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1592B1 - 신규한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치환된 만니히 염기 윤활 분산 첨가제 - Google Patents

신규한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치환된 만니히 염기 윤활 분산 첨가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1592B1
KR0151592B1 KR1019910001670A KR910001670A KR0151592B1 KR 0151592 B1 KR0151592 B1 KR 0151592B1 KR 1019910001670 A KR1019910001670 A KR 1019910001670A KR 910001670 A KR910001670 A KR 910001670A KR 0151592 B1 KR0151592 B1 KR 0151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ethylene
dispersing additive
acid
molecula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1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1471A (ko
Inventor
라이울 송 원
딘 런드버그 로버트
구티에레츠 안토니오
아더 클라이스트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존 제이. 마흔
엑손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제이. 마흔, 엑손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 제이. 마흔
Publication of KR910021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1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1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1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5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of unknown or incompletely defined constitution
    • C10M159/12Reaction products
    • C10M159/16Reaction products obtained by Mannich re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02Alky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30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 C08F8/32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by reaction with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43Organic compounds mixtures of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2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0L1/234Macromolecular compounds
    • C10L1/23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L1/2383Polyamines or polyimines, or derivatives thereof (poly)amines and imines;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 macromolecular group containing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2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0L1/234Macromolecular compounds
    • C10L1/23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L1/2383Polyamines or polyimines, or derivatives thereof (poly)amines and imines;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 macromolecular group containing 30C)
    • C10L1/2387Polyoxyalkyleneamines (poly)oxyalkylene amines an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 macromolecular group containing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29/86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having a carbon chain of 30 or more atoms
    • C10M129/88Hydroxy compounds
    • C10M129/91Hydroxy compounds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6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5/00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02Hydroxy compounds
    • C10M2207/023Hydroxy compounds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10Macromolecular compounds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02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 C10M2215/04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02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 C10M2215/04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10M2215/042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containing hydroxy groups; Alkoxylated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086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26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7/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7/04Macromolecular compounds from nitrogen-containing mono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17/042Macromolecular compounds from nitrogen-containing mono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between the nitrogen-containing monomer and an aldehyde or keton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7/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7/04Macromolecular compounds from nitrogen-containing mono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17/043Mannich b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7/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7/04Macromolecular compounds from nitrogen-containing mono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17/046Polyamines, i.e. macromoleculars obtained by condensation of more than eleven amine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7/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7/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unctionalisation op polymers with a nitrogen containing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1/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3/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3/02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having no phosphorus-to-carbon bonds
    • C10M2223/04Phosphate esters
    • C10M2223/045Metal containing thio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10/00Metal present as such or in compounds
    • C10N2010/04Groups 2 or 12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02Bea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06Instruments or other precision apparatus, e.g. damping fl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08Hydraulic fluids, e.g. brake-fl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5Internal-combustion eng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5Internal-combustion engines
    • C10N2040/251Alcohol fueled eng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5Internal-combustion engines
    • C10N2040/252Diesel eng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5Internal-combustion engines
    • C10N2040/252Diesel engines
    • C10N2040/253Small diesel eng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5Internal-combustion engines
    • C10N2040/255Gasoline eng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5Internal-combustion engines
    • C10N2040/255Gasoline engines
    • C10N2040/28Rotary eng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30Refrigerators lubricants or compressors lubric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32Wires, ropes or cables lubric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34Lubricating-sea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36Release agents or mold release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38Conveyors or chain bel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40Generators or electric motors in oil or gas winning fiel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42Flashing oils or marking 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44Super vacuum or supercritical us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50Medical 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70/00Specific manufacturing methods for lubricant compositions
    • C10N2070/02Concentrating of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ubricant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Liquid Carbonaceous Fuels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족 화합물의 알킬 잔기가 수평균 분자량 300 내지 약 20,000 의 최소한 하나의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여기에서, 중합체 쇄의 최소한 약 30% 는 말단 에테닐리덴 불포화기를 함유한다)로부터 유도된 알킬 치환된 하이드록시 방향족 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 및 아민의 만니히 염기 축합물을 포함하는 유용성 윤활유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만니히 염기 축합물은 분산제로 유용하다.

Description

신규한 에틸레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치환된 만니히 염기 윤활 분산 첨가제
본 발명은 연료 및 윤활유 조성물을 비롯한 유성 조성물에 유용한 개선된 유용성 분산 첨가제 및 상기 첨가제를 함유하는 농축물에 관한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 3,442,808호는 알킬 치환된 페놀, 포름알데히드 및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을 축합함으로써 제조한 만니히 축합 생성물과 알케닐 숙신산 무수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한 윤활유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미합충국 특허 제 3,458,495호는 1 당량의 황화인 탄화수소와 약 0.5 내지 4 당량의 알킬렌 아미노 페놀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산화방지제 및 분산제 - 청정제 오일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황화인 탄화수소는, 터펜, 석유 분류물 또는 분자량 500 내지 200,000의 C2내지 C6올레핀 중합제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이소부틸렌 또는 이소아밀랜의 중합체 포함) 과 5 내지 40 중량% 의 인 황화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알킬렌 아미노 페놀은 알데히드, 알킬렌 폴리아민 및 알킬 페놀의 만니히 염기 축합에 의해 제조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 4,354,950호에는 하기 일반식의 하이드록시아릴 숙신이미드의 만나히 염기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 은 탄소원자 25 내지 200개의 하이드로카빌이고, R' 는 H, 알킬 또는 할로겐이며, n 은 2 또는 3 이고, m 은 1내지 5의 값을 가지며, Y 는 H 또는 메틸렌 하이드록시아릴 숙신이미드 라디칼이고, x 는 Y 가 H 인 경우에는 1 내지 2 의 값을 갖고, Y 가 메틸렌 하이드록시아릴 숙신이미드 라디칼인 경우에는 1 의 값을 갖는다.
상기 숙신이미드는 단계적 반응으로, 예를 들면 폴리알케닐 숙신산 무수물과 아미노페놀을 반응시켜 중간체 N-(하이드록시아릴)하이드로카빌 숙신이미드를 제조한 다음 이를 만니히 염기 반응에서 알킬렌 디아민 및 알데히드 (예 : 포름알데히드)와 반응시켜 상술한 숙신이미드를 생성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한다. 상술한 숙신이미드를 윤활성 점도를 가진 기재 오일에 가하여 윤활재 농축물 및 윤활유 배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유니로얄 케미 칼(Uniroyal Chemical) 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4,668,834 호는 에폭시-그래프트된 밀봉 조성물에 중간체로 유용하다고 기술된 에틸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 및 삼원고중합체의 제법 및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다.
미쯔이 피트로케미칼(Mitsui Petrochemical)의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87-129,303A 호는 85내지 99몰% 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좁은 분자량 분포(Mw/Mn2.5)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며, 이것은 분산제, 조절제, 또는 토오너(toner)를 제조하기 위한 물질용으로 사용한다고 기술되어 있다. 상기 공중합체 (5 내지 85%의 결정도를 가짐)는 최소한 하나의 시이클로알카디에닐 그룹 및 알룸옥산을 갖는 Zr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 시스템의 존재하에 제조한다.
유럽 특허 제 128,046 호에는 기술된 이중- 메탈로센/알룸옥산 촉매 시스템을 사용하여 제조된 에틸렌 고급 알파-올레핀 공중합체와 폴리에틸렌의 (코)폴리올레핀 반응 혼합물이 기술되어 있다.
유럽 특허 공보 제 129,368호에는 에틸렌 단독 중합체 및 에틸렌 고급 알파-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에 유용한 메탈로센/알룸옥산 촉매가 기술되어 있다.
유럽 특허원 공보 제 257,696 A1 호는 특정 메탈로센/알룸옥산 시스템을 포함하는 촉매를 사용하여 알파-올레핀을 이량화(dimerizing)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PCT 공개특허공보 WO 제 88/01626 호는 알파-올레핀 중합용 전이금속화합물/알룸옥산 촉매에 관한 것이다.
엠. 비. 보그다노프 등(M. B. Bogdanov et al)의 문헌[Oxidative Thermal Degradation of Alkenyl Succinic Anhydrides, Neftehimiya 13 : 734-748(1973)(영문 번역)]은 폴리이소부틸렌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숙신산 무수물의 반응 생성물의 열 산화 안정성 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연구는 숙신산 무수물과 말단 숙신산 무수물 그룹을 함유하고 중합체 쇄에 최저 함량의 이중 결합을 갖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반응 생성물이 가장 안정한 방응 생성물이라고 결론을 맺는다.
본 발명의 한 태양에 따르면, 알킬페놀의 알킬-잔기가 수평균 분자량 300 내지 20,000 의 말단 불포화된 에틸렌 알파-올레핀 중합체 하나 이상에서 유도되고 말단 불포화기가 에테닐리덴 불포화기를 포함하는, 신규의 알킬화된 하이드로시 방향족 화합물이 제공된다. 상기 화합물은 출발 에틸렌 알파-올레핀 중합체를 기준으로 현저하게 높은 전환율로 제조되는데, 미 반응된 에틸렌 알파-올레핀 중합체 농도가 최소화된 생성 혼합물을 제공함으로써 공정 효율을 얻는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알킬화된 하이드록시 방향족 화합물은 신규한 만니히 염기분산제의 제조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방향족 화합물의 알킬-잔기가 수평균 분자량 300 내지 10,000 의 말단 불포화된 에틸렌 알파- 올레핀 중합체 하나 이상에서 유도되고 말단 불포화기가 에테닐리덴 불포화기를 포함하는 알킬 치환된 하이드록시 방향족 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 및 아민의 만니히 염기 축합물을 포함하는 유용성 윤활유 첨가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방법은 미반응된 중합체의 저농도(보통 약 40 중량% 미만, 예를 들면 5 내지 35 중량%) 및 첨가제를 쉽게 취급할 수 있게 하는 유리한 점도 특성을 동시에 특징으로 하는 신규의 유용성 만니히 염기 축합물 윤활유 첨가제를 제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규한 에틸렌 알파-올레핀 중합체 치환된 만니히 염기 축합물 첨가제는 약 4.1 미만의 VR 값(이후에 정의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므로, 상기를 함유 윤활유에 유리한 점도 개질 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거의 할로겐-비함유 물질로서 고농축된 형태의 상기 치한된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할로겐-함유 윤활유 첨가제와 관계된 부식 프로세싱상의 어려움 및 환경상의 문제점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분산제 물질을 본 발명의 치환된 중합체로 부터 제조하여, 약 4.1 미만의 VR' 값 및 약 1.11 미만의 VR'/VRr 비(상기 값과 비는 이후에 정의함)를 갖는 윤활유 분산제 생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방법은 우수한 점도 특성의 고분자량 에틸렌-알파-올레핀 중합체(Mn5,000, 예 : 5,500-10,000)로 부터 고도로 농축되고, 실질적으로 할로겐이 없는 분산제를 제조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물질은 그의 향상돈 슬러지 및 바니스 억제 성질에 의해 나타나는 바와 같이, 그의 효능 및 향상된 윤활유 분산성을 제공하는 그의 능력 때문에 선행기술 만니히 염기 물질과 다르다.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
본 발명에 사용된 중합체는 에틸렌과 일반식 H2C=CHR1(여기에서, R1은 1 내지 18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라디칼이다)을 갖는 최소한 하나의 알파-올레핀의 중합체이며, 상기 중합체는 말단 에테닐리덴 불포화기를 많이 함유한다. 상기 식중의 R1은 1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이 바람직하고, 1 내지 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일킬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에틸렌과 공중합하는데 유용한 공단량체에는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옥펜, 4-메틸, 1-펜텐, 1-데센, 1-도데센, 1-트리데센, 1-테트라데센, 1-펜타데센, 1-헥사데센, 1-헵타데센, 1-옥타데센, 1-노나데센 및 이들의 혼합물(예를 들면, 프로필렌과 1-부텐의 혼합물 등)이 포함된다.
상기 중합체의 예로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등이 있다. 바람직한 중합체는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및 에틸렌과 1-부텐의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중합체의 에틸렌 몰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80%, 더욱 바람하게는 약 30 내지 약 70% 범위이다. 에틸렌과의 공단량체(들)로서 프로필렌 및/또는 1-부텐을 사용하면, 상기 공중합체중의 에틸렌 함량은 가장 바람직하게 약 45 내지 약 65% 이지만 보다 높거나 낮은 에틸렌 함량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약 300 내지 20,000(예 : 약 30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는 약 900 내지 20,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900 내지 10,000(예 : 700 내지 약 15,000),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00 내지 약 5,000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상기 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은 몇가지 공지된 기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에 편리한 방법은, 추가로 분자량 분포 정보도 제공하는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ize exclusion chromatography)(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로도 알려짐)에 의한 방법이며, 문헌[W.W Yau, J.J. Kirkland 및 D. D. Bly, Modern Size Exclysion Liquid Chromatography ,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979]을 참조하시오.
따라서, 상기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약 0.025 내지 약 0.9dℓ/g,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0.5dℓ/g,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75 내지 약 0.4dℓ/g의 고유점도(135℃ 에서 테트랄린으로 측정함)를 갖는다.
본 발명에 사용된 중합체는그래프트될때 실질적으로 무정형일 수 있도록 하는 정도의 결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중합체는 그 중합체 쇄의 약 95% 및 그 이상까지가 말단 에테닐리덴-형 불포화기를 가짐을 추가의 특징으로한다. 따라서, 상기 중합체의 한쪽 말단은 일반식 POLY - C (T1)=CH2(여기에서, T1은 C1내지 C18의 알킬, 바람직하게는 C1내지 C8의 알킬, 더욱 바람직하게는 C1내지 C2알킬(예 : 메틸 또는 에틸)이고, POLY는 중합체 쇄를 가리킨다)이 될것이다. 상기 T1알킬 그룹의 쇄길이는 중합에 사용하기 위해 선택된 공단량체(들)에 따라 변할 것이다. 중합체 쇄의 소량은 말단 에테닐 불포화기, 즉, POLY - CH =CH2를 함유할 수 있으며, 중합체의 일부는 내부의 단일 불포화기, 예를 들면, POLY - CH =CH(T1) (여기에서, T1은 상기에 정의한 바와 같다)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종합체는 쇄의 최소한 약 30% 가 말단 에테닐리덴 불포화기를 갖는 중합체 쇄를 포함한다. 상기 중합체 쇄의,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약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약 60%,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약 75%( 예 : 75 내지 98%)가 말단 에테닐리덴 불포화기를 갖는다. 말단 에테닐리텐 불포화기를 갖는 중합체 쇄의 %는 FTIR 분광 광동계 분석, 적정, 또는 C13NMR 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중합체 및 조성물은 미합중국 특허 제 4,668,834 호, 유럽 특허 공보 제 128,368 호 및 제 129,368호, 및 동시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원 제 728, 111 호(1985. 4. 29. 출원) 및 제 93,460호(1987. 9. 10. 출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한 특허 모두의 개시 내용을 전부 본 발명에 참고로 인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중합체는, 최소한 하나의 메탈로센( 예 : 사이클로펜타디에닐-전이금속 화합물) 및 알룸옥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 시스템의 존재하에, 에틸렌과 3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파- 올레핀(3 내지 4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것, 즉, 프로필렌, 1-부텐 및 이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과 같은 기타 단량체를 포함 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공단량체 함량은 메탈로센 촉매 성분의 선택 및 각종 단량체들의 분압 조절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반응물 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된 촉매는 원소 주기율표(문헌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1975)]의 제 56판)의 4b 족 금속의 사이클로펜타디에닐 유도체인 유기금속 배위 화합물이며, 전이금속의 모노, 디, 및 트리-사이클로펜타디에닐과 이의 유도체들이 포함된다. 티타늄, 지르코늄 및 하프늄과 같은 4b 족 금속의 메탈로센이 특히 바람직하다. 메탈로센과 함께 반응 생성물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알룸옥산은 알루미늄 트리 알킬과 물의 반응 생성물 자체이다.
일반적으로 , 최소한 하나의 메탈로센 화합물을 촉매 제조에 사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탈로센은 사이클로펜타디엔의 금속 유도체이다.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하게 사용되는 메탈로센은 최소한 하나의 사이클로펜타디엔 환을 함유한다. 이 금속은 4b족중에서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티타늄, 지르코늄, 및 하프늄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프늄 및 지르코늄이다. 사이클로펜타디에닐 환은 비치환되거나, 예를 들어 하이드로카빌치환체( 예 : 5개 이하의 C1내지 C5하이드로카빌 치환체) 또는 다른 치환체 (예 : 트리알킬 실릴 치환체)와 같은 치환체 하나 이상(예 : 1내지 5개의 치환체)을 함유할 수 있다. 메탈로센은 1, 2 또는 3개의 사이클로펜타디에닐 환을 함유할 수 있으나, 2개의 환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용한 메탈로센은 하기 일반식(Ⅰ)(Ⅱ)(Ⅲ)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상기식에서, Cp 는 사이클로펜타디에닐 환이고, M 은 4b쪽 전이금속이며, R 은 탄소원자 1 내지 20개를 갖는 하이드로카빌 그룹 또는 하이드로카복시 그룹이고, X 는 할로겐이며, m 은 1 내지 3 의 수이고, n 은 0 내지 3 의 수이며, q 는 0 내지 3의 수이고, (C5R'k)는 사이클로펜타디에닐 또는 치환된 사이클로 펜타디에닐이며, R' 는 각각 같거나 다르며, 수소, 탄소원자 1 내지 20개를 함유하는 알킬, 알케닐,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릴알킬 라디칼과 같은 하이드로카빌 라디칼, 실리콘 함유 하이드로카빌 라디칼, 또는 2개의 탄소원자가 함께 결합하여 C4내지 C6환을 형성하는 하이드로카빌 라디칼이고, R 는 두 (C5R'k) 환을 연결하는 C1- C4알칼렌 라디칼, 디알칼 게르마늄 또는 실리콘, 또는 알킬포스핀 또는 아민 라디칼이며, Q 는 탄소원자 1 내지 20개를 갖는 아릴, 알킬, 알케닐, 알킬아릴, 또는 아릴알킬 라디칼과 같은 하이드로 카빌 라디칼, 탄소원자 1 내지 20개를 갖는 하이드로카복시 라디칼 또는 할로겐이고, 이들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Q'는 탄소원자 1 내지 약 20개를 갖는 알킬리덴 라디칼이고., S 는 0 또는 1이며, g 는 0, 1 또는 2 이고, g 가 0 이면 s 는 0 이고, s가 1이면 k는 4이고, s 가 0이면 k 는 5 이다. 하이드로카빌 라디칼의 예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아밀, 이소아밀, 헥실, 이소부틸, 헵틸, 옥틸, 노닐, 데실, 세틸, 2에틸헥실, 페닐등이 있다. 실리콘 함유 하이드로카빌 라디칼의 예로는 트리메틸실릴, 트리에틸실릴 및 트리 페닐실릴이 있다. 할로겐 원자의 예에는 염소, 브롬, 불소 및 요오드가 포함되며, 이들 할로겐원자중에서 염소가 바람직하다. 하이드로카복시 라디칼의 예로는 메톡시, 에톡시, 부톡시, 아밀옥시 등이 있다. 알킬리덴 라디칼의 예는 메틸리덴, 에틸리덴 및 프로필리덴이다.
일반식(Ⅰ)로 표시된 메탈로센의 예로는 디알킬 메탈로센, 예를들면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 티타늄디메틸,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티타늄 티페닐,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 지르코늄 디메틸,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페닐,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하프늄 디메틸 및 디페닐,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티타늄 디-네오펜틸,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네오펜틸,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티타늄 디벤질,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벤질,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바나듐 디메틸, 모노 알킬메탈로센, 예를 들면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티타늄 메틸 클로라이드,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티타늄 에틸클로라이드,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티타늄 페닐클로라이드,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하이드로클로하이드,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 지르코늄 메틸클로라이드,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에틸클로라이드,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페닐클로라이드,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티타늄 메틸 브로마이드,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티타늄 메틸 요오다이드,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티타늄 에틸 브로마이드,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티타늄 에틸 요오다이드,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티타늄 페닐 브로마이드,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티타늄 페닐 요오다이드,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메틸 브로마이드,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 지르코늄 메틸 요오다이드,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에틸 브로마이드,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에틸 요오다이드,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 지르코늄 페닐 브로마이드, 및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 지르코늄 페닐 요오다이드; 트리알킬 메탈로센, 예를 들면 사이클로펜타디에닐 티타늄 트리메틸, 사이클로펜타디에닐 지르코늄 트리페닐, 사이클로펜타디에닐 지르코늄 트리네오펜틸, 사이클로펜타디에닐 지르코늄 트리메틸, 사이클로펜타디에닐 하프늄 트리페닐, 사이클로펜타디에닐 하프늄 트리네오펜틸 및 사이클로펜타디에닐 하프늄 트리메틸이 있으며, 이들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메탈로센(Ⅱ) 및 (Ⅲ)의 예로는 모노사이클로펜타디에닐 티타노센, 예를 들면 펜타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 티타늄 트리클로라이드, 펜타에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 티타늄 트리클로라이드, 비스(펜타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 티타늄 디페닐, 구조식 비스 (펜타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 티타늄 = CH2의 카밴 및 카밴의 유도체(예를들면, 비스(펜타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 Ti=CH2·A1(CH3)3, (Cp2TiCH2)2, Cp2TiCH2CH(CH3)CH2, Cp2TiCH2CH2CH2, 치환된 비스 (Cp)Ti(IV) 화합물, 예를 들면, 비스(인데닐) 티타늄 디페닐 또는 디클로라이드, 비스(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 티타늄 디페닐 또는 디할라이드, 디알킬, 트리알킬, 테트라알킬 및 펜타알킬 사이클로펜타디에닐 티타늄 화합물, 예를들면, 비스(1,2-디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 티타늄 디페닐 또는 디클로라이드, 비스(1,2-디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티타늄 디페닐 또는 디클로라이드 및 다른 디-할라이드 착화합물, 실리콘, 포스핀, 아민 또는 탄소 가교 결합된 사이클로펜타디엔 착화합물, 예를 들면 디메딜실릴디사이클로펜타디에닐 티타늄 디페닐 또는 디클로라이드, 메틸 포스핀 디사이클로펜타디에닐 티타늄 디페닐 또는 디클로라이드, 메틸렌 디사이클로펜타디에닐 티타늄 디페닐 또는 디클로라이드 및 일반식(Ⅱ) 및 (Ⅲ)으로 표기되는 다른 착화합물이 있으며, 이들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일반식(Ⅱ) 및 (Ⅲ)의 지르코노센의 예로는 펜타메틸 사이클로펜타디에닐 지르코늄 트리클로라이드, 펜타에틸 사이클로펜타디에닐 지르코늄 프리클로라이드, 알킬 치환된 사이클로펜타디엔, 예를 들면 비스(에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 지르코늄 디메틸, 비스(n-부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 지르코늄 디메틸, 비스(사이클로 헥실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 지르코늄 디메틸, 비스(베타-페닐프로필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메틸, 비스(사이클로 핵실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메틸, 비스(n-옥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 지르코늄 디메틸 및 이들 화합물의 할로알킬, 디하이드라이드 및 디할라이드 착화합물, 디알킬, 트리알킬, 테트라알킬 및 펜타알킬 사이클로 펜타디엔, 예를들면 비스 (펜타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페닐, 비스(펜타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메틸, 비스(1,2-디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메틸, 및 이들 화합물의 모노 및 디할라이드 및 하이드라이드 착화합물, 실리콘, 인 및 탄소 가교결합된 사이클로펜타디에 착화합물, 예를들면 디메틸실릴 디사이클로펜타디에닐 지르코늄 디메틸, 메틸 할라이드 또는 디할라이드 및 메틸랜 디사이클로펜타디에닐 지르코늄 디메틸, 메틸 할라이드, 또는 디할라이드, 모노-, 디- 및 트리-실릴 치환된 사이클로펜타디에닐 화합물, 예를 들면 비스(트리메틸실릴사이클로펜타디에닐) 지르코늄 디클로 라이드 및 디메틸 비스(1,3-디-트리메틸실릴 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및 디메틸, 및 비스(1,2,4-트리-트리메틸실릴 사이클로펜타디에닐) 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및 디메틸, 일반식 Cp2Zr=CH2P(C6H5)2CH3의 카벤 및 이들 화합물이 유도체 (예, Cp2ZrCH2CH(CH3)CH2)가 있으며, 이들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이클로펜타디에닐(펜타메틸 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1,3-디-트리메틸실릴사이클로펜타디에닐)(펜타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 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및 사이클로펜타디에닐(인데닐) 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와 같은 온합된 사이클로펜타디에닐 메틸로센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중합체는 에틸렌 단독 중합체를 거의 함유하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기타 메탈로센의 예로는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하프늄 디클로라이드,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하프늄 디메틸,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바나듐 디클로라이드 등이 있다.
몇몇 바람직한 메탈로센은 다음과 같다.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메틸,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티타늄 디클로라이드,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티타늄 디클로라이드, 비스(n-부탈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디사이클로펜타디에닐 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트리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디사이클로펜타디에닐 티타늄 디클로라이드, 버스(인데닐) 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4,5,6,7-테트라하이드로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1,2-에틸렌 가교결합된 비스(4,5,6,7-테트라하이드로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아드의 라세미 및 /또는 메소 이성체, 1,1-디메틸실릴 가교결합된 비스(4,5,6,7-테트라하이드로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의 라세미 및/또는 메소 이성체, 1,1-디메틸실릴 가교결합된 비스(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의 라세미 및/또는 메소 이성체.
중합 공정에 유용한 알룸옥산 화합물은 환상이거나 선상일 수 있다. 환상 알룸옥산은 일반식(R-A1-O)n 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선상 알룸옥산은 일반식 (R-A1-O)n' A1R2로 나타낼 수 있다. 이들 일반식에서, R은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및 펜틸과 같은 C1내지 C5의 알킬 그룹이며, n 은 3내지 20의 정수이고, n'는 1 내지 약 20 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R 은 메틸이고, n 및 n' 는 4내지 18이다. 일반적으로, 예를들어 알루미늄 트리메틸과 물로부터 알룸옥산을 제조할때, 선상 화합물과 환상 화합물의 혼합물이 수득된다,
알룸옥산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을 톨루엔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와 같은 적절한, 유기 용매중의 알루미늄 트리알킬(예, 알루미늄 트리메틸)의 용액과 접촉시켜 알룸옥산을 제조한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 알킬은 습윤 용매의 형태로 물로 처리한다. 다른 방법으로, 알루미늄 트리메틸과 같은 알루미늄 알킬을, 황산구리 또는 황산제1철 수화물과 같은 수화된 염과 접촉 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룸옥산을 황산제1철 수화물의 존재하에 제조한다. 이 방법은 예를 들어, 틀루엔중의 알루미늄 트리메틸의 묽은 용액을 구조식 FeSO4+7H2O 의 황산제1철로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황산제1철 대 알루미늄 트리메틸의 비는 황산제1철 약 1몰대 알루미늄 트리메틸 6 내지 7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반응은 메탄의 방출로 입증된다.
알룸옥산중의 알루미늄 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메탈로센중의 총 금속의 몰비는 약 0.5 :1 내지 약 1000:1, 바람직하게는 약 1:1 내지 약 100:1의 범위일 수 있다. 이 몰비는 50:1 내지 약 5:1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20:1 내지 5:1의 범위가장 바람직하다.
촉매 시스템의 제조에 사용된 용매는 불활성 탄화수소, 특히 촉매 시스템에 대해 불활성의 탄화수소이다. 이러한 용매는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이소부탄, 부탄, 펜탄, 석탄, 핵산,헵탄, 옥탄, 사이클로헥산, 메틸사이크롤헥산, 톨루엔, 크실렌 등이 포함된다.
중합반응은 일반적으로 약 20℃ 내지 약 300℃,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20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반응 시간은 제한적이지 않으며, 반응온도, 공중합시킬 단량체 등과 같은 인자에 따라 몇 시간이상 내지 몇분 미만으로 다양할 수 있다. 본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통상적인 실험에 의해, 주어진 일련의 반응 변수에 대한 최적 반응시간을 쉽게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촉매 시스템은 넓은 범위의 압력에 거쳐 올레핀을 용액을 중합하는데에 적절하다. 바람직하게는, 중합반응은 약 10 내지 약 3,000 bar 의 압력에서 완결될 것이며, 약 40 bar 내지 약 2,000 bar 범위내의 압력이 일반적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중합 반응은 50bar 내지 약 1,500bar 범위내의 압력에 완결될 것이다.
중합반응 및 임의적인 촉매의 비활성화(예를 들면, 중합 반응 매질을 물 또는 메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과 같은 알콜과 접촉시키고, 중합반응을 종결시키기 위해 냉각 또는 플래쉬시키는 것과 같은 통상의 기법에 의함)후에, 본 분야에 잘 알여진 방법에 의해 중합체 생성물을 회수할 수 있다. 모든 과잉의 반응물은 중합체로 부터 플래쉬시켜 제거할 수 있다.
중합반응은 반응 매질로서 액상 프로필렌과 같은 액상 단량제, 또는 액상 단량체들의 혼합물(예 : 액상 프로필렌과 1-부텐의 혼합물) 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달리, 중합반응은 중합에 대해 불활성인 탄화수소, 예를 들면 부탄, 펜탄, 이소펜탄, 헥산, 이소옥탄, 테칸, 톨루엔, 크실렌 등의 존재하에 수행할 수도 있다.
주어진 일련의 조작 조건에서 생성되는 중합체 생성물의 분자량의 원하는 것보다 높은 경우에, 분자량 조절을 위해 선행 기술에 알려진 어떠한 기법, 예를들면 수소의 사용 및/또는 중합온도 조절기법을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러기를 원한다면, 수소 존재하에 중합 반응을 수행하여 중합체 분자량을 낮출 수 있다. 말단 에테닐리덴 불포화기가 중합체 쇄의 약 30% 미만으로 감소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그러나, 가해진 H2가스의 실질적인 부재하에서, 즉 , 중합체 분자량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가해진 H2가스의 부재하에서 상기 중합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반응은 중합 반응 영역에 공급된 에틸렌 단량체의 몰을 기준으로 5wpp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wppm 미만의 첨가 H2가스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배취(batch)형 방식으로 중합반응을 수행하는 경우, 적절한 반응기에 적절한 비율로 반응희석제(경우에 따라), 에틸렌 및 알파-올레핀 공단량체(들)을 공급한다. 모든 성분들은 건조해야 하고, 반응물은 전형적으로 반응기내로 도입하기에 앞서 분자체 또는 기타 건조 수단을 통과시켜야 함에 주의해야 한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촉매, 그 다음에는 보조촉매를, 또는 먼저 보조촉매, 그 다음에는 촉매를 도입하여 중합반응이 개시되도록 한다. 다른 방법으로, 용매에 촉매와 보조촉매를 미리 혼합한 다음 반응기에 공급할 수도 있다. 중합체가 형성됨에 따라 추가 단량체를 반응기에 가할 수 있다. 반응이 완결된 후, 필요하다면 진공에 의해 미반응 단량체 및 용매를 플래쉬 또는 증류시켜, 반응기로부터 저분자량 공중합체를 회수한다.
성분들의 체류시간이, 목적하는 분자량을 갖는 중합체를 생성하고, 반응 혼합물로부터 중합체를 분리하기에 충분히 길수 있도록, 반응 희석제(사용한다면), 단량체, 촉매 및 보조촉매를 반응기에 공급하는 것과, 용매, 미반을 단량체 및 중합체를 반응기로부터 회수하는 것을 동시에 실시하는 연속 방식으로 중합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하이드록시 방향족 화합물]
본 발명의 알킬화된 물질의 제조에 유용한 하이드록시 방향족 화합물에는하기 일반식(Ⅲa)를 갖는 화합물이 포함된다.
Figure kpo00005
상기식에서 Ar 은
Figure kpo00006
또는
Figure kpo00007
(여기에서, a는 1 또는 2이고, R는 브로마이드 또는 클로라이드 라디칼과 같은 할로겐 라디칼 이며, b 는 0 내지 2 의 정수이다) 를 나타내고, c 는 1 내지 2 의 정수이다.
상기 Ar 그룹의 예로는 페닐렌, 비페닐렌, 나프탈렌 등이 있다.
[알칼화된 하이드록시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하이드록시 방향족 화합물의 방향족 그룹을 알킬화하기에 효과적인 조직하에 하나 이상의 산성 알킬화 촉매 촉매효과량의 존재하여 선택된 에틸렌 알파-올레핀 중합체와 하이드록시 방향족 화합물을 접촉시킨다. 알킬화 촉매는 통상적이며, H3PO4, H2SO4, HF, BF3, HF-BF3등과 같은 무기산을 포함할 수 있다. 산 촉매는 또한 흡착 되거나 흡수된 산성 그룹을 가진 산성 이온 교환 수지, 예를 들면 앰벌리스트(Amberlyst) 15 수지(롬 앤드 하아스캄파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촉매로 융용한 것은 전술한 것과 C2내지 C10에테르, C1내지 C10알콜, C2내지 C10케론, 페놀 등과 예비형성된 착염(또는 동일 반응계에서 형성된 착염), 예를 들면, 디메틸에테르, 디에틸에테르, 페놀 등과 착염을 이룬 BF3이다.
하이드록시 방향족 화합물 및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중합체의 몰당 약 0.1 내지10,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7, 더욱 바람직학는 약 2 내지 5몰의 방향족 화합물의 비로 접촉될 것이다. 선택된 산 촉매는 매우 다양한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산 촉매가 무기 촉매를 포함하는 경우, 산 촉매는 알킬화 반응 영역에 공급된 하이드록시 방향족 화합물의 몰당 최소한 약 0.001,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0.5,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0.3 몰의 촉매를 제공하도록 공급할 것이다. 하이드록시 방향족 화합물의 몰당 1 몰 이상의 무기 촉매를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불필요하다. 산 촉매가 지지된 촉매, 예를 들면 산성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반응물을 통상적인 고-액 접촉 기법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반응물을 이온 교환 수지에 통과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촉매 상에서 또는 수지 촉매로 강화되거나 달리 이를 함유하는 막(membrane)을 통과시켜) 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시킬수 있으며, 하이드록시 방향족 화합물의 몰당 사용된 촉매의 몰에 대한 상한치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알킬화 온도는 매우 다양할 수 있으며, 보통 약 2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15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80℃ 범위일 것이다.
알킬화 반응 시간은 다양하여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5시간이겠지만, 보다 길거나 짧은 시간을 사용할 수 있다. 알킬화 공정은 배취식, 연속식 또는 반연속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산 촉매를 중화하고/하거나 제거한 다음 알킬화 생성물의 혼합물과 친핵성 화합물(예 : 폴리아민)및 알데히드반응물을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화는 조 알킬화 생성물을 기상 암모니아 또는 기타 염기성 반응 화합물 (예 ; 수성 NaOH, KOH 등)과 접촉 시킨 다음 여과에 의해 침전된 중화된 촉매 고체를 제거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유형의 알킬화 공정은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 3,539,633호 및 제 3,649,229호에 기술되어 있고, 이의 기술 내용을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킬화에서 수득된 전환율(%)은 의외로 높으며 98% 이상의 전환율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환율은 반응하는 공급된 에틸랜 알파-올레핀 중합체의 퍼센트를 근거로, 적어도 약 70%(예를 들면70 내지 98%) 및 바람직하게는80내지 95% 일 것이다. 수득된 정확한 중합체의 Mn, 알킬화 온도, 반응 시간 및 기타의 요인에 따르며, 중합체 Mn이 증가함에 따라 전환은 일반적으로 다소 감소될 것이다. 본 발명의 알킬화 방법은 약 300 내지 5,000,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3,000 의 Mn을 갖는 중합체에 대해 유익하다.
알칼화 반응 영역에 공급하는 본 발명의 에틸렌 알파-올레핀 중합체는 단독으로, 또는 탄소원자 1 내지 20개를 갖는 알켄에서 유도된 다른 폴리알켄(부텐 펜텐, 옥텐,데센, 도데센, 테트라도데센등), 및 C3내지 C10(예를 들면, C2내지 C5) 모노올레핀의 단독중합체, 및 C2내지 C10(예를들면, C2내지 C5) 모노올레핀의 공중합체(이 추가의 중합체는 최소한 약 900의 수평균 분자량, 약 4.0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3.0미만(예를들면, 1.2 내지 2.8)의 분자량 분포를 갖는다)와 함께(예를들면, 혼합물로) 공급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바람직한 상기 추가의 올레핀 중합체는 C2내지 C10(예를들면, C2내지 C5) 모노올레핀을 주요 몰량으로 포함한다.
상기 올레핀에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이소부틸렌, 펜텐, 1-옥텐, 스티렌 등이 포함된다. 추가로 공급된 단독중합체의 예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및 폴리-n-부텐등 뿐만 아니라, 상기 올레핀 둘 이상의 인터폴리머(예를 들면, 본 발명에 사용된 바람직한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의 경우 상기에 기술한 것과는 다른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즉, 중합체 쇄의 약 10중량% 미만이 에틸렌형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거의 포화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부틸렌과 이소부틸렌의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이소부틸렌의 공중합체등)가 있다. 다른 공중합체에는 공중합체 단량체의 적은 몰량, 예를들면 1 내지 10몰%가 C4내지 C18비공액 디올레핀, 예를들면 이소부틸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및 1,4-헥사디엔의 공중합체등인 것들이 포함된다. 알칼화 반응에 공급된 추가의 상기 올레핀 중합체는 보통 최소한 약 900, 더 일반적으로는 약 1,200 내지 약 5,000, 더더욱 일반적으로는 약 1,500 내지 약 4,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가질 것이다. 특히 유용한 상기 추가의 올레핀 중합체는 쇄당 약 하나의 이중결합을 가지면서 약 1,500 내지 약 3,000 범위내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특히 유용한 추가의 상기 중합체는 폴리이소부틸렌이다. 상기 폴리이소 부틸렌과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상기 공중합체 쇄의 최소한 30중량% 가 상기에 기술한 말단 에테닐렌 모노 불포화기를 함유한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은 여러 공지된 기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편리한 측정방법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법이며, 이 방법은 또한 분자량 분포 정보도 제공한다[참조 : W.W. Yau, J.J Kirkland and D.D.Bly, Modern Size Exclusiton Liquid Chromatograph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979].
[알데히드 물질]
알데히드 반응물은 일반적으로 포름알데히드 또는 파라포름알데히드를 포함하겠지만, 기타 알데히드-그룹 함유 화합물, 예를 들면 C2내지 C10하이드로카빌 알데히드(예; 부티르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 알데히드 등)를 또한 사용할 수 있음을 주지하여야 한다.
알데히드 물질의 바람직한 그룹은 일반식 RCHO(여기에서, R는 H 또는 탄소원자 1 내지 4개를 갖는 지방족 탄화수소 라디칼이다)의 화합물이다.
[아민 화합물]
선택된 에틸렌-알파-올레핀 중합체 및 알데히드 물질과의 반응을 위한 친핵 반응제로 유용한 아민 화합물에는 분자중의 총 탄소원자수가 약 2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0 (예, 3 내지 20)이고 질소원자수는 약 1 내지 12개,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2,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내지 9인 모노- 및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민이 포함된다. 이들 아민은 하이드로카빌아민일 수도 있거나,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 그룹, 알콕시 그룹, 아미드 그룹, 니트릴, 이미다졸린 그룹등과 같은 다른 그룹을 포함하는 하이드로 카빌아민일 수도 있다. 1 내지 6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하이드록시 그룹을 함유하는 하이드록시아민이 특히 유용하다. 바람직한 아민은 다음 일반식(IV) 및 (V)의 아민을 비롯한 지방족 포화아민이다 :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상기식에서, R, R', R 및 R' 는 독립적으로 수소; C1내지 C25직쇄 또는 측쇄 알킬 라디칼; C1내지 C12알콕시-C2내지 C6알킬렌 라디칼; C2내지 C12하이드록시 아미노 알킬렌 라디칼; 및 C1내지 C12알킬아미노-C2내지 C6알킬렌 라디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R' 는 추가로 일반식
Figure kpo00010
(여기에서, R' 는 상기에서 정의하는 의미와 같다)의 잔기를 함유할 수 있고; r 및 r' 은 같거나 다를수 있으며 각각 2 내지 6,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의 수이고; t 및 t' 는 같거나 다를수 있으며 각각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7 의 수이나, 단, t 와 t' 의 합은 15를 넘지 못한다.
반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반식(IV) 및 (V)의 화합물에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1차 또는 2차 아민 그룹,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1차 또는 2차 아민 그룹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방식으로 R, R', R, R', r, r', t 및 t' 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R, R', R 또는 R' 그룹의 적어도 하나가 H 가 되도록 선택하거나, R' 가 H 인 경우 또는 일반식(VI)의 잔기에 2차 아미노 그룹이 존재하는 경우에 일반식(V)에 t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상기 일반식의 아민은 일반식(V)로 표시되며, 적어도 2개의 1차 아민그룹과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의 2차 아민그룹을 함유한다.
적절한 아민화합물의 예로는 1,2-디아미노에탄; 1,3-디아미노프로판; 1,4-디아미노부탄; 1,6-디아미노헥산; 폴리에틸렌아민(예, 디에틸렌 트리아민; 트리에틸렌 테트리아민; 테트라에틸렌 펜타아민); 폴리프로필렌아민(예, 1,2-프로필렌 디아민; 디-(1,2-프로필렌)-트리아민; 디-(1,3-프로필렌)트리아민); N,N-디메틸-1,3-디아미노프로판;N,N-디-(2-아미노에틸)에틸렌디아민; N,N-디-(2-하이드록시에틸)-1,3-프로필렌디아민;3-도데실옥시프로필아민;N-도데실-1,3-프로판디아민;트리스 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THAM); 디이소프로판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노-, 디-, 및 트리-탈로우 아민; 아미노모르폴린(예, N-(3-아미노프로필)모르폴린);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으며, 이들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유용한 아민화합물에는 1,4-디(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과 같은 알리사이클릭 디아민; 및 아미다졸린 및 하기 일반식(VII)의 N-아미노알킬 피페라진과 같은 헤테로사이클릭 질소 화합물이 포함된다 :
Figure kpo00011
상기식에서, p1및 p2는 같거나 다르며, 각각 1 내지 4의 정수이고; n1, n2및 n3는 같거나 다르며, 각각 1 내지 3의 정수이다.
상기 아민의 예로는 2-펜타데실 이미다졸린; N-(2-아미노에틸)피페라진 등이 있으며, 이들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시판하는 아민화합물의 혼합물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알킬렌아민을 제조하는 한 방법은 알킬렌 디할라이드(예, 에틸렌 디클로라이드 또는 프로필렌 디클로라이드)와 암모니아를 반응시켜 알킬렌아민의 착화합물의 혼합물을 생성하는 방법으로, 이 착화합물에서는 질소쌍이 알킬렌 그룹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화합물이 디에틸렌 트리아민, 트리에틸렌 테트라아민, 테트라에틸렌 펜타아민 및 이성체성 피페라진으로 생성된다. 분자당 평균 약 5 내지 7 개의 질소원자를 갖는 저렴한 폴리(에틸렌아민) 화합물이 폴리아민 H, 폴리아민 400, 다우 폴리아민 E-100 등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유용한 아민으로는 또한 일반식(VIII) 및 (IX)의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아민이 있다 :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상기식에서, m은 약 3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의 수이고, n'은 약 1 내지 40 의 수이나 단, n' 을 전부 합한 값은 약 3 내지 약 70, 바람직하게는 약 6 내지 약 35 이며, R4은 탄소수 10 이하의 다가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로서, R4그룹상에 존재하는 치환체의 수는 a 값으로 표시되고, a는 3 내지 6 의 수이다.
일반식(VIII) 또는 (IX)의 알킬렌그룹은 탄소원자 약 2 내지 7개,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4개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일 수 있다.
상기의 일반식(VIII) 또는 (IX)의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아민,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알킬렌 디아민 및 폴리옥시알킬렌 트리아민은 약 200 내지 약 4,000, 바람직하게는 약 400 내지 약 2,000 범위의 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아민으로는 평균 분자량이 약 200 내지 2,000의 범위내에 있는 폴리옥시에틸렌 및 폴리옥시프로필렌 디아민, 및 폴리옥시프로필렌 트리아민이 있다.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아민은 시판되고 있으며, 예를들어 제퍼슨 케미칼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Jefferson Chemical Company, Inc.)로부터 상품명 제파민(Jeffamines) D-230, D-400, D-1000, D-2000, T-403 등으로 구입할 수 있다.
특히 유용한 아민 군은 미합중국 특허 제 4,857,217호(상기 특허의 개시내용을 전부 본 발명에 참고로 인용한다)에 기술되어 있는 폴리아미도 및 관련 아민이며, 이것에는 하기 일반식(X)의 알파, 베타 불포화 화합물과 폴리아민의 반응 생성물이 포함된다:
Figure kpo00014
상기식에서, X는 황 또는 산소이고; Y는 -OR8, -SR8또는 -NR8(R9) 이고 R5, R6, R7, R8, 및 R9는 같거나 다르며, 수소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하이드로카빌이다.
지방족, 지환족,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등 어떠한 형태의 폴리아민이든지 사용할 수 있는데, 단 이때 폴리아민은 아크릴 이중결합에 교차로 첨가되고, 그리고, 예를들어 일반식(X)의 아크릴레이트 형 화합물의 카보닐 그룹(-C(O)-)이나 일반식(X)을 갖는 티오아크릴레이트 형 화합물의 티오카보닐 그룹(-C(S)-)과 아미드화될 수 있어야 한다.
식(X)중의 R5, R6, R7, R8, 또는 R9가 하이드로카빌인 경우, 이들 그룹은 알킬, 사이클로알킬, 아릴, 알크아릴, 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그룹은 아미도-아민을 제조하기 위해 선택된 조건하에서 반응 혼합물의 어떤한 성분에 대해서도 실질적으로 불활성인 그룹으로 치환될 수 있다. 상기 치환체 그룹에는 하이드록시, 할라이드(예를들면, C1, F, I, Br), -SH 및 알킬티오가 포함된다. R5내지 R9중 하나 이상이 알킬이라면, 상기 알킬 그룹은 직쇄 또는 측쇄일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탄소원자 1 내지 20개, 더욱 통상적으로는 1 내지 10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개를 함유한다. 상기 알킬 그룹의 예를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닐, 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헥사데실, 옥타데실 등이 있다. R5내지 R9중 하나 이상이 아릴이라면, 아릴그룹은 일반적으로 탄소원자 6 내지 10개를 함유한다(예를들면, 페닐, 나프틸).
R5내지 R9중 하나 이상이 알크아릴이라면, 알크아릴 그룹은 일반적으로 탄소원자 약 7 내지 20개,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2개를 함유한다. 상기 알크아릴그룹의 예를들면 톨릴, m-에틸페닐, o-에틸톨릴 및 m-헥실톨릴이 있다. R5내지 R9중 하나이상이 아르알킬이라면, 아릴 성분은 일반적으로 페닐 또는 (C1내지 C6) 알킬 치환된 페놀로 구성되고, 알킬 성분은 일반적으로 탄소원자 1 내지 12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개를 함유한다. 상기 아르알킬 그룹의 예를들면 벤질, o-에틸벤질 및 4-이소부틸벤질이 있다. R5내지 R9중 하나이상이 사이클로 알킬이라면, 사이클로알킬 그룹은 일반적으로 탄소원자 3 내지 12개,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개를 함유한다. 상기 사이클로알킬 그룹의 예를들면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옥틸 및 사이클로도데실이 있다. R5내지 R9중 하나 이상이 헤테로사이클릭이라면, 상기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은 일반적으로 환 탄소 원자중 하나이상이 산소 또는 질소로 치환된, 6 내지 12원의 환을 적어도 하나 갖는 화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의 예를들면 푸릴, 피라닐, 피리딜, 피페리딜, 디옥사닐, 테트라하이드로푸릴, 피라지닐 및 1, 4-옥사지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알파, 베타 에틸렌형 불포화 카복실레이트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XI)을 갖는다 :
Figure kpo00015
상기식에서, R5, R6, R7및 R8은 같거나 다르며, 수소 또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하이드로카빌이다.
상기 일반식(XI)을 갖는 알파, 베타-에틸렌형 불포화 카복실레이트 화합물의 예를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의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n-부틸 및 이소부틸 에스테르, 2-부테노산, 2-헥세노산, 2-데세노산, 3-메틸-2-헵테노산, 3-메틸-2-부테노산, 3-페닐-2-프로페노산, 3-사이클로헥실-2-부테노산, 2-메틸-2-부테노산, 2-프로필-2-프로페노산, 2-이소프로필-2-헥세노산, 2,3-디메틸-2-부테노산, 3-사이클로헥실-2-메틸-2-펜테노산, 2-프로페노산, 메틸 2-프로페노에이트, 메틸 2-메틸 2-프로페노에이트, 메틸 2-부테노에이트, 에틸 2-헥세노에이트, 이소프로필 2-데세노에이트, 페닐 2-펜테노에이트, 3차 부틸 -프로페노에이트, 옥타데실 2-프로페노에이트, 도데실 2-데세노에이트, 사이클로프로필 2,3-디메틸-2-부테노에이트, 메틸 3-페닐-2-프로페노에이트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알파, 베타 에틸렌형 불포화 카복실레이트 티오에스테르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XII)을 갖는다 :
Figure kpo00016
상기식에서, R5, R6, R7, 및 R8은 같거나 다르며, 수소 또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하이드로카빌이다.
상기 일반식(XII)을 갖는 알파, 베타-에틸렌형 불포화 카복실레이트 티오에스테르의 예를들면 메틸머캅토 2-부테노에이트, 에틸머캅토 2-헥세노에이트, 이소프로필 머캅토 2-데세노에이트, 페닐머캅토 2-펜타노에이트, 3급 부틸머캅토 2-프로페노에이트, 옥타데실머캅토 2-프로페노에이트, 도데실머캅토 2-데세노에이트, 사이클로프로필 머캅토 2,3-디메틸-2-부테노에이트, 메틸머캅토 3-페닐-2-프로페노에이트, 메틸머캅토 2-프로페노에이트, 메틸머캅토 2-메틸-2-프로페노에이트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알파, 베타 에틸렌형 불포화 카복시아미드 티오에스테르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XIII)을 갖는다 :
Figure kpo00017
상기식에서, R5, R6, R7및 R8및 R9는 같거나 다르며, 수소 또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하이드로카빌이다.
상기 일반식(XIII)을 갖는 알파, 베타-에틸렌형 불포화 카복시아미드의 예를들면 2-부텐아미드, 2-헥센아미드, 2-데센아미드, 3-메틸-2-헵텐아미드, 3-메틸-2-부텐아미드, 3-페닐-2-프로펜아미드, 3-사이클로헥실-2-부텐아미드, 2-메틸-2-부텐아미드, 2-프로필-2-프로펜아미드, 2-이소프로필-2-헥센아미드, 2,3-디메틸-2-부텐아미드, 3-사이클로헥실-2-메틸-2-펜텐아미드, N-메틸 2-부텐아미드, N,N-디에틸 2-헥센아미드, N-이소프로필 2-데센아미드, N-페닐 2-펜텐아미드, N-3급 부틸 2-프로펜아미드, N-옥타데실 2-프로펜아미드, N,N-디도데실 2-데센아미드, N-사이클로프로필 2,3-디메틸-2-부텐아미드, N-메틸-3-페닐-2-프로펜아미드, 2-프로펜아미드, 2-메틸-2-프로펜아미드, 2-에틸-2-프로펜아미드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알파, 베타 에틸렌형 불포화 티오카복실레이트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XIV)을 갖는다 :
Figure kpo00018
상기식에서, R5, R6, R7, 및 R8은 같거나 다르며, 수소 또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하이드로카빌이다.
상기 일반식(XIV)을 갖는 알파, 베타-에틸렌형 불포화 티오카복실레이트 화합물의 예를들면 2-부텐티오산, 2-헥센티오산, 2-데센티오산, 3-메틸-2-헵텐티오산, 3-메틸-2-부텐티오산, 3-페닐-2-프로펜티오산, 3-사이클로헥실-2-부텐티오산, 2-메틸-2-부텐티오산, 2-프로필-2-프로펜티오산, 2-이소프로필-2-헥센티오산, 2,3-디메틸-2-부텐티오산, 3-사이클로헥실-2-메틸-2-펜텐티오산, 2-프로펜티오산, 메틸 2-프로펜티오에이트, 페틸 2-메틸 2-프로펜티오에이트, 메틸 2-부텐티오에이트, 에틸 2-헥센티오에이트, 이소프로필 2-데센티오에이트, 페닐 2-펜텐티오에이트, 3차 부틸 2-프로펜티오에이트, 옥타데실 2-프로펜티오에이트, 도데실 2-데센티오에이트, 사이클로프로필 2,3-디메틸-2-부텐티오에이트, 메틸 3-페닐-2-프로펜티오에이트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알파, 베타 에틸렌형 불포화 디티오산 및 산 에스테르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XV)을 갖는다 :
Figure kpo00019
상기식에서, R5, R6, R7및 R8은 같거나 다르며, 수소 또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하이드로카빌이다.
상기 일반식(XV)을 갖는 알파, 베타-에틸렌형 불포화 디티오산 및 산 에스테르의 예를들면 2-부텐디티오산, 2-헥센디티오산, 2-데센디티오산, 3-메틸-2-헵텐디티오산, 3-메틸-2-부텐디티오산, 3-페닐-2-프로펜디티오산, 3-사이클로헥실-2-부텐디티오산, 2-메틸-2-부텐디티오산, 2-프로필-2-프로펜디티오산, 2-이소프로필-2-헥센디티오산, 2,3-디메틸-2-부텐디티오산, 3-사이클로헥실-2-메틸-2-펜텐디티오산, 2-프로펜디티오산, 메틸 2-프로펜디티오에이트, 메틸 2-메틸 2-프로펜디티오에이트, 메틸 2-부텐디티오에이트, 에틸 2-헥센디티오에이트, 이소프로필2-데센디티오에이트, 페닐 2-펜텐디티오에이트, 3급 부틸 2-프로펜디티오에이트, 옥타데실 2-프로펜디티오에이트, 도데실 2-데센디티오에이트, 사이클로프로필 2, 3-디메틸-2-부텐디티오에이트, 메틸 3-페닐-2-프로펜디티오에이트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알파, 베타 에틸렌형 불포화 티오카복시아미드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XVI)을 갖는다 :
Figure kpo00020
상기식에서, R5, R6, R7, R8, 및 R9는 같거나 다르며, 수소 또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하이드로카빌이다.
상기 일반식(XVI)을 갖는 알파, 베타-에틸렌형 불포화 티오카복시아미드의 예로는 2-부텐티오아미드, 2-헥센티오아미드, 2-데센티오아미드, 3-메틸-2-헵텐티오아미드, 3-메틸-2-부텐티오아미드, 3-페닐-2-프로펜티오아미드, 3-사이클로헥실-2-부텐티오아미드, 2-메틸-2-부텐티오아미드, 2-프로필-2-프로펜티오아미드, 2-이소프로필-2-헥센티오아미드, 2,3-디메틸-2-부텐티오아미드, 3-사이클로헥실-2-메틸-2-펜텐티오아미드, N-메틸 2-부텐티오아미드, N,N-디에틸 2-헥센티오아미드, N-이소프로필 2-데센티오아미드, N-페닐 2-펜텐티오아미드, N-3급 부틸 2-프로펜티오아미드, N-옥타데실 2-프로펜티오아미드, N,N-디도데실2-데센티오아미드, N-사이클로프로필 2,3-디메틸-2-부텐티오아미드, N-메틸 3-페닐-2-프로펜티오아미드, 2-프로펜티오아미드, 2-메틸-2-프로펜티오아미드, 2-에틸-2-프로펜티오아미드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폴리아민과의 반응에 바람직한 화합물은 아크릴산 및 (저급 알킬) 치환된 아크릴산의 저급 알킬 에스테르이다. 이러한 바람직한 화합물의 예를들면 하기 일반식(XVII)을 갖는 화합물이다 :
Figure kpo00021
상기식에서, R7는 수소 또는 C1내지 C4의 알킬그룹(예를들면 메틸)이고, R8은 수소이거나 아미도 그룹을 생성하도록 제거될 수 있는 C1내지 C4알킬그룹, 예를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2급-부틸, 3급-부틸, 아릴, 헥실 등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이들 화합물은 메틸 또는 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또는 에틸 메타크리레이트와 같은 아크릴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이다. 선택한 알파, 베타-불포화 화합물이 X' 가 산소인 일반식(X)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생성된 폴리아민과의 반응 생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아미도 결합(-C(O)N)을 함유하며 이러한 물질을 본 명세서에서는 아미도-아민이라 정의하였다. 유사하게, 일반식(X)의 선택된 알파, 베타 불포화 화합물이 X' 가 황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생성된 폴리아민과의 반응 생성물은 티오아미드 결합(-C(S)N)을 포함하며 이들 물질을 본 명세서에서는 티오아미드-아민이라 정의하였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아미도-아민의 제조 및 사용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 설명을 티오아미도-아민에도 또한 적용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생성된 아미도-아민의 유형은 반응 조건에 따라 다양하다. 예를들어 실질적으로 동 몰량의 불포화 카복실레이트와 폴리아민을 반응시키는 경우에 보다 선형인 아미도-아민이 생성된다. 일반식(X)을 갖는 에틸렌형 불포화 반응물이 과잉량 존재하면 실질적으로 동 몰량의 반응물을 사용하여 얻은 아미도-아민보다 더욱 가교결합된 아미도-아민이 생성되기 쉽다. 경제적인 이유나 다른 이유로 인해, 과량의 아민을 사용하여 가교 결합시킨 아미도-아민을 원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적어도 약 10% 이상(예를들면 10 내지 300% 또는 그 이상, 예를들면 25 내지 200%)의 몰 과량의 에틸렌형 불포화 반응물을 사용한다. 보다 더 효과적인 가교결합을 위해서는, 클리이너(cleaner) 반응이 계속해서 일어나므로 바람직하게는 몰과량의 카복실화 물질을 사용해야 한다. 예를들면, 약 10 내지 100%이상 (예를들면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몰 과량의 카복실화 물질을 사용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그보다 더 과량을 사용할 수 있다.
요약하면, 다른 요인들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동 몰량의 반응물로는 보다 더 선형인 아미도-아민이 생성되는 경향이 있고, 반면에 일반식(XII)의 반응물을 과량 사용하면 한층 더 가교결합된 아미도-아민이 생성되는 경향이 있다. 주목해야 할 점은 폴리아민이 고분자량일수록(즉, 분자당 아미노 그룹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통계학적으로 가교결합의 가능성은 점점 더 커지는데, 이는 예를들어 테트라에틸렌 펜타아민 [NH2(CH2CH2N)4H]과 같은 테트라알킬렌 펜타아민이 에틸렌 디아민보다 더 많은 불안정한 수소를 갖기 때문이라는 점이다.
이렇게 하여 생성된 상기 아미도-아민 부가물은 아미도 그룹과 아미노 그룹 둘다를 특징으로 한다. 가장 간단한 양태로 이들은 이상적인 하기 일반식(XVIII)의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 :
Figure kpo00022
상기식에서, R10들은 같거나 다르며, 수소이거나 탄화수소 그룹과 같은 치환된 그룹(예를들면,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등)이고, A는 폴리아민의 잔기(예를들면, 아릴, 사이클로알킬, 알킬등)이고; n4는 1 내지 10 또는 그 이상의 정수이다.
상기에서 간단히 나타낸 일반식은 선형 아미도-아민 중합체를 표시한다. 그러나 이 중합체는, 이중 결합에 교차로 첨가하거나 또는 카복실레이트 그룹과 아미드화함으로써 상기 불포화 잔기와 더 반응할 수 있는 불안정한 수소들을 갖기 때문에 특정 조건을 사용함으로써 가교결합된 중합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아미노-아민은 거의 가교결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질적으로 선형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폴리아민 반응물은 분자당 적어도 하나의 일차 아민(더욱 바람직하게는, 2내지 4개의 일차 아민) 그룹을 포함하며, 폴리아민과 일반식(X)의 불포화 반응물은 일반식(X)의 불포화 반응물 몰당 폴리아민 반응물의 일차 아민 약 1 내지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6,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5 당량이 되도록 하는 양으로 접촉시킨다.
선택된 폴리아민과 아크릴레이트형 화합물사이의 반응은 적합한 온도에서 수행한다. 반응물 및 생성물의 분해점 이하의 온도를 사용할 수 있다. 실제로, 반응물을 100℃ 미만(예를들면, 80 내지 90℃)에서 적합한 시간(예를들면 두어시간) 동안 가열시킴으로써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크릴형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경우, 아미드의 생성시 알콜의 제거로 반응의 진행을 판단할 수 있다. 메탄올 또는 에탄올과 같은 저비점 알콜의 경우에는 반응의 초기에 100℃ 미만에서 아주 쉽게 제거된다. 반응이 서서히 진행됨에 따라, 중합이 완결되도록 온도를 상승시키는데, 상기 온도를 150℃ 까지 상승시켜 반응이 종결되도록 할수 있다. 알콜의 제거는 일반적으로 더 이상의 알콜이 방출되지 않을때까지 계속되는, 반응의 진행과 종결을 판단하는데 편리한 방법이다. 알콜의 제거를 기준으로, 수율은 일반적으로 화학양론적이다. 보다 더 까다로운 반응에서도, 적어도 95%의 수율이 얻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비슷하게, 일반식(XII)을 갖는 에틸렌형 불포화 카복실레이트 티오에스테르의 반응에서는 상응하는 HSR8화합물(예를들면, R8이 수소일때는 H2S 이다)이 부산물로서 생성되고, 일반식(XIII)을 갖는 에틸렌형 불포화 카복시아미드의 반응에서는 상응하는 HNR8(R9) 화합물(예를들면, R8및 R9가 각각 수소일때는 암모니아이다)이 부산물로서 생성됨을 알 것이다.
아미도-아민 물질 생성에 필요한 반응시간은 여러가지 요인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예를들어, 온도와 시간 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온도가 낮으면 낮을수록 더 긴 시간이 요구된다. 보통, 약 2 내지 30시간(예를 들면 5 내지 25시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시간의 반응시간을 사용한다.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반응을 진행할 수 있다. 사실상, 고도의 가교결합을 원한다면, 용매, 가장 특히, 물과 같은 극성용매를 사용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원한다면 반응에 대한 용매의 효과를 고려하여, 유기 또는 무기, 극성 또는 비극성이든지 적합한 어떠한 용매도 사용할 수 있다.
아미도-아민 부가생성물의 예로, 테트라에틸렌 펜타아민(TEPA)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반응을 다음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
Figure kpo00023
[축합 반응]
본 발명의 만니히 염기 축합물 조성물은 알데히드의 존재하에 최소한 하나의 상술한 알킬화 하이드록시방향족 화합물과 아민을 축합함으로써 제조한다. 반응물은 원하는 분산제 생성물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조건하에 및 그러한 시간동안 접촉시킨다.
축합 반응에 사용된 공정은 미합중국 특허 제 3,634,515 호; 제 3,649,229 호; 제 3,442,808 호; 제 3,798,165 호; 제 3,798,247 호; 및 제 3,539,633 호에 기술된 것중 어느 것일 수 있으며, 이의 개시내용을 모두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한다.
반응물의 사용량은 중요하지 않으며 넓은 범위에 걸쳐 다양할 수 있다. 그러나, 알킬화 하이드록시방향족 화합물, 알데히드 반응물 및 아민 화합물을 각각 약 1:1 내지 4:0.1 내지 10의 몰비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량의 알데히드 반응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반응은 발열성이지만, 반응물들을 약 15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50 내지 200℃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추가의 가열은 반응을 완결시키고 생성된 축합 반응 생성물로부터 물을 제거시킨다.
축합 반응은 알킬렌 폴리아민과 포름알데히드를 사용하는 하기 반응식 (2) 및 (3) 으로 설명될 수 있다:
Figure kpo00024
Figure kpo00025
상기식에서, z 는 1 내지 10 의 정수이고, a 는 1 또는 2 의 정수이며, EP 는 상술한 바와 같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이다.
만니히 염기 무회 분산제의 바람직한 그룹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치환된 페놀을 포름알데히드 및 폴리에틸렌 아민(예, 테트라에틸렌 펜타아민, 펜타에틸렌 헥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및 폴리옥시프로필렌 아민(예,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및 이들의 조합물과 축합시킴으로써 형성된 그룹이다. 하나의 특히 바람직한 분산제는 (A)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치환된 페놀, (B) 포름알데히드, (C)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아민(예, 폴리옥시프로필렌 디아민), 및 (D)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예, 폴리에틸렌 디아민 및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의, 성분(A)의 몰당 각각 약 2 내지 약 8 몰의 성분(B) 및 약 1 내지 약 4 몰의 성분 (C) 또는 (D)를 사용한 축합생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바람직한 에틸렌-알파-올레핀 치환된 만니히 염기 축합 생성물을 포함하는 반응 생성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축합 반응 생성 혼합물에 약 60 중량% 이상 (예, 65 내지 9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0 중량% 이상 (예, 75 내지 90 중량%)의 농도로 존재할 것이며, 일반적으로 약 4.1 미만, 대개는 약 4.0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4.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3.9 의 VR 값(점도 비율 값)을 특징으로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VR 값이라는 용어는 하기 식(IV)에 의해 결정되는 지수를 의미하는 것이다:
Figure kpo00026
상기식에서, VISa는 100℃ 에서 축합반응 생성 혼합물의 센티스토크 단위의 운동점도(KV)(ASTM 방법 D445 번에 의해 측정함)이고, VISb는 -20℃ 에서 축합 반응 생성 혼합물의 포이즈 단위의 저온 크랭킹 시뮬레이터(cold cranking simulator)(CCS)점도(ASTM 방법 D2602 번에 의해 결정함)이며, 상기 측정은 S150N(용매 150 중성) 광물성 윤활 유(Exxon Company U.S.A.)를 포함하는 오일(본 명세서에서는 기준오일로서 지칭함)(상기 기준 오일은 5.2cst(100℃)의 ASTM D445 운동 점도 및 19.2 포이즈(±0.4 포이즈)(-20℃ 에서)의 ASTM D2602 CCS 를 특징으로 한다)중의 축합 반응 혼합 생성물 2중량% 용액상에서 수행한다. 이때 기준 오일의 VRr 값은 약 3.7±0.1 이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은 질소 함유 분산제 물질의 후처리를 포함한다. 상기 질소 함유 분산재 물질의 후처리 방법은 통상적인 선행기술의 에틸렌 공중합체 유도체에 대해 사용한 후처리 방법과 유사하다. 따라서, 선행기술과 동일한 반응 조건, 반응물의 비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질소 함유 분산제 물질을, 상기 질소 함유 분산제 물질과 하기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의 후처리 시약과 접촉시키므로써 후처리시킨다: 산화 붕소, 산화 붕소 수화물, 붕소 할로겐화물, 붕산, 붕산 에스테르, 이황화 탄소, 황, 황 염화물, 알케닐 시안화물, 알데히드, 케톤, 우레아, 티오-우레아, 구아니딘, 디시아노디아미드, 하이드로카빌 포스페이트, 하이드로카빌 포스파이트, 하이드로카빌 티오포스페이트, 하이드로카빌 티오포스파이트, 인 황화물, 인 산화물, 인산, 하이드로카빌 티오시아네이트, 하이드로카빌 이소시아네이트, 하이드로카빌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에폭사이드, 에피설파이드, 포름알데히드 또는 포름알데히드-생성화합물+페놀 및 황+페놀 및 C1내지 C30하이드로카빌 치환된 숙신산 및 무수물(예를들면, 숙신산 무수물, 도데실 숙신산 무수물등), 푸마르산, 이타콘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클로로 말레산, 클로로 말레산 무수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신남산, 및 전술 화합물의 저급 알킬(예, C1내지 C4알킬)산 에스테르, 예를 들면 메틸 말레에이트, 에틸 푸마레이트, 메틸 푸마레이트 등.
예를들면, 이 질소함유 분산제를 상기 질소 조성물 각 몰당 붕소원자 약 0.1개 내지 상기 질소 조성물중 질소 원자 부분 각 몰당 붕소원자 약 20개가 제공되도록 하는 양의 산화붕소, 할로겐화 붕소, 붕산 및 붕산의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붕소 화합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붕산화된 분산제는 상기 붕산화 질소 함유 분산제 화합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붕소 약 0.05 내지 2.0중량%, 예를들면 0.05 내지 0.7중량% 를 함유하는 것이 보통이다. 생성물중에 탈수된 붕산 중합체(주로(HBO2)3)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이는 붕소는 분산제에 부착되어 아민염, 예를들면, 상기 아민 분산제의 메타보레이트염을 형성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상기 처리는, 대부분 슬러리로 첨가되는 상기 붕소화합물, 바람직하게는 붕산 약 0.05 내지 4중량%, 예를들면 1 내지 3중량% (상기 질소화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를 상기 질소화합물에 첨가하고, 135℃ 내지 190℃, 예를들면 140℃ 내지 170℃ 에서 1 내지 5시간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한 다음, 계속해서 동일한 온도범위에서 질소 스트리핑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후처리 시약의 사용을 포함하는 후처리 방법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선행기술의 고분자량 질소 함유 분산제에 적용하는 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방법에 대한 추가의 설명은 필요치 않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선행 기술의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점은 선행 기술에 기재된 것과 같은 반응 조건, 반응물의 비율 등을 본 발명의 신규한 조성물에 적용하는 것이다. 하기 미합중국 특허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용할 수 있는 후처리 방법 및 후처리 시약을 나타내기 위해 참고로 본 발명에 특별히 인용한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 3,087,936; 3,200,107; 3,254,025; 3,256,185; 3,278,550; 3,281,428; 3,282,955, 3,284,410; 3,338,832; 3,344,069; 3,366,569; 3,373,111; 3,367,943; 3,390,086; 3,403,102; 3,428,561; 3,470,098; 3,502,677; 3,513,093; 3,533,945; 3,541,012; 3,639,242; 3,708,522; 3,859,318; 3,865,813; 3,470,098 3,369,021, 3,184,411; 3,185,645; 3,245,908; 3,245,909; 3,245,910; 3,573,205; 3,692,681; 3,749,695; 3,868,740; 3,954,639; 3,458,530; 3,390,086; 3,367,943; 3,185,704; 3,551,466; 3,415,750; 3,312,619; 3,280,034; 3,718,663; 3,652,616; 4,338,205; 4,428,849; 4,686,054; 4,839,070; 4,839,071; 4,839,073 호; 영국 특허 제 1,085,903호; 영국 특허 제 1,162,436호; 미합중국 특허 제 3,558,743 호.
또한 본 발명의 질소 함유 분산제 물질에 중합성락톤(예를들면, 입실론-카프로락톤)을 처리하여 잔기 [C(0)(CH2)z0]mH (여기에서, z는 4 내지 8(예를들면, 5 내지 7)의 수이고, m 은 약 0 내지 100(예를들면, 0.2 내지 20)의 평균 값을 갖는다)를 갖는 분산제 부가 생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산제 물질과 락톤의 혼합물을 약 50℃ 내지 약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5℃ 내지 약 180℃,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90℃ 내지 약 160℃ 의 온도에서 용매 부재하에, 반응 용기에서 반응을 이루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가열시키므로써 상기 분산물질을 C5내지 C9락톤, 예를들면, 입실론-카프로락톤으로 후처리할 수 있다. 임의로, 락톤, 분산제 물질 및/또는 생성된 부가생성물에 대한 용매를 사용하여 점도 및/또는 반응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태양에서는, 락톤 대 분산제 물질의 몰비를 1:1 로 하여 C5내지 C9락톤, 예를들면 입실론-카프로락톤을 분산제 물질과 반응시킨다. 실제로, 락톤 대 분산제 물질의 비율은 부가 생성물중의 락톤 단위의 서열 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상당히 다양할 수 있다. 예를들면, 락톤 대 분산제 물질의 몰비는 약 10:1 내지 약 0.1:1,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1 내지 약 0.2:1,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1 내지 약 0.4:1 로 다양할 수 있다. 락톤 단량체의 평균 중합도는 약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50, 및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20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적 분산제 성능을 위해서, 약 1 내지 약 5 의 락톤 단위의 서열 길이가 바람직하다.
상기 락톤과 분산제 물질의 반응 촉진에 유용한 촉매는 스타노스 옥타노에이트, 스타노스 헥사노에이트,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 각종 유기산계 촉매 및 아민 촉매(문헌[Kinetics and Mechanisms of Polymerization: Ring Opening Polymerization Frisch 및 Reegen 편집, Marce1 Dekker 출판, 1969] 중, R.D. Lundberg 와 E.F.Cox 가 저술한 장의 p266~ 에 기재됨)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하며, 이중 스타노스 옥타노에이트가 특히 바람직한 촉매이다. 촉매는 총 반응 혼합물 백만부당 촉매 약 50 내지 약 10,000 중량부의 농도 수준으로 반응 혼합물에 첨가한다.
본 발명의 분산제 물질과 입실론-카프로락톤의 반응에 의해 제조한 부가생성물은 예를들면 하기 식으로 나타낸 부가물이다:
Figure kpo00027
상기식에서, m 및 EP 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락톤과, 질소 또는 에스테르 그룹 함유 분산제 물질과의 반응은 미합중국 특허 제 4,486,326; 4,820,432; 4,828,742; 4,851,524; 4,866,135; 4,866,139, 4,866,140; 4,866,141; 4,866,142; 및 4,866,187 호에 보다 더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이들 각각의 내용을 참고로 본 발명에 인용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신규한 분산제가 금속 착화합물을 형성하는 점에 있다. 적합한 금속 착화합물은 본 발명의 분산제 물질의 생성도중 또는 생성후 반응성 금속 이온종을 사용하는 공지된 기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착화합물 형성 금속 반응물에는 전이금속, 예를들면, 철, 코발트, 니켈, 구리, 크롬, 망간, 몰리브덴, 텅스텐, 루테늄, 팔라듐, 백금, 카드뮴, 납, 은, 수은, 안티몬등의 금속니트레이트, 티오시아네이트, 할라이드, 카복실레이트, 포스페이트, 티오-포스페이트, 설페이트 및 붕산염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착화 반응에 대한 선행기술의 설명은 미합중국 특허 제 3,306,908호 및 재발행 특허 제 26,433 호에 또한 나와 있으며, 이의 설명 모두를 참고로 본 발명에 인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용한, 이들 인용 특허의 방법, 및 이렇게하여 제조한 후처리 조성물은,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을 이룬다.
본 발명의 분산제는 어떠한 방법으로든 윤활유에 혼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들 혼합물을 오일중에서 분산제와 청정제 각각의 원하는 농도 수준에 달하도록 분산시키거나 용해시킴으로써 오일에 직접 가할 수 있다. 추가의 윤활유내로 블랜딩시키는 공정은 실온 또는 승온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달리, 분산제를 적절한 유용성 용매 및 기재오일과 블렌딩하여 농축물을 수득한 다음, 농축물을 윤활유 기재와 블렌딩하여 최종 배합물을 얻을 수 있다. 그러한 분산재 농축물은 농축물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전형적으로 약 20 내지 약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약 50 중량%의 분산 첨가제(활성성분(A.I.)기준) 및 전형적으로 약 4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60 중량%의 기재오일을 함유한다. 분산제에 대한 윤활유 기재는 전형적으로 그안에 추가의 첨가제를 혼입시켜 윤활유 조성물(즉, 배합물)을 생성시킴으로써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채택한다.
[윤활유 조성물]
본 발명의 첨가제는 다양한 환경중에서 본 발명에서 측정한 바와같이 매우 우수한 분산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첨가제는 연료유 및 윤활유와 같은 유성 물질에 혼입 및 용해시킴으로써 사용한다. 본 발명의 첨가제를 케로센, 디젤유, 난방 연료유, 제트 연료유 등을 비롯한 약 65 내지 430℃ 에서 비등하는 중간 비점 증류물과 같은 보통의 액체 석유 연료유에 사용하는 경우, 연료유중의 첨가제의 농도는 보통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전형적으로 약 0.001 내지 약 0.5 중량% 및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약 0.15 중량% 로 사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첨가제는 첨가제가 용해 또는 분산되는 기재 오일을 사용하는 윤활유 조성물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 기재 오일은 천연 또는 합성 오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기재 오일은 불꽃-점화 및 압축-점화 내부연소엔진(예를들면, 자동차 및 트럭 엔진, 선박 및 열차 디젤 엔진등)용 크랭크케이스 윤활유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첨가제를 동력 전달유체, 만능 트랙터 유체 및 유압 유체, 강력 유압 유체, 동력 조정 유체등으로 통상 사용되고/사용되거나 채택되는 기재 오일중에 사용하므로써 유리한 결과를 얻는다. 기어 윤활제, 공업용 오일, 펌프 오일 및 기타 윤활유 조성물에 본 발명의 첨가제를 첨가하는 것이 이로울 수 있다.
이들 윤활유 배합물은 통상적으로, 배합물에 필요한 특성을 제공할 다른 형태의 첨가제를 다수 함유한다. 이들 형태의 첨가제중에는 점도 지수 개선제, 산화 방지제, 부식방지제, 세제, 분산제, 유동점 강하제, 내마모제, 마찰 조정제 등이 포함된다.
윤활유 배합물의 제조시에, 탄화수소오일(예를들면, 광물성 윤활유) 또는 다른 적절한 용매중의 10 내지 80 중량%, 예를들면 20 내지 80중량% 활성성분 농축물의 형태로 첨가제를 도입하는 것이 통상의 실시양태이다. 일반적으로 이들 농축물은, 완성된 윤활유, 예를들어 크랭크케이스 모터 오일의 제조시에, 첨가제 팩키지 중량부당 윤활유 3 내지 100 중량부, 예를들면 5 내지 40 중량부로 희석할 수 있다. 농축물의 목적은 물론, 각종 물질들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고 다루기 쉽도록 할 뿐만 아니라, 최종 배합물의 용해 또는 분산을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따라서, 분산제는 예를들어 윤활유 분획물의 40 내지 50중량% 농축액의 형태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무회 분산제는 일반적으로, 천연 및 합성 윤활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비롯한, 윤활 점도를 갖는 오일을 포함하는 윤활유 기재와 혼합하여 사용할 것이다.
천연유에는 동물섬유 및 식물섬유(예, 피마자유, 라아드유), 액체 석유오일, 및 파라핀, 나프텐 및 파라핀-나프텐 혼합형태의, 수소정제, 용매처리 또는 산처리된 광물성 윤활유가 포함된다. 석탄 또는 혈암으로부터 유도된, 윤활점도를 갖는 오일도 유용한 기재 오일이다.
말단 하이드록실 그룹이 에스테르화, 에테르화 등에 의해 변경된 알킬렌 옥사이드 중합체 및 인터폴리머 그리고 그의 유도체도 공지된 합성 윤활유의 한 종류이다. 이들의 예로는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중합에 의해 제조된 폴리옥시알킬렌중합체, 이 폴리옥시알킬렌 중합체의 알킬 및 아릴 에테르(예, 평균 분자량 1000 의 메틸-폴리이소프로필렌 글리콜 에테르, 분자량 500 내지 100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디페닐 에테르, 분자량 1000 내지 1500 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의 디에틸 에테르); 및 이들의 모노-및 폴리-카복실산 에스테르(예를들어, 테트라 에틸렌 글리콜의 아세트산 에스테르, 혼합된 C3-C8-지방산 에스테르 및 C13옥소산디에스테르)가 있다.
합성 윤활유의 또 다른 적당한 종류에는 디카복실산(예, 프탈산, 숙신산, 알킬 숙신산 및 알케닐 숙신산, 말레산, 아젤라산, 수베르산, 세바크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리놀레산 이량체, 말론산, 알킬 말론산, 알케닐 말론산)과 다양한 알콜(예, 부틸 알콜, 헥실 알콜, 도데실 알콜, 2-에틸헥실 알콜,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과의 에스테르가 포함된다. 이러한 에스테르의 특정예에는 디부틸 아디페이트, 디(2-에틸헥실)세바케이트, 디-n-헥실 푸마레이트, 디옥틸 세바케이트, 디이소옥틸 아젤레이트, 디이소데실 아젤레이트, 디옥틸 프탈레이트, 디데실 프탈레이트, 디에이 코실 세바케이트, 그리고 리놀레산 이량체의 2-에틸헥실 디에스테르 및 세바크산 1몰과 테트라 에틸렌 글리콜 2몰 및 2-에틸헥사노산 2몰을 반응시켜 제조한 복합 에스테르가 포함된다.
합성유로서 유용한 에스테르에는 C5내지 C12-모노카복실산 및 폴리올과 폴리올 에테르, 예를들면, 네오펜틸 글리콜, 트리메틸올 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디펜타에리스리톨 및 트리펜타에리스리톨로부터 제조된 것들도 포함된다.
폴리알킬-, 폴리아릴-, 폴리알콕시- 또는 폴리아릴 옥시실옥산 오일 및 실리케이트 오일과 같은 실리콘계 오일도 합성 윤활유의 또다른 유용한 종류를 이룬다. 이들에는 테트라에틸 실리케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 실리케이트, 테트라(2-에틸헥실)실리케이트, 테트라-(4-메틸-2-에틸헥실)실리케이트, 테트라(p-3급-부틸페닐)실리케이트, 헥사-(4-메틸-2-펜톡시)디실옥산, 폴리(메틸)실옥산 및 폴리(메틸페닐)실옥산이 포함된다. 기타 합성 윤활유에는 인-함유산의 액체 에스테르(예,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트리옥틸 포스페이트, 데실포스폰산의 디에틸 에스테르) 및 중합체성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이 포함된다.
비정제, 정제 및 재정제된 오일이 본 발명의 윤활제에 사용될 수 있다. 비정제된 오일은 천연 또는 합성원료로부터 더이상 정제처리하지 않고 직접 얻은 것들이다. 예를들어, 증류장치로부터 직접 수득한 혈압 오일, 증류로부터 직접 수득한 석유오일 또는 에스테르화 공정으로부터 직접 수득한 에스테르 오일을 더이상 처리하지 않고 사용하면 비정제 오일이 된다. 정제오일은 비정제 오일과 비슷하나 다만 한가지 이상의 성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정제 단계로 더 처리된 것이다. 증류, 용매추출, 산 또는 염기 추출, 여과 및 침투와 같은 많은 정제 기술들이 이 분야에 숙련가들에게 알려져 있다. 재정제 오일은 이미 사용되었던 정제오일에 정제오일을 얻을때 사용하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적용하여 얻는다. 그러한 재정제 오일은 재생 또는 재가공 오일로도 알려져 있으며 종종 소모된 첨가제 및 오일 파괴 생성물을 제거하는 기술에 의해 추가로 가공되기도 한다.
무회 분산제와 함께 금속- 함유 방청제 및/또는 세제가 흔히 사용된다. 이러한 세제 및 방청제는 설폰산, 알킬 페놀, 황화알킬 페놀, 알킬 살리실레이트, 나프테네이트 및 다른 유용성 모노- 및 디카복실산의 금속 염을 포함한다. 세제로서 빈번히 사용되는 강 염기성의, 즉 과염기성 금속 염은 특히 상기 무회 분산제와 상호 작용하기 쉬운 것으로 간주된다. 통상 이들 금속- 함유 방청제 및 세제는 윤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10중량%, 예를들면 0.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윤활유에 사용된다. 선박 디젤 윤활유에는 전형적으로 약 20중량% 이하의 금속-함유 방청제 및 세제를 사용한다.
강한 염기성 알카리 토금속 설포네이트가 흔히 세제로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유용성 설포네이트 또는 알크아릴 설폰산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존재하는 모든 설폰산을 완전히 중화시키는데 필요한 이상으로 과량의 상기 알카리 토금속 화합물과 함께 가열한 후, 목적하는 과염기성을 제공하기 위해 과량의 금속과 이산화탄소를 반응시킴으로써 분산된 카보네이트 착화합물을 형성시켜 상기 염기성 알칼리 토금속 설포네이트를 생성한다. 상기 설폰산들은 통상 예를들어 벤젠, 톨루엔, 크실렌, 나프탈렌, 디페닐 및 할로겐 유도체(예, 클로로벤젠, 클로로톨루엔 및 클로로나프탈렌)를 알킬화시켜 수득한 것들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의 알킬화, 또는 증류 및/또는 추출에 의한 석유의 분획으로부터 수득된 것들과 같은 알킬 치환된 방향족 탄화수소의 설폰화에 의해 수득된다. 알킬화는 촉매 존재하에 탄소수 약 3 내지 30 이상의 알킬화제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할로파라핀; 파라핀을 탈수소화시켜 수득한 올레핀; 에틸렌, 프로필렌등으로부터 생성된 폴리올레핀 모두 적합하다. 알크아릴 설포네이트는 통상 알킬 치환된 방향족 잔기당 약 9개 내지 약 70개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6개 내지 약 50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한다.
설포네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알크아릴 설폰산을 중화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는 알카리 토금속 화합물에는 마그네슘, 칼슘 및 바륨의 산호물 및 수산화물, 알콕 사이드, 카보네이트, 카복실레이트, 설파이드, 하이드로 설파이드, 니트레이트, 보레이트 및 에테르가 포함된다. 그 예로는 산화 칼슘, 수산화 칼슘, 마그네슘 아세테이트, 및 마그네슘 보레이트가 있다. 상기 지적한 바와같이, 알카리 토금속 화합물은 알크아릴 설폰산을 완전히 중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양 이상으로 사용한다. 상기 양은 완전한 중화를 위해 필요한 화학량론적 양의 적어도 125%의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통상적으로, 약 100 내지 220% 범위에 있다.
염기성 알카리 토금속 알크아릴 설포네이트의 또다른 여러 제조방법이 예를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 3,150,088호 및 제 3,150,089 호에 공지되어 있는데, 상기 특허에서는 알콕사이드-카보네이트 착화합물과 탄화수소용매-희석 오일중의 알크아릴 설포네이트의 가수분해에 의해 과염기화를 실시한다.
바람직한 알카리 토금속 설포네이트 첨가제는 총 염기수 약 300 내지 약 400 을 갖는 마그네슘 알킬 방향족 설포네이트이며, 마그네슘 설포네이트 함량은 광물성 윤활유에 분산된 첨가제 시스템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25 내지 약 32 중량% 범위이다.
중성 금속 설포네이트가 흔히 방청제로 사용된다. 윤활유 조성물의 고온 성능을 개선시키고 탄소질 물질이 피스톤상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윤활유 조성물용 첨가제로서 다가 금속알킬 살리실레이트 및 나프테네이트 물질이 알려져 있다(미합중국 특허 제 2,744,069 호). C8- C26알킬 살리실레이트 및 페네이트의 혼합물의 알카리 토금속(예: 칼슘)염 (참조: 미합중국 특허 제 2,744,069 호) 또는 알킬 살리실산의 다가 금속염[이때 산은, 페놀을 알킬화한 다음 페네이션(phenation), 카복실화 및 가수분해시켜 수득한다(미합중국 특허 제 3,704,315 호)]을 사용하여 통상적으로 알려지고 사용되는 전환 기법에 의해 강한 염기성 염으로 전환시킴으로써, 다가 금속알킬 살리실레이트 및 나프테네이트의 보유 염기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들 금속-함유 방청제의 보유 염기도는 유용하게도 약 60 내지 150 의 TBN 수준이다. 유용한 다가 금속 살리실레이트 및 나프테네이트 물질에는 알킬 치환된 살리실산 또는 나프텐산, 또는 상기 둘중 하나 또는 둘다와 알킬치환된 페놀의 혼합물로부터 쉽게 유도되는 메틸렌 및 황 가교결합 물질이 포함된다. 황화된 염기성 살리실레이트 및 이들의 제조방법은 미합중국 특허 제 3,595,791 호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 물질로는 일반식(XIII)을 갖는 방향족산의 알칼리 토금속(특히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및 바륨)염이 포함된다.
Figure kpo00028
상기식에서, Ar 은 1 내지 6개의 환의 아릴 라디칼이고, R1은 탄소원자수 약 8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0 (최적으로는 약 12)의 알킬그룹이며, X는 황(-S-) 또는 메틸렌(-CH2-) 가교결합이고, y는 0 내지 4의 수이며, n 은 0 내지 4 의 수이다.
과염기화 메틸렌 가교결합 살리실레이트-페네이트염의 제조는 페놀을 알킬화한 다음에 페네이션, 카복실화, 가수분해시키고 커플링제(예: 알킬렌 디할라이드)로 메틸렌 가교결합시킨 다음, 탄산화와 동시에 염형성시키는 것과 같은 통상의 기법으로 쉽게 수행할 수 있다. TBN이 60 내지 150 인 하기 구조식(XIV)의 메틸렌 가교결합된 페놀-살리실산의 과염기화 칼슘염이 본 발명에 매우 유용하다.
Figure kpo00029
황화 금속 페네이트는 중성 또는 염기성의 금속염으로 불리우는, 일반식(XV)의 화합물의 페놀설파이드의 금속염 또는 상기 화합물의 중합체형(이때, R은 알킬 라디칼이고, n 및 x 는 각각 1 내지 4 의 정수이며, 모든 R 그룹의 평균 탄소원자수는 오일중의 적절한 용해도를 보장하기 위해 약 9 이상이다)으로 간주될 수 있다.
Figure kpo00030
상기식에서, x 는 1 또는 2 이고, n 은 0, 1 또는 2 이다.
R 그룹은 각각 5 내지 40개,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할 수 있다. 금속염은, 황화 금속 페네이트에 목적하는 알칼리도를 부여하기에 충분한 양의 금속함유 물질과 알킬 페놀 설파이드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유용한 황화 알킬 페놀은 어떻게 제조되었던 간에 통상 황화알킬페놀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2 내지 약 14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12 중량% 의 황을 함유한다.
상기 황화알킬페놀을 본 분야에 잘 알려진 공정에 의해 중화시키고 경우에 따라서는 생성물을 목적하는 알칼리도로 과염기화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산화물, 수산화물 및 착화합물을 비롯한 금속함유 물질과 반응시킴으로써 황화알킬페놀을 전환시킬 수 있다. 글리콜에테르중의 금속용액을 사용하는 중화방법이 바람직하다.
중성으로 또는 정상으로 황화된 금속 페네이트는 금속 대 페놀 중심원자의 비가 약 1:2 인 것들이다. 과염기화된 또는 염기성 황화 금속 페네이트는 금속대 페놀의 비가 화학량론적 양의 비보다 큰 황화 금속 페네이트이다. 예를들어, 염기성 황화금속 도데실 페네이트는 상응하는 통상의 황화 금속 페네이트에 존재하는 금속만큼 또는 100% 이상의 과량의 금속함량을 갖는다(이때 과잉의 금속이 유용성 또는 분산가능한 형(CO2와의 반응에 의해서와 같이)을 생성한다).
마그네슘 및 칼슘 함유 첨가제는 다른 관점에서는 비록 유익하기는 하지만 윤활유의 산화하려는 경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사실은 강한 염기성 설포네이트의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바람직한 태양에 따라 본 발명은 백만부당 칼슘 또는 마그네슘 2 내지 8000부를 함유하는 크랭크케이스 윤활 조성물을 제공한다.
마그네슘 및/또는 칼슘은 일반적으로 설포네이트 및 페니이트와 같은 염기성 또는 중성 세제로 존재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첨가제는 중성 또는 염기성 마그네슘 또는 칼슘 설포네이트이다. 바람직하게 오일은 백만부당 칼슘 또는 마그네슘 500 내지 5000 부를 함유한다. 염기성 마그네슘 및 칼슘 설포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초기에 지적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규한 분산제의 특별한 잇점은 여러 등급의 자동차 엔진 윤활유 제조에 V.I. 개선제로 사용되는 것이다.
점도 조절제는 윤활유에 고온 및 저온 사용 가능성을 제공하며, 승온에서 비교적 점성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하며, 또한 저온에서 허용할만한 점도 또는 유동성을 나타낸다. 점도 조절제는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를 비롯한 고분자량의 탄화수소 중합체이다. 또한, 분산 특성의 부가와 같은, 다른 특성 또는 기능을 갖도록 점도 조절제를 유도체화 할 수 있다. 이들 유용성 점도 조절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겔 투과 크로마토그라피 또는 삼투압 측정에 의해 측정한 수평균 분자량 103내지 106, 바람직하게는 104내지 106, 예를들면 20,000 내지 250,000 을 가질 것이다.
적합한 탄화수소 중합체의 예에는 두개 또는 그 이상의 C2내지 C30의 단량체(예를들면 직쇄 또는 측쇄 지방족, 방향족, 알킬- 방향족, 지환족등일 수 있는 알파 올레핀 및 내부 올레핀을 비롯한 C2내지 C8올레핀)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흔히, 이들은 C3또는 C30올레핀과 에틸렌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바람직한 것은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이다. 기타 다른 중합체, 예를들면 폴리이소부틸렌, C6이상의 알파 올레핀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어택틱 폴리 프로필렌, 예를들어 이소프렌 및/또는 부타디엔과 스티렌의 수소화 중합체, 공중합체 및 삼원 공중합체, 및 그들의 수소화 유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중합체는 예를들어 소련(mastication), 압출, 산화 또는 열분해에 의해 분자량을 낮출수 있으며, 산화시킬수 있고, 산소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말레산 무수물과 같은 활성 단량체와 에틸렌-프로필렌의 포스트-그래프트 인터폴리머(이는 알콜 또는 아민, 예를들어 알킬렌 폴리아민 또는 하이드록시 아민과 더 반응할 수 있다)와 같이, 유도체화된 중합체(참조예: 미합중국 특허 제 4,089,794; 4,160,730; 4,137,185 호); 또는 미합중국 특허 제 4,068,056,4,068,058, 4,146,489 및 4,149,984 호에 개시된 바와같은 질소 화합물과 반응되거나 그래프트된,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탄화수소 중합체는 15 내지 90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중량%의 에틸렌 및 10 내지 85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중량%의 C3내지 C28, 바람직하게는 C3내지 C18, 더욱 바람직하게는 C3내지 C8알파 올레핀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함유하는 에틸렌 공중합체이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상기 공중합체는 X-선 및 시차주사 열량계로 측정할 때 25중량%미만의 결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해 프로필렌 대신에 사용하거나, 또는 삼원공중합체, 사원공중합체 등을 형성하기 위해 에틸렌 및 프로필렌과 함께 사용할, 적합한 다른 알파-올레핀에는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등; 또한 측쇄 알파 올레핀, 예를들면 4-메틸-1-페텐, 4-메틸-1-헥센, 5-메틸-1-펜텐, 4,4-디메틸-1-펜텐 및 6-메틸-1-헵텐 등 및 그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에틸렌, 상기 C3-28알파-올레핀 및 비-공액 디올레핀 또는 상기 디올레핀의 혼합물의 삼원공중합체, 사원공중합체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비-공액 디올레핀의 양은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에틸렌과 알파-올레핀의 총량을 기준으로 약 0.5 내지 20몰%,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7몰% 범위이다.
폴리에스테르 V.I. 개선제는 일반적으로 에틸렌형 불포화 C3내지 C8모노- 및 디카복실산(예: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푸마르산등)의 에스테르들의 중합체이다.
사용될 수 있는 불포화 에스테르의 예에는 탄소원자 1개 이상 및 바람직하게는 탄소원자 12 내지 20개를 갖는 지방족 포화 모노 알코올의 에스테르, 예를들면 데실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트, 에이코사닐 아크릴레이트, 도코사닐 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크릴레이트, 디아밀 푸마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세틸 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등 및 그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다른 에스테르로는 C2내지 C22지방산 또는 모노 카복실산, 바람직하게는 포화된 비닐 알콜 에스테르, 예를 들면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라우레이트, 비닐 팔미테이트, 비닐 스테아레이트, 비닐 올리에이트 등 및 그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비닐 알콜 에스테르와 불포화산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예를들면 비닐 아세테이트와 디알킬 푸마레이트의 공중합체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는 불포화 에스테르 또는 에스테르화된 불포화산 또는 무수물 1몰당, 올레핀과 같은 또 다른 불포화 단량체, 예를들어 C2-C20지방족 또는 방향족 올레핀 0.2 내지 5몰과 공중합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알콜 및 아민으로 에스테르화된 말레산 무수물과 스티렌의 공중합체가 알려져 있다(참조예: 미합중국 특허 제 3,702,300호).
상기 에스테르 중합체는, V.I. 개선제에 분산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중합가능한 불포화 질소-함유 단량체와 그래프트되거나 에스테르 공중합될 수 있다. 적절한 불포화 질소 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4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단량체, 예를들면 p-(베타-디에틸 아미노에틸)스티렌같은 아미노 치환된 올레핀; 중합가능한 에틸렌형 불포화 치환체를 갖는 염기성 질소-함유 헤테로 사이클, 예를들면 2-비닐-5-에틸 피리딘, 2-메틸-5-비닐피리딘,2-비닐-피리딘, 3-비닐-피리딘, 4-비닐-피리딘, 3-메틸-5-비닐-피리딘, 4-메틸-2-비닐-피리딘, 4-에틸-2-비닐-피리딘 및 2-부틸-1-5-비닐-피리딘 등과 같은 비닐 피리딘 및 비닐 알킬 피리딘이 있다.
N-비닐 락탐, 예를들면 N-비닐 피롤리돈 또는 N-비닐 피페리돈 또한 적절하다. 비닐 피롤리돈이 바람직하며, 이의 예로는 N-비닐 피롤리돈, N-(1-메틸비닐)피롤리돈, N-비닐-5-메틸피롤리돈, N-비닐-3,3-디메틸피롤리돈, N-비닐-5-에틸피롤리돈 등을 언급할 수 있다.
디하이드로카빌 디티오포스페이트 금속염은 흔히 내마모제로 사용되며 또한 산화방지성을 제공한다. 아연염은 윤활유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2중량% 의 양으로 윤활유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이들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알콜 또는 페놀을 P2S5와 반응시켜 디티오인산을 우선 형성한 다음, 디티오인산을 적절한 아연 화합물로 중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1차 및 2차 알콜의 혼합물을 비롯한 알콜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2차 알콜은 일반적으로 개선된 내마모성을 주기 위한 것이고 1차 알콜은 개선된 열 안정성을 주기 위한 것이다. 이둘의 혼합물이 특히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어떠한 염기성 또는 중성 아연 화합물이라도 사용될 수 있으나, 산화물, 수산화물 및 탄산염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시판 첨가제는 중화반응에서 과량의 염기성 아연화합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흔히 과잉의 아연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아연 디하이드로카빌 디티오포스페이트는 디티오인산의 디하이드로카빌 에스테르의 지용성 염들이고 다음 구조식(XVI)으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kpo00031
상기식에서, R 및 R' 는 같거나 다르고, 탄소원자 1 내지 18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2개를 함유하는 알킬, 알케닐, 아릴, 아르알킬, 알크아릴 및 치환족 라디칼과 같은 하이드로카빌 라디칼이다. R 및 R' 로서 특히 바람직한 그룹은 탄소원자수 2 내지 8의 알킬 그룹이다. 그러므로 이 라디칼은, 예를들어,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2차-부틸, 아밀, n-헥실, i-헥실, n-옥틸,데실, 도데실, 옥타데실, 2-에틸헥실, 페닐, 부틸페닐, 사이클로헥실, 메틸사이클로펜틸, 프로페닐, 부테닐 등이다. 오일 용해성을 얻기 위해서는, 디티오인산중의 총 탄소원자수(즉, 일반식(XVI)의 R 및 R')가 일반적으로 약 5 또는 그 이상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산화방지제에는 유용성 구리 화합물이 포함된다. 구리는 어떠한 적절한 유용성 구리 화합물로서 오일내에 혼합될 수 있다. 유용성이라함은 정상 혼합 조건하에 화합물이 오일 또는 첨가제 패키지에서 오일 용해성임을 의미한다. 구리 화합물은 제일구리 또는 제이구리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구리는 구리 디하이드로카빌 티오-또는 디티오-포스페이트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구리는 상술된 반응 및 화합물에서 아연대신 사용할 수 있으나, 산화 제 1구리 또는 산화 제 2구리 1몰이 각각 디티오인산 1 또는 2몰과 반응할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구리를 합성 또는 천연 카복실산의 구리염으로 첨가할 수 있다. 그 예로는 스테아르산 또는 팔미트산과 같은 C10내지 C18지방산이 있으나, 불포화산(예, 올레산), 분자량 200 내지 500 의 측쇄형 카복실산(예, 나프텐산) 또는 합성 카복실산이, 개선된 취급성 및 용해성을 가진 구리 카복실레이트를 생성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일반식(RR' NCSS)nCu 의 지용성 구리 디티오카바메이트 또한 유용하며, 이때 n은 1 또는 2 이고, R 및 R' 는 같거나 다른, 알킬, 알케닐, 아릴, 아르알킬, 알크아릴 및 지환족 라디칼을 비롯한 탄소수 1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2의 하이드로카빌 라디칼이다. R 및 R' 그룹으로 특히 바람직한 것은 탄소 원자수 2 내지 8의 알킬 그룹이다. 그러므로 이 라디칼들은 예를들어,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2차-부틸, 아밀, n-헥실, i-헥실, n-헵틸, n-옥틸, 데실, 도데실, 옥타데실, 2-에틸헥실, 페닐, 부틸페닐, 사이클로헥실, 메틸사이클로펜틸, 프로페닐, 부테닐 등이다. 유용성을 얻기 위해서는, 탄소원자(즉, R 및 R')의 총수가 일반적으로 약 5 또는 그 이상이 될 것이다. 구리 설포네이트, 페네이트 및 아세틸아세토네이트도 사용될 수 있다.
유용한 구리화합물의 예로는 알케닐 숙신산 또는 무수물의 구리(CuI및/또는 CuII)염이다. 이 염들은 그 자체가 염기성, 중성 또는 산성이다. 이들은 (a) 무회 분산제 항에서 상술한 물질중 어느것(적어도 하나의 유리 카복실산(또는 무수물)그룹을 갖는)을 (b) 반응성 금속 화합물과 반응시켜 형성할 수 있다. 적합한 산(또는 무수물) 반응성 금속 화합물에는 제 1구리 또는 제 2구리 수산화물, 산화물, 아세테이트, 보레이트 및 카보네이트 또는 염기성 구리 카보네이트가 있다.
본 발명 금속염의 예는 폴리이소부테닐 숙신산 무수물의 Cu 염(이후 Cu-PIBSA 라함)과 폴리이소부테닐 숙신산의 Cu 염이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선택된 금속은 예를들어 Cu+2같이 2가 형태이다. 바람직한 기질은 알케닐 그룹이 약 700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알케닐 숙신산이다. 알케닐 그룹은 약 900 내지 1400, 및 2500 이하의 Mn 을 가지며 약 950 의 Mn 이 가장 바람직하다. 분산제에 대한 항에서 상기 기술한 것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폴리이소부틸렌 숙신산(PIBSA)이다. 이 물질들은 광물성 오일과 같은 용매에 용해시키고 금속함유물질의 수용액(또는 슬러리) 존재하에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은 70℃ 내지 약 200℃ 로 할수 있다. 110℃ 내지 140℃ 의 온도가 매우 적합하다. 생성된 염에 따라 약 140℃ 이상의 온도에서 긴 시간, 예를들어 5시간 이상, 반응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염의 분해가 일어날 수 있다.
구리 산화방지제(예, Cu-PIBSA, Cu-올리에이트 또는 그의 혼합물)는 일반적으로 최종 윤활유 또는 연료 조성물에 금속 중량으로 약 50 내지 500 ppm 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구리 산화방지제는 가격이 저렴하고 저농도에서 효과적이므로, 생성물의 비용을 거의 가중시키지 않는다. 수득된 생성물은 흔히, 가격이 비싸고 더 높은 농도로 사용되는 선행 산화방지제를 사용하여 수득한 것보다 양호하다. 구리 화합물은 사용된 양에서 윤활유 조성물중의 다른 성분들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으며, 대부분의 경우 ZDDP 이외에 구리 화합물이 유일한 산화방지제인 경우에, 아주 만족스러운 결과가 얻어진다. 구리 화합물은 보충 산화방지제의 필요량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심한 조건의 경우에 통상의 보충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보충 산화방지제의 필요량은 소량, 즉 구리 화합물의 부재하에 필요한 양보다 훨씬 적은 양이다.
구리 산화방지제의 효과적인 양을 윤활유 조성물에 혼입시킬 수 있는데, 그러한 효과적인 양은 상기 윤활유 조성물이 윤활유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첨가된 구리 약 5 내지 500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pp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80ppm,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30ppm(예, 90 내지 120ppm)의 구리 산화방지제의 양을 제공하기에 충분해야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물론, 바람직한 양은 다른 요인들 가운데서도 윤활유 기재의 질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내-부식제로 알려진 부식방지제는 윤활유 조성물에 접촉된 금속부분의 분해를 감소시킨다. 부식방지제의 예로는 황화인 탄화수소, 및 황화인 탄화수소와 알칼리토 금속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을 바람직하게는 알킬화 페놀의 존재하 또는 알킬페놀 티오에스테르 존재하, 또는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탄소의 존재하에 반응시켜 수득한 생성물이 있다. 황화인 탄화수소는 C2내지 C6올레핀 중합체(예, 폴리이소부틸렌)의 중유 분획물, 터펜과 같은 적절한 탄화수소를, 65°내지 315℃ 범위의 온도에서 1/2 내지 15 시간동안 인의 황화물 5 내지 30중량% 와 반응시켜 제조한다. 황화인 탄화수소의 중화반응은 미합중국 특허 제 1,969,324 호에 제시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광물섬 오일의 저급화(deterioraion) 경향을 줄이며, 저급화는 금속 표면상의 슬러지 및 바니쉬형 침적물과 같은 산화반응 산물과 점도의 증가로 알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바람직하게는 C5내지 C12알킬측쇄를 갖는 알킬페놀티오에스테르의 알카릴토금속염, 칼슘 노닐페놀 설파이드, 바륨 t-옥틸페닐 설파이드, 디옥틸페닐아민, 페닐알파 나프틸아민, 황화인 탄화수소 또는 황화 탄화수소등이 있다.
마찰개선제는 자동차 변속기용 작동유와 같은 윤활유 조성물에 적절한 마찰 특성을 부여한다.
적절한 마찰 개선제의 대표적인 예는 지방산 에스테르 및 아미드를 기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 3,933,659호; 폴리이소부테닐 숙신산 무수물-아미노 알칸올의 몰리브덴 착화합물을 기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 4,176,074호; 이량체 지방산의 글리세롤 에스테르를 기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 4,105,571호; 알칸 포스폰산 염을 기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 3,779,928호; 포스포네이트와 올레아미드와의 반응생성물을 기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 3,778,375호; S-카복시-알킬렌 하이드로카빌 숙신이미드, S-카복시 알킬렌 하이드로카빌 숙신암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기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 3,852,205호; N-(하이드록시알킬) 알케닐 숙신암산 또는 숙신이미드를 기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 3,879,306호; 디-(저급알킬)포스파이트 및 에폭사이드의 반응 생성물을 기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 3,932,290호; 및 황화인 N-(하이드록시알킬)알케닐 숙신이미드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 생성물을 기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 4,028,258 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상기 언급한 특허들의 명세내용은 참고로 본 명세서에 인용하였다. 가장 바람직한 마찰 개선제는 미합중국 특허 제 4,344,853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티오비스 알칸올과 하이드로카빌 치환된 숙신산 또는 무수물의 글리세롤 모노 및 디올리에이트, 및 숙시네이트 에스테르, 또는 이의 금속염이다.
유동점 강하제는 윤활유가 유동하거나 이동될 수 있는 온도를 저하시킨다. 상기 강하제는 잘 알려져 있다. 유체의 저온 유동성을 유용하게 최적화 하는 상기 첨가제는 C8-C18디알킬 푸마레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채,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및 왁스 나프탈렌이다.
폴리실옥산 형태의 소포제, 예를들면 실리콘유 및 폴리디메틸실옥산을 사용하여 기포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방청제로 유용한 유기 유용성 화합물은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 및 이의 에스테르와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알킬 설폰산염과 같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그러한 방청제 화합물은 알려져 있으며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성 조성물에서 방청제 첨가물로 유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보통 에테르 결합과 같은 다수의 약한 안정화 그룹에 대한 그들의 계면활성 특성에 기인한다. 에테르 결합을 포함하는 비이온성 방청제는 활성 수소를 함유하는 유기 기질을 과량의 저급 알킬렌 옥사이드(예, 에틸렌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로 분자내에 원하는 수의 알콕시 그룹이 존재할 때까지 알콕실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한 방청제는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 및 이의 유도체이다. 이러한 종류의 물질은 여러 공급처에서 시판하고 있다 : 와이안도트 케미칼스 코포레이션(Wyandotte Chemicals Corporation)의 제품 풀루로닉 폴리올(Pluronic Polyols) ; 에틸렌 옥사이드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로부터 유도된 액체 트리올인,다우 케미칼 캄파니(Dow Chemical Co.) 제품의 폴리글리콜 112-2; 및 유니온 카바이드 코포레이션(Union Carbide Corp.) 제품의 터지톨(Tergitol), 도데실페닐 또는 모노페닐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및 유콘(Ucon), 폴리알킬렌 글리콜 및 유도체. 이들은 본 발명의 개선된 조성물에 방청제로 적합한 시판 제품의 일부일 뿐이다.
폴리올 자체뿐 아니라, 폴리올과 각종 카복실산과의 반응으로 수득된 그의 에스테르도 또한 적합하다. 이들 에스테르의 제조에 유용한 산은 라우르산, 스테아르 산, 숙신산, 및 알킬- 또는 알케닐- 치환된 숙신산(여기에서, 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은 약 20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함유한다)이다.
바람직한 폴리올은 블럭 중합체로 제조된다. 따라서, 하이드록시-치환된 화합물, R-(OH)n [여기에서, n은 1내지 6이고, R은 1가 또는 다가 알콜, 페놀, 나프톨 등의 잔기이다]을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반응시켜 소수성 염기를 수득한다. 이어서, 이 염기를 에틸렌 옥사이드와 반응시켜 친수성 부위를 제공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소수성 및 친수성 부위를 둘다 갖는 분자를 생성한다. 이들 부위의 상대적 크기는 본 분야의 숙련가에 명백한 바와같이, 반응물의 비, 반응시간 등을 조절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재 오일의 차이 및 다른 첨가제의 존재 여부에 상관없이, 폴리올의 분자가 어떠한 윤활 조성물에도 사용하기에 적합한 방청제를 만들도록 하는 비율로 존재하는 소수성 및 친수성 잔기를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을 제조하는 것은 본 기술 분야에 포함되어 있다.
일정한 윤활 조성물에서 더 큰 유용성이 요구되는 경우에, 소수성 부위를 증가시킬 수 있고/있거나 친수성 부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더 많은 수중유적형 에멀젼 파괴능이 요구된다면, 소수성 및/또는 친수성 부위를 조정하여 이를 만족시킬 수 있다.
R - (OH)n 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예로는 알킬렌 글리콜, 알킬렌 트리올, 알킬렌 테트롤 등과 같은 알킬렌 폴리올, 예를들면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만니톨 등이 포함된다. 알킬화된 일가 및 다가 페놀 및 나프톨과 같은 방향족 하이드록시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들면 헵틸페놀, 도데실페놀 등이 있다.
다른 적절한 해유화제로는 미합중국 특허 제 3,098,827호 및 제 2,674,619 호에 기술된 에스테르가 있다.
와이안도트 케미칼 캄파니로부터 상품명 플루로닉 폴리올(Pluronic Polyols)로 구입할 수 있는 액체 폴리올 및 다른 유사한 폴리올이 방청제로서 특히 적합하다. 이들 플루로닉 폴리올은 다음 일반식(XVII)에 해당된다 :
Figure kpo00032
상기식에서 x, y 및 z 는 -CH2CH2O- 그룹이 글리콜 총 분자량의 약 10중량% 내지 약 40중량%가 되도록 하는 1보다 큰정수이고, 상기 글리콜의 평균 분자량은 약 1000 내지 약 5000 이다.
이들 생성물은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글리콜을 축합시켜 일반식(XVIII)의 소수성 염기를 우선 형성시킨 다음, 이 축합 생성물을 에틸렌 옥사이드로 처리하여 분자의 양 말단에 친수성 잔기를 부가시켜 제조한다 :
Figure kpo00033
최상의 결과를 얻기 위해,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는 분자의 약 10 내지 약 40중량%를 차지해야 한다. 폴리올의 분자량이 약 2500 내지 4500 이고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가 그 분자의 약 10 내지 약 15중량% 를 차지하는 생성물이 특히 적합하다. 분자량이 약 4000 이고 (CH2CH2O) 단위가 약 10%를 구성하는 폴리올이 특히 우수하다. 미합중국 특허 제 3,849,501 호에 기술된 바와같이, C2-C16알킬-치환된 페놀(예, 모노-및 디-헵틸, 옥틸,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및 트리데실페놀)로 처리된 알콕실화 지방산 유도체를 비롯한, 알콕실화 지방 아민, 아미드, 알콜 등도 또한 유용하며, 상기 특허를 전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전술한 다른 첨가제, 및 예를들어 바륨 및 나트륨을 함유하는 첨가제와 같은, 다른 금속 함유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윤활 조성물은 또한 구리 납 함유 부식 방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탄소원자 5 내지 50개를 함유하는 티아디아졸 폴리 설파이드, 이들의 유도체 및 중합체이다. 바람직한 물질은 미합중국 특허 제 2,719,125호, 제 2,719,126호, 및 제 3,087,932 호에 기술된 바와같은 1,3,4-티아디아졸의 유도체이며; 특히 바람직한 물질은 아모코(Amoco) 150으로 시판되고 있는 화합물, 2,5-비스(t-옥타디티오)-1,3,4-티아디아졸이다. 또한 적절한 다른 유사한 물질은 미합중국 특허 제 3,821,236 호; 제 3,904,537 호, 제 4,097,387 호, 제 4,107,059 호, 제 4,136,043 호, 제 4,188,299 호 및 제 4,193,882 호에 기술되어 있다.
다른 적절한 첨가제는 영국 특허 제 1,560,830 호에 기술된 바와같은 티아디아졸의 티오 및 폴리티오 설펜아미드이다. 이들 화합물이 윤활 조성물에 포함될 경우, 이들 화합물은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여러 첨가제중 몇몇은 복합효과, 예를들면 분산-산화 방지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시도는 잘 알려져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더 기술할 필요는 없다.
조성물이 이들 통상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경우에, 조성물은 그들의 보통 수행기능을 제공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기재 오일에 혼합된다. 완전히 배합된 오일중에서 그러한 첨가제 각각의 대표적인 효과량(각가의 활성 성분으로써)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34
다른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상기 다른 첨가제 하나이상과 함께 본 발명의 신규한 분산제의 농축용액 또는 분산제를 포함(상술한 농축물 용량으로)하는 첨가제 농축물(첨가제-팩키지로 본 명세서에 나타낸, 첨가제 혼합물을 포함하는 농축물)을 제조함으로써, 다수의 첨가제를 기재 오일에 동시에 첨가하여 윤활유 조성물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첨가제 농축물은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그리고 약하게 가열하면서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혼합함으로써 용이하게 윤활유에 용해시킬 수 있다. 농축물 또는 첨가제 팩키지는 전형적으로, 첨가제 팩키지를 미리 측정된 양의 윤활유 기재와 혼합할 때 최종 배합물에 원하는 농도를 제공하기에 적당한 양의 첨가제를 함유하도록 배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산제는 다른 바람직한 첨가제와 함께 소량의 기재 오일 또는 다른 혼화성 용매에 첨가하여 첨가제 약 2.5 내지 약 9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7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60중량%의 수거량으로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첨가제 팩키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나머지는 기재 오일로 이루어진다.
최종 배합물은 전형적으로 약 10 중량% 의 첨가제 팩키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나머지는 기재 오일로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표시된 상기 중량% 는 모두(달리 언급된바 없다면) 첨가제의 활성성분(A.I.) 함량을 기준으로 하고/하거나 각 첨가제의 A.I. 중량에 오일 또는 희석제 전체의 중량을 합한 배합물, 또는 첨가제-팩키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를 참고로 더 이해될 것이며, 실시예에서 모든 부는 달리 언급된바 없다면 중량부를 말하고,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을 포함한다.
[실시예 1 -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제조]
온도조절용 물 자켓, 촉매의 실린지 주입용 격막 주입구가 구비되고 정제된 질소, 액체 프로필렌 및 에틸렌의 공급구가 장착되어 있는 1ℓ지퍼클레이브(Zipperclave) 반응기(오토클레이브 엔지니어즈)를 본 중합반응에 사용하였다. 반응기를 뜨거운 톨루엔으로 세척하고 이어서 100℃ 의 건조 질소로 잘 퍼징시켰다. 반응기를 25℃ 로 냉각시키고 메틸알룸옥산의 4.0중량% 톨루엔 용액 10.0cc 를 질소하의 0 psig 에서 증류 톨루엔 100cc 와 함께 주입했다. 액체 프로필렌 단량체(200cc)를 25℃ 에서 눈금이 매겨진 뷰렛으로부터 가했다. 반응기 내용물을 교반시키고 115℃ 로 가열했으며 이때 반응기 압력은 375 psig 이었다. 비스(n-부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 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1.00mg)의 톨루엔 용액 1.00cc 를 주입하고 곧 바로 405 psig 압력에서 에틸렌을 공급하였다. 에틸렌은 시스템 압력을 405 psig으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 압력하에서 공급하였다. 에틸렌의 유속을 중합도중 계속 기록하였다. 반응을 15분간 계속시킨 다음 반응기를 급속히 감압시키고 25℃ 로 냉각시켜 반응을 중단시켰다. 중합체 생성물을 수집하고 톨루엔 용매를 공기 스트림중에서 증발시켰다. 중합체 중량은 13.1 gms 인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중합체를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1100 의 수평균 분자량, 5400 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4.9 의 다분산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합체 생성물은 Zr 2.5 wppm 과 Cl 1.75 wppm 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 페놀의 알킬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약 50g 을 클로로벤젠 100㎖ 에 용해시키고 클로로벤젠 300㎖ 중의 페놀 10.45g 을 함유하는 용액에 가했다. 질소 블랭킷하의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BF기체 0.5g 을 공급된 용액내로 발포시키고, 약 1시간동안 온도를 50℃ 로 증가시키면서 교반했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pH 가 중성이 될때까지 기체 암모니아로 중화시켰다. 용액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150℃ 로 가열하여 용매와 과량의 페놀을 증류시켰다. 분석 결과 원하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치환된 페놀로 91.4% 전환되었음을 나타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생성된 알킬화 페닐 생성물의 적외선 분석에서, 890㎝ 에서의 이중 결합 피이크는 흔적도 없었다.
[실시예 3 - 만니히 염기 축합]
실시예 2 에서와 같이 제조된 알킬화 페놀 25g 을 S150N 윤활유 25g 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에서 N하의 30℃ 에서, 1,6-헥산디아민 0.61g 및 포름알데히드 0.35g 을 가했다. 혼합물을 115℃ 로 가열하고 4목 환저 500 몰 플라스크내에서 1시간동안 상기 온도로 유지시켰다. 이어서, 반응 용기를 45분동안 건조 N기체로 스위핑 하면서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130℃ 로 올렸다. 이어서 스트리핑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헵탄 100㎖ 로 희석하고 여과했다. 이어서 여과물을, 헵탄을 제거하기 위해서 건조 N기체로 130℃ 에서 스트리핑 시켰다. 생성된 만니히 염기 축합 생성물을 그의 분산성 및 점성을 결정하기 위해 평가했다.
실시예 3 의 생성 혼합물을 6.4 cSt 의 운동점도(100℃ 에서, ASTM 방법 D445)및 23.39dml CCS 점도(-20℃에서, ASTM 방법 D2602)를 갖는 것으로 결정했으며, 그에 의해 5.2 cSt 의 KV 및 19.2 cSt 의 CCS 점도, 또는 3.7의 VRr 을 갖는 S150N 오일 자체와 비교하여, 약 3.6의 VR 값을 제공했다.
이렇게 생성된 생성물의 분산성에 대해 슬러지(sludge) 형성 억제(SIB 시험에 의함)와 바니쉬(varnish) 형성 억제(VIB 시험에 의함) 시험을 행했다.
SIB 시험은 여러번의 검토 후에 윤활유 분산 첨가제의 분산력을 평가하는데 우수한 시험이라고 밝혀져 있다.
SIB 시험을 위해 선택한 매질은, 일번적으로 단거리만을 주행하는 택시에서 사용되어 이로인해 고농도의 슬러지 전구물질이 형성된, 38℃ 에서 약 325 SUS 의 원래 점도를 갖는, 쓰고난 크랭크케이스 광물성 윤활유 조성물이다. 사용된 오일은 정제된 광물성 윤활유 기재, 점도 지수 개선제, 유동점 강하제 및 아연 디알킬디티오포스 페이트 내마모성 첨가제만을 함유한다. 이 오일은 분산제 슬러지를 함유하지 않는다. 상기 쓰고난 오일의 양은 1000 내지 2000 마일 간격으로 택시의 크랭크케이스를 비우고 재충전하므로써 얻는다.
SIB 시험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수행한다: 상기 쓰고난 크랭크케이스 오일(우유빛을 띤 갈색)을 약 39,000 비중(gs.)에서 1시간동안 원심분리시켜 슬러지를 제거한다. 이어서 생성된 밝은 적색의 맑은 상등 오일을 경사 분리하여 불용성 슬러지 입자를 분리시킨다. 그러나 상등 오일은 여전히 지용성 슬러지 전구체를 함유하여, 이 시험에서 사용한 조건하에서 가열하면 추가의 오일-불용성 슬러지가 침전되려고 한다. 시험할 첨가제의 슬러지 억제성은 쓰고난 오일 상등액 일부에 시험할 특정 첨가제 소량(예를들면 0.5, 1 또는 2 중량%)을 첨가함으로써 측정한다. 시험할 혼합물 각각 10g 씩을 스테인레스 강철 원심분리관에 넣어 공기 존재하에 135℃ 에서 16시간동안 가열한다. 가열한 뒤에, 시험할 오일을 함유한 관을 냉각시킨 후 실온에서 약 39,000 gs 로 약 30분간 원심 분리시킨다. 상등 오일을 경사 분리하므로써, 이 단계에서 형성된 모든 새로운 슬러지 침전물을 오일로 부터 분리시키고 이어서, 슬러지 침전물을 헵탄 25㎖ 로 주의해서 세착하여 슬러지로 부터 모든 잔존하는 오일을 제거한 다음, 더 원심분리시킨다. 잔류물을 건조시키고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시험에서 생성된 새로운 고형 슬러지의 중량(mg)을 측정한다. 침전된 슬러지의 양을 어떠한 추가의 첨가제도 함유하지 않는 공시험(blank)의 침전 슬러지와 비교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는데, 이때 공시험을 등급 10 으로 표준화 한다. 첨가제의 존재하에 침전된 새로운 슬러기자 적으면 적을수록 SIB 가는 더 낮으며 슬러지 분산제로서 더욱 효과적인 첨가제이다. 환언하면, 이 첨가제가 공시험에서의 침전된 슬러지 양의 절반 정도의 슬러지를 침전시킨다면, 공시험을 등급 10 으로 정했기 때문에 이 첨가제는 등급 5.0 으로 등급을 매길 수 있다.
VIB 시험을 사용하여 바니쉬 형성 억제를 측정한다. 여기에서, 각각의 시험 샘플은 시험할 첨가제 소량을 함유한 윤활유 10g 으로 구성된다. 첨가제가 혼합된 시험용 오일은 상기에서 언급한 SIB 시험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유형의 것이다. 각각 10g 씩의 샘플을 약 140℃ 에서 밤새 가열 숙성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슬러지를 제거한다. 각 샘플의 상등액을 3.5시간에 걸쳐 약 150℃ 에서 실온까지 분당 약 2 사이클의 빈도로 열순환(heat cycling)시킨다. 가열상에서는, SO약 0.7 용량%, NO 1.4용량% 및 잔여량의 공기의 혼합물인 가스가 시험 샘플을 통해 끓어 오른다. 냉각상에서는 수증기가 시험 샘플을 통해 끓어 오른다. 시험을 완결한 후 (어떠한 첨가제의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시험 사이클을 반복할 수 있다), 샘플을 함유한 시험용 플라스크의 벽 표면에서 바니쉬 형성 억제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한다. 벽면에 생긴 바니쉬의 양에 대해 1 에서 11 까지 등급을 매기는데, 어떠한 첨가제도 함유하지 않은 공시험을 등급 11 로 정하고, 숫자가 클수록 바니쉬의 양이 더 많다.
SIB 시험용 오일 10.00g 과 실시예 2 의 생성물 0.05g 을 혼합하여 상기에서 기술한 SIB 및 VIB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3의 분산 물질은 분산성의 존재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6.0 의 SIB 등급과, 2.5의 VIB 등급을 제공하였다.
전술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원리, 바람직한 실시 태양 및 적용방식에 대해 기술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특정 형태는 한정적이기 보다는 오히려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하므로, 본 출원에서 보호받고자 하는 본 발명을 하기 기술한 특정 형태로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이 분야에 숙련가라면 본 발명의 진의에서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을 변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Claims (27)

  1. (a) 수평군 분자량 300 내지 20,000의 최소한 하나의 말단 분포화 에틸렌 알파-올레핀 중합체(이 중합체쇄의 최소한 30%는 말단 에테닐리덴 불포화기를 함유한다)를 사용하여 최소한 하나의 하이드록시 방향족 화합물을 알킬화시켜 최소한 하나의 알킬-치환된 하이드록시방향족 화합물; (b) 최소한 하나의 알데히드 반응물; 및 (c) 최소한 하나의 친핵성 반응물의 반응에 의해 수득한 축합 생성물을 포함하는, 유성 조성물에 유용한 윤활유 분산 첨가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분산 첨가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가 약 700 내지 약 15,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분산 첨가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균 분자량이 약 1,500 내지 5,000 인 분산 첨가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가 약 20 내지 약 80 몰%의 에틸렌 함량을 갖는 분산 첨가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가 약 45 내지 약 65 몰%의 에틸렌 함량을 갖는 분산 첨가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올레핀이 1-부텐을 포함하는 분산 첨가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균 분자량이 약 1,500 내지 5,000 인 분산 첨가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핵성 반응물이 분자당 2 내지 60 개의 탄소 원자 및 1 내지 12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아민을 포함하는 분산 첨가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이, 알킬렌 그룹이 2 내지 60 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고 분자당 2 내지 약 9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폴리알킬렌폴리아민을 포함하는 분산 첨가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이 폴리에틸렌폴리아민을 포함하는 분산 첨가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첨가제가 보레이트화되어 상기 보레이트화 분산 첨가제내에 약 0.05 내지 2.0 중량% 의 붕소를 제공하는 분산 첨가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분산 첨가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가 수평균 분자량 약 700 내지 약 15,000 을 갖는 분산 첨가제.
  15. 제1항의 분산 첨가제를 약 3 내지 45 중량% 함유하는 농축물.
  16. 제2항의 분산 첨가제를 약 10 내지 35 중량% 함유하는 농축물.
  17. 제1항 또는 제2항의 분산 첨가제를 약 0.1 내지 20 중량% 함유하는 윤활유 조성물.
  18. 제14항의 분산 첨가제를 약 0.1 내지 20 중량% 함유하는 윤활유 조성물.
  19. 수평균 분자량 300 내지 20,000의 에틸렌 알파-올레핀 중합체(이 중합체 쇄의 최소한 30% 는 말단 에테닐리덴 불포화기를 함유한다)를 사용한 최소한 하나의 하이드록시 방향족 화합물의 알킬화에 의해 제조된 알킬-치환된 하이드록시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개선된 점도 특성을 갖는 방향족 화합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방향족 화합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가 약 700 내지 약 15,000 의 수평군 분자량을 갖는 방향족 화합물.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군 분자량이 약 1,500 내지 5,000 인 방향족 화합물.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가 4.1 미만의 VR 값을 갖는 방향족 화합물.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가 약 20 내지 약 80 몰% 의 에틸렌 함량을 갖는 방향족 화합물.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가 약 45 내지 약 65 몰% 의 에틸렌 함량을 갖는 방향족 화합물.
  26. 4.1 미만의 VR' 값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 물질을 형성시키는 축합 조건하에서, (a) 수평군 분자량 300 내지 20,000 의 최소한 하나의 에틸렌 알파-올레핀 중합체(이 중합체 쇄의 최소한 30% 는 말단 에테닐리덴 불포화기를 함유한다)를 사용한 최소한 하나의 하이드록시 방향족 화합물의 알킬화에 의해 형성된 최소한 하나의 알킬-치환된 하이드록시 방향족 화합물; (b) 최소한 하나의 알데히드 반응물; 및 (c) 최소한 하나의 친핵성 반응물을 접촉시킴을 포함하는 저 침전 윤활유 분산제 물질의 제조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방법.
KR1019910001670A 1990-02-01 1991-01-31 신규한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치환된 만니히 염기 윤활 분산 첨가제 KR0151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73,625 1990-02-01
US07/473,625 US5200103A (en) 1988-08-01 1990-02-01 Ethylene alpha-olefin copolymer substituted Mannich base lubricant dispsersant additives
US07/473,625 1990-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1471A KR910021471A (ko) 1991-12-20
KR0151592B1 true KR0151592B1 (ko) 1998-10-01

Family

ID=23880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1670A KR0151592B1 (ko) 1990-02-01 1991-01-31 신규한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치환된 만니히 염기 윤활 분산 첨가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200103A (ko)
EP (1) EP0440507B1 (ko)
JP (2) JP3071837B2 (ko)
KR (1) KR0151592B1 (ko)
AR (1) AR248422A1 (ko)
BR (1) BR9100407A (ko)
CA (1) CA2034760A1 (ko)
DE (1) DE69101564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643A (ko) * 2016-12-13 2019-08-09 에프톤 케미칼 코포레이션 에틸렌 및 c3-c10 알파-올레핀의 미세구조-제어된 공중합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5002A (en) * 1988-08-01 1994-09-06 Exxon Chemical Patents Inc. Ethylene alpha-olefin copolymer substituted hydroxy aromatic compounds
US5229020A (en) * 1989-05-30 1993-07-20 Exxon Chemical Patents Inc. Branched amido-amine dispersant additives
CA2110654C (en) * 1992-12-17 2006-03-21 Albert Rossi Dilute process for the polymerization of ethylene/alpha-olefin copolymer using metallocene catalyst systems
IL107927A0 (en) 1992-12-17 1994-04-12 Exxon Chemical Patents Inc Oil soluble ethylene/1-butene copolymers and lubricating oils containing the same
US5458793A (en) * 1993-05-13 1995-10-17 The Lubrizol Corporation Compositions useful as additives for lubricants and liquid fuels
US5334775A (en) * 1993-06-02 1994-08-02 Exxon Chemical Patents Inc. Polymer Alkylation of hydroxyaromatic compounds
US5433875A (en) * 1993-06-16 1995-07-18 Ethyl Corporation Ashless mannich despersant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US5417725A (en) * 1994-02-01 1995-05-23 Graves; Gordon C. Penetration and fixture freeing agent
WO1995034617A1 (en) * 1994-06-16 1995-12-21 Exxon Chemical Limited Shear stable lubricating compositions
ES2137527T3 (es) * 1994-06-16 1999-12-16 Exxon Chemical Ltd Composiciones lubricantes multigrado que no contienen modificador de la viscosidad.
US5789355A (en) * 1995-06-06 1998-08-04 Exxon Chemical Limited Low volatility lubricating compositions
US5712231A (en) * 1996-06-04 1998-01-27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Polymers having dihydroxy moieties
US5725612A (en) * 1996-06-07 1998-03-10 Ethyl Corporation Additives for minimizing intake valve deposits, and their use
US5634951A (en) * 1996-06-07 1997-06-03 Ethyl Corporation Additives for minimizing intake valve deposits, and their use
US5811379A (en) * 1996-06-17 1998-09-22 Exxon Chemical Patents Inc. Polymers derived from olefins useful as lubricant and fuel oil additives, processes for preparation of such polymers and additives and use thereof (PT-1267)
US6066603A (en) * 1996-06-17 2000-05-23 Exxon Chemical Patents Inc. Polar monomer containing copolymers derived from olefins useful as lubricant and useful as lubricant and fuel oil additivies process for preparation of such copolymers and additives and use thereof
GB9618546D0 (en) * 1996-09-05 1996-10-16 Bp Chemicals Additives Dispersants/detergents for hydrocarbons fuels
GB9807729D0 (en) * 1998-04-09 1998-06-10 Exxon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for preparing oleaginous compositions
US6172015B1 (en) 1997-07-21 2001-01-09 Exxon Chemical Patents, Inc Polar monomer containing copolymers derived from olefins useful as lubricant and fuel oil additives, processes for preparation of such copolymers and additives and use thereof
US6495496B2 (en) 2000-12-22 2002-12-17 Infineum International Ltd. Hydroxy aromatic mannich base condensation products and the use thereof as soot dispersants in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US6800103B2 (en) 2001-02-02 2004-10-05 Ethyl Corporation Secondary amine mannich detergents
DE102004005108A1 (de) * 2004-02-02 2005-10-27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isobutenylphenolen
EP2247700B1 (en) * 2007-12-28 2018-10-03 Chevron Oronite Company LLC Low temperature performance lubricating oil detergents
US8969272B2 (en) 2008-04-23 2015-03-0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Hydroxyaromatic functionalized polyalpha-olefins
KR101568186B1 (ko) * 2014-01-06 2015-11-11 대림산업 주식회사 에틸렌과 알파-올레핀의 중합 장치 및 제조방법
JP6101296B2 (ja) * 2014-02-19 2017-03-22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脂肪酸組成物および燃料油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8495A (en) * 1965-09-16 1969-07-29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Reaction product of a phosphosulfurized hydrocarbon and an alkylene amino phenol and method for preparing
US3442808A (en) * 1966-11-01 1969-05-06 Standard Oil Co Lubricating oil additives
US4186102A (en) * 1974-05-06 1980-01-29 Ethyl Corporation Lubricating oil composition
US4058468A (en) * 1976-06-07 1977-11-15 Ethyl Corporation Lubricant composition
US4170562A (en) * 1978-02-15 1979-10-09 Standard Oil Company Phenol modified mannich reaction products from oxidized polymers
US4354950A (en) * 1980-12-29 1982-10-19 Texaco Inc. Mannich base derivative of hydroxyaryl succinimide and hydrocarbon oil composition containing same
US4396517A (en) * 1981-08-10 1983-08-02 Mobil Oil Corporation Phenolic-containing mannich bases and lubricants containing same
US4455244A (en) * 1982-06-07 1984-06-19 Standard Oil Company (Indiana) Oxidized mannich condensation product
MX167872B (es) * 1983-06-06 1993-04-20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Proceso y catalizador para producir poliolefinas dmezclas del reactor
ZA844157B (en) * 1983-06-06 1986-01-29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Process and catalyst for polyolefin density and molecular weight control
EP0200351B2 (en) * 1985-03-26 1996-10-16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Liquid ethylene-type random copolymer,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US4668834B1 (en) * 1985-10-16 1996-05-07 Uniroyal Chem Co Inc Low molecular weight ethylene-alphaolefin copolymer intermediates
US4787996A (en) * 1986-05-21 1988-11-29 Mobil Oil Corporation Mannich base oil additives
US4658078A (en) * 1986-08-15 1987-04-14 Shell Oil Company Vinylidene olefin process
EP0279863B1 (en) * 1986-08-26 1992-10-14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Catalyst for polymerizing alpha-olefin and polymerization process
JPS63196690A (ja) * 1987-02-12 1988-08-15 Mitsui Petrochem Ind Ltd 潤滑油組成物
US4808325A (en) * 1987-03-30 1989-02-28 Amoco Corporation Mannich dispersant VI-improver blended with phenolic compound for improved storage stability
US4780230A (en) * 1987-04-10 1988-10-25 Texaco Inc. Lubricating oil containing a mannich base
JPS63299303A (ja) * 1987-05-29 1988-12-06 Murata Mfg Co Ltd 回路素子の製造方法
CA1335095C (en) * 1987-11-19 1995-04-04 Robert Dean Lundberg Oil soluble dispersant additives useful in oleaginous compositions
US5017299A (en) * 1988-08-01 1991-05-21 Exxon Chemical Patents, Inc. Novel ethylene alpha-olefin copolymer substituted Mannich base lubricant dispersant additiv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643A (ko) * 2016-12-13 2019-08-09 에프톤 케미칼 코포레이션 에틸렌 및 c3-c10 알파-올레핀의 미세구조-제어된 공중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319321A (ja) 2000-11-21
EP0440507B1 (en) 1994-04-06
KR910021471A (ko) 1991-12-20
US5200103A (en) 1993-04-06
JPH04339894A (ja) 1992-11-26
CA2034760A1 (en) 1991-08-02
JP3071837B2 (ja) 2000-07-31
EP0440507A3 (en) 1991-12-04
DE69101564D1 (de) 1994-05-11
DE69101564T2 (de) 1994-07-21
AR248422A1 (es) 1995-08-18
EP0440507A2 (en) 1991-08-07
BR9100407A (pt) 1991-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1592B1 (ko) 신규한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치환된 만니히 염기 윤활 분산 첨가제
JP3162672B2 (ja) 新規なエチレンアルファ−オレフィンポリマー置換したマンニッヒ塩基潤滑分散性添加剤
KR0164851B1 (ko) 신규의 에틸렌 알파-올레핀 중합체 치환된 아민 분산제 첨가제
US5186851A (en) Ethylene alpha-olefin copolymer substituted mannich base lubricant dispersant additives
KR0149868B1 (ko) 유성 조성물용 다작용성 점도 지수 개선제 첨가제로서 유용한 신규의 에틸렌 알파-올레핀 중합체 유도체
US5229022A (en) Ethylene alpha-olefin polymer substituted mono- and dicarboxylic acid dispersant additives (PT-920)
US5266223A (en) Ethylene alpha-olefin polymer substituted mono-and dicarboxylic acid dispersant additives
EP0353935B1 (en) Ethylene alpha-olefin polymer substituted mono-and dicarboxylic acid lubricant dispersant additives
US5277833A (en) Ethylene alpha-olefin polymer substituted mono-and dicarboxylic acid lubricant dispersant additives
US5350532A (en) Borated ethylene alpha-olefin polymer substituted mono- and dicarboxylic acid dispersant additives
US5345002A (en) Ethylene alpha-olefin copolymer substituted hydroxy aromatic compounds
US5128056A (en) Ethylene alpha-olefin copolymer substituted amino phenol mannich base lubricant dispersant additives
US5268115A (en) Alkyl-substituted hydroxyaromatic compounds useful as a multifunctional viscosity index improver
KR0160524B1 (ko) 유성 조성물에 대한 다작용성 점도 지수 개선제로 유용한 신규의 에틸렌 알파-올레핀 중합체 치환된 만니히 염기
EP0357217B1 (en) Ethylene alpha-olefin copolymer substituted amino phenol mannich base lubricant dispersant additives
KR0134194B1 (ko) 신규의 에틸렌 알파-올레핀 중합체 치환된 모노- 및 디카복실산 윤활제 분산제 첨가제
WO1997043322A1 (en) Ethylene/alpha-olefin/diene interpolymer-substituted carboxylic acid dispersant addit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