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323B1 -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의 브라켓 구조 - Google Patents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의 브라켓 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323B1
KR0150323B1 KR1019950049966A KR19950049966A KR0150323B1 KR 0150323 B1 KR0150323 B1 KR 0150323B1 KR 1019950049966 A KR1019950049966 A KR 1019950049966A KR 19950049966 A KR19950049966 A KR 19950049966A KR 0150323 B1 KR0150323 B1 KR 0150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trunk lid
hinge arm
inner panel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9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3888A (ko
Inventor
김연식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49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0323B1/ko
Publication of KR970043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3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3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5/062Ben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2005/067Bent flaps gooseneck 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의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체의 트렁크 리드(1)의 인너패널(1a)에 소정형상의 브라켓(2)이 설치되어 있고, 이 브라켓(2)에 부착된 너트(3)에 트렁크 리드(1)를 지지하기 위한 힌지아암(4)이 보울트(5)를 매개로하여 나사결합되어 있되, 상기 브라켓(2)은 평평한 사각형상의 너트부착면(2a)으로부터 가장자리쪽으로 경사면(2b)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면(2b)이 끝나는 부위에서 절곡되면서 상기 인너패널(1a)에 부착되는 플랜지부(2c)가 형성되어 , 상기 인너패널(1a)dp 안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힌지아암(4)으로 부터 트렁크 리드로 전달되는 지지응력을 분산시켜 인너패널(1a)의 변형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의 브라켓 구조(A bracket for fixing a trunk lid hinge arm of an automobile)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의 브라켓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만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의 브라켓의 설치상태를 제1도와 같이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트렁크 리드 2 : 브라켓
2a : 너트부착면 2b : 경사면
2c : 플랜지부 2d : 비이드부
3 : 너트 4 : 힌지아암
5 : 보울트
본 발명은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트렁크 리드에 힌지아암을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렁크 리드가 완전히 열린 경우에 트렁크 리드의 자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힌지아암으로부터의 지지력 분산시켜 트렁크 리드의 변형량을 줄일 수 있도록 된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렁크 리드 힌지는 트렁크룸으로부터 트렁크 리드를 개폐할 때 회동축역할을 하는 것으로, 힌지아암을 매개로하여 트렁크 리드로부터의 회동력을 전달받도록 되어 있고, 이 힌지아암은 브라켓을 매개하여 트렁크 리드에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를 고정하는 브라켓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아암(101)일단이 도시하지 않은 차체의 백 패널 어퍼(back panel upper)에 설치되고, 타단이 트렁크 리드(102)의 내패널(102a)위에 설치된 브라켓(103)에 고정수단(104)을 매개로하여 고정되어 있으되, 상기 브라켓은 소정형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상기 인너패널(102a)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트렁크 리드(102)를 완전히 연 상태에서 힌지아암(101)이 브라켓(103)을 매개하여 트렁크 리드(102)를 지지할 때, 상기 트렁크 리드(102)의 자중이 상기 브라켓(103)을 통하여 힌지아암(101)에 작용하게 되어, 이 자중에 대하여 반작용으로 트렁크 리드(102)의 인너패널(102a)에 브라켓(103)을 통하여 힌지아암(101)의 응력인 지지력이 작용되게 되는 바,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종래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브라켓은 가장자리가 사각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면적이 브라켓(103)과 접촉되는 힌지아암(101)의 단면적보다 조금 크게 되어 있으므로써, 상기 힌지아암(101)로부터 작용되는 지지응력을 분산하지 못하고 대부분의 지지응력을 트렁크 리드(102)접촉면에 전달하게 되어, 트렁크 리드(102)를 수 회 반복하여 개폐할 때 상기 브라켓(103)을 통하여 전달되는 지지응력에 의하여 브라켓(103)과 서로 면접촉하는 트렁크 리드(102)의 인너패널(102a)에서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트렁크 리드와 면접촉되는 브라켓을 소정의 형상으로 변경하여 브라켓에 고정되는 힌지아암으로부터 트렁크 리드로 전달되는 지지응력을 분산시켜 트렁크 리드의 변형량을 줄일 수 있도록 된 트렁크 리드 힌지 브라켓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렁크 리드의 인너패널에 소정형상의 브라켓이 설치되어 있고, 이 브라켓에 부착된 너트에 트렁크 리드를 회동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트렁크 리드를 지지하기 위한 힌지아암이 보울트를 매개로하여 나사결합되어 있되, 상기 브라켓은 평평한 사각형상의 너트부착면으로부터 가장자리쪽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면이 끝나는 부위에서 절곡되면서 상기 트렁크 리드에 부착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부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너트부착면과 반대쪽으로 돌출된 비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트렁크 리드가 트렁크룸으로부터 열리어 상기 브라켓을 통하여 힌지아암에 지지될 때, 힌지아암으로부터 전달되는 지지응력은 상기 브라켓에서 분산되어 트렁크 리드면에 작용되는 면압력이 감소되므로써 트렁크 리드의 변형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의 브라켓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만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차량의 트렁크룸을 덮는 트렁크 리드(1)의 인너패널(1a)에 소정형상의 브라켓(2)이 설치되어 있고, 이 브라켓(2)에 부착된 너트(3)에 트렁크 리드(1)의 회동력을 도시하지 않은 회동핀에 전달시킴과 동시에 상기 트렁크 리드(1)를 지지하기 위한 힌지아암(4)이 보울트(5)를 매개로하여 나사결합되어 있되, 상기 브라켓(2)은 평평한 사각형상의 너트부착면(2a)으로부터 가장자리쪽으로 경사면(2b)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면(2b)이 끝나는 부위에서 절곡되면서 상기 인너패널(1a)에 부착되는 플랜지부(2c)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부(2c)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너트부착면(2a)과 반대쪽으로 돌출된 비이드(bead)부(2d)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2)과 면접촉을 이루는 트렁크 리드(1)의 인너패널(1a)면은 상기 브라켓(2)의 형상과 유사하게 되어, 상기 브라켓(2)의 너트부착면(2a)과 경사면(2b) 및 플랜지부(2c)가 면접촉을 이루면서 트렁크 리드(1)의 인너패널(1a)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트렁크 리드(1)를 트렁크룸으로부터 완전히 연 상태에서 힌지아암(4)이 브라켓(2)을 매개하여 트렁크 리드(1)를 지지할 때, 상기 트렁크 리드(1)의 자중이 트렁크 리드(1)의 인너패널(1a)에 안착되어 있는 브라켓(2)을 통하여 힌지아암(4)에 작용하게 되어, 이 자중에 대하여 반작용으로 트렁크 리드(1)의 인너패널(1a)에 브라켓(2)을 통하여 힌지아암(4)의 지지응력이 작용되게 되는 바, 상기한 바와 같이 트렁크 리드(1)의 인너패널(1a)에 부착되는 브라켓(2)은 상기 너트부착면(2a)뿐만아니라 경사면(2b), 플랜지부(2c)에서 면접촉이 이루어져, 종래의 너트자리면에서만 접촉될 때보다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되므로 동일한 지지력에 대하여 면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2c)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비이드부(2d)에 의하여도 브라켓(2)자체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응력을 분산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힌지아암(4)으로부터 트렁크 리드(1)의 인너패널(1a)면으로 전달되는 지지응력을 브라켓(2)을 통하여 분산할 수가 있으므로써, 트렁크 리드(1)면에 작용되는 면압력이 감소되므로써 트렁크 리드(1)의 변형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트렁크 리드(1)의 인너패널(1a)에 소정형상의 브라켓(2)이 설치되어 있고, 이 브라켓(2)에 부착된 너트(3)에 인너패널(1a)를 사이에 두고 힌지아암(4)이 보울트(5)를 매개로하여 나사결합되어 있되, 상기 브라켓(2)은 평평한 사각형상의 너트부착면(2a)으로부터 가장자리쪽으로 경사면(2b)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면(2b)이 끝나는 부위에서 절곡되면서 상기 인너패널(1a)에 부착되는 플랜지부(2c)가 형성되어 있는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의 브라켓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2c)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너트부착면(2a)과 반대쪽으로 돌출된 비이드부(2d)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의 브라켓 구조.
KR1019950049966A 1995-12-14 1995-12-14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의 브라켓 구조 KR0150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9966A KR0150323B1 (ko) 1995-12-14 1995-12-14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의 브라켓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9966A KR0150323B1 (ko) 1995-12-14 1995-12-14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의 브라켓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888A KR970043888A (ko) 1997-07-26
KR0150323B1 true KR0150323B1 (ko) 1998-10-15

Family

ID=1944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9966A KR0150323B1 (ko) 1995-12-14 1995-12-14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의 브라켓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032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888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7450A (en) Adjustable door handle assembly
JPH08193456A (ja) ドア固定装置と一体構造の自動車ドア用ドア蝶番
JPH07259417A (ja) 自動車のヒンジ構造
KR0150323B1 (ko)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의 브라켓 구조
KR970036415A (ko) 시트장착브라켓의 설치구조
JPH06191439A (ja) 自動車の後部構造
JPS6210371Y2 (ko)
JPH051484Y2 (ko)
KR0130586B1 (ko) 차량용 콘솔 박스의 리드 개폐장치
US5271654A (en) Visor mount
KR200211060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JPH0623672Y2 (ja) 車両用窓ガラス防振装置
JP2594572Y2 (ja) 自動車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ヒンジ構造
KR0134566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조립체
JPH0549499B2 (ko)
JPS6135470Y2 (ko)
KR0177963B1 (ko) 자동차용 도어힌지 보강 브라켓트
JPH0243831Y2 (ko)
KR970041548A (ko) 자동차 트렁크의 밸런스스프링 비틀림량 조절장치
KR100201462B1 (ko) 자동차용 퓨얼필러도어릴리즈구조
KR100351761B1 (ko) 후드사이렌 장착구조
KR0120331Y1 (ko) 도어 팔걸이의 유동 방지 장착구조
JPH0634217Y2 (ja) フードサポートロッドの支持部構造
KR0115704Y1 (ko) 자동차 엔진 후드 지지대의 고정구조
JPH0540566U (ja) 自動車用ボンネツトヒ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