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4518B1 - 일체 성형면 파스터의 후크 구조물 - Google Patents

일체 성형면 파스터의 후크 구조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4518B1
KR0144518B1 KR1019950031250A KR19950031250A KR0144518B1 KR 0144518 B1 KR0144518 B1 KR 0144518B1 KR 1019950031250 A KR1019950031250 A KR 1019950031250A KR 19950031250 A KR19950031250 A KR 19950031250A KR 0144518 B1 KR0144518 B1 KR 0144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reinforcing rib
base material
shaped
hoo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1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9929A (ko
Inventor
밋츠루 아케노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다다히로
Publication of KR960009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4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4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61Male or hoo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6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having several, repeating, interlocking formations along length of fila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92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having mounting surface and filaments constructed from common piece of material

Landscapes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성형된 표면 파스너에서, 훅 구조물은 스템의 기저부로 부터 훅-모양 맞물림 부분의 일부까지 뻗어있는 똑바른 보강 리브를 스템의 적어도 한 표면상에 가진다. 상기 보강 리브는 혹-모양 맞물림 부분의 후방 표면에 대해 상향으로 돌출하고, 훅-모양 맞물림 부분의 정점의 높이보다 더 작고, 팁에서 훅-모양 맞물림 부분에 접선방향이고 지지체 시이트의 상부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라인의 높이보다 더 높은 정점에서 종결한다.

Description

일체성형 면 파스너의 후크 구조물
제 1 도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른 후크 구조 및 그 배치를 도시 한 부분 사시도.
제 2 도는 루프가 결합되기 전의 후크의 상태를 나타낸 면 파스너 요부의 측면도.
제 3 도는 상기 후크에 대한 루프의 결합시의 상태를 나타낸 면 파스너의 요부의 측면도.
제 4 도는 본원의 후크의 제 1 변형예를 부분 도시한 사시도.
제 5 도는 본원의 후크의 제 2 변형예를 부분 도시한 사시도.
제 6 도는 본원의 후크의 제 3 변형예를 부분 도시한 사시도.
제 7 도는 본원의 후크의 제 4 변형예를 부분 도시한 사시도.
제 8 도는 본원의 후크의 제 5 변형예를 부분 도시한 사시도.
제 9 도는 본원의 후크의 제 6 변형예를 부분 도시한 사시도.
제 10 도는 본원의 후크의 제 7 변형예를 부분 도시한 사시도.
제 11 도는 본 발명의 다른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른 후크 구조 및 배치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제 12 도는 본원의 후크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
제 13 도는 종래의 대표적인 후크와 루프와의 결합전의 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면 파스너의 측면도.
제 14 도는 상기 결합시의 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파스너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후크 11 : 입상부
11a : 배면 11b : 전방면
12 : 후크형상 결합부 12a : 만곡부
13 : 제 1 보강 리브 13a : 제 2 보강 리브
14 : 제 3 보강 리브 15 : 기본재
20 : 루프 21 : 기본재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열가소성 함성수지를 사용하여 압출 또는 사출에 의해 평판 형상 기본재와 다수의 후크(hook)가 일체성형으로 획득되는 면 락스너(molded surface fastener)용 결합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성형에 의해 획득되는 후크 피스에 대한 단일 필라멘트의 유연성 및 강도 모두를 가지고 고 내구성으로 고 결합률이 확보되는 후크 구조(molded hook structure)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단일 필라멘트의 루프 파일(loop Piles)을 형펑하기 위해 직물(織物)에 단일 필라멘트를 직조하고나서, 그 일부를 절단함으로써 후크 피스가 형성되는 유형의 면 파스너는 당 분야에서는 공지된 기술이다. 이러한 유형의 면 파스너는 직물 특유의 유연성 및 단일 필라멘트의 유연성을 가지고,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루프와의 결합 및 박리(peel off) 시의 감촉이 상당히 부드럽다는점에서 특징이 있다. 더우기, 후크를 구성하는 단일 필라멘트는 연신(延伸)공정을 거치기때문에, 면 파스너는 작은 단면적에서도 인장 강도 및 굽힘 강도가 우수하고, 직물조직에 의하여 고밀도의 후크군(群)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결합률도 높고 반복사용에 충분한 내성을 획득할 수 가있다. 그러나, 이러한 직물 유형의 면 파스너에서는, 재료소비가 상당히 큰 다수 단계의 공정이 필요하기때문에, 제조가를 절감하기가 극히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압출 및 사출에 의한 기본재(基材)와 후크 피스를 동시성형하는 일체성형 유형의 면 파스너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유형의 면 파스너의 성형 기술의 대표적인 예로는 미국 특허 제3,312,583호의 명세서 및 WO87/06522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러한 사실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복수의 후크 성형용 공동(cavities)이 외주 측면에 형성된 성형 디스크와 측면이 평활한 면으로 된 스페이서용 디스크와 교체적으로 적층되어 고정된 회전 드럼의 주변부에 평판형상 기본재와 일체로 형성된 공동 내의 후크 피스를 드럼의 회전에 따라 기본재와 함께 인발하는 것이다. 스페이서용 디스크는 후크 피스의 형상 자체때문에 후크 피스의 전체형상을 한개의 금형에서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각각의 성형 디스크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나, 일체성형 유형의 면 파스너에서는, 부분적으로, 성형가공의 기술적 어려움으로 직물 유형과 같는 섬세한 직물형상을 얻을수 없고, 부분적으로, 성형된 후크 피스는 분자의 배향성(配向性)이 불량하기 때문에, 단일 필라멘트와 같은 후크 피스와 동일모양의 크기로는 극히 강도가 낮은것이 획득되어진다. 그러므로, 종래의 성형 유형의 면 파스너는 비실용적이였다. 또한, 상기 후크 구조에서는, 그 입상부의 단면 형상이 간단하므로, 그 기부로 부터 평평하게 이어진다. 그 결과, 반복 사용후에 그들의 원래 자세로 돌아오지 않아서 루프재와의 결합률을 저하시킨다. 그러므로,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개개의 후크 피스 자체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이는 후크를 강직(剛直)하게 만들고, 단위면적당 후크의 수(후크 피스의 밀도)가 적도록 감소되어 대응(companion) 루프재와의 결합률을 저하시켰다.
이와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도산(falling flat)이 곤란한 입상부를 가지고, 결합 및 박리(剝離)시에 있어서 직물 유형의 면 파스너와 동일한 부드러운 감촉을 얻을수 있고, 결합률이 높고, 충분한 강도 및 내구성이 확보되는 신규한 후크 구조가 예컨대 미국 특허 제5,131,119호의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즉, 미국 특허 명세서에 개시된 일체성형 유형의 면 파스너는, 첨부된 도면 제 13 및 1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후크 피스(10')가, 기본재(15')로 부터 완만한 곡선위를 경사져 상승하는 배면(11a') 및 기본재(15')로부터 상방향으로 상승하는 전방면(11b')을 갖는 입상부(11')의 선단부로 부터 전방으코 후크형상 결합부(12')를 연장설치하고, 동일 결합부(12')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입상부(11')의 기단부쪽으로 단면적을 점차로 증가시키고, 또한 상기 입상부(11')의 측면에 보강 리브(13')를 돌출시켜 형성한다. 보강 리브(13')는 입상부(11')의 횡방향 굽어짐이 없게하고, 동시에 입상부(11')와 후크형상 결합부(12')를 필요한 결합 강도에 대한 내성을 획득할 수 있는 최소의 크기로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기본재(15')로 부터 보강 리브(13')의 높이는 평판형상 기본재(15')의 표면과 선단부를 하방향으로 향하게 만곡진 후크형상 결합부(12')의 선단부와를 결합하는 수직선분의 약 1/2의 높이이다.
미국 특허 제5,339,499호의 명세서에도 후크 피스의 일측면에 상기 후크 피스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고 후크형상 결합부의 만곡부 선단부의 높이보다 상방향으로 연장된 보강 리브를 가지 후크 피스 구조가 개시되어있다.
그러나, 미국 특허 제5,131,119호의 명세서에 개시된 보강 리브(13')가 상술된 형상으로 있기 때문에 결합시에 있어서 대응방향의 면 파스너로 부터 압압될시에 보강 리브(13')의 정점으로 부터 상방향으로의 입방부(11') 및 후크형상 결합부(12')가 좌우방향으로 절곡이 용이할 뿐만아니라, 전체 후크 피스가 크기에 있어서 최소화 되는 후크 형상 결합부(12')의 전체가 압박을 받아 전방 방향으로 굽어지고, 대응 루프 피스와의 결합이 되지 않고, 이러한 사실은 전체 면 파스너의 결합률을 현저하게 저하시킨다.
또한, 미국 특허 제5,339,499호의 명세서에 개시된 보강 리브의 형상은 측면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결합 부분을 제외한 후크 형상과 동일하다. 후크 피스구조의 전체 형상은 단일 후크형상 결합부를 종방향으로 분할시킨 반(半)중 하나가 제거된 형상에 불과하다. 즉, 보강 리브가 없는 종래의 일체성형 후크 구조에 있어서, 입상부 및 후크형상 결합부의 기단부의 일부를 남게하고, 남은 후크형상 결합부를 좌우로 2분할하고, 그 한쪽을 제거하여 두께를 감소시킨 후크형상 결합부로 한 것이므로, 단순히 후크형상 결합부만을 1/2 두께로 형성한것에 상당하고, 후크 피스의 선단부만이 유연하지 않고, 입상부는 종래와 같은 강성을 유지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5,339,499호의 명세서에 개시된 후크 구조도, 결합시에 있어서 면 파스너가 대응 면 파스너에 의해 압압을 받을때, 후크형상 결합부는 좌우로 절곡되기가 쉽다. 특히 후크형상 결합부만이 전방으로 굽어지면, 후크형상 결합부의 개구부가 폐쇄되어 후크형상 결합부가 루프 피스와의 결합이 전체적으로 일어나지 않을 경우가 상당히 많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면 파스너에 대해, 후크 및 특별히 후크형상 결합부에 충분한 유연성을 가지는 경우에도, 대응 면 파스너의 루프와 고 결합률을 확보하기 위해 후크 피스의 횡방향과 전방방향 굽힘을 동시에 막으면서, 반복 되는 하증에 대해서도 층분한 내구성을 가지는 후크 피스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따라, 평판형상 기본재 및 기본재의 한 표면으로 부터 돌출하고 그위에 일체성형되는 다수의 후크를 포함하는 성형 면 파스너가 제공된다. 이때 각각의 후크는 i) 기본재로 부터 완만한 곡선을 경사져 상승되는 배면, 및 기본재로 부터 상방향으로 상승된 전방면을 갖는 입상부와, ii) 입상부의 적어도 한 측면상에 위치된 제 1 보강 리브로 구성된다. 제 1 보강 리브는 기본재로 부터 수직으로 상방향으로 돌출된다. 제 1 보강 리브는 후크형상 결합부의 배면에 대해 상방향으로 돌출된 정점을 가지고, 이때 보강 리브의 정점은 후크형상 결합부의 정점의 높이 보다 낮거나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양호하게, 제 1 보강 리브의 정점은 상기 후크형상 결합부의 만곡부 선단부의 최하단부를 통과하는 평판형상 기본재의 상부면과 대체로 평행한 접선의 상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보강 리브의 기단부에 상기 리브의 높이보다 낯은 제 2 보강 리브를 돌출 설치하여 형성한다. 또한, 상기 입상부의 다른 측면에도 제 3 보강 리브를 형성시킨다. 또한, 인접한 후크 피스열(列)의 상대 후크 피스 쌍을 상기 보강 리브의 일부로 연결시키는 것도 있다.
[작용]
제 1 내지 제 3 보강 리브의 존재로 인해서 후크가 횡방향으로 굽어지는것이 방지된다. 후크가 루프를 갖는 대응 면 파스너에 의해 상방향으로 부터 압압을 받을때, 후크형상 결합부는 대응 면 파스너의 기본재가 제 1 보강 리브의 정점과 접촉될 때까지 초기에는 전방 방향으로 약간 경사지고, 이후에 기본재는 후크형상 결합부가 그 이상으로 경사지는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후크형상 결합부가 루프와 결합자세를 유지하도록 제 1 보강 리브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술된 약간의 전방방향으로 경사진 후크형상 결합부는 그 만곡형상의 곡률반경이 작아지기 때문에, 일단 후크형상 결합부와 결합된 루프 피스를 벗어나기가 어려울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보강 리브는 본 발명의 후크 구조를 갖는 일체성의 면 파스너의 제조시에 있어서도 유효한 기능이 있다. 즉, 일체성형 유형의 면 파스너는 성형시에 있어서 회전드럼의 주변부에 평판형상 기본재와 일체로 성형된 공동 내의 후크를, 드럼의 회전에 따른 기본재와 함께 인발시에 후크의 후크형상 결합부는 공동의 내부를 대략 직선형상으로 있는 인발을 위해 인발 후에도 공동과 동일의 만곡형상까지 복원되어 거의 직선적인 형상으로 성형된다. 결과로서, 일반적으로는 성형 후의 면 파스너를 가열하여, 후크형상 결합부의 정점과 기본재와의 사이에 간격을 필요한 치수로 설정하여 상방향으로 압압하고, 필요한 만곡형상으로 교정한다. 이러한 압압 교정시에 있어서 상기 간격을 일정 치수로 유지하기는 상당한 곤란함이 있다.
본 발명의 후크 구조에 의해서, 상술된 압압 교정시에 있어서 압압 수단이 제 1 보강 리브의 정점에 접촉될 때 조차 제 1 보강 리브가 직립상태에 있기위해 경사 동작을 하고, 후크형상 결합부만이 소정의 만곡형상으로 교정되기 때문에, 후크형상 결합부의 정점과 기본재 표면과의 사이에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후크 피스에서는, 제 1 보강 리브의 기부 측면에 제 2보강 리브를 돌출설치하여, 상기와 같은 결합시에 있어서 결합 대응 루프를 가진 기본재에 의해 후크 피스가 상방향으로 압압되어, 예로서 제 1 보강 리브와 함께 입상부가 좌우면으로 절곡될지라도, 그 기단부에 있는 제 2 보강 리브의 부분에서는 절곡이 없어, 후크 피스의 전체가 좌우 방향으로 완전하게 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루프는 루프 내에 침입된 후크형상 결합부를 확실하게 포획하도록 후크의 기저부에 있는 제 2 보강 리브 둘레에 원활하게 도입되어, 결합률이 증가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본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후크 구조예의 일부를 나타낸 면 파스너의 사시도이다. 제 2 도는 대응 면 파스너의 루프와 결합전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 3 도는 제 2 도와 유사하나, 대응 면 파스너의 루프와 결합되는 후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도시된 바로서, 후크(10)는 기본재(15)로 부터 완만한 곡선으로 경사져 상승하는 배면(l1a) 및 기본재(15)로 부터 상방향으로 상승하는 전방면(11b)을 갖는 입상부(11) 및 선단부로 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입상부(11)의 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만곡된 후크형상 결합부(12)를 가진다.
후크(10)에는 그 일극면에 입상부(11)로 부터 후크형상 결합부(12)로 수직 상승하는 제 1 보강 리브(13)가 돌출 설치된다.
상기 제 1 보강 리브(13)의 구조가 본 발명의 특징적인 것이고, 보강 리브(13)의 정점(O3)은 후크형상 결합부(12)의 배면으로부터 상방향을 향해 예정된 치수로 돌출된다. 제 1 보강 리브(13)의 정점(O3)의 높이는 후크형상 결합부(12)의 정점(O2)의 높이 이하로 설정된다. 제 1 보강 리브(13)의 정점(O3)은 후크형상 결합부(12)의 만곡부 선단부의 최하단부(O1)를 통과하는 평판 형상 기본재(15)의 상부면에 대략 평행한 접선보다 상방향으로 위치한다. 그리고 도시된 예에서는, 제 1 보강 리브(13)는 후크의 입상부(11)의 전후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 전후 기단부로 부터 만곡되어 경사져 상승하고, 정상부분이 원호형상으로된 전체가 대략 이등변 삼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 1 보강 리브(13)의 기단부 측면부에 제 1 보강 리브(13) 보다 낮은 제 2 보강 리브(13a)가 돌출되어 있고, 또한 후크 피스(10)의 입상부(11)의 타측면에도 제 3보강 리브(14)가 형성된다. 제 3 보강 리브(14)는 제 2 보강 리브(13a)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부면이 원호형상을 이루는 산(山) 모양을 가진다.
본 발명의 후크 구조의 기능을 제 2 도 및 제 3 도를 사용하여 기술한다. 보강 리브(13, 13a, 14)의 존재에 의해 후크 피스(10)가 횡방향으로 도산 되는것이 방지된다. 또한 후크(10)가 루프(20)을 갖는 대응 면 파스너의 기본재(21)에 의해 상방향으로부터의 압압을 받을시, 후크형상 결합부(12)는 기본재(21)가 제 1 보강 리브(13)의 정점(O3)과 접촉될 때까지 약간 전방으로 초기에 기울여진 후에, 제 1 보강 리브(13)는 후크(10)가 루프(20)와의 결합자세를 유지하여, 후크형상 결합부(12)가 더 기울어지는 것을 막도록 기본재(21)를 지지한다. 약간 전방으로 기울어진 후크형상 결합부(12)는 일반적인 것 보다 더 확실히 루프(20)를 결합하도록 만곡형상의 곡률반경이 더 작아진다.
제 1 보강 리브(13)는 상기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의 후크 구조를 갖는 일체성형 면 파스너 제조시에 있어서도 유효한 기능을 한다. 즉, 이러한 종류의 일체성형 유형의 면 파스너는, 상술된 복수 후크 피스 성형용의 공동이 외주의 측면에 형성된 성형 디스크와 측면이 평활면으로된 스페이서용 디스크와 이를 교체식으로 적층시킨 고정된 회전 드럼의 주변부에 평판형상 기본재와 일체로 성형된 공동 내의 후크 피스를, 드럼의 회전에 따른 기본재와 같이 인발되고, 그 인발시에 있어서 후크 피스의 후크형상 결합부는 공동의 내부를 대략 직선형상으로하여 인발시키기 위해 인발된 후에도 공동과 동일한 만곡형상으로 복원하여, 약간 직선적인 형상이 되게 성형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는, 성형후의 면 파스너를 가열함과 함께, 그 후크 형상 결합부의 정점과 기본재와의 사이의 간격을 필요한 치수로 설정하여 상방향으로부터 압압하고, 필요한 만곡형상이 되도록 교정한다. 이러한 압압교정시에 있어서 상기 간격을 일정한 치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제어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후크 피스구조에 따라, 압압 교정시에 있어서 압압수단이 제1 보강 리브(13)의 정점과 접촉될 때 제 1 보강 리브(13)가 직립상태를 취하기 때문에, 후크형상 결합부(12)만이 소정의 만곡형상으로 교정된다.
또한, 제 1 보강 리브(13)의 기저부의 측면에 제 2 보강 리브(13a)를 돌출설치되어, 상기와 같은 결합시에 있어서 결합 대옹하는 루프(20)를 가지는 기본재(21)에 의해 후크(10)가 상방향으로부터 압압을 받아, 제 1 보강 리브(13)와 함께하는 입상부(11)가 좌우의 한 측면으로 절곡이 되어도, 그 기단부에 있는 제 2 보강 리브(13a)의 부분에서는 절곡되는 일이 없어, 후크 피스(10)의 전체가 좌우방향으로 도산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결합된 루프(20)는 제 2 보강 리브(13a)의 부분까지 원할하게 도입되고 루프 내에 침입된 후크 형상 결합부(12)를 확실하게 포획하여, 결합률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후크 피스(10)는 상기 구성을 가지는 제 1 보강 리브(13)를 설치하여 상술된 기능을 가지기 위하여, 특히 후크(10)의 높이에 반하여 1mm 보다 얇은 높이를 갖는 후크(10)의 두께를 얇게한 경우에도 실용성이 충분한 내구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에 반하여, 미국 특허 제5,131,119호의 명세서에 개시된 후크 피스 구조에서는, 면 파스너의 결합시에 있어서 대응방향의 결합부재에 있는 루프를 갖는 면 파스너가 동일 후크를 상방향으로 부터 압압하고, 보강 리브의 선단부에 있어서 입상부를 구비하여 후크 형상 결합부가 한번에 횡방향으로 도산되지 않고, 결합되는 루프를 제거시켜 결합이 불가능하게 하고, 제 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0') 전체는 전방으로 도산되는 상태로 있지않고, 후크형상 결합부(12')의 루프(20)의 침입부 개구가 협소하게 있어, 루프(20)와의 결합을 저해한다. 미국 특허 제5,339,499호의 명세서에 개시된 후크 구조에서는, 보강 리브에 소정의 가소성을 갖게하는 경우에 기술된 루프에 의해 후크가 압압을 받을때, 리브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횡방향 도산이 발생되어짐을 예측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 많은 기단부에 있어서 횡방향 도산이 용이하다. 이러한 경우에, 결합될 루프는 상술된 후크와 동일하게 절곡시의 힘에 측방향으로 도약하여 비행하는 확률이 높지 않고, 절곡 각 후크형상 결합부에 결합된 루프도 후크의 기단부에 도입되지 않으므로, 후크와의 결합이 박리되는 일도 많다.
제 4 도 내지 제 9 도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후크구조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고, 제 1 도에 나타난 상기 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과 동일한 부호를 제 4 도 내지 제 9 도에서는 채용하였다.
제 4 도의 변형예에서는, 각각의 후크(10)의 구조는 제 1 도에 도시된 상기 실시예의 후크 피스 구조와 동일하고, 인접한 후크 피스열의 후크 피스(10)의 방향을 역으로 하여, 면 파스너의 결합에 방향성을 부여하지 않도록 있는 것이다. 제 5 도의 변형예에서는, 제 4 도에 도시한 인접한 후크(10)의 제 2 및 제 3 보강 리브(13a, 14)를 일체로 연결시켜, 기본재가 후크열 사이에서 파단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6 도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제 1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보강 리브(13a)를 배제함과 동시에, 제 3 보강 리브(14)의 형상을 제 1 보강 리브(13)와 동일하게 형성한다. 결과적으로는, 입상부(11)의 기단부로부터 후크형상 결합부(12)의 만곡부(12a)를 너머 좌우 양측면으로 상기 실시예의 제 1 보강 리브(13)를 형성한 것에 상당한다. 이러한 변형예에서는 후크 피스(10)의 후크형상 결합부(12)에 충분한 유연성을 제공할 뿐만 아너라, 후크 피스(10)가 전후 및 좌우로 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한다.
제 7 도의 변형예에서는, 후크형상 결합부(12)가 상호 역방향으로된 2개의 입상부(11)의 각 측면에 상기 제 1 보강 리브(13)를 형성하고, 제 8 도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후크형상 결합부(12)가 상호 역방향으로 2개의 입상부(11)의 각 측면에 상기 제 3 보강 리브(14)를 형성함과 동시에, 2개의 입상부(11) 사이에 제 1 보강 리브(13)를 형성한다. 제 9 도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인접한 후크형상 결합부(12)의 방향을 동일방향으로 하고, 2개의 입상부(11)의 각 측면에 상기 제 3 보강 리브(14)를 형성함과 동시에 2개의 입상부(11) 사이에 제 1 보강 리브(13)로 연결된다.
상기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는, 제 1 보강 리브(13)의 형상을 대략 이등변 삼각형상이고, 제 10 도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제 1 보강 리브(13)의 배면 형상을 후방으로 길게 연장함과 동시에 그 배면부분을 입상부(11)의 배면(11a)을 지나서 배면측으로 돌출한다. 이와같이하여, 후크(10)와 전방 경사를 방지하고 더우기 제 1 보강 리브(13)의 배면측에 존재하는 루프(도시 않음)는 동일 배면을 따라서 후방으로 연속하여 후크(10)에 접근되여 결합을 촉진시킨다.
제 11 도는 본 발명의 다른 대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제 1 보강 리브(13)의 전후(前後) 폭을 감소함과 동시에, 제 1 보강 리브(13)의 정점(O3)높이를 후크형상 결합부(12)의 정점(O2)과 동일한 높이로 하고, 제 3 보강 리브(14)를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시키고, 제 3 보강 리브(14)의 정점(O4)의 높이를 후크형상 결합부(12)의 선단부 하부면(O1)의 높이와 일치시킨다. 대안 적으로, 제 3 보강 리브(14)의 높이는 상술된 높이와 제 3 보강 리브(14)의 상단부가 후크형상 결합부(12)의 배면에 도달하는 높이와의 사이에서 임의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제 3 보강 리브(14)의 형상 및 높이를 이와같게 규정하여, 면 파스너의 결합 및 박리시에 발생하는 후크 피스의 내부응력이 국부적으로 집중되지않고 분산되어서, 후크는 반복된 하중에 의해서도 파손이 발생되지 않는다.
제 12 도에 있어서, 점선으로 표시된 후크 형상 결합부(12)의 형상은 성형인발시의 형상을 나타내고, 실선은 성형후의 압압에 의한 교정가공시의 형상을 나타낸다. 후크형상 결합부(12)에 대한 교정가공시의 압압력은 제 1 보강 리브(13)에 의한 저지를 위하여 실선으로 지시된 이상의 변형을 갖게하지 않고, 후크형상 결할부(12)의 형상 및 후크 퍼스(10)의 전체높이를 일률적으로 하는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술된 제 1, 제 2 및 제 3 보강 리브(13, 13A, 14)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그 형상을 적절하게 변형시키어 다양 한 형태의 후크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후크의 전체가 그 조합 및 리브형상에 따라 기능에 있어서 최소한의 차이를 가지더라도, 이들 후크 구조물은 상술된 본래의 기능을 가지고, 또한 입상부(11)와 후크형상 결합우(12)의 두께를 변경시키는 것에 의해 필요한 기능을 얻을수 있으며, 광범위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기도 하다.
[발명의 효과]
이상의 설명으로 부터도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후크 구조에 따라 특히 수직으로 입상되는 제 1 보강 리브(13)의 상부를 후크형상 결합부(12)의 정점(O2) 보다 낮고 후크형상 결합부(12)의 선단부 하부면(O1) 보다 높고, 후크형상 결합부(12)의 배면측에서 상방향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후크형상 결합부(12)의 유연성을 확보하면서, 좌우의 도산을 방지함과 동시에 대옹면 파스너의 루프(20)와의 결합시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보강 리브의 정점(O3)이 상대방향으로의 기본재(15)를 지지하여 후크(10)가 불필요하게 전방으로 도산되는것을 방지하여 루프와의 결합률도 확보한다. 또한, 상기 제 1 보강 리브(13)의 상단부는 첨예(尖銳)하게 되고, 그 정점이 후크형상 결합부의 정점을 넘지 않기 때문에 대응방향의 기본재(15)를 꿰뚫을 걱정이 없고, 기본재(15)를 파손시킬일이 없다.
제 1 보강 리브(13)의 존재는, 증가된 결합 강도가 후크(10)의 피로에 기인한 파손을 제거함과 동시에 면 파스너의 소정의 박리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어느 정도까지 지지할 수 있도록 후크형상 결합부(12)를 견고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후크 구조를 갖는 일체성형 유형의 면 파스너를 기본재로 함과 동시에 일체성형된 후에 후크형상 결합부(12)의 만곡형상을 압압에 의해 교정할 때에도 제 1 보강 리브에 의해 항시 일류적인 만곡형상을 획득할 수 있다.

Claims (7)

  1. 평판형상 기본재(15) 및 평판형상 기본재(15)의 표면에 다수의 후크(10)가 돌출되어 일체성형된 면 파스너에 있어서 ; 후크(10)는, 기본재로 부터 완만한 곡선위를 경사지게 상승하는 배면(11a)과 상기 기본재로 부터 상방향으로 상승하는 전방면(11b)을 갖는 입상부(11)와, 상기 입상부의 선단부로 부터 만곡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후크형상 결합부(12)와;상기 기본재로 부터 수직으로 상승하고, 상기 후크의 적어도 일측면에 위치된 제 1 보강 리브(13)를 조합적으로 포함하고 ; 상기 제 1 보강 리브(13)의 정점(O3)은 후크(10)의 배면(11a)에서 상방향으로 돌출하고, 그 정점의 높이는 상기 후크형상 결합부(12)의 정점(O2)의 높이 이하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성형 면 파스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강 리브(13)의 상기 정점(O3)이 만곡부 선단부의 최하단부(O1)를 통과하는 상기 평판형상 기본재(15)의 상부면에 대체로 평행한 접선의 상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성형 면 파스너.
  3. 제 1 항에 있어서,각각의 상기 후크가 상기 제 1 보강 리브(13)의 기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보강 리브의 높이보다 낮은 제 2 보강 리브(13a)를 돌출설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성형 면 파스너.
  4.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후크(10)의 입상부(11)의 타측면에도 제 3 보강 리브(14)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성형 면 파스너.
  5. 제 3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후크(10)의 입성부(11)의 타측면에도 제 3 보강 리브(14)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성형 면 파스너.
  6. 제 4 항에 있어서, 인접한 후크 열의 대응하는 후크(10) 쌍이 상기 제 1 보강 리브의 일부분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성형 면 파스너.
  7. 제 4 항에 있어서, 인접한 후크 열의 대응하는 후크(10) 쌍이 상기 제 2 및 제 3 보강 리브의 일부분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성형면 파스너.
KR1019950031250A 1994-09-20 1995-09-19 일체 성형면 파스터의 후크 구조물 KR0144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4589A JP2886459B2 (ja) 1994-09-20 1994-09-20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フック片構造
JP94-224589 1994-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929A KR960009929A (ko) 1996-04-20
KR0144518B1 true KR0144518B1 (ko) 1998-07-15

Family

ID=16816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1250A KR0144518B1 (ko) 1994-09-20 1995-09-19 일체 성형면 파스터의 후크 구조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715581A (ko)
EP (1) EP0702909B1 (ko)
JP (1) JP2886459B2 (ko)
KR (1) KR0144518B1 (ko)
CN (1) CN1092505C (ko)
DE (1) DE69520628T2 (ko)
ES (1) ES2155865T3 (ko)
HK (1) HK1010640A1 (ko)
TW (1) TW34841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3938B2 (ja) * 1994-11-01 2000-10-03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フック片構造
JP3308417B2 (ja) * 1995-02-28 2002-07-29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のフック片構造
US5953797A (en) * 1996-10-09 1999-09-21 Velcro Industries B.V. Hook fasten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5884374A (en) * 1997-11-20 1999-03-23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 members and apparatus for their fabrication
JP2002172004A (ja) * 2000-12-07 2002-06-18 Ykk Corp 合成樹脂製の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US7052636B2 (en) * 2002-01-15 2006-05-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eat treated profile extruded hook
US6996880B2 (en) * 2003-04-01 2006-02-14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 elem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7493676B2 (en) * 2006-04-13 2009-02-24 Ykk Corporation Hook fastener structures
CZ304397B6 (cs) * 2008-09-18 2014-04-16 Fyzikální ústav AV ČR, v.v.i. Tichý suchý zip z materiálů s tvarovou pamětí
JP5496797B2 (ja) * 2010-07-05 2014-05-21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002562B2 (ja) 2012-12-05 2016-10-05 横浜ゴム株式会社 面ファスナー付き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US9504296B2 (en) 2013-12-18 2016-11-29 Velcro BVBA Mold-in touch fastening product
US9750311B2 (en) * 2014-04-28 2017-09-05 Ykk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joining hook fastener structures
US9138032B1 (en) 2015-04-28 2015-09-22 Velcro Industries B.V. Mold-in touch fastener systems with wave-shaped wall
US9635910B2 (en) 2015-04-28 2017-05-02 Velcro BVBA Mold-in touch fastener systems with wave-shaped wall
JP6732374B2 (ja) * 2016-04-13 2020-07-29 Ykk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
US9924765B1 (en) * 2016-09-23 2018-03-27 Ykk Corporation Of America Rail fasten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2583A (en) 1963-10-02 1967-04-04 James J Rochlis Apertured and staggered molded pile product
US4775310A (en) 1984-04-16 1988-10-04 Velcro Industries B.V. Apparatus for making a separable fastener
US4984339A (en) * 1988-10-20 1991-01-15 Velcro Industries B.V. Hook for hook and loop fasteners
JPH0431512U (ko) 1990-07-03 1992-03-13
JPH0584213U (ja) * 1992-04-24 1993-11-16 吉田工業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JP2559017Y2 (ja) * 1992-06-17 1998-01-14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US5339499A (en) * 1993-02-16 1994-08-23 Velcro Industries B.V. Hook design for a hook and loop fastener
JP2854222B2 (ja) * 1993-09-14 1999-02-03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フック片構造
JP2886458B2 (ja) * 1994-08-26 1999-04-26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02909A3 (en) 1997-08-20
KR960009929A (ko) 1996-04-20
CN1128644A (zh) 1996-08-14
US5715581A (en) 1998-02-10
EP0702909A2 (en) 1996-03-27
JPH0884611A (ja) 1996-04-02
TW348417U (en) 1998-12-21
HK1010640A1 (en) 1999-06-25
CN1092505C (zh) 2002-10-16
DE69520628T2 (de) 2001-10-18
ES2155865T3 (es) 2001-06-01
DE69520628D1 (de) 2001-05-17
EP0702909B1 (en) 2001-04-11
JP2886459B2 (ja) 199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4518B1 (ko) 일체 성형면 파스터의 후크 구조물
JP2886455B2 (ja)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係着片構造
EP0698351B1 (en) Molded surface fastener
US5131119A (en) Hook structure for integrally molded surface fastener
JP3183785B2 (ja)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フック片構造
EP0711518B1 (en) Hook structure for molded surface fastener
EP0714614B1 (en) Molded surface fastener
EP0698352B1 (en) Molded surface fastener
JP2854222B2 (ja)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フック片構造
US20060200952A1 (en) Touch fastener element loop retention
EP0729717B1 (en) Hook structure for molded surface fastener
JPH0852011A (ja)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フ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