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1742B1 - 전자접촉기의 철심유지 구조체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의 철심유지 구조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1742B1
KR0151742B1 KR1019940035933A KR19940035933A KR0151742B1 KR 0151742 B1 KR0151742 B1 KR 0151742B1 KR 1019940035933 A KR1019940035933 A KR 1019940035933A KR 19940035933 A KR19940035933 A KR 19940035933A KR 0151742 B1 KR0151742 B1 KR 0151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core
pressure receiving
receiving surface
lower casing
leaf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5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0835A (ko
Inventor
고우에쓰 다까야
구니유끼 후르까와
Original Assignee
나까사도 요시히꼬
후지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사도 요시히꼬, 후지덴끼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사도 요시히꼬
Publication of KR950020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0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1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17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 H01H50/305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damping vibration due to functional movement of armature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철심유지구조체.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전자접촉기의 동작시 고정철심에 충돌하는 가동철심의 충격력을 저감하고, 전자접촉기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의 철심유지구조체는 하부케이싱의 저부판에 고정철심의 후방부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단부가 각각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하부압력수용면 및 측면압력수용면을 가지며, 고정철심과 하부케이싱의 저부판 사이에 배치되어 하부압력수용면 및 측면압력수용면이 하부케이싱의 저부판과 측벽에 각각 접하는 볼록형 리프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그 구조적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모터 등과 같은 전기적 장치에 대해 그 전원을 투입, 차단하는 전자접촉기를 일정한 위치에서 유지하는 용도로 사용됨.

Description

전자접촉기의 철심유지구조체
제1(a)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철심유지구조체의 단면도.
제1(b)도는 제1(a)도에 도시한 리프스프링이 사시도.
제2(a)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철심유지구조체의 단면도.
제2(b)도는 제2(a)도에 도시한 리프스프링 및 대향측부재의 사시도.
제3(a)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철심유지구조체의 단면.,
제3(b)도는 제3(a)도에 도시한 리프스프링 및 대향측부재의 사시도.
제4(a)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철심유지구조체의 단면도.
제4(b)도는 제4(a)도에 도시한 구조체의 요부사시도.
제4(c)도는 제4(a)도에 도시한 리프스프링의 요부사시도.
제5(a)도는 전자접촉기의 종래 철심유지구조체에 대한 단면도.
제5(b)도는 투입상태에 있어서 전자접촉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체의 단면도.
본 발명은 전동기와 같은 전기장치용 전원을 개폐하는 전자접촉기의 철심유지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전자접촉기에는 가동철심이 고정철심에 충돌할 경우에 발생하는 충격력을 완화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제5도는 이러한 종류의 전자접촉기의 종래예를 도시하며, 제5(a)도는 전자접촉기의 단면도, 제5(b)도는 이 전자접촉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투입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5(a)도에 있어서 여자코일 내에 E형고정철심(3)의 중앙다리가 삽입되고, 이 고정철심(3)에 대향하는 가동철심(4)은 연결판(7)에 의해 가동접점지지체(6)로 결합되면서 복귀스프링(8)에 지지된다. 가동철심(4) 및 고정철심(3)은 하부케이싱(2)에 위치하면서, 그 가동철심(4)의 상부는 외부에 위치한다. 고정철심(3)의 후방부가 고무재와 같은 탄성시트(13)를 매개하여 하부케이싱(2)의 저부판에 위치하며, 부호 1은 상부케이싱이고, 이 상부케이싱(1)은 하부면(la)에서 가동접점지지체(6)의 상방향이 이동거리를 규정하며, 그 상면에 부착된 고정접점(9)이 가동접점(10)과 상대하고 있다. 이 가동점점(10)은 가동접점지지체(6)에에 부착되고, 접촉스프링(12)에서 가압된다. 또, 2a는 하부케이싱(2)에 설치된 전자접촉기의 부착부이다.
여자코일(5)에 통전하면, 고정, 가동 양철심(3, 4)이 상호 흡인하고, 가동철심(4)이 이동하여 고정철심(3)에 충돌한다. 따라서,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접점(10)은 고정접점(9)에 접촉하여 전기회로를 폐쇄한다. 통전을 차단하면 가동철심(4)이 해제되고 복귀스프링(8)에 의해 고정철심(3)으로부터 분리된 가동접점(10)은 고정접점(9)으로부터 분리되어 전기회로를 개방한다. 가동철심(4)이 고정철심(3)에 충돌할 경우 그 충격력에 의해 고정철심(3)에 작용하는 충격력은 완화되며, 이러한 고정철심(3)의 충격력 완화에 의해 가동철심(4)의 충력력도 완화되어, 접점의 채터링(chattering)이 방지된다.
전술한 전자접촉기에 있어서는 고정철심의 후방부와 하부케이싱의 저부판 사이에 고무재와 같은 탄성시트를 설치하여, 가동철심이 고정철심에 충돌할 경우 그 충격력을 완화하도록 하고 있지만 전기시트의 굴곡량이 작으므로 충격력의 완화작용이 항상 충분하지는 않다. 또 이 충격력은 전자접촉기의 부착부가 설치되어 있는 하부케이싱의 저부판에 가해진다. 이 때문에 전자접촉기를 패널에 부착한 경우 패널에 대한 충격 및 이에따른 소음이 증대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 패널에 부착되어 있는 다른 기기에 오조작을 야기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의 투입시에 가동철심이 고정철심에 충돌할 경우 충격력, 특이 이 전자접촉기의 부착부가 설치되어 있는 하부케이싱의 저부판으로의 충격력을 저감하는 동시에 장치의 조립을 용이하게한 전자접촉기의 철심유지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접촉기용 철심유지구조체는 여자코일로 삽입되는 다리가 배치된 고정철심이 후방부를 하부케이싱의 저부판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압력수용면 및 측면압력수용면을 이루도록 양단부가 절곡된 볼록형 리프스프링은 고정철심과 하부케이싱의 저부판 사이에 배치되어 이 하부압력수용면 및 측면압력수용면이 하부케이싱의 저부판 및 측벽에 각각 접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리프스프링의 측면압력수용면 보다 큰 측면을 갖는 완충재가 리프스프링의 양단부에 형성된 측면압력수용면과 하부케이싱의 측벽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완충재의 내측면에 요부 또는 블라이드 홀이 배치되어 리프스프링의 양단부에 형성된 하부압력수용면 및 측면압력수용면을 이 완충재에 밀접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직각으로 절곡된 비임부분이 하부케이싱의 측벽에 각각 형성되며, 이 부분은 리프스프링의 양단부에 형성된 측면압력수용면과 접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철심유지구조체에 있어서는 하부압력수용면 및 측면압력수용면을 형성하도록 직각으로 절곡된 볼록형 리프스프링이 고정철심과 하부케이싱의 저부판 사이에 배치되어 하부압력수용면 및 측면압력수용면이 하부케이싱의 저부판과 측벽에 각각 접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가동철심이 고정철심에 충돌할 경우 리프스프링이 크게 절곡되어 고정철심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흡수하고, 동시에 하부압력수용면을 통해서 하부케이싱의 저부판으로, 그리고 측면압력수용면을 통해서 하부케이싱의 측벽으로 충격력을 분산시킨다. 그러므로, 고정철심에 대한 가동철심의 충격력, 특히 전자접촉기의 장착부에 배치된 하부케이싱의 저부판에 작용하는 충격력이 저감된다.
또한, 리프스프링의 각 측면압력수용면 보다 큰 측면을 갖는 완충재가 리프스프링의 양단부에 형성된 측면압력수용면과 하부케이싱의 측벽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가동철심이 고정철심에 충돌할 경우 측면압력수용면으로부터의 충격력이 완충재를 통해 하부케이싱의 측벽에 분산된다. 따라서, 작은 내압력을 갖는 측벽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완충재의 내측면에 요부가 배치되어 리프스프링의 양단부에 형성된 하부압력수용면 및 측면압력수용면이 완충재에 각각 밀접하게 삽입되므로 리프스프링과 이 리프스프링의 양단부에 형성된 완충재가 상호 결합하여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따라 리프스프링과 2개의 완충재가 하부케이싱에 용이하게 조립된다.
더욱이, 하부케이싱의 측벽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비임부분이 하부케이싱의 측벽에 형성되며, 이 부분은 리프스프링의 양단부에 형성된 측면압력수용면과 접한다. 따라서, 가동철심이 고정철심에 충돌할 경우 측면압력수용면으로부터의 충격력이 비임부분의 절곡부, 즉 굴곡부에 의해 흡수되므로 작은 내압력을 갖는 측벽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란 상세히 설명한다.
제1(a)도 및 제1(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철심유지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제1(a)도는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제1(b)도는 제1(a)도에 도시한 리프스프링(14)의 사시도이다. 제1(a)도의 본 발명과 제5(a)도의 종래 기술 사이에는 제1(a)도의 본 발명의 경우 제5(a)도의 종래 탄성시트(13) 대신 볼록형리프스프링(14)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형리프스프링(14)의 대향단부가 대략 직각으로 상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있어 하부압력수용면(14a) 및 측면압력수용면(14b)을 이루고 있고, 측면압력수용면(14b)은 하부케이싱(2)의 측벽과 각각 가볍게 접하고 있다.
전자전류에 의해 여자코일(5)이 도통할 경우, 즉 가동철심(4)이 이동하여 고정철심(3)에 충돌할 경우, 고정철심(3)은 이 충돌에 따른 충격력이므로 리프스프링(14)의 볼록부에 가압되며, 이 때 리프스프링(14)이 크게 절곡되어 고정철심(3)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흡수하고, 이와 동시에 하부압력수용면(14a)을 통해서 하부케이싱(2)의 저부판으로, 그리고 측면압력수용면(14b)을 통해서 하부케이싱(2)의 측벽으로 각각 충격력을 분산한다.
즉, 리프스프링(14)이 크게 절곡되어 고정철심(3)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흡수하고, 하부케이싱(2)의 저부판 및 측벽으로 충격력을 분산하므로, 전자접촉기장착부(2a)가 설치된 하부케이싱의 저부판에 작용하는 충격력은 현저히 저감된다. 따라서, 전자접촉기가 패널에 장착되는 경우 패널에 작용하는 충격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노이즈가 저감된다.
그밖에, 본 발명의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제5(a)도 및 제5(b)도에 도시한 종래의 것과 동일하다.
제2(a)도 및 제2(b)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심유지구조체를 도시하며, 여기서 제2(a)도는 구조체의 단면도, 제2(b)도는 제2(a)도에 도시한 리프스프링(14) 및 측면부재(15)의 단면도이다. 제2(a)도의 실시예와 제1(a)도의 실시예 사이에는 제2도의 경우 리프스프링(14)의 각 측면압력수용면(14b) 보다 큰 영역의 측면을 갖는 완충부재(15)가 리프스프링(14)의 측면압력수용면(14b)과 하부케이싱(2)의 측벽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고정철심(3)에 작용하는 충격력이 리프스프링(14)의 볼록부에 가해질 경우 리프스프링(14)의 큰 절곡에 의해 이 충격력이 흡수될 뿐만 아니라 하부압력수용면(14a)을 통해서 하부케이싱(2)의 저부판과 측면압력수용면(14b)을 통해서 하부케이싱(2)의 측벽에 각각 분산된다. 하부케이싱(2)의 각 측벽은 하부케이싱(2)의 저부판보다는 일반적으로 작은 두께이므로 저부판보다는 작은 내압력을 가지며, 이러한 이유로 본 실시예의 경우 각 측면압력수용면(14b)보다 큰 측면을 갖는 완충재(15)에 의해 측면압력수용면(14b)으로부터 충격력이 분산된다. 즉, 완충재(15)가 하부케이싱(2)의 측벽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작용을 하며, 결과적으로 작은 내압력을 갖는 각 측벽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3(a)도 및 제3(b)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심유지구조체를 도시하며, 여기서 제3(a)도는 구조체의 단면도, 제3(b)도는 제3(a)도에 도시한 리프스프링(14) 및 완충재(16)의 사시도이다. 제3(a)도의 실시예와 제2(a)도의 실시예 사이의 차이점은 그 완충재 간의 형태에 있으며, 여기서 완충재(16)(제3(a)도)에는 제2(a)도의 완충재(15)와는 달리 요부, 즉 블라인드홀(16a)이 완충재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절곡부를 이 요부(16a)에 각각 밀접하게 삽입시킬 수 있고, 이 절곡부에서 리프스프링(14)의 양단부 부분에 하부압력수용면(14a) 및 면압력수용면 측(14b)이 형성되는 특색이 있다.
제2(a)도의 실시예의 경우 리프스프링(14)을 상부로부터 하부케이싱(2)에 삽입하기 전에 하부케이싱(2)의 저부판의 양단부에 각 완충재(15)가 배치되는 구조이지만 제3(a)도의 실시예의 경우는 리프스프링(14b)의 양단부에 하부압력수용면(14a) 및 측면압력수용면(14b)이 형성되도록 하는 절곡부가 완충재(16)의 요부(16a)에 각각 밀접하게 삽입되어 단일 유니트로서 리프스프링(14) 및 완충재를 이루며, 이러한 상태에서 리프스프링(14) 및 완충재(16)로된 유니트는 상부로부터 하부케이싱(2)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제3(a)도의 실시예는 자동화방법과 같은 용이한 조립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제4(a)도, 제4(b)도 및 제4(c)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심유지구조체를 도시하며, 여기서 제4(a)도는 구조체의 단면도, 제4(b)도는 제4(a)도에 도시한 구조체의 요부사시도, 제4(c)도는 제4(a)도에 도시한 리프스프링(14)의 사시도이다. 제4(a)도와 제1(a)도 사이에는 제4(a)도의 경우 하부케이싱의 각 측벽에 U자형슬릿이 형성되고, 이에따라 화살표 P방향, 즉 하부케이싱(2)의 측벽에 대해 수직으로 절곡되는 비임부분(2b)이 하부케이싱(2)의 각 측벽에 형성되며, 이 비임부분(2b)에 리프스프링(14)의 측면압력수용면(14b)이 각각 접촉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고정철심(3)으로부터의 충격력이 가해질 경우 리프스프링(14)의 볼록부는 이러한 충격력을 흡수하며, 이와 동시에 하부압력수용면(14a)을 통해 하부케이싱(2)의 저부판과, 측면압력수용면(14b)을 통해 하부케이싱(2)의 측벽에 이 충격력이 분산된다. 이 경우 측벽에 가해진 충격력은 하부케이싱(2)의 측벽에 배치된 비임부분(2b)이 화살표 P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흡수되며, 이러한 결과 작은 내압력을 갖는 측벽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접촉기의 철심구조에 따르면 전자접촉기의 고정철심과 가동철심의 충격에 기인하는 충격력, 특히 전자접촉기가 장착되는 하부케이싱의 저부판에 대한 충격력을 저감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전자접촉기가 패널에 장착될 경우 패널에 가해지는 충격력과 노이즈의 저감이 가능하여 이 패널에 장착되는 다른 장치가 충격력에 따른 악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철심유지구조체의 조립은 종래의 경우와 유사하게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Claims (11)

  1. 하부케이싱의 저부판에 고정철심의 후방부를 유지하기 위한 전자접촉기의 철심유지구조체에 있어서, 양단부가 각각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하부압력수용면 및 측면압력수용면을 가지며, 고정철심과 하부케이싱의 저부판 사이에 배치되어 하부압력수용면 및 측면압력수용면이 하부케이싱의 저부판과 측벽에 각각 접하는 볼록형 리프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심유지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하부케이싱의 측벽에 각각 형성되어 리프스프링의 대향단부에 형성된 측면압력수용면과 접하고, 측벽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는 비임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심유지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볼록형 리프스프링은 전체적으로 고정철심의 후방부와 하부케이싱의 저부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심유지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양단부는 고정철심과 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심유지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볼록형 리프스프링의 중간부분은 고정철심과 제한된 부분에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심유지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측면압력수용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하고, 볼록형 리프스프링의 각 종료점까지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심유지구조체.
  7. 하부케이싱의 저부판에 고정철심의 후방부를 유지하기 위한 전자접촉기이 철심유지구조체에 있어서, 양단부가 각각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하부압력수용면 및 측면압력수용면을 가지며, 고정철심과 하부케이싱의 저부판 사이에 배치된 볼록형 리프스프링과, 리프스프링의 측면압력수용면과 하부케이싱의 측벽 사이에 각각 배치된 완충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심유지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각 완충재는 측면압력수용면 보다 큰 영역의 측면을 가지며, 각 완충재의 측면은 각 측면압력수용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심유지구조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의 내측면에는 요부가 배치되고, 리프스프링의 양단부에 형성된 하부압력수용면 및 측면압력수용면을 포함하는절곡부가 각 완충재에 밀접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심유지구조체.
  10. 제9항에 있어서, 완충재는 하부케이싱의 저부판에 대해 볼록형 리프스프링을 부동(浮動)형태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심유지구조체.
  11. 제7항에 있어서, 완충재는 고정철심의 후방부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심유지구조체.
KR1019940035933A 1993-12-22 1994-12-22 전자접촉기의 철심유지 구조체 KR01517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322961A JPH07182961A (ja) 1993-12-22 1993-12-22 電磁接触器の鉄心保持構造
JP93-322961 1993-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835A KR950020835A (ko) 1995-07-24
KR0151742B1 true KR0151742B1 (ko) 1998-10-15

Family

ID=18149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5933A KR0151742B1 (ko) 1993-12-22 1994-12-22 전자접촉기의 철심유지 구조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495220A (ko)
EP (1) EP0660355B1 (ko)
JP (1) JPH07182961A (ko)
KR (1) KR0151742B1 (ko)
CN (1) CN1040262C (ko)
DE (1) DE69406767T2 (ko)
TW (1) TW4149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601735D1 (de) * 1995-10-12 1999-05-27 Siemens Ag Schaltgeräte-gehäuse
DE59601790D1 (de) * 1995-10-12 1999-06-02 Siemens Ag Magnetdämpfungsanordnung
CN2416598Y (zh) * 2000-02-17 2001-01-24 正泰集团公司 交流接触器
US6781077B2 (en) * 2000-12-14 2004-08-24 Think Outside, Inc. Keyswitch and actuator structure
JP4321256B2 (ja) * 2003-12-22 2009-08-26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5277078B2 (ja) * 2009-06-04 2013-08-28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電磁接触器
DE102009034247B4 (de) * 2009-07-22 2015-02-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gerät mit Dämpfungsanordnung
DE102009034611B4 (de) * 2009-07-27 2019-10-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gerät mit Dämpfungsanordnung
JP5809443B2 (ja) * 2011-05-19 2015-11-10 富士電機株式会社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JP5776449B2 (ja) * 2011-08-30 2015-09-09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スイッチ
JP5856426B2 (ja) * 2011-10-07 2016-02-09 富士電機株式会社 接点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JP5793048B2 (ja) * 2011-10-07 2015-10-14 富士電機株式会社 電磁接触器
WO2014068625A1 (ja) * 2012-11-05 2014-05-0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磁接触器
CN103646824B (zh) * 2013-11-30 2015-12-16 德力西电气有限公司 接触器电磁系统
EP2924701B1 (de) * 2014-03-27 2016-10-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Aufsatzblock für ein Niederspannungsschaltgerät
CN105934809B (zh) * 2014-05-20 2018-04-27 富士电机机器制御株式会社 电磁接触器
TWI575544B (zh) * 2015-06-30 2017-03-21 Solen Electric Co Ltd Solenoid
CN105118741A (zh) * 2015-09-28 2015-12-02 林勇 节能接触器结构系统
JP6867343B2 (ja) * 2018-09-03 2021-04-28 Ckd株式会社 電磁弁
CN109119290B (zh) * 2018-09-17 2023-11-17 浙江天正电气股份有限公司 接触器
EP3939708B1 (en) * 2019-03-12 2023-11-08 Alps Alpine Co., Ltd. Electromagnetic drive device and oper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3787C (ko) *
DE1776914U (de) * 1958-02-17 1958-11-06 Licentia Gmbh Befestigung des magnetankers am beweglichen schaltteil von elektromagneten, insbesondere bei schuetzen.
DE1119963B (de) * 1960-02-12 1961-12-21 Licentia Gmbh Anordnung zum Daempfen der Kontaktprellungen bei elektromagnetischen Schaltgeraeten,insbesondere bei Schaltschuetzen
US3215800A (en) * 1962-07-02 1965-11-02 Square D Co Electromagnetic relay and contact carrier assembly therefor
US3467921A (en) * 1968-03-04 1969-09-16 Furnas Electric Co Magnetic contactor with special supporting frame
DE7107335U (ko) * 1970-04-13 1971-07-15 Ghisalba Spa
DE2411539B2 (de) * 1974-03-11 1976-04-15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Anordnung zur halterung des nichtschaltenden magnetteils
DD213787B1 (de) * 1983-02-11 1987-05-27 Oppach Schaltelektronik Daempfungsanordnung fuer elektromagnetisch betaetigte schaltgerae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14905B (en) 2000-12-11
CN1040262C (zh) 1998-10-14
KR950020835A (ko) 1995-07-24
US5495220A (en) 1996-02-27
CN1111804A (zh) 1995-11-15
DE69406767D1 (de) 1997-12-18
EP0660355A1 (en) 1995-06-28
EP0660355B1 (en) 1997-11-12
DE69406767T2 (de) 1998-03-12
JPH07182961A (ja) 199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1742B1 (ko) 전자접촉기의 철심유지 구조체
US4638279A (en) Noiseless electromagnet and a contactor using such an electromagnet
JP2005093118A (ja) 複合型電磁継電器
US3949333A (en) Auxiliary switch for electromagnetic contactor
US2414961A (en) Electromagnetic device
CN117352333A (zh) 电磁继电器
CN112086314A (zh) 低噪声继电器
US3735295A (en) Electric control devices with mechanical interlock
US4281305A (en) Electromagnetic switching apparatus
US3368171A (en) Electric control devices with mechanical interlock
CN109887804B (zh) 一种消音式继电器
KR100451918B1 (ko) 전기콘택터스프링
JPH0228204B2 (ko)
US3550048A (en)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switch having a movable contact carrier shock absorber
CA1152544A (en)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control device having auxiliary contacts
JPH0729553Y2 (ja) 電磁接触器の鉄心保持構造
US11264195B2 (en) Relay
WO2021124755A1 (ja) 電磁継電器
US4479102A (en) Machine tool relay structure
KR200158392Y1 (ko) 전자접촉기의 가동접촉자 지지대와 프레임간 충격 흡수용 고무판 장착구조
JPS6245406Y2 (ko)
JPS6140051Y2 (ko)
SU1695413A1 (ru)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е реле
KR19990039212A (ko)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JPS633692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