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973B1 - 습도감지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습도감지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973B1
KR102058973B1 KR1020180069640A KR20180069640A KR102058973B1 KR 102058973 B1 KR102058973 B1 KR 102058973B1 KR 1020180069640 A KR1020180069640 A KR 1020180069640A KR 20180069640 A KR20180069640 A KR 20180069640A KR 102058973 B1 KR102058973 B1 KR 102058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power supply
switch
voltage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영진
박귀근
박동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9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9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06F39/003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습도감지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는, 제1 스위치가 온(on)되면, 제1 전원을 공급하고, 제1 스위치가 오프(off)되면, 제1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전원 공급부, 일단이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제1 스위치가 온되면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1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고, 제1 스위치가 오프되면 방전되는 충전용 커패시터, 옷감의 습도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고, 충전용 커패시터와 전원 공급부 사이의 제1 노드(node)에 일단이 연결되는 센싱 저항, 및, 제1 노드의 전압에 따라 감지되는 전압값에 기초하여 습도값을 연산하는 마이컴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습도감지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Humidity detecting circuit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습도감지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의 습도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는 습도감지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을 처리하는 장치로, 세탁, 탈수, 건조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제의 유화작용과, 세탁조 또는 세탁날개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작용 및 세탁날개가 가하는 기계력을 이용하여 의류나 침구 등의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와, 열풍이나 냉풍을 가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 스팀을 가하여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는 리프레셔(refresher) 등이 있으며, 건조 겸용 세탁물 처리기기와 같이 여러 기능을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것도 있다.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 공기조화기 등 홈 어플라이언스들은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여, 감지되는 습도 데이터를 제어에 활용하였다.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특0136769호는 감지하고자 하는 습도 센서의 용량성 부하 변화에 따른 발진 주기의 차이를 감지하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기존의 습도 감지 방식은 정확도가 떨어지거나 회로 구성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특0136769호는, 기본적으로 발진에 의한 습도 변화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구성이 복잡하고 회로 최적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물의 습도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는 습도감지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 동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습도감지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습도감지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는, 제1 스위치가 온(on)되면, 제1 전원을 공급하고, 제1 스위치가 오프(off)되면, 제1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전원 공급부, 일단이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제1 스위치가 온되면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1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고, 제1 스위치가 오프되면 방전되는 충전용 커패시터, 옷감의 습도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고, 전용 커패시터와 전원 공급부 사이의 제1 노드(node)에 일단이 연결되는 센싱 저항, 및, 제1 노드의 전압에 따라 감지되는 전압값에 기초하여 습도값을 연산하는 마이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습도감지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는, 제1 스위치가 온(on)되면, 제1 전원을 공급하고, 제1 스위치가 오프(off)되면, 제1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전원 공급부, 일단이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제1 스위치가 온되면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1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고, 제1 스위치가 오프되면 방전되는 충전용 커패시터, 옷감의 습도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고, 충전용 커패시터와 전원 공급부 사이의 제1 노드(node)에 일단이 연결되는 센싱 저항, 및, 제1 노드의 전압에 따라 감지되는 전압값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과 동일해질 때까지의 경과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경과시간에 기초하여 습도값을 연산하는 마이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세탁물의 습도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는 습도감지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세탁물의 습도를 정밀하게 감지하고, 건조 동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습도가 감지하기 위한, 회로 설계가 간편함은 물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습도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가 구비하는 습도감지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가 구비하는 습도감지회로의 동작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가 구비하는 습도감지회로의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캐비닛(111)은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캐비닛(111) 내부에는 물이 담기는 터브(미도시)가 배치된다. 상기 터브의 내부에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세탁조, 122)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캐비닛(111)과, 캐비닛(111) 내부에 배치되며 물이 담기는 터브(미도시), 세탁물을 수용할 수 있고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122)과, 드럼(122)을 구동시키는 모터(미도시)와, 터브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장치(미도시)와, 세정이 끝난 후에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11)은, 캐비닛 본체(112)와, 캐비닛 본체(112)의 전면에 배치되어 결합하는 캐비닛 커버(113)와, 캐비닛 커버(113) 상측에 배치되며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116)과, 컨트롤패널(116) 상측에 배치되며 캐비닛 본체(112)와 결합하는 탑 플레이트(11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캐비닛 커버(113)는 세탁물이 출입하는 홀(미도시)과, 홀을 개폐 가능하도록 회동하는 도어(114)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을 조작하는 복수의 조작키(117)가 컨트롤패널(116)에 배치될 수 있다.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 상태를 신호음으로 출력하는 오디오출력부(미도시)와, 운전 상태를 문자, 숫자, 특수기호, 이미지 등으로 표시하는 표시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는 컨트롤패널(116)의 배면에 형성되는 소리유로 또는 소리안내부를 통해 조작부(117)의 키가 형성된 부분의 틈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출력홀(119)이 구비되는 경우 출력홀(119)을 통해 오디오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한편, 도 1은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프론트로드(Front Load) 또는 탑로드(Top Load)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건조 겸용 세탁물 처리기기일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도 1과 달리, 세탁물의 건조 기능을 수행하는 건조기일 수 있다.
건조 기능을 제공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의 건조 정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습도 감지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습도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는 정전압 회로를 이용한 저항 분배 방식의 측정 기법을 사용하는 기존의 방식으로 측정된 전압값을 예시한 것이다.
기존 방식의 하나는, 저항을 이용한 전압 분배를 통해, 마이컴으로 아날로그 신호를 감지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습도감지회로는, 정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 전압 분배를 위한 정밀 저항, 그리고 감지된 전압을 그대로 플로우(Flow)하기위한 전압 플로워 회로로 구성된다.
이러한 정전압 회로를 이용한 저항 분배 방식의 측정 기법에 따른 습도감지회로는, 습도에 따른 저항 변화를 감지하는 원리로, 회로 구성이 복잡하며, 정밀한 습도의 변화를 감지하기 어렵다.
기존 방식은, 습도센서의 저항값의 변화에 의해 마이컴에서 감지되는 전압값에 변화가 생기고, 이 전압값 변화에 기초하여 습도를 판단하게 된다.
하지만, 수분에 따른 저항 변화가 220kOhm 내지 350kOhm으로 작기 때무에, 5V의 전원을 사용하는 마이컴(Micom)이 감지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AD) 환산값도 작아, 정밀한 습도 판단이 어렵다. 따라서, 5V를 2배인 10V 등으로 높여서 마이컴에 인가하여 전압값 차이를 증가시키곤 하였다.
도 2는 10V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에 세탁물의 건조 정도를 나타내는 습도에 따라 마이컴에서 감지되는 전압값을 예시한 것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수분에 따른 저항이 220kOhm로 축축한 세탁물에서 감지되는 전압값으로 1.7483V가 마이컴의 AD 포트에서 감지된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수분에 따른 저항이 350kOhm로 건조가 진행되어 마른 세탁물에서 감지되는 전압값으로 2.1257V가 마이컴의 AD 포트에서 감지된다.
도 2를 참조하면, 10V 전원을 사용하더라도, 두 상태에서의 전압값 차이가 0.3774V에 불과하다. 이와 같이, 2배로 증가시켜도 0.3774V의 작은 값에 기초하여 습도를 감지하면 정밀도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습도감지회로의 10V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회로가 별도로 필요하므로, 회로 구성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회로의 복잡도를 줄여 저비용으로 정밀도가 향상된 습도감지회로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정밀도가 향상된 습도감지회로를 구비하여, 정밀하게 판별된 습도에 따라 건조 동작을 더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가 구비하는 습도감지회로의 회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감지회로의 동작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가 구비하는 습도감지회로(200a)는, 제1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10), 상기 제1 전원에 기초하여 충전되는 충전용 커패시터(C), 옷감(세탁물)의 습도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는 센싱 저항(Rs), 및, 습도감지회로(200a)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습도값을 연산하는 마이컴(230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210), 상기 충전용 커패시터(C), 및 상기 센싱 저항(Rs)은 하나의 노드(node)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 공급부(210)와 상기 충전용 커패시터(C)는 제1 노드(n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저항(Rs)도 상기 충전용 커패시터(C)와 상기 전원 공급부(210) 사이의 제1 노드(n1)에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컴(230a)의 입력단도 상기 제1 노드(n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210)는 습도감지회로(200a)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210)는 정전압을 구비하거나 세탁물 처리기기(100)에 구비되는 전원, 전력 변환 장치 등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210)는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제1 스위치(S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S1)는 상기 전원 공급부(210)와 상기 충전용 커패시터(C)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용 커패시터(C)로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하도록 스위칭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210)는, 제1 스위치(S1)가 온(on)되면, 제1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1 스위치(S1)가 오프(off)되면, 상기 제1 전원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스위치(S1)는 상기 전원 공급부(210) 외부에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충전용 커패시터(C)는, 상기 제1 스위치(S1)가 온되면 상기 전원 공급부(210)로부터 상기 제1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고, 상기 제1 스위치(S1)가 오프되면 방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컴(230a)은, 충전용 커패시터(C)가 완전히 충전될 때까지 상기 제1 스위치(S1)가 온(on) 상태를 유지하고, 충전용 커패시터(C)가 완전히 충전되면, 상기 제1 스위치(S1)가 오프(off)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210)와 상기 충전용 커패시터(C)는 바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전원 공급부(210)와 상기 충전용 커패시터(C) 사이에 제1 저항(R1)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스위치(S1)가 온 상태일 때, 상기 전원 공급부(210), 상기 제1 저항(R1), 및, 상기 충전용 커패시터(C)의 충전 경로가 형성되어, 상기 충전용 커패시터(C)가 충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전용 커패시터(C)와 상기 센싱 저항(Rs)은 바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충전용 커패시터(C)와 상기 센싱 저항(Rs) 사이에 제2 저항(R2)이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스위치(S1)가 오프 상태일 때, 상기 충전용 커패시터(C), 상기 제2 저항(R2), 및, 상기 센싱 저항(Rs)의 방전 경로가 형성되어, 상기 충전용 커패시터(C)가 방전될 수 있다.
한편, 센싱 저항(Rs)은 옷감(세탁물)의 습도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는 가변 저항일 수 있다. 또한, 센싱 저항(Rs)은 옷감(세탁물)에 접촉하는 전극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옷감(세탁물)의 습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호할 수 있다.
옷감이 젖어 있어 습도가 높을수록 센싱 저항(Rs)의 저항값을 낮고, 건조가 진행되어 옷감이 말라 습도가 낮아질수록 센싱 저항(Rs)의 저항값이 높아질 수 있다.
센싱 저항(Rs)의 저항값 변화에 따라, 제1 노드(N1) 상의 전압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센싱 저항(Rs)의 저항값 변화에 따라, 상기 충전용 커패시터(C)의 방전 시간도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노드(n1)에 입력단이 연결된 마이컴(230a)이, 상기 입력단에서 감지되는 전압값에 기초하여 습도값을 연산할 수 있다.
습도가 낮고, 건조한 상태일수록 저항이 높고, 저항이 높으면, 방전이 서서히 진행되면서 전압이 완만하게 하강한다. 또한, 방전 시간을 길게 설정하면, 완만한 구간에서 전압을 측정할 수 있어, 더욱 정밀하게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습도값도 더 정밀하게 연산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일정한 충전용 커패시터(C)에 충전된 일정한 전하량을 센서를 통해 방전(discharge)하는 방식으로써 기존의 마이컴 구동 전원을 사용하여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마이컴(230a)의 구동 전원과 동일한 5V 전원을 사용함으로써, 승압 또는 10V 전원 등을 인가하기 위한 회로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회로 구성이 간단해지고,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제1 스위치(S1)가 온되면, 충전용 커패시터(C)에 5V 전원이 인가될 수 있고, 충전용 커패시터(C)가 완전 충전되었을때 제1 스위치(S1)가 오프될 수 있다.
이때부터 부하(옷감)의 저항 성분에 의해 방전이 시작되고, 시정수에 의해 방전 시간, 방전 전압이 결정될 수 있다.
제1 스위치(S1)가 오프되면, 충전용 커패시터(C)가 5V 충전된 전압을 방전하는데, 이때 외부 세탁물의 저항에 의하여 방전되는 전압이 달라진다.
상기 마이컴(230a)은, 방전 시작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입력단의 전압을 측정하고, 습도값을 연산할 수 있다. 즉, 특정 시간이 지난 후 마이컴(230a)의 입력단 전압값을 읽고, 옷감의 저항 및 습도를 유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5V 전원을 사용할 때 마이컴의 입력단에서 측정된 전압값을 예시한 것이다.
도 6의 (a)는 수분에 따른 저항이 220kOhm로 축축한 세탁물에서 감지되는 전압값을 예시하고, 도 6의 (b)는 수분에 따른 저항이 350kOhm로 건조가 진행어 마른 세탁물에서 감지되는 전압값을 예시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최소값을 사용하더라도, 1.5241V를 감지할 수 있고, 도 6의 (b)를 참조하면, 최소값을 사용하더라도, 2.3474V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최소값을 사용할 때에도, 0.8233V로, 도 2에서 예시된 10V 전원을 사용할 때의 0.3774V보다 2배 이상 전압값이 크다.
따라서, 50% 수준의 전원은 사용하면서도, 감지 해상도는 220% 수준으로 더 정밀하다.
본 발명은, 5V 전원을 온/오프(ON/OFF)하여 충전된 충전용 커패시터(Cap)의 방전 전압 및/또는 방전 시간을 계산하여 대상물의 습도를 감지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 경우에, 방전 시간을 조절하여 원하는 범위로 저항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저항값이 높으면 방전시간을 길게 가져가고, 저항값이 낮으면 방전시간을 작게 가져가는 방식으로, 감지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변경만으로 다양한 습도의 옷감을 감지할 수 있고, 저항 감지 범위가 넓어진다. 기본적으로 방전 시간으로 감지하므로 감지 감도를 프로그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치(S1)의 온/오프 구간의 시간만 조절해도, 충전/방전 시간, 속도가 변경되고, 이에 따라 전압 해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옷감의 습도에 따른 저항값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제1 스위치(S1)의 온/오프 구간, 전압 감지시간을 프로그램으로 조절하여 저항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높은 전압을 사용하지 않고, 마이컴 구동을 위해 구비되는 5V 전압을 이용하여 넓은 범위에 안정적으로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감지회로(200a)는, 상기 충전용 커패시터(C)와 상기 마이컴(230a) 사이에 배치되는 노이즈 필터(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이즈 필터(220)는, 제1 노드(n1)와 제2 노드(n2) 사이에 연결된 필터 저항(Rf)과 제2 노드(n2)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필터 커패시터(Cf)를 포함할 수 있고, 입력되는 신호들 중에서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습도감지회로(200a)가 노이즈 필터(220)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마이컴(230a)의 입력단은 제2 노드(n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노드(n2)의 전압은 필터 저항(Rf)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는 제1 노드(n1)에 연동된다. 따라서, 상기 마이컴(230a)은 입력단에서 감지되는 전압값에 기초하여 습도값을 연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가 구비하는 습도감지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가 구비하는 습도감지회로(200b)는, 제1 스위치(S1)가 온(on)되면, 제1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1 스위치(S1)가 오프(off)되면, 상기 제1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전원 공급부(210), 일단이 상기 전원 공급부(210)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위치(S1)가 온되면 상기 전원 공급부(210)로부터 상기 제1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고, 상기 제1 스위치(S1)가 오프되면 방전되는 충전용 커패시터(C), 옷감(세탁물)의 습도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고, 상기 충전용 커패시터(C)와 상기 전원 공급부(210) 사이의 제1 노드(n1)에 일단이 연결되는 센싱 저항(Rs), 및, 상기 제1 노드(n1)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습도값을 연산하는 마이컴(230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습도감지회로(200b)는 마이컴(230b)이 비교기(231)를 더 포함하는 차이점 이외에, 도 3 내지 도 5에서 예시된 습도감지회로(200a)의 회로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차이점 이외에, 도 7의 습도감지회로(200b)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특징과 동일한 특징을 가질 수 있으며, 습도감지회로들(200a, 200b)의 공통 사항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원은 상기 마이컴(230b)의 구동 전원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습도감지회로(200b)는, 상기 충전용 커패시터(C)와 상기 마이컴(230b) 사이에 배치되는 노이즈 필터(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컴(230b)이, 상기 입력단에서 감지되는 전압값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과 동일해질 때까지의 경과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경과시간에 기초하여 습도값을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컴(230b)은, 상기 입력단에서 감지되는 전압값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기 위한 비교기(231)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컴(230b)은, 내부의 비교기(231)를 사용하여 특정 기준 전압 이하로 떨어지는 시간을 측정하여 습도값, 저항값을 역으로 계산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마이컴(230b)이 비교기(231)를 사용하여 1V 기준 전압까지 상기 입력단에서 감지되는 전압값이 떨어질 때까지의 경과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경과시간에 기초하여 습도값을 연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세탁물의 습도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는 습도감지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세탁물의 습도를 정밀하게 감지하고, 건조 동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습도가 감지하기 위한, 회로 설계가 간편함은 물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의 동작 방법은,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세탁물 처리기기
200a, 200b: 습도감지회로
210: 전원 공급부
220: 필터
230a, 230b: 마이컴

Claims (9)

  1.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가 온(on)되면,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스위치가 오프(off)되면, 상기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충전용 커패시터;
    습도에 따라 저항 값이 가변되고, 상기 충전용 커패시터와 상기 전원 공급부 사이의 노드(node)에 연결되는 센싱 저항; 및,
    상기 노드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입력단에서 감지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습도를 연산하는 마이컴;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입력단에서 감지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용 커패시터에 충전되는 충전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충전 전압이 소정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스위치가 오프(off)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위치가 오프(off)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된 시점의 상기 충전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스위치가 오프(off)된 시점의 상기 충전 전압과, 상기 스위치가 오프(off)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소정 시간 경과된 시점의 상기 충전 전압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습도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감지회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상기 마이컴의 구동 전원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감지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 커패시터와 상기 마이컴 사이에 배치되는 노이즈 필터;를 더 포함하는 습도감지회로.
  5.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가 온(on)되면,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스위치가 오프(off)되면, 상기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충전용 커패시터;
    습도에 따라 저항 값이 가변되고, 상기 충전용 커패시터와 상기 전원 공급부 사이의 노드(node)에 연결되는 센싱 저항; 및,
    상기 노드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입력단에서 감지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습도를 연산하는 마이컴;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입력단에서 감지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용 커패시터에 충전되는 충전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충전 전압이 기 설정된 제1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스위치가 오프(off)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위치가 오프(off)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충전 전압이 기 설정된 제2 기준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경과된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습도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감지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입력단에서 감지되는 전압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하기 위한 비교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감지회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상기 마이컴의 구동 전원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감지회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 커패시터와 상기 마이컴 사이에 배치되는 노이즈 필터;를 더 포함하는 습도감지회로.
  9.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습도감지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180069640A 2018-06-18 2018-06-18 습도감지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58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640A KR102058973B1 (ko) 2018-06-18 2018-06-18 습도감지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640A KR102058973B1 (ko) 2018-06-18 2018-06-18 습도감지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973B1 true KR102058973B1 (ko) 2019-12-24

Family

ID=69006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640A KR102058973B1 (ko) 2018-06-18 2018-06-18 습도감지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9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8713A (zh) * 2020-03-04 2021-09-07 深圳绿米联创科技有限公司 湿度检测单元、温湿度检测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6166A (ja) * 2001-10-25 2005-03-0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乾燥度測定装置
KR20100031866A (ko) * 2008-09-16 2010-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전원 공급 장치
KR101636643B1 (ko) * 2015-01-16 201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감지 회로 및 건조도 감지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6166A (ja) * 2001-10-25 2005-03-0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乾燥度測定装置
KR20100031866A (ko) * 2008-09-16 2010-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전원 공급 장치
KR101636643B1 (ko) * 2015-01-16 201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감지 회로 및 건조도 감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8713A (zh) * 2020-03-04 2021-09-07 深圳绿米联创科技有限公司 湿度检测单元、温湿度检测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43085A1 (en) Appliance with reliable information of a drying cycle
CN108138432B (zh) 具有电容式衣物干燥程度感测功能的衣物器具
US5345060A (en) Iron comprising a type-of-fabric detector
US3439431A (en) Microwave dryer control circuit
US20040177529A1 (en) Drying device and method
KR100747589B1 (ko) 건조기의 제어회로 및 그 행정 제어방법
KR100651864B1 (ko) 자동 건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58973B1 (ko) 습도감지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US8707580B2 (en) Dryness detection method for clothes dryer based on charge rate of a capacitor
US20120022830A1 (en) Drying Method With Energy Savings
JP2014018608A (ja) 衣類乾燥機
US5349160A (en) Iron comprising a humidity detector for controlling the heating element and also providing a motion indication
JP2005506166A (ja) 乾燥度測定装置
JP2013128637A (ja) ドラム式乾燥機
JP2014150978A (ja) 衣類乾燥機
KR101233160B1 (ko) 건조기의 건조 제어방법
JPH0671520B2 (ja) 乾燥機
ITTO950511A1 (it) Macchina di lavaggio, con mezzi di impostazione della prestazione di risciacquo, e relativo metodo di controllo
KR20230039354A (ko) 건조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199365B1 (ko) 자동 건조 장치의 건조 제어 방법
KR101100192B1 (ko) 자동 건조 장치의 건조 제어 방법
KR100747588B1 (ko) 건조기의 제어회로 및 그 건조도 감지방법
WO2020120220A1 (en) A textile treatment device for identifying the textile type
KR101181771B1 (ko) 의류건조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2013183899A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