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2165B1 - 성형 면파스너 - Google Patents

성형 면파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165B1
KR0152165B1 KR1019950046634A KR19950046634A KR0152165B1 KR 0152165 B1 KR0152165 B1 KR 0152165B1 KR 1019950046634 A KR1019950046634 A KR 1019950046634A KR 19950046634 A KR19950046634 A KR 19950046634A KR 0152165 B1 KR0152165 B1 KR 0152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base material
loop
granular
surface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6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840A (ko
Inventor
미츠루 아케노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다다히로
Publication of KR960020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1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61Male or hook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5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with feature facilitating or causing attachment of filaments to mounting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92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having mounting surface and filaments constructed from common piece of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의 면파스너 구조에 있어서, 기판 시이트(15)는 상대방 루프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큰 중공부를 각각 형성하는 다수의 딤플(15a)을 가지며, 결합요소(10)는 딤플(15a)의 하부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그로부터 직립한다. 본 발명의 면파스너에 의하면, 결합요소의 외형상 높이는 짧으며 성형 면파스너의 가요성은 보장된다. 결합요소는 측방향으로 그리고 전방으로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반복 사용에 대한 적정 내구성이 얻어지며 기판 시이트의 가요성과 모울딩의 신뢰성은 향상되고 또한 상대방 면파스너의 루프와의 결합력이 보장되고 결합율이 증가한다.

Description

성형 면파스너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형 면파스너의 부분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면파스너의 부분 상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면파스너의 부분 정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1변형예의 부분 상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제1변형예의 부분 정면도.
제6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2변형예의 부분 상면도.
제7도는 제6도에 도시된 제2변형예의 부분 상면도.
제8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3변형예의 부분 상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된 제3변형예의 부분 상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성형 면파스너의 부분 측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된 성형 면파스너의 부분 상면도.
제12도는 제10도에 도시된 성형 면파스너의 부분 정면도.
제13도는 성형 면파스너가 성형되는 동안에 후크 형상이 교정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제1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성형 면파스너의 부분 측면도.
제15도는 제14도에 도시된 성형 면파스너의 횡단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성형 면파스너의 부분 측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성형 면파스너의 부분 상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부분 측면도.
제19(a)도 내지 제19(c)도는 제17도의 Ⅱ-Ⅱ선, Ⅲ-Ⅲ선 그리고 Ⅳ-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20도는 종래 성형 면파스너의 부분 측면도.
제21도는 제20도에 도시된 종래 성형 면파스너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7 : 입상부 11a : 배면
11b : 전방면 12,18 : 루프 결합부
13a,19 : 보강 리브 15 : 기본재
15a : 요함부 20 : 루프
본 발명은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압출 또는 사출 성형하여 평판형상 기본재와 다수의 결합요소를 일체로 성형시킨 면파스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연성과 강인성 모두를 가지며 고 내구성으로 풍부한 고 결합률이 확보된 기본재 표면에 대하여 짧은 후크를 가진 일체성형 면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압출 또는 사출 성형하여 기본재와 후크를 동시에 일체적으로 성형시킨 면파스너의 예로는 미국 특허 제4,984,339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면파스너는 예를 들어 공업용 자재, 차량용 또는 실내 장식재, 일용품 그리고 기저귀와 같은 위생용품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되도록 크기와 형상이 상이한 다양한 종류의 면파스너가 제조되고 있다.
상기 미국 특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임의적인 일체성형 면파스너에 있어서는, 그 형가공의 기술적 곤란성으로 복잡한 직물타입과 같은 섬세한 형상의 후크를 얻을 수가 없었다. 또한, 미소한 치수의 후크를 성형하는 경우에, 종래 직물타입의 면파스너의 모노필라멘트 후크와 동일한 크기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 강도의 것을 얻을 수 밖에 없으므로, 이러한 성형 면파스너가 실용화되기에는 상당히 불만족스러웠다. 또한, 종래 성형 후크의 구조는, 입상부의 단면 형상이 단순하여, 입상부가 근원(根源) 기립부(起立部)로부터 횡방향으로 쉽게 무너져 평평하게(fall flap)되어, 종래 입상부는 반복 사용후에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지 아니하여, 대응 루프재와의 결합율이 저하되었다. 그러므로,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는, 필연적으로 각각의 후크 자체의 크기를 증가시켜야 하나, 이러한 사실은 후크를 강직하게 만들뿐만 아니라, 단위 면적당 후크의 개수(후크 밀도)를 감소시키어 대응 루프와의 결합율이 저하되게 한다.
해결책으로서,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131,119호는 횡방향으로 무너져 평평하게 되지 않으면서 대응 루프와의 결합 및 박리(剝離)시에 직물 타입 면파스너와 같이 부드러운 감촉을 얻을수 있고, 또한 결합율도 높고 충분한 회복 강도와 내구성이 확보되는 신규한 후크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첨부도면 제20도와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국 특허에 개시된 성형 면파스너는, 각각의 후크(10')가 입상부(11')의 기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후크형 결합부(12')와 상기 입상부(1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보강 리브(13')를 구비하고 있다. 입상부는 기본재(15')로부터 완만한 곡선 상태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배면(11a')과, 기본재(15')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전방면(11b')을 갖고 있다. 후크(10')의 단면적은 후크형 결합부(12')의 선단부(先端剖)로부터 입상부(11')의 기단부(基端部)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것이다. 보강 리브(13')는 입상부(11')가 횡방향으로 무너져 평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며, 적절한 결합력을 보장하면서 입상부(11')와 후크형 결합부(12')의 크기를 최소화시킨다.
또한, 후크를 대신하여 결합요소로써 버섯형상 결합요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타입의 결합요소는 상대방 루프와의 결합력이 크기 때문에 그 크기가 최소로 될 수 있는 것이라고 하더라도 소정의 결합력이 보장되므로, 유연성을 필요로 하는 용도의 것에 적절히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된 미국 특허 명세서를 포함하는 종래 성형 면파스너에서는, 모든 후크가 기본재의 평탄면에 일체로 성형되고 그리고 그로부터 직립되는 것이다. 후크가 상대방 루프에 확실하게 삽입되도록, 후크형 결합부(12')의 선단부 하단면과 기본재(15')의 표면과의 사이의 거리를 예를 들면 제20도에서의 상대방 루프의 도시않은 멀티필라멘트사()의 크기에 적어도 수 배로 설정할 필요가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 후크(10')의 크기는 상대방 루프의 크기와 비교하여 결정되게 된다. 예를 들면, 적절한 유연성과 소형 크기를 가지며 종이 기저귀 등에 적합한 후크를 성형하는 경우에는, 상대방 루프가 삽입할 수 있도록 후크형 결합부(12')의 선단부와 기본재(15')와의 거리는 가능한 최소가 되도록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소정의 결합강도를 확보하여야 하는 경우에, 후크(10')의 높이는 자체적으로 결정되므로 그 보다 낮은 수치로 설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후크(10')가 기본재(15')의 표면으로부터 직립되면, 전체 입상부(11')가 기본재(15')의 표면에 노출되어, 면파스너 표면의 감촉을 유연하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후크(10')의 크기가 감소되면, 전체 후크형 결합부(12')는 상대방 루프와 결합할 수 없도록 압압되어 전방으로 절곡되므로, 전체 면파스너의 결합율은 현저하게 저하되게 된다.
한편, 상술된 버섯형상 결합요소의 경우에는, 크기가 감소되면, 입상부는 필연적으로 얇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버섯형상 결합요소는 그 구조적인 특징 때문에 상대방 루프와 현수 결합상태로 결합하면, 결합요소가 결합부와 입상부와의 사이에 파손을 유발시키어, 내구성이 감소된다. 또한, 입상부가 얇게 제조되면, 결합요소는 루프와 결합되기가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후크형 또는 버섯형 결합요소의 크기가 상술된 바와 같이 감소되는 경우에 면파스너의 유연성이 확보될 필요가 있으면, 기본재의 두께 또한 얇게 제조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본재의 두께가 얇게 설정되면, 연속성형시에 있어서 성형을 종료한 면파스너의 결합요소를 형으로부터 인발할 때 기본재가 불균일하게 연장되거나 또는 찢어지는 경향이 있어서, 안정된 성형이 불가능하다. 또한, 어려움 없이 성형이 무사히 종료되더라도, 성형후의 기본재는 우글우글하게 되어 실용화하기에 부적합한 것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부의 두께가 보장되고 결합요소의 높이가 종래에 비하여 짧아서 결합요소가 과도하게 횡방향으로 또는 전방으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반복 사용에 대해서도 적절한 내구성을 가질뿐만 아니라 대응 면파스너의 루프와의 고 결합율을 확보하면서 평판형상 기본재의 필요한 유연성과 인열(引裂)강도를 확보하는 일체성형 면파스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기본재와 상기 기본재의 일 표면에 성형되고 그로부터 돌출되는 다수의 결합요소를 포함하는 성형 면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기본재는 상기 일 표면에서 필요한 임의 위치에 필요한 임의 개수의 요함부(dimple)를 가지며, 상기 결합요소 각각은 관련 요함부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입상부와, 상기 입상부의 선단부에 형성된 후크형 결합부를 갖는 성형 면파스너에 의해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요함부 각각은 대응 면파스너의 루프가 도입될 수 있는 폭을 갖는 것이다.
상기 결합요소는 양호하게 완만하게 입상(立上)된 후방면과 상방으로 입상된 전방면을 갖는 입상부와, 상기 입상부 선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며 그리고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후크형 결합부를 구비하는 후크인 것이다.
상기 각각의 후크는 입상부의 한 측면에 보강 리브를 갖는다. 다수의 보강 리브는 열(列)방향으로 인접한 결합요소에 의해 한정된 중간부분의 측면부에서 기본재의 표면으로부터 독립된 보강 리브를 돌출 설치하도록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후크의 측면에 제공된 보강 리브는 생략될 수 있으며 단지 독립된 보강 리브만이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 각각의 요함부는 선행 후크의 후방면으로부터 후속 후크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가변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요소는 거의 수직되게 입상된 입상부와 상기 입상부의 상단부에서 플랜지형상으로 일체로 팽창되는 루프 결합부를 구비하는 버섯형 결합요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접한 결합요소의 쌍에 의하여 한정된 쌍을 이루는 공간 사이의 위치에 기본재의 표면에 다수의 독립된 보강 리브가 제공된다.
상술된 구조에 의하면, 결합요소의 결합부 하부면과 입상부의 기단부(요함부의 하부면)와의 사이의 거리는 종래의 것과 동일하지만, 결합요소가 기본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정도는 요함부의 깊이를 결합요소의 실제 높이에서 공제한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비록 종래와 동일한 크기를 갖지만, 결합요소는 실제 보다 짧게 보인다. 상술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면파스너의 결합요소가 상대방 루프와 결합하면, 루프의 선단부는 관련 요함부에 의하여 안내되는 바와 같이 결합요소의 루프 결합부 아래에 도입되어 결합요소의 입상부의 기단부까지 안내되어, 후크형 결합부가 루프에 원할하게 삽입되고 종래와 같이 동일한 루프와의 결합율을 보장한다.
또한, 결합요소가 후크이면, 루프는 후크의 후크형 결합부 아래에 자연적으로 도입된다. 즉, 입상부의 후방면이 요함부로부터 완만한 곡선으로 경사지게 입상되기 때문에, 루프는 동일한 후방면에 대항하여 압압을 받으면 입상부의 배면을 따라 요함부에 인입된다. 그리고, 루프는 후속 후크의 후크형 결합부 아래에 자체적으로 인입된다.
또한, 후크가 입상부의 기단부로부터 후크형 결합부의 선단부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가변적인 단면적을 가지면, 기본재의 표면 위로 돌출하는 후크 부분은 상대적으로 얇고, 그 결과 후크는 종래와 동일한 결합력에도 불구하고 유연성이 있게된다. 또한, 후크는 입상부의 양 측면 각각에 한쌍의 보강 리브를 가지므로 횡방향으로 넘어져 평평하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가 리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후크의 기단부가 요함부의 내부에 매설되어 종래 후크와 비교하여 후크는 횡방향으로 넘어저 평평하게 되지 않게 된다. 또한, 인접한 결합요소 쌍에 의하여 한정된 중간 부분의 측면 지점에서 기본재의 표면에 보강 리브가 제공된 경우에, 보강 리브는 결합요소 사이에서 기본재의 인열 강도가 보강 리브에 기인하여 보장되며, 보강 리브는 결합요소의 결합부 아래에서 상대방 루프를 안내하도록 안내 부재로서 기능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후크구조를 갖는 면파스너의 부분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상면도, 그리고 제3도는 제1도의 정면도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후크(10)는 평판형상 기본재(15)의 일 표면상에 다수 열로 배열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동일한 열을 이루고 있는 후크(10)는 동일 방향을 향하고, 인접한 열에 있는 후크(10)는 반대 방향을 향한다. 각각의 후크(10)와 후크가 배치되어 있는 기본재(15)의 부분은 모든 열에서 구조가 동일하므로, 이후의 설명은 면파스너 부분에 대한 설명만을 한다.
기본재(15)의 표면에서, 다수의 후크 열이 형성된 지점에는 모든 열을 따라 거의 직사각형인 요함부(15a)가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된다. 각각의 요함부(15a)의 하부면은 전단부 및 후단부에서 각각의 인접한 전후의 후크(10)의 입상부(11)에서 전방면(11b) 및 배면(11a)의 각 기단부를 공유한다. 즉, 제1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열을 이루는 두 인접 후크(10)에서, 후방 후크(10)의 입상부(11)의 전방면 기단부는 기본재(15)에서 요함부(15a)의 하부면으로부터 소정의 곡률로 후방으로 입상되고, 전방 후크(10)의 입상부(11)의 배면 기단부는 동일한 요함부(15a)의 하부면으로부터 완만한 곡률로 전방으로 점진적으로 입상한다. 각각의 후크(10)는 입상부(11)의 선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하향 절곡된 후크형 결합부(12)를 가지며, 입상부(11)의 상부 대부분과 전체 후크형 결합부(12)는 기본재(15)의 표면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후크(10)는 입상부(11)의 양 측면 각각에 한쌍의 제1보강 리브(13)를 가지며, 각각의 제1보강 리브(13)는 좌우 양측면에서 산(山)형상으로된 측면형상을 갖게 된다. 요함부(15a)는 보강 리브(13)의 양 측면간의 거리와 동일한 폭(W1)을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3도의 전방측과 후방측에서 볼 때의 후크(10)에 있어서, 대향하는 보강 리브(13)를 구비하는 후크 기단부는 기본재(15)에 형성된 요함부(15a)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체형으로 돌출된 것이다. 요함부(15a)의 하부면은 후크(10)의 배면(11a)으로부터 후방으로 인접하는 후크(10)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가변 깊이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기본재(15)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후크(10)가 상대방 루프(20)로부터 박리시에 후크(10)가 받는 힘을 무리하지 않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 기술되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요함부(15a)의 하부면 형상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의 것이다.
요함부(15a)의 하부 형상은 상술된 형상에 한정받지 않고 단순한 평탄면일 수도 있는 것이다. 열을 이루는 방향으로 인접한 요함부(15a)는 상호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또한, 요함부(15a)는 기본재(15)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정렬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전방 후크(10) 및 후방 후크(10)에 의하여 한정된 중간부의 측면부분에 기본재의 표면에 제공된 보강 리브(13a)(후술됨)가 생략되면, 소정의 인열 강도가 확보되고 유연성이 향상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면파스너에 있어서, 후크형 결합부(12)의 선단 하부면과 입상부(11)의 기단부와의 사이의 거리(L')는 종래의 것과 동일하고, 후크형 결합부(12)의 선단 하부면과 기본재(15)의 표면 사이의 거리(L)는 실질적인 높이 또는 거리(L')에서 요함부(15a)의 깊이(D)를 제한 값과 동일하다. 따라서, 기본재(15)에 직립된 후크(10)의 실제 높이가 종래의 것과 동일하지만, 기본재(15)의 표면 상방의 외관상 후크 높이는 실제 높이 보다 요함부(15a)의 깊이(D)만큼 짧다. 기본재에 형성된 상기 요함부(15a)에 의해서, 기본재(15)의 유연성은 외형상의 두께가 종래와 동일하더라도 현저히 개선될 수 있는 것이다. 기본재(15)는 그 성형후에 형(mold)으로부터 면파스너가 박리되는 동안 늘어나거나 찢어지지(引裂)않는다. 그 결과, 성형후의 제품은 기본재(14)가 우글우글(wavy)하게 되지 않으므로 실제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고품질의 제품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후크(10)와 상대방 루프(20)가 상호 결합하면, 루프(20)의 선단부는 요함부(15a)에 의해 안내되는 바와 같이 후크형 결합부(12) 아래에 도달하여 입상부(11)의 기단부까지 안내되며, 그리고 후크형 결합부(12)는 루프(20)에 원만하게 삽입된다. 그러므로, 종래와 비교하여 결합율에 차이가 없게 된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특징은 루프(20)가 후크(10)의 후크형 결합부(12) 아래에 자신의 힘으로(by itself) 인입하는 것이다. 즉, 후크(10) 입상부(11)의 후방면이 완만한 곡선으로 경사지게 입상되기 때문에, 배면(11a)에 대항하여 가압된 루프(20)는 배면(11a)을 따라 요함부(15a)에 삽입되어 후크(10)의 후방에 존재하는 후크(10)의 후크형 결합부(12) 아래에 자기의 힘으로 인입된다.
또한, 후크(10)가 입상부(11)의 기단부로부터 후크형 결합부(12)의 선단부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가변 단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기본재(15)의 표면 상방으로 돌출하는 후크(10)의 일부는 비교적 얇으며 종래 후크(10')와 동일한 결합력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유연성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후크(10)가 입상부(11)의 양 측면에 보강 리브(13)를 가지기 때문에, 후크(10)가 횡방향으로 무너져 평평하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 리브(13)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후크(10)의 기단부가 기본재(15)의 요함부(15a)에 매설되어 있는 상태로 있기 때문에, 종래 후크(10')와 비교하여 후크(10)는 횡방향으로 무너져 평평하게 되는 정도가 현저하게 적어진다.
제4도 및 제5도는 상기 실시에의 제1변형예를 도시한다. 변형예에 따르면, 요함부(15a)는 대향 보강 리브(13)의 각각의 절반부 폭과 후크(10)의 폭 합계와 동일한 폭(W2)을 가지며 후크 열의 중앙에 배치된다. 제6도 및 제7도는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를 도시한다. 제2변형예에 따르면, 요함부(15a)는 대향 보강 리브(13)중 어느 하나의 일부를 이루며 양 측면중 하나를 향하여 후크 중심으로부터 벗어나 위치한다. 또한, 제8도 및 제9도는 제1실시예의 제3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요함부(15a)는 후크(10)의 폭과 동일한 폭(W3)을 가지며 후크 열의 중앙에 배치된다.
제10도 내지 제1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기본재(15)에 있는 요함부(15a)는 상술된 제2변형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산(山)형상 보강 리브(13)와 후크(10)사이에는 제2보강 리브(14)가 존재한다. 제2보강 리브(14)는 전방 측면을 향하여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후크(10) 입상부(11)의 일 측면에 형성되며, 후크(10)의 정점 높이와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제10도 내지 제12도에 있어서, 제2보강 리브(14)의 종방향 폭은 축소되었다. 정점(O3)의 높이는 후크형 결합부(12)의 정점(O2)과 동일하다(제13도). 제13도에서 점선으로 지시된 후크형 결합부(12)의 형상은 후크(10)가 성형인발시에 형상이다. 이러한 종류의 일체성형 면파스너에 있어서, 회전드럼의 원주면상에 평판형상 기본재와 일체로 성형된 후크(10)가 드럼이 회전할 때 기본재와 함께 인발되면, 후크(10) 각각의 후크형 결합부(12)는 제13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직선형상으로 인발된다. 그러나 인발후에는, 후크형 결합부(12)가 원상태와 거의 동일한 만곡형상으로 복원된다.
후크가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지 않고 가는 직선적인 형상으로 되는 경우에는, 성형후의 면파스너를 가열하여, 그 후크형 결합부(12)의 정점(O2)과 기본재(15)와의 사이의 간격을 소정 거리가 되도록 설정하여 상방향으로 압압하고, 필요한 만곡형상으로 교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정 작업중에 거리를 소정 치수로 유지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후크 구조에 따르면, 교정 작업중에 압압장치가 제2보강 리브(14)의 정점(O2)과 접촉하면 제2보강 리브(14)가 수직한 자세를 취하므로, 단지 후크형 결합부(12)가 소정의 만곡형상으로 교정되어 후크형 결합부(12)의 정점(O3)과 기본재 표면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보강 리브(13)가 제2보강 리브(14)의 기단부 측면상에 위치하면, 후크(10)가 루프를 갖는 상대방 표면의 기본재(15)에 의하여 상부 측면으로부터 압압되는 경우에, 제2보강 리브(14)와 입상부(11)가 어느 한 측면에 또 다른 측면으로 측방향으로 절곡되더라도, 제1보강 리브(13)가 위치하는 기단부 부분에서 절곡되지 않으므로, 전체 후크(10)는 횡방향으로 거의 넘어지지 않도록 유지되게 된다. 그 결과, 한 번 결합된 루프는 후크의 기단부에서 제1보강 리브(13)에 원만하게 도입되어, 루프내에 침입된 후크형 결합부(12)를 확실하게 결합하므로 결합율이 높아진다.
제14도 및 제1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후크(10)는 양 측면에 제1 내지 제3보강 리브(13,14,14')를 가지며, 개별 보강 리브(13,14,14')를 갖는 후크(10)는 요함부(15a)에 매설된 상태로 기본재(15)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1보강 리브(13)는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낮은 산형상을 이루며, 제2보강 리브(14)는 제1보강 리브(13)와 후크(10)사이에 형성되고 또한 후크(10) 입상부(11)의 기단부로부터 후크형 결합부(12)의 만곡부(12a)까지 연장된다. 제2보강 리브(14)는 중심 근처에서 입상부(11)의 상단부까지 이르는 범위에 걸쳐 거의 균일한 폭을 가지며 중심 근처에서 입상부(11)의 기단부까지 전후방으로 점진적으로 확대된다.
제15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후크(10)는, 입상부(11)의 다른 측면에, 제1보강 리브(13)와 후크(10)사이에 형성된 제3보강 리브(14')를 갖는다. 제3보강 리브(14')는 후크형 결합부(12)의 선단부 하부면 높이와 거의 동일하며 후크(10)의 대향 측면에 형성된 제2보강 리브(14)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다. 각각의 제1보강 리브(13)는 측면으로 인접한 제1보강 리브(13)에 연결된다.
또한 제14도 및 제15도의 실시예에서, 후크(10)는 종래 후크의 높이와 거의 동일한 높이(L')를 갖지만, 기본재(15)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후크(10)의 높이(L)는 후크(10)의 실제 높이(L')와 기본재(15)에서의 요함부(15a) 깊이의 차와 동일하다.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본재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후크(10)부분은 유연성이 우수하며, 종래 상대방 루프와의 결합율과 결합력 모두를 유지하는 것이다. 루프가 후크(10)의 후크형 결합부(12)에 확실하게 도입하기 때문에, 결합율은 오히려 증가한다. 또한, 보강 리브(13,14,14')와 마찬가지로 후크(10)의 기단부가 요함부(15a)의 하부면으로부터 입상되기 때문에, 후크(10)는 기단부로부터 횡방향으로 무너지는 것이 완전히 방지된다.
또한, 제16도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6도에 따르면, 후크(10)의 양 측면에 한쌍의 보강 리브(13,13)가 설치됨과 동시에, 전방 측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열방향으로 인접한 한쌍의 후크(10,10)에 의하여 한정되 중간 부분의 측면 위치에서 기본재의 표면상에 산형상을 갖는 또다른 보강 리브(13a)가 독립적으로 제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 리브(13a)의 존재로, 기본재(15)는 보다 큰 인열 강도를 얻으며, 상대방 루프는 이웃한 결합요소 쪽으로 안내된다. 이 경우에, 후크의 양 측면에 일체로 설치된 보강 리브(13)는 생략될 수 있다.
제17도 내지 제19(c)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면파스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17도는 면파스너의 부분 상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측면도, 그리고 제19(a)도 내지 제19(c)도는 제17도의 Ⅱ-Ⅱ선, Ⅲ-Ⅲ선 및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기본재에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요함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요함부(15a)의 하부면으로부터 버섯형 결합요소(16)가 수직으로 입상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버섯형 결합요소(16)는 전방 및 후방에 스커트부를 갖는 원통형 입상부(17)와, 상기 입상부(17)의 상부에 배치되며 버섯형 헤드를 갖는 루프 결합부(18)를 구비한다. 버섯형 결합요소(16)의 형상은 도시된 예에 제한받지 않는 것이며, 루프 결합부(18)는 예를 들면 단순 디스크형, 구형 또는 배레모 형태일 수 있는 것이다. 입상부(17)는 단면이 필히 원형일 필요는 없으며, 예를들면 각주형상, 원추형상 또는 절두사면체 등이 적절히 채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요함부(15a)의 배치도 요함부가 필히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치된 격자 패턴일 필요는 없는 것이며, 예를들면 지그재그 형태로의 배열도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종방향 열에 인접한 한쌍의 결합요소(16)의 중간부에 한정된 요함부(15a) 측면 위치에서 기본재에, 전방 측면에서 볼 때 산형상 보강 리브(19)가 종방향으로 제공된다. 보강 리브(19)는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상술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결합요소의 외견상 높이가 전술한 실시예 보다 낮지만, 결합요소는 종래 높이와 동일한 실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상대방 루프와 후크 포착 길이는 보다 깊어져서, 결합력이 보장되고 결합율은 종래에 비하여 상당히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된 보강 리브(19)의 존재는 당연히 기본재(15)의 인열 강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성형시에 안정된 성형이 가능하고, 더욱이 대응 루프를 인접한 결합요소(16)를 향하여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의 설명으로 이해되는 바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특히 상기 요함부(15a)의 형상은 후크(10)의 적용분야에 대응하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이며, 보강 리브에 있어서도 불필요한 경우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과 조합으로 채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체성형 면파스너에 따르면, 기본재가 그 표면에 상대방 면파스너의 루프가 도입가능한 크기와 형상을 각각 갖는 다수의 요함부를 가지기 때문에, 그리고 결합요소가 요함부의 하부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그로부터 직립되기 때문에, 결합요소의 실제 높이가 종래의 그것과 동일할지라도, 기본재 상방의 결합요소의 외관상 높이는 결합요소의 실제 높이 보다 요함부의 깊이만큼 짧다. 그러므로, 기본재 자체의 유연성이 확보되고, 결합요소의 일부가 기본재 표면 상방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면파스너가 일체로 성형된 결합요소를 가지면서도 전체 면파스너는 부드러운 감촉을 가질 뿐만 아니라, 루프는 요함부에 확실하게 진입할 수 있다. 또한, 결합요소의 기단부가 요함부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하기 때문에, 결합요소는 보강 리브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기단부로부터 횡방향으로 무너져 평평하게 되는 것이 방지되며, 전방으로 무너지는 것도 기본재 표면에 의하여 저지되어, 결국 결합율이 증가하게 된다.

Claims (7)

  1. 평판형상 기본재(15)와 상기 기본재(15)의 일 표면에 형성되고 그로부터 돌출하는 다수의 결합요소를 포함하는 성형 면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기본재에는 그 일 표면에 소정 위치에 소정 개수의 요함부(15a)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요소 각각은 관련 요함부(15a)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입상된 입상부(11,17)와, 그 선단부에 형성된 후크형 루프 결합부(12,1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함부(15a) 각각은 상대방 면파스너의 루프(20)가 도입가능한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3. 제1항에 있어서, 열방향으로 인접한 결합요소 쌍에 의하여 한정된 중간부분의 측면부분에서 상기 기본재(15)의 표면으로부터 독립된 다수의 보강 리브(13a,19)가 돌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요소는 완만하게 입상된 배면(11a)과 상방으로 입상된 전방면(11b)을 갖는 입상부(11)와, 상기 입상부(11)로부터 전방으로 만곡 연장되는 후크형 루프 결합부(12)를 구비하는 후크(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후크(10)의 입상부(11)의 적어도 일 측면에 보강 리브(1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요함부(15a)는 선행 후크(10)의 배면(11a)으로부터 후속 후크(10)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깊어지는 가변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요소는 수직하게 입상되는 입상부(17)와, 상기 입상부(17)의 상단부에서 플랜지 형상으로 일체로 팽창된 루프 결합부(18)를 구비하는 버섯형 결합요소(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KR1019950046634A 1994-12-02 1995-12-01 성형 면파스너 KR01521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99321 1994-12-02
JP29932194 1994-12-02
JP95-260468 1995-10-06
JP26046895A JP3474688B2 (ja) 1994-12-02 1995-10-06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840A KR960020840A (ko) 1996-07-18
KR0152165B1 true KR0152165B1 (ko) 1998-10-15

Family

ID=26544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6634A KR0152165B1 (ko) 1994-12-02 1995-12-01 성형 면파스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664301A (ko)
EP (1) EP0714614B1 (ko)
JP (1) JP3474688B2 (ko)
KR (1) KR0152165B1 (ko)
CN (1) CN1084175C (ko)
BR (1) BR9505344A (ko)
CA (1) CA2163605C (ko)
DE (1) DE69515422T2 (ko)
ES (1) ES2142445T3 (ko)
TW (1) TW31771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2271A (en) 1995-03-07 1997-12-02 Velcro Industries B.V. Enhanced flexibility fastener, method and apparatus for its making, and product incorporating it
JP3461662B2 (ja) * 1996-06-06 2003-10-27 Ykk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US5900350A (en) 1996-06-06 1999-05-04 Velcro Industries B.V. Molding methods, molds and products
JP3474735B2 (ja) * 1997-08-20 2003-12-08 Ykk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US5875527A (en) * 1997-08-29 1999-03-02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 element arrangement
US6162040A (en) * 1999-02-01 2000-12-19 Velcro Industries B.V. Molds for forming touch fasteners
US6543099B1 (en) * 2000-06-02 2003-04-08 Velcro Industries B.V. Varying the loop engageability of fastener element arrays
US7067185B2 (en) 2003-06-11 2006-06-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inforced hook web
US9089355B2 (en) * 2003-09-16 2015-07-28 Vitalitec International, Inc. Surgical clamp inserts with hooked traction elements
US7516524B2 (en) 2005-03-11 2009-04-14 Velcro Industries B.V. Hook fastener components and methods of their manufacture
US7601284B2 (en) 2005-04-06 2009-10-13 Velcro Industries B.V. Molding fastener elements on folded substrate
CN201987488U (zh) * 2010-12-17 2011-09-28 小田(中山)实业有限公司 蒸汽机地耙
DE112014006462B4 (de) * 2014-03-13 2023-03-16 Ykk Corporation Gegossener Flächenhaftverschluss, Polsterkörpe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olsterkörpers und Gießform
TWI585012B (zh) * 2016-07-07 2017-06-01 Taiwan Paiho Ltd 表面接合扣具
WO2019018251A1 (en) * 2017-07-17 2019-01-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END LIMIT FILM
JP6756788B2 (ja) 2017-09-22 2020-09-16 Ykk株式会社 強化されたフックを備えるファスニングテープ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6113A (en) * 1963-10-07 1966-08-16 Minnesota Mining & Mfg Interreacting articles
US3557413A (en) * 1968-09-23 1971-01-26 William H Engle Nonmechanical closure
US3829938A (en) * 1972-03-24 1974-08-20 G Ballin Separable interlocking fasteners and method of making them
US4322875A (en) * 1980-03-31 1982-04-06 Minnesota Mining And Manfacturing Company Two strip materials used for forming fasteners
US4984339A (en) 1988-10-20 1991-01-15 Velcro Industries B.V. Hook for hook and loop fasteners
JPH0355716U (ko) * 1989-10-03 1991-05-29
JPH0431512U (ko) 1990-07-03 1992-03-13
US5077870A (en) * 1990-09-21 1992-01-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shroom-type hook strip for a mechanical fastener
US5097570A (en) * 1991-01-23 1992-03-24 Bruce Gershenson Fastening system
JPH04279103A (ja) * 1991-03-06 1992-10-05 Kuraray Co Ltd 成形面ファスナー
US5212853A (en) * 1992-03-10 1993-05-25 Nifco Inc. Separable plastic fasten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reof
JPH0584213U (ja) * 1992-04-24 1993-11-16 吉田工業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42445T3 (es) 2000-04-16
DE69515422T2 (de) 2000-10-26
DE69515422D1 (de) 2000-04-13
TW317717U (en) 1997-10-11
EP0714614B1 (en) 2000-03-08
CN1128118A (zh) 1996-08-07
CN1084175C (zh) 2002-05-08
KR960020840A (ko) 1996-07-18
EP0714614A1 (en) 1996-06-05
BR9505344A (pt) 1997-10-28
JPH08205910A (ja) 1996-08-13
CA2163605A1 (en) 1996-06-03
JP3474688B2 (ja) 2003-12-08
CA2163605C (en) 1999-01-26
US5664301A (en) 1997-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2165B1 (ko) 성형 면파스너
US5131119A (en) Hook structure for integrally molded surface fastener
EP0711518B1 (en) Hook structure for molded surface fastener
KR0152164B1 (ko) 일체성형 면 파스너의 후크 구조체
JP2886455B2 (ja)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係着片構造
US6061881A (en) Molded engaging member for surface fastener
EP0698351B1 (en) Molded surface fastener
US8898869B2 (en) Male touch fastener element
PL183346B1 (pl) Kształtowy łącznik włoskowatej powierzchni
US5715581A (en) Hook structure for a molded surface fastener
KR950001606Y1 (ko) 성형된 표면 파스너
US4541154A (en) Hooked fabric fastener tape
EP0753278B1 (en) Sheet fastener for sheet-like article
US7716792B2 (en) Touch fastener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