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1918B1 - 전기콘택터스프링 - Google Patents

전기콘택터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1918B1
KR100451918B1 KR1019970000981A KR19970000981A KR100451918B1 KR 100451918 B1 KR100451918 B1 KR 100451918B1 KR 1019970000981 A KR1019970000981 A KR 1019970000981A KR 19970000981 A KR19970000981 A KR 19970000981A KR 100451918 B1 KR100451918 B1 KR 100451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ontactor
core
armatur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0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렘 피. 시타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에너지 앤드 오토메이션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에너지 앤드 오토메이션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지멘스 에너지 앤드 오토메이션 인코포레이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 H01H50/305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damping vibration due to functional movement of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01H50/045Details particular to contactors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콘택터는 베이스(22)와, 전기접점(32)을 가지는 콘택터어셈블리(20)와, 마그네틱코어(26)와, 코어(26)에 근접하여 이동가능하고, 접점(32)을 회로접속위치와 회로차단위치 사이에 이동하도록 하는 아마추어(30)를 가지는 아마추어어셈블리와, 스프링(36)과로 이루어지고, 이 스프링(36)은 베이스(22)에 일체로 형성되고, 마그네틱코어(26)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로 단순화된 것이다. 아마추어(30), 코어(26) 또는 양쪽 모두에 가해진 운동에너지를 소멸시킴으로써 콘택터가 통전될 때, 스프링(36)은 접점(32)에서의 바운드를 억제한다.

Description

전기콘택터 스프링
본 발명은 전기콘택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운동에너지의 소멸을 통하여 접점의 바운드 또는 진동을 억제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을 가지는 개량된 콘택터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콘택터 또는 릴레이가 통전될 때, 이동가능한 금속아마추어가 마그네틱코어로 끌려가서 아마추어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전기접점이 콘택터의 하우징상에 배설된 전기접점과 접리(接離)함으로써 전기회로를 개폐한다. 이동가능한 아마추어가 접점의 접속 또는 차단후 약간의 운동량이 잔류하므로, 접점의 양호한 분리 또는 견고한 계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이동가능한 아마추어는 마그네틱코어에 향하여 계속하여 이동하도록 한다. 이 아마추어의 운동은 아마추어가 마그네틱코어와 같은 콘택터의 고정부와 충돌할 때 실질적으로 중단된다.
마그네틱코어에 접촉한 후, 아마추어는 마그네틱코어로부터 떨어지거나 또는 리바운드한다. 아마추어는 아마추어상에 작용하는 힘이 이것을 2번째로 방향을 전환할 때까지 계속하여 리바운드하고, 이로써 사이클이 다시 개시된다. 이 흡인, 충돌 및 리바운드의 사이클은 아마추어 및/또는 코어의 운동에너지가, 예를 들면 마찰 또는 열에너지의 형태로 최종 소멸될 때까지 계속된다.
진동 또는 바운드로 또한 알려진 이 사이클과정은, 전기콘택터의 기계적 구성품의 수명에 해로울 수 있다. 특히, 진동 또는 바운드는 접점에서의 표면, 즉 아마추어의 하면 및 마그네틱코어의 상면의 수명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바운드는 콘택터의 전기구성품에 중대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아마추어가 주기적으로 마그네틱코어에 향하여 접근하고 떨어질 때, 연관된 전기회로가 교대로 그리고 반복하여 개폐될 수 있다. 최소한으로, 전기회로의 주기적인 개폐는 회로내에 원하지 않는 소음을 발생시킨다. 아마추어 및 하우징상의 접점 사이에 발생하는 전기아크는 또한 접점을 부식시켜서 접점을 함께 용접해야 될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콘택터의 마그네틱코어와 베이스 사이에 스프링을 부가함으로써 전기콘택터의 바운드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스프링은 코어와 아마추어의 운동에너지가 소멸함으로써 아마추어와 연관된 접점의 바운드를 제거한다. 종래에는, 스프링은 미합중국 특허 제4,945,328호의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와 별개로 제조하여, 콘택터의 조립중에 베이스에 부착하였다.
그러나, 전기콘택터의 조립기술이 상당히 발전하여 경쟁력이 높아졌다. 일반적으로, 경쟁력이 있다는 것은 주요한 이점인 가격과 함께 신뢰성 및 수명에 있어서 비교할 만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제품의 신뢰성을 유지 또는 향상시키면서 가격경쟁력을 가지도록 경제적으로 제조된 콘택터를 제공하는 것이 상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결과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콘택터의 바운드를 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콘택터조립의 전체 비용을 저감하면서 전기콘택터의 바운드를 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택터에 사용된 부품수 및 콘택터조립에 필요한 조립단계를 저감하면서 전기콘택터의 바운드를 억제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택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콘택터에 사용된 베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선 3­3에 따른 수직단면도.
도 4는 조립의 중간단계에서의 베이스의 평면도.
본 발명의 일양태에 있어서, 전기콘택터는, 베이스와, 콘택터어셈블리와로 이루어지고, 콘택터어셈블리는 회로접속위치와 회로차단위치 사이에 이동가능한 전기접점을 포함한다. 베이스상에는 마그네틱코어 및 아마추어어셈블리가 장착되고, 아마추어어셈블리는 상기 코어에 근접하여 이동가능하고, 접점을 회로접속위치와 회로차단위치 사이에 이동하도록 동작하는 아마추어를 가진다. 또한, 스프링이 코어와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아마추어 및/또는 코어의 운동에너지를 소멸시킴으로써 접점의 바운드를 억제한다. 특히, 베이스는 탄성재료로 제조되고, 스프링은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고, 베이스로부터 연장되어 코어와 계합하는 일체의 돌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전기콘택터는, 회로접속위치와 회로차단위 치 사이에 이동가능한 전기접점을 포함하는 콘택터어셈블리와, 스프링을 형성하는 절결부를 가지는 베이스와로 이루어진다. 마그네틱코어는 베이스상에 장착되어 스프링과 접한다. 아마추어어셈블리는 또한 베이스상에 장착되는 동시에, 코어에 근접하여 이동가능하고, 접점을 상기 2위치 사이에 이동하도록 동작하는 아마추어를 가진다. 스프링은 마그네틱코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아마추어 및/또는 코어에 가해진 운동에너지를 소멸시킴으로써 접점의 바운드를 억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전기콘택터는, 베이스와, 회로접속위치와 회로차단위치 사이에 이동가능한 전기접점을 포함하는 콘택터어셈블리와로 이루어진다. 마그네틱코어는 아마추어어셈블리와 함께 베이스상에 장착된다. 아마추어어셈블리는 코어에 근접하여 이동가능하고, 접점을 회로접속위치와 회로차단위치 사이에 이동하도록 동작하는 아마추어를 가진다. 본 발명의 양태에 있어서, 베이스는 또한 베이스와 마그네틱코어 사이에 배설되어 일체로 형성된 바이어스수단을 가지고, 아마추어 및/또는 코어에 가해진 운동에너지를 소멸시킴으로써 접점의 바운드를 억제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전기콘택터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6개의 요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요부는 상측 콘택터어셈블리(20)이고, 제2 요부는대략 U자형 베이스(22)이다. 셸(24)은 베이스(22)와 콘택터어셈블리(20) 사이에 위치하고, 베이스와 함께 마그네틱코어(26)를 어셈블리(20)내에 위치시키는 기능을 한다. 코어(26)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적층마그네틱스틸로 만들어진다. 보빈, 권선 및 터미날어셈블리(28)는 셸(24)내 및 코어(26)상에 위치한다. 어셈블리는 적층금속스틸아마추어(30)로 완성되고, 도 1의 (32)로 나타낸 바와 같은 가동접점과 통상 연결되어 콘택터어셈블리(20)내에 수납된다. 이들 요부들의 보다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미합중국 특허 제4,945,328호를 참조하고, 그 상세는 여기에 참조한다.
콘택터가 통전될 때, 이동가능한 아마추어(30)는 마그네틱코어(26)쪽으로 끌려간다. 아마추어(30)가 마그네틱코어(26)쪽으로 이동하여 아마추어(30)상의 접점(32)을 상측 콘택터어셈블리(20)내에 위치한 제2 세트의 접점(도시하지 않음)과 접촉하게 되며, 따라서 전기회로가 닫힌다. 또는, 그 구성은 아마추어(30)가 코어(26)쪽으로 이동할 때, 접점을 개방하거나 또는 다른 쪽을 닫으면서 1세트의 접점만을 개방할 수도 있다. 접점(32)과 콘택터어셈블리(20)상의 접점이 접속 및/또는 차단된 후에도, 아마추어(30)의 운동량으로 인하여 아마추어(30)가 코어(26)방향으로 계속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아마추어(30)가 마그네틱코어(26)와 충돌하여, 이전의 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리바운드한다. 결국, 아마추어(30)상에 작용하는 코어(26)로부터의 자력으로 인하여 아마추어(30)가 2번째로 방향을 바꾸고, 다시 마그네틱코어(26)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아마추어(30)의 운동에너지, 그 중 일부가 코어(26)에 가해질 수 있는 운동에너지가 완전히 소멸될 때까지 아마추어(30)는 계속하여 바운드한다.
아마추어(30)와 코어(26)의 운동에너지의 소멸율을 증가시키고, 이로써 아마추어(30)와 연관된 접점(32)의 바운드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탄성재료로 제조한 베이스(22)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중간부(34)에 절결부(38)에 의하여 형성된 스프링(36)이 형성된다. 절결부(38)는 2개의 길다란 슬롯(42)를 가지는 C자형 슬롯(40)을 포함하고, 길다란 슬롯(42)은 C자형 슬롯(40)의 양단에 형성된다.
스프링(36)은 T자형이고, 메인부재(44)와 크로스부재(46)를 가진다. 크로스부재(46)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22)의 상면으로부터 거리 d만큼 떨어져 변위된다. 스프링(36) 및 절결부(38)는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절결부(38)는 펀칭이나 스탬핑과 같은 많은 종래의 프로세스중 하나의 프로세스로 형성할 수 있다. 절결부(38)는 도 4의 w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롯폭이 대략 균일하다. 스트레스를 경감하도록 크로스부재(46)와 메인부재(44)가 만나는 곳에 둥근 형상의 릴리프(48)가 형성된다. 절결부(38)를 일단 형성한 후, 베이스(22)를 가공기로 옮기고, 여기에서 판상 스프링(36)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부(34)의 상면 위에 떨어져 변위되고, 여기에 대하여 코어(26)를 조립한다.
동작시에는, 아마추어(30)가 코어(26)에 부딪칠 때, 코어는 스프링(36)의 바이어스에 대하여 누른다. 따라서, 아마추어(30)와 코어(26)의 충돌은 매우 비탄성적이다. 이것은 바꾸어 말하면, 아마추어(30)를 코어(26)로부터 리바운드시켜 원하지 않는 바운드를 통상 일으킬 수 있는 에너지가 많은 양은 필요 없으며, 바운드는 허용가능한 낮은 크기에서도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낮은 가격으로 원하지 않는 바운드의 억제를 달성할 수 있다. 베이스(22)와 일체로 스프링(36)을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스프링의 필요 및 스프링을 콘택터에 부수적으로 조립할 필요 등이 모두 없어지고, 보다 낮은 가격으로 더욱 신뢰성있고 용이하게 콘택터를 조립할 수 있다.

Claims (12)

  1. 베이스와,
    회로접속위치와 회로차단위치 사이에 이동가능한 전기접점을 포함하는 콘택터어셈블리와,
    상기 베이스상에 장착된 마그네틱코어와,
    상기 베이스상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코어에 근접하여 이동가능하고, 상기 접점을 상기 2위치 사이에 이동하도록 동작하는 아마추어를 가지는 아마추어어셈블리와,
    상기 코어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아마추어, 상기 코어 또는 양쪽 모두에 가해진 운동에너지를 소멸시킴으로써 상기 접점의 바운드를 억제하는 스프링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는 탄성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고, 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코어와 계합하는 일체의 돌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대략 U자형이고, 다리가 연장되는 중간부를 가지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중간부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C자형 절결부가 상기 중간부에 형성되어 상기 돌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평면이고, 상기 돌부는 상기 코어와 결합하도록 상기 중간부의 평면으로부터 상기 코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부는 대략 T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터.
  6. 스프링을 형성하는 절결부를 가지는 베이스와,
    회로접속위치와 회로차단위치 사이에 이동가능한 전기접점을 포함하는 콘택터어셈블리와,
    상기 베이스상에 장착되어 상기 스프링과 접하는 마그네틱코어와,
    상기 베이스상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코어에 근접하여 이동가능하고, 상기 접점을 상기 2위치 사이에 이동하도록 동작하는 아마추어를 가지는 아마추어어셈블리와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마그네틱코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아마추어, 상기 코어 또는 양쪽 모두에 가해진 운동에너지를 소멸시킴으로써 상기 접점의 바운드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평면부분을 가지고, 상기 절결부는 상기 평면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절결부는 대략 C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대략 T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평면을 가지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베이스의 평면내의 메인부재와 상기 베이스의 평면으로부터 상기 코어에 향하여 변위된 크로스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터.
  11. 베이스와,
    회로접속위치와 회로차단위치 사이에 이동가능한 전기접점을 포함하는 콘택터어셈블리와,
    상기 베이스상에 장착된 마그네틱코어와,
    상기 베이스상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코어에 근접하여 이동가능하고, 상기 접점을 상기 2위치 사이에 이동하도록 동작하는 아마추어를 가지는 아마추어어셈블리와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마그네틱코어 사이에 배설되어 일체로 형성된 바이어스수단을 가지고, 상기 아마추어, 상기 코어, 또는 양쪽 모두에 가해진 운동에너지를 소멸시킴으로써 상기 접점의 바운드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고, 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코어와 계합하는 돌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터.
KR1019970000981A 1996-01-17 1997-01-15 전기콘택터스프링 KR1004519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587,639 US5623239A (en) 1996-01-17 1996-01-17 Electrical contactor spring
US08/587,639 1996-0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1918B1 true KR100451918B1 (ko) 2004-12-04

Family

ID=24350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0981A KR100451918B1 (ko) 1996-01-17 1997-01-15 전기콘택터스프링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623239A (ko)
KR (1) KR1004519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601735D1 (de) * 1995-10-12 1999-05-27 Siemens Ag Schaltgeräte-gehäuse
US6853276B2 (en) * 2001-09-20 2005-02-08 Richard G. Smith Electromagnetic formed contact surface
EP2048684B1 (de) 2007-10-09 2015-03-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gerät und Verfahren zum Einfügen bzw. Entfernen einer Toleranzeinlage in eine Magnetkammer eines Schaltgerätes
KR101513207B1 (ko) * 2013-11-08 2015-04-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4491A (en) * 1949-02-25 1951-03-06 Goodrich Co B F Shock damper for electromagnetic devices
US2852637A (en) * 1956-04-02 1958-09-16 Guardian Electric Mfg Co Solenoid relay
GB1053488A (ko) * 1963-12-26
US3396354A (en) * 1966-09-01 1968-08-06 Deltrol Corp Solenoid with plunger
US3553613A (en) * 1969-07-23 1971-01-05 Square D Co Magnet and movable contact support structure for a multiple contact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switch
US3643190A (en) * 1970-12-18 1972-02-15 Square D Co Structure for mounting an electromagnet in an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switch
DE2613808C3 (de) * 1976-03-31 1981-11-12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Prelldämpfung für Relaisanker
US4112402A (en) * 1976-10-28 1978-09-05 Schantz Spencer C Compact fail-safe buzzer
US4724410A (en) * 1986-09-25 1988-02-09 Furnas Electric Company Electrical contactor
US5281937A (en) * 1992-07-14 1994-01-25 Fasco Industries, Inc.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method for mak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23239A (en) 1997-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69064C (en) Contact device
US10546707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8823474B2 (en) Contact switching mechanism and electromagnetic relay
CN106057582B (zh) 电磁继电器
JP2016201188A (ja) 電磁継電器
JP4453676B2 (ja) 電磁継電器
JP2006173125A (ja) 電磁リレー
JP2005071754A (ja) 電磁継電器
CN111801761B (zh) 继电器
KR100451918B1 (ko) 전기콘택터스프링
JP2023013760A (ja) リレー
US11515113B2 (en) Contact device
JP2019204794A (ja) 電磁継電器
CN112103141B (zh) 簧片、静触头、接线组件、防回跳组件及磁保持继电器
JP7390791B2 (ja) リレー
JP2020115433A (ja) リレー
JP7420056B2 (ja) 電磁継電器
US11469063B2 (en) Contact device
US11264195B2 (en) Relay
JP6675103B2 (ja) 電磁継電器
JPH0419937A (ja) リレーの接点装置
JP2021174635A (ja) 電磁継電器
JP2022086208A (ja) 電磁継電器
JPH09270223A (ja) 開閉器
JPS6154131A (ja) 開閉装置の接触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