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201B1 - 커플링 저어널에 커플링 슬리브를 연결하는 커플링 - Google Patents

커플링 저어널에 커플링 슬리브를 연결하는 커플링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201B1
KR0148201B1 KR1019950006311A KR19950006311A KR0148201B1 KR 0148201 B1 KR0148201 B1 KR 0148201B1 KR 1019950006311 A KR1019950006311 A KR 1019950006311A KR 19950006311 A KR19950006311 A KR 19950006311A KR 0148201 B1 KR0148201 B1 KR 0148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olt
journal
locking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6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리샤트 디트마
길레 빌프리드
Original Assignee
롤프 외스터리히트; 베르너 내퍼
지케이엔 겔렌크벨렌바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롤프 외스터리히트; 베르너 내퍼, 지케이엔 겔렌크벨렌바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롤프 외스터리히트; 베르너 내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2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5/00Drives for metal-rolling mills, e.g. hydraulic drives
    • B21B35/14Couplings, driving spindles, or spindle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or specially arranged in, metal-rolling mills
    • B21B35/141Rigid spindle couplings, e.g. coupling boxes placed on roll ne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16D1/108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having retaining means rotating with the coupling and acting by interengaging parts, i.e. positive coupling
    • F16D1/116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having retaining means rotating with the coupling and acting by interengaging parts, i.e. positive coupling the interengaging parts including a continuous or interrupted circumferential groove in the surface of one of the coup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5/00Drives for metal-rolling mills, e.g. hydraulic drives
    • B21B35/14Couplings, driving spindles, or spindle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or specially arranged in, metal-rolling m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Dowel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Adornment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플링 저어널(8)에 커플링 슬리브(7)을 연결하는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비회전 연결부를 얻는 것과 달리, 커플링 저어널(8)에 커플링 슬리브(7)을 축방향으로 고정하고 보유하는 목적을 위해 커플링 저어널(8)에 로킹면(16)을 포함하는 로킹 리세스(15)를 제공하는 것이 제안된다. 커플링 슬리브(7)내에는 로킹면(16)을 보충하는 볼트면(26)을 포함하고 로킹면(16)의 방향의 스프링력하에 이동가능한 볼트(25)가 있다. 볼트(25)는 볼트면(26)과 함께 내부의 커플링 저어널(8)을 로킹 리세스(15)내에 수용할 목적으로 커플링 슬리브(7)의 수용 구멍(23)의 벽을 넘어 돌출한다. 또한 볼트(25)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힘에 의해 해제 위치로만 이동가능한 로킹 요소(35)에 의해 보유된다.

Description

커플링 저어널에 커플링 슬리브를 연결하는 커플링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커플링에 의해 연결되고 결합된 위치이며 롤의 구동에 각각 사용되는 2개의 구동축과, 롤 스탠드와, 구동부와, 구동축의 보유 장치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커플링이 해제된 위치인 제1도의 조립체의 도면.
제3도는 커플링 슬리브 및 커플링 저어널이 결합 위치에서도 축방향 상대 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실시예를 확대 도시한 제1도의 X의 상세도.
제4도는 커플링 슬리브 및 커플링 저어널이 결합 위치인 제3도의 Y의 확대 상세도.
제5도는 제4도와 유사하나 커플링 슬리브가 해제 상태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제6도는 커플링 슬리브 및 커플링 저어널 사이의 축방향 상대 이동이 결합 상태에서는 불가능하고, 또한 결합 작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롤러가 볼트와 관련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볼트 및 로킹 요소 사이에 여유가 있는 제3도에 대응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구동부 2: 롤 스텐드
3: 구동축 4, 5: 조인트
6: 플런지부 7: 커플링 슬리브
8: 커플링 저어널 9: 플랜지
10: 포획 수단 11, 11a: 중심 설정 링
12, 13: 종축 14: 중심 설정 홈
15: 로킹 리세스 16: 로킹면
17, 17a: 외부면 18: 중심 설정면
19: 지지체 20: 개구
21: 외부면 22: 스크루
23: 수용 구멍 24: 벽
25: 볼트 26: 볼트면
27: 구멍 28: 구멍축
29: 홈 30: 보유 핀
31: 스프링 32: 구멍
33: 보유면 34: 개구면
35: 로킹 요소 36: 카운터면
37: 작동핀 38: 작동면
39, 40: 리세스 41: 안내 구멍
42: 로크 43: 구멍
44: 스프링 45: 작동핀
46: 개방 공구 47: 중심 설정 돌출부
48: 축방향 정지부 49: 단부면
50: 정지부 51: 롤러
52:지지 장치 53: 외부면
54: 여유 55: 기부
56: 단부면
본 발명은 커플링 슬리브를 커플링 저어널에 제거가능하게 연결하고, 커플링 슬리브는 결합 상태에서 커플링 저어널에 맞물린 수용 구멍을 포함하고, 커플링 슬리브 및 커플링 저어널은 결합 상태로 이송되기 위해 커플링 슬리브 및 커플링 저어널의 종축의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이동가능하고, 결합 방향에 대해 커플링 저어널에 대해 커플링 슬리브를 제거가능하게 포획하는 수단이 제공되고, 수단은 커플링 저어널의 외부면의 로킹면을 갖는 로킹 리세스와, 로킹면과 협동하는 볼트면을 포함하고 그 볼트면으로 커플링 슬리브의 수용 구멍의 벽을 넘어 내측으로 돌출하는 로킹 위치로 또는 수용 구멍으로부터 인출되는 분리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볼트와, 볼드롤 로킹 위치에 로크하고 힘이 외부에서 인가될 때 해제 위치로 이송될 수 있는 스프링 로드(load) 로킹 요소를 포함하는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커플링은 미합중국 특허 US 43 92 759호에 기재되어 잇다. 커플링 저어널에는 다중 스플라인 단면과 연속 홈이 제공된다. 커플링 슬리브는 다중 스플라인 단면을 갖는 대웅 구멍을 포함한다. 커플링 슬리브의 벽에는 작은 직경을 갖는 단부에서 커플링 저어널의 연속 홈과 협동하는 볼트면을 포함하는 볼트가 삽입되는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단이 진 구멍이 제공된다. 볼트는 버섯 형상이다. 즉, 외측을 향해 증가된 직경의 방사상 연장 구멍의 부분과 맞물리는 확대된 헤드를 포함한다. 이 구멍의 단의 단부면 및 볼트의 증가부의 단부면 사이에는 볼트를 홈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해 외측으로 로드하는 스프링이 삽입된다. 커플링 슬리브에는 로킹 위치 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로드되고 경사면에 의해 볼트를 그 맞물린 위치로 로드하는 로킹 요소를 구성하는 축방향 이동 슬리브가 이동된다. 커플링 저어널을 커플링 슬리브로 미끄러지게 하기 위해, 커플링 요소는 볼트가 스프링력하에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을 때까지 변위되어야 한다. 이 위치에서, 슬리브 형태의 로킹 요소를 커플링 슬리브에 축방향 회전에 의해 보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독일 특허 DE-AS 12 73 918호는 서로 대응하는 구멍들을 갖고 종축에 대해 각도로 연장되는 커플링 슬리브 및 커플링 저어널을 갖는 커플링을 개시한다. 커플링 저어널의 구멍은 탄성 고무 요소에 의해 커플링 슬리브의 구멍에 대해 맞물리는 위치로 가압되는 볼트를 지지한다. 공구에 의해 상기 볼트는 고무 패드의 힘에 대항하여 해제 위치로 상기 맞물림 위치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커플링 슬리브는 커플링 슬리브 및 커플링 저어널을 함께 움직일 때 볼트를 고무 패드의 힘에 대해 대항하여 결합 작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인출 위치로 가압하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또한 독일 특허 DE-GM 19 21 517호는 구동될 롤에 부착된 커플링 저어널이 원형 단면과 다른 장방형 단면을 갖고 그에 의해 저어널이 커플링 슬리브의 대응 수용 구멍에 비회전식으로 수용되는 부분 원통형 외부면을 포함하는 커플링을 개시한다. 커플링 슬리브는 예를 들어 구동축을 단축함에 의해 커플링 슬리브가 커프링 저어널로부터 당겨져 분리될 수 있도록 2개의 연결 지점 사이에서 길이의 변화를 허용하는 구동축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역으로 구동축을 신장함에 의해 커플링 슬리브는 가압 방향으로 커플링 저어널로 미끄러질 수 있다. 압연기에서 롤을 교환할 경우, 예를 들어 연결부를 이같은 방식으로 헤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축방향에서 커플링 저어널 및 커플링 슬리브 사이에 견고한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은 커플링 슬리브를 커플링 저어널로 미끄러지게 할 때 또는 커플링 저어널을 커플링 슬리브로 미끄러지게 할 때 자동으로 포획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목적은 연결이 결합 상태에서 보유되도록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볼트가 로킹 위치를 향한 스프링력에 의해 로드되고, 볼트는 로킹 요소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커플링 슬리브 및/또는 커플링 저어널을 결합 방향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분리 위치로 가압될 수 있고 힘이 외부로부터 더 이상 인가되지 않을 때 로킹 위치로 귀환하도록 복귀 가압 될 수 있고, 볼트를 수용하는 구멍의 축은 수용 구멍의 종축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고, 구멍축은 종축와 예각으로 교차하고, 상기 각은 커플링 슬리브를 커플링 저어널을 향해 이동시킬 때 결합 방향으로 개방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과정에서, 볼트는 미끄럼 방향에 대해 커플링 슬리브가 커플링 저어널에 대해 고정되도록 보장한다. 연결이 우발적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가적인 안전 장치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에 의해 해제 방향으로만 이송될 수 있는 로킹 요소에 의해 제공된다. 볼트와 맞물릴 때 로킹 요소는 볼트가 스프링력을 통해 그 로킹 위치에 맞물릴 때 자동적으로 그 고정 위치를 취한다. 보트 및 로킹 위치의 로킹 요소 사이에 영구 접촉이 제공되면, 결합 방향에 반해 볼트에 작용하는 임의의 힘은 특이 틈이 없는 방식으로 로킹 요소에 의해 커플링 슬리브로 도입된다. 그 결과, 연결이 풀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볼트를 수용하는 구멍은 바람직하게는 종축에 대해 45도 내지 55도의 각도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볼트는 구멍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핀의 형체로 제공되고, 핀의 단부면은 볼트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개념을 실현하기 위해 볼트의 볼트면이 커플링 슬리브의 수용 구멍의 종축과 교차하고, 로킹 리세스의 로킹면은 커플링 저어널의 종축과 교차하고, 교차각들은 모두 동일한 각이나, 상기 결합 방향과 반대로 개방되는 것이 제안되었다. 상기 각들은 바람직하게는 예각이고 45동 내지 55도에 이른다. 각들은 용이한 분리 작동을 보장하여야 한다.
볼트가 원통형 형상일 경우 반회전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복적을 위해 볼트에는 그 외부면에 안내핀과 맞물리는 홈이 제공될 수 있다. 볼트의 로킹면을 고정하기 위해 볼트는 볼트면에서 멀리 대면한 그 단부에 보유면과, 카운터면에 의해 안착되는 로킹 요소가 제공된다. 로킹 요소의 카운터면은 바람직하게는 보유면에 대해 압력 스프링으로 가압된다. 그러면 로킹 요소는 그 외부면에 의해 그것이 수용되는 리세스의 벽에 지지된다. 해제된 후 이는 자동적으로 그 로킹 위치를 취한다. 2개의 면들중 하나, 바람직하게는 볼트의 보유면은 제조 공차를 보상하기 위해 약간 구형으로 될 수 있다. 또한 로킹 위치를 향한 로킹 요소의 이동 방향으로 마모를 보상하는 이동 여유가 제공된다. 그러브로 로킹 위치에서 접촉이 보유면 및 카운터면 사이에만 존재한다는 것이 보장된다. 보유면 및 카운터면은 바람직하게는 자기 금지가 일어나도록 배치된다.
대안으로서, 틈없는 로킹 없이 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로킹 요소가 구멍 기부의 고정된 정지부가 볼트와 접촉함이 없이 구멍 기부의 고정 정지부 만큼 그 압력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게 된다. 커플링 저어널 및 커플링 슬리브가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될 때, 볼트는 처음에 로킹 요소의 카운터 영역에 대해 안착되기 전에 소량으로 복귀 가압된다. 커플링의 로킹 효과는 유지된다. 이 경우 로킹 요소의 보유면은 조임 여유의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멍축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로킹 요소를 해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외측 연장 작동핀이 제공된다. 작동핀은 예를 들어 커플링 슬리브의 외부면내의 리세스에서 종료되고, 또는 로킹 요소가 특수 지지체와 관련될 경우 지지체의 적절한 리세스내에서 종료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볼트 및 로킹 요소는 커플링 슬리브의 개구에 소용되는 이같은 별도의 지지체와 관련된다. 상기 개구는 커플링 슬리브의 외부면으로부터 수용 구멍으로 연장되고, 지지체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단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다수의 볼트 및 로킹 요소가 수용 구멍의 종축 주위로 분포되고 커플링 슬리브와 관련될 수 있다.
커플링 슬리브 및 커플링 저어널을 축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고정하는 2가지 대안이 있다. 즉 결합 및 포획 상태에서 양 부품 사이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연결과, 양 부품 사이의 상대 이동이 불가능하나 양부품이 축방향으로 또한 틈 없는 방식으로 서로 지지되는 배열이 있다.
부동(floating) 연결을 얻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서로 결합된 상태의 커플링 슬리브 및 커플링 저어널이 종축을 따라 상대 이동가능하고, 로킹 위치로의 볼트의 이동은 정지부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제안된다.
이동은 커플링 슬리브에 커플링 저어널의 단부면을 위한 축방향 정지부를 제공하고 양 부품 사이의 자유 공간을 제공합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커플링 슬리브 및 커플링 저어널 사이에 축방향 상대 이동이 일어나지 않을 경우, 커플링 저어널은 그 단부면에 의해, 커플링 슬리브의 축방향 정지부에 대해 견고히 안착된다.
특히 구용구멍으로부터 인출된 위치로의 볼트의 결합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볼트가 볼트면으로부너 멀리 대면하는 그 단부면의 일부분에서 롤러를 지지하는 것이 제안된다. 양 부품, 즉 커플링 슬리브 및 커플링 저어널을 서로를 향한 결합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커플링 저어널은 처음에 롤러를 접촉하고, 커플링 저어널에 결합 방향으로 계속 이동됨에 따라 롤러는 그위를 구르고, 볼트를 인출 위치로 이동시킨다.
마지막으로 커플링 슬리브에 로킹 요소를 해제 위치를 향해 이동하도록 로드하는 공구를 인가하는 중심 설정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제안된다.
공구는 바람직하게는 결합 및 분리 작동을 위해 커플링 슬리브를 지지하는 장치의 일부분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압연기의 구동축에의 응용이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는 롤 스탠드(2)의 롤들을 구동하는 구동부(1)을 도시한다. 2개의 롤을 연결하기 위해 구동축(3)이 제공된다. 구동축(3)은 입력 및 출력 단부 사이의 관절 연결을 허용하는 2개의 이격된 조인트(4, 5)와, 구동축의 위치의 임의의 변경으로부터 발생되는 길이의 변화를 보상하는 플런지부(6)으로 구성된다. 도면들은 또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저어널(8)에 연결되는 역할을 하고 조인트(5)에 연결된 커플링 슬리브(7)을 도시한다. 커플링 슬리브(7)에는 포획 수단(10)이 제공된다. 커플링 슬리브의 종축에는 참조 부호 12가 부여되고, 커플링 저어널의 종축에는 참조 부호 13이 부여된다. 커플링 슬리브(7)을 커플링 저어널(8)에 연결하기 위해 구동축은 조인트(5)를 롤 스탠드(2)를 향해 우측으로 이동시킴에 의한 길이의 변화를 겪어야 한다. 종축(13)을 갖는 커플링 저어널(8)을 향한 종축(12)를 갖는 커플링 슬리브(7)의 결합 이동은 방향(N)으로 연장 된다. 커플링 슬리브(7) 및 커플링 저어널(8)은 그 종축(12, 13)들이 대응 위치를 취하도록 정렬된다. 커플링 저어널과 함께 롤이 커플링 슬리브(7)을 향해 이동되어 고정 유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결합 및 분리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이 작동중 구동축(3)을 지지하는지지 장치(52)가 제공되고, 또한 로크된 커플링을 해제하는 개방 공구(46)이 제공된다.
제3도는 커플링 슬리브(7)이 보유된 플랜지(9)를 지지하는 조인트 요크를 갖는 유니버설 조인트를 포함하는 구동축(3)을 도시한다. 플랜지(9)와 대면하는 단부와 그로부터 먼 단부에서 커플링 슬리브(7)은 커플링 저어널(8)에 대해 중심을 설정하는 중심 설정 링(11, 11a)를 포함하며 이는 커플링 저어널(8)의 단면이 원형 단면과 다르기 때문이다. 커플링 슬리브(7)의 수용 구멍(23)은 상기 단면에 적합하게 되어있다. 수용 구멍(23)의 벽에는 참조 부호 24가가 부여된다. 수용 구멍(23)은 종축(12)를 갖는다. 또한, 커플링 슬리브(7)의 외부면에는 개방 공구의 중심 설정 돌출부를 부착하는 중심 설정 홈(14)가 제공된다. 또한 커플링 슬리브(7)의 개구에 미끄럼 방향에 대해 커플링 저어널(8)에 커플링 슬리브(7)을 축방향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포획 수단(10)이 배열된 것을 알 수 있다.
제4도 내지 제6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플링 저어널(8)의 외부면(17, 17a)에는 로킹 리세스(15)가 제공된다. 로킹 리세스(15)는 커플링 저어널(8)의 종축(13)에 대해 약 45도 내지 55도의 각도(B)로 배열되고 커플링 슬리브(7)의 결합 방향(N)에 반대인 방향으로 개방된 로킹면(16)을 포함한다.
그 전방 단부를 향해서, 커플링 저어널(8)에는 원추형으로 연장되는 중심 설정면(18)이 제공된다. 커플링 저어널(8) 주위로 연장되는 홈으로 설계될 수 있는 로킹 리세스(15) 및 중심 설정면(18) 사이의 영역에 외부면(17)이 제공된다. 외부면(17, 17a)에 의해, 커플링 저어널(8)은 커플링 슬리브(7)의 수용 구멍(23)에 제공된다. 커플링 슬리브(7)은 단이 지고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반경방향 개구(20)을 포함한다. 포획 수단(10)은 상기 개구(20)에 삽입된다. 포획 수단은 개구(20)의 단의 면에 스크루(22)에 의해 체결되고 외측으로부터 상기 개구에 반경 방향으로 삽입되는 지지체(19)를 포함한다. 이는 수용 구멍(23)의 벽(24)까지의 거리로 연장된다. 이는 커플링 슬리브(7)의 외부면(21)에 대해 카운터싱크된다(countersunk). 지지체(19)에는 수용 구멍(23)의 종축에 대응 하는 커플링 슬리브(7)의 종축(12)와 같은 평면에 위치되고 종축과 45도 내지 55도의 예각인 각도(A)로 교차하는 구멍축(28)을 갖고 각도로 연장되는 구멍(27)이 배열된다. 각도(A)는 결합 방향(N)으로 개방된다. 구멍(27)은 커플링 저어널(8)과 대면하는 내부면으로부터 시작하는 막힌 구멍으로 설계된다. 원통형 볼트 형태의 볼트(25)가 구멍(27)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볼트(25)는 구멍축(28)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그 외부면에는 구멍축(28)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지지체(19)에 삽입되고 볼트(25)가 구멍(27)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유 핀(30)에 의해 맞물리는 홈(29)가 제공된다. 또한 홈과 연결된 보유 핀(30)은 수용 구멍(23)을 향한 방향으로의 내측으로의 볼트(25)의 변위를 제한한다.
제3도,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커플링 저어널(8) 및 커플링 슬리브(7) 사이의 상대 이동은 또한 결합 상태에서 일어나고, 홈(29)의 길이는 로킹 위치를 향한 내측으로의 볼트(25)의 이동이 볼트가 로킹 리세스의 기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한된다. 볼트(25)는 그 홈(29)의 정지부(50)에 의해 보유 핀(30)과 접촉한다. 커플링 저어널의 단부면(49) 및 커플링 슬리브의 축방향 정지부(48) 사이에는 축방향 거리가 있어 둘 사이의 공간의 한계내에서, 커플링 슬리브(7) 및 커플링 저어널(8)에 의해 상대 이동이 수행될 수 있게 한다. 축방향에서, 로킹 리세스(15)는 로킹면(16)에 반대로 위치한 로킹 리세스(15)의 면에 대한 볼트(25)의 볼트면(26)으로부터 멀리 대면한 면의 필요 이동을 허용하도록 대응 폭을 가져야 한다.
제6도의 실시예에서, 커플링 슬리브(7)은 중심 구멍에 삽입된 칼라를 갖는 부시를 포함하고, 칼라는 커플링 저어널(8)의 단부면(49)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축방향 정지부(48)을 포함한다. 또한 이 경우 볼트(25)는 볼트면(26)으로부터 멀리 대면한 그 단부면의 일부분으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직각으로 볼트(25)의 이동축과 교차하는 축상에서 볼트(2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51)을 포함한다.
제3도 내지 제6도의 실시예에서, 볼트(25)는, 한 단부는 볼트(25)의 막힌 구멍형 구멍(32)에 지지되고 다른 단부는 볼트(25)를 수용하는 막힌 구멍형 구멍(27)의 기부에 대해 지지되는 압력 스프링(31)이 삽입되는 구멍(32)를 포함한다. 스프링(31)은 볼트를, 수용 구멍(23)을 향해 제공된 볼트면(26)에 의해 구멍(23)으로, 즉 구멍벽(24)를 넘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내측으로 변위된 위치로 가압한다. 제3도 내지 제5도에 의한 실시예의 경우, 본트면(26)을, 커플링 슬리브(7)과 커플링 저어널(8)이 결합된 상태일 때 로킹 리세스(15)의 기부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 위치된 개구면(34)가 뒤따른다. 볼트면은 커플링 슬리브(7)의 종축(12)에 대해 45도 내지 55도의 각도(B)로 배치되고, 각도는 커플링 슬리브(7)이 저어널(8)로 미끄러지는 결합 방향(N)의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고, 그 크기는 로킹면(16)이 커플링 저어널(8)의 종축(13)에 대해 로킹면(16)이 배치된 각도에 대응한다. 제6도의 실시예에서, 개구면(34)는 롤러(51)에 의해 대체된다.
제4도 내지 제6도의 실시예에서, 볼트(25)는 볼트면(26)으로부터 멀리 대면하는 그 단부에, 로킹 요소(35)와 협동하는 보유면(33)이 제공된다. 로킹 요소(35)는 지지체의 리세스(40)내에서 방사상 이동가능하게 안내된다. 그 외부면(53)에 로킹 요소(35)는 볼트(25)의 보유면(33)에 대응하는 카운터면(36)을 포함한다. 로킹 요소(35)는 또한 안내 구멍(41)을 통해 외측으로 안내되고 리세스(39)로 돌출하는 방사상 외측 지향 작동핀(37)을 포함한다. 작동핀(37)은 그 작동면(38)과 함께 커플링 슬리브(7)의 외부면(21)에 의해 형성된 윤곽의 전방에서 종료된다. 즉 이는 그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또한 로킹 요소(35)에는 카운터면(36)이 보유면(33)과 접촉 유지되도록 로킹 요소(35)를 가압하고 리세스(40)내에 나사 결합된 로크(42)에 대해 다른 단부가 지지된 압력 스프링(44)에 의해 맞물린 막힌 구멍(43)이 제공된다. 보유면(33) 및 카운터면(36)이 자기 금지(self-inhibition)가 일어나도록 하는 각도(5도 이하)로 로킹 요소(35)의 축방향 이동에 대해 배치된 것을 알 수 있다. 제4도에서, 볼트(25)가 볼트면(26)에 대해 커플링 저어널(8)의 로킹 리세스(15)의 로킹면(16)에 대해 지지되어, 커플링 슬리브(7)이 결합 방향(N)에 대해 커플링 저어널(8)로부터 인출되지 않도록 보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합 방향(N)에 반해 볼트(25)에 작용하는 임의의 힘은 보유면(33)을 경유해 틈없는 방식으로 로킹 요소(35)의 카운터면(36)으로 외부면(53)을 통해 지지체(19)로 도입된다. 보유면(33) 또는 카운터면 중 하나,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보유면은 구형이어서, 공차가 보상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볼트(25)가 보유면(33)에 의해 로킹 요소(35)의 카운터면(36)에 대해 지지될 때 로킹 요소(35)가 그것이 수용되는 막힌 구멍형 리세스(40)의 단부에 대해 적절한 이동 자유도를 갖는 것이 보장된다.
연결은 커플링 슬리브(7)과 더 용이하게 관련될 목적으로 커플링 슬리브(7)의 외부면(21)의 중심 설정 홈(14)와 맞물리게 만들어진 중심 설정 돌출부(47)과 함께 제공되는 개방 공구(46)에 의해 풀어진다. 개방 공구(46)은, 그 중심 설정 돌출부(47)이 중심 설정 홈(14)에 위치될 때, 작동핀(37)과 그위치에 대해 대응하고 변위되었을 때 작동핀(37)의 작동면(38)을 로드(load)하여 로킹 요소(35)가 제4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제5도에 도시된 위치로 방사상 내측으로 이동되게 하고 카운터면(36)은 보유면(33)으로부터 이격 이동되어 볼트(25)가 더이상 보유되지 않게 하는 방사상 변위가능 작동핀(45)를 지지한다. 커플링 슬리브(7)을 결합 방향(N)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볼트(25)는 스프링(31)의 힘에 대해 인출 위치로 이동된다. 볼트(25)는 볼트면(26)에 의해 커플링 저어널(8)의 로킹 리세스(15)의 로킹면(16)상에서 미끄러진다. 이 이동은 개구면(34)가 외부면의 일부분(17a)에 안착하여 커플링 슬리브(7)이 커플링 저어널(8)을 떠날 수 있을 때까지 계속된다. 상기 이동이 중심 설정면(18)이 도달된 지점에 도달하자마자 볼트(25)는 스프링(31)의 힘에 의해 로킹면(16)이 수용 구멍(23)의 벽(24)를 지나 내측으로 돌출하는 내측 변위 위치로 다시 이동된다. 결합 작동중 이동은 역전된다. 커플링 슬리브(7)상의 커플링 저어널(8)로의 미끄러짐시, 중심설정면(18)은 볼트(25)를 로킹 리세스(15)가 도달될 때까지 인출 위치로 이동시키고, 볼트(25)는 스프링(31)의 힘으로 다시 내측으로 변위된다. 제6도의 실시예에서, 롤러(51)은 중심 설정면(18)로 구름 이동하여 볼트(25)가 로킹 리세스(15)가 도달될 때까지 인출 위치로 계속 이동시키는 힘을 받게 하고, 볼트(25)는 또한 다시 압력 스프링(31)의 힘으로 내측으로 변위된다. 그후 로킹 요소(35)는 작동핀(48)을 외측 이동시킴에 의해 해제되고, 로킹 요소(35)는 그 카운터면(36)에 의해 볼트(25)의 보유면(33)에 대해 안착되어 볼트를 로킹 위치에 보유한다. 제3도 내지 제5도의 실시예에서, 이 과정은 볼트(25)의 홈(29)의 정지부(50)이 보유핀(30)에 대해 안착될 때까지 계속된다. 제6도의 실시예에서, 볼트(25)의 내측 이동은 축방향 정지부(48) 및 단부면(49)에 의해 형성된 정지부에 의해 커플링 슬리브(7)과 커플링 저어널(8) 사이에 확고한 접촉이 확립될 때까지만 계속된다. 어느 경우에든 볼트(25)의 내측 이동은 홈(29)의 단부가 보유 요소(30)과 접촉할 수 있기 전에 종료된다. 개방 공구(46)은 이어서 제거된다. 개방 공구(46)은 연결 및 분리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동축의 일부분을 형성할 때, 예를 들어 커플링 슬리브(7)을 지지하는 지지장치(52)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압연기 구동부의 경우, 롤들이 교환될 때 본 발명에 의한 (제1도 및 제2도의) 것과 같은 커플링 슬리브를 포함하는 구동축을 지지하는지지 장치(52)가 제공된다.
제7도의 실시예에서, 여유(54)가 볼트(25)의 카운터면(26) 및 로킹 요소(35)의 보유면(33) 사이에 존재한다. 스프링(31)에 의해 로드되는 볼트(25)는 홈(29)의 정지부(50a)에 의해 보유핀(30)에 접촉하고, 반면 압력 스프링(44)에 의해 로드되는 로킹 요소(35)는 그 단부면(56)에 의해 리세스(40)의 기부(55)에 접촉한다. 커플링 저어널(8)을 미끄럼 방향(N)으로 이동시킬 때, 볼트(25)는 로킹 리세스(15)의 로킹면(16)에 의해 종축(28)을 따라 볼트면(26)위로 카운터면(36)이 로킹 요소(35)의 보유면(33)과 접촉될 때까지 계속 이동되고, 그 결과 그 이상의 이동은 방지된다. 카운터면(36)은 로킹 요소(35)의 미끄럼축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Claims (17)

  1. 커플링 슬리브(7)을 커플링 저어널(8)에 제거가능하게 연결하고, 커플링 슬리브(7)은 결합 상태에서 커플링 저어널(8)에 맞물린 수용 구멍(23)을 포함하고, 커플링 슬리브 및 커플링 저어널은 결합 상태로 이송되기 위해 커플링 슬리브(7) 및 커플링 저어널(8)의 종축(13)의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이동가능 하고, 결합 방향에 대해 커플링 저어널(8)에 대해 커플링 슬리브(7)을 제거가능하게 포획하는 수단(10)이 제공되고, 수단(10)은 커플링 저어널(8)의 외부면(17)의 로킹면(16)을 갖는 로킹 리세스(15)와, 로킹면(16)과 협동하는 볼트면(26)을 포함하고 그 볼트면(26)으로 커플링 슬리브(7)의 수용 구멍(23)의 벽(24)를 넘어 내측으로 돌출하는 로킹 위치로 또는 수용 구멍(23)으로부터 인출되는 분리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볼트(25)와, 볼트(25)를 로킹 위치에 로크하고 힘이 외부에서 인가된 때 해제 위치로 이송될 수 있는 스프링 로드 로킹 요소(35)를 포함하는 커플링에 있어서, 볼트(25)는 로킹 위치를 향한 스프링력에 의해 로드되고 로킹 요소(35)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커플링 슬리브(7) 및/또는 커플링 저어널(8)을 결합 방향(N)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분리 위치로 가압될 수 있으며 힘이 외부로부터 더 이상 인가되지 않을 때 로킹 위치로 귀환하도록 복귀 가압될 수 있고, 볼트(26)을 수용하는 구멍(27)의 축(28)은 수용 구멍(23)의 종축(12)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고, 구멍축(28)은 종축(12)와 예각(A)로 교차하고, 각(A)는 커플링 슬리브(7)을 커플링 저어널(8)을 향해 이동시킬 때 결합 방향(N)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2. 제1항에 잇어서, 볼트(25)는 구멍(27)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핀의 형태로 제공되고, 핀의 단부면은 볼트면(26)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3. 제2항에 잇어서, 볼트(25)의 볼트면(26)은 커플링 슬리브(7)의 수용 구멍(23)의 종축(12)와 교차하고, 로킹 리세스(15)의 로킹면(16)은 커플링 저어널(8)의 종축(13)과 교차하고, 교차각은 모두 동일하게 각도(B)이나, 각도(B)는 상기 결합 방향(N)과 반대로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4. 제3항에 잇어서, 각도(B)는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5. 제2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잇어서, 볼트(25)는 원통형 형상일 때 구멍(27)의 회전에 대해 보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6.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볼트(25)에는 볼트면(26)으로부터 멀리 대면하는 그 단부에 로킹 요소(35)의 카운터면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보유면(33)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7. 제6항에 있어서, 로킹 요소(35)는 압력 스프링(44)에 의해 로킹 위치로 가압되고, 볼트(25)가 카운터면(36)에 대해 그 보유면(33)으로 안착될 때 로킹 요소(35)는 그것이 수용되는 리세스(40)내의 그 외부면(53)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8.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로킹 요소(35)는 커플링 슬리브(7)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작동핀(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9. 제8항에 있어서, 작동핀(37)은 리세스(39)에서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볼트(25) 및 로킹 요소(35)는 커플링 슬리브(7)의 개구(20)에 수용되는 별도의 지지체(19)와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11.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다수의 볼트(25) 및 로킹 요소(35)는 수용 구멍(23)의 축(12) 주위로 분포되고 커플링 슬리브(7)과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12. 제1항에 있어서, 서로에 대해 결합된 상태의 커플링 슬리브(7) 및 커플링 저어널(8)은 종축을 따라 상대 이동가능하고, 로킹 위치로의 볼트(25)의 이동은 정지부(50)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13. 제1항에 있어서, 커플링 슬리브(7)에는 커플링 저어널(8)의 단부면(49)를 위한 축방향 정지부(48)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14. 제13항에 있어서, 볼트(25)는 커플링 저어널(8)이 그 단부면(49)에 의해 커플링 슬리브(7)의 축방향 정지부(48)에 대해 안착되는 상대 위치로 커플링 슬리브(7)을 커플링 저어널(8)에 대해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15. 제1항에 있어서, 볼트(25)는 볼트면(26)으로부터 멀리 대면하는 그 단부면의 일부분에서 롤러(51)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16. 제1항에 있어서, 커플링 슬리브(7)에는 로킹 요소(35)를 해제 위치로 로드하기 위한 공구(46)을 인가하는 중심 설정 링(45)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17. 제16항에 있어서, 공구(46)은 결합 및 분리 작동을 위해 커플링 슬리브(7)을 지지하는 장치(52)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KR1019950006311A 1994-03-25 1995-03-24 커플링 저어널에 커플링 슬리브를 연결하는 커플링 KR01482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410306A DE4410306C1 (de) 1994-03-25 1994-03-25 Kupplung zur Verbindung einer Kupplungshülse mit einem Kupplungszapfen
DEP4410306.9 1994-03-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8201B1 true KR0148201B1 (ko) 1998-08-17

Family

ID=6513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6311A KR0148201B1 (ko) 1994-03-25 1995-03-24 커플링 저어널에 커플링 슬리브를 연결하는 커플링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JP (1) JP2684529B2 (ko)
KR (1) KR0148201B1 (ko)
CN (1) CN1052783C (ko)
AT (1) AT404060B (ko)
DE (2) DE4410306C1 (ko)
ES (1) ES2119626B1 (ko)
FR (1) FR2717872B1 (ko)
GB (1) GB2288003B (ko)
IT (1) IT1275855B1 (ko)
TW (1) TW2756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13083B (de) 2003-09-29 2005-11-15 Voest Alpine Ind Anlagen Walzwerksantrieb mit einer ein- und entkoppeleinrichtung
AT505149B1 (de) 2005-10-03 2008-11-15 Voest Alpine Ind Anlagen Walzgerüst mit verschiebevorrichtung
AT523301B1 (de) * 2019-12-20 2022-07-15 Seibt Kristl & Co Gmbh Verbindungsvorrichtung für Wellen und Wellenanordnung mit einer Verbindungsvorrichtung
EP4019157A1 (de) * 2020-12-23 2022-06-29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Produktionsanlage zur herstellung von walzgut und verfahren zur montage und demontage der produktionsanlag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79254A (en) * 1957-12-23 1961-10-11 Chicago Pneumatic Tool Co Wrench socket member
DE1273918B (de) * 1962-07-20 1968-07-25 Austin Hoy & Co Ltd Kupplung
DE1921517U (de) * 1965-05-21 1965-08-19 Schloemann Ag Kupplung fuer walzwerke.
DE1600225B2 (de) * 1967-04-20 1972-04-06 Loesbare schnellkupplung zur verbindung zweier wellen, insbesondere fuer gelenkwellen
JPS6024322B2 (ja) * 1978-06-15 1985-06-12 株式会社松井製作所 連結装置
US4392759A (en) * 1981-02-09 1983-07-12 General Electric Company Quick disconnect mechanism for shafts
DE4124152C2 (de) * 1991-07-20 2001-02-08 Sms Demag Ag Selbsttätig ein- und ausrückbare, formschlüssige Wellenkupplung
JPH05118341A (ja) * 1991-10-23 1993-05-14 K S Sanoyasu Kk 軸接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404060B (de) 1998-08-25
IT1275855B1 (it) 1997-10-24
CN1052783C (zh) 2000-05-24
TW275659B (ko) 1996-05-11
ITMI950408A1 (it) 1996-09-03
GB2288003A (en) 1995-10-04
JP2684529B2 (ja) 1997-12-03
FR2717872B1 (fr) 1998-01-23
GB9506099D0 (en) 1995-05-10
JPH084778A (ja) 1996-01-09
DE19508526A1 (de) 1996-09-12
ITMI950408A0 (it) 1995-03-03
DE4410306C1 (de) 1995-07-13
FR2717872A1 (fr) 1995-09-29
GB2288003B (en) 1997-08-27
CN1113297A (zh) 1995-12-13
ES2119626B1 (es) 1999-05-16
ATA26395A (de) 1997-12-15
ES2119626A1 (es) 1998-10-01
DE19508526C2 (de) 199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5694B1 (ko) 고속잠금장치
US4639163A (en) Driveline coupling with safety interlock mechanism
US4134699A (en) Coupling for shafts and the like
US4679959A (en) Quick-connect/disconnect connector
JPH01105018A (ja) 急速接続装置
US4595383A (en) Telescopic shaft assembly
KR19990014685A (ko) 신속 연결 해제 커플링 및 그 조립 방법 및 장치
JPS61501139A (ja) 第1部材を第2部材に連結する為の装置
US5807007A (en) Misalignment accommodating connector assembly
US5186567A (en) Quick-connect fasteners for assembling devices in space
KR0148201B1 (ko) 커플링 저어널에 커플링 슬리브를 연결하는 커플링
US3992120A (en) Shaft coupling
US3069875A (en) Quick-change universal drive shaft
US4255143A (en) Device for releasably connecting two parts of a dental handpiece together
JPH10252766A (ja) スピンドルヘッドとロールジャーナルとを締め付け結合させる装置
US3423110A (en) Quick-connective coupling
US3992119A (en) Shaft coupling
US4641990A (en) Driveline coupling with safety interlock mechanism latchable in the open position
US7118089B2 (en) Fluid coupler
US5131529A (en) Drive mechanism for a conveyor
US5620718A (en) Fixing device for releasably fastening a tool member to a fixing plate in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US4976129A (en) Apparatus for the axial shifting of a shaft, especially of a rolling-mill roll
KR20060047416A (ko) 고속 고굴절 유니버설 조인트
JPH0356793A (ja) 解除可能な迅速接続管継手
US4126018A (en)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rotary shaf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