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866B1 - 임플랜트재료를 매립하는 나사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치과치료장치 - Google Patents

임플랜트재료를 매립하는 나사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치과치료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866B1
KR0150866B1 KR1019950017260A KR19950017260A KR0150866B1 KR 0150866 B1 KR0150866 B1 KR 0150866B1 KR 1019950017260 A KR1019950017260 A KR 1019950017260A KR 19950017260 A KR19950017260 A KR 19950017260A KR 0150866 B1 KR0150866 B1 KR 0150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side clutch
clutch
dental treatment
treat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7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164A (ko
Inventor
데츠지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나카니시 도시마사
가부시키가이샤 나카니시 시카 기카이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니시 도시마사, 가부시키가이샤 나카니시 시카 기카이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나카니시 도시마사
Publication of KR960000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8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8Flexible shafts; Clutches or the like; Bearings or lubricating arrangements; Drives or transmissions
    • A61C1/185Drives or transmis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2Drill handpieces
    • A61B17/1624Drive mechanis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31Special drive shafts, e.g. flexible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73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8Flexible shafts; Clutches or the like; Bearings or lubricating arrangements; Drives or transmis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1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torque limi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8Flexible shafts; Clutches or the like; Bearings or lubricating arrangements; Drives or transmissions
    • A61C1/185Drives or transmissions
    • A61C1/186Drives or transmissions with torque adjusting or limi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과치료장치에 부착된 공구에 의해 임플랜트재료를 매립하는 나사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치과치료장치(Ⅰ)는 외부 전기모터의 회전을 감속시키고 회전을 공구에 전달하는 토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감속유니트(C)와 이 감속유니트(C)와 공구 사이에 구비된 클러치 유니트를 포함한다. 이 클러치 유니트는 전방측에 제 1요철면(40')을 갖는 구동측 클러치(40), 후방측에 제 2요철면(50')을 갖는 공구측 클러치(50), 및 제 1요철면(40')과 제 2요철면(50')을 축방향으로 서로 정합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측 클러치(40)를 공구측 클러치(50)쪽으로 밀기위한 스프링(34)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임플랜트재료를 매립하는 나사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치과치료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치료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2a도 및 제2b도는 각각 구동측 클러치부재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제3a도 및 제3b도는 각각 공구측 클러치부재의 측면도 및 배면도이고,
제4도는 구동측 클러치부재와 공구측 클러치부재의 끼워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I : 치과치료장치 C : 감속유니트
22 : 전달부재 24 : 태양기어
25 : 원판 28 : 유성기어
30 : 구동축 40 : 구동측 클러치부재
40' : 제 1요철면 40A : 제 1경사면
40B : 제 1수직면 40C,50D : 돌출부
40D,50C : 오목부(평탄면) 40E : 단면
50 : 공구측 클러치 50' : 제 2요철면
50A : 제 2경사면 50B : 제 2수직면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치과치료장치, 보다 상세하게는 임플랜트재료(implant material)를 매립하는 나사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치과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치의 안정유지를 위한 종래의 관행은 결여 이빨부의 연조직 아래의 악골에 임플랜트재료를 매립하고 이 위에 의치를 심어 설치하는 것이었다. 임플랜트재료는 미리 나사산이 새겨진 면을 가지도록 성형되고, 치과치료장치의 공구 버어(tool bur)에 의해 형성된 처치부의 나사구멍에 끼워넣어진다.
한편 나사구멍 형성시의 카운터토크가 혀용치를 초과하면 공구 버어에 과잉한 부하가 가해져 나사산이 붕괴되거나 나사깊이에 오차가 생김으로써 임플랜트재료의 설치에 지장을 주게되고, 치과치료장치가 부서지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결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지의 치과치료장치에서는 모터회전을 감속시키고 나사구멍 형성에 필요한 높은 토크를 부여하기 위한 감속유니트와 외부 전기모터 사이에 클러치 유니트가 설치된다. 이 클러치 유니트는 한쌍의 요철면을 스프링에 의해 축방향으로 서로 끼워맞춤한 모터측 클러치판 및 공구측 클러치를 포함하고 있다. 이 치과치료장치는 공구 버어가 과부화상태로 되는 경우에는 상기 요철면의 끼워맞춤이 스프링의 가압에 저항하여 해제되어 모터측 클러치판이 공구측 클러치판에 대해 클링크 회전운동함으로써, 공구 버어의 토크가 감소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치과치료장치에서는 클러치 유니트가 모터와 감속유니트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 카운터토크가 공구 버어로부터 클러치 유니트에 전달되는 시간동안에, 공구 버어와 감속유니트 사이 또는 감속유니트와 모터측 클러치판 사이에 있는 기어나 기어를 회전축에 고정하기 위한 핀부재등 비교적 과부하에 약한 부재가 파손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감속유니트에 도달한 카운터토크는 감속유니트의 감속비의 역수에 반비례하여 증대되므로, 요철면의 끼워맞춤 해제를 조절하는 스프링의 탄압력을 적절한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곤란하다.
[발명의 개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운터토크에 의해 내부부재가 손상될 염려없이 스프링의 탄압력을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는 치과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그밖의 목적은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과치료장치에 부착된 공구에 의해 임플랜트재료를 매립하는 나사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치과치료장치에 있어서, 외부 전기모터의 회전을 감속시키고 회전을 공구에 전달하는 토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감속유니트와 이 감속유니트와 공구 사이에 구비된 클러치 유니트를 포함하고, 이 클러치 유니트는 전방측에 제 1요철면을 갖는 구동측 클러치, 후방측에 제 2요철면을 갖는 공구측 클러치, 및 제 1요철면과 제 2요철면을 축방향으로 서로 정합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측 클러치를 공구측 클러치으로 밀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요철면은 그위에 복수의 교호로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요철을 포함하되, 각 요철은 클러치 유니트에 수직하여 직경방향으로 연장된 단면에 대해 경사진 제1경사면과 이 제 1경사면에 입접하고 상기 단면에 수직인 제 1수직면에서 종결되는 평탄면을 갖고, 상기 제 2요철면은 그 위에 복수의 교호로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요철을 포함하되, 각 요철은 상기 단면에 대해 경사진 제2경사면과 이 제 2경사면에 인접하고 상기 단면에 수직인 제 2수직면에서 종결되는 평탄면을 갖고, 상기 공구에 의해 상기 나사구멍을 형성하는 동안의 회전은 구동측 클러치로부터 공구측 클러치로 상기 제1 및 제 2요철면을 통해 전달되고, 상기 제 1요철면의 제 1경사면은 허용 한계치를 초과하는 카운터토크가 가해질 때 상기 구동측 클러치로부터 상기 공구측 클러치로의 회전을 중단시키기 위해 스프링의 가압에 저항하여 제 2경사면상에 얹혀지는 치과치료장치가 제공된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헤드부(10) 및 그립부(20)를 갖는 앵클타입 핸드피이스인 치과치료장치(I)를 나타내는데, 상기 헤드부(10)는 그립부(20)에 대해 경사져 있다. 임플랜트재료를 매립하는 나사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공구 버어(도시 안함)는 헤드부(10)내의 버어 슬리브(11)에 콜렉트 척에 의하여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립부(20)의 기단 케이싱(21)내에 설치된 전달부재(22)는 후방 커플링(22') 및 전방 축부(22)를 가진다.
커플링(22')은 도시하지 않은 전기모터에 접속된다.
전방 축부(22)는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그 전방측에 기어(23)를 가진다.
이 기어(23)는 그립 케이싱(20')내에 설치된 감속유니트(C)에 구비된 최후방 유성기어(28)와 맞물린다.
감속유니트(C)는 내주면에 이빨이 있는 관상의 태양기어(24)와 이 태양기어(24)내에 동축으로 설치된 2개의 원판(25)을 가지고 있다. 감속유니트(C)는 또한 원판(25)의 중심구멍(25)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2개의 중심축(25')과 이 중심축(25')의 외주면에 설치된 2개의 전달기어(26)도 가지고 있다. 감속유니트(C)는 각 원판(25)의 외주부근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지축(27)과, 이 지축(27)에 설치되어 중심축(25') 둘레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된 복수의 유성기어(28)를 더 포함하고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각 원판(25)에는 3개의 지축(27)이 구비된다.
이들 지축(27)은 원판(25)의 둘레방향으로 등각인 간격(120˚)으로 설치된다.
각 지축(27)은 유성기어(28)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축(30)은 감속유니트(C)의 전방에 설치되고, 후단의 직경이 증가된 원판부(29)를 가지고 있다. 이 원판부(29)에는 원판부(29)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3개의 지축(27')이 설치된다. 각 지축(27')은 감속유니트(C)의 최전방의 유성기어(28)를 지지한다.
감속유니트(C)는 감속비가 상이한 또 다른 유니트와 교환되도록 그립부(20)로부터 떼어질 수 있다.
구동축(30)은 후방부가 베어링(3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전방부 부근에 핀부재(33)를 갖추고 있다. 이 핀부재(33)는 구동축(30)을 직경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이 구동측(3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해서, 구동축(30)의 전방부를 수용하도록 된 구동측 클러치부재(40)에 형성된 긴 구멍(41)(제2b도)과 걸어맞춰진다.
제2a도 및 제2b도는 전방 끝에 제 1요철면(40')을 갖고, 후방부는 구동축(30)의 최전방부를 수용하기 위해 대략 원통형상으로 된 구동측 클러치 부재(40)를 나타낸다.
이 구동측 클러치부재(40)의 외주면에는 핀부재(33)의 양단을 수용하기 위해 2개의 긴 구멍(41)이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제 1요철면(40')은 구동측 클러치부재(40)에 수직하여 직경방향으로 연장된 단면(40E)에 대해 경사진 복수의 제 1경사면(40A)과, 단면(40E)에 수직인 복수의 제 1수직면(40B)을 갖는다. 제 1경사면(40A)과 제 1수직면(40B)은 제 1요철면(40')에서 돌출부(40C)와 오목부(40D)를 규정하기 위해 구동측 클러치부재(40)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교호로 설치된다.
구동측 클러치부재(40)는 그 후방 끝으로부터 코일스프링(34)에 의해 구동측 클러치부재(40)의 전방에 구비된 공구측 클러치부재(50)쪽으로 탄력성있게 밀어붙여진다.
제3a도 및 제3b도는 후방 끝에 구동측 클러치부재(40)의 제 1요철면(40')과 끼워맞출수 있는 제 2요철면(50')을 갖는 공구측 클러치부재(50)를 나타낸다.
제 1요철면(40')과 유사하게 제 2요철면(50')도 복수의 제 2경사면(50A)과 복수의 제 2수직면(50B)을 갖는다. 제 2경사면(50A)과 제 2수직면(50B)은 제 1요철면(40')의 것들과 상보적인 돌출부(50D)와 오목부(50C)를 규정하기 위해 공구측 클러치부재(50)의 둘레방향을 따라 교호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 1요철면(40')과 제 2요철면(50')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34)의 추력에 의해 서로 정합된다.
코일스프링(34)은 그 후방끝이 구동축(30)의 외주면의 중간부에 고착된 스프링 리테이너(34')에 의해 지지된다. 공구측 클러치부재(50)는 축소된 직경의 전방으로 돌출한 돌출부(51)와 이 돌출부(51)를 직경방향을 관통하는 관통구멍(52)을 갖는다.
돌출부(51)에는 관통구멍(52)을 관통한 핀부재(35')를 통하여 기어(35)가 설치된다(제1도).
다시 제1도로 돌아가 구동축(30)의 최전방끝의 외주면과 구동측 클러치부재(40)와 공구측 클러치부재(50)를 서로 끼워맞추는 제1 및 제 2요철면(40' 및 50') 의 내측사이에는 구동축(30)의 흔들림을 멈추기 위한 흔들림 방지부재(32)가 개재된다.
치과치료장치(I)는 헤드부(10)와 그립부(20)를 상호 접속하는 경사부(10')내에 회전축(12)을 갖는다. 이 회전축(12)의 최전방 끝과 후방 끝에는 기어(37,36)가 각각 핀부재(39,38)를 통하여 유지된다. 후방 끝 기어(36)는 공구측 클러치부재(50)의 최전방 끝에 구비된 기어(35)와 맞물리는 한편, 전방측 기어(37)는 헤드부(10)내 버어 슬리브(11)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11')와 맞물린다.
외부 전기모터의 회전은 전달부재(22)의 기어(23)를 통하여 감속유니트(C)에 전달된다. 감속유니트(C)는 공지된 태양-유성 기어의 조작에 의한 회전을 감속시키고 토크를 발생시킨다. 다음에 회전은 구동축(30)으로부터 핀부재(33)를 통해 구동측 클러치부재(40)로 전달된다. 구동측 클러치부재(40)는 제4도에 화살표(D)로 나타낸 방향으로 공구측 클러치부재(50)를 회전구동시킨다. 이 때에 구동측 클러치부재(40)의 회전은 실질적으로 제1 및 제 2경사면(40A,50A) 을 통하여 공구측 클러치부재(50)에 전달된다.
공구측 클러치부재(50)의 회전은 핀부재(35'), 기어(35,36), 핀부재(38), 회전축(12), 핀부재(39), 기어(37,11') 및 버어 슬리브(11)를 통하여 공구 버어에 전달된다.
만일 공구 버어에 의해 임플랜트재료 매립용 나사구멍을 깎는 동안에 공구 버어에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카운터토크가 가해지면, 이 카운터토크가 공구 버어로부터 상술한 경로와 반대인 경로를 통해 공구측 클러치부재(50)에 전달되어 공구측 클러치부재(50)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공구측 클러치부재(50)의 회전속도를 유지시키려고하는 구동측 클러치부재(40)의 제 1경사면(40A)이 코일스프링(34)의 가압에 저항하여 공구측 클러치부재(50)의 제 2경사면(50A)상에 얹혀져 제1 및 제 2요철면(40',50')의 끼워맞춤을 해제시킨다. 이 때문에 구동측 클러치부재(40)가 공전 또는 클릭크회전운동하므로 공구측 클러치부재(50)로부터 공구 버어로 전달되는 토크가 감소되어 공구 버어에 가해지는 부하가 제거된다. 따라서 나사구멍이 너무 깊게 뚫리거나 나사산이 붕괴하게 되는 사태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구동측 클러치 부재(40)와 공구측 클러치부재(50)로 구성된 클러치기구가 감속유니트(C)보다 전방에 설치되어 공구 버어에 더 가깝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카운터토크가 감속유니트(C)를 넘어 더 후방으로 전달됨이 없이 공구 버어로부터 공구측 클러치부재(50)로 즉시 전달된다. 따라서 카운터토크는 감속유니트(C)의 감속비의 역수에 비례하여 증대되지 않는다. 기어(11',35,36,37) 및 핀부재(35',38,39)와 같은 과부하에 보다 약한 부분은 과부하 상태가 클러치 기구에 의해 재빨리 해제되기 때문에 카운터토크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한편 필요한 경우 제1 및 제 2요철면(40',50')의 끼워맞춤을 확실하게 해제 하기 위해 코일스프링(34)의 힘과 과부하방지수단으로서의 토크설정을 용이하게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나사구멍을 소정 깊이까지 깎은 후에는 전기모터를 역회전시켜 공구 버어를 또한 역회전시킴으로써 나사구멍 밖으로 꺼낸다.
이때에 구동측 클러치부재(40)로부터 공구측 클러치부재(50)로의 회전은 제4도에 화살표(E)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수직면(40B)과 제 2수직면(50B)을 통하여 전달된다.
그 결과 하나가 다른 하나위에 얹힌 구동측 클러치부재(40) 및 공구측 클러치부재(50)의 제1 및 제 2경사면(40A,50A) 이 나사구멍으로부터 꺼내지기 때문에 구동측 클러치부재(40)와 공구측 클러치부재(50)의 끼워맞춤이 해제될 염려가 없고, 이 때문에 카운터토크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원활하고 확실하게 공구 버어를 나사구멍으로부터 꺼낼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치과치료장치에 부착된 공구에 의해 임플랜트재료를 매립하는 나사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치과치료장치(I)에 있어서, 외부 전기모터의 회전을 감속시키고 회전을 공구에 전달하는 토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감속유니트(C)와 이 감속유니트(C)와 공구 사이에 구비된 클러치 유니트를 포함하고, 이 클러치 유니트는 전방측에 제 1요철면(40')을 갖는 구동측 클러치(40), 후방측에 제 2요철면(50')을 갖는 공구측 클러치(50), 및 제 1요철면(40')과 제 2요철면(50')을 축방향으로 서로 정합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측 클러치(40)를 공구측 클러치(50)쪽으로 밀기 위한 스프링(34)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요철면(40')은 그위에 복수의 교호로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요철을 포함하되, 각 요철은 클러치 유니트에 수직하여 직경방향으로 연장된 단면(40E)에 대해 경사진 제 1경사면(40A)과 이 제 1경사면(40A)에 인접하고 상기 단면(40E)에 수직인 제 1수직면(40B)에서 종결되는 평탄면(40D)을 갖고, 상기 제 2요철면(50')은 그 위에 복수의 교호로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요철을 포함하되, 각 요철은 상기 단면(40E)에 대해 경사진 제 2경사면(50A)과 이 제 2경사면(50A)에 인접하고 상기 단면(40E)에 수직인 제 2수직면(50B)에서 종결되는 평탄면(50C)을 갖고, 상기 공구에 의해 상기 나사구멍을 형성하는 동안의 회전은 구동측 클러치(40)로부터 공구측 클러치(50)로 상기 제1 및 제 2요철면(40',50')을 통해 전달되고, 상기 제 1요철면(40')의 제 1경사면(40A)은 허용 한계치를 초과하는 카운터토크가 가해질 때 상기 구동측 클러치(40)로부터 상기 공구측 클러치(50)로의 회전을 중단시키기 위해 스프링(34)의 가압에 저항하여 제 2경사면상(50A)에 얹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치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를 나사구멍으로부터 꺼내는 동안에는, 구동측 클러치(40)와 공구측 클러치(50)의 끼워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제1 및 제 2수직면(40B,50B)을 통해 공구측 클러치(5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측 클러치(40)가 역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치료장치(I).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유니트(C)가 태양기어(24)와 유성기어(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치료장치(I).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측 클러치(50)가 상기 공구에 회전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전달수단(11,11',12,35,35',36,37,38,39)에 접속되고, 이 구동전달수단( 11,11', 12,35,35',36,37,38,39)이 기어(11',35,36,37), 이 기어(11',35,36,37)의 축(12) 및 이 축(12)에 상기 기어(11',35,36,37)를 고정시키기 위한 핀(35',38,3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치료장치(I).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측 클러치(40)와 상기 감속유니트(C)를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구동축(30)과 이 구동축(3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흔들림 방지부재(3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치료장치(I).
KR1019950017260A 1994-06-27 1995-06-24 임플랜트재료를 매립하는 나사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치과치료장치 KR01508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44764 1994-06-27
JP14476494A JP3538452B2 (ja) 1994-06-27 1994-06-27 歯科治療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164A KR960000164A (ko) 1996-01-25
KR0150866B1 true KR0150866B1 (ko) 1998-10-01

Family

ID=15369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7260A KR0150866B1 (ko) 1994-06-27 1995-06-24 임플랜트재료를 매립하는 나사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치과치료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16029A (ko)
EP (1) EP0689802B1 (ko)
JP (1) JP3538452B2 (ko)
KR (1) KR0150866B1 (ko)
AT (1) ATE186193T1 (ko)
DE (1) DE69513091T2 (ko)
TW (1) TW2830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8556B4 (de) * 1998-10-21 2010-04-15 Kaltenbach & Voigt Gmbh & Co. Kg Implantat und Handstück mit wenigstens einem Werkzeug
FR2793134B1 (fr) * 1999-05-04 2001-06-15 Anthogyr Sa Piece a main dentaire a limiteur mecanique de couple
NL1017672C2 (nl) 2001-03-22 2002-09-24 Hendrik Glastra Implanteerbaar samenstel met therapeutische werking.
DE10255120A1 (de) * 2002-11-26 2004-06-03 Kaltenbach & Voigt Gmbh & Co. Kg Ärztlichees oder zahnärztliches Handstück mit mehrstufiger Getriebeanordnung
US7686614B2 (en) * 2006-05-26 2010-03-30 Dentsply International Inc. Dental handpiece drive train with non-intersecting axes
US8800837B2 (en) * 2007-04-13 2014-08-12 Covidien Lp Powered surgical instrument
DE102011075670A1 (de) * 2011-05-11 2012-11-15 Kaltenbach & Voigt Gmbh Zahnärztliches Handinstrument mit länglicher Griffhülse
US9730767B2 (en) * 2013-09-04 2017-08-15 Kumar Khandelwal MOHIT Finger mountable dental hand piece device
DE102014226325A1 (de) * 2014-12-17 2016-06-23 Sirona Dental Systems Gmbh Zahnärztliches Instrument mit einem Getriebe zum Antrieb eines Werkzeugs
WO2018194909A1 (en) * 2017-04-21 2018-10-25 Kerr Corporation Dynamic motion calibration system for dental devices
CN210077893U (zh) * 2018-12-28 2020-02-18 雅客智慧(北京)科技有限公司 牙科种植手机
WO2022009096A1 (en) * 2020-07-08 2022-01-13 Baylis Medical Company Inc. Steerable medical device, handle for a medica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edic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1342A (en) * 1976-09-13 1978-10-24 Flatland Lloyd P Telescoping handpiece
DE2717013C2 (de) * 1977-04-18 1986-08-14 Kaltenbach & Voigt Gmbh & Co, 7950 Biberach Zahnärztliches Handstück
DE2810044B2 (de) * 1978-03-08 1980-01-10 Kaltenbach & Voigt Gmbh & Co, 7950 Biberach Zahnärztliches Handstück
DE2855874A1 (de) * 1978-12-22 1980-07-10 Siemens Ag Zahnaerztliche handstueckanordnung
DE3215255C2 (de) * 1982-04-23 1995-08-31 Kaltenbach & Voigt Zahnärztliche Handstückeinrichtung
DE3540621A1 (de) * 1985-11-15 1987-05-21 Kaltenbach & Voigt Handstueck, insbesondere fuer zahnaerztliche zwecke
JPH0523352A (ja) * 1991-07-23 1993-02-02 Nakanishi Shika Kikai Seisakusho:Kk 歯科用ハンドピース
JPH0751136B2 (ja) * 1992-09-02 1995-06-05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歯科用ハンドピースの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643A (ja) 1996-01-09
TW283078B (ko) 1996-08-11
DE69513091T2 (de) 2000-03-02
JP3538452B2 (ja) 2004-06-14
EP0689802A1 (en) 1996-01-03
KR960000164A (ko) 1996-01-25
DE69513091D1 (de) 1999-12-09
ATE186193T1 (de) 1999-11-15
EP0689802B1 (en) 1999-11-03
US5616029A (en) 1997-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0866B1 (ko) 임플랜트재료를 매립하는 나사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치과치료장치
CA2078034C (en) a non-handle type tool chuck
JP3143017B2 (ja) ハンドピース並びにこれに使用される工具
CN102528718B (zh) 作业工具
CA1240857A (en) Tools for use in tightening or removing screw- threaded fasteners
JP2631983B2 (ja) トルク伝達機構
CA2302740A1 (en) Dental handpiece with axial displacement bearing
JP3288690B2 (ja) ハンドピース
WO2000078490A3 (en) Positive feed tool having a clutch
JP2003510127A (ja) トルクを制限する手段からなるデンタルハンドピース
JPS61226177A (ja) 溶接ワイヤ送給装置
JP2845771B2 (ja) 巻上兼牽引装置
JPH11873A (ja) ボルトナット締付け機
US4551097A (en) Dual-torque winding and tightening tool
JP2001082501A (ja) 回転軸連結機構及び該連結機構を適用した歯科用ハンドピース
JP2020097990A (ja) シェアボルトの取付構造
JP3486792B2 (ja) ロボット作業軸の過回転防止装置
JPH0725927Y2 (ja) インプラント材用ねじ孔穿削工具
JP3772158B2 (ja) 医療用ハンドピース
JPH08257858A (ja) 工作機械の主軸へのドライブキーの取付け構造
KR880000479Y1 (ko) 공구 착탈 제어장치
JP2006159306A (ja) 回転工具
JP3095981B2 (ja) バイス
JP2688167B2 (ja) 巻上兼牽引装置
JPH064478B2 (ja) 電動式巻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