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460B1 - 라세믹 및 광학활성인 옥타히드로-인돌로[2,3-a]테트라히드로 피라닐 [2,3-c]퀴놀리진 디에스테르 유도체와 그의 산부가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라세믹 및 광학활성인 옥타히드로-인돌로[2,3-a]테트라히드로 피라닐 [2,3-c]퀴놀리진 디에스테르 유도체와 그의 산부가염 및 그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460B1
KR0150460B1 KR1019900009114A KR900009114A KR0150460B1 KR 0150460 B1 KR0150460 B1 KR 0150460B1 KR 1019900009114 A KR1019900009114 A KR 1019900009114A KR 900009114 A KR900009114 A KR 900009114A KR 0150460 B1 KR0150460 B1 KR 0150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lo
ethyl
quinolizine
octahydro
tetrahydropyra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9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0740A (ko
Inventor
크레이들 자노스
짠테이 크시바
짜보 라조스
파카스 니 커작 마리아
칼라우스 기오르기
노그라디 카탈린
네메스 안다스
메짜로스 니 브릴 주디트
알락스 니 티쉴러 쭈잔나
스테프코 벨라
사피 자노스
데우치 니 주하쯔 이다
헤게듀스 이스트반
벤크 벨라
그라프 칼만
호바트 니 버키 카탈린
Original Assignee
이바 토르크, 이바 프리드만
리쉬테르 기드온 베기스제티 갸르 알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바 토르크, 이바 프리드만, 리쉬테르 기드온 베기스제티 갸르 알티. filed Critical 이바 토르크, 이바 프리드만
Publication of KR910000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4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four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471/1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6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dolo [3,2,1-d,e] pyrido [3,2,1,j] [1,5]-naphthyridine ring systems, e.g. vincami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라세믹 광학활성인 옥타히드로-인돌로[2,3-a]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 디에스테르 유도체와 그의 산부가염 및 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다음 구조식( I a )으로 표시되는 라세믹 및 광학활성인 옥타히드로-인돌로[2,3-a]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 디에스테르 유도체와 다음 구조식( I b )로 표시되는 산부가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상기 식에서, R₁과 R₂는 각각 1 내지 4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이고, X는 산잔류물이다.
상기 구조식( I a )와 ( I b )의 라세믹 및 광학활성인 화합물은 빈케민, 빈케몬 같은 어버난구조와 에포빈케민산에스테르 예를 들면, 케빈톤의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화합물을 합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중간체이다.
본 발명의 신규한 화합물에서 옥타히드로-인돌로[2,3-a]퀴놀진디에스테르 유도체는 우리가 동시 출원하는 출원서에 기재된 방법에의해 제조할 수 있고(실시예 11), 이들 화합물에서 공지된 히드로이미노-옥타히드로-인돌로[2,3-a]퀴놀리진 유도체는 실시예 12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이 히드록시이미노 유도체에서 약제학적 유효한 어버난 구조의 화합물은 실시예 13 또는 14에 나타낸 공정에 따라 한단계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음 구조식( II )의 헥사히드로-인돌로[2,3-a]퀴놀리지늄 디에스테르 유도체와 포름알데히드를 염기의 존재하는 비활성 유기용매속에서 반응시켜서 제조된 상기 구조식( I a )포 표시되는 라세믹 및 광학활성인 옥타히드로-인돌로[2,3-a]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 디에스테르 유도체와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구조식( I a )의 화합물을 용해 및/또는 전환시켜서 된 상기 구조식( I b )로 표시되는 산부가염 및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인 것이다.
Figure kpo00003
상기 식에서, R₁과 R₂ 및 X는 상기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구조식에서 R₁과 R₂가 1 내지 4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내는데, 예를 들면,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도는 t-부틸 같은 직쇄 또는 분지된 알킬이다.
X로 표시되는 산잔류물로 예를들면, 과염소산염, 타르타르산염, 옥살산염 또는 디벤조일 타르타르산염 등과 같이 반응에서 비활성인 유기 또는 무기산의 잔류물들을 들 수 있다.
출발물질로서 사용되는 상기 구조식( II )의 헥사히드로-인돌로[2,3-a]퀴놀리지늄 에스테르 유도체는 연국 특허출원 제2,051,794호에서 나타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출발물질인 상기 구조식( II )를 비활성 유기 양성자성 또는 비양성자성 용매, 예를들면, 에탄올 또는 아세톤에서 적어도 같은 물의 염기존재하에 포름알데히드와 반응시키면 된다.
특히 이중에서, 양성자성 용매가 바람직하며, 이 용매의 수성 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염기로서 예를들면, 탄산나트륨, 알칼리금속알콜염 또는 알킬아민,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틸아민이 사용된다.
출발물질로서 사용되는 상기구조식( II )의 화합물은 퀴놀리지늄 에스테르 유도체로 할 수 있는데, X는 상기에서 언급된 것과 같은 산잔류물이다.
여기서, 상기 반응은 대기압하에서 20 내지 60℃의 온도로 2 내지 5시간 실시하면 된다.
본 발명의 하기 구조식( I a )의 라세믹 화합물은 매우 높은 수율로 얻어질 수 있는 바, 상기 화합물은 예를들면, 침전이나 상기 화합물의 용해도를 감소시키는 용매를 반응혼합물에 부가시키는 것과 같은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반응혼합물로 부터 회수할 수 있고, 이로 부터 얻어진 결정물을 여과하여 분리시키게 된다. 이때, 양성자성 용매 예를들면, 에탄올에서 수행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데, 이는 제조된 생성물을 반응혼합물로 부터 직접 분리시켜 여과에 의해 회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상기 구조식( I a )의 라세믹 화합물을 공지의 방법 예를들면, 산처리하여 상기 구조식( I b)의 산부가염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상기 구조식( I a )의 화합물에 화학적으로 비활성인 유기 또는 무기산, 예를들면, 수소할로겐화물, 과할로겐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타르타르산 유도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포름알데히드와 반응시켜 제조된 상기 구조식( I a )의 라세믹 화합물을 공지의 용해방법으로 용해시킬 수 있는 바, 용해시약으로서는 광학활성인 산 또는 산의 화합물, 예를들면, 타르타르산, 디벤조일 타르타르산, 캄퍼술폰산, 디-p-톨루엔-타르타르산, 디벤조일타르타르산, 모노디메틸아미드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중에서 타르타르산과 디벤조일타르타르산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해는 적당한 비활성 유기용매, 예를들면, 1 내지 4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칸올(에칸올, 메탄올 등) 또는 염소화된 탄화수소, 바람직하게는 지방족의 염소화된 탄화수소(다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등) 또는 그것의 혼합물 등의, 양성자성 유기 용매내에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예를들면, 케톤, 바람직하게는 아세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용해는 대기압하에서 0℃와 사용된 용매의 비점 사이의 온도, 바람직하기로는 20 내지 50℃에서 실시할 수 있다.
놀랍게도 실험과정에서 특별한 용해 시약, 예를 들면 디벤조일타르타르산이 사용되면 용해는 통상적으로 사용된 용해시약의 1/2양 즉, 라세믹 화합물에 대해 계산된 용해시약의 0.5몰당량을 사용해서 실시 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이때, 용해시약에 의해 형성된 불용성 산부가염을 분리시킨 후에는 용액속에 다른 광학 대칭체가 염의 형태로 남아 있게 되는 바, 이 과정은 산업적인 규모로 실시할 때 많은 양의 용해시약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상당히 중요한 것이다.
상기 구조식( I a )의 신규한 광학활성인 화합물(상기에서 1-알킬리는 α 또는 β위치이다)은 염에 적어도 같은 물의 염기를 부가시킴으로서 염기를 유리시키는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용해시약으로 형성시킨 상기 구조식( I b )의 산부가염(여기서, X는 용해산에 따른 산잔류물을 나타낸다)으로 부터 회수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구조식( I a )의 광학활성인 화합물을 공지의 방법으로, 상기 구조식( I b )의 산부가염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X는 상기에 기재된 어떤 산잔류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용해는 광학활성인 상의 용해 시약 예를 들면, (-)-디벤조일타르타르산으로 실시할 수 있다.
몰당량의 용해시약으로 용해를 실시하는데는 상기구조식( I b )의 (1)-부분입체 이성질체의 염(여기서, 1-알킬기는 β위치이다)를 침전시키고 여과함으로서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조식( I b )의 (+)-부분입체 이성질체의 염(여기서, 1-알킬기는 α위치이다)이 용액속에 남고 대응하는 상기 구조식( I a )의 화합물을 공지의 방법으로 유리시켜 증발에 의해 단리시키면 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다른 구현예로서, 용해된 염기는 용해를 위해서 사용된 용매속에 녹지 않는 용매를 첨라하여 침전시키고, 생성물을 여과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구조식( I a )의 염기는 공지의 방법으로 그의 산부가염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α위치에 알킬기를 갖는 상기 구조식( I a )의 광학대칭체 또는 상기 구조식( I b )의 산부가염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어버난 유도체의 합성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구조식( I b )의 염을 포함하는 용액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화합물의 합성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구조식( I a )의 염기는 β위치에 1-알킬기를 갖는, 상기 구조식( I b )의 다른 부분입체 이성질체의 염에서 유리될 수 있으며 용해시 분리되게 된다.
또한, 용해는 (+)-디벤조일 타르타르산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α위치에 1-알킬기를 갖는 부분입체 이성질체의 염이 분리되고 β위치에 1-알킬기를 갖는 화합물은 용액속에 남아있게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용해는 라세믹 화합물에 대해 계산된 0.5몰당량의 광학활성인 산의 용해시약, 예를들면, (-)-디벤조일 타르타르산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β위치에 1-알킬기를 갖는 용해산으로 형성시킨 상기 구고식( I b )의 분리된 염이 회수되며, 이 용액은 α위치에 1-알킬기를 갖는 상기 구조식( I a )의 염기로만 이루어지게 된다. 이염기는 상술한 방법 또는 상기 구조식( I b )의 산부가염으로 변형시킴으로서 단리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단리하지 않고 다음 반응단계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4-디에톡시카르보닐-1-에틸-1,2,3,4,6,7,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a]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상기 구조식( I a )에서 R₁과 R₂는 에틸)
(+)-1-에틸-(2,2-디에톡시카르보닐-에틸)-1,2,3,4,6,7,-헥사히드로-12H-인돌로[2,3-c]퀴놀리진-5-늄 염산염 55.3g(0.12몰)을 에탄올 160㎖에 현탁시키고, 파라포름알데히드 4.8g(0.16몰)과 트리에틸아민 20.0㎖(0.14몰)을 부가하여 반응혼합물을 50℃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0℃로 냉각시켜 결정현탁액을 여과하고 찬알콜로 씻어 건조시킨 결과 상기 목적화합물 50.7g(93%)을 얻었다.
Figure kpo00004
[실시예 2]
14-디에톡시카르보닐-1-에틸-1,2,3,4,6,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a] 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상기 구조식( I a )에서 R₁는 에틸 R₂는 메틸)
(+)-1-에틸-1-(2,2-디메톡시카르보닐-에틸)-1,2,3,4,6,7-헥사히드로-12H-인돌로[2,3-a] 퀴놀리진-5-늄 13.0g(0.03몰)을 이소프로판올 30㎖에 현탁시키고, 파라포름알데히드 1.2g(0.04몰)과 트리에틸아민 4.5㎖(0.033몰)을 부가하여, 반응혼합물을 50℃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교반을 2시간 동안 계속시켰다. 이렇게 해서 상기 목적화합물을 11.06g(91%)을 단리시켰다.
Figure kpo00005
[실시예 3]
14-디에톡시카르보닐-1-에틸-1,2,3,4,6,7,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a] 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상기 구조식( I A )에서 R₁과 R₂는 에틸)
(+)-1-에틸-1-(2,2-디에톡시카르보닐-에틸)-1,2,3,4,6,7-헥사히드로-12H-인돌로[2,3-a]퀴놀리진-5-늄 염산염 39.10g(0.05몰)을 에탄올 60㎖에 현탁시키고,파라포름알데히드 1.8g(0.06몰)과 에탄산나트륨 7.48g(0.11몰)을 첨가하여 반응혼합물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10℃로 냉각시켜 물 50㎖을 적가하였다. 결정 현탁물을 여과하여 물 20㎖로 2회 씻고 마지막으로 에탄올로 보호시킨 결과 상기 목적화합물 20.2g(89%)를 얻었다.
[실시예 4]
1-에틸-1-(2-디카르메톡시-2-히드록시메틸-에틸)-1-에틸-1,23,4,6,7-헥사히드로-인돌로[2,3-a]퀴놀리지늄 클로라이드(상기 구조식( I b )의 화합물)
1-에틸-1-(2-디에톡시카르보닐)-1,2,3,4,6,7-헥사히드로-12H-인돌로[2,3-a]퀴놀리진-5-늄-d-타르타르산염 47.0g(0.06몰)을 에탄올 120㎖에 현탁시키고, 파라포름알데히드 1.98g(0.066몰)과 물 120㎖에 녹인 탄산나트륨 6.36g(0.06몰)을 부가하여 반응혼합물을 30℃에서 2시간 동안 강렬하게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10℃로 냉각시켜, 결정 현탁액을 여과하여 물 40㎖로 2번 씻었다.
상기 생성물을 에탄올 40㎖과 아세트산 에틸 40㎖의 혼합물속에 현탁시켜서 혼합물의 pH가 염산알콜을 부가함으로서 4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그 이후 상기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건조시킨 결과 상기 목적화합물 36.7g(75%)을 얻었다.
Figure kpo00006
[실시예 5]
(+)-14-디에톡시카르보닐-1-에틸-1,2,3,4,6,7,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a] 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의 용해(상기 구조식( I a )의 화합물)
14-디에톡시카르보닐-1-에틸-1,2,3,4,6,7,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a] 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 7.28g(16일리몰)에 아세톤 40.0㎖을 부가시키고, (-)-디벤조일-d-타르타르산 일수염 3.3g(8.8밀리몰)을 상기 반응혼합물에 부가시켰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한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10℃로 냉각시켰다.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고 아세톤으로 씻어 건조시킨 결과(-)-1α-12-티카르베톡시-2-히드록시메틸-에틸)-1β-에틸-1,2,3,4,6,7-헥사히드로-인돌로[2,3-a]퀴놀리지늄-디벤조일 타르타르산염 6.6g(8.16밀리몰)을 얻었다. 생성물에 있는 염기 함량은 과염소산 적정으로 55.8%이었다.
Figure kpo00007
또 여과액에 5%탄산나트륨 용액 3㎖을 부가시키고 물 50㎖을 20 내지 25℃에서 부가시켰다. 상기 용액을 0℃로 냉각시켜 5% 아세톤수로 씻고 건조시킨 결과 (+)-14-디에톡시카르보닐-1α-에틸-1,2,3,4,6,7,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a] 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을 얻었다.
유효성분함량(관염소산 적정으로) : 99.8%
Figure kpo00008
[실시예 6]
(+)-14-디에톡시카르보닐-1-에틸-1,2,3,4,6,7,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a] 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상기 구조식( I a )의 화합물)
라세믹 14-디에톡시카르보닐-1-에틸-1,2,3,4,6,7,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a] 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 7.28g(16밀리몰)에 아세톤 70.0㎖을 부가시키고, (-)디벤조일-d-타르타르산 일수염 6.0g(16밀리몰)을 반응혼합물에 부가시켰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상온에서 한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여과시켜, 아세톤으로 씻은 후 건조시킨 결과 (-)-1α-(2-디카르베톡시-2-히드록시메틸-에틸)-1β-에틸-1,2,3,4,6,7-헥사히드로-인돌로[2,3-a]퀴놀리지늄-디벤조일 타르타르산염 6.76g(8.32 밀리몰)을 얻었다. 생성물의 염기함량은 과염소산 적정으로 55.4%이었다.
Figure kpo00009
또 20 내지 25℃에서 여과액에 5% 탄산나트륨 용액 40㎖을 부가하고 물 100㎖을 부가시켰다. 침전된 물질을 여과시켜 5%아세톤수로 씻은 후 건조시킨 결과 (+)-14-디에톡시카르보닐-1α-에틸-1,2,3,4,6,7,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a] 테트라히드로 피라닐[2,3-c]퀴놀리진 3.42g(7.52밀리몰)을 얻었다.
유효성분 함량(과염소산 적정으로 : 99.7%
Figure kpo00010
[실시예 7]
(+)-14-디에톡시카르보닐-1-에틸-1,2,3,4,6,7,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a] 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상기 구조식( I a )의 화합물)
라세믹 14-디에톡시카르보닐-1-에틸-1,2,3,4,6,7,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a] 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 18.2g(40밀리몰)에 에탄올 180.0㎖을 부가시키고, 디클로메탄 10㎖과 (-)-디벤조일-d-타르타르산 일수염 150.g(40밀리몰)을 부가시켰다. 이 결과 (-)-1α-(2-디카르베톡시-2-히드록시메틸-에틸)-1β-에틸-1,2,3,4,6,7-헥사히드로-인돌로[2,3-a]퀴놀리지늄-디벤조일 타르타르산염 17.4g(21.4밀리몰)을 얻었다. 생성물의 염기함량은 과염소산 적정으로 55.7%이었다.
Figure kpo00011
또 여과맥을 진공증류로 원래 부피의 반으로 증발시키고, 증발잔류몰에 5% 탄산나트륨을 용액 100㎖를 부가하고, 물 50㎖를 20 내지 25℃에서 부가시켰다. 침전된 물질을 5% 에탄올수로 씻어 건조시킨 결과 (+)-14-데에톡시카르보닐-1α-에틸-1,2,3,4,6,7,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_A] 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 8.37g(18.4밀리몰)을 얻었다.
유효성분함량(과염소산 적정으로) : 99.8%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실시예 8]
(+)-14-디에톡시카르보닐-1-에틸-1,2,3,4,6,7,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a] 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의 용해(상기 구조식( I a )의 화합물)
라세밀 14-디에톡시카르보닐-1-에틸-1,2,3,4,6,7,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a] 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 5.0g(11.70밀리몰)에 아세톤 35㎖을 부가시키고, (-)-디벤조일-d-타르타르산 3.08g(8.2밀리몰)을 부가시켰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사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켜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여 아세톤으로 씻고 건조시킨 결과 (-)-1α-(2-디카르베톡시-2-히드록시메틸-에틸)-1β-에틸-1,2,3,4,6,7-헥사히드로-인돌로[2,3-a]퀴놀리지늄-디벤조일 타르타르산염 4.77g(6.08밀리몰)을 얻었다. 생성물의 염기 함량은 과염소산 적정으로 53.9%이다.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5
또한, 여과맥에 6% 탄산나트륨용액 10㎖을 20 내지 25℃에서 부가시키고 물 30㎖을 천천히 부가시켰다. 침전된 물질을 여과하여 5%아세톤수로 씻고 건조시킨 결과 (+)-14-디에톡시카르보닐-1-에틸-1,2,3,4,6,7,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a] 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 2.35g(5.5밀리몰)을 얻었다.
유효성분함량(과염소산 적정으로) : 99.7%
Figure kpo00016
[실시예 9]
(+)-14-디에톡시카르보닐-1-에틸-1,2,3,4,6,7,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a] 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의 용해(상기 구조식( I a )의 화합물)
(+)-14-디에톡시카르보닐-1-에틸-1,2,3,4,6,7,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a] 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 17.2g(40밀리몰)에 메탄올 150㎖과 (-)-데벤조일-d-타르타르산 15.2g(40밀리몰)을 부가시켰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20 내지 25℃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켜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하여 메탄올로 씻고 건조시킨 결과 (-)-1α-(2-디카르베톡시-2-히드록시메틸-에틸)-1β-에틸-1,2,3,4,6,7-헥사히드로-인돌로[2,3-a]퀴놀리지늄-디벤조일타르타르산염 16.48g(21밀리몰)을 얻었다. 생성물의 염기함량은 과염소산 적정으로 54.1%이었다.
Figure kpo00017
또한, 여과액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증발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50㎖속에 녹이고, 5% 탄산나트륨 용액 80㎖로 추출시켰다. 여과액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20 내지 25℃에서 증발잔류물에 아세톤 20㎖을 부가하고, 교반하에 물 50㎖을 천천히 부가시켰다. 침전된 물질을 여과시켜 물로 씨어 건조시킨 결과, (+)-14-디에톡시카르보닐-1-에틸-1,2,3,4,6,7,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a] 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 7.94g(18.6밀리몰)을 얻었다.
유효성분함량(과염소산 적정으로) : 99.6%
Figure kpo00018
[실시예 10]
(+)-14-디에톡시카르보닐-1-에틸-1,2,3,4,6,7,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a] 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의 용해(상기 구조식( I a )의 화합물)
라세믹-14-디에톡시카르보닐-1-에틸-1,2,3,4,6,7,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a] 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 1.82g(4밀리몰)에 에탄올 18㎖과 (+)-디벤조일-D-타르타르산 1.5g(4밀리몰)을 부가시켰다. 이 결과 (+)-1-(2-디카르베톡시-2-히드록시메틸-에틸)-1α-에틸-1,2,3,4,6,7-헥사히드로-인돌로[2,3-a]퀴놀리지늄-디벤조일-d-타르타르산염 1.7g을 얻었다. 생성물의 염기함량은 과염소산 적정으로 55.0%이었다.
Figure kpo00019
Figure kpo00020
상기 모액을 진공속에서 원래 부피의 반으로 증발시키고, 잔류물에 5% 탄산나트륨용액 10㎖을 20℃에서 부가시키고, 또 물 5㎖을 부가시켰다. 침전됨 물질을 여과시켜 5% 에탄올수로 씻어 건조시킨 결과 (+)-14-디에톡시카르보닐-1-에틸-1,2,3,4,6,7,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a] 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 0.82g(45%)을 얻었다.
Figure kpo00021
[실시예 11]
(-)-1β-(2-디에톡시카르보닐-2-히드록시메틸-에틸)-1α-에틸-1,2,3,4,6,7,12,12bα-옥타히드로-인돌로[2,3-a] 퀴놀리진의 제조(상기 구조식( I )에서 R₁과 R₂는 에틸, R₃은 -CH2OH)
(+)-14-디에톡시카르보닐-1α-에틸-1,2,3,4,6,7,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a] 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 30.0g(0.066몰)을 디메틸포름아미드 60㎖에 용해시키고, 대기압하, 40℃에서 0.3g의 10% pd/C촉매 존재하에 수소화시켰다. 계산된 수소의 양이 약 2시간 이내로 혼합물에 반응되었을 때 촉매를 여과시켜, 물 100㎖을 반응 혼합물에 부가시키고 상기 용액을 클로로포름 50㎖로 3회 추출시켰다. 유기상을 물 40㎖로 2회 씻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켜 진공속에서 증발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에탄올 50㎖에 흡수시키고 염산에탄올로 pH가 4가 되도로 산성화시켰다. 침전된 결정물을 여과하여 에탄올로 씻고 건조시킨 결과 상기 목적화합물 20.5g(91%)를 단리시켰다.
Figure kpo00022
[실시예 12]
(-)-1β-(2-에톡시카르보닐-2-히드록시이미노)-에틸-1α-1,2,3,4,6,7,12,12bα-옥타히드로-인돌로[2,3-a] 퀴놀리진 염산염의 제조.
(-)-1β-(2-디에톡시카르보닐-2-히드록시메틸-에틸)-1α-에틸-1,2,3,4,6,7,12,12bα-옥타히드로-[2,3-a] 퀴놀리진 4.56g(10밀리몰)에 에탄올 30㎖과 물 3㎖에 용해시킨 수산화칼륨 0.56g(10밀리몰)을 부가시키고, 상기 반응혼합물을 20 내지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에탄올을 진공하에서 증류시키고, 아세트산 20㎖과 물 3㎖에 용해시킨 아질산 나트륨 1.38g(20밀리몰)을 10 내지 15℃에서 부가시켰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상기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유지시키고, 10℃이하로 냉각시켜 18%염산 12㎖을 부가하여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제조된 물질을 여과시켜 수세하고 건조시킨 결과 상기 목적화합물 3.44g(8.2밀리몰)을 얻었다.
Figure kpo00023
[실시예 13]
(+)시스-에포빈케민산 에틸에스테르의 제조
p-톨루엔 술폰산일수염 4.75g(0.025몰)을 머커슨(Marcusson)증류기가 장치된 플라스크에서 대기압하, 환류온도에서 톨루엔으로 건조시키고, 톨루엔을 70㎖까지 추가시키고 (-)-1β-(2-에톡시카르보닐-2-히드록시이미노-에틸)-1α-에틸-1,2,3,4,6,7,12,12aα-옥타히드로-인돌로[2,3-a] 퀴놀리진 염산염 4.2g(0.01몰)을 부가시켰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한시간 반 동안 환류시키고 상온까지 냉가하여 물 30㎖을 부가시켰다. 혼합물을 수성의 수산화암모늄 용액으로 pH가 9가 되도록 조절시켰다. 분리후에 톨루엔을 건조시키고 활성탄으로 정화시켜 여과하고 여과액을 유기물이 얻어질때까지 진공하에서 증발시켰다. 증발잔류물을 에탄올 5㎖과 함께 끓여, 침전된 물질을 0℃에서 여과하여 건조시킨 결과 상기 목적화합물 3.14g을 얻었다.
Figure kpo00024
[실시예 14]
(-) 어버나모닌(3α, 16α)의 제조
(-)-1α-에틸-1β-(2-메톡시카르보닐-2-히드록시이미노-에틸)-1,2,3,4,6,7,12,12a-옥타히드로-인돌로[2,3-a]퀴놀리진 3.71G(0.01몰)과 물 50㎖ 및 고형 수산화나트륨 2.0g(0.05몰)의 혼합물을 92 내지 96℃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키면서 공기를 통과시켰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상온까지 냉각시켜 37% 수성염산용액 7.4G(0.075몰)을 부가하고 혼합물을 95 내지 100℃에서 한시간 반 동안 교반시켰다. 그후 상기 반응혼합물을 상온까지 냉각시켜, 디클로로메탄 30.0㎖을 부가하여 혼합물의 pH가 진한 수성수산화 암모늄 용액을 부가시킴으로서 9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상을 분리시키고, 수성상을 디클로로메탄 5.0㎖로 2회 추출하여 유기상을 단일화시키고, 고형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여과시켰다. 여과액의 용매를 증류로 메탄올 6.0㎖까지 변화시키고 반응혼합물을 0℃로 냉각시켜 침전된 물질을 여과하여 소량의 찬메탄올로 씻고 건조시킨 결과 상기 목적화합물 2.83g을 얻었다.
Figure kpo00025

Claims (4)

  1. 다음 구조식( II )로 표시되는 헥사히드로-인돌로[2,3-a]퀴놀리지늄 유도체를 염기의 존재하에 포름알데히드와 반응시키고, 이로부터 제조된 화합물을 용해 및 변형시켜서 되는 다음 구조식 ( Ia )와 ( Ib)로 표시되는 라세믹 및 광학활성인 옥타히드로-인돌로[2,3-a]테트라히드로 피라닐[2,3-c]퀴놀리진 디에스테르 유도체와, 그의 산부가염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26
    상기 식에서 R1과 R2는 각각 1 내지 4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이고, X는 산잔류물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비활성 유기용매 또는 수성의 용매 혼합물에서 실시하여 되는 제조방법.
  3. 다음 구조식( Ia )과 ( Ib )로 표시되는 라세믹 및 광학활성인 옥타히드로-인돌로[2,3-a]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 디에스테르 유도체와 그의 산부가염.
    Figure kpo00027
    상기 식에서 R1과 R2는 각각 1 내지 4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이고, X는 산잔류물이다.
  4. 제3항에 있어서의 유도체와 그의 산부가염은 (+)-1-에틸-14-디에톡시카르보닐-1,2,3,4,6,7,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a]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과 그의 산부가염, (+)-1-에틸-14-디메톡시카르보닐-1,2,3,4,6,7,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a]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과 그의 산부가염, (-)-14-디에톡시카르보닐-1β-에틸-1,2,3,4,6,7,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a]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 (+)-14-디에톡시카르보닐-1α-에틸-1-2,3,4,6,7,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a]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 (+)-14-디메톡시카르보닐-1α-에틸-1,2,3,4,6,7,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a]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 및, (-)-14-디메톡시카르보닐-1β-에틸-1,2,3,4,6,7,12,12b-옥타히드로-인돌로[2,3-a]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인 라세믹 및 광학활성인 옥타히드로-인돌로[2,3-a]테트라히드로피라닐[2,3-c]퀴놀리진 디에스테르 유도체와 그의 산부가염.
KR1019900009114A 1989-06-21 1990-06-21 라세믹 및 광학활성인 옥타히드로-인돌로[2,3-a]테트라히드로 피라닐 [2,3-c]퀴놀리진 디에스테르 유도체와 그의 산부가염 및 그의 제조방법 KR01504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HU3165/89 1989-06-21
HU316389 1989-06-21
HU316589 1989-06-21
HU3163/89 1989-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740A KR910000740A (ko) 1991-01-30
KR0150460B1 true KR0150460B1 (ko) 1998-10-15

Family

ID=26317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9114A KR0150460B1 (ko) 1989-06-21 1990-06-21 라세믹 및 광학활성인 옥타히드로-인돌로[2,3-a]테트라히드로 피라닐 [2,3-c]퀴놀리진 디에스테르 유도체와 그의 산부가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22607A (ko)
JP (1) JP2851133B2 (ko)
KR (1) KR0150460B1 (ko)
BE (1) BE1004471A3 (ko)
FR (1) FR2648817B1 (ko)
IT (1) IT1248881B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15277A1 (fr) * 1975-06-25 1977-01-21 Anvar Nouveaux derives pentacycliques, leur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qui les contiennent
US4315011A (en) * 1978-07-12 1982-02-09 Richter Gedeon Vegyeszeti Gyar Rt. 1-Alkyl-9-bromohexahydroindolo quinolizium salts and use thereof to increase blood flow
HU181495B (en) * 1979-05-31 1983-07-28 Richter Gedeon Vegyeszet Process for producing hydroxy-imino-eburnane derivatives
HU183234B (en) * 1980-10-17 1984-04-28 Richter Gedeon Vegyeszet Process for the enantioselective synthesis of optically active cys-14-oxo-e-homo-eburnan
HU182411B (en) * 1981-11-03 1984-01-30 Richter Gedeon Vegyeszet Process for preparing eburnamonine derivatives
HU186891B (en) * 1981-06-12 1985-10-28 Richter Gedeon Vegyeszet Process for producing esters of apovincaminic acid
HU182380B (en) * 1981-09-30 1983-12-28 Richter Gedeon Vegyeszet Process for producing esters of vincaminic ac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648817B1 (fr) 1993-02-05
US5122607A (en) 1992-06-16
JPH0331281A (ja) 1991-02-12
BE1004471A3 (fr) 1992-12-01
IT1248881B (it) 1995-01-30
FR2648817A1 (fr) 1990-12-28
IT9020714A1 (it) 1991-12-21
JP2851133B2 (ja) 1999-01-27
KR910000740A (ko) 1991-01-30
IT9020714A0 (ko) 1990-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915B1 (ko) 변형된 픽텟-스펭글러 반응 및 그것으로부터 제조된생성물
EP0595345B1 (en) Process for producing alanylglutamine
US6197998B1 (en) Process for producing N-glycyltyrosine and its crystal structure
KR0150460B1 (ko) 라세믹 및 광학활성인 옥타히드로-인돌로[2,3-a]테트라히드로 피라닐 [2,3-c]퀴놀리진 디에스테르 유도체와 그의 산부가염 및 그의 제조방법
IL116384A (en) Iliden assemblies and their preparation
EP0590685B1 (en) Process for optical resolution of (+)-cis-4-aminocyclopent-2-en-1-carboxylic acid derivative
EP0077090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quinoline containing heterocycles, intermediates,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he intermediates
KR20020041423A (ko) 나프티리딘-3-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를 위한 중간체
JPH07247286A (ja) 含窒素環状化合物の光学分割方法
US4346045A (en) Process for resolving DL-S-benzoyl-β-mercaptoisobutyric acid, and products obtained
JPS6148839B2 (ko)
JP4601826B2 (ja) 二環式化合物の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のice阻害剤化合物の製造への使用
CN111777554A (zh) 一种合成苯磺顺阿曲库铵的方法
JP2922260B2 (ja) 新規オクタヒドロ―インドーロ〔2,3―a〕キノリジンジエステル誘導体及びその塩並びにそれらの調製方法
JPH04217980A (ja) オクタヒドロピラゾロ[3,4−g]キノリン類の製造
HU183234B (en) Process for the enantioselective synthesis of optically active cys-14-oxo-e-homo-eburnan
KR100219251B1 (ko) 광학 활성 1,6-나프티리딘 유도체
KR100211445B1 (ko) 1베타-에틸-1알파-(히드록시메틸)-1,2,3,4,6,7,12,12b알파-옥타히드로-인돌로(2,3-a)퀴놀리진의제조방법
KR0148125B1 (ko) 1,4-디하이드로피리딘 카복실산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68160B1 (ko) S-(-)-암로디핀 또는 이의 염의 제조방법 및 이에사용되는 중간체
JP3058527B2 (ja) (1R−(1α,2β,3α))−2−アミノ−9−(2,3−ビス(ヒドロキシメチル)シクロブチル)−1,9−ジヒドロ−6H−プリン−6−オンの製造法
CS250692B2 (en) Method of 9- or 11- substituted apovincamine acid's racemic and optically active derivatives preparation
US5610316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serethole from mixtures of (-) and (+)-eserethole
HU182433B (en) Process for producing new 9-halogeno-1-alkil-1-alkoxycarbonylethyl-hexahydro-indoloquinolysinium-alkoxides
KR19980076017A (ko) 무정형 세팔로스포린에스테르 유도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