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777B1 - 탈착식 중앙 쿠션부를 지닌 뒷좌석 시트쿠션 - Google Patents

탈착식 중앙 쿠션부를 지닌 뒷좌석 시트쿠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777B1
KR0148777B1 KR1019950062660A KR19950062660A KR0148777B1 KR 0148777 B1 KR0148777 B1 KR 0148777B1 KR 1019950062660 A KR1019950062660 A KR 1019950062660A KR 19950062660 A KR19950062660 A KR 19950062660A KR 0148777 B1 KR0148777 B1 KR 0148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seat cushion
seat
centra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2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6517A (ko
Inventor
김지연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62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8777B1/ko
Publication of KR970036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6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7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05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2Attachment or adjust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자동차의 뒷좌석을 형성하는 시트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쿠션(10)의 중앙부(11)를 편평하게 형성하여 직물 또는 합성수지패스너(12)를 부착하고, 하부면에서 상기 중앙부의 패스너(12)에 대응하는 패스너(22)를 지니며 후방부에서 손잡이(25)를 지니는 중앙 쿠션부재(20)를 상기 시트(10)에 탈착가능하게 부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의 시트쿠션에 의하면, 탑승자가 스트쿠션에 눕거나 길게 기댈 경우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착식 중앙 쿠션부를 지닌 뒷좌석 시트쿠션.
제1도는 일반적인 뒷좌석을 보여주는 사시도.
제2도는 본발명에 따른 탈착식 중앙쿠션부를 지닌 시트쿠션을 보여주는 부분평면도.
제3도는 본발명에 따른 중앙쿠션부가 전개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시트쿠션 11:중앙부
12:패스너 20:중앙 쿠션부재
21:하부면 22:패스너
25:손잡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쿠션의 중앙부에 제공되는 쿠션부를 탈착식으로 제공하여 필요에 따라 전개시킬 수 있는 뒷좌석 시트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뒷좌석은 시트쿠션과 시트백이라 칭하는 등받이로 구성된다. 이중 시트쿠션은 일체형으로 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쿠션의 중앙부에는 쿠션, 즉, 완충효과를 높이기 위해 별도의 쿠션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쿠션의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같은 일반적인 뒷좌석의 쿠션이 제1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 따르면, 뒷좌석 시트쿠션(C)의 양 측부 및 중앙부는 쿠션의 완충효과를 높이기 위해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특히 중앙부에는 시트 전체의 쿠션 성능에 밀접한 관계가 있어 이같은 중앙쿠션부의 제공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와같이 중앙부가 돌출됨으로써, 뒷좌석 탑승자 특히 어린이가 눕거나 하는 경우 그 중앙쿠션부는 불편함을 주었다.
또한 최근에는 뒷좌석 쿠션과 전방좌석 사이에 휴대용 보조쿠션을 제공하여 여유공간을 넓히는 경우가 있다. 이때 이같은 보조쿠션과 시트쿠션의 높이가 수평으로 되어야 바람직하지만, 시트쿠션의 중앙쿠션부에 의해 편평한 넓은 유효평면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기술분야의 당업자 및 운전자들은 필요에 따라 뒷좌석 쿠션의 중앙부를 제공 또는 제거할 수 있는 방식에 대해 고심해 왔다.
그러므로 본발명의 목적은, 뒷좌석 쿠션의 중앙쿠션부를 탈착가능하게 제공하여 필요에 따라 전개시킬 수 있는 뒷좌석 쿠션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같은 목적은 본발명에 의해 해결되는바, 본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자동차의 뒷좌석을 형성하는 시트쿠션에 있어서, 시트쿠션의 중앙부를 편평하게 형성하여 직물패스너(fastener)를 부착하고 상기 중앙부의 직물패스너에 대응하는 패스너 및 손잡이를 지닌 중앙쿠션부를 상기 시트 중앙부에 탈착가능하게 부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면에 따르면, 중앙쿠션부가 시트쿠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될 수있다.
이하 본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는 본발명에 따른 중앙쿠션부가 뒷좌석 시트쿠션의 중앙부에 유지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2도에 따르면, 시트쿠션(10)의 중앙부에는 중앙쿠션부(20)가 제공되어 있다. 중앙쿠션부(20)의 후방부에는 손잡이(25)가 제공되어 있어 쿠션부(20)의 전개를 용이하게 할수있다. 중앙쿠션부(20)의 형상 및 크기는 기호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나, 기존의 시트쿠션의 중앙부의 크기 및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중앙쿠션부(20)로 기존의 암레스트(arm rest)를 대처할 수도 있는바, 이 때는 그 높이 및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별도로 휴대하거나 또는 뒷좌석 등받이 내로 장입되게 할 수 있다.
중앙쿠션부(20)를 시트쿠션(10) 중앙부에 부착하는 방식은 일명 찍찍이라 칭하는 직물 또는 합성수지재 패스너(fastener)가 바람직하다. 즉, 시트쿠션(10)의 중앙부의 적정위치에 1개 또는 2개이상의 패스너를 부착 또는 고정시킨후, 상기 중앙쿠션부(20)에 상기 중앙부의 패스너 부착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패스너에 대응하는 패스너를 부착 또는 고정하여 중앙쿠션부(20)에 시트쿠션(10)을 탈착가능하게 부착한다.
이같은 패스너 부착관계 및 중앙쿠션부의 전개방식이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3도에 따르면, 시트쿠션(10)의 중앙부(11)는 편평한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앙부에는 2개의 패스너(12)가 부착 또는 고정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중앙쿠션부(20)의 하부면(21)의 양 측부에는 상기 시트쿠션 중앙부(11)의 패스너(12)에 대응하는 패스너(22)가 부착된다. 물론 상기 중앙쿠션부의 하부면(21) 또한 편평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쿠션부의 단면은 반원형보다는 작은 형상을 지닌다.
또한 상기 중앙쿠션부(20)의 전방부가 시트쿠션(10) 중앙부(11)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어 전개상태에서도 시트쿠션(20)에 고정유지될 수 있다.
이같은 구조에 따른 본발명의 시트쿠션(10) 및 중앙쿠션부(20)의 사용에 있어서, 뒷좌석 탑승자 또는 어린이가 뒷좌석에서 눕거나 길게 기대고자 할때, 중앙쿠션부(20)의 손잡이를 잡아 상방으로 들어올려 전개시킨다. 이때, 중앙 쿠션부재(20)가 시트쿠션(1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는 중앙쿠션부재(20)가 시트쿠션(10)으로부터 완전히 탈거되지 않고 전개된 상태로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중앙 쿠션부재(20)가 전개 또는 탈거되면 시트쿠션(10)의 중앙부(11)를 포함한 전체 표면이 평평해져 눕거나 기댈때 불편하지 않게 되어 편안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에서 본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2)

  1. 자동차의 뒷좌석을 형성하는 시트쿠션에 있어서, 시트쿠션(10)의 중앙부(11)를 편평하게 형성하여 직물 또는 합성수지 패스너(12)를 부착하고, 하부면에서 상기 중앙부의 패스너(12)에 대응하는 패스너(22)를 지니며 후방부에서 손잡이(25)를 지니는 중앙 쿠션부재(20)를 상기 시트 (10)에 탈착가능하게 부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쿠션부재(20)는 상기 시트쿠션(10)의 중앙부(11)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KR1019950062660A 1995-12-29 1995-12-29 탈착식 중앙 쿠션부를 지닌 뒷좌석 시트쿠션 KR0148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2660A KR0148777B1 (ko) 1995-12-29 1995-12-29 탈착식 중앙 쿠션부를 지닌 뒷좌석 시트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2660A KR0148777B1 (ko) 1995-12-29 1995-12-29 탈착식 중앙 쿠션부를 지닌 뒷좌석 시트쿠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517A KR970036517A (ko) 1997-07-22
KR0148777B1 true KR0148777B1 (ko) 1998-08-17

Family

ID=19446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2660A KR0148777B1 (ko) 1995-12-29 1995-12-29 탈착식 중앙 쿠션부를 지닌 뒷좌석 시트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87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517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5274B2 (en) Vehicle seat component side air bag module having air bag guide including flexible inner and outer panels attached by module connector and frame connector and trim cover attached by frame connector
US6652026B2 (en) Headrest secured automobile seat cover
US5979987A (en) Automobile armrest extension
JP2021501086A (ja) オートバイのシート配置
JP2000070078A (ja) 車両用シート
JPH11115585A (ja) ヘッドレストの格納構造
US2086244A (en) Arm rest for automobiles
US6860555B2 (en) Seat hammock of child-care instrument
KR0148777B1 (ko) 탈착식 중앙 쿠션부를 지닌 뒷좌석 시트쿠션
JPH042446B2 (ko)
JP2004155421A (ja) ヘッドレストに備えられた折りたたみ式背もたれを含む自動車の後部座席のレイアウト、及び、その座席を備えた乗物
JP2004321661A (ja) 自動車用シートのトリムカバー端末処理構造
JPH09276080A (ja) 車両用ベッド装置
JP3120900U (ja) バス用補助席カバー
JP3346536B2 (ja) 車両用シート
KR0116237Y1 (ko) 자동차 시트용 보조받침대
FR2923773A1 (fr) Paroi de confort lateral pour siege passager
KR200208978Y1 (ko) 차량용 시트프레임
JP2560674Y2 (ja) 自動車用シートのトリム処理構造
JP3729326B2 (ja) 椅子
JPS6324024Y2 (ko)
KR200217508Y1 (ko) 차량용 프론트시트
KR200342389Y1 (ko) 목 베개 및 목 베개가 구비된 의자
JPS6348207Y2 (ko)
JPH0928508A (ja) シートバックのポケッ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