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2164B1 - 일체성형 면 파스너의 후크 구조체 - Google Patents

일체성형 면 파스너의 후크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164B1
KR0152164B1 KR1019950036653A KR19950036653A KR0152164B1 KR 0152164 B1 KR0152164 B1 KR 0152164B1 KR 1019950036653 A KR1019950036653 A KR 1019950036653A KR 19950036653 A KR19950036653 A KR 19950036653A KR 0152164 B1 KR0152164 B1 KR 0152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ross
shape
sectional area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6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274A (ko
Inventor
밋츠루 아케노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다다히로
Publication of KR960013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61Male or hook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6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having several, repeating, interlocking formations along length of fila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92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having mounting surface and filaments constructed from common piece of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0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fastener for attaching to external surface
    • Y10T428/24017Hook or barb

Landscapes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성형된 표면 파스너용 후크 구조의, 후크(10)의 자루(11)와 후크 모양의 결합부분(12)의 각각의 임의의 단면내에서, 단면적이 후크(10)의 중앙선에 대해서 전방측 및 후방측 단면적들(S1,S2)로 나뉘어지고, 전방측 단면적(S1)이 후방측 단면적(S2)보다 더 크게 되도록 한정된다. 그러므로, 후크(10)의 중립면은 자루(11)의 전방측과 후크 모양의 결합 부분(12)의 내측을 향하여 전형적인 것보다 추가적인 정도 만큼 이동되어 자루(11)의 전방 부분과 후크 모양의 결합 부분(12)의 내부 부분에서 발생가능한 인장 응력들을 감소시켜서, 동일한 수지의 양으로 제작되고 유사한 형상을 가진 전형적인 후크와 비교하여, 후크의 강도가 현저히 증가되며, 필수적으로, 자루의 전방 부분과 후크 모양의 결합 부분의 내부 부분 모두의 강성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증가하므로 변형되기 힘들게 되어, 강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동반 표면 파스너의 루우프와의 결합력을 증가시킨다.

Description

일체성형 면 파스너의 후크 구조체
제1도는 Ⅰ-Ⅰ, Ⅱ-Ⅱ 및 Ⅲ-Ⅲ선을 따라 각각 취해진 횡단면도를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후크의 정면도.
제3도는 Ⅰ-Ⅰ, Ⅱ-Ⅱ 및 Ⅲ-Ⅲ선을 따라 각각 취해진 횡단면도를 나타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후크의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후크의 정면도.
제5도는 Ⅰ-Ⅰ, Ⅱ-Ⅱ 및 Ⅲ-Ⅲ선을 따라 각각 취해진 횡단면도를 나타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후크의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후크의 정면도.
제7도는 Ⅰ-Ⅰ, Ⅱ-Ⅱ 및 Ⅲ-Ⅲ선을 따라 각각 취해진 횡단면도를 나타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후크의 측면도.
제8도는 제7도의 후크의 정면도.
제9도는 제7도의 후크의 변형된 부분을 도시하는 횡단면도.
제10도는 Ⅰ-Ⅰ, Ⅱ-Ⅱ 및 Ⅲ-Ⅲ선을 따라 각각 취해진 횡단면도를 나타낸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후크의 측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후크의 정면도.
제12도는 Ⅰ-Ⅰ, Ⅱ-Ⅱ 및 Ⅲ-Ⅲ선을 따라 각각 취해진 횡단면도를 나타낸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후크의 측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후크의 정면도.
제14도는 Ⅰ-Ⅰ, Ⅱ-Ⅱ 및 Ⅲ-Ⅲ선을 따라 각각 취해진 횡단면도를 나타낸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후크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보강 리브 10 : 후크
11 : 입상부 11a : 배면부
11b : 앞면부 12 : 후크형상 결합부
15 : 기본재 S1 : 앞면측 단면적
S2 : 배면측 단면적
[발명분야]
본 발명은 열가소성 합성 수지를 이용하여 평판형상 기본재와 다수의 후크를 압출 또는 사출에 의해 일체성형되는 면 파스너용의 결합부재에 관한 것이며, 특히 동일 수지량으로 성형되었으나 결합강도 및 내구성이 일층 향상된 후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루프 파일(loop piles)을 가지는 면 파스너에서는, 직물에 모노필라멘트를 직입()하고 그 일부를 절단하여 루프 파일을 형성하는 것이 종래에 알려진 기술이다. 이러한 형태의 면 파스너는 직물 특유의 유연성과 모노필라멘트의 유연성이 있으며, 대응 루프와의 결합 박리(剝離)시의 감촉이 극히 부드럽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더구나, 후크를 구성하는 모노필라멘트는 연신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경우에도 우수한 인장강도와 굽힘강도를 가진다. 부가적으로, 직물조직에 따른 초 고밀도의 후크군을 가지므로 결합율도 높고 적절한 내구성도 충분히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직물 타입의 면 파스너에서는 재료 소비가 크게 증가하고 다수 단계의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가의 저감을 도모하기가 곤란하다.
이러한 면을 개발하여, 압출 성형 또는 사출 성형으로 기본재와 후크편을 일체로 동시성형하는 일체성형 타입의 면 파스너가 있다. 이러한 종류의 면 파스너의 성형기술의 대표적인 예로는 영국 특허 제1319511호 및 재 87/06522호에 것이 있다. 그 성형원리는, 복수매의 후크편 성형용의 공동이 외주의 측면에 형성된 성형원반과 측면이 평탄면으로된 스페이서용 원반과를 상호 교차식으로 적층시켜 고정된 회전 드럼의 둘레면에 용융형상의 합성수지 재료를 압입하여, 평판형상 기본재와 일체로 형성된 공동내의 후크를, 드럼의 회전과 함께 기본재와 함께 일반하는 것이다. 그런데, 스페이서용 원반의 필요성은, 후크의 형상에 의한 후크의 전체 형상을 일개의 금형에 공동을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각각의 성형원반의 사이에 개재되는 일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일체성형 타입의 면 파스너에서는, 그 형(型)가공의 기술적 곤란성이 있기 때문에, 직물타입 면 파스너와 같은 섬세한 형상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그리고 형성된 후크편은 분자의 배향성이 형편없기 때문에, 상술된 모노필라멘트와 같은 후크편과 동일한 크기에서는 강도가 상당히 낮아 실용적이지 못하다. 또한, 상술된 후크편 구조에서는, 그 입상부의 단면형상은 단순한 것이므로 기초 기립부(根源 起立部)로부터 도산되기가 용이하다. 그 결과, 반복사용 후에 원래의 자세로 회복되지 않음으로써 루프재와의 결합율을 상당히 저하시킨다. 따라서,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각각의 후크편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한데, 이렇게 함으로써 후크를 강직하게 하고 단위 면적당의 후크의 수(후크편 밀도)를 감소시켜서 대응 루프재와의 결합율이 낮아진다.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결합 및 박리시에 직물타입의 면 파스너와 동일한 형태의 부드러운 감촉을 얻으면서 결합율이 높고, 충분한 회복강도가 확보된 신규한 후크편 구조가, 예를들면 미국 특허 제5,131,119호의 명세서에 개시되었다. 즉, 미국 특허 명세서에 개시된 일체성형 타입의 면 파스너는, 후크편이 평판형상 기본재로부터 완만한 곡선으로 경사져 상승하는 배면 및 상방향으로 상승하는 앞면을 가진 입상부의 선단부로부터 앞면측으로 후크형상 결합부를 연장 설치함과 함께, 동일한 후크형상 결합부의 선단부로부터 입상부의 기단부에 걸처 단면적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입상부의 측면에 보강 리브를 돌출설치시킨 것이다. 이러한 보강 리브는 상기 입상부의 횡방향 도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입상부와 후크형상 결합부를 필요한 요소의 결합강도가 유지되는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종래의 일체성형된 후크편 구조에서는, 횡단면의 형상에 관한 특별한 고려를 하지 않았다. 또한 상술된 명세서에 개시된 일체성형된 후크편 구조를 보면, 그 횡단면 형상이 단순한 삼각형, 사각형 또는 원형(타원형 포함)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후크편의 축선(중심선)에 수직하는 횡단면 형상은 그 입상부 및 후크형상 결합부의 섬세한 부위에도 그 중심에 관해서 배면측의 단면적이 앞면측의 단면적에 비해서 동일하거나 또는 크게 설정되게 된다. 즉, 도면의 중앙이 후크편의 중심선상에 있거나 또는 배면측에 있게 된다.
동일 면 파스너의 루프로부터 일체성형된 후크가 분리될 때, 인장응력이 후크의 중립선에 대하여 후크의 앞면측의 내부에 발생하는 반면에 압축응력은 후크의 배면측에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합성수지로 제조된 후크편은 압축응력에 대하여는 강하나, 인장응력에 대해서는 강체에 비해 현저히 약하다. 따라서, 상술된 종래의 단면구조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특히 극미한 후크편에서는 강도가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또한 가요성(可撓性)이 높아서 루프편에 대한 결합력이 현저히 낮게 된다. 또한, 횡단면적이 큰 후크편에서는 후크편과의 결합이 분리될 때, 결합력의 크기에 따라 후크편의 앞면측의 인장응력이 증가하므로 후크들이 파괴되거나 손상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후크의 크기와 관계없이, 일반적인 후크편과 비교하여 결합력이 증가되고, 후크편의 앞면측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가능한 최소로 설정할 수 있는 후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술된 과제는 본 발명의 주요한 구성으로 있는, 평판형상 기본재의 표면에 다수의 후크편이 일체로 돌출설치된 면 파스너용 결합부재에 있어서, 후크편은 기본재로부터 완만한 곡선상을 경사지게 상승하는 배면 및 상방향으로 상승하는 앞면을 가진 입상부와, 그 선단부로부터 만곡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후크형상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후크형상 결합부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입상부의 기단부에 걸친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후크편의 입상부의 기본재 표면에 평행한 단면 및 상기 후크형상 결합부의 하부면에 수직선을 포함하는 임의의 횡단면에서, 그 중심에 대해서 앞면측의 단면적을 배면측의 단면적 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성형 면 파스너의 후크편 구조에 의해 해결된다.
상기 횡 단면적 형상은 적절히 결정될 수 있으나, 양호한 것은 달걀형의 종방향 단면과 유사한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 U자 형상, 역 T자 형상, 십자형상, 또는 삼각형상인 것이다. 각 후크는 후크형상의 결합부의 선단부로부터 입상부의 기단부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가변식 단면적을 가진다. 더욱이, 각 후크는 입상부의 적어도 일 측면에 보강 리브를 돌출설치 할 수 있는 것이다.
[작용]
본 발명의 후크편의 도면의 중앙선이 입상부의 앞면측과 후크형상 결합부의 내측으로 치우쳐 있으므로, 그 결과 동일 후크편의 중립면이 도면의 중앙선으로부터 입상부의 앞면측과 후크형상 결합부의 내측을 이동되어, 상기 입상부의 앞면측과 후크형상 결합부의 하부측에서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감소시키므로, 동일한 수지량으로 동등한 형상을 갖는 종래의 후크편에 비하여, 본 발명의 후크편의 강도를 일층 증가시킬 수 있어, 당연히 상기 입상부의 앞면측과 후크형상 결합부의 하면측이 타측에 비하여 변형없이 강성이 증가하고, 대응 루프편과의 결합력도 증가시킨다.
U자 형상, 역 T자형상 또는 십자형상과 같이 이형 형상을 가질 수 있는 후크의 횡단면 형상은, 예를들면 십자형상인 경우, 후크의 강도가 증가되고, 동시에 입상부의 앞면측과 후크형상 결합부의 내측의 강도가 타측에 비하여 증가되므로, 대응 면 파스너의 루프와의 결합력을 증가시킨다. 더구나, 신축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후크로부터 루프가 분리될 때, 후크형상 결합부가 점진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루프가 후크형상 결합부의 선단부쪽으로 움직인다. 그 동안, 루프가 후크의 선단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루프가 후크의 십자형 단면의 좌우 돌출부를 마찰적으로 압박하여 돌출부의 탄력에 대항하여 변형시킨다. 이러한 이동시에의 루프편에는 상기 확장부의 좌우 단부와 십자형 단면의 좌우 단부의 탄성력 및 마찰력이 가해져 후크편으로부터 이탈이 곤란하여, 결과적으로 루프편과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이 참조된 실시예에 기본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후크편 구조예와 그 횡단면 변화를 나타낸 구조 설명도이고, 제2도는 후크편의 정면도이다.
제1도와 제2도에 있어서, 후크편(10)은 기본재(15)로부터 완만한 곡선으로 비스듬히 상승하는 배면(11a)과, 수직부를 거쳐 상방향으로 상승하는 앞면(11b)을 가진 입상부(11)와, 입상부(1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며 하방으로 만곡된 후크형상 결합부(12)를 구비한다. 후크편(10)은 후크형상 결합부(12)의 선단부로부터 입상부(11)의 기단부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횡단면적을 가진다. 더욱이, 도시된 예에서, 후크편(10)은 상기 입상부(11)로부터 상기 후크형상 결합부(12)까지 그 좌우측면에서 돌출된 산(山)모양의 보강 리브(13)를 지나,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보강 리브(13)가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보강 리브(13)는 기단부쪽으로 두터워지는 다단계로 형성하거나, 또는 입상부(11)의 상단부를 상기 후크형상 결합부(12)의 도중까지 연장 설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후크편(10)은 특히 그 입상부(11)의 횡단면 형상 및 후크형상 결합부(12)의 횡단면에 특징을 갖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후크편(10)의 입상부(11)의 기본재(15)에 평행한 단면 및 상기 후크형상 결합부(12)의 하면에 있어서의 수직선을 포함하는 임의의 횡단면에 있어서, 측면에서 볼 때 중앙선에서 단면적이 앞면측과 배면측 단면적(S1,S2)으로 나누어질 때, 앞면측 단면적(S1)이 배면측 단면적(S2)보다 더 크게 설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후크편(10)의 중심선(L)은 모든 횡단면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 폭중의 하나에서 최대의 폭을 가진 연속적인 중앙점의 궤적인 곡선이다. 이하의 각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도면에서 동일 부분 또는 요소에 동일 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입상부(11)와 후크형상 결합부(12)의 각각의 단면 윤곽은 임의로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설명된 예에서, 입상부(11)의 앞면은 기본재(15)의 후방측을 향하여 곡선으로 서서히 상승하고 중간의 위치로부터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대신에, 입상부(11)의 앞면은 기본재(15)로부터 직접 수직으로 상승할 수 있는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제1실시예에 있어서, 입상부(11)와 후크형상 결합부(12)의 각각의 횡단면 형상은 일반적으로 사다리꼴이다. 사다리꼴 모양의 상부측은 입상부(11)의 배면측과 후크형상 결합부(12)의 외측을 한정하고, 사다리꼴 모양의 하부측은 입상부(11)의 앞면측과 후크형상 결합부(12)의 내측을 한정하며, 전체 횡단면적은 후크형상 결합부(12)의 선단부로부터 입상부(11)의 기단부까지 점차로 증가한다. 이러한 단면 형상을 사용하면, 후크편(10)의 도면의 중앙선이 입상부(11)의 앞면측과 후크형상 결합부(12)의 내측으로 편심되게 위치한다. 그 결과, 후크편(10)의 중립면이 도면의 중앙선으로 하여금 입상부(11)의 앞면측과 후크형상 결합부(12)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입상부(11)의 앞면측과 후크형상 결합부(12)의 내측에서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감소시켜서, 동일 수지량으로 동등한 형상을 가지는 종래 후크편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후크편(10)의 강도가 일층 높아지고, 동시에 입상부(11)의 앞면측과 후크형상 결합부(12)의 내측의 강성이 타측에 비하여 증가하므로, 변형하기 힘들게 되어 대응 면 파스너의 루프와의 결합력도 증가된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며, 여기서 횡단면 형상은 달걀을 종방향 축을 따라 취해진 단면 형상과 유사하다. 이러한 달걀 모양의 단면은 작은 폭의 단면측이 후크편(10)의 배면측을 제한하는 반면에 달걀 모양의 단면의 긴 폭을 가진 쪽은 입상부(11)의 앞면측과 후크형상 결합부(12)의 내측을 한정한다.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후크편(10)의 횡단면 형상은 두 인접한 측이 나머지 두 측보다 더 짧은 마름모 형상이며 입상부(11)의 앞면측과 후크형상 결합부(12)의 내측에 위치한다.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후크편(10)의 횡단면 형상은, 광폭을 가진 쪽이 입상부(11)의 앞면측과 후크형상 결합부(12)의 내측에 위치한, 역 T자 모양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광폭부(10a)의 종방향(제7도의 좌우 방향)의 폭(L1)은 후크(10)의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광폭부(10a)의 두께(L2)가 후크편(10)의 선단부로부터 기단부까지 점차 증가한다. 물론, 역 T자형상의 단면은 후크편(10)의 선단부로부터 기단부까지 유사하게 증가할 수 있다. 대신, 제9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횡단면의 형상은 그 반대측 돌출부(10b)가 입상부(11)의 앞면측과 후크형상 결합부(12)의 내측에 편심되게 위치한 십자형상인 경우도 있다.
또한, 제7도 내지 제9도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후크편(10)의 강도는 제1 및 제2실시예와 같이 현저히 증가하며, 동시에 입상부(11)의 앞면측과 후크형상 결합부(12)의 내측이 타측과 비교할 때 증가된 강성을 가지므로, 대응 면 파스너의 루프와의 결합력을 증가시킨다. 제4실시예에서, 루프가 후크편(10)으로부터 해제될 때, 루프는 긴장방향으로 인장되며, 루프가 후크편(10)의 후크형상 결합부(12)를 서서히 일어서도록 함에따라 후크형상 결합부(12)의 선단부를 향하여 이동된다. 본 실시예의 후크편(10)에서는, 이러한 이동시에 루프가 후크편(10)의 선단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이동됨에 따라 루프가 광폭부(10a)의 좌우 단부구역 또는 십자형 단면의 좌우 돌출부(10b)를 마찰적으로 압박하여 변형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이동시의 루프편에는 상기 광폭부(10a)의 좌우 단부구역과 십자형 단면의 좌우 돌출부(10b)의 탄성력 및 마찰력이 가해져 루프를 후크편(10)으로부터 이탈하기가 곤란하여 결과적으로 루프편과의 결합력을 증가시킨다.
제10도 내지 제13도는 제5 및 제6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여기서 후크편(10)의 횡단면은 U자 형상을 가진다. 제5실시예에서, 일반적으로 U자형상의 홈부(10c)가 입상부(11)의 배면측과 후크형상 결합부(12)의 외측에 위치하며 후크편(1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형상을 가진다. 제6실시예에서, U자 형상의 홈부(10c)는 후크편(10)의 좌우측면중의 하나(제12도에서, 좌측 표면)에 위치하며, 입상부(11)의 기단부로부터 후크형상 결합부(12)의 선단부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폭(W1)을 가진다. 제5 및 제6실시예에서는, 제3 및 제4실시예와 같이, 후크(10)의 강도가 현저히 증가하며, 동시에 입상부(11)의 앞면측과 후크형상 결합부(12)의 내측의 강도가 모두 타측과 비교하여 증가한다. 게다가, 홈형성 부분에 있어서 후크편이 후크편(10)을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홈부(10c)의 좌우 돌출부(10d)가 루프에 의해 마찰식으로 압박을 받아 변형되어 루프가 좌우 돌출부(10d)의 탄성과 마찰력으로 인하여 후크(10)로부터 이탈하기가 곤란하여, 결과적으로 루프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킨다.
제14도는 제7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후크(10)의 횡단면은 삼각형이다. 제7실시예에서, 세 각중의 하나가 입상부(11)의 배면측에 위치한다. 상술된 실시예와 같이, 제7실시예에서의 후크(10)의 강도도 현저히 증가하며, 동시에 입상부(11)의 앞면측과 후크형상 결합부(12)의 내측 모두의 강성이 타측에 비하여 증가한다.
[발명의 효과]
상술된 바의 본 발명의 후크 구조에 따르면, 기본재에 평행한 선을 따라 입상부의 횡단면과 후크형상 결합부의 하면에서 수직선을 포함한 임의의 횡단면의 각각에서, 횡단면적이 앞면측 및 배면측 단면적으로 나누어지고, 앞면측 단면적이 배면측 단면적보다 더 크도록 설정되어진다. 그러므로, 후크의 중립면은 입상부에 앞면측과 후크형상 결합부의 내측을 향하여 일반적인 정도보다 더욱 이동되어 입상부의 앞면측과 후크형상 결합부의 내측에서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감소시켜서, 동일한 수지량으로 제조되고 동등한 형상을 가진 종래 후크와 비교할 때, 후크의 강도가 일층 높아지고, 당연히 입상부의 앞면측과 후크형상 결합부의 내측 모두가 타측과 비교하여 증가된 강성을 가져서 변형이 곤란하고, 대응 루프와의 결합력도 증가된다.
후크의 횡단면이 십자형상, 역 T자형상 또는 U자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는, 대응 면 파스너의 루프가 이탈방향으로 인발됨에 따라 후크 위를 이동할 때, 후크의 박부(薄部, small thickness part)가 루프에 의하여 마찰적으로 압착됨에 따라 탄성 변형을 일으켜서 후크와 루프사이에 탄성력 및 마찰력이 동시에 작용하여 루프가 후크로부터 이탈이 곤란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루프구조는 루프와의 결합력을 더욱 증가시키게 된다.

Claims (9)

  1. 평판형상 기본재(15)와, 상기 기본재(15)의 일면에 성형되고 그 면으로부터 돌출한 다수의 후크(10)를 포함하는 일체성형 면 파스너의 후크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후크(10)의 각각은 기본재(15)로부터 완만한 곡선상으로 경사져 상승하는 배면(11a)과 기본재(15)로부터 상방향으로 상승하는 앞면(11b)을 갖는 입상부(11)와, 입상부(11)의 선단부로부터 만곡되어 전방방향으로 연장하는 후크형상 결합부(12)를 구비하고, 기본재(15)의 표면에 평행한 선을 따라 후크(10)의 입상부(11)의 횡단면과 후크형상 결합부(12)의 하면에서 수직선을 포함한 횡단면에서, 단면적이 중심에 대하여 앞면측 및 배면측의 단면적(S1,S2)으로 나누어질 때, 앞면측 단면적(S1)이 배면측 단면적(S2)보다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성형 면 파스너의 후크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성형 면 파스너의 후크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면의 형상이 달걀의 종단면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성형 면 파스너의 후크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면의 형상이 U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성형 면 파스너의 후크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면의 형상이 역 T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성형 면 파스너의 후크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면의 형상이 십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성형 면 파스너의 후크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면의 형상이 삼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성형 면 파스너의 후크 구조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10)는 후크형상 결합부(12)의 선단부로부터 입상부(11)의 기단부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가변형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성형 면 파스너의 후크 구조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10)는 입상부(11)의 일 측면에 보강 리브(3)를 돌출 설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성형 면 파스너의 후크 구조체.
KR1019950036653A 1994-10-24 1995-10-23 일체성형 면 파스너의 후크 구조체 KR01521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58153 1994-10-24
JP25815394A JP3183785B2 (ja) 1994-10-24 1994-10-24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フック片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274A KR960013274A (ko) 1996-05-22
KR0152164B1 true KR0152164B1 (ko) 1998-10-15

Family

ID=17316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6653A KR0152164B1 (ko) 1994-10-24 1995-10-23 일체성형 면 파스너의 후크 구조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604963A (ko)
EP (1) EP0709038B1 (ko)
JP (1) JP3183785B2 (ko)
KR (1) KR0152164B1 (ko)
CN (1) CN1115117C (ko)
AU (1) AU680780B2 (ko)
BR (1) BR9504875A (ko)
CA (1) CA2160057C (ko)
DE (1) DE69525897T2 (ko)
ES (1) ES2171484T3 (ko)
ZA (1) ZA9588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4529B2 (ja) * 1996-06-06 2004-02-09 Ykk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US5900350A (en) * 1996-06-06 1999-05-04 Velcro Industries B.V. Molding methods, molds and products
JP3461662B2 (ja) * 1996-06-06 2003-10-27 Ykk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US6054091A (en) * 1996-10-03 2000-04-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J hook-type hook strip for a mechanical fastener
US5953797A (en) * 1996-10-09 1999-09-21 Velcro Industries B.V. Hook fasten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6930277B2 (en) 1997-09-10 2005-08-16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 element molding
US5887320A (en) * 1997-03-21 1999-03-30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 component with flexible fastener members
US5868987A (en) * 1997-06-19 1999-02-09 Minnesotamining And Manufacturing Superimposed embossing of capped stem mechanical fastener structures
GB2327710A (en) * 1997-07-25 1999-02-03 Ykk Europ Ltd Surface fastener engaging elements
US5875527A (en) * 1997-08-29 1999-03-02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 element arrangement
US5884374A (en) 1997-11-20 1999-03-23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 members and apparatus for their fabrication
JP3505074B2 (ja) * 1998-01-22 2004-03-08 Ykk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
EP1106436A1 (en) 1999-12-09 2001-06-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and sheet to restrain movement of an article on a fibrous surface in a vehicle
US6904649B2 (en) * 2001-01-31 2005-06-14 Velcro Industries B.V. Direct hook engagement
US7052636B2 (en) * 2002-01-15 2006-05-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eat treated profile extruded hook
DE10247831A1 (de) * 2002-10-15 2004-04-29 Werner Sand Haltemitt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altemittels
US7225510B2 (en) 2003-03-05 2007-06-05 Velern Industries B.V. Fastener product
US7716792B2 (en) * 2003-10-15 2010-05-18 Velero Industries B.V. Touch fastener elements
US7516524B2 (en) 2005-03-11 2009-04-14 Velcro Industries B.V. Hook fastener components and methods of their manufacture
FR2922805B1 (fr) * 2007-10-26 2013-09-06 Aplix Sa Bloc d'insertion pour la formation d'un champ de crochets sur un objet moule par injection et objet moule comportant un champ de crochet de ce genre
TW201137248A (en) * 2010-04-21 2011-11-01 Taiwan Paiho Ltd Injection molded hook structure of velcro fastener and velcro fastener having the same
CN103002764B (zh) * 2010-04-27 2017-02-15 维尔克有限公司 凸接触固紧件元件
BR112015008344B1 (pt) * 2012-10-15 2021-04-27 Velcro BVBA Método de formação de um produto prendedor de contato, e produto prendedor de contato
US10064440B2 (en) * 2013-11-20 2018-09-04 Ian Levine Medical gown
DE112014006462B4 (de) * 2014-03-13 2023-03-16 Ykk Corporation Gegossener Flächenhaftverschluss, Polsterkörpe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olsterkörpers und Gießform
WO2018150493A1 (ja) * 2017-02-15 2018-08-23 Ykk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及び成形面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並びに成形装置
EP3651605B1 (en) 2017-07-11 2021-01-13 Velcro Bvba Forming fastener e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19512A (en) 1969-05-14 1973-06-06 Rech Dev Tech Moulded plastics product
NL7901732A (en) * 1969-05-14 1979-09-28 Rech Dev Tech Moulding continuous hooked pile sheet
US3708833A (en) * 1971-03-15 1973-01-09 American Velcro Inc Separable fastening device
US3762000A (en) * 1971-11-11 1973-10-02 M Menzin Production of a continuous molded plastic strip
US4775310A (en) 1984-04-16 1988-10-04 Velcro Industries B.V. Apparatus for making a separable fastener
JPH0437452Y2 (ko) * 1986-11-26 1992-09-03
US4984339A (en) * 1988-10-20 1991-01-15 Velcro Industries B.V. Hook for hook and loop fasteners
JPH0431512U (ko) 1990-07-03 1992-03-13
US5315740A (en) * 1992-08-20 1994-05-31 Velcro Industries, B.V. Hook for hook and loop fasteners
US5339499A (en) * 1993-02-16 1994-08-23 Velcro Industries B.V. Hook design for a hook and loop faste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3640A (zh) 1996-06-05
BR9504875A (pt) 1997-09-02
JPH08117007A (ja) 1996-05-14
DE69525897T2 (de) 2002-11-07
CA2160057A1 (en) 1996-04-25
DE69525897D1 (de) 2002-04-25
ES2171484T3 (es) 2002-09-16
ZA958854B (en) 1996-05-15
AU3311395A (en) 1996-05-02
EP0709038A2 (en) 1996-05-01
CN1115117C (zh) 2003-07-23
EP0709038A3 (en) 1997-08-20
KR960013274A (ko) 1996-05-22
JP3183785B2 (ja) 2001-07-09
US5604963A (en) 1997-02-25
AU680780B2 (en) 1997-08-07
CA2160057C (en) 1999-01-26
EP0709038B1 (en) 200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2164B1 (ko) 일체성형 면 파스너의 후크 구조체
JP2886455B2 (ja)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係着片構造
US5131119A (en) Hook structure for integrally molded surface fastener
JP3093938B2 (ja)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フック片構造
EP0684774B1 (en) Hook for a hook and loop fastener
KR950001606Y1 (ko) 성형된 표면 파스너
KR0144518B1 (ko) 일체 성형면 파스터의 후크 구조물
KR0152165B1 (ko) 성형 면파스너
JP2854222B2 (ja)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フック片構造
US7716792B2 (en) Touch fastener elements
GB1572927A (en) Slide fastener with moulded element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060200952A1 (en) Touch fastener element loop retention
JP3308417B2 (ja) 成形面ファスナーのフック片構造
JP2702095B2 (ja)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フ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