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7309B1 - 원격 감지 압력 측정 카테테르 장치 및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감지 압력 측정 카테테르 장치 및 측정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309B1
KR0147309B1 KR1019900700853A KR900700853A KR0147309B1 KR 0147309 B1 KR0147309 B1 KR 0147309B1 KR 1019900700853 A KR1019900700853 A KR 1019900700853A KR 900700853 A KR900700853 A KR 900700853A KR 0147309 B1 KR0147309 B1 KR 0147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organ
sampling
wall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0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1213A (ko
Inventor
가이 피드디안-그린 리챠아드
Original Assignee
한즈 아흐조팰로 및 올리 릭카라
인스트루멘타리엄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즈 아흐조팰로 및 올리 릭카라, 인스트루멘타리엄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한즈 아흐조팰로 및 올리 릭카라
Publication of KR900701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1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3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4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9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p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9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68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 A61B5/147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gastrointestinal, the endocrine or the exocr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gastrointestinal, the endocrine or the exocrine systems
    • A61B5/4222Evaluating particular parts, e.g. particular organs
    • A61B5/4255Intestines, colon or appendi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52Catheters
    • A61B5/6853Catheters with a ballo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Executing Machine-Instruction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원격 감지 압력 측정 카테테르 장치 및 측정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배경 및 요약]
본 발명은 의료 진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관상(管狀) 내장 압력 측정법 및 원격 전자 및 광학 감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미국 특허 제 4,643.192호)에서 장 저혈 및 이보다 더 가벼운 증세인 스트레스성 궤양 형성은 역병 의사가 집중치료 병동에서 환자를 치료하는데 포함되는 두가지 문제점이 인식되었다. 특히 장 저혈은 서서히 발병하여 장이 완전히 그리고 불가역적으로 손상된 후 몇일이 지날 때까지 검출될 수 없다. 장저혈 진단에 있어서의 지연은 환자에 대해 파괴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갖는 환자의 조기 진단 및 처치를 위한 수단의 이용성은 특히 절차가 적당한 안정성과 신뢰도를 가지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는 모든 집중 치료병동내에서 즉각적인 적용성을 갖는다.
장 저혈 및 스트레스 궤양형성이 발현되기 전에 점막내 PH에 있어서의 하강이 일어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관상 내장 압력 측정법이란 발명의 명칭으로 본 출원인 미국 특허 제 4.643.192호에 기재된 대로, 또한 개(dog)에서 장 저혈이 유발되는 동안 점막내 PH에 있어서의 하강이 일어난다. 장점막내 PH에 있어서의 하강, 및 이에 따라 가능성 있는 저혈 또는 스트레스 궤양형성은, 관강액중의 PCO2(CO2의 부분압), 또는 다른 PH 지시자 및 동맥혈 중의 중탄산 농도로부터 신빙성 있게 계산될 수 있다. 본 출원인의 선행 특허의 원리에 따라, 장점막 조직내의 PH를 계산하는 방법은 임상적인 문제를 모의하는 다양한 조건하에서 정해진 측정법에 의해 정당성이 인정되었다. 각각의 개 16마리에서 0.92-0.95 정도의 상관계수가 얻어졌다. 그 방법의 유효성은 본래 사람에게까지 확장될 수 있으며, 사실상 다른 관상 기관 및 조직이 활력을 평가하는데도 유용할 것이다. 이러한 내용은 알. 지 피이안 그린에 의한 내장 저혈 및 다중 장기 파손에 기재되어 있다.
장기의 관강내의 PCO2를 측정하는 것은 이제까지 특정한 시간의 경과, 대개 1시간 30분 이상 장기의 벽과 접촉해온 액의 샘플을 얻어 옮기는 것을 필요로 해왔다. 이제, 임의의 일치성을 가지고 장기 또는 다른 장 병소에 위치된 압력측정 카테테르로부터 샘플추출액 또는 매질을 수동으로 흡인하는 것이 다소 어렵다는 것을 알았다. 위(胃)에서 그러한 샘플을 얻는 것은 훨씬 쉽지만, 위에서 얻어지는 샘플은 종종 가스 분석기로 손상시킬 수 있는 이물질을 함유한다.
본 출원인의 선행 특허에서 설명된 바대로, 원하는 샘플 또는 샘플들은 튜브상의 튜브의 속이 빈 내부와 샘플-특이적 연결상태로 있는 벽을 갖춘 샘플추출 챔버를 갖는 카테테르 튜브(압력 측정 카테테르)를 사용하여 장기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샘플추출 챔버의 벽은 액체에 대해 불투과성이나 기체에 대해서는 고투과성인 재료로 구성된다. 이에 적합한 재료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탄성 중합체이다.
사용시, 장기내의 원하는 위치에 샘플추출 챔버를 배치시키기 위해 카테테르가 환자내로 도입된다. 샘플추출 챔버의 내부를 충전시키기 위해 흡인 액체 또는 매질이 사용된다. 샘플추출 챔버는, 기체가 샘플추출 챔버의 벽을 통해 흡입 액체내로 확산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의 긴 원하는 샘플추출 부위에 놓인다. 샘플추출 챔버가 놓이는 시간은 기체들이 평형을 이룰수 있을 정도로 길어야 한다. 샘플 챔버벽 재료의 액체 불투과 성질은 흡인 액체가 챔버로부터 누출되고 임의의 액체가 흡인 액체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적절한 배치시간이 지난후, 흡인 액체는 흡인 액체내로 확산된 기체와 함께 흡인된다. 이렇게 얻어진 샘플이 기체함량, 특히 PCO2를 분석해 준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 관강이 파괴된 흔적으로부터 유리된 액체로 장기의 관강내의 PCO2는 양호한 신뢰성으로 측정될 수 있다.
본 출원인의 선행 특허에 설명된 진단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 PCO2측정법은 관상 장기도 벽의 PH를 측정하기 위해 환자의 동맥 혈 샘플내의 중탄산 이온(HCO3)농도의 측정법과 관련되어 사용된다.
주어진 환자의 특정 상태에 따라, 카테테르는 위치내에 놓여질 수 있고 PH 값이 주기적으로 계산될 수 있도록 주기적인 간격으로 샘플이 취해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장기 조직 산소 첨가의 적당함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초기단계에 장저혈을 진단하는데 신뢰도가 높다. 그러한 측정 또는 탐지는 보다 소량의 검출시간에 기인한 잠재적 파괴라는 결과를 피할 수 있게 하므로써 환자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인의 선행 특허에 설명된 샘플추출 기술이 높은 정확성 및 신뢰성 있는 결과를 제공하지만, 이제 장기 또는 장기-벽 상태의 원격 감지 및 장기 또는 장기-벽 PH의 자동 계산이 유리하고 수행되기 쉬운 예(예를들면, 집중 치료 병동에서 위급한 병을 치료함에 있어)가 있음이 밝혀졌다. 즉, 이러한 방법은 샘플추출 챔버를 채우는 샘플추출액 또는 매질의 다소 성가신 흡인에 대한 필요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이것은 또한 샘플추출 챔버가 장치의 임의의 다른 부분과 연결하는 샘플추출-매질내에 있어야할 필요성도 제거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내부 관상 점성 장기에서의 압력 측정 샘플추출 및 감지의 장점까지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 결국 임상 환경내에서 쉽게, 그리고 다른 방법과 공동으로 수행될 본 출원인의 감지 및 샘플추출 기술을 허용하는데 양호하게 적용되는 새롭고 다른 압력 측정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주어진 장기 벽의 PH가 장기 및 다른 기관의 활력 및/또는 안정성을 정확하게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이것은 단순히 장기의 저혈 여부를 측정하는 것과는 다르다고 인식되었기에, 주어진 관상 점성 장기 벽의 PH 측정의 중요성 및 이의가 최근에 극적으로 확대되었다. 또한, 이러한 장기는 단독으로 또는 공동으로 모니터를 위해 선택될 수 있고, 이러한 장기들의 평가는 환자의 전체적인 상태를 예기하거나 또는 다중 장기 파손과 같은 사고의 예기나 확인을 포함하여 다수의 병리학을 서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예를 들어 심각한 질병의 모니터를 상당히 향상시키고 보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사시에 장기 밖에 위치된 전자 또는 광학 장치에서. 장기 상태의 원격감지 및 전자기 신호, 예컨대, 전류 또는 광학 신호를 전달하는 신규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장 효과 트랜지스터와 같은 화학적으로 민감한 전자 변환기(또는 다수의 변환기들)는 압력 측정 카테테르와 함께 장기내로 도입되기 위해 압력측정 카테테르에 부착된다. 비-온도 제1전자 감지기는 장기 상태의 약간의 바람직한 측면을 지시하는 예컨대, 장기 또는 장기-벽의 PCO2, PH 및/또는 PO2량을 지시하는 전자기 신호를 발생 및 전달한다. 예를 들어,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관강액등의 평균의 주위 PCO2, PH 및/또는 PO2는 도선 또는 다른 적합한 전자기 에너지 전달 수단을 경유하여, 전자기 신호를 해석하고 장기 상태의 보고를 생성하는 전자 회로에서 측정 및 모니터된다. 전자회로는 환자의 혈액 PH를 지시하는 분리측정된 신호를 수용하기 위한 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혈액(바람직하기로는 ,동맥혈)PH 데이타와 함께 이러한 PCO2, PH 및/또는 PO2측정을 사용함으로써, 전자회로는 시험된 장기벽의 PH를 측정하고 장기의 현재 상태를 측정하거나 장기의 미래 상태를 예기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전자회로는 아날로그 부품이나 디지탈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PH, PCO2또는 PO2민감성 발색 시험 재료는 장기에 인접한 표면, 예컨대, 압력측정 카테테르의 샘플추출 챔버내로 주입되고 그 장기 벽의 PH를 측정하기 위해 색변화를 검출하기 위해 광학 감지기가 사용된다. 상기광학 감지기는 장기에 인접한 영역내로 도입되기 위해 압력측정 카테테르내 또는 카테테르상에 배치될 수 있거나 감지기를 PH 민감성 물질이 주입되는 압력측정 카테테르 부위에 광학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섬유와 함께 장기 바깥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PH, PCO2및/또는 PO2의 원격 감지 수단을 갖추거나 또는 원격 감지 수단을 갖추지 않고서 비위(鼻胃:nasogastric)튜브, 비뇨 카테테르, 요관 카테테르, 장 공급 튜브, 상처입은 복부 배농관(흡인 또는 정규) 및 담낭 튜브, 카테테르 및 스텐트와 같은 액체를 전달 또는 유출하기 위한 벽을 구비한 카테테르 튜브와 연결되거나, 또는 공동으로 내부 장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액체 또는 기체의 성질(PH, PO2, PCO2등)의 감지 및/또는 샘플추출을 위한 신규의 압력측정 카테테르 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독립된 벽을 구비한 카테테르 튜브를 사용하는데, 한 입력측정 카테테르 튜브는 샘플추출 챔버와 연결하며 액체 또는 기체 성질의 측정을 위한 것이고, 제2벽을 구비한 카테테르 튜브는 액체 전달 또는 유출을 위해 적용된다.
또 다른 측면 또는 실시예에 있어, 장치는 감지수단과 연결하는 벽을 갖춘 샘플추출 챔버, 및 액체의 전달 또는 유출을 위해 적용된 제2벽을 구비한 카테테르 튜브를 사용한다.
임의로, 비-온도 감지-수단이 사용될 때, 제2감지-수단이 역시 사용될 수 있다.
하기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목적과 기타 다른 목적 및 장점이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압력측정 카테테르의 제1실시예의 평면도.
제2a도는 전자필드 효과 트랜지스터 감지기를 부착하기위한 제1수단을 도시하는 압력측정 카테테르의 부분단면도.
제2b도는 필드효과 트랜지스터 감지기를 부착하기 위한 제2수단을 도시하는 압력측정 카테테르의 부분단면도.
제3도는 결장 및 위의 PH 측정에 압력측정 카테테르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제4도는 비위 튜브를 갖는 압력측정 카테테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4a도는 제4도의 라인 4a-4a를 따라 취한 제4도의 압력측정 카테테르의 단면도.
제4b도는 제4도의 라인 4b-4b를 따라 취한 제4도의 압력측정 카테테르의 단면도.
제5도는 다중 감지/샘플추출부를 갖는 압력측정 카테테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5a도는 제5도 라인 5a-5a를 따라 취한 제5도의 압력측정 카테테르의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압력측정 카테테르의 위내에서의 사용을 도시하는 상세도.
제7도는 제5도의 압력측정 카테테르의 결장 내에서의 사용을 도시하는 상세도.
제8도는 제1도의 압력측정 카테테르의 결장내에서의 사용을 도시하는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회로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전기 배치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PH의 광학 측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전기 배치도.
제11도는 비뇨기 카테테르를 갖는 압력측정 카테테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11a도는 실질적으로 제11도의 라인 11a-11a를 따라 취한 제11도의 압력측정 카테테르/비뇨기 카테테르의 횡단면도.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
제1도에는 압력측정 카테테르(20)의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압력측정 카테테르는 적합한 길이의 튜빙(22)과, 폐쇄된 말단(32)과, 루어-룩(luer-look)(24)과 같은 연결자를 갖는 말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루어-룩(24)은 보조 부속품(26)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대로 제2길이의 튜빙(28)을 통해 3방(三方) 스톱콕(30)에 연결된다. 상기 3방 스톱콕(30)은 튜빙(28)을 다양한 관주원 또는 흡인원(various source of irrigation or asporation) 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폐쇄된 말단(32)에 인접한 튜빙(22)은 도면부호 34에서 천공된다. 풍선과 같은 압력측정 카테테르 막(36)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34)이 포함되도록 밀폐된 말단에 접합된다. 압력측정 카테테르 막(36)은 튜빙(22)과의 단단한 접합부를 형성하는 이루는 도면부호 38에서 슬리브 내경을 갖는다. 압력측정 카테테르 막의 양호한 형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탄성중합체이다. 압력측정 카테테르 막이 튜빙(22)의 외부벽에 밀착되는 형태로 밀봉되므로써, 밀폐된 말단(23)에 인접하여 샘플추출 챔버(40)가 형성된다. 압력측정 카테테르 막은 하기에 서술되는 바와 같이 시험시 장기의 벽과 접촉하기 위해 흡인 액체로 충전될 때 막이 팽창되도록 특정한 탄성을 갖는다.
막(36)은 막의 일부 또는 전부가 관심있는 기체 또는 액체에 선택적으로 투과될 수 있는 성질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막은 PH, PCO2및/또는 PO2가 측정될 수 있도록 수소, 산소, 또는 H+에 대해 선택적으로 투과가능하다. 이것은 또한 기체, 단백질 등과 같은 원하는 측정을 방해할 수 있는 다른 재료에 대해 불투과성이다.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이온-선택적막(ion-selective membrance)이 사용된다.
튜빙(22)의 내부벽 또는 외부벽에는 PH 및/또는 온도의 성질 표시를 탐지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감지기(42)가 결합된다. 제1도에는 상기 2개의 감지기가 적합한 접착제로 튜빙(22)의 외부벽에 결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제2a 도 및 제2b도에는 두개의 서로 다른 감지기 부착수단이 도시되어 있으며, 제2a도에는 튜빙(22)의 내부벽에 부착된 감지기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2b도에는 튜빙(22)의 외부벽에 부착되는 감지기가 도시되어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 튜빙 전체는 아니지만, 튜빙의 일부 또는 전부는 디메틸테테프탈레이트 1,4-부탄디올과 α-히드로-Ω-히드록시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의 반응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에스테르 탄성 중합체와 같은 CO2불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 이것은 듀폰(Dupont)에 의해 판매되는, 히트릴(Hytril)과 같은 재료이다.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현재 더어미스터 장치가 양호하게 사용된다. PH 특성 표시를 감지하기 위해, 화학적으로 감응하는 필드효과 트랜지스터 또는 캠페트(Chemfets)가 사용될 수 있다. 제2a 및 제2b도에는 캠페트 감지기(44)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캠페트 감지기(44)는 중합된 에폭시 수지처럼 용액이 스며들지 않게 하는 재료(48)내에 봉입된 필드효과 반도체 장치(46)로 구성된다. 봉입 재료(48)는 차례로 외피(housing)(50)내에 봉입될 수 있다(제2a도). 반도체 장치(46)는 결합도선(52)에 의해 터미날(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체(56)와 같은 적합한 전기도체는 제9도를 참조하여 하기에 서술되는 전자 회로와 캠페트 장치(44)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터미날(54)에 부착된다. 도체(56)는 튜빙(22)을 통해 이송되며, 튜빙(22)의 루어-룩 말단이나 그 근처의 밀봉된 틈(aperture)을 통해 퇴출된다. 적합한 전자 감지기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 참조인용된 선택적 화학물질 민감성 FET 변환기라는 제목의 Johnson의 미국 특허 제4,020,830호에 기재되어 있다. 반도체 장치(46)의 화학적으로 민감한 표면에 용액을 접초시키기 위하여, 제2a도의 실시예에서 튜빙(22)은 간극(60)을 갖는다. 반도체 장치(46)가 외부 부착 형태로 인하여 샘플추출 챔버(40)에 노출되기 때문에, 이러한 간극은 제2b도의 실시예에서는 필요치 않다.
샘플추출 챔버(40)는 관심있는 유체 또는 기체를 혼입, 전달, 측정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거나 흡수하는데 사용되는 흡인 또는 샘플추출 매질로 충전될 수 있다. 그러한 매질은 관심있는 유체 또는 기체의 성질과, 사용된 감지기(42)의 형태와, 필요한 검정 유형을 포함한 많은 요소에 따라 설정된다. 그러한 매질로는 중탄산 용액 및 염수용액을 들 수 있다. 기체는 종종 유체와 같이 행동하므로 종종 유체로 간주됨을 주목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된 감지기가 빈번한 재보정을 요하지 않을 때, 흡인이 전혀 필요하지 않으므로, 샘플추출 챔버(40)가 압력측정 카테테르(환자 외부에 있음)의 가장 가까운 말단과 연결될 필요성은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 감지기를 보정하고, 흡인 또는 샘플추출 매질을 신선한 매질로 대치시키고, 관심있는 기체 또는 기체들을 혼입시키는데 흡인이 요구될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한 연결은 여전히 바람직한 것이다.
압력측정 카테테르의 다른 실시예가 제4도, 제4a도 및 제4b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측정 카테테르는 위 흡인을 갖거나 또는 위 흡인을 갖지 않고, 비위 물받이로서 제공되기 위한 적절한 형태를 갖는다. 제4도에 있어서, 압력측정 카테테르(20a)는 3개의 독립된 미연결(noncommunicating)(서로간에) 통로 또는 관강을 한정하는 다중 통로 튜빙(62)과, 공기 관강(64)과, 선택적 흡인 관강(66)과, 압력측정 카테테르 관강(68)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측정 카테테르 막은 튜빙(62)상의 중간 위치에 부착되어, 튜빙의 일부가 막(36)의 말단 너머로 연장되어 비위 흡인부(70)를 형성하게 한다. 튜빙(62)은 막(36)에 의해 한정되는 샘플추출 챔버(40)와 압력측정 카테테르 관강(68) 사이를 연결시키는 다수의 구멍(72)을 갖는다. 필요할 경우, 상술한 설명에 따라 하나이상의 감지기(42)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적합한 도체(56)는 압력측정 카테테르 관강(68)을 통해 송달되어 밀봉된 틈(58)에서 퇴출된다.
비위 흡인부(70)는 위가 흡인될 수 있는 다수의 개구부(74)를 포함한다. 튜빙은 튜빙(62)의 반대 말단에서 분기되어 3개의 분리된 연결부를 형성한다. 공기 관강(64)은 공기 관강통로(76)와 연결되고, 흡인 관강은 흡인 관강 통로(78)와 연결되며, 압력측정 카테테르 관강(68)은 압력측정 카테테르 관강 통로(80)와 연결된다. 압력측정 카테테르 관강 통로는 제1도를 참조하여 서술된 3방 스톱콕(30)과 목적과 기능이 유사한 3방 스톱콕(30)에 끼워진다. 필요할 경우, 흡인 관강 통로(78)를 흡입원과 연결시키기 위해 즉석 부속품(82)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즉석 연결 부속품은 통로(78)의 말단과 흡인 호스 연결(도시않음)부내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모나게 절단된 말단 및 약간 확장된 중간부를 포함한다. 상기 확장된 중간부는 인접한 통로와의 밀봉부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즉석 연결 부속품은 1회용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압력측정 카테테르의 또 다른 실시예가 제5도 및 제5a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제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통로 또는 관강을 갖는 튜빙(84)을 사용하는 다중 압력 측정 카테테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튜빙(84)은 최말단 압력측정 카테테르(36a)와 연결되는 공기 관강(86a)과, 각각의 압력측정 카테테르(36b, 36c, 36d)와 연결되는 3개의 부가적인 압력측정 카테테르(86b, 86c, 86d)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압력측정 카테테르에는 감지기(42)와 같은 하나이상의 감지기가 제공될 것이다. 방사선 불투과 텅스텐 플러그(88)는 각 압력측정 카테테르의 말단끝에 인접한 각각의 3개의 압력측정 카테테르 관강(86b, 86c, 86d)내에 위치되며, 압력측정 카테테르 관강 통로의 나머지를 막아서, 사용하는 동안 각각의 압력측정 카테테르 관강내로 도입된 유체압이 관련된 압력측정 카테테르를 요구되는 바와 같이 바깥으로 부풀게 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방사선 불투과 텅스텐 봉(90)은 공기 관강(86a)의 말단에서 플러그로서 삽입되어 공기 관강 통로의 말단을 종결시킨다. 텅스텐 플러그 및 텅스텐 봉은 방사선 불투과성이어서 형광경이나 X-선 하에서 보여지기 때문에, 압력측정 카테테르를 적절한 위치에 놓는데 도움을 준다. 더우기, 필요할 경우, 튜빙(84)에는 그 전체길이나 일부의 길이를 따라 방사선 불투과 스트립이 제공될 수도 있다.
관강(86a 내지 86d)은 튜빙(84)의 중심에서 분할되어 4개의 분리 튜브(92a 내지 92d)를 형성한다. 각 튜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3방 스톱콕이 설치된다. 각각의 샘플추출 연결자는 색(color)등에 의해 수치로 임의로 암호화될 수 있다.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4개의 압력 측정 카테테르가 제5도에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특별한 용도에 사용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간격을 두고 있는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수의 압력측정 카테테르가 포함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압력측정 카테테르의 일부 또는 전부는 각각 대응의 관강 통로를 통해 바람직하게 송달되는, 도체(56)에 연결된 하나이상의 감지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9도를 참조로 적절한 전자 모니터링 회로가 서술될 것이다. 제9도에 있어서, CHEMFET 반도체 장치(46)는 점선으로 둘러싸인 등가 회로 모델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장치(46)는 유출 전극(150), 원(源)전극(152) 및 기준 전극(154)으로 구성된다. 막 시스템과 같은 화학적으로 선택적인 시스템은 도면부호 156으로 도시되어 있다. 지지체는 도면부호 158에서 접지된다.
원 전극(154)은, 피드백 네트워크(162)를 포함하는 작동가능한 증폭기(160)의 입력 도선에 연결된다. 상기 작동가능한 증폭기(160)는 장치(46)를 통해 흐르는 유출 원 전류(drain source curent)를 감지하고 이러한 신호를 도선(164)상에서 출력되는 전압 신호로 전환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장치(46)에 노출된 유체내에서 PCO2량이 변함에 따라, 유출 원 전류도 이에 따라 변하게 된다. 따라서, 시험시 도선(164)상의 출력 전압 신호는 장기의 PCO2량을 지시한다. 도선(164)상의 상기 전압 신호는 기준 전압 Vref도 수용하는 비교기(comparater)(166)의 입력부에 연결되며, 이러한 전압은 전압 분할 네트워크(도시않음)의 사용에 의해 공급되거나 선택적으로 디지탈식으로 제어되는 전압 원(168)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비교기(166)의 출력은 기준 전극(154)으로 공급되어 안정한 기준 바이어스 전압을 제공한다. 도선(164)상의 전압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탈형 변환기(170)에도 공급되고, 그후 마이크로 프로세서형 마이크로 컴퓨터(172)에 연결된다.
시험시, 관상 점성 장기벽의 PH를 자동으로 측정하기 위해, 분리된 가스 분석 감지기(174)가 환자의 동맥혈내 중탄산 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감지기(174)의 출력은 아날로그/디지탈형 변환기(176)를 통해 마이크로컴퓨터(172)에 연결된다. 마이크로컴퓨터(172)는 아날로그/디지탈형 변환기(170, 176)에 의해 제공된 값을 사용하여 기관벽의 PH를 계산하도록 미리 프로그래밍된다. PCO2측정값의 변환은 당분야에 공지된 여러가지 방정식 및 참고문헌의 사용으로 마이크로컴퓨터(172)에 의해 자동으로 PH 측정값으로 변환될 수 있다.
비록, 많은 서로 다른 형태의 출력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할지라도, 스트립 챠트 기록기(178)와 CRT 모니터(180)가 사용되었다. 상기 스트립 챠트 기록기(178) 및 모니터(180)는 출력 장치로서 마이크로컴퓨터(172)에 연결된다. 스트립 챠트 기록기(178)는 장기벽 PH 변동이 읽기 쉽고, 영구적인 기록이 된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모니터(180)는 PH 변동의 상부 및 하부 반진폭을 디스플레이하고, PH 값의 디지탈 정보판독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필요할 경우, 순간 PH 값을 의사가 선택한 상부 및 하부 경보 한도와 비교하기 위해, 키보드(182)를 사용하여 마이크로컴퓨터(172)를 미리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만일, 측정된 순간 PH가 상기 한도를 벗어나서 변동된다면, 마이크로컴퓨터(172)는 병원 스탭진에게 알리기 위하여 경보음을 울릴 수 있다.
단일의 반도체 장치(46)가 제9도의 전자회로와 함께 도시되었지만, 회로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거의 동시에 PH를 측정키 위한 다수의 반도체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각 감지기로부터의 데이타는 마이크로컴퓨터(172)의 분리 포트로 공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일의 I/O 포트는 시간복합된 개별 입력 신호와 사용될 수 있다.
전자 PH 감지기 대신에, 본 발명은 광학 감지기 기술을 사용해서 실행될 수 있따. 제10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광학 감지기는 일련의 렌즈(96)와 선택성 색 필터(98)와 열 흡수제(100)를 통해, 100와트 텅스텐-할로겐 램프와 같은 조명원(102)에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제1섬유 광 케이블(94)을 사용한다. 상기 제1섬유 광 케이블(94)은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도체(56)와 유사한 형태로 튜빙을 통해 돌출된 말단을 가진 압력 측정 카테테르 관강을 통해 샘플추출 챔버(40)로 송달된다. 튜빙을 통해 돌출된 한쪽 말단을 가진 제2섬유 광 케이블(104)은 제1섬유 광 케이블(94)에 평행하게 송달되고, 이는 칼라(collar)(106)를 가진 제1케이블(94)의 말단에 인접한 곳에 놓인다. 칼라(106)는 튜빙의 외부벽에 단단하게 결합될 것이다. 제2섬유 광 케이블(104)의 반대편 말단은 조작 증폭기 회로(1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광트랜지스터(108)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도록 위치된다. 조작 증폭기 회로는 제7도의 A/D 변환기(170)와 같은 아날로그/디지탈형 변환기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시, 제1섬유 광 케이블(94)은 비색 PH 지시약을 함유한 샘플추출 유체로 채워진 샘플추출 챔버(40)내 영역을 비춘다. 섬유 광 케이블(94)로부터의 조명은 지시약 용액에 현탁된 분자로부터 반사되고, 반사된 조명중 일부는 제2섬유 광 케이블(104)을 거쳐 광트랜지스터로 복귀된다. 적절한 필터(98)를 선택하므로써, 단색 조명이나 기타 공지된 스펙트럼 성분 조명이 사용되어 비색 PH 지시약 용액을 조명한다. 여과된 조명의 색이 지시약의 색과 어울릴 때, 조명은 흡수되고, 저조명 신호는 광 트랜지스터에서 수용된다. PH 변화가 여과된 조명의 색이 사라진 지시약내에서 색 변화를 초래할 때, 검출된 신호 출력을 부수적으로 증가시키는 더 많은 조명이 광트랜지스터로 다시 반사된다. 이러한 경우에 지시약 염료 및 조명 여과의 적절한 선택의 PH 범위를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섬유 광 PH 감지기 기술의 또다른 설명을 위해 페르가몬 프레스 리미티드에 의해 상용가능한 지. 지. 부렉(G. G. Vurek)의 섬유 광 PCO2감지기가 참조인용되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위장관 및 비뇨기 및 요관의 관찰에 관하여 서술되었지만, 상기 원리는 다른 관상 내장기에도 적용되어 다른 내장기의 관류 및 PH를 모니터할 수도 있다. 압력 측정 카테테르에 대한 여러 구조가 상세하게 서술되었지만, 다른 적절한 구조도 개발될 수 있다. 서술된 구조는 현존의 이용가능한 재료를 사용하여 쉽게 제조되기 때문에 바람직한 것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압력측정 카테테르막 및/또는 연결 튜빙을 위한 이와 유사한 다른 재료도 포함될 수 있다. 이들은 그 상세한 구조면에서는 다를 수도 있다. 예컨대, 샘플추출 챔버는 연결 튜빙에 대해 대칭적이 아니라 중심에서 벗어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통상적인 가스분석장치가 외부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샘플추출 챔버(40)를 채우는데 사용되는 흡인 액체 또는 매질의 샘플의 연속 또는 규칙적인 간헐성 흡인을 위한 펌프 또는 흡인 수단(보여지지 않음)과 함께 제1도에 도시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펌프나 흡인 수단에 의해 이동되어 부착수단을 거쳐 루어 룩(24)에 부착된 샘플은, 각 샘플추출 간격에 흡인된 샘플이 샘플의 PH, PO2, PCO2및/또는 등을 측정하기 위한 외부, 분리 가스 분석 수단 또는 감지기(도시않음)와 접촉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자동 샘플추출은 제12도에 도시된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조립시, 샘플추출 시스템은 압력측정 카테테르(299)로부터 회수된 샘플을 평가 및 분석하기 위해 개인용 컴퓨터를 사용한다.
펌프(203)에는 염수와 같은 샘플추출 또는 흡인 매질이 로딩된다. 그후, 밸브(201)가 작동되어 원하는 양의 샘플추출 유체를 회수한다. 측정된 양(calibrated amount)을 사용하는 압력측정 카테테르의 샘플추출 챔버(299)나 압력 변환기(215)를 실행기키기 위해서는 펌프(203)가 사용되며, 밸브(201)는 작동되지 않는다. 샘플추출 유체 또는 매질은 관심있는 장기벽 또는 영역과 평형을 이루게 된다. 그후,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 즉, 평형 상태가 아닌 샘플추출 유체로 채워진 관강 영역은 밸브(205)를 작동시키고, 펌프(207)를 작동시키고, 밸브(209)를 작동시키고, 펌프(207)를 주입시켜 이동시키고, 폐기물(219)를 폐기한다. 그리고 나서, 밸브(209)가 아닌 펌프(207)를 작동시켜 분석을 위한 샘플을 회수하여, 샘플로부터의 데이타를 PC(217)로 제공하는 가스 분석 장치(도시않음)로 송달하고, 서술된 바와 같이 평가가 실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환자의 동맥혈내 중탄산 농도 측정을 위해 샘플 가스 분석장치 또는 분리가스 분석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압력측정 카테테르의 다른 실시예가 제11도 및 제11a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측정 카테테르는 흡인의 여부에 관계없이 감지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비뇨기나 요관 카테테르로서 작동되기 위한 적절한 형태를 갖는다. 제11도 및 제11a도에 있어서, 압력측정 카테테르(220)는 3개의 독립된 미연결(서로간에)통로 또는 관강을 한정하는 다중 통로 튜빙(262)과, 임의의 공기 또는 관주 관강(264)과, 유출 또는 흡인 관강(266) 및 압력측정 카테테르 관강(268)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유사한 압력측정 카테테르막은 튜빙(262)의 단부를 지나서 부착되므로써, 튜빙의 중간부가 요관이나 요관 카테테르(270)를 형성하기 위해 막(236)의 말단을 지나서 연장되지 않게 한다. 튜빙(262)은, 막(236)에 의해 한정되는 샘플추출 챔버(240)과 압력측정 카테테르 관강(268)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구멍(272)을 포함한다. 필요할 경우, 상술한 바에 따라 하나이상의 감지기(242)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적합한 도체(256)가 압력측정 카테테르 관강(268)을 통해 송달되어 밀봉된 틈(258)에서 나간다.
비뇨 카테테르 또는 요관 카테테르(270)는 이를 통해 방광 또는 요관이 흡인되거나 관주될 수 있는 다수의 개구부(274)를 포함한다.
튜빙(262)의 반대 말단에서 튜빙은 3개의 분리된 연결부를 형성한다. 공기 또는 관주 관강(264)은 공기 관강 통로(276)와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비뇨 관강은 흡인 또는 유출 관강 통로(278)와 연결되고, 압력측정 카테테르 관강(268)은 압력측정 카테테르 관강 통로(280)와 연결된다. 압력측정 카테테르 관강 통로에는 제1도를 참조하여 서술된 3방 스톱콕(30)의 기능 및 목적과 비슷한 3방 스톱콕(230)이 장착되어 있다. 필요할 경우, 흡인 비뇨 통로(278)를 흡입원과 연결시키기 위해 제4도에 도시된 즉석 연결 부속품(82)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즉석 연결 부속품은 통로(278)의 말단 및 또한 흡인 호스 연결부(도시않음)내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모나게 절단된 말단 및 약간 확장된 중간부를 가진다. 상기 확장된 중간부는 인접한 통로와의 밀봉을 형성하도록 도와준다. 즉석 연결 부속품은 1회용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제11도 및 제11a도에 도시된 비뇨 카테테르/압력측정 카테테르 조합장치 또 다른 실시예는 제5a도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통로 또는 관강을 갖는 튜빙을 사용하는 다중 압력측정 카테테르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약학적-활성제를 전신이나 국부 또는 국소 또는 이들의 조합부에 전달시키는데 압력측정 카테테르가 채택될 수 있다. 예컨대, 관주 또는 흡인을 위한 부가적인 관강이 첨가되어 활성제를 전달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1도 및 제11a도에 도시된 관주/흡인 관강(264)이 활성제를 전달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관심있는 활성제의 지속적인 방출을 제공하기 위해 장치의 일부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카테테르 삽입과 관련된 노사코미알 감염(nosacomial infection)의 문제는 항미생물제를 압력측정 카테테르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분자 물질의 일부분내로 혼입시키거나, 장치의 일부분을 지속적 방출 조성물로 코팅처리하거나, 압력측정 카테테르를 거쳐 항미생물제를 전달시킴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은 본 분야의 숙련자들에게는 널리 공지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4,677,143호에는 이와 같은 내용이 명료하게 기재되어 있다.
유용한 약제의 종류는 항미생물제,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제, 국소마취제, 국소 혈관확장제, 대사 억제제, 및 압력 측정 카테테르 위치에서 흡수시키기 위해 전달되어질 수 있는 다른 약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Claims (32)

  1. 관상 내장 장기의 상태를 원격으로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관상 내장 장기 또는 상기 장기에 인접한 영역으로 도입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샘플추출 챔버와, 상기 장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신호를 전개시키기 위한 상기 샘플추출 챔버와 연결하는 전자 감지기를 가진 압력측정 카테테르와, 상기 신호를 상기 장기의 외부지역에 전달시키기 위해 상기 감지기에 연결시켜 상기 장기의 상태를 원격으로 측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내장 장치의 상태를 원격으로 측정하기 위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유체를 전달하거나 유출시키기에 적합한 제2벽을 갖춘 카테테르 튜브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내장 장기의 상태를 원격으로 측정하기 위한 장치.
  3. 측정을 필요로 하는 인간 또는 다른 포유동물의 관상 내장 장기의 PH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관상 내장 장기 또는 상기 장기에 인접한 영역으로 도입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샘플추출 챔버를 갖는 압력측정 카테테르와, 상기 압력측정 카테테르로 샘플추출하면서 상기 장기로 도입시키기 위한 샘플추출 챔버와 연결하는 상기 압력측정 카테테르상에 배치된 비-온도 감지기와, PH로 표시되는 유체 또는 가스 성질에 감응하는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체 또는 가스성질을 표시하는 전자기 신호를 전개시키기 위한 상기 감지기와, 상기 장기의 PH를 표시하는 PH 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한, 상기 신호에 감응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내장 장치의 PH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유체를 전달하거나 유출시키기에 적합한 벽을 갖춘 카테테르 튜브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내장 장기의 PH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5. 포유동물의 관상 내장 장기의 상태를 원격으로 측정하고 보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관상 내장 장기 또는 상기 장기에 인접한 영역으로 도입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샘플추출 챔버 및 상기 장기 내 유체압 상태를 표시하는 제1전자기 신호를 전개시키기 위한 상기 샘플추출 챔버와 소통하는 비-온도 감지기를 갖는 압력측정 카테테르와, 포유동물의 혈액 PH를 표시하는 제2전자기 신호를 전개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장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3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신호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장기의 상태를 보고하기 위해 상기 제3신호에 감응하고, 상기 장기의 외부에 위치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내장 장기의 상태를 원격으로 측정하고 보고하기 위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유체를 전달하거나 유출시키는데 적합한 벽을 갖춘 카테테르 튜브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내장 장기의 상태를 원격으로 측정하고 보고하기 위한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화학적으로 민감한 전자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내장 장기의 상태를 원격으로 측정하기 위한 장치.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화학적으로 민감한 전자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내장 장기의 PH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상기 감지기는 화학적으로 민감한 전자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내장 장기의 상태를 원격으로 측정하고 보고하기 위한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화학적으로 민감한 필드 효과 트랜지스터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내장 장기의 상태를 원격으로 측정하기 위한 장치.
  11.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화학적으로 민감한 필드 효과 트랜지스터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내장 장기의 PH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12.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화학적으로 민감한 필드 효과 트랜지스터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내장 장기의 상태를 원격으로 측정하고 보고하기 위한 장치.
  13.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신호는 와이어에 의해 PH 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한 수단에 전달되는 전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내장 장기의 PH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14.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1전자기 신호는 와이어에 의해 상기 제3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한 수단에 전달된 전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내장 장기의 상태를 원격으로 측정하고 보고하기 위한 장치.
  15.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를 보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상태 보고서를 만들기 위한 아날로그 회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내장 장기의 상태를 원격으로 측정하고 보고하기 위한 장치.
  16.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를 보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상태 보고서를 만들기 위한 디지탈 회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내장 장기의 상태를 원격으로 측정하고 보고하기 위한 장치.
  1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측정 카테테르는 제1감지기에 인접한 샘플 추출 영역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2전자 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내장 장기의 상태를 원격으로 측정하고 보고하기 위한 장치.
  1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관심있는 유체 또는 가스 성질이 PCO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내장 장기의 상태를 원격으로 측정하고 보고하기 위한 장치.
  1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관심있는 유체 또는 가스 성질이 PCO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내장 장기의 상태를 원격으로 측정하고 보고하기 위한 장치.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압력측정 카테테르 일부 또는 전부는 α-히드로-Ω히드록시-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내장 장기의 상태를 원격으로 측정하기 위한 장치.
  21. 인간이나 다른 포유동물의 내부 장기 상태를 표시하는 액상 유체 또는 가스상 유체 성질을 생체내에서 측정하는 압력측정 카테테르 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되는 하나이상의 관강을 갖는 연신된 압력측정 카테테르 튜브와, 상기 관강의 내부와 유체연결되는 카테테르 튜브상의 적어도 하나의 벽형 샘플추출 챔버와, 상기 관강과 연결되며 인간이나 다른 포유동물의 몸체 바깥에 위치되며, 샘플추출 챔버내 상기 샘플추출 매체로 내부장기의 벽 부분의 조직으로부터 투과된 관심있는 하나이상의 상기 액상 유체 또는 가스상 유체의 수준을 감지하는 분석용 감지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샘플추출 챔버는 상기 카테테르 튜브의 일부분을 둘러싸고 있으며 밀봉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챔버벽의 일부 또는 전체는 관심있는 하나이상의 액상 유체 또는 가스상 유체에 자유롭게 그리고 선택적으로 투과가능한 벽 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벽 물질은 다른 액상 유체나 가스상 유체에 투과성이며, 상기 카테테르 튜브는 인간이나 다른 포유동물 몸체의 바깥 위치로 연장되며 그리고 상기 관강이 상기 샘플추출 챔버와 인간이나 다른 포유동물 몸체의 바깥과의 사이에 샘플추출 매체를 흐르게 하기 위해 유체 연결을 제공하면서, 내부 장기의 벽 부분 조직으로부터 상기 샘플추출 챔버내로 관심있는 하나이상의 액상 유체 또는 가스상 유체를 투과시키기 위해서 상기 카테테르 튜브와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나이상의 벽을 갖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 카테테르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벽형 샘플추출 챔버는 상기 카테테르 튜브의 일부분을 둘러싸고 밀봉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기구(balloon)부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기구 부재의 벽은 관심있는 하나이상의 액상 유체 또는 가스상 유체에 자유롭게 투과가능하고 다른 액상 유체 또는 가스상 유체에는 투과성인 상기 벽 물질로 구성되며, 상기 기구 부재는 카테테르 튜브와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변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 카테테르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벽형 샘플추출 챔버는 카테테르 튜브내의 구멍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구멍은 구멍에 인접한 카테테르 튜브와 밀봉가능하게 연결되는 벽 물질로 덮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 카테테르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벽 물질은 변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 카테테르 장치.
  25. 인간이나 다른 포유동물의 내부 장기 상태를 표시하는 액상 유체 또는 가스상 유체 성질을 생체내에서 측정하는 압력측정 카테테르 장치에 있어서, 카테테르 튜브와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강을 갖는 연신된 압력측정 카테테르 튜브와, 상기 관강의 내부와 유체연결되는 카테테르 튜브상의 하나이상의 벽형 샘플추출 챔버와, 상기 관강과 연결되며 인간이나 다른 포유동물의 몸체 바깥에 위치하고, 샘플추출 챔버내 상기 벽 부분의 조직으로부터 상기 샘플추출 매체내로 투과된 관심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액상 유체 또는 가스상 유체의 수준을 감지하는 분석용 감지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벽형 샘플추출 챔버는 상기 카테테르 튜브의 일부분을 보통 둘러싸고 있으며 밀봉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기구 부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기구 부재의 벽의 일부 또는 전부는 다른 액상 유체 또는 가스상 유체에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인 벽 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구 부재는 카테테르 튜브가 인간이나 다른 포유동물 몸체의 바깥 위치로 연장되고 그리고 상기 관강이 상기 샘플추출 챔버와 인간이나 다른 포유동물 몸체의 바깥과의 사이에 샘플추출 매체를 흐르게 하기 위해 유체 연결을 제공하면서, 내부 장기의 벽 부분 조직으로부터 상기 샘플추출 챔버내로 관심있는 하나이상의 액상 유체 또는 가스상 유체를 투과시키기 위해서 상기 카테테르 튜브와 상기 기구 부재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편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 카테테르 장치.
  26. 인간이나 다른 포유동물의 내부 장기 상태를 표시하는 액상 유체 또는 가스상 유체 성질을 생체내에서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튜브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강을 갖는 연산된 압력측정 카테테르 튜브와 함께, 상기 관강의 내부와 유체연결되는 상기 카테테르 튜브상의 적어도 하나의 벽형 샘플추출 챔버를 제공하는 단계와, 관심있는 상기 액상 유체 또는 가스상 유체중 하나이상의 수준을 감지하는 가스 분석용 기구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기구 부재가 원하는 샘플추출 부위에 배치되도록 관심있는 장기내로 카테테르 튜브를 도입하는 단계와, 상기 카테테르 튜브내로, 그리고 상기 기구 부재와 상기 카테테르 튜브 사이의 상기 내부 공간내로 샘플추출 매체를 도입하는 단계와, 상기 샘플추출 부위에 존재하는 관심있는 상기 액상 유체 또는 가스상 유체를, 상기 기구 부재내에 함유된 샘플추출 매체내로 기구 부재와 벽을 가로질러 확산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상기 샘플추출 부위에 배치된 상기 샘플추출 챔버를 남겨두는 단계와, 상기 샘플추출 매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카테테르 튜브를 통해 배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가스 분석기 수단을 사용하여 배출된 샘플을 분석하여 배출된 샘플추출 매체내에 존재하는 상기 액상 유체 또는 가스상 유체의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벽형 샘플추출 챔버는 상기 카테테르 튜브의 일부분을 둘러싸고 밀봉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기구 부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기구 부재의 벽은 관심있는 하나이상의 액상 유체 또는 가스상 유체에 자유롭게 그리고 선택적으로 투과 가능한 벽 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벽 물질은 다른 액상 유체 또는 가스상 유체 투과성이며, 상기 기구 부재는 상기 샘플추출 챔버와 상기 카테테르 튜브 사이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내장이 상기 기구 부재와 인간 또는 다른 포유동물의 몸체의 바깥과의 사이에 유체연결을 제공하도록 상기 카테테르 튜브가 인간 또는 다른 포유동물의 몸체 바깥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장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액상 유체 또는 가스상 유체 성질을 생체내에서 측정하는 방법.
  27. 화합물이 환자의 유기체내에 놓여진 샘플추출 요소에 포함된 벽을 통해 상기 요소에 포함된 샘플 챔버내로 전달되고, 상기 챔버는 화합물과 혼합되도록 매체를 함유하며, 유기체와 상기 유기체로부터 배출된 화합물로 구성된 샘플은 후속의 분석을 위해 샘플추출 요소로부터 분배되는, 환자의 유기체로부터 배출되는 화합물을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샘플을 샘플추출 요소로부터 상기 샘플추출 요소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가스분석기로 전달하기 위하여 흡출요소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유기체로부터 배출되는 화합물을 분석하는 방법.
  2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추출 챔버와 연결되는 온도 감지기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내장 장기의 상태를 원격으로 측정하기 위한 장치.
  29.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추출 챔버와 연결되는 온도 감지기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내장 장기의 PH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30.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추출 챔버와 연결되는 온도 감지기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내장 장기의 상태를 원격으로 측정하고 보고하기 위한 장치.
  31. 제3항에 있어서, 카테테르의 일부 또는 전부는 α-히드로-Ω-히드록시-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내장 장기의 PH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32. 제5항에 있어서, 카테테르의 일부 또는 전부는 α-히드로-Ω-히드록시-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내장 장기의 상태를 원격으로 측정하고 보고하기 위한 장치.
KR1019900700853A 1988-08-26 1989-08-24 원격 감지 압력 측정 카테테르 장치 및 측정방법 KR01473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3728788A 1988-08-26 1988-08-26
US237,287 1988-08-26
US38070689A 1989-07-13 1989-07-13
US380,706 1989-07-13
PCT/US1989/003659 WO1990001893A1 (en) 1988-08-26 1989-08-24 Remote sensing tonometric catheter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1213A KR900701213A (ko) 1990-12-01
KR0147309B1 true KR0147309B1 (ko) 1998-08-01

Family

ID=26930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0853A KR0147309B1 (ko) 1988-08-26 1989-08-24 원격 감지 압력 측정 카테테르 장치 및 측정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386218B1 (ko)
JP (2) JP2954249B2 (ko)
KR (1) KR0147309B1 (ko)
AT (1) ATE132719T1 (ko)
AU (2) AU634979B2 (ko)
DE (1) DE68925417T2 (ko)
DK (1) DK101790A (ko)
FI (1) FI902067A0 (ko)
WO (1) WO19900018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27390D0 (en) * 1991-12-24 1992-02-19 Medicina Ltd Gastric probe
FI96379C (fi) * 1992-10-16 1996-06-25 Instrumentarium Oy Menetelmä ja laitteisto näytteen analysoimiseksi
SE9601369D0 (sv) * 1996-04-11 1996-04-11 Kjell Alving New device and method
US6125293A (en) * 1996-07-08 2000-09-26 Academisch Ziekenhuis Groning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pH in the mucosa of the stomach or the gastrointestinal tract
NL1003533C2 (nl) * 1996-07-08 1998-01-12 Groningen Acad Ziekenhuis Werkwijze voor het bepalen van de zuurgraad in het slijmvlies van de maag of van het maagdarmkanaal.
FI104461B (fi) * 1998-03-13 2000-02-15 Instrumentarium Oy Tonometrinen mittapää ja mittausmenetelmä
US6402689B1 (en) 1998-09-30 2002-06-11 Sicel Technologies, Inc. Methods, systems, and associated implantable devices for dynamic monitoring of physiolog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tumors
SE9803375D0 (sv) * 1998-10-06 1998-10-06 A & Science Invest Ab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of intestinal potential difference
US7557353B2 (en) 2001-11-30 2009-07-07 Sicel Technologies, Inc. Single-use external dosimeters for use in radiation therapies
WO2018180229A1 (ja) * 2017-03-30 2018-10-04 テルモ株式会社 酸素測定デバイス及び酸素測定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0003A (en) * 1967-02-03 1969-11-25 Battelle Development Corp Apparatus for measuring esophageal motility
US4020830A (en) * 1975-03-12 1977-05-03 The University Of Utah Selective chemical sensitive FET transducers
GB1527801A (en) * 1976-07-21 1978-10-11 Rolfe P Catheters
US4273636A (en) * 1977-05-26 1981-06-16 Kiyoo Shimada Selective chemical sensitive field effect transistor transducers
DE2734247C2 (de) * 1977-07-29 1984-07-19 Fresenius AG, 6380 Bad Homburg Vorrichtung zur fortlaufenden chemischen Analyse im lebenden Körper
JPS6012802B2 (ja) * 1978-07-13 1985-04-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の組立方法
US4338174A (en) * 1979-01-08 1982-07-06 Mcneilab, Inc. Electrochemical sensor with temperature compensation means
US4381001A (en) * 1979-07-09 1983-04-26 Shaw Jr Seth T IUD Arrangement
NL8001420A (nl) * 1980-03-10 1981-10-01 Cordis Europ Voor een elektrochemische meting toepasbare elektrode omvattend samenstel, in het bijzonder een als een isfet uitgevoerd samenstel, en werkwijze ter vervaardiging van het samenstel.
JPS56128131A (en) * 1980-03-14 1981-10-07 Olympus Optical Co Ph measuring apparatus
US4502490A (en) * 1980-10-28 1985-03-05 Antec Systems Limited Patient monitoring equipment, probe for use therewith, and method of measuring anesthesia based on oesophagal contractions
US4432366A (en) * 1981-11-27 1984-02-21 Cordis Corporation Reference electrode catheter
US4643192A (en) * 1982-03-22 1987-02-17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Hollow viscus tonometry
JPS59171537A (ja) * 1983-03-17 1984-09-28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生体内ガス分圧の測定方法および装置
US4727730A (en) * 1986-07-10 1988-03-01 Medex, Inc. Integrated optic system for monitoring blood pressure
JPS6462119A (en) * 1987-08-31 1989-03-08 Nec Corp Intracoelomic examination apparatus
JP2628355B2 (ja) * 1987-09-22 1997-07-09 バクスタ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生理学的測定装置のための光ファイバープローブコネク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86218B1 (en) 1996-01-10
AU2332295A (en) 1995-09-14
AU634979B2 (en) 1993-03-11
WO1990001893A1 (en) 1990-03-08
ATE132719T1 (de) 1996-01-15
DK101790D0 (da) 1990-04-25
JPH06237935A (ja) 1994-08-30
EP0386218A4 (en) 1991-03-20
KR900701213A (ko) 1990-12-01
FI902067A0 (fi) 1990-04-25
DE68925417D1 (de) 1996-02-22
AU4208689A (en) 1990-03-23
JP2954249B2 (ja) 1999-09-27
DE68925417T2 (de) 1996-08-01
AU687554B2 (en) 1998-02-26
JPH03502064A (ja) 1991-05-16
JP3167845B2 (ja) 2001-05-21
EP0386218A1 (en) 1990-09-12
DK101790A (da) 199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6251A (en) Remote sensing tonometric catheter apparatus and method
US5186172A (en) Remote sensing tonometric catheter apparatus
US5174290A (en) Tonometric catheter combination
US6010453A (en) Tonometric catheter combination
US5415165A (en) Tonometric catheter combination
US4643192A (en) Hollow viscus tonometry
US5433216A (en) Intra-abdominal pressure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US5423320A (en) Air tonometry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intraluminal gastrointestinal pCO2 and pO2
US5526809A (en) Hollow viscous and soild organ tonometry
KR0147299B1 (ko) 압력 측정 카테테르 콤비네이션
KR0147309B1 (ko) 원격 감지 압력 측정 카테테르 장치 및 측정방법
US2006017857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organ perfusion
CA1241584A (en) Hollow viscus tonometry
CA1335710C (en) Remote sensing tonometric catheter apparatus and method
CA1335708C (en) Tonometric catheter comb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