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192B1 - 비디오카셋트레코더용의스탠바이모드설정/해제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카셋트레코더용의스탠바이모드설정/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192B1
KR0150192B1 KR1019890005636A KR890005636A KR0150192B1 KR 0150192 B1 KR0150192 B1 KR 0150192B1 KR 1019890005636 A KR1019890005636 A KR 1019890005636A KR 890005636 A KR890005636 A KR 890005636A KR 0150192 B1 KR0150192 B1 KR 0150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loading
mode
video cassette
standby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5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980A (ko
Inventor
히로시 사까구찌
시게까즈 모리가와
Original Assignee
이우에 사또시
상요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에 사또시, 상요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우에 사또시
Publication of KR900016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2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using processor, e.g. micro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용의 스텐바이 모드 설정/해제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VCR의 각 모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 블록도.
제3a 및 제3b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 블록도.
제5a도 및 제5b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스템 제어용 마이크로컴퓨터 1a : 5분 타이머
1b : 전원 제어 회로 1c : 실린더 드라이브 제어 회로
2 : 카셋트 내부 센서 3 : 모드 검출기
4 : 정지 버튼 5 : 모드 설정 버트군
6 : 이젝트 버튼 7 : 타이머용 컴퓨터
8 : 예약 버튼군 9 : 표시기
10 : 전원 회로 11 : 튜너
12 : 로딩 모터 드라이브 회로 13 : 실린더 모터 드라이브 회로
14 : 캡스턴 모터 드라이브 회로 15 : 로딩 모터
16 : 실린더 모터 17 : 캡스턴 모터
18 : 카셋트 로딩 메카니즘 19 : 테이프 로딩 메카니즘
20 : 모드 설정 메카니즘 21 : 선택 버튼군
22 : 기록 회로 23 : 재생 회로
본 발명은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이하, VCR)용의 스탠바이(standby) 모드 설정/해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카셋트의 장착에 따라서 행해지는 테이프 로딩동작의 완료 후의 정지 모드에서 소정기간 동안에만 실린더를 계속 회전시키는 스탠바이 모드 설정/해제 장치 및 그와 같은 장치를 구비한 VCR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VHS형의 VCR에 있어서는, 비이도 카셋트를 VCR에 장착한 후의 정지 모드에서, 테이프가 카셋트에 인출되지 않고, 테이프 언로딩(unloading) 상태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지 모드에서, 재생 또는 기록 모드가 설정되면, 우선 실린더가 회전 구동되어 테이프 로딩(loading)이 행해지고, 또한 그 후 릴(reel)과 캡스턴이 구동되어, 캡스턴에 핀치롤러가 압착됨과 동시에 테이프에 장력이 부여된다. 종래의 VCR에서는, 이와 같은 일련의 동작을 위해, 재생 모드의 설정지시에서 재생 시작까지의 약 4.5초를 요하고 있고, 따라서 모드 설정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일이 과제로 되어 있었다.
그래서, 비디오 카셋트의 VCR로의 로딩에 연동해서 즉시 테이프 로딩을 실행하고, 테이프 로딩이 완료한 상태에서 정지 모드를 설정하는 VCR이 제안되어 있고, 이와 같은 VCR에서는, 재생 모드의 설정 지시에서 재생 시작까지 요하는 시간을 약 3.2초로 단축하고 있고, 또한 테이프 로딩 상태에서 고속 재생이나 되감기를 가능하게 하고, 또는 프로그램 개시의 신속한 위치 설정도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VCR은 예를 들면, 전자 기술 출판 주식회사 발행의 자비 텔레비젼 기술(television technilogy)의 1987년 9월호 제44 내지 49페이지에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VHS형 VCR에서는, 동작시에, 자기 헤드가 장착된 상측 실린더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헤드의 회전 속도가 소정 회전 속도에 이르기까지 상당 시간을 요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VCR로는, 정지 모드에서 다른 모드를 지정한 경우에 해당 모드가 시작되기 까지 역시 상당한 시간을 요하고, 이 결과, 정지 모드에서의 다른 모드의 신속한 설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프 로딩 완료후의 정지 모드시에, 다른 모드의 신속한 설정이 가능한,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용의 스탠바이 모드 설정 및 해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VCR의 정지 모드에서, 전력을 낭비하지 않고, 다른 모드의 신속한 설정이 가능한, 스탠바이 모드 설정 및 해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디오 카셋트의 장착에 연동한 테이프 로딩 완료후의 정지 모드에서, 전력을 낭비하지 않고, 다른 모드의 신속한 설정이 가능한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요약하면,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용의 스탠바이 모드 설정/해제 장치로서, 카셋트 로딩 기구에 의한 비디오 카셋트 장착의 완료에 응답해서 즉시 테이프 로딩을 행하고, 테이프 로딩 완료 후의 정지 모드에서 실린더 모터를 계속 구동하는 스탠바이 모드를 실행하고, 소정기간 경과 후에 실린더 모터의 구동을 정지해서 스탠바이 모드를 해제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용의 스탠바이 모드 설정/해제 장치는 테이프 로딩 완료후의 정지 모드에서 스탠바이 모드를 실행하고, 또한 소정기간 경과 후에 테이프 언로딩을 실행하고 또한 전원을 턴 오프하여 스탠바이 모드를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용의 스탠바이 모드 설정/해제 장치는 스탠바이 모드 실행중에 선택 동작이 행해졌을때에는, 소정기간의 계시(time counting)를 리셋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용의 스탠바이 모드 설정/해제 장치는, 스탠바이 모드 실행중에 정지 모드가 지정된 때에는 테이프 언로딩을 실행하고 전원을 턴오프하여 스탠바이 모드를 해제하고, 그 후 정지 모드가 재차 지정된 때에는, 전원을 턴 온함과 동시에 테이프 로딩을 행하고, 스탠바이 모드에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요 잇점은 테이프 로딩 후의 정지 모드에서, 테이프에 장력을 부여하지 않고 실린더 모터를 계속 구동하는 스탠바이 모드를 실행함으로써, 다른 모드의 신속한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잇점은 테이프 로딩 후 소정시간 경과시에 테이프 언로딩을 실행함과 동시에 전원을 턴오프해서 스탠바이 모드를 해제함으로써, 전력 낭비를 더 한층 경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는 VCR의 각 모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우선, 제1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원리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이 제1 실시예는, 요약하면, 정지 모드 설정 후에도 실린더 모터를 계속 구동하고, 정지 모드의 설정이 검출된 후, 5분 이내에 모드 변경의 조작이 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실린더모터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제1도에 있어서, 상태(A)는 카셋트 언로드 상태를 나타내고, 상태(B)는 카셋트 로드(테이프 언로드)상태를 나타내고, 상태(C)는 테이프 로드 상태를 나타내며, 그리고 상태(D)는 기록 및/또는 재생을 위한 정속 주행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상태(A)에서, 비디오 카셋트(CA)를 카셋트 홀더(CH)에 삽입하면, 카셋트 로딩이 행해지고, 상태(B)로 된다. 이 상태(B)에 있어서는, 공급 릴대(reel base) SM과 권취 릴대 TM에 각각, 카셋트 CA의 공급 릴 SR과 권취 릴 TR이 감합되어지고(fit), 또한 카셋트 CA의 전방에 형성된 오목부에 한 쌍의 테이프가이드 TG와, 장력 핀 TP와, 캡스턴 CP가 진입된다.
이 상태 B에 이르면 즉시 상측 실린더 CY가 회전되고, 1쌍의 테이프가이드 TG가 이동해서 카셋트 CA내에서 테이프가 인출된다. 그리고 인출된 테이프는 회전하고 있는 실런더 CY에 감겨, 상태 (C)로 된다. 이 제1 실시예의 특징은 이 상태(C)에서, 5분간 실린더의 회전이 계속되어, 스탠바이 모드가 실행되는 것이다. 이 상태(C)에서 고속 재생이나 되감기의 조작이 행해지면, 캡스턴 모터가 회전되어, 권취 릴 TR 또는 공급 릴 SR이 고속으로 구동된다.
또한, 상태(C)에서, 재생 또는 기록의 조작이 행해지면, 캡스턴 CP가 회전되는 동시에 핀치롤러 PR이 이 캡스턴 CP에 압착 접촉(pessure contact)되어지고, 또한 장력 핀 TP가 테이프에 인접되어져, 상태(D)로 된다.
이들 모드는, 정지 조작에 의해서 릴대에 브레이크를 부여함으로써 종료하고, 전술한 상태(C)로 되돌아 온다. 이 상태(C)의 정지 모드 설정 당초에 실런더 CY는 회전 상태를 유지하지만(스탠바이 모드), 5분 후에 회전이 정지된다. 또한, 상태(C)의 정지 모드에서, 또한 정지 조작을 행하면, 상태 (B)로 되돌아오고, 전원 오프 상태로 된다. 또한, 상태(B),(C) 및 (D) 중 어느 상태에서도, 이젝트 조작을 행하면, 카셋트 언로딩이 행해져서 상태 (A)로 복귀된다.
제2도는 전술한 제1 실시예를 마이크로컴퓨터를 사용해서 실현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개략 블록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용의 마이크로컴퓨터(1)은 정지 모드에서 5분간의 스탠바이 시간을 계산해서 타임업 출력을 발생하는 5분 타이머(1a)와, 실린더 구동 제어 회로(1c)를 내장하고 있다.
마이크로컴퓨터(1)의 입력에는, 카셋트 내부 센서(2)와, 모드 검출기(3)과, 정지버튼(4)와, 모드 설정 버튼군 (5)와, 이젝트 버튼(6)과, 타이머용 마이크로컴퓨터(7)과, 삭제 방지탭 스위치 S가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컴퓨터(1)의 출력은, 전원 회로(10)과, 로딩 모터 드라이브 회로(12)와, 실린더 모터 드라이브 회로(13)과, 캡스턴 모터 드라이브 회로(14)와, 기록회로(22)와, 재생회로(23)에 접속되어 있다.
카셋트 내부 센서(2)는, 제1도의 상태(A)에서, 비디오 카셋트 CA가 카셋트홀더 CH에 삽입되었음을 기계적으로 검출해서 출력을 발생하여, 마이크로컴퓨터(1)에 부여한다. 또한, 모드 검출기(3)은 로딩 메카니즘을 제외한 주행계의 모든 메카니즘으로 이루어진 모드 설정 메카니즘 (20)의 동작을 검출해서, VCR이 제1도의 상태(A)-(D) 어디에 있는가를 판단해서, 판단 출력을 마이크로컴퓨터(1)의 5분 타이머(1a)와 실린더 구동 제어 회로(1c)에 부여한다. 이 모드 검출기(3)은 예를 들면 테이프 주행 메카니즘 중의 특정한 캠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디코더와 같은 것이라도 좋다. 정지버튼(4)는 정지 모드의 설정 버튼으로서 뿐만 아니라, 전원 버튼으로서도 가능하다. 모드 설정 버튼군(5)은 고속 재생 버튼, 되감기버튼, 재생버튼, 기록버튼 등의 각종 모드 설정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실런더 구동 제어 회로(1c)에 접속되어 있다. 이젝트버튼(6)은 제1도의 (B),(C) 및 (D) 어느 상태에서도 조작 가능한 이젝트 조작용 버튼이다. 타이머용 마이크로컴퓨터(7)은 예약 버튼군 (8)의 조작에 의하여 예약 정보를 기억하고, 예약 정보가 기억되고 있을 때에는 예약 출력을 발생시키고, 예약 시간의 십수초 전에 예고 출력을 발생시키고, 예약 시간이 되면 시작 출력을 발생시키고, 종료 시각에는 종료 출력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삭제 방지탭 스위치 S는 카셋트 장착 완료 후에, 카셋트 CA의 실수 삭제 방지탭이 꺾여져 있지 않음을 검출해서 검출 출력을 마이크로컴퓨터(1)에 부여한다.
한편, 전원 회로(10)은 마이크로컴퓨터(1)에 의해서 제어되고, 파워 온 상태에 있어서 파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표시기(9)와, 선택 버튼군(21)에 의하여 조작되는 튜너(11)과, 로딩 모터 드라이브 회로(12)와, 실린더 모터 드라이브 회로(13)과, 캡스턴 모터 드라이브 회로(14)와, 기록회로(22)와, 재생회로(23)에 전력을 공급해서 각 회로를 구동 가능한 상태로 한다. 단, 제2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타이머용 마이크로컴퓨터 (7)과, 시스템 제어용 마이크로컴퓨터(1)과, 도시하지 않은 일부의 표시수단이 항시 동작 상태로 있는 별도의 전원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로딩 모터 드라이브 회로(12)는 마이크로컴퓨터(1)에서의 출력에 따라서 로딩 모터(15)를 구동한다. 이 로딩 모터(15)는 전술한 모드 설정 메카니즘(20)에 동작적으로 결함됨과 동시에, 카셋트 로딩 메카니즘 (18) 및 테이프 로딩 메카니즘 (19) 중 한쪽에 택일적으로 접속된다. 실린더모터 드라이브 회로(13)은 실린더 서보를 포함하고, 마이크로컴퓨터(1)에서의 출력에 따라서 상측 실린더 CY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실린더 모터(16)을 구동한다. 캡스턴 모터 드라이브 회로(14)는 캡스턴 서보를 포함하고, 마이크로컴퓨터(1)에서의 출력에 따라서 캡스턴 모터(17)을 구동한다. 이 캡스턴 모터 (17)은 캡스턴 CP를 구동함과 동시에, 설정된 모드에 따라서, 공급 릴대 SM 및 권취 릴대 TM 중 한쪽을 택일적으로 구동한다.
특히, 마이크로컴퓨터(1)내의 실린더 구동 제어 회로(1c)는 테이프 로딩 기간, 테이프 언로딩 기간 및 각종 모드 설정기간의 각각에 있어서, 모드 설정 버튼군(5)의 조작과, 모드 검출기(3)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실린더 모터 드라이브 회로(13)을 구동함과 동시에, 정지 모드 설정으로부터 5분 타이머(1a)의 타임업 출력이 발생할 때까지의 스탠바이 모드 기간 중에도 실린더 모터 드라이브 회로(13)을 구동한다.
다음에, 제3a도 및 제3b도는 제2도에 도시한 제1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제1도의 상태 (A)에 있어서, 비디오 카셋트 CA가 카셋트 홀더 CH에 삽입되었음을 카셋트 내부 센서(2)가 검출하면 (단계 S1), 시스템 제어용 마이크로컴퓨터(1)은 전원 회로(10)을 동작시킴과 동시에 로딩 모터 드라이브 회로(12)를 구동시킨다.(단계 S2). 이 로딩 모터 드라이브 회로(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로딩 모터(15)는 제1도의 상태(A)에서, 카셋트 로딩 메카니즘(18)과, 모드 설정 메카니즘(20)에 대해서 동작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카셋트 CA가 카셋트 홀더 CH에 삽입되면, 카셋트 로딩이 수행되어 상태 (B)로 된다.
모드 설정 메카니즘 (20)의 동작에 관련해서 모드 검출기(3)이 카셋트 로딩의 완료를 검출한다.(단계 S3). 또한, 카셋트 로딩의 완료에 수반해서, 로딩 모터(15)는 카셋트 로딩 메카니즘(18)로부터 해제되고, 대신 테이프 로딩 메카니즘 (19)에 동작적으로 결합된다. 모드 검출기(3)이 카셋트 로딩의 완료를 검출하면(단계 S3), 마이크로컴퓨터(1)은 실린더 모터 드라이브 회로(13)에 지시해서 실런더 모터 (16)을 구동시키고, 상측 실런더 CY를 회전시킨다(단계 S4). 또한, 테이프 로딩 메카니즘(19)는 로딩 모터(15)에 의하여 구동하여, 카셋트 CA 내에 인입되어 있는 1쌍의 테이프가이드 TG에 의하여, 테이프를 인출하여, 회전하고 있는 실린더 CY에 감아, 테이프 로딩을 수행한다(단계 S4). 또한, 이 테이프 로딩 중에, 모드 설정 메카니즘(20)은 공급 릴 SR에서 1쌍의 테이프가이드 TG에 의해서 테이프가 풀리도록(reeled out), 권취 릴대 TM에 브레이크를 부여한다(단계 S4).
모드 검출기(3)에 의하여 테이프 로딩의 완료가 검출되면(단계 S5), 마이크로컴퓨터(1)은 로딩 모터 드라이브 회로(12)의 구동을 정지하고, 이로 인해 로딩 모터(15)의 회전이 정지되어, 제1도의 상태(C)로 된다. 이 상태에서, 모드 설정 메카니즘(20)은 권취 릴대 TM에 대한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양 릴대 SM 및 TM에 적당한 힘의 소프트 브레이크를 부여한다. 이 결과, VCR은 정지 모드가 된다.
또한, 이때 실린더 모터 (16)은 구동된 그대로이고, 5분 타이머(1a)는 정지 모드의 실정에서 5분간의 스탠바이 기간의 계시를 시작함과 동시에 (단계 S6), 마이크로컴퓨터(1)은 5분 타임업 출력의 유무 (단계 S7), 정지 버튼(4)의 조작 유무 (단계 S8), 타이머용 마이크로컴퓨터 (7)의 예고 출력 유무 (단계 S9), 정비 버튼 이외의 모드군 조작 유무(단계 S10), 및 이젝트 버튼의 조작 유무(단계 S11)을 순환적으로 체크하는 제1 질문 사이클로 들어간다.
우선, 이젝트 버튼(6)이 조작된 경우를 생각하면 (단계 S11), 마이크로컴퓨터(1)에 의하여 로딩 모터 드라이브 회로(12)와, 실린더 모터 드라이브 회로 (13)과 캡스턴 모터 드라이브 회로(14)가 구동된다.(단계12). 이 결과, 로딩 모터(15)가 역전해서 테이프 로딩 메카니즘(19)가 언로딩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캡스턴 모터(17)의 회전에 연동해서 공급 릴대 SM이 회전하여, 나머지 테이프가 공급 릴 SR에 권취된다(단계 S12). 또한, 이 테이프 언로딩에 있어서는 실린더 모터(16)은 테이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구동 상태로 보존된다.
이 테이프 언로딩의 실행이 모드 검출기(3)에 의하여 검출되면 (단계 S13), 마이크로컴퓨터(1)은 실린더 모터 드라이브 회로(13) 및 캡스턴 모터 드라이브 회로(14)의 구동을 정지한다(단계 S14). 또한, 전술한 테이프 언로딩의 완료에 따라, 로딩 모터 (15)는 테이프 로딩 메카니즘 (19)로부터 해제되고, 대신 카셋트 로딩 메카니즘 (18)과 결합되어, 이로 인해 카셋트 언로딩이 행해진다(단계 S14).
이 카셋트 언로딩의 완료가 모드 검출기 (3)에 의하여 검출되면(단계 S15), 마이크로컴퓨터(1)의지령에 의하여, 로딩 모터 드라이브 회로(12)는 로딩 모터(15)의 구동을 정지하고, 그 후 정지 버튼 (4)의 조작이 검출되면(단계 S16), 전원 회로(10)이 해제되어, 파워 오프 상태로 된다(단계 S17).
한편, 전술한 제1 질문 싸이클에 있어서, 모드 설정 버튼군(5)가 조작된 경우를 생각하면 (단계 S10), 조작된 모드 버튼에 대응해서 로딩 모터 드라이브 회로(12)가 구동되어, 이로 인해 모드 설정 메카니즘(20)이 구동된다 (단계 S18).
소정의 모드 설정 상태가 모드 검출기 (3)에 의하여 검출되면(단계 S19), 마이크로컴퓨터(1)은 로딩 모터 드라이브 회로(12)의 구동을 정지함과 동시에, 설정된 모드에 관련된 회로를 동작 상태로 해서, 해당 모드를 실행한다(단계 S20).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정지 모드의 상태와, 고속 재생모드 및 되감기 모드의 상태는 제1 상태(C)로서 공통되므로, 정지 모드에서 고속 재생 버튼이나 되감기 버튼을 조작한 경우, 모드 설정 메카니즘(20)은 작동하지 않고, 관련회로로서 캡스턴 모터 드라이브회로(14)만이 구동되고, 캡스턴 모터(17)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권취 릴대 TM 또느 공급 릴대 SM이 고속으로 구동된다(단계 S20). 또한, 정지 모드에서, 기록 버튼 또는 재생 버튼이 조작된 경우에는, 모드 설정 메카니즘(20)이 캡스턴 CP에 핀치롤러 PR을 압착시키고 또한 장력 핀 TP를 테이프에 인접시킨 후 (단계 S18), 로딩 모터 드라이브 회로(12)의 구동이 정지되고, 또한 관련회로로서, 캡스턴 모터 드라이브 회로(14)와, 기록회로(22) 또는 재생회로(23)이 구동된다(단계 S20).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각 모드에서, 또한 다른 모드 버튼을 조작하면(단계 S21), 마이크로컴퓨터(1)에 의하여, 로딩 모터 드라이브 회로(12)가 구동되고, 양 릴대 TM 및 SM에 대해서 우선 브레이크가 부여된 후, 대응하는 모드 상태에 메카니즘(20)이 설정된다(단계 S18). 그리고, 모드 설정 완료가 모드 검출기 (3)에 의하여 검출되면 (단계 S19), 마이크로컴퓨터(1)은, 로딩 모터 드라이브 회로(12)의 구동을 정지함과 동시에, 설정된 모드에 관련하는 회로를 동작 상태로 하여, 설정된 모드에 관련하는 회로를 동작 상태로 하여, 해당 모드를 실행한다(단계 S20).
또한, 설정된 각 모드의 실행 중에 정지 버튼(14)가 조작되면(단계 S23), 캡스턴 모터 드라이브 회로(14)의 구동이 정지됨과 동시에, 로딩 모터 드라이브 회로(12)가 구동되고, 양 릴대 TM 및 SM에 브레이크가 부여된 후, 정지 모드가 설정된다(단계 S24). 정지 모드의 설정이 모드 검출기(3)에 의하여 검출되면(단계 S25), 마이크로컴퓨터(1)은 로딩 모터 드라이브 회로(12)의 구동을 정지해서 제1 질문 싸이클로 되돌아오고, 5분 타이머(1a)의 계시를 시작한다(단계 S6).
또한 설정된 각 모드의 실행 중에 이젝트 버튼(6)이 조작되면(단계 S22), 양 릴대 TM 및 SM에 브레이크가 부여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1)에 의하여 로딩 모터 드라이브 회로(12)와, 실린더 모터 드라이브 회로 (13)과, 캡스턴 모터 드라이브 회로 (14)가 구동된다(단계 S12). 이 결과, 테이프 로딩메카니즘(19)가 1쌍의 테이프 가이츠 TG를 후퇴시킴과 동시에, 모드 설정 메카니즘(20)에 의해서 권취 릴대 TM에 브레이크를 부여한 상태에서, 나머지 테이프가 공급 릴 SR에 권취되어, 테이프 언로딩이 행해진다(단계 S12). 이 테이프 언로딩의 완료가 모드 검출기(3)에 의하여 검출되면(단계 S13), 전술한 카셋트 언로딩이 실행된다(단계 S14).
또한, 전술한 제1 질문 싸이클에 있어서, 5분 타이머 (1a)에 의한 5분간의 계시가 종료되고, 타임업 정보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단계 S7), 실린더 모터 드라이브 회로(13)의 구동이 정지된다(제3b도, 단계 S26). 그리고, 실린더의 회전 정지 후, 마이크로컴퓨터(1)은 모드 설정 버튼군(5)의 조작 유무 (단계 S27), 이젝트 버튼(6)의 조작 유무(단계 S28), 정지 버튼 (4)의 조작 유무 (단계 S29) 및 예약 정보의 유무(단계 S30)이 순환적으로 체크되는 제2 질문 싸이클에 들어간다.
이 제2 질문 싸이클에 있어서는, 정지 버튼(4)가 조작되거나 단계 (S29), 타이머용 마이크로컴퓨터(7)에 의하여 타이머 예약 출력이 얻어지면(단계 S30), 후술하는 파워 오프모드가 실행된다. 한편, 이젝트버튼(6)이 조작되면(단계 S28), 전술하는 이젝트 동작 (제3a도, 단계 S12 내지 S14)가 행해진다. 또한, 이 제2 질문 싸이클에 있어서, 기록 버튼을 제외한 모드 설정 버튼군 (5)가 조작되면 (단계 S27), 실린더 모터 드라이브 회로(13)이 구동되고(단계 S40), 전술한 제1 질문 싸이클에 있어서 모드 설정 버튼군(5)가 조작된 경우와 같은 상태로 된다.
단, 조작된 모드 조작 버튼이 고속 재생버튼 또는 되감기 버튼일 때에는 (단계 S41), 실린더 회전의 상승시간으로서 2초간의 대기시간을 경과한 후에 (단계 S42), 캡스턴 모터 드라이브 회로914)가 구동된다(제3a도, 단계 S20).
또한, 제1 질문 싸이클 또는 제2 질문 싸이클에 있어서 정지버튼(4)의 조작이 검출된 경우(단계 S8, 단계 S29), 또는 제2 질문 싸이클에 있어서 타이머 예약 출력이 얻어진 경우(단계 S30)에는, 마이크로컴퓨터(1)은 로딩 모터 드라이브 회로(12)와, 실린더 모터 드라이브 회로(13)과, 캡스턴 모터 드라이브 회로(14)를 구동한다(단계 S32). 이로 인해, 테이프 로딩 메카니즘 (19)와 모드 설정 메카니즘(20)이 구동되고, 그 결과, 테이프는 1쌍의 테이프 가이드 TG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하고 있는 실린더 CY에서 떼어 놓여진다. 그리고, 모드 설정 메카니즘 (20)에 의하여 권취 릴대 TM에 브레이크가 부여된 상태로, 캡스턴 모터(17)의 회전에 연동해서 회전하는 공급 릴대 SM에 의하여, 나머지 테이프가 공급 릴 SR에 권취된다(단계 S31).
이 테이프 언로딩이 모드 검출수단(3)에 의하여 검출되면 (단계 S32), 전원회로(10)과, 로딩 모터 드라이브 회로(12)와, 실린더 모터 드라이브 회로(13)과, 캡스턴 모터 드라이브 회로(14)가 모두 비동작 상태로 된다(단계 S33). 그리고, 이와 같은 파워 오프 상태에 있어서, 정지 버튼(4)의 조작 유무(단계 S34), 타이머용 마이크로컴퓨터 (7)의 예고 출력의 유무9단계 (S35), 기록 버튼을 제외한 모드 버튼의 조작 유무(단계 S36) 및 이젝트 버튼 (6)의 조작 유무 (단계 S37)을 순환적으로 체크하는 제3 질문 싸이클로 들어간다.
이 제3 질문 싸이클에 있어서, 정지 버튼(4)가 조작되면(단계 S34), 전원 회로(10)이 동작되고(단계 S43), 또한 로딩 모터 드라이브 회로(12)와 실린더 모터 드라이브 횔(13)이 구동된다(제3a도, 단계 S4). 이 결과, 테이프 로딩이 행해지고(단계 S5), 또한 4분 타이머 (1a)에 의한 5분간의 스탠바이 기간의 계시가 시작되어(단계 S6), 제1 질문 싸이클이 시작된다.
또한, 전술한 제3 질문 싸이클에 있어서, 이젝트 버튼(6)이 조작되면 (단계 S37), 전원 회로(10)이 동작됨과 동시에, 로딩 모터 드라이브 회로(12)가 구동되어, 카셋트 언로딩이 행해진다(단계 S38). 이젝트 모드가 모드 검출기(3)에 의하여 검출되면(단계 S39), 마이크로컴퓨터(1)은 자동적으로 전원 회로(10을 해제하고, 파워 오프 상태가 되어 (제3a도, 단계 S17), 동작이 종료된다.
또한, 제3 질문 싸이클에 있어서, 기록 버튼을 제외한 모든 버튼이 조작되면(단계 S36), 우선 전원 회로 (10)이 동작되어 파워 온 상태로 되고, 로딩 모터 드라이브 회로(12)와, 실린더 모터 드라이브 회로(13)이 구동되어, 이로 인해 테이프 로딩이 행해진다(단계 S44). 모드 검출기(3)에 의해서 테이프 로딩의 완료가 검출되면(단계 S45), 전술한 모드 설정 동작(제3a도, 단계 S18 내지 S20)이 실행된다.
또한, 제3 질문 싸이클에 있어서, 타이머용 마이크로컴퓨터 (7)에서 예고 출력이 발생하면 (단계 S35), 전원 회로(10)이 동작되어 파워 온 상태로 되고, 로딩 모터 드라이브 회로(12)와, 실린더 모터 드라이브 회로(13)이 구동되어, 테이프 로딩이 실행된다(단계 S46). 그리고, 테이프 로딩이 완료하면(단계 S47), 정지 모드에서, 예약된 기록 모드의 시작 출력이 타이머용 마이크로컴퓨터(1)에서 발생하는 것을 대기한다(단계 S48). 그리고, 시작 출력이 발생하면, 이에 따라서 로딩 모터 드라이브회로(12)가 구동되고, 이로 인해 모드 설정 메카니즘 (20)이 구동된다(단계 S49). 이 결과, 장력 핀 TP가 테이프에 인접됨과 동시에, 핀치롤러 PR이 테이프를 삽입해서 캡스턴 CP에 압착된다.
이와 같은 기록 모드의 설정 완료가 검출되면 (단계 S50), 캡스턴 모터 드라이브 회로(14)와, 기록회로(22)가 구동 상태로 되고, 기록 모드가 시작된다(단계 S51). 이하, 타이머용 마이크로컴퓨터(7)에서, 예약된 기록 모드의 종료 출력이 발생되기까지 이 기록 모드가 지속한다. 즉, 타이머용 마이크로컴퓨터(7)에서 종료 출력이 발생하면(단계 S52), 마이크로컴퓨터(1)은 캡스턴 모터 드라이브 회로(14)의 구동을 정지함과 동시에, 로딩 모터 드라이브 회로(12)에 지시해서 모드 설정 메카니즘 (20)을 구동시키고, 양 릴대 SM 및 TM에 브레이크를 부여해서 정지 모드를 설정한다(단계 S53).
정지 모드의 설정 완료가 검출되면(단계 S54), 연속해서 전술한 테이프 언로딩 동작이 행해지고(단계 S31), 테이프 언로딩이 완료하면(단계 S32), 파워 오프 상태로 되고(단계S33), 또한 전술한 제3 질문 싸이클로 들어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테이프 로딩 완료 후의 정지 모드에서 최초의 5분간만 실린더를 회전시킴으로써, 전력을 낭비하지 않고, 정지 모드에서 다른 모드의 신속한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5분간의 스탠바이 기간 경과후에는 실린더의 회전만이 정지되고, 전원 자체는 오프되지 않기 때문에, 튜너를 동작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따라서 VCR 측에서 선택한 채널의 모니터 상태를 보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마이크로컴퓨터를 사용해서 실현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개략 블록도이다. 이 제2 실시예의 특징은 5분간의 스탠바이 모드의 종료 후, VCR 측에서 선택한 채널의 모니터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테이프 언로딩을 실행함과 동시에, 전원 회로(10)을 해제시켜 파워 오프 상태를 실현하는 것이고, 이로 인해서 소비 전력의 낭비를 한층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제4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아래의 점을 제외하고, 제2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다. 즉, 예약 버튼군(8)의 조작 출력과, 선택 버튼군(21)의 조작 출력이 시스템제어용 마이크로컴퓨터(1)에 직접 입력되어 있고, 또한 마이크로컴퓨터(1)은 5분 타이머(1a)이외에 전원 제어 회로(1b)를 내장하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5분 타이머(1a)는 정지 모드가 설정되고 나서 5분간의 스탠바이 기간을 계시해서 타임업 출력을 발생하나, 이 계시중에 선택 조작이 행해진 때에는 이에 따라서 리셋트되고, 5분간의 계시를 재개시한다. 또한 5분 타이머 (1a)는 파워 오프 상태에 있어서 어떠한 조작이 행해진 때에도 5분간의 스탠바이 기간을 계시해서 타임업 출력을 발생한다.
한편, 전원 제어 회로(1b)는 정지 모드에서 재차 정지 버튼이 조작되었을 때, 예약 완료에 의한 예약 출력이 타이머용 마이크로컴퓨터(7)에서 발생하였을 때 또는 5분 타이머(1a)에서 타임업 출력이 발생하였을 때, 테이프 언로딩을 행하고 다시금 파워 오프 상태를 실현한다. 또한 전원 제어 회로(1b)는 파워 오프 상태에서, 기록 버튼을 제외한 모드 버튼군(5) 또는 정지 버튼(4)가 조작되었을 때, 파워온 상태를 실현하고, 또한 파워 오프 상태에서 선택 버튼군(21) 또는 예약 버튼군(8)이 조작되었을 때에는 파워 온 상태를 실현하고, 타이머용 마이크로컴퓨터(7)에서의 예약 출력 또는 5분 타이머(1a)에서의 타임업 출력에 의해서 파워 오프 상태를 실현한다.
다음으로, 제5a도 및 제5b도는 제4도에 도시한 제2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비디오 카셋트의 VCR로의 삽입에서 정지 모드의 설정까지의 동작 (단계 S101 내지 S106)은 제1 실시예의 단계 S1 내지 S6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지 모드 설정 후의 제1 질문 싸이클(단계 S107 내지 단계 S113)은, 다음에서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 질문 싸이클(단계 S7 내지 S11)과 다르다. 첫째로, 선택 조작의 유무가 체크되어서 (단계 S108), 선택 조작이었을 때에는 5분 타이머(1a)가 리셋트되어 제1 질문 싸이클이 최초부터 행해진다(단계 S106). 둘째로, 5분 타이머(1a)에서 타임업 출력이 얻어졌을 때에는(단계 S109), 정지 버튼의 조작시와 동일하게, 테이프 언로딩과 파워 오프가 행해진다(제5b도, 단계 S130 내지 S132). 셋째로, 이젝트 조작이 행해지면 (단계 S113), 이젝트 완료 후에 자동적으로 파워 오프 상태가 실현된다(단계 S118).
제5a도 및 제5b도에 있어서는, 예약 버튼이 조작되고(단계 S107), 또한 에약 조작이 완료되면(단계 S119), 테이프 언로딩 및 파워 오프가 행해지나 (단계 S130 내지 S132), 이 점은 전술한 제3a도 및 제3b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동작은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제5a도 및 제5b에 있어서는, 제1 질문 싸이클에 있어서 모드 설정 조작이 행해졌을 때, 설정된 조작이 고속 재생 또는 되감기 동작이면(단계 S121), 모드 설정 메카니즘 (20)을 작동시키지 않고 캡스턴 모터를 직접적으로 구동한다는 점(단계 S124), 및 설정된 모드에서 또한 모드 변경을 위해 모드 설정 버튼이 조작된 때에는(단계 S125), 모드 설정 메카니즘(20)이 양 릴대 TM 및 SM을 일단 브레이크를 부여한 후에 소망의 모드 설정을 행하는 점(단계 S120)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점들은 제3a도 및 제3b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이들은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서, 이 제2 실시예의 최대 특징은 정지 상태에서, 실린더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모드는 존재하지 않고, 실린더의 구동 정지 후 즉시 파워 오프로 되므로,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 질문 싸이클에 대응하는 질문 싸이클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 파워 오프(단계 S132)후의 제3 질문 싸이클에 있어서는 소정의 버튼이 조작되었을 때에는(단계 S134) 파워 온 상태로 되어 5분 타이머(1a)의 계시를 시작한다(단계 S135). 그리고 5분 경과시(단계 S138) 또는 예약 버튼이 조작되어(단계 S137) 예약 동작이 완료했을 때에는 (단계 S144), 재차 파워 오프가 행해진다(단계 S132). 또한, 5분 경과 전에, 선택 버튼이 조작되어 (단계 S139) 선택 동작이 행해지면(단계 S145), 마이크로컴퓨터(1)은 그후 소정의 버튼이 조작되기까지 대기한다(단계 S146). 그리고 소정의 버튼이 조작된 때에는 질문 싸이클로 되돌아오고, 모드 버튼의 조작 유무가 체크된다(단계 S141).
이상에서 설명한 점을 제외하고는, 제2 실시예의 동작은 제1 실시예의 동작과 같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스탠바이 모드 해제시에 테이프 언로딩을 실행하는 동시에 전원을 턴 오프하고 있으므로, 전력 낭비를 더 한층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 VCR로의 카셋트 장착 전에 타이머 예약 정보를 설정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대해, 제3a도, 제3b도, 제5a도 및 제5b의 플로우차트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마이크로컴퓨터(1)은 카셋트 장착 전에 타이머용 마이크로컴퓨터 (7)에서 예약 출력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장착된 카셋트의 실수 삭제 방지탭이 꺾여져 있지 않음을 삭제 방지탭 스위치 S가 검출한 때에는, 그 시점에서 파워 오프를 실현해서 제3 질문 싸이클로 들어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원 스위치는 존재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정지 버튼(4)를 2회 누름으로써, 전원의 온/오프가 행해진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파워 오프 모드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파워 온한 후에 예약 기록이 행해진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5분 타이머의 경과는 정지 모드의 설정에서 시작되고 있으나, 테이프 로딩 메카니즘의 작동시작에 연동해서 시작하도록 해도 좋고, 또 타이머 기간은 5분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Claims (6)

  1. 자기 헤드가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상기 자기 헤드에 접속되어 있으며 비디오 카세트에 수납되어 있는 테이프로부터 신호를 기록/재생하는 신호 기록/재생 수단, 상기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 내에 상기 비디오 카셋트를 로드하는 카셋트 로딩 기구와, 상기 로드된 비디오 카셋트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하여 상기 회전 수단을 구동하면서 테이프 로딩 상태를 실현하는 테이프 로딩 기구, 상기 테이프 로딩 상태의 상기 테이프를 지정된 방향 및 지정된 속도로 상기 실린더를 가로질러 주행시키는 방향/속도 수단, 및 동작키에 의한 재생 모드의 지정에 응답하여 상기 신호가 재생되는 재생 모드를 실행하며, 캡스턴, 핀치롤러 및 상기 테이프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캡스턴에 상기 핀치롤러를 압착하고 상기 테이프에 장력을 부여하여 상기 재생 모드를 실행하는 재생 모드 응답 수단을 구비하는 비디오 카셋트 레코드용의 스탠바이 모드 설정/해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셋트 로딩 기구에 의한 상기 비디오 카셋트의 로딩 완료에 응답하여, 상기 테이프 로딩 기구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테이프의 로딩을 실행하는 테이프 로딩 실행 수단 : 상기 테이프 로딩 상태가 실현된 후 상기 회전 수단을 계속 구동하는 스탠바이 모드을 실행하는 스탠바이 모드 수단 : 상기 스탠바이 모드 동안에, 제1 소정 기간 경과후, 상기 회전 수단의 구동을 종료함으로써 상기 스탠바이 모드를 해제하는 스탠바이 해제 수단 : 및 상기 스탠바이 모드가 해제된 후 고속 재생 동작 및 되감기 동작 중 한 동작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회전 수단의 구동을 재실행하고, 상기 고속 재생 동작 및 상기 되감기 동작 중 한 동작의 선택으로부터 제2 소정 기간 경과 후 고속 재생 및 되감기 방향 중 한 방향으로 테이프 로딩 상태의 상기 테이프를 주행시키는 재실행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바이 모드 설정/해제 장치.
  2.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수단, 신호를 픽업하는 자기 헤드가 설치되어 잇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를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 상기 자기 헤드에 접속되어 있으며 비디오 카세트에 수납되어 있는 테이프로부터 상기 신호를 기록/재생하는 신호 기록/재생 수단, 상기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 내에 상기 비디오 카셋트를 로드하는 카셋트 로딩 기구와, 상기 로드된 비디오 카셋트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하여 상기 회전 수단을 구동하면서 테이프 로딩 상태를 실현하며, 상기 테이프를 상기 비디오 카세트에 권취하여(retract) 테이프 언로딩 상태를 실현하는 테이프 로딩/언로딩 기구, 상기 테이프 로딩 상태의 상기 테이프를 지정된 방향 및 지정된 속도로 상기 실린더를 가로질러 주행시키는 방향/속도 수단, 및 동작 키에 의한 재생 모드의 지정에 응답하여 재생 모드를 실행하며, 캡스턴, 핀치롤러 및 상기 테이프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캡스턴에 상기 핀치롤러를 압착하고 상기 테이프에 장력을 부여하여 상기 재생모드를 실행하는 재생 모드 응답 수단을 구비하는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용의 스탠바이 모드 설정/해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에 대해 복수의 채널 중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며 상기 신호 기록/재생 수단 내에 구비되어 있는 채널 선택 수단 : 상기 카셋트 로딩 기구에 의한 상기 비디오 카셋트의 로딩 완료에 응답하여, 상기 테이프 로딩/언로딩 기구를 구동함으로써 테이프의 로딩을 실행하는 테이프 로딩 실행 수단 : 상기 테이프 로딩 상태가 실현된 후에, 상기 회전 수단을 계속 구동하는 스탠바이 모드를 실행하는 스탠바이 모드 수단: 및 a) 상기 동작키의 동작이 없으면 상기 스탠바이 모드 동안에 소정 기간 경과후에 테이프 언로딩을 실행하도록 상기 테이프 로딩/언로딩 기구를 구동함으로써, 그리고 b) 테이프 언로딩 완료 후 상기 전원 수단을 턴오프함으로써 상기 스탠바이 모드를 해제하며, 상기 소정 기간의 경과 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팅 수단 및 상기 채널 선택 수단이 스탠바이 모드에서 작동될 때 상기 카운팅 수단을 리셋하는 리셋수단을 구비하는 스탠바이 해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하는 하는 스탠바이 모드 설정/해제 장치.
  3.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수단, 신호를 픽업하는 자기 헤드가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를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 상기 자기 헤드에 접속되어 있으면 비디오 카세트에 수납되어 있는 테이프로부터 신호를 기록/재생 수단, 상기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 내에 상기 비디오 카셋트를 로드하는 카셋트 로딩 기구와, 상기 로드된 비디오 카셋트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하여 상기 회전 수단을 구동하면서 테이프 로딩 상태를 실현하며 상기 테이프를 상기 비디오 카세트에 권취하여 테이프 언로딩 상태를 실현하는 테이프 로딩/언로딩 기구, 사이 테이프 로딩 상태의 상기 테이프를 지정된 방향 및 지정된 속도로 상기 실린더를 가로질러 주행시키는 방향/속도 수단, 동작 키에 의한 재생 모드의 지정에 응답하여 상기 신호가 재생되는 재생 모드를 실행하며, 캡스턴, 핀치롤러 및 상기 테이프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핀치롤러를 압착하고 상기 테이프에 장력을 부여하여 상기 재생모드를 실행하는 재생 모드 응답 수단, 및 정지 모드를 지정하는 정지 모드 지정 수단을 구비하는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용의 스탠바이 모드 설정/해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셋트 로딩 기구에 의한 상기 비디오 카셋트의 로딩 완료에 응답하여, 상기 테이프 로딩/언로딩 기구를 구동함으로써 테이프의 로딩을 실행하는 테이프 로딩 실행 수단 ; 상기 테이트 로딩 상태가 실현된 후에, 상기 회전 수단을 계속 구동하는 스탠바이 모드를 실행하는 스탠바이 모드 수단 : a) 상기 스탠바이 모드 동안에 상기 정지 모드 지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정지 모드가 지정될 때 테이프 언로딩을 실행하도록 상기 테이프 로딩/언로딩 기구를 구동함으로써, 그리고 b) 테이프 언로딩 완료 후 상기 전원 수단을 턴오프함으로써, 상기 스탠바이 모드를 해제하는 제1 스탠바이 해제 수단 ; 상기 제1 스탠바이 해제 수단이 상기 스탠바이 모드를 해제한 후 상기 정지 모드 지정 수단이 재실행될 때 상기 전원 수단을 턴온하는 파워 온 수단-상기 전원 수단이 재실행된 후에 상기 테이프 로딩/언로딩 기구는 테이프 로딩 상태로 구동되며 상기 회전 수단이 계속 구동되는 상기 스탠바이 모드로 복귀함-: 및 c) 상기 스탠바이 모드 동안에 소정 기간 경과후 테이프 언로딩을 실행하도록 상기 테이프 로딩/언로딩 기구를 구동함으로써, 그리고 d) 상기 테이프 언로딩 완료 후 상기 전원 수단을 턴오프함으로써, 상기 스탠바이 모드를 해제하는 제2 스탠바이 해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바이 모드 설정/해제 장치.
  4. 스탠바이 모드 설정/해제 기능이 부착된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에 있어서, 신호를 픽업하는 자기 헤드가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 : 상기 실린더를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 : 상기 자기 헤드에 접속되어 있으며 비디오 카세트에 수납되어 있는 테이프로부터 신호를 기록/재생하는 신호 기록/재생수단 : 상기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 내에 상기 비디오 카셋트를 로드하는 카셋트 로딩 기구 : 상기 로드된 비디오 카셋트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하여 상기 회전 수단을 구동하면서 테이프 로딩 상태를 실현하는 테이프 로딩 기구 : 상기 카셋트 로딩 기구에 의한 상기 비디오 카셋트의 로딩 완료에 응답하여, 상기 테이프 로딩 기구를 구동함으로써 테이프의 로딩을 실행하는 테이프 로딩 실행 수단 : 상기 테이프 로딩 상태가 실현된 후에, 상기 회전 수단을 계속 구동하는 스탠바이 모드를 실행하는 스탠바이 모드 수단 : 상기 스탠바이 모드에서, 제1 소정 기간 경과후, 상기 회전 수단의 구동을 정지하여 상기 스탠바이 모드를 해제하는 스탠바이 해제 수단 : 및 상기 스탠바이 모드가 해제된 후 고속 재생 동작 및 되감기 동작 중 한 동작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회전 수단의 구동을 재실행하고, 상기 고속 재생 모드 또는 상기 되감기 모드 중 한 동작 모드의 선택 후 제2 소정 기간 경과 후 지정된 방향으로 테이프 로딩 상태의 상기 테이프를 주행시키는 재실행 수단 : 상기 테이프 로딩 상태의 상기 테이프를 지정된 방향 및 지정된 속도로 상기 실린더를 가로질러 주행시키는 방향/속도 수단 : 및 동작 키에 의한 재생 모드의 지정에 응답하여 재생모드를 실행하며, 캡스턴, 핀치롤러 및 상기 테이프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캡스턴에 상기 핀치롤러를 압착하고 상기 테이프에 장력을 부여하여 상기 재생모드를 실행하는 재생 모드 응답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바이 모드 설정/해제 기능이 부착된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
  5. 스탠바이 모드 설정/해제 기능이 부착된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수단 : 신호를 픽업하는 자기 헤드가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 : 상기 실린더를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 : 상기 자기 헤드에 접속되어 있으며, 비디오 카세트에 수납되어 있는 테이프로부터 상기 신호를 기록/재생하며, 상기 테이프에 대해 복수의 채널 중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수단을 구비하는 신호 기록/재생 수단 : 상기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 내에 상기 비디오 카셋트를 로드하는 카셋트 로딩 기구 : 상기 로드된 비디오 카셋트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하여 상기 회전 수단을 구동하면서 테이프 로딩 상태를 실현하며, 상기 테이프를 상기 비디오 카세트에 권취하여 테이프 언로딩 상태를 실현하는 테이프 로딩/언로딩 기구 : 상기 카셋트 로딩 기구에 의한 상기 비디오 카셋트의 로딩 완료에 응답하여, 상기 테이프 로딩/언로딩 기구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테이프의 로딩을 실행하는 테이프 로딩 실행 수단 : 상기 테이프 로딩 상태가 실현된 후 상기 회전 수단을 계속 구동하는 스탠바이 모드를 실행하는 스탠바이 모드 수단 : 상기 동작키의 동작이 없으면 상기 스탠바이 모드에서 소정 기간 경과후 테이프 언로딩을 실해하도록 상기 테이프 로딩/언로딩 기구를 구동함으로써, 그리고 테이프 언로딩 완료 후 상기 전원 수단을 턴오프함으로써 상기 스탠바이 모드를 해제하며, 상기 소정 기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팅 수단 및 스탠바이 모드에서 상기 채널선택 수단이 실행될 때 상기 카운팅 수단을 리셋하는 리셋 수단을 구비하는 스탠바이 해제 수단 : 상기 테이프 로딩 상태의 상기 테이프를 지정된 방향 및 지정된 속도로 상기 실린더를 가로질러 주행시키는 방향/속도 수단 : 및 동작 키에 의한 재생 모드의 지정에 응답하여 재생 모드를 실행하며, 캡스턴, 핀치롤러 및 상기 테이프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캡스턴에 상기 핀치롤러를 압착하고 상기 테이프에 장력을 부여하여 상기 재생모드를 실행하는 재생 모드 응답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바이 모드 설정/해제 기능이 부착된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
  6. 스탠바이 모드 설정/해제 기능이 부착된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수단 : 신호를 픽업하는 자기 헤드가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 : 상기 실린더를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 : 상기 자기 헤드에 접속되어 있으며, 비디오 카세트에 수납되어 있는 테이프로부터 상기 신호를 기록/재생하는 신호 기록/재생 수단 : 상기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 내에 상기 비디오 카셋트를 로드하는 카셋트 로딩 기구 : 상기 로드된 비디오 카셋트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하여 상기 회전 수단을 구동하면서 테이프 로딩 상태를 실현하며, 상기 테이프를 상기 비디오 카세트에 권취하여 테이프 언로딩 상태를 실현하는 테이프 로딩/언로딩 기구 : 상기 카셋트 로딩 기구에 의한 상기 비디오 카셋트의 로딩 완료에 응답하여, 상기 테이프 로딩/언로딩 기구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테이프의 로딩을 실행하는 테이프 로딩 실행 수단 : 상기 테이프 로딩 상태가 실현된 후 상기 회전 수단을 계속 구동하는 스탠바이 모드를 실행하는 스탠바이 모드 수단 : a) 상기 스탠바이 모드 동안에 상기 정지 수단에 의해 상기 정지 모드가 지정될 때 테이프 언로딩을 실행함으로써, 그리고 b) 테이프 언로딩 완료 후 상기 전원 수단을 턴오프함으로써, 상기 스탠바이 모드를 해제하는 제1 스탠바이 해제 수단 : 상기 제1 스탠바이 해제 수단이 상기 스탠바이 모드를 해제한 후 상기 정지 모드 지정 수단이 재실행될 때 상기 전원 수단을 턴온하는 파워 온 수단-상기 전원수단이 재실행된 후에 상기 테이프 로딩/언로딩 기구는 테이프 로딩 상태로 구동되며 상기 스탠바이 모드로 복귀함- : c) 상기 스탠바이 모드에서 소정 기간 경과후 테이프 언로딩을 실행하도록 상기 테이프 로딩/언로딩 기구를 구동함으로써, 그리고 d) 상기 테이프 언로딩 완료후 상기 전원 수단을 턴오프함으로써, 상기 스탠바이 모드를 해제하는 제2 스탠바이 해제 수단 : 상기 테이프 로딩 상태의 상기 테이프를 지정된 방향 및 지정된 속도로 상기 실린더를 가로질러 주행시키는 방향/속도 수단 : 및 동작 키에 의한 재생 모드의 지정에 응답하여 재생 모드를 실행하며, 캡스턴, 핀치롤러 및 상기 테이프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캡스턴에 상기 핀치롤러를 압착하고 상기 테이프에 장력을 부여하여 상기 재생모드를 실행하는 재생 모드 응답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바이 모드 설정/해제 기능이 부착된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
KR1019890005636A 1988-04-28 1989-04-28 비디오카셋트레코더용의스탠바이모드설정/해제장치 KR01501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06834A JPH0654576B2 (ja) 1988-04-28 1988-04-28 待機解除回路
JP63-106834 1988-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980A KR900016980A (ko) 1990-11-15
KR0150192B1 true KR0150192B1 (ko) 1998-10-15

Family

ID=14443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5636A KR0150192B1 (ko) 1988-04-28 1989-04-28 비디오카셋트레코더용의스탠바이모드설정/해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339646B1 (ko)
JP (1) JPH0654576B2 (ko)
KR (1) KR0150192B1 (ko)
CA (1) CA1325058C (ko)
DE (1) DE68912816T2 (ko)
ES (1) ES2050732T3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051B2 (ko) * 1975-02-21 1981-02-09
JPS5531531B2 (ko) * 1974-05-30 1980-08-19
JPS58208960A (ja) * 1982-05-28 1983-12-05 Victor Co Of Japan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S5945648A (ja) * 1982-09-07 1984-03-14 Victor Co Of Japan Ltd 記録再生装置
JPS5958647A (ja) * 1982-09-28 1984-04-04 Victor Co Of Japan Ltd 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記録又は再生停止モ−ド解除装置
JPS63311649A (ja) * 1987-06-11 1988-12-20 Alpine Electron Inc ドラム回転制御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12816T2 (de) 1994-05-19
JPH01277359A (ja) 1989-11-07
ES2050732T3 (es) 1994-06-01
EP0339646A3 (en) 1991-10-09
KR900016980A (ko) 1990-11-15
EP0339646A2 (en) 1989-11-02
DE68912816D1 (de) 1994-03-17
EP0339646B1 (en) 1994-02-02
JPH0654576B2 (ja) 1994-07-20
CA1325058C (en) 1993-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172238A (ja) ビデオテ−プレコ−ダの自動頭出し装置
US5313344A (en) Stand-by mode setting/releasing device for video cassette recorder
US4075670A (en) Tape auto-loading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0150192B1 (ko) 비디오카셋트레코더용의스탠바이모드설정/해제장치
EP0058059B1 (en) Video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S6125085Y2 (ko)
JPS63124293A (ja) ヘリカルスキヤン方式磁気記録再生装置
US5418662A (en) Cassette loading system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that switches from both reels powered to only one reel powered during withdrawal of tape into cassette
JP2505762B2 (ja) 回転ヘツド型記録または再生装置
JPS6238545A (ja) 磁気的記録装置
JP3012058B2 (ja) 回転ドラムのブレーキ制御装置
JP2909915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US20030223146A1 (en) Magnetic record and playback device
JPH0629807Y2 (ja) リールモータ制御装置
JPH0528580Y2 (ko)
JP3536335B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H0210576Y2 (ko)
JP2981395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53615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3463325B2 (ja) テープ記録再生装置
JPH08273128A (ja) 回転ヘッド式磁気記録/再生装置
JPS6014056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1260656A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のテープローディング制御回路
KR20000034302A (ko) 비상사태발생시 vcr의 테이프 언로딩장치
JPS60117438A (ja) 磁気録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