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2627B1 - 자동 변속 자동차의 자동 파킹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변속 자동차의 자동 파킹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627B1
KR0152627B1 KR1019960011778A KR19960011778A KR0152627B1 KR 0152627 B1 KR0152627 B1 KR 0152627B1 KR 1019960011778 A KR1019960011778 A KR 1019960011778A KR 19960011778 A KR19960011778 A KR 19960011778A KR 0152627 B1 KR0152627 B1 KR 0152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rake
lever
variable motor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9710A (ko
Inventor
김영광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11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2627B1/ko
Publication of KR970069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9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6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16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8Signals to a parking brake or parking lock; Control of parking locks or brakes being part of the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08Braking
    • B60Y2300/18141Braking for p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 레버의 변속 위치에 의하여 주차 브레이크 레버의 브레이킹 위치가 해제될 수 있는 자동 변속 자동차의 자동 파킹 장치이며, 인히버터 스위치는 변속 레버의 각각의 변속단에 접속되는 다수의 단자를 가지며,인히비터 스위치에 접속되어 가변 모터의 회전 방향을 가변시키는 전류 변환 제어부은 변속기의 P단과 D단에 각각 접속되는 한 쌍의 타이머, 및 각각의 타이머에 접속되는 2쌍의 릴레이 스위치를 구비한다. 가변모터는, 후륜 브레이크 드럼과 작동하는 한 쌍의 작동 실린더에 각각 연결되는 유압 라인을 통하여 상기 작동 실린더를 작동하여 브레이킹 및 브레이킹 해제하도록 유압 실린더를 작동시킨다.

Description

자동 변속 자동차의 자동 파킹 장치
제1도는 종래의 자동 변속 자동차의 파킹 장치의 계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 자동차의 자동 파킹 장치의 계통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 자동차의 자동 파킹 장치의 전류변환 제어부의 회로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속 레버 2 : 인히비터 스위치
5 : 전류 변환 제어부 6,7 : 타이머
8,9,10,11 : 릴레이 스위치 12 : 가변 모터
13 : 유압 탱크 14 : 유압 실린더
15,16 : 유압 라인 17 : 작동 실린더
18 : 후륜 19 : 브레이크 드럼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의 파킹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변속 자동차에 있어서 변속기의 변속 레버의 위치에 따라서 후륜에 설치된 브레이크가 브레이킹 및 브레이킹 해제될 수 있는 자동 변속 자동차의 자동 파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통상적으로, 주차 브레이크는 후륜 브레이크를 기계적으로 작동하기 위하여 사용되도록 연결된 금속제 레버 기구에 의하여 작동되는 브레이크이다.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주차 브레이크 레버는 2개의 앞 좌석 사이에서 플로어 팬상에 정착되며, 주차 브레이크 레버에는 후방 액슬 중앙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이퀄라이저에 케이블이 연결된다. 이퀄라이저는 또 다른 한 쌍의 케이블이 설치되어, 후륜 각각에 나누어져 후륜에 설치된 후륜 브레이크에 연결되도록 하는 분기점 작용을 한다.
주차 브레이크 레버는 선단에 설치된 버튼을 눌려지면, 주차 브레이크 레버의 록킹이 해제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용 레버를 위로 당기면, 이러한 운동이 레버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하여 이퀄라이저로 전달된다. 이퀄라이저는 케이블을 통하여 전달된 힘을 이퀄라이저와 후륜 브레이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케이블을 통하여 후륜 브레이크로 전달하여, 후륜의 브레이크 슈를 브레이크 드럼 외측으로 밀어낸다.
한편, 제동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주차용 브레이크 레버의 선단에 위치된 버튼을 누르면 주차용 브레이크를 작동 위치에서 고정하고 있는 록킹폴이 해제된다. 따라서, 레버가 플로어로 내려지면 후륜 브레이크내에 위치된 스프링이 브레이크 슈를 브레이크 드럼으로 부터 당기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 변속 자동차의 파킹 장치의 계통도가 제 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 1 도에서, 주차용 브레이크 레버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레버(21)가 파킹(P)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레버(20)의 선단에 설치된 버튼(22)을 누르면, 레버(20)내에 수용된 2개의 로드(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힘이 전달되어, 록킹 상태가 해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용 레버(20)를 위로 당기면, 이러한 운동이 레버(20)에 연결된 케이블(23)을 통하여 이퀄라이저(24)로전달된다. 이퀄라이저(24)는 상기된 바와 같이 케이블(23)을 통하여 전달된 주차 레버(20)의 운동력은 이퀄라이저(24)와 후륜(26)에 설치된 후륜 브레이크(27)에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케이블(25)을 통하여 후륜 브레이크(27)로 전달된다. 후륜 브레이크(27)에 전달된 힘은 후륜 브레이크(27)의 브레이크 슈를 브레이크 드럼 외측으로 밀어내어, 후륜은 브레이킹 상태로 만든다.
한편, 후륜(26)의 브레이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주차용 브레이크 레버(20)의 선단에 위치된 버튼(22)이 눌려지면, 주차 브레이크 레버(20)를 작동 위치에서 고정하고 있는 록킹 폴(도시되지 않음)이 해제되고, 레버(20)가 플로어 쪽으로 내려지면, 후륜 브레이크(27)내에 위치된 스프링이 브레이크슈를 브레이크 드럼으로 부터 당기게 되어, 브레이킹 상태가 해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 변속 자동차의 파킹 장치는 자동차의 파킹시 또는 파킹 해제시에 운전석 옆에 위치된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작동시켜야 되므로, 주차 브레이크 레버가 브레이킹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변속 레버를 주행 상태로 변속하여 주행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이러한 경우에 브레이크 라이닝이 급격히 마모되어, 브레이킹 작동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속 레버의 변속 위치에 의하여 주차 브레이크 레버의 브레이킹 위치가 해제될 수 있는 자동 변속 자동차의 자동파킹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발명의 요약]
상기와 같은 목적은, 자동 변속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변속 레버의 각각의 변속단에 접속되는 다수의 단자를 가지는 인히비터스위치와; 상기 변속기의 P단과 D단에 각각 접속되는 한 쌍의 타이머, 및 각각의 타이머에 접속되는 2쌍의 릴레이 스위치를 구비하는 전류 변환 제어부와; 상기 전류 변환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에 의하여 회전 방향이 결정되는 가변 모터와; 후륜 브레이크 드럼과 작동하는 한 쌍의 작동 실린더에 각각 연결되는 유압 라인을 통하여 상기 작동 실린더를 작동하여 브레이킹 및 브레이킹 해제하도록 상기 가변 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 자동차의 자동 파킹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싱기에서, 상기 가변 모터와 유압 실린더는 후방 액슬 중앙 부분에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 자동차의 자동 파킹장치의 계통도이며,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 자동차의 자동 파킹장치의 전류 변환 제어부의 회로 구성도이다. 제 2 도 및 제 3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 자동차의 자동 파킹장치는 변속 레버(1)의 각각의 변속단에 접속되는 다수의 단자를 가지는 인히비터(inhibiter) 스위치(2)를 가진다. 인히비터 스위치(2)는 P단과 D단에 각각 와이어(3,4)가 접속되며, 변속기의 P단과 D단에 각각 접속되는 와이어(3,4)들은 전류 변환 제어부(5)에 내장되어 있는 한 쌍의 타이머(6,7)에 각각 접속된다. 이 때, 인히비터 스위치(2)에 접속되는 와이어(3,4)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의 극성은 +극을 띤다.
한 쌍의 타이머(6,7)들은 전류 변환 제어부(5)의 주요 구성 부품인 2쌍의 릴레이 스위치(8,9,10및11)에 접속된다. 릴레이 스위치(8,9,10및11)들 중에서 제 1 및 제 3 릴레이 스위치(8,10)들은 한 쌍의 타이머(6,7)들 중 제 1 타이머(6)에 접속되고, 제 2 및 제 4 릴레이 스위치(9,11)들은 제 2 타이머(7)에 접속된다.
가변 모터(12)는 전류 변환 제어부(5)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에 의하여 회전 방향이 결정된다. 즉, 변속 레버(1)가 P단에 있을 때, 인히비터 스위치(2)는 P레인지로 전원을 공급하며, 이와 관련된 제 1 및 제 3 릴레이 스위치(8,10)가 온으로 되어, 제 1 릴레이(8), 가변 모터(12)의 b단자, a단자및 제 3 릴레이(10)로 통하는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류 경로에 의하여 가변 모터(12)는 한 쪽 방향으로 회전되어 유압 실린더(14)를 작동시킨다.
유압 실린더(14)는 유체를 수용하는 유압 탱크(13)를 가지며, 유압 실린더(14)로부터 후륜 브레이크에 포함된 한 쌍의 작동 실린더(17)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유압 라인(15,16)을 통하여 작동 실린더(17)를 작동시켜, 작동 실린더(17)의 피스톤이 후륜(18)에 설치된 브레이크 드럼(19)과 접촉되어, 후륜(18)을 브레이킹하여, 자동차는 파킹 상태로 된다. 이 때, 파킹을 위한 전류 경로중에 위치된 제 1 타이머(6)는 가변 모터(12)의 작동 시간을 제어하며, 타이머(6)의 작동 시간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P단에 위치된 변속 레버(1)가 D단으로 위치되면, 제 2 타이머(7)와 제 2 및 제 4 릴레이 스위치(9,11)을 통하는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즉, 변속레버(1)가 D단으로 위치되었을 때, 인히비터 스위치(2)는 D레인지로 전원을 공급하며, 이와 관련된 제 2 및 제 4 릴레이 스위치(9,11)가 온으로 되어, 제 2 릴레이(9), 가변 모터(12)의 a단자, b단자 및 제 4 릴레이(11)로 통하는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류 경로에 의하여 가변 모터(12)는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되어 작동 실린더(17)의 피스톤이 브레이크 드럼(19)으로 부터 후퇴되도록 유압 실린더(14)를 작동시킨다. 작동 실린더(17)의 피스톤이 후륜(18)에 설치된 브레이크 드럼(19)으로부터 후퇴되는 것에 의하여, 후륜(18)은 브레이킹 상태가 해제되어, 주행 상태로 전환된다.
이 때, 주차를 위한 전류 경로중에 위치된 제 2 타이머(7) 또한 제 1 타이머(6)와 같이 가변 모터(12)의 작동 시간을 제어하며, 타이머(7)의 작동 시간 또한 모터(12)의 작동 시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된 가변 모터(12)와 유압 실린더(14)는 바람직하게 종래의 파킹 장치에서 이퀄라이저가 설치되는 후방 액슬 중앙 부분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한 쌍의 유압 라인(15,16)은 이퀼라이저와 후륜 부레이크 사이에 설치된 한 쌍의 와이어가 설치되는 방식으로 유압 실린더(14)와 후륜(18)에 설치된 작동 실린더(17)사이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 자동차의 자동 파킹 장치에 의하면, 변속 레버의 변속 위치에 의하여 주차 브레이크 레버의 브레이킹 위치가 해제될 수 있으므로, 주차 브레이크 레버가 브레이킹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도, 변속 레버를 주행 상태로 변속하여 주행하는 것에 의하여 브레이크 라이닝이 급격히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자동 변속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변속 레버의 각각의 변속단에 접속되는 다수의 단자를 가지는 인히비터 스위치와; 상기 변속기의 P단과 D단에 각각 접속되는 한 쌍의 타이머, 및 각각의 타이머에 접속되는 2쌍의 릴레이 스위치를 구비하는 전류 변환 제어부와; 상기 전류 변환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에 의하여 회전 방향이 결정되는 가변 모터와; 후륜 브레이크 드럼과 작동하는 한 쌍의 작동 실린더에 각각 연결되는 유압 라인을 통하여 상기 작동 실린더를 작동하여 브레이킹 및 브레이킹 해제하도록 상기 가변 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 자동차의 자동 파킹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모터와 유압 실린더는 후방 액슬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 자동차의 자동 파킹 장치.
KR1019960011778A 1996-04-18 1996-04-18 자동 변속 자동차의 자동 파킹 장치 KR0152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778A KR0152627B1 (ko) 1996-04-18 1996-04-18 자동 변속 자동차의 자동 파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778A KR0152627B1 (ko) 1996-04-18 1996-04-18 자동 변속 자동차의 자동 파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710A KR970069710A (ko) 1997-11-07
KR0152627B1 true KR0152627B1 (ko) 1998-09-15

Family

ID=19456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778A KR0152627B1 (ko) 1996-04-18 1996-04-18 자동 변속 자동차의 자동 파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26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084B1 (ko) * 2000-11-22 2003-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주차장치 및 그 방법
KR100705126B1 (ko) * 2006-02-21 2007-04-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자식 파킹브레이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710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4304B2 (ja) 自動車の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0152627B1 (ko) 자동 변속 자동차의 자동 파킹 장치
KR0153303B1 (ko) 주차브레이크겸용 브레이크장치
KR100410917B1 (ko) 자동차용 주차제동 장치
KR20090057642A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장치
KR100216471B1 (ko) 중립 및 브레이크 겸용 선택레버 장치
KR0153301B1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장치
KR100405527B1 (ko) 주차브레이크 자동작동장치
KR19980049682A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KR100405529B1 (ko) 자동변속기의 기어 중립시 보조브레이크장치
KR100452192B1 (ko)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KR20020052257A (ko) 주차브레이크 보조장치
KR19980063236A (ko) 휠로다용 자동브레이크 시스템
JPH0260843A (ja) 作業車
KR19980044670U (ko)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KR19980022374A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해제장치
KR20000034107A (ko) 차량의 파킹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29304A (ko)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KR19980028808A (ko) 자동차의 급제동시 브레이크 작동장치
KR19980056827A (ko)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해제장치
KR19980034238U (ko)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9980044955U (ko) 주차브레이크 미해제시 주행방지장치
KR19980061040A (ko) 자동차의 자동변속장치
KR19980042108U (ko) 주차브레이크 자동해제장치
KR19980056590A (ko) 주차브레이크 자동해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