외의 수위에 대해서는 0수위를 기준으로 하여 계산하고, 그 결과를 불휘발성기억회로에 입력해도된다. 0수위에서 고수위까지의 발진주파수변화가 대략 직선적인 것은 1점을 정하면 그 이외의 것은 계산해낼 수 있다. 검지점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0수위, 중수위, 고수위등 체크포인트를 많게 한다.
또, 제1도에 도시한 공운전, 공수위의 기입공정을 배수공정의 종료시에 설정함으로써, 사용할 때의 배수공정마다 또는 배수공정의 소정회수를 운전할 때마다 불휘발성기억회로에 기억한 공수위의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으므로, 수위센서나 회로의 시간경과 변화를 흡수한 데이터갱신을 행할 수 있으므로, 제품수명이 다할 때까지 높은 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제3도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하다. 제조조립완료 후의 시운전공정에서 제어치갱신운전을 하고,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의 제작오차, 조립오차에 의해 발생하는 그 제품개체에 고유한 검지오차를 포함한 공수위데이터, 나아가서는 소정의 운전공정의 수위의 데이터, 식기세정기에 있어서는 스레드히터(thread heater)의 만수위인 샤워세정수위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제어회로의 불휘발성기억회로에 기억해 둔다.
사용시에 전원투입후, 리세트된 다음 불휘발성기억회로에 기억하고 있는 기본제어데이터를 독출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운전제어에 필요한 보조제어치를 산출하여 데이터에리어에 기억한다. 사용자의 운전지시입력에 의거하여 지정한 공정, 수순에 따라 운전한다. 이들 운전모드중에서 투입한 식기를 제정수안에 담그어 세정하는 침지세정공정의 침지수위는 보조제어치이고, 공수위데이터로부터 산출되는 것이며, 제어회로의 시퀀스작성자 즉 제조자의 규격화된 수위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가정사정에 의해 필요로하는 수위와 합치된다고는 할 수 없다. 설치한 세정할 식기가 충분히 만수위에 담그어지면 충분하며, 여분으로 급수할 필요는 없고, 또 충분한 만수위가 아니면 수위를 올릴 필요가 있다. 이 수위조절을 판정의 공정중에서 사용자가 행하면, 그 조절한 값을 입력하여 불휘발성기억회로에 기억하여 그 데이터를 보존하고, 다음번부터의 침지세정공정의 수위제어치로서 사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 식기세정기는 구성하는 부품의 제조오차, 조립오차를 흡수하여 수정된 제어치를 가지며, 사용자의 사용사정에 합치되고, 그 세정기에 고유한 제어치를 가진 사용성이 좋은 고정밀도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 된다.
종래의 식기세정기의 경우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고유의 제조에 수반되는 오차를 흡수하는 수단을 운전시마다의 공수위의 판독치에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 운전은 반드시 배수공정부터 시작하며, 배수를 완료한 후에 공수위치에 있어서의 수위검지장치의 판독치를 입력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샤워세정수위, 침지세정수위를 정하여 제어하고 있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별도로 급수한 세정수가 운전개시의 공수위계측용의 배수공정에서 모두 배수되고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 더러워진 식기를 소정시간 세정수에 담근 후, 이 세정수를 사용하여 세정운전하는 운전방법도 채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수위제어치의 기준이 되는 공수위를 설정한 수위검지장치의 판독치로서 제조공정중에서 기억보존할 수 있으므로, 이 기억된 기준제어치를 독출하여 다른 제어치를 산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성이 좋은 식기세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입력한 기억데이터가 파괴되었을 때, ROM에 기입되어 있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운전제어할 수 있도록 해둠으로써 안전성이 높아진다.
다른 응용예로서 세탁기의 경우를 설명한다.
세탁기의 상태제어량으로서 세탁수, 헹굼물의 수위, 부하로서의 세탁할 천의 양, 그리고 종속제어량으로서 투입하는 세제량, 수류(水流), 운전시간에 관련되는 운전모드가 있다. 또한, 이들 제어치는 세탁기를 구성하는 부품 및 그 조립에 부수되는 제조의 오차를 포함하고 있는 수위 및 천의 양과, 사용자의 기호에 의해 미묘하게 변하는 수위, 세제량, 운전모드가 있다.
물부하만의 세탁물이 없는 무부하조건에서 세탁량검지센서(검지수단)의 계측치를 제어회로의 불휘발성기억회로에 입력하여 기억해두고, 이것을 기준치로 하여 제어치를 산출한다. 이로써 검지장치의 오차, 구동장치의 마찰손실에 기인되는 계측오차를 입력하여 흡수한 천의 양을 계측, 판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수위 또는 소정의 기준수위의 수위검지센서(검지수단)에 의한 수위계측치를 상기 불휘발성기억회로에 기억하고, 이것을 기준치로 수위제어함으로써 보다 고정밀도의 수위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세탁할 천의 양이 정해지고, 그 더러워진 정도가 수질검지센서(거지수단)에 의해 입력되면, 수위, 세제량, 운전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양은 사용자의 주관, 습관에 의한 판단기준에 의해 제조자가 정한 제어치로서 반드시 만족되는 것은 아니며, 종종 변경된다. 이와 같이 기정(旣定)의 운전모드에 만족하지 않는 사용자에게 있어서, 자동 제어된 세탁기는 사용성이 불량하게 되어 버린다. 이 사용자에 의해서 수정된 수위, 세제량을 포함하는 운전모드를 계측한 세탁량데이터와 입력된 더러워진 정도를 관련시켜 함께 불휘발성기억회로에 기억하고, 다음번 이후 의 운전시에, 입력된 더러워진 정도와 계측한 세탁량데이터에 의거하여 불휘발성기억회로의 기억데이터를 취출하고, 이것을 사용하여 제어운전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합치된 사용성이 좋은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설정된 더러움의 정도와 계측된 세탁량데이터에 합치하는 운전모드가 기억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조자가 준비하여 ROM에 기입되어 있는 운전모드로 운전하고 수정을 받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운전모드로 하여 불휘발성기억회로에 입력기억한다.
다른 응용예로서 의류건조기의 경우를 설명한다.
의류건조기의 건조운전시에 있어서의 의류의 건조도를 검지하는 검지수단으로서는 배기(排氣)의 습도에 의한 것이 가장 직접적이며 검출정밀도가 높다. 그러나, 이 건조도제어에 있어서도 외기의 환경습도에 관련지어져 있지 않으므로, 아무래도 건조과도한 방향으로 제어되지 않을 수 없었다. 따라서, 소비에너지의 과잉 사용과 과잉건조 때문에 의류의 손상이 문제로 되어 있었다.
의류를 건조하는 경우, 그 건조정도는 환경습도가 고습도일 때는 이 보다 약간 낮은 습도까지의 건조, 환경습도가 저습도일 때는 이 보다 약간 높은 습도까지 건조시킴으로써, 꺼낸 후 환경 습도와 평형되므로 가장 효율이 좋은 건조방법이다.
그러나, 가열기를 가진 일반 의류건조기에 있어서는 측정하려고 하는 환경온도 및 습도가 목적의 것인지 여부를 기계에게 판단시키는 것은 자체의 가열기에 의한 발열분이 남아 있는지 여부가 불명확하기 때문에 곤란했었다. 그래서, 환경온도와 동등한 온도에 온도검지센서(검지수단)가 있을 때, 이 온도데이터를 제어회로의 불휘발성기억회로에 입력기억하고, 이 온도데이터와 운전개시시의 온도검지센서(검지수단)에 의해 계측한 온도데이터를 비교하여 계측온도데이터쪽이 기억온도에 소정의 온도를 가산한 온도데이터 보다 낮을 때는 환경온도가 계측되었다고 판단하고, 이때 습도검지센서(검지수단)에 의해 계측된 습도데이터에 의거하여 건조종료습도제어치를 산출하여 운전제어하며, 또한 기억되어 있는 온도데이터와 계측한 온도데이터를 연산가산하여, 2개의 온도데이터는 중간에 있는 값을 가지고 불휘발성기억회로의 환경온도로 하여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를 갱신한다.
또, 추가건조운전이 행해진 경우에는 초기에 환경조건으로서 입력한 온도, 습도와 관련시켜 사용자가 수정하 건조도데이터를 입력기억하고, 다음번 운전부터 사용자가 좋아하는 건조도로 완료하도록 운전제어한다.
이와 같이 하여 효율좋게 의류건조기를 운전할 수 있다.
다른 응용예로서 소제기의 경우를 설명한다.
소제기의 제어항목으로서 바닥면데이터에 관련해서 먼지흡입량, 운전시 진공도가 있다. 바닥면데이터라는 것은 소제할 바닥의 종류이며, 이것에 따라서 먼지의 량 및 종류가 다르며, 그 흡입할 진공도도 다르므로 바닥면데이터에 의해 소제할 바닥의 종류를 판별하고, 이것에 의거하여 흡입공기량을 조정하기 위해 바닥면과 흡입구와의 간극을 조절제어하여, 그 흡입진공도를 바닥면에 합치된 값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소제가 종료에 가까워지면 흡입할 먼지량은 감소하고, 바닥면의 종류에 따른 종료판정먼지량 이하의 먼지흡입량이면 소제종료의 판정을 표시한다.
그러나, 흡입의 진공도나 소제종료의 판정에는 사용자나 그 환경에 의한 차가 크며, 제조자에 의해 일방적으로 결정한다는 것은 혼란의 요인을 만드는 것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인차가 큰 제어치는 주된 사용자의 판단에 맡기는 것이 좋은 방책이지만, 완전히 위임해서는 사용성이 나쁜 소제기가 되고 만다. 그러므로, 소정 모델운전공정에 있어서의 주된 사용자의 사용법을 검지수단에 의해 얻은 바닥면데이터와 흡입진공도, 소제종료시 흡입먼지량의 데이터를 제어회로의 불휘발성기억회로에 기억한다. 그리고, 통상의 소제운전시에 기억한 데이터를 독출하여 비교사용함으로써 사용 가정에 상응한 운전모드로 제어, 표시하는 소제기를 얻을 수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면 제품의 기체를 구성하는 부품정밀도나 조립의 정밀도에 기인하는 검지오차를 조립완료한 후의 제품의 상태에서 소정의 운전공정에 있어서 제어치의 기준이 되는 계측치를 입력하고, 이것을 제어회로의 전원을 차단해도 그 기억내용을 유지하는 불휘발성기억회로에 기억하며, 사용할 때에 이것을 독출하여, 이 값을 기준으로 산출한 제어치에 의해 운전제어하므로, 제조시의 부품이나 조립의 정밀도 보다 높은 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하기 편한 세정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좋아하는 운전의 제어치를 상기 불휘발성기억회로에 기억하고, 이 운전의 제어치를 사용자가 좋아하는 제어치로 치환할 수 있으므로, 개개의 사용자의 사용방법, 사용환경에 합치한 운전제어를 할 수 있는 세정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전기기기의 운전의 제어를 위한 최소한 하나의 패러미터의 변위 데이터를 검지하는 검지수단과, 검지된 변위데이터를 취입하는 제어회로와, 제어회로의 지시로 운전되는 부하로 이루어지는 전기기기의 운전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기기의 실제 운전 이전에 운전제어기준데이터를 미리 설정하는 수단을 가지며, 기기의 실제 운전 이전에는, 상기 검지수단이 기기가 요구하는 실제의 기준운전모드하에서의 상기 패러미터의 변위 데이터를 검지하고, 상기 제어회로가 검지된 데이터를 기준데이터로서 불휘발성 기억회로에 기억하며, 기기의 실제운전시에는, 상기 검지수단이 기기의 운전모드 중 임의의 하나의 운전모드하에서의 상기 패러미터의 변위 데이터를 검지하고, 상기 제어회로가 검지된 데이터와 상기 불휘발성기억회로의 데이터를 대비하여 대비 결과에 따라 부하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의 운전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불휘발성기억회로를 제어회로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의 운전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불휘발성기억회로의 기준데이터를 필요에 따라서 독출하고, 기준데이터와 검지수단의 검지치와를 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의 운전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불휘발성기억회로를 제어회로의 마이크로콤퓨터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의 운전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세탁기이고, 검지수단은 수위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의 운전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어될 수위로 되도록,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 감지되고 사용자에 의해 수정되는 수위데이터를 기준데이터로서 불휘발성기억회로에 기억하고, 세탁기의 다음의 운전중에 기억수정된 검출데이터에 따라서 수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의 운전제어장치.
  7. 전기기기의 운전의 제어를 위하여 최소한 하나의 패러미터의 변위데이터를 검지하는 검지수단과, 검지된 변위데이터를 취입하는 제어회로와, 제어회로의 지시로 운전되는 부하로 이루어지는 전기기기의 운전제어방법에 있어서, 기기의 실제의 운전 이전에 운전제어기준데이터를 설정하는 스텝과, 이후에 실제의 기준데이터를 설정하는 스텝을 가지고, 상기 스텝은 기기의 실제의 기준운전모드하에 검지수단에 의하여 패러미터의 변위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지된 데이터를 기준데이터로서 불휘발성기억회로에 기억하는 서브스텝으로 이루어지고, 부하운전제어스텝은 기기의 운전모드중 임의의 하나의 운전모드하에 패러미터의 변위데이터를검지수단에 의하여 검출하고, 검지된 데이터와 불휘발성기억회로의 데이터와를 대비하고, 대비의 결과에 따라서 부하운전을 제어하는 서브스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19900016496A 1989-10-18 1990-10-17 전기기기의 운전제어검지데이터수정방법 및 그 장치 KR0153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68944 1989-10-18
JP1268944A JPH03131904A (ja) 1989-10-18 1989-10-18 電気機器の運転制御検知データ修正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89-268944 1989-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521A KR910008521A (ko) 1991-05-31
KR0153259B1 true KR0153259B1 (ko) 1998-12-15

Family

ID=17465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6496A KR0153259B1 (ko) 1989-10-18 1990-10-17 전기기기의 운전제어검지데이터수정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3131904A (ko)
KR (1) KR0153259B1 (ko)
CN (1) CN1097755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2276A1 (ko) 2017-12-04 2019-06-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동화된 시료 열분해 장치
KR20200116612A (ko) 2019-04-02 2020-10-13 유재용 전기 기기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6100B1 (ko) * 1995-01-07 1998-09-15 이헌조 가전기기의 실사용상태 정보수집 및 분석장치
JP4003599B2 (ja) * 2002-09-30 2007-11-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
JP2005334037A (ja) * 2004-05-24 2005-12-08 Toshiba Corp 洗濯機
JP2009101222A (ja) * 2009-02-13 2009-05-14 Panasonic Corp 洗濯乾燥機
JP5333480B2 (ja) * 2011-02-16 2013-11-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除湿機
CN102242487B (zh) * 2011-06-15 2016-03-02 海尔集团公司 一种自动校准洗衣机水位的方法
CN102505422B (zh) * 2011-09-22 2016-03-30 海尔集团公司 设有水位自动校准装置的微型全自动洗衣机及校准方法
DE102013220035A1 (de) * 2013-10-02 2015-04-02 Meiko Maschinenbau Gmbh & Co. Kg Verfahren zur Kalibrierung einer Reinigungsvorrichtung
CN108982890A (zh) * 2018-06-29 2018-12-11 西安思坦科技有限公司 水质自动质控系统及功能配方方法、数据审核方法
JP7246954B2 (ja) * 2019-02-12 2023-03-2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2276A1 (ko) 2017-12-04 2019-06-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동화된 시료 열분해 장치
KR20200116612A (ko) 2019-04-02 2020-10-13 유재용 전기 기기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7755C (zh) 2003-01-01
CN1051094A (zh) 1991-05-01
KR910008521A (ko) 1991-05-31
JPH03131904A (ja) 199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3259B1 (ko) 전기기기의 운전제어검지데이터수정방법 및 그 장치
US9243987B2 (en) Method of determining fabric type of a laundry load in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KR100867475B1 (ko)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
EP1778909B1 (en) Controlling methof for automatically drying
JPH04187183A (ja) 洗濯機の洗濯液検知センサー
JPH0994212A (ja) 食器洗い乾燥機
KR101233160B1 (ko) 건조기의 건조 제어방법
KR102058973B1 (ko) 습도감지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JP3547318B2 (ja) 加熱調理器
CN110030798A (zh) 蒸汽清洗后的工件干燥判定方法以及蒸汽清洗真空干燥装置
KR100783229B1 (ko) 건조기의 막힘 감지 장치
KR100257577B1 (ko) 세탁기의 수위센서 보정방법
JP3239551B2 (ja) 食器洗い機
US20230124378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239554B2 (ja) 食器洗い機
KR0162405B1 (ko) 중량센서를 채용한 세탁기의 포량감지 장치
KR100297051B1 (ko) 세탁기의포량재설정방법
JP3257183B2 (ja) 食器洗い機
JPH02249598A (ja) 衣類乾燥機の湿度制御装置
US202401103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reduced static feature in a laundry treatment appliance
EP2065508B1 (en) Method for detecting the level of a wash liquid in a washing machine, and related washing machine
KR100739606B1 (ko) 용량형 센서를 적용한 조리기기의 센서 불량 검출방법
KR960013167B1 (ko) 식기세정기에 대한 식기 건조방법
KR970003194B1 (ko) 온도센서를 이용한 세탁기 수위감지장치
JPH04193295A (ja) 洗濯機の洗濯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