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345B1 - 절첩식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절첩식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345B1
KR0148345B1 KR1019900700834A KR900700834A KR0148345B1 KR 0148345 B1 KR0148345 B1 KR 0148345B1 KR 1019900700834 A KR1019900700834 A KR 1019900700834A KR 900700834 A KR900700834 A KR 900700834A KR 0148345 B1 KR0148345 B1 KR 0148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ll
walls
box
pedest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0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1609A (ko
Inventor
레이몬드 리쳐 조훼리
미쉘 피스크 프랭크
Original Assignee
레이몬드 리쳐 조훼리
미쉘 피스크 프랭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몬드 리쳐 조훼리, 미쉘 피스크 프랭크 filed Critical 레이몬드 리쳐 조훼리
Publication of KR900701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1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3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2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88/52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all side walls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to another component of the container
    • B65D88/524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all side walls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to another component of the container and one or more side walls being foldable along an additional median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19/12Collapsible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8Doors for containers, e.g. ISO-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절첩식 컨테이너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화물과 용적 물질을 수송하기 위한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절첩식 컨테이너의 개선된 형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적용성을 가지게 되는 중요한 형태의 컨테이너와 같은 선적 컨테이너에 대해 기술된다.
그러나 육상 또는 항공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컨테이너들에도 똑같이 그런 개선점들을 반영시킬 수 있다는 것이 쉽게 인정 된다. : 선적 컨테이너에 대한 언급은 단지 명세의 실예와 단순화할 의도로 존재한다.
[선행기술의 설명]
빈 컨테이너의 수송은, 그 취급이나 적재와 마찬가지로, 육상에서와 마찬가지로 선박에서도 특별한 문제들을 야기시키고, 이런 모든 것들이 전체 해상 수송 운임에 심각하게 추가된다.
선박상에서의 빈 컨테이너들의 취급과 적재는 안정성과 안전성 문제들을 야기시킬 수 있고, 부두에서의 화물 선적과 하역 시설들에 있어서의 혼잡은 선적을 위한 왕복시간을 심각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비용운 선박이나 육상 또는 항공에 의한 수송이건 가득찬 컨테이너와 같은 공간 체적을 가지기 때문에 발생하고, 그리고 창고에서의 빈 컨테이너 적재는 가득찬 컨테이너의 적재 만큼 값비싸다.
이런 모든 요인들로 부터, 화물 또는 용적 물질의 수송 시간 사이에, 체적을 줄일 수 있고 그런 상태로 쉽게 취급될 수 있는 컨테이너를 가지는 것이 선적 산업의 이익에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목적을 실행하기 위해 많은 형태의 절첩식 선적 컨테이너들이 최근 동안에 제안되었고, 가장 적절한 선행 기술의 선택은 다음 특허 명세서들에서 구체적으로 예시되었다.: US3398850, US3529741, US3570698, US4388995, US4577772 및 AU-A68129/87.
그러나 모든 이런 선행기술들에는 많은 문제점들이 있고 그러므로 아직 선적 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인정되지 못했다.
한가지 중대한 문제는 컨테이너들이 방수가 아니고 부품들이 높은 부식률에 걸린다는 점이다.
그런 부식은 일반적으로 요소들로부터 내부 그리고 힌지들에 대한 외부 실링이 없기 때문에 컨테이너가 접힌 상태로 있을 때 더욱 심하다.
또 한가지 중대한 문제는 접는 부분들을 포함하게 되면 상당히 약화된 구조를 초래하고 그 컨테이너들은 산업상의 강성 필요조건들에 적절히 부합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더구나, 처음에는 매우 만족스러운 듯한 컨테이너들도 상습적으로 받게 되는 거친 취급을 견디는데 불충분하고 곧 쓸모 없게 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많은 선행기술에 의한 컨테이너들이 가지고 있는 보다 더 큰 문제는 그것들이 항상 소실 되고 손상되며 그 때문에 실질적인 불편과 지체를 야기시키는 많은 분리 성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발명의 목적]
전술한 단점들을 없애거나 또는 적어도 최소화하는 절첩식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이다.
값싼 절첩식 컨테이너나 또는 적어도 대다수의 화물 운송 산업회사들의 비용 구조내에 떨어뜨릴 수 있는 컨테이너를 제공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ISO 화물운송 컨테이너 명세에 부합하는 접는식 컨테이너를 제공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뒤틀림에 저항하는 강성 베이스 구조와 가벼운 구조를 가진 절첩식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술된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본 발명의 요약과 상세한 설명으로 부터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base), 두 개의 끝벽(end walls), 상부벽(top wall)그리고 두 개의 측면벽(side wall)을 가지는 절첩식 박스형 컨테이너가 제공 된다.:
상기 베이스는 두개의 대향하는 덮개벽(skirting wall)과 덮개의 상부 가장자리 아래에서 경계를 이루는 각각의 코너에 내부 대좌(plinth)를 가진 강성 보강 사각형 구조물을 포함하고, 대향하는 덮개벽들을 관통해 뻗어 있는 지게차용의 틴 포켓(tyne pocket)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벽들은 각각 수직 컨테이너의 하중을 전달하고, 상기 대좌들에 의해 지지되고 거기에 대좌들 내부에 위치한 결합 요소들에 의해 고정되는 통합 측면 기둥들을 포함하는 강성 보강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 기둥들은 또한 측면벽들이 컨테이너의 내부쪽으로 피봇(pivot)하도록 해주는 내면 피봇팅(pivoting)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상부벽은 지게차용의 틴 포켓들과 각 코너에 고정 받침대를 포함하는 직각 보강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벽들은 각각 서로 종방향으로 힌지형태로 결합되고 또한 인접한 덮개벽의 내변과 상부벽의 보강된 종방향 가장자리에 힌지 형태로 결합되는 두 개의 강성 보강 직사각형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컨테이너는 부분적으로 상부벽을 들어올리고, 대좌들로 부터 측면 기둥들을 풀고, 각 끝벽을 덮개벽들 사이에서 수평 위치를 취하도록 컨테이너의 내부쪽으로 피봇팅하고, 상부벽을 낮춤과 동시에 각 측면벽이 덮개벽 내에 놓여있는 두 개의 대면부분 속으로 접혀들어 가고 상부벽의 인접부분이 실질적으로 덮개벽들의 외부면과 같은 면상에 있도록 측면벽들을 컨테이너의 내부쪽으로 접음으로써 절첩될 수 있다.
비록 베이스는 단지 두개의 대향하는 덮개벽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 되지만, 실제로는 일반적으로 세개의 덮개벽을 가지게 되는데, 이 부가의 벽은 실질적으로 베이스의 강도 특성을 더해주게 된다.
두개의 측면벽은 컨테이너가 출입구가 단지 컨테이너의 한쪽끝에만 제공되는 정상적인 상황대신에 양쪽 끝에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만 종종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베이스의 전부분이 덮어지도록 네 번째 벽이 존재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런 구조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종 컨테이너의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세관 검사 부분이 제공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특히 불편하고, 그런 검사부분에 대한 이상적인 위치는 제4벽에 제거 가능한 관찰용 패널(panel)을 설치하는 것이다.
제거 가능한 관찰용 패널은 컨테이너가 접힐 때 컨테이너 바로 밑의 가늘고 긴 오목부에 놓여질 수 있다.
컨테이너의 한쪽 또는 양쪽 끝에 덮개벽을 갖지 않는 경우의 또다른 장점은 선적 또는 하역을 위해서 컨테이너로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이다.
명백히 그런 벽은 바퀴 달린 선적기구들의 컨테이너로의 출입을 또는 사실상 대부분 사람에 의한 선적 또는 하역을 방해한다.
덮개벽들은 평평한 금속판으로 제조되고 보강 베이스 구조물의 외부 가장자리에 용접된다.
J - 앵글 돌출부는 컨테이너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상부벽이 자리할 수 있는 그루브(groove)를 제공하기 위해서 덮개벽들의 상부 가장자리에 적당히 용접된다.
이 J -앵글 돌출부는 베이스 보강 구조물로 부터 뻗어나온 앵글 받침대로 받쳐지고, 접힌 컨테이너 속으로의 물의 유입을 막기 위해 상부 표면위에 탄력있게 변형할 수 있는 고무 또는 그와 같은 재료의 실링 스트립(sealing strip)을 포함한다.
덮개 벽들의 설치는 이런 벽들위의 하중 분포가 컨테이너 베이스의 종방향 뒤틀림을, 선행기술에 의한 컨테이너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인,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매우 중요한 특성이다.
그런 뒤틀림은 실제적으로 세 번째 덮개 벽이 대향된 덮개 벽들과 결합 될 때 제거된다.
바람직하기로는, 베이스는 주물금속 부분품과 압축 금속 패널들로 제조된다.
베이스 주변은 이상적으로 박스형 보(beam) 구조물을 가지고, 각 박스형 보는 양쪽 끝이 코너 대좌들에 용접되어 있다.
보다 더 큰 단면을 가진 직각 박스형 보의 틴 위치 포켓들은 종래의 공간에서 주변의 박스형 보를 교차하고, 베이스의 종방향 가장자리의 중간점에 대해 대칭이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가의 보강 금속 부분품들은 부가의 강도를 위해서 베이스의 가장 짧은 가장자리들 사이에 뻗어 있다.
여러 개의 금속 보강 부분품들 사이의 공간들은 보강 부분품들에 용접되어 있는 압축 금속 패널들을 바람직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해준다.
압축 금속 패널의 수는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덮어야 할 오프닝(opening)의 수와 같을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자면 두개의 틴 위치 포켓에 의해 관통된 직각 골격 구조물로 정의되는 세 개의 오프닝이 있다면, 이때 일반적으로 세 개의 압축 금속 패널들이 존재하게 된다.
더 많은 종방향의 중간 부분 보강 부재는 여섯개의 압축금속 패널들을 필요로 할 것이다. 등등....
그러나 또한, 하나의 오프닝 이상을 덮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그런 패널들과 같이, 오프닝 수 보다 적은 수의 압축 금속 패널들도 똑같이 잘 사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압축 금속 패널 또는 실제로 어떤수의 패널도 사용될 수 있다.
압축 금속 패널들은 얇은 강판으로 적당히 제조되고 강력한 방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보강부재들가 틴 위치 포켓들에 용접된다.
압축 금속 패널의 형태는 베이스에 최대의 강성을 부가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그것의 표면에 형성된 평행 또는 교차 방향으로 리브(rib)되어 있는 압축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형태는 교차형태의 압축물이고 그중에 각 교차의 아암(arm)들은 인접한 보강재들의 코너 사이로 뻗어 있다.
보강 베이스 구조물은 측면부 대신 그것에 용접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평평한 얇은 금속 패널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런 평평한 얇은 패널은 최대 강도 특성을 제공 하기 위해서 적당한 배치로 그것의 하면에 용접된 보강 리브들을 포함하고, 컨테이너에 대한 사용 목적인 점을 주목해야 된다.
베이스에 있는 금속 패널들은 화물이 적재된 완성된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서 종래의 선박용 층 또는 스래이트로 된 갑판 피복으로 덮어 진다.
베이스 구조물의 각 코너에 위치한 금속 대좌들은 바람직하기로는 하부에는 컨테이너들을 함께 결합하기 위한 표준 핏팅(fitting)과, 상부에는 핀 하우징(pin housing)을 포함하는 중공 금속 주물이다.
핀하우징은 컨테이너가 똑바로 세워진 상태로 있을때 끝벽의 코너 기둥에 놓이게 되는 평평한 상부로 향한 표면을 포함한다.
평평한 상부로 향한 표면은 구멍을 가지고 있는데, 이 구멍을 통해, 맞물림 팩(peg)이 회전될때 코너 기둥의 베이스에 형성된 구멍에 있는 적당한 리테이너(retainer)와 맞물리기 위해서 대좌의 상부 내에서 부터 맞물림 팩이 뻗어있다.
맞물림 팩의 회전은 대좌 상부의 바깥쪽으로 향한 측면에 있는 구불어진 가늘고 긴 그루브에서 약간 돌출해 있는 슬라이딩 레버(lever)에 의해서 가능해진다.
맞물림 팩의 주기능은 코너 기둥의 측면 운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측면벽들이 그들과 관련된 대좌들을 받침점으로 회전 하기 위해서, 적당한 힌지 링(ring)이나 또는 그와 같은 것이 기둥들의 내부로 향한 피봇팅쪽에 인접하게 용접된다.
바람직하기로는, 두 개의 힌지링이 외부 보강 베이스 부재의 상부 교차점과 대좌의 상부 바닥에 용접된다.
대좌들의 대부분의 하부 바닥 부분은, 컨테이너가 놓여있는 지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도록 컨테이너 주변을 형성하는 보강 부재들 바로 밑의 짧은 거리까지 뻗도록 배치된다.
베이스가 네개의 고정 덮개벽보다 작을 때, 벽의 수를 네개까지 만들기 위해 필요한 제거 가능한 벽들이 대향하는 대좌들의 수직 측면에 용접된 J-형상 또는 그와 같은 테두리(edging)에 의해 형성된 그루브진 채널(channel)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런 구조는 슬라이딩 패널 또는 패널들이 컨테이너가 요소들로부터의 내부 실링을 확인하기 위해 접힐 때 대향하는 고정 덮개 벽들 사이의 수직 위치에 쉽게 위치할 수 있게 한다.
실링의 확실성은 지지 테두리에 적당한 고무 스트립을 설치함으로써 보증된다.
슬라이딩 패널 또는 패널들은 컨테이너가 똑바로 세워졌을 때 컨테이너 밑의 반대쪽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보강 부재들의 바닥면을 따라 뻗어 있는 금속 형상에 의해 형성된 유사한 그루브진 채널들에 공급될 수 있다.
컨테이너에 단순한 베이스와 모든 벽 구성 요소들에 방수 구획실을 제공하는 것을 제쳐놓고, 베이스 구조물은 플로어(floor)상의 하중을 외부 강화 가장자리로 전달해서 응력과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다.
금속 패널들은 자동차 산업에서 사용되는 금속 압축 기술을 이용해서 최소의 재료 무게로 최대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적당히 성형된다.
측면벽들은 각각, 똑바로 세워진 컨테이너의 코너 기둥 들을 형성하고, 컨테이너들이 하나씩 차례로 위로 적재될 때 하중 전달점으로 작용하는 박스형 철 구조물의 일체형 측면 기둥들을 포함하는 강성 보강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이 측면 기둥들은 끝벽들의 피봇팅이 컨테이너의 내부로 향하도록 가장 낮은 부분에 위치한 내면 피봇팅 장치를 포함한다.
이런 피봇팅 장치는 각 기둥의 베이스로 부터 뻗어 있는 철제 앵글(angle-iron) 형태를 취하고, 상기 형태의 면들이 기둥의 인접한 면들과 공면한다.
보강 스페이싱 바(spacing bar)는 그 바닥에서 같은 끝벽상에 있는 상기 철제 앵글 형태들 사이에 적당히 뻗어 있다.
철제 앵글 형상의 내부로 향한 면은, 즉 컨테이너의 반대편 끝쪽으로 나있는 표면, 컨테이너 베이스에 형성된 힌지링들 사이의 또는 그것에 관한 얼라인 먼트(alignment)를 위해 러그(lug) 또는 러그들이 갖추어져 있다.
각 러그들에 있는 원통 모양의 통로는 피봇핀이 끼워져 통과하는 힌지 링들을 가진 얼라인 먼트를 허용한다.
다른 종래의 피봇팅 장치도 동일하게 잘 사용될 수 있으나, 전술된 장치는 특히 단단하고 선적 컨테이너가 받는 거친 취급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끝벽의 상부 강화부재는 박스형 철구조물을 가지고 측면 기둥들, 그들의 가장 높은 높이 위로, 사이로 뻗어 있다.
즉 기둥들의 외부 가장자리에 까지 나가지 않는다.
이같은 이유는 상부벽의 코너 고정 받침대들이 후술되는 방식으로 기둥들의 꼭대기에 확고하게 고정 유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사각형 결합판들은 적당한 실링을 보장 하는것 뿐 아니라 부가의 강도를 제공해 주기 위해서 측면벽들의 내상부 코너에 편리하게 용접될 수 있다.
그런 판들의 내부면들은 또한 끝벽들이 베이스 속으로 낮추어질 때 끝벽들을 완충하기 위한 고무 패드(pad) 들을 설치할 적당한 장소들을 제공해준다.
조절 러그들은 바람직 하기로는, 또한 후술되는 것처럼, 측면벽들에 부착수단을 제공할 목적으로 코너 기둥들의 외부로 향한 면들, 즉 끝벽 드의 외부 평면들을 포함하는 면들, 위에 형성 된다.
끝벽들의 면은 그들이 컨테이너를 선적하고 하역하기 위한 출입구로서의 기능을 위한 것인지 또는 고정 벽들을 위한 것인지에 따라 만들어진다.
명백히 적어도 하나 또는 양쪽이 다 고정된 출입구가 있음은 틀림이 없으므로 출입구 구조에 대해 기술 된다.
고정벽 구조는 바람직하기로는 대향하는 기둥들 사이에 뻗어 있는,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대각선 방식으로, 적당한 받침 부재들을 포함한다.
그런 받침 부재들은 각 기둥에 용접되는 평평한 강철 스트립, 철제 앵글 또는 그와 같은 것일 수 있다.
압축 금속 패널링은 이때 전체적으로 봉합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서 벽의 외부면에 용접된다.
필요하다면, 전술된 바와 같이 베이스와 연결되어 배치된 제거 가능한 세관 검사 부분은 끝벽의 가장 낮은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끝벽에 출입구가 있는 배치는 많은 종래의 구조들 중 어느 하나를 취하면 된다.
한가지 바람직한 구조는 측면 기둥들과 상인방(lintel)과 하부 디딤판 사이의 전체 끝벽이 열리는 형태를 취하는 두 개의 외부쪽으로 열리는 문으로 이루어진다.
각 출입구는 인접한 기둥에 수직한 가장자리를 따라 적당하게 힌지로 연결되어 있고 종래의 푸시 - 바(push - bar) 자물쇠에 의해 상인방과 디딤판에 고정할 수가 있다.
상벽은 지게차용 틴 포켓과 각 코너에 있는 고정 블록을 포함하는 직각보강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각 고정 받침대는 끝벽에 있는 코너 기둥의 상부와 인접한 수평 상인방 또는 끝벽의 상부에 있는 보강부재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에 수용된다.
상기 고정 받침대는 일반적으로 또 다른 컨테이너의 베이스에 포함된 종래의 고정 방법에 의해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해주는 구멍들을 가진 중공 하우징으로 이루어 진다.
더구나, 고정 받침대의 내부쪽으로 향한 면에 있는 구멍은 코너 기둥으로 부터 전술된 오목부 속으로 러그를 밀어넣는 얼라인 먼트를 가능하게 한다.
한가지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고정 받침대들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구멍을 가지고 또 관련된 대좌의 경계내에 수용되는 하부착 부분을 포함한다.
대좌의 벽에 있는 대응 구멍들과 함께 부착 부분에 구멍 또는 구멍들의 얼라인먼트는 컨테이너가 접혀 있을때 상벽을 대좌에 고정할 수 있도록 키 또는 핀을 삽입가능케 한다.
상부 벽 주변은 바람직하기로는 그것이 측면벽과 끝벽 위로 꼭맞게 고정되도록 철제 앵글로 형성된다.
부가의 안정을 위해서, 오목부들은 철제 앵글 주변의 부착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는데, 끝벽들의 인접한 상부 보강부재에 형성된 러그들과 함께 작용한다.
다른 한편, J -앵글 강 에징은 똑바로 세워진 컨테이너와 접혔을때의 베이스 구조물에 필요한 실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부벽의 하부착 부분에 용접된다.
이 에징은 내후성을 돕기 위한 탄력있게 변형 가능한 천연 고무 스트립을 포함한다.
지게차용 틴포켓들은 바람직하기로는 베이스에 있는 것과 같은 형태의 박스형 단면의 강철인데, 베이스에 있는 것과 비슷한 대칭 배치로 앵글강 주위사이에 용접된다.
이것은 매우 강성이 좋고 가벼운 구조물을 제공하나, 어떤 특별한 목적을 위해 부가의 강도가 필요로 된다면 부가의 보강 부재들이 필요한 곳에 용접될 수 있다.
상부벽은 바람직하기로는 내후성 실을 제공하기 위한 보강 부재들 사이에 용접되는 압축금속 부분품들로 완성 된다.
금속 부분품들의 형태는 가장 큰 강도 특성을 발휘하도록 선택되고, 예를들자면 다수의 평행한 골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측면벽은 서로가 종방향으로 힌지로 연결된 두개의 강성 보강 사각형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자유로운 종방향 가장자리들은 각각 인접한 덮개벽의 내부 가장자리와 상벽의 종방향 가장자리에 힌지로 연결된다.
각 측면벽을 구성하는 두개의 사각형 구조물은 바람직하기로는 ㄹ서로 동일한데, 이것은 사실상 컨테이너에 있는 각 구조성분이 서로 교환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 구조의 동일성은 명백히 컨테이너 제조 비용을 낮추고 구성 구조들 중의 하나가 손상되어 대체가 필요할때의 수리 비용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각형벽 구조물들은 접을때, 상부벽 구조물이 접혀 내려오며 컨테이너 베이스안의 하부벽 구조물 위로 놓이도록 이중 작동을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된다.
그런 작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힌지들은 잘 공지되어 있다.
한가지 바람직한 힌지 형태는 세개의 부분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한 부분은 상부벽 구조물의 한쪽 종변에 절개부들을 가진 눈모양의 플랜지(flange)로 이루어 진다.
비슷한 눈모양의 플랜지가 하부 구조물의 상부 종방향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세번째 부분은 눈모양의 플랜지들에 있는 절개부들과 일렬로 배치되는 관모양의 구멍들을 가진 금속 연결 장치로 이루어진다.
힌지핀들은 눈모양의 플랜지 속으로 삽입되어 각 벽구조물을 금속 연결편에 결합시킨다.
벽구조물들을 상부벽과 덮개벽에 연결시키는 힌지들은 또한 종래의 설계를 가지고 있다.
이상적으로는, 사용되는 핀들은 보수를 줄이기 위해서 내부식성이다.
사각형벽 구조물들은 바람직하기로는 그들 주위의 윤곽을 정하고, 적당한 수의 평평한 금속 받침대와 서로 연결되는 평평한 강판 부재들로 제조된다.
적절히, 그런 받침대들은 힌지들이 부가의 강도가 가장 필요로 되는 측면벽 부분들에 부가의 강도를 주기 위한 곳에 위치하고, 컨테이너를 접고 세우는 동안에 대부분의 응력이 발생할 것 같은 지역으로 부터 뻗어 있다.
앵글강 부재들은 바람직하기로는 코너 기둥들에 겹쳐져서 유지 되도록 각 사각형벽구조물의 각 끝에 용접된다.
그런 유지를 보증해주는 한가지 방법은 코너 기둥들의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너브(nub)들 위에 꼭맞는 겹치는 철제 앵글 부재들에 구멍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너브들은 확실한 결합은 가능하게 하고 또한 방수실을 형성하기 위해서 코너 기둥과 측면벽은 함께 압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쐐기 형태의 결합 시스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이 쐐기 형상은 빠른 편리한 결합과 코너 부분의 어떤 부가의 들어올림이나 운동에 대한 부가의 강도를 확보해주기 위한 슬라이딩 운동으로 이루어 진다.
앵글강 부재들은 컨테이너가 내후성이 되도록 해준다.
필요하다면 고무 개스킷(gasket)이 그런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또한 어떤 벽의 운동에 대해서도 충격 흡수기로서 작용할 목적으로 코너 부분에 위치한다.
측면벽들은 대향하는 종방향의 평평한 강판 부재들 사이에 용접된 압축 강철 패널들로 완성된다.
이런 패널들은 그 구조물에 부가의 강도를 제공해주어야 한다면 적절하게 형상지워질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실링 덮개(flat)가 구성구조물들 사이의 종방향으로 힌지되는 지역을 덮는 각 측면벽의 내부 위에 제공된다.
실링 덮개가 제조되는 재료에 따라, 적당한 강성을 가진다면, 그것은 또한 벽보강 부재 또는 베이스로 작용할 수 있다.
실링 덮개의 기능은 따라서 우선적으로 벽부분에 어떤 부가의 강도를 제공하는 한편 물 또는 다른 이물질들이 컨테이너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 덮개는 그러므로 이상적으로 압축 금속으로 제조되고 측면벽들이 세워질때 힌지되는 지역 위에 꼭맞는 형태이다.
이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실링 덮개의 하부 종방향 가장자리는 하부 측면벽 구조물의 상부 지역에 영구히 고정되고, 적당한 클립이나 그와 같은 것에 의해 상부측벽구조물의 하부 지역에 확고하게 유지된다.
이런 구조는 컨테이너 내에서의 하중의 이동 때문에 발생하는 측면벽들의 뒤틀림 가능성을 완화하고, 또한 측면벽 구조물이 벽의 힌지들에 응력을 주지 않고 배면끼리 접힐 수 있게 해준다.
실링 덮개의 또다른 특징은 측면벽이 컨테이너내에 팔이 닿을 수 있는 끝쪽에 가까운 곳에 위치한 상기 클립에 의해 컨테이너가 세워져 있을 동안 똑바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또한 컨테이너가 반정도 세워져 있는 상태일때 컨테이너로 들어갈 필요가 없으므로 안전 특성으로서 작용한다.
전술에 따라 건조된 컨테이너를 접기 위해서, 상부벽은 단편적으로 지게차의 틴을 지게차용 틴 포켓으로 삽입 함으로써 들어올려 진다.
이런 행동은, 각 끝벽이 대좌들로 부터 기둥들의 베이스를 풀고 전후의 쐐기형 배치를 푼 후에, 컨테이너의 내부쪽으로 낮추어질 수 있게 하는 코너 기둥들로 부터 상부벽을 분리시킨다.
실링 덮개들을 유지하는 클립 방법이 이때 행해지고 상부벽은 상부벽이 덮개벽 위에 놓일때까지 베이스 쪽으로 낮추어 진다.
전며의 컨테이너 관찰용 패널은 컨테이너 아래의 관찰용 패널 하우징으로 부터 제거되고 관찰용 패널의 수직 하우징속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대좌들은 상부벽에 있는 코너 고정 받침대들에 고정 된다.
컨테이너가 이제 완벽하게 접혔고 또다른 컨테이너 위에 쌓아올려질 것이며 그리고 거기에서 다른 컨테이너의 코너 고정 받침대와 쌓아올려진 컨테이너에 있는 대좌의 베이스에 있는 고정 메카니즘에 의해 결합된다.
이런 방법으로 대량의 컨테이너들이 함께 쌓아 올려 진다.
컨테이너들의 하적과 세움은 역순 단계로 실행된다.
두명의 사람과 한 대의 기계를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세우고 접는데 필요한 전체 시간은 대략 5분 정도이다.
컨테이너의 구조는 접힐때 어떤 특별한 들어올림, 선적 또는 수송기술이 없이 접지 않는 형태의 강성 컨테이너와 비슷한 방법으로 구조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컨테이너는 세워진 컨테이너의 높이와 체적의 1/4 공간내에서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장 또는 화물 픽업(pick up)지역으로의 재 수송을 위한 극도로 경제적인 유니트를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한 구체적인 실시예의 기술]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약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잘라낸 부분을 가진 세워진 상태로 있는 절첩식 컨테이너의 사시도 이다.
제2도는 상부벽과 측면벽을 제외하고 모든 벽의 패널링이 제거된 제1도의 컨테이너 사시도이다.
제3도는 제1도의 컨테이너의 베이스 사시도이다.
제4도는 제3도의 베이스의 코너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제5도는 제4도에서 도시된 대좌의 끝단 사시도이다.
제6도는 제5a도의 코너 부분의 단면 사시도이다.
제7도는 제1도의 컨테이너의 닫힌 끝벽 사시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에 편입될 또 다른 피봇팅 시스템 확대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에 편입될 다른 피봇팅 시스템 확대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에 편입될 또 다른 피봇팅 시스템 확대도이다.
제11도는 제1도의 컨테이너의 출입구가 있는 끝벽 사시도로, 제 위치에 있는 한 개의 출입구를 도시해준 것이다.
제12도는 제1도의 컨테이너의 피봇팅 장치를 도시해주는 컨테이너 베이스의 출입구 끝단의 종단 사시도이다.
제13도는 코너의 세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된 두개의 금속 패널을 가진, 제1도의 컨테이너의 상부벽 사시도이다.
제14도는 밑에서 본 제13도의 상부벽 코너 사시도이다.
제15도는 제14도의 코너의 단면 사시도이다.
제16도는 내부에서본 제1도의 측면벽 사시도이다.
제17도는 제16도의 측면벽의 부분파단된 확대 사시도이다.
제18도는 제17도에서 도시된 힌지 종단도이다.
제19도는 제1도의 컨테이너의 외측면도이다.
제20도는 제1도의 컨테이너의 출입구 끝단 부분 사시도이다.
제21도는 제12도에서 도시된 쐐기/팩(peg) 결합의 확대 사시도이다.
제22도는 결합된 상태를 도시해주는 더 확대된 사시도이다.
제23도는 베이스를 상부에 결합시키는 시스템의 확대 사시도이다.
제24도는 베이스를 상부에 결합시키는 다른 시스템의 확대 사시도이다.
제25도는 베이스를 상부에 결합시키는 또다른 시스템의 확대 사시도이다.
제26도는 반접힌 상태인 제2도의 컨테이너 사시도이다.
제27도는 적재 배열된, 제1도에서 도시된 형태의 4개의 접힌 컨테이너 사시도이다.
제28도는 적재된 위치에 하부핀을 가진, 제27도에서 도시된 접힌 상태로 쌓아 올려진 단면도이다.
제29도는 제28도와 비슷하나 컨테이너 하부속으로 결합된 하부핀을 가진 단면도이다.
모든 도면에서 같은 항목들은 같은 번호들로 붙여 졌다.
첫번째로 제1도를 참조하면, 절첩식 컨테이너는 베이스(10), 끝벽 (11)(12), 측면벽 (13)(14) 및 상부벽 (1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 그리고 후속 도면들에 도시된 컨테이너는 끝벽 (11)에 출입구 (16)을 가지고 끝벽 (12) (중간 생략 제2도 참조)에서는 닫힌다.
본 컨테이너는 제2도에서 도시되었듯이 다수의 강성 보강부재들로 제조된다.
특히 제3도 뿐 아니라 제2도를 참조하면, 베이스는 여덟 개의 강철부재(30-37)로 형성되는 직사각형과: 두 개의 틴위치 포켓 (38)(39): 그리고 네개의 코너 대좌(40-4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요소들은 모두 강성 구조물에 용접된다.
세측면으로 부터 위쪽으로 뻗은 것은 덮개벽 (44)(45)(46)이다.
(단지 작은 부분으로서 파선에 의해 표시된 가까운 것 (46)은 밑에 있는 구조물이 명백히 보이도록 도시되었다.)
덮개벽의 상변은 그것에 용접된 J-채널 철 부분품 (4)을 가지고, 이 부분품은 고무실과 함께 그것의 내부 표면 위에 정렬된다.
이 J-채녈 부분품은 또한 박스형 철강 부재들로 부터 위쪽으로 뻗은 다수의 동일한 일정 간격의 버팀대(47)로 지지된다.
보강 부재들 사이의 공간은 구조물에 더큰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서 압축강판(48-53)으로 갖추어 진다.
코너 대좌(40-43)는 이제 우선적으로 참조할 제4, 5 및 6도에서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각 대좌는 그 하부에는 입방체 케이싱 (54)을 그 상부에는 반원통형 하우징(55)을 포함하는 중공 금속주물로 이루어진다.
입방체 케이싱 들은 제4도에서 볼 수 있듯이 그것이 놓여있는 면으로 부터 컨테이너 베이스를 들어 올린다.
반원통형 하우징 (55)은 상부 챔버(chamber)(56)와 하부 챔버(57)를 가진다. (제28, 29도 참조)
상부 챔버는 실질적으로 컨테이너가 세워질때 컨테이너의 코너 기둥이 지탱되는 평평한 외부 표면 (58)과, 결합할 목적으로 인접한 상벽에 있는 고정 받침대의 잠금핀 (60)이 뻗어 통과할 수 있는 구멍 (59)을 포함한다. (지금부터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임)
하부 챔버 (57)는 입방체 케이싱 (54)안으로 뻗는 안전핀 (61)을 수용한다.
이 안전핀은 입방체 케이싱에 있는 상응하는 모양의 구멍 (64)(65)을 통해 조정되고, 핀축에 대해 핀 (61)을 회전 시킴으로써 위에 놓이는 컨테이너와 결합될 수 있도록 반대편 끝단에 확대된 해드 (62)(63)를 가진다.
핀 (61)의 조정과 회전은 핀해드(62)에 연결되고, 가는 그루브(67)를 경유해 반원통형 하우징으로 부터 튀어나온 레버(66)에 의해 실행된다.
두 위치 사이에서 핀을 안내할 목적으로 그리고 측면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반원통형 하우징내에 슬리브(sleeve)가 제공된다.
상기 슬리브들은 도해에서 혼동을 피하기 위해 도면들로 부터 생략 되었다.
대좌의 내부 면 가장자리 (68)은 후술되는 것처럼 대좌에 대한 코너 기둥의 강성 확보를 돕기 위한 너브 (69)들을 포함하고, 힌지링 (1)과 (2)는 출입구를 힌지하는 메카니즘을 위해서 반원통형 하우징의 베이스에 용접된다.
제7도를 참조하면, 끝벽은 박스형 강철로 된 상부 보강부재(72)와 바닥바(73)에 의해 분리되는 박스형 강철로 된 두개의 기둥 (70)(71)으로 이루어져 있다.
끝벽을 뒤틀림으로 부터 보강하는 평평한 철로된 보강지주(74)(75)(76)와 리브된 형태의 압축 강철 패널 (77)은, 끝 덮개벽 (45)내에 위치함에 따라 열린 바닥지역 (78)을 제외한 표면 위로 용접된다. (제3도 참조)
내뚫린 구멍 (79)가 볼트 (80)에 의해서 끝벽을 끝덮개벽에 단단히 결합할 목적으로 보강지주(76)에 제공된다.
그러나 이런것은 일반적으로 마찰 접촉이 충분함에 따라 필요치 않다.
기둥 (70)(71)은 끝벽이 세워질때 베이스에 있는 인접한 대좌들 사의 평평한 표면(81)(82)위에 조절되어 놓인다.
쐐기형 받침대(83)(84)는 끝벽이 컨테이너의 내부쪽으로 피봇팅 하도록 해준다.
이런 쐐기형 받침대들은 기둥 (70)(71)의 연장부위에 형성되고 각 관련 대좌의 내측면을 따라 뻗어 내려 가도록 조절된다.
쐐기형 받침대들이 형성되는 연장부들은 사각형 강철 부분품들이다.
구명 (85)(86)은 쐐기형 받침대들이 베이스에 있는 힌지링 (1)(2)사이에 힌지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해주는 힌지핀 (87)(88)을 받아 들인다.
코너 보강 그리고 실링판 (89)(90)은 끝벽의 상부 코너에 용접되고, 고무패드(91)(92)가 베이스 속으로 낮추어질때 끝벽을 완충할 목적으로 그위에 고정된다.
기둥 (70)(71)을 각 대좌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제8,9 또는 10도에 도시된 또다른 고정 메카니즘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카니즘은 기둥들의 평평한 표면 (81)(82)의 연장부로서 형성된 돌출 (tongue)부재(94)(95)(96)를 포함하는데, 대좌들의 상단에 있는 보충형태의 오목부들에서 맞물린다.
맞물릴 때, 상기 돌출부재들은 대좌들의 벽과 돌출부재에 있는 정렬된 구멍(100-106)을 통과하는 핀 (97)(98)(99)에 의해 대좌들에 결합된다.
제11도를 참조하면, 출입구를 포함하는 끝벽은 하부 연장 앵글 부분을 가진 두 개의 박스형 단면을 가진 곧바로선 기둥 (112)(113)을 포함한다.
뒤하부 앵글부분들은 또한 닫힌 끝벽과 비슷한 쐐기형태의 피봇을 포함하다.
박스형 단면의 상인방 (114)과 역시 박스형 단면의 디딤판 (115)은 강성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해서 기둥들 사이에 뻗어 있다.
이 구조물은 직각 받침판 (116)(117)을 포함한다.
이 끝벽을 위한 피봇팅 배치는 실질적으로 뒤 닫힌벽에 대한 것과 똑같으나, 이것을 얻기 위한 배치는 제12도에 도시된 것처럼 약간 수정된다.
여기서 쐐기형태의 피봇은 (중간생략 (218)항 참조) 측면벽들의 기둥 연장부에 돌출부로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구멍 (219)는 대좌에 있는 결합핀이 부가의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서 그속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각 기둥의 베이스에 형성된다.
다시 제11도로 돌아가서, 출입구는 종래의 힌지(119) (단지 일부분만이 도시됨)에 의해 각 기둥 (110)과 (111) (후자는 같은 것처럼 도시되지 않음)에 힌지로 연결되어 있는 직각 금속 패널 (118)로 이루어져 있다.
풀 - 바(pull-bar) 고정 시스템은 출입구를 상인방 (114)과 디딤판 (115)에 고정시킨다.
제13도는 컨테이너의 상부 벽을 도시한 것이다.
이 상부 벽은 강성 사각형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서 두 개의 박스형의 철로된 틴포켓 (128)(129)과 네개의 고정 받침대(130-133)와 용접된 여덟 개의 긴 철제 앵글 (120-127)로 이루어져 있다.
보강 부재들 사이의 공간은 압축 금속 패널들로 채워지는데, 그중의 하나가, 즉(134), 도시되어 있다.
이런 패녈들은 내부 방수와 뒤틀림 저항 구조를 확보하기 위한 곳에 용접된다.
상부 벽 주변은 그 주변에 용접되고 그 내부쪽 표면 위에 고무실 (201)과 함께 정렬된 철로된 J-채널 부분품 (200)을 포함한다. (제14, 28, 29 도 참조)
코너 받침대들은 컨테이너 위에 또다른 컨테이너가 올려질때 뿐 아니라 컨테이너가 접힐 때 대좌들에 결합하기 적합한 주강으로된 중공 하우징이다.
이런 코너 받침대 중의 하나가 제14도에 그리고 내부적으로는 제15도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구멍들 (135)은 인접한 상인방 (114)위에 형성된 러그들 (136)과 끝벽들의 상부 보강재(72)와 결합하기 위해서 상부 벽의 전후 가장자리를 따라 제공된다.
이제부터 측면벽들과 힌지 장치를 보여주는 제16, 17, 18 그리고 19도에 대해 참조 한다.
각 측면벽은 서로 종방향으로 힌지로 연결된 두 개의 강성 사각형 구조물 (140)(141)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구조는 끝 철제 앵글 부재(144)(145)와 금속 받침대(146)(147)에 의해 결합되는 평평한 금속 스트립 (142) (143)으로 형성된다.
충전재들이 제19도에서 명백히 도시되었듯이 얇은 금속판 형태 (148)로 제공된다.
측면벽 구조물들 사이의 이음힌지는 인접 가장자리들 위에 있는 눈모양의 플랜지 (149)(150)와 핀 (152)(153)에 의해 각 플랜지에 힌지로 연결된 눈모양의 금속 연결편 (151)로 이루어져 있다.
금속 형상의 실링덮개(154)는 제18도에 도시되었듯이 벽이 세워질 때 실링덮개가 힌지 이음에 대해 견고하게 밀 수 있도록 볼트들(155)에 의해 눈 모양의 플랜지(150)에 연결된다.
걸쇠(156)은 실링덮개를 플랜지(149)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한다.
이 걸쇠는 측면벽이 접혀져야 할때 실링덮게를 풀기 위해서 손으로 회전될 수 있다.
힌지(157)(158)은 축면벽을 상부 벽의 내부 가장자리와 베이스에 있는 덮개벽의 내부 가장자리에 연결시킨다.
철제 앵글부재(144)(145)는 끝벽들 주위를 둘러싸고, 지금부터 참조할 제21,22도에 도시되었듯이 쐐기형 팩 결합시스템에 연결시키기 위한것이다.
이 시스템은 각 기둥의 전면에 위치한 다수의 팩(116)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간생략 제11도 참조)
상기 팩들은 각각 주변에 있는 직각 쐐기를 유지하는 가늘고 긴 하우징(162)과 관련된 고정부재(163)를 가진다. (제11도에서 파단도로 도시되었지만, 실질적으로는 가늘고 긴 하우징에 영구히 유지된다)
이 구조는 철제앵글부재(144)(145)상의 눈 모양의 날개들이 쐐기를 유지하는 가늘고 긴 하우징들의 측면들 사이에, 그리고 제22도에 도시되었듯이 팩들(162)위로 꽉 맞는 형태이다.
이런 배치는 활주하는 고정부재(163)에 의해 팩 위로 함께 고정한다.
제23,24,25도는 상부 벽을 베이스에 고정시키는 다양한 시스템들을 도시해준 것이다.
이런 시스템들에서, 고정받침대(173)(174)(175)의 베이스에 있는 긴 홈이 뚫려 있는 연장부(170)(171)(172)는 인접한 대좌(176)(177)(178)의 상단에 형성된 오목부에 설치되고, 판(179)(180)(181)에 의해 거기에 고정된다.
제26도는 컨테이너가 접히거나 세워지는 동안에 컨테이너의 측면벽들이 어떻게 접히는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27도는 본발명의 접힌 컨테이너가 함께 쌓아 올려질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도시이다.
제28도와 29도는 제27도 에서 도시된 두 개의쌓아올려진 접힌 컨테이너를 함께 고정하는 법을 도시해주는 것이다.
이것은 제28도의 고정핀(61)을 회전시키고, 그것을 제29도에 도시된 것처럼 인접한 컨테이너의 고정 받침대(182)속으로 밀어내리고 핀을 고정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실행된다.
제20도는 관찰용 패널(190)이 지지대(191)상의 컨테이너 아래 어디에 집어 넣어지는 가를 도시해주는 것이다.
제20도는 또한 베이스의 바닥에 있는 나무 바닥(193)의 덮어 씌움에 적합하고 베이스의 금속 부분들에 견고하게 고정된 전형적인 바닥 고정점(192)을 도시해 준다.
상기에 기술된 접을 수 있고, 쌓을 수 있는 컨테이너는 다음과 같은 연속적 단계에 의해 세워진다.
1. 상부 벽을 베이스로 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코너 고정 받침대(130-133)에 있는 핀들(60)을 회전시킨다.
2. 지게차나 또는 기중기와 같은 적당한 들어올리는 장비로 상부 벽에 있는 틴포켓(128)(129)을 연결시키고, 측면벽들이 수직 위치까지 완전히 펼쳐지도록 부착된 측면벽과 함께 상부 벽을 들어 올린다.
3. 실링 덮개가 측면벽의 힌지들에 대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걸쇠들(156)을 고정시킨다.
4. 틴포켓으로 부터들어올리는장비를 분리시킨다.
5. 끝벽의 상부를 들어올리는 장비예 결합시키고, 끝벽의 대좌들 위에 끝벽을 피봇팅 함으로써 끝벽을 들어올린다.
6. 대좌들에 있는 핀들을 들어서 회전시킴으로써 관련 코너기둥에 연결시킨다.
7. 쐐기형 팩이 고정을 완성하고 출입구 구조물의 모든 측면 위예 고무실을 포함하는 위치로 활주하여 고정되도록 쐐기형 팩을 두둘긴다.
8. 컨테이너의 다른쪽 끝에 대해서 절차 5,6,7를 되풀이 한다.
이제 컨테이너가 똑바로 세워졌고 모든 측면사상 요소들에 대해 밀봉되었다.

Claims (20)

  1. 두 개의 대향하는 덮개벽과 덮개벽들의 상부 가장자리 아래에서 경계를 이루는 각 코너에 있는 내부 대좌를 가진 강성 보강 사각형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고 대향하는 덮개벽들을 관통해서 뻗어있는 지게차용 틴포켓들을 포함하는 베이스: 똑바로 세워진 컨테이너의 하중을 전달하고, 상기 대좌들에 의해 지지되고 대좌들 내에 위치해 있는 결합 요소들에 의해 대좌들에 고정되며, 또한 끝벽들이 컨테이너의 내부쪽으로 피봇할 수 있게 하는 피봇팅 장치를 포함하는 일체로된 측면 기둥을 포함하는 강성 보강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두 개의 끝벽 : 지게차용 틴포켓들과 각 코너에 있는 고정 받침대를 포함하는 사각형의 보강 구조물로 이루어진 상부벽 : 서로 종방향으로 힌지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인접한 덮개벽의 내부 가장자리와 상부 벽의 보강 종방향 가장자리에 힌지로 연결된 두 개의 강성보강 사각형 구조물로 이루어진 측면벽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 컨테이너는 부분 적으로 상부 벽을 들어 올리고, 대좌들로 부터 측면 기둥들을 푸고, 덮개벽들 사이에서 끝벽이 수평위치를 취하도록 각 끝벽을 컨테이너의 내부쪽으로 피봇시키고, 상부 벽을 낮춤과 동시예 각 측면벽이 덮개벽 내에 놓여있는 두 개의 대면 부분 속으로 접혀들어 가고 인접한 상부벽 주위가 실질적으로 덮개벽들의 외부면과 같은 평면상에 있도록 측면벽들을 접음으로써 절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박스형 컨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두 개의 대향하는 덮개벽을 서로 연결하는 제3의 덮개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절첩식 박스형 컨테이너.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덮개벽의 상부 가장자리와 일체로 된 J - 앵글 돌출부를 포함하며 J 의 몸체부분이 관련 덮개벽의 외부 면의 위쪽으로 또한 그 외부면과 같은 평면상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박스형 컨테이너.
  4. 제3항에 있어서, J - 앵글 돌출부내에 탄력있게 변형될 수 있는 실링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박스형 컨테이너.
  5.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베이스의 강성 보강 구조물이 코너들에서 간섭된 주조 금속 대좌들을 가진 박스형 보주위와 베이스의 종방향의 가장자리의 중간지점과 대칭인 두 위치에서 주변의 박스형 보들을 가로지르는 박스형 보의 틴 위치 포켓들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박스형 컨테이너.
  6. 제5항에 있어서, 보강 부분들 사이의 공간들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압축 금속 패널들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박스형 컨테이너.
  7. 제1항에 있어서, 대좌들이 그 하부에 인접한 컨테이너에 연결시키기 위한 핏팅을 갖추고 있고, 그 상부에는 코너 기둥을 인접한 컨테이너에 고정시키기 위한 팩 하우징을 갖추고 있는 중공 금속 주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는식 박스형 컨테이너.
  8. 제7항에 있어서, 상부에 있는 팩이 상부 영역 내에서 하우징된 위치와 상부 영역 내로 부터 부분적으로 연장된 부분 사이에서, 상기 상부 영역의 면에 있는 가느다란 그루브를 통해 뻗은 레버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있고, 이 레버는 팩이 코너기둥에 고정 하기 위한 부분적으로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팩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박스형 컨테이너.
  9. 제7항에 있어서, 상부 영역에서 또한 상부 벽을 베이스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부 벽의 고정 받침대의 연장부로서 형성된 대응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제2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박스형 컨테이너.
  10. 제9항에 있어서, 제2의 하우징과 그 대응요소는 핀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박스형 컨테이너.
  11. 제1항에 있어서, 각 측면 기둥상의 피봇팅 시스템은 굴곡된 내부쪽 표면이 힌지로 부착되게 된 기둥의 베이스로 부터 베이스의 이웃한각 대좌와 일체로 형성되어 놓여진 링 까지 뻗어있는 철제 앵글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박스형 컨테이너.
  12. 제1항에 있어서, 끝벽주의 하나가 출입구를, 형성하고 이 출입구는 반대측 기둥들에 힌지로 연결된 두 개의 바깥쪽으로 열리는 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박스형 컨테이너.
  13. 제12항에 있어서, 두 개의 끝벽중 다른 하나가 고정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박스형 컨테이너.
  14. 제1항에 있어서, 상부 벽 주위가 앵글 형태의 금속으로 제조되고, 각 코너에 있는 주조 금속 부품과 더 긴측면들 사이에 뻗도록 대칭적으로 배치된 박스형 단면의 틴 위치 포켓들에 의해 교차되며 그리고 그중에 모든 이런 보강 부재들 사이의 공간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압축 금속판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박스형 컨테이너.
  15. 제1항에 있어서, 두 개의 강성 보강벽 구조물 성분 사이의 종방향 힌지 영역과 겹치는 각 측벽의 내면 위에 실링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박스형 컨테이너.
  16. 제15항에 있어서, 실링 덮개가 압축 금속으로 제조되고 컨테이너의 측면벽들이 세워질때 힌지 지역 위예 견고하게 맞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박스형 컨테이너.
  17. 제16항에 있어서, 실링 덮개의 하부의 종방향의 가장자리가 하부의 측면벽 구조물의 내부 가장자리에 영구히 고정되고, 클립에 의해서 상부 측면벽 구조물의 하부의 내부 가장자리와 확실하게 유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박스형 컨테이너.
  18. 제1항에 있어서, 세워졌을 때 표준선적 컨테이너와 같은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박스형 컨테이너.
  19. 제1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접혔을때 표준 선적 컨테이너가 차지하는 공간의 약 1/4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박스형 컨테이너.
  20. 첨부 도면들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참고로 하여 본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기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박스형 컨테이너.
KR1019900700834A 1988-08-23 1989-08-18 절첩식 컨테이너 KR0148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I998388 1988-08-23
AUPI9983 1988-08-23
PCT/AU1989/000354 WO1990002084A1 (en) 1988-08-23 1989-08-18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1609A KR900701609A (ko) 1990-12-03
KR0148345B1 true KR0148345B1 (ko) 1999-02-18

Family

ID=3773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0834A KR0148345B1 (ko) 1988-08-23 1989-08-18 절첩식 컨테이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190179A (ko)
EP (1) EP0431012B1 (ko)
JP (1) JPH04501097A (ko)
KR (1) KR0148345B1 (ko)
CN (1) CN1031497C (ko)
CA (1) CA1328631C (ko)
DE (1) DE68912132T2 (ko)
WO (1) WO1990002084A1 (ko)
ZA (1) ZA89622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4974A2 (ko) * 2009-07-09 2011-01-13 Hong Kyoung Sam 폴딩형 하우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4027A (en) * 1993-02-25 1994-03-15 Bel-Art Products, Inc. Portable combination table top/basket apparatus
US5415311A (en) * 1994-04-22 1995-05-16 Rees Operations Pty. Ltd.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s
GB2299984A (en) * 1995-04-08 1996-10-23 John Alexander Simmonds Foldable container
IT242488Y1 (it) * 1996-07-30 2001-06-14 Europ Aviat Products Srl Container pieghevole per aeromobili
US5865334A (en) * 1996-09-09 1999-02-02 Ruiz; Diego M. Collapsible container
US5833111A (en) * 1997-09-25 1998-11-10 Saf-T-Box, Inc. Foldable storage container
ZA9710881B (en) * 1997-12-03 1998-09-30 Philippus Johannes Cor Schutte Container
US20010013319A1 (en) * 1998-09-11 2001-08-16 Peter C. Craig Portable pen for shipping livestock by container ship, rail and truck
US6024223A (en) * 1999-02-04 2000-02-15 Technology Container Corporation Storage container including a mounting clip an associated mounting clip, and an associated method
BR0009625B1 (pt) * 1999-11-03 2010-11-16 caixa de estrado desmontável.
FR2801042B1 (fr) * 1999-11-17 2002-02-08 Cir Conteneur repliable pour le transport combine "rail-route" de marchandises
WO2001040064A1 (en) * 1999-12-02 2001-06-07 Arrow Dynamics, Inc.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s and methods for collapsing the same
DE50104218D1 (de) * 2001-07-17 2004-11-25 New Logistics Gmbh Zusammenfaltbarer Transportcontainer
GB2377924B (en) * 2001-07-25 2005-03-02 China Int Marine Containers A container
US7337914B2 (en) * 2001-09-17 2008-03-04 Martin Spindel Frame structure for a collapsible box with top access, side access and interconnected vertical stacking
US6729098B1 (en) * 2002-07-23 2004-05-04 James F. Brennan, Jr. Adjustable height corner fitting
ATE356035T1 (de) * 2002-11-05 2007-03-15 Utz Georg Holding Ag Zusammenfaltbarer lager- und transportbehälter
DE10251445B4 (de) 2002-11-05 2005-09-01 New-Logistics Gmbh Behälter zum Transport von Gütern
US7028635B1 (en) 2003-05-29 2006-04-18 Eastman Ii Robert Wild game feeder with collapsible reservoir
EP1707505A4 (en) * 2004-01-23 2008-08-20 Tas Express Co Ltd CONTAINER
US20060016807A1 (en) * 2004-07-23 2006-01-26 F.W. Sunny Way Enterprise Co., Ltd. Foldable freight container
ITRE20040096A1 (it) 2004-08-02 2004-11-02 T M T Prefabbricati Metallici Unita' mobile, a mantice, di pronto intervento
AU2005279714B2 (en) * 2004-09-01 2011-12-22 Collapsible Containers Limited A large collapsible container with central hinges in side covers
WO2006024104A1 (en) * 2004-09-01 2006-03-09 Container Technology Pty Ltd A large collapsible container with central hinges in side covers
US7374056B2 (en) * 2004-12-30 2008-05-20 Miguel Linares Collapsible freight container incorporating powder impression molded panels formed about a three-dimensional and interlocking skeletal structure and a mold process for creating the same
US7441671B2 (en) * 2005-03-10 2008-10-28 Superior Bulk Containers Ltd. Shipping container with auxiliary door for bulk cargo
US9067729B2 (en) 2005-09-02 2015-06-30 Sti Holdings, Inc. Compartmentalized stacking posts and container with compartmentalized stacking posts
WO2007030535A2 (en) * 2005-09-06 2007-03-15 Pods Enterprises, Inc. Foldable container
US9045280B2 (en) * 2006-01-05 2015-06-02 Alex Bellehumeur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DE202006008574U1 (de) * 2006-05-30 2007-10-11 WEW Westerwälder Eisenwerk GmbH Tankcontainer
NL1032261C2 (nl) * 2006-08-01 2008-02-05 Feasible Innovations B V Vouwbare behuizing.
US7703632B2 (en) 2006-08-04 2010-04-27 Kochanowski George E Stackable and collapsible container
CN200985180Y (zh) * 2006-09-01 2007-12-05 毛昭宁 可折叠式集装箱
US7823739B2 (en) * 2006-12-08 2010-11-02 C Cubed I Llc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
JP4705011B2 (ja) * 2006-12-27 2011-06-22 株式会社Map狭山 アルミニユムの溶湯製造装置体
US20080190922A1 (en) * 2007-02-08 2008-08-14 Kraeling Brett B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
JP5377338B2 (ja) * 2007-03-21 2013-12-25 インディアン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テクノロジー デリー 折畳み及び展開可能な輸送用コンテナ及び輸送用コンテナを折畳み及び展開する方法
EP2132111B1 (en) * 2007-04-09 2011-11-02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Delhi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folding and unfolding a foldable transport container
US8408411B2 (en) * 2007-07-11 2013-04-02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S.A. Collapsible plastic container
US8960468B2 (en) 2007-09-20 2015-02-24 Norduyn Inc. Collapsible container
CN101423139B (zh) * 2007-10-30 2011-09-21 上海富日商务咨询有限公司 折叠货柜的锁具组件
JP2008144179A (ja) * 2007-11-30 2008-06-26 Minoru Sakamoto 炭窯外で炭材を詰め込み窯内に持ち込み、炭を焼成するコンテナ
DE102008029872B4 (de) * 2008-06-24 2010-06-24 George Minko Mobiles Gebäude
WO2010045150A1 (en) * 2008-10-13 2010-04-22 Wabash National, L.P. Foldable mobile storage container
AU2009335588B2 (en) * 2009-01-05 2014-05-15 Treck Pty Ltd Collapsible containers
DE102009020599B4 (de) 2009-05-08 2013-07-18 Eckhard Aust Zusammenklappbarer Container
JP5352346B2 (ja) * 2009-05-28 2013-11-27 株式会社ニフコ 折り畳み式収納箱
CN102822611A (zh) * 2009-09-15 2012-12-12 N·M·斯卡博维格 冷藏货物容器
US8342347B2 (en) * 2009-10-08 2013-01-01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S.A. Collapsible container with a sliding lock feature
CN102822063B (zh) * 2009-12-29 2015-09-09 R3复合材料公司 散装材料容器
ITMI20101023A1 (it) 2010-06-09 2011-12-10 Ivo Giovannini Container iso auto-colassabile automatizzato
CN102452535A (zh) * 2010-10-25 2012-05-16 荷兰集装箱创新有限公司 可折叠式集装箱及偏压机构
WO2012103133A1 (en) * 2011-01-26 2012-08-02 Paul Warner Dual-side unfoldable building modules
CN106081392B (zh) 2011-08-15 2020-01-07 乔治·E·科查诺斯基 货柜门总成
WO2013025663A1 (en) 2011-08-15 2013-02-21 Kochanowski George E Jointed member
ES2563002T3 (es) 2011-08-15 2016-03-09 George E. Kochanowski Contenedor de carga plegable de manera reversible
CL2011003232A1 (es) * 2011-12-21 2012-07-13 Claudio De Los Sagrados Corazones Arteaga Reyes Contenedor plegable que comprende un piso, un panel frontal con puertas de acceso, un panel trasero, un techo, paredes laterales derecha e izquierda, juntas o uniones abisagradas, medios de anclaje laterales, medios para bloquear el abatimiento de los paneles y medios para bloquear o desbloquear el plegado; metodo; uso; sistema.
NL2009992C2 (en) * 2012-01-16 2013-09-30 Holland Container Innovations B V Collapsible transport container.
US8978912B1 (en) 2012-03-19 2015-03-17 Response Holdings Corporation Collapsible shipping tote
CN102642681A (zh) * 2012-04-24 2012-08-22 汤树林 可拆卸式组合敞口液罐及其安装及拆卸方法
KR101258612B1 (ko) * 2013-01-10 2013-04-26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접이식 컨테이너
CN105517912B (zh) * 2013-03-13 2017-10-17 海箱公司 具有自携式附接构件的可塌缩可堆叠集装箱
US9108758B2 (en) 2013-03-13 2015-08-18 James F. Brennan, Jr. Collapsible stackable shipping container with self-contained attachment members
US20170021999A1 (en) * 2013-03-15 2017-01-26 William Pawluk Inter-modal shipping mini-containers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3253463A (zh) * 2013-06-03 2013-08-21 吴江市三达五金工具厂 一种可拼接的折叠式集装箱
ES2421059B1 (es) * 2013-06-18 2014-03-18 Miguel Antonio NAVALÓN SIMÓN Nuevo contenedor plegable
US8998011B2 (en) * 2013-07-09 2015-04-07 IP Power Holding Limited Collapsible rack
GB2524326B (en) * 2014-03-21 2017-12-20 Tim Wong Leung Novel freight container
US20150368035A1 (en) * 2014-06-19 2015-12-24 Innovative Trailer Design Technologies Inc. Intermodal shipping container box
EP3194302A1 (en) * 2014-09-19 2017-07-26 Compact Container Systems LLC Stacked collapsible container
US9688466B2 (en) * 2014-09-25 2017-06-27 Elias Jordan Ronstadt Vertically collapsible semi-truck trailer
CN105620950B (zh) * 2014-11-05 2017-11-24 大连中集物流装备有限公司 侧壁结构及具有其的可折叠式集装箱
KR101710255B1 (ko) 2015-01-19 2017-02-27 박용재 절첩식 컨테이너
WO2016195228A1 (ko) * 2015-06-02 2016-12-08 유혜진 절첩식 컨테이너 및 절첩식 컨테이너용 탄성 회동장치
EP3653533A1 (en) 2015-06-11 2020-05-20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folding and unfolding a foldable container
WO2017083093A1 (en) * 2015-11-10 2017-05-18 Utz Hans Collapsible container
CN109313068B (zh) 2016-04-07 2021-09-28 乔治·E·科查诺斯基 用于联运货运集装箱的秤
CN107840016B (zh) * 2016-09-19 2020-01-21 中集多式联运发展有限公司 一种角柱及可折叠的集装箱
NL2018319B1 (en) * 2017-02-07 2018-09-03 Holland Container Innovations B V Intermodal container
CN107288446B (zh) * 2017-08-09 2022-05-20 浙江宏泰电子设备有限公司 一种卷帘门地锁
CN107985730A (zh) * 2017-11-24 2018-05-04 武汉理工大学 可回收快递盒及其使用方法
CN108001792B (zh) * 2017-11-24 2019-08-23 武汉理工大学 折叠回收式快递盒及其使用方法
CN110422432B (zh) * 2019-08-28 2024-01-26 安捷包装(苏州)股份有限公司 立柱和板拼接的箱体
US11767160B2 (en) 2021-02-25 2023-09-26 Boxwell LLC Flat-pack shipping container
WO2023112824A1 (ja) * 2021-12-16 2023-06-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折り畳みコンテナ
WO2023205856A1 (en) * 2022-04-28 2023-11-02 Spectainer Pty Ltd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66409A (en) * 1954-01-29 1957-01-23 Zagerij En Kistenfabriek F L H Foldable and dismountable packing container or case
FR1170848A (fr) * 1956-01-12 1959-01-19 Ti Group Services Ltd Container, en particulier pour véhicules routiers et ferroviaires
DE1020271B (de) * 1956-05-07 1957-11-28 Karl Dahmen Transportbehaelter mit flexiblen, einknickbaren Waenden
DE3200216A1 (de) * 1981-01-09 1982-08-12 Juan Bautista 1425 Buenos Aires Bigliardi Zusammenlegbarer und stapelbarer behaelter
GB1127435A (en) * 1965-09-13 1968-09-18 Henry John Kennard Improvements in collapsible rectangular-side units such as containers for goods transport
US3570698A (en) * 1968-12-09 1971-03-16 Robert S Dougherty Portable and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
US3602388A (en) * 1969-03-05 1971-08-31 Charles H Hurkamp Folding enclosure
US3765556A (en) * 1969-09-11 1973-10-16 Allied Prod Corp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
ES386015A1 (es) * 1970-09-04 1973-03-16 Bonomi Contenedor de transporte plegable.
US3796342A (en) * 1972-06-05 1974-03-12 Pinckney Molded Plastics Collapsible container
US4088238A (en) * 1975-07-16 1978-05-09 Schering Aktiengesellschaft Frame container for pressure vessels
JPS5256276U (ko) * 1975-10-22 1977-04-22
JPS5320269U (ko) * 1976-07-29 1978-02-21
US4360115A (en) * 1978-03-09 1982-11-23 Saunders George D Sectional multi-purpose cargo container
JPS5522353A (en) * 1978-08-08 1980-02-18 Iseki Agricult Mach Lateral turning system fruit selecting machine
US4214669A (en) * 1979-01-15 1980-07-29 Mcquiston William W Cargo container
US4388995A (en) * 1981-06-08 1983-06-21 Ahn Min H Collapsible container
CA1209929A (en) * 1983-11-30 1986-08-19 Westway Forwarding Limited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
SE449339B (sv) * 1984-09-14 1987-04-27 Scandinavian Transshipment Ab Hopfellbar container
US4684034A (en) * 1985-01-10 1987-08-04 Nisso Sangyo Co., Ltd. Folding container
US4577772A (en) * 1985-03-26 1986-03-25 Bigliardi Juan B Collapsible containers
JPS6344482A (ja) * 1986-07-31 1988-02-25 日綜産業株式会社 折り畳み自在なコンテナ
CA1282370C (en) * 1987-03-23 1991-04-02 Karl Herman Nofer Tamper-evident closure cap and container
AU2595988A (en) * 1987-11-25 1989-06-01 Michael Gallagher A collapsible freight contai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4974A2 (ko) * 2009-07-09 2011-01-13 Hong Kyoung Sam 폴딩형 하우스
WO2011004974A3 (ko) * 2009-07-09 2011-04-14 Hong Kyoung Sam 폴딩형 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12132D1 (de) 1994-02-17
EP0431012B1 (en) 1994-01-05
DE68912132T2 (de) 1994-07-07
CN1041139A (zh) 1990-04-11
EP0431012A1 (en) 1991-06-12
CA1328631C (en) 1994-04-19
EP0431012A4 (en) 1991-12-04
KR900701609A (ko) 1990-12-03
CN1031497C (zh) 1996-04-10
US5190179A (en) 1993-03-02
ZA896229B (en) 1990-05-30
WO1990002084A1 (en) 1990-03-08
JPH04501097A (ja) 1992-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8345B1 (ko) 절첩식 컨테이너
US5265748A (en) Multi-purpose container
US6109469A (en) Freight container
US5509714A (en) Frameless container for carrying cargo having overlapped sidewalls and a unitary bottom scuff panel
EP1796990B1 (en) A large collapsible container with central hinges in side covers
US3403806A (en) Collapsible container construction
CA1072463A (en) Collapsible containers
US6112929A (en) Collapsible cargo container and method or use
SK280970B6 (sk) Poskladateľný zásobník
US6739468B1 (en) Freight container
US4546896A (en)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
US20100135742A1 (en) Enclosed Shipping Platform
US46180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ipping and storing cargo
EP0090194B1 (en) Cargo containers
US5449082A (en) Lift fitting for cargo containers
EP0319974B1 (en) Multi-purpose container
GB2376014A (en) Folding flatrack with outward bracing
US20040222219A1 (en) Freight container
US4593831A (en) Containers
AU621653B2 (en)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
GB2256630A (en) Folding flatrack
GB2303360A (en)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
KR200409759Y1 (ko) 좌굴강도 보강 선적 컨테이너
GB2251237A (en) A kit for erection into a freight container
WO2004106678A1 (en) Standardised hinge for flatrack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