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875B1 - 전원절약형 무선 호출신호 송수신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원절약형 무선 호출신호 송수신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875B1
KR0145875B1 KR1019950030759A KR19950030759A KR0145875B1 KR 0145875 B1 KR0145875 B1 KR 0145875B1 KR 1019950030759 A KR1019950030759 A KR 1019950030759A KR 19950030759 A KR19950030759 A KR 19950030759A KR 0145875 B1 KR0145875 B1 KR 0145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ignal
wireless
subscriber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0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153A (ko
Inventor
황선웅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30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5875B1/ko
Priority to BR9603190-5A priority patent/BR9603190A/pt
Priority to US08/710,723 priority patent/US5907795A/en
Publication of KR970019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8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7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when the channel is in stand-b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the usage mode, e.g. hands-free, data transmission,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5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at the moment of starting communication in a multiple access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전원절약형 무선 호출신호 송수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현재까지 무선호출수신기에 적용되어온 전원절약회로들은 수신기 측면만을 고려한 것이었고 정상적인 데이터 환경이라는 전제를 갖고 있어서 전원절약의 극대화를 꾀하기에는 여전히 부족함을 갖고 있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한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호 요구를 수신하여 해당 무선 호출 수신기와의 접속을 요구하는 호 메시지를 송신하는 교환기와, 상기 호메세지를 엔코딩하여 호출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호 메세지에 포함된 무선호출번호로써 해당 무선 호출 서비스 가입자가 일반 서비스 가입자인지 아니면 광역 서비스 가입자인지 판잔하여 일반 서비스 가입자이면 상기 호출송신기와, 상기 무선호출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호출신호를 반전시켜 신호에 따라 동작전원의 공급이 배치모드 혹은 아이들모드로 전환되는 무선호출수신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절약형 무선 호출신호 송수신시스템.
[발명의 중요한 용도]
송신기측에서 송신할 데이터의 포맷을 조정함으로써 수신기가 정상적인 데이터와 반전(inverting)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처리 가능하도록 하여 전원절약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이용한다.

Description

전원절약형 무선 호출신호 송수신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절약형 무선 호출 시스템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절약형 무선 호출 수신기의 구성도
제3도는 제1 및 제2도중 반전부의 구체 회로도
제4도는 무선호출수신기에서 사용되는 POCSAG 코드의 형태 예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호출신호의 전원절약형 송수신 동작 파형도
제6도는 정상적인 데이터와 반전된 데이터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키입력부 11:RF부
12:디코더 13:제어부
14:주파수합성부 15:메모리
16:표시부 17:경보부
본 발명은 무선 호출 수신기에 있어서 무선 호출신호 송수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절약형 무선 호출신호 송수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무선 호출 수신기는 배터리 전압에 의해 동작되는 관계로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하기 위해 RF회로에 연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BS(Battery Save)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바 있는 출원번호 제92-2739호. '급속 충전 제어방법’을 그 일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무선 호출 수신기에서의 배터리 사용 시간은 매우 중요한 요건중의 하나이므로, 다양한 전원 절약회로를 무선 호출 수신기에 적용해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원절약회로들은 수신기 측면만을 고려한 것이었고 정상적인 데이터 환경이라는 전제를 갖고 있어서 전원절약의 극대화를 꾀하기에는 여전히 부족함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히 수신기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송신기측에서 송신할 데이터의 포맷을 조정함으로써 수신기가 정상적인 데이터와 반전(inverting)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처리 가능하도록 하여 전원절약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원 절약형 무선 호출신호 송수신 시스템은,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호 요구를 수신하여 해당 무선 호출 수신기와 접속을 요구하는 호 메시지를 송신하는 교환기와, 상기 호메세지를 엔코딩하여 호출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호 메세지에 포함된 무선호출번호로써 해당 무선 호출 서비스 가입자가 일반 서비스 가입자인지 아니면 광역 서비스 가입자인지 판단하여 일반 서비스 가입자이면 상기 호출신호를 그대로 송신하고 광역 서비스 가입자이면 반전시켜 송신하는 무선호출송신기와, 상기 무선호출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호출신호를 반전시킨 신호에 따라 동작전원의 공급이 배치모드 혹은 아이들모드로 전환되는 무선호출수신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지역권 이름, 지역번호, 기준채널주파수 및 서비스채널주파수의 수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토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다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기준채널주파수”라는 용어는 지역 가입자가 사용하는 주파수 채널을 세트하는 데이터로서, 주파수합성부의 PLL데이타를 나타낸다. 서비스채널주파수”라는 용어는 광역망 가입자가 사용하는 주파수 채널을 세트하는 데이터로서, 주파수합성부의 PLL데이타를 나타낸다. 캡코드(CAP code)”는 무선호출수신기의 고유 어드레스로서, 선행하는 소정 비트들은 가입된 지역권을 나타내는 지역 정보를 갖는다. 지역권”은 일정한 크기의 지역에 동일한 주파수로 무선호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지역을 말하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셀(cell)과 유사한 기능을 한다. 공통지역군”은 서로 원격 이격된 지역권들이 공통 기준채널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절약형 무선 호출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임의의 가입자단말기가 접속된 사설교환기와, 무선호출송신기를 연결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참조번호 100은 상기 무선호출송신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공지의 회로에 반전부 56을 추가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반전부 56는 광역 서비스 가입자를 호출 시 그 호출신호를 반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호출 수신기의 구성도로서, 키입력부 10은 무선호출수신기의 각종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키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키들로는 무선호출수신기의 동작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키, 채널 스캔 모드시 일정 시간주기로 채널 스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원절약모드키, 수신 저장중인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리드키 등을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RF부 11은 주파수합성부 14에 의해 채널이 지정되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지정된 채널의 미약한 RF신호를 증폭하고 그 증폭된 신호를 원래의 신호 대역으로 주파수 변환한 후 복조하며 그 복조된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파형 정형하여 출력한다. 디코더 12는 상기 RF부 11에서 출력하는 디지털 코딩 데이타를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즉 수신되는 부호화 데이터(통상 BCH 부호화된 데이터임)를 본래의 테이터로 디코딩하며, 상기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폭삭 코드 형태에서 프리앰블데이터, 워드싱크 및 자신의 프레임데이터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메모리 15는 무선호출수신기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로서, E2PROM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5에 저장되는 정보는 지역 정보를 포함하는 고유 어드레스데이타 및 프레임데이타로 구성되는 캡코드, 지역권의 채널들을 세트하기 위한 기준채널주파수들, 상기 기준채널주파수에 의해 세트된 지역에서 무선 호출 서비스를 받기 위한 서비스채널주파수들을 저장한다. 제어부 13은 상기 메모리 15의 정보를 분석하여 무선호출수신기의 호출 서비스 기능을 제어한다. 먼저 상기 키입력부 10으로부터 전원키 온 신호를 수신할 시, 상기 제어부 13은 초기 구동을 위한 채널 스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 13은 상기 메모리 15로부터 억세스한 기준채널주파수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며, 그 선택된 기준채널주파수를 일정주기로 출력하므로써 채널을 지정하고, 그 지정된 채널로부터 데이터의 수신 유무를 검사한다. 이때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캡코드에 포함된 지역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무선호출수신기가 위치된 지역을 판단한 후, 해당하는 지역권의 서비스채널주파수를 출력하여 지정된 서비스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프레임데이타를 분석한다. 또한 키입력부 10으로부터 전원절약모드키의 수신 시 상기와 같은 채널 스캔모드 수행중 전원절약모드를 세트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절약모드가 세트되면 일정 시간을 초과하도록 기준 채널이 스캔되지 않은 경우 상기 RF부 11의 전원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전원절약모드키에 의한 동작은 공지의 기능이다.
주파수합성부(frequency synthesizer) 14는 상기 제어부 13에서 출력되는 채널 데이터에 따라 상기 RF부 11의 채널을 지정한다. 상기 채널 데이터는 지역권의 기준 채널 주파수를 지정하기 위한 기준채널주파수들 및 광역망 가입자의 무선 호출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채널주파수들이 된다.
표시부 16은 상기 제어부 13의 제어하에 무선 호출 서비스중에 발생되는 각종 상황 및 수신된 메세지들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 16은 LCD로 구현할 수 있다. 경보부 17은 상기 제어부 13의 제어하에 메세지 수신시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경보부 17은 경보음을 발생하는 수단, 진동신호를 발생하는 바이브레이터(vibrator)등으로 이루어진다.
반전부 18은 상기 RF부 11에서 입력되는 신호 S1 그대로 혹은 반전신호중 어느 것을 상기 디코더 12로 전달할 것인지를 상기 제어부 13에서 출력되는 선택신호 S3에 응답하여 결정한다.
전원부 20은 무선 호출 수신기에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스위치 19는 상기 디코더 12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전원부 20의 전원공급을 배치모드 혹은 아이들모드 등으로 전환한다.
제3도는 제1 및 제2도중 반전부 18, 56의 구체 회로도로서, 인버터 INV와 멀티플렉서 MUX로 구성된다. 상기 멀티플렉서 MUX의 한 입력단으로는 상기 RF부 11에서 입력되는 신호 S1(S6)을 그대로 입력하고 다른 입력단으로는 상기 신호 S1(S6)을 상기 인버터 INV를 거쳐 반전시켜 입력한다. 또한 상기 멀티플랙서 MUX의 선택단자 sel에는 상기 제어부 13에서 출력되는 선택신호 S3(S5)가 입력된다.
제4도는 무선호출수신기에서 사용되는 POCSAG 코드의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페이지 전용신호 형태이며 CCIR권고안 584에 자세히 명시되어 있다.
하나의 POCSAG 코드는 576비트로 구성되는 프리앰블데이타(preamble data)와 연속되는 다수개의 배치데이타(batch data)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리앰블데이타는 1”과 0”이 576비트 동안 반복되는 코드(reversal code)이다. 상기 하나의 POCSAG 코드는 통상 30배치에서 최대 60배치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배치는 32비트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워드싱크데이타(wordsync data)와 64비트로 이루어지는 8개의 프레임 데이터(frame data)들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워드싱크데이타는 (7CD215D8)H,(01111100 11010010000101011101100)B”의 32비트 데이터이다. 또한 각 프레임데이타는 32비트의 어드레스코드워드(adress codeword)와 32비트의 메시지코드워드(message codeword)의 64비트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나의 배치는 32비트 데이터를 하나의 워드로 하는 17워드의 544비트 데이터(17워드*32비트=544비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리앰블데이타는 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하고 이 신호에 클럭비트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것이다. 상기 워드싱크데이타는 다음에 전송되는 어드레스, 메시지, 아이들(idle)과 같은 코드워드의 워드동기를 맞추기 위해 사용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라 송출되는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송신기는 정상적인 데이터와 반전된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번갈아 가며 송신한다. 이렇게 될 경우 정상적인 신호만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수신기는 반전된 신호를 전혀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잡음으로 처리하게 될 것이다. 단. 프리앰블은 같으므로 검출 가능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와는 반대로 반전된 신호만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수신기는 정상적인 신호를 전혀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잡음으로 처리하게 될 것이다.
제6도는 정상적인 데이터와 반전된 데이터의 예를 헥사(hex)코드로써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제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절약형 무선 호출신호 송수신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호 요구를 수신한 사설교환기는 해당 무선 호출 수신기와의 접속을 요구하는 호 메시지(call massage)를 제어부 52로 송신한다. 상기 호 메시지를 수신한 제어부 52에서는 이를 엔코더 55로 전달하여 폭삭코드 형태의 호출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엔코더 55에서 출력되는 호출신호는 제어부 52에서 발생되는 제1선택신호 S5에 의해 그대로 혹은 반전부 56에서 반전되어 송신부 57과 듀플랙서 53 및 안테나를 거쳐 공중 전파된다.
이때 상기 제1선택신호 S5은 제어부 52에서 상기 호 메시지에 포함된 무선호출번호로써 해당 무선 호출 서비스 가입자가 일반 서비스 가입자인지 아니면 광역 서비스 가입자인지 판단하여 일반 서비스 가입자이면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송신하도록, 광역 서비스 가입자이면 반전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하기 위해 발생하는 신호이다.
한편 수신기측에서는, 광역 무선호출수신기일 경우, 전원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전원이 온되면 제어부 13은 자신의 캡코드 및 기준채널주파수, 서비스채널주파수 등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15로부터 상기 정보를 읽어 온다. 그리고 먼저 상기 기준채널주파수로 동조되어 데이터의 수신 유무를 검사한다. 이때는 제2선택신호 S3가 '0’가 되도록 하여 정상적인 데이터를 수신하게 한다. 이렇게 하여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캡-코드의 지역 정보를 분석한 다음에는, 해당 서비스채널에 동조하여 실제 호출신호를 수신하기에 앞서 상기 제2선택신호 S3가 '1’가 되도록 하여 RF부 11에서 디코더 12로 전달되는, 수신된 호출신호가 반전부 18에서 반전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송신기측에서 광역 서비스 가입자를 대상으로 반전된 형태로 송신하는 호출신호만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부연하면, 일반 서비스 가입자의 무선 호출 수신기는, 제5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역 서비스 가입자를 호출하는 반전된 데이터에 대해서는 수신모드를 취하지 않고 아이들(idle)모드를 취하는 전원절약신호를 발생할 것인 바 그만큼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광역 서비스 가입자의 무선 호출 수신기는 일반 서비스 가입자를 호출하는 정상적인 데이터에 대해서는 수신모드를 취하지 않고 아이들 모드를 취하는 전원절약신호를 발생할 것인 바 그 만큼 전원을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송신기측에서 송신할 데이터의 포맷을 조정함으로써 수신기가 정상적인 데이터와 반전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처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원절약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호 요구를 수신하여 해당 무선 호출 수신기와의 접속을 요구하는 호 메세지를 송신하는 교환기와, 상기 호메세지를 엔코딩하여 호출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호 메시지에 포함된 무선호출번호로써 구분된 제1그룹에 해당하는 가입자인지 아니면 제2그룹에 해당하는 가입자인지 판단하여 제1그룹 가입자이면 상기 호출신호를 그대로 송신하고 제2그룹 가입자이면 반전시켜 송신하는 무선호출송신기와, 상기 무선호출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호출신호를 반전시킨 신호에 따라 동작전원의 공급이 배치모드 혹은 아이들모드로 전환되는 무선호출수신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절약형 무선 호출신호 송수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1그룹 가입자는 일반 서비스 가입자이고 제2그룹 가입자는 광역 서비스 가입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호출신호 송수신시스템.
  3.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호 요구를 수신하여 해당 무선 호출 수신기와의 접속을 요구하는 호 메세지를 송신하는 교환기로부터 상기 호메세지를 엔코딩하여 호출신호를 발생하는 무선호출송신기에 있어서, 상기 호 메세지를 포함된 무선호출번호로써 해당 무선 호출 서비스 가입자가 일반 가입자인지 아니면 광역 서비스 가입자인지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상기 해당 무선 호출 서비스 가입자가 일반 서비스 가입자이면 상기 호출신호를 그대로 송신하고, 광역 서비스 가입자이면 상기 호출신호를 반전시켜 송신하기 위한 반전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절약형 무선호출송신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수단이, 상기 호출신호를 그대로 혹은 반전된 신호의 형태로 입력하여 상기 판단수단의 제어를 받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랙서와, 상기 멀티플랙서로 상기 호출신호를 반전시켜 전달하는 인버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절약형 무선호출송신기.
  5. 무선호출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정상적인 혹은 반전된 형태의 호출신호를 수신하는 광역 무선호출수신기에 있어서, 기준채널주파수에 동조시 수신되는 호출신호를 그대로 디코딩하며 서비스 채널주파수에 동조시 수신되는 호출신호를 반전한 후 디코딩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자기 프레임에서 수신한 상기 반전된 형태의 호출신호를 다시 원 상태로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수단과, 상기 반전신호의 발생에 응답하여 동작전원의 공급이 배치모드 혹은 아이들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전원절약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전원절약신호에 응답하여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약형 무선 호출 수신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수단이, 상기 호출신호를 그대로 혹은 반전된 신호의 형태로 입력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랙서와, 상기 멀티플랙서로 상기 호출신호를 반전시켜 전달하는 인버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절약형 무선호출수신기.
KR1019950030759A 1995-09-19 1995-09-19 전원절약형 무선 호출신호 송수신시스템 KR0145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0759A KR0145875B1 (ko) 1995-09-19 1995-09-19 전원절약형 무선 호출신호 송수신시스템
BR9603190-5A BR9603190A (pt) 1995-09-19 1996-07-25 Sistema de transmissão e recepção de sinal de paginação de rádio para economia de bateria e transmissor e receptor de paginação de rádio
US08/710,723 US5907795A (en) 1995-09-19 1996-09-19 Battery saving radio paging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0759A KR0145875B1 (ko) 1995-09-19 1995-09-19 전원절약형 무선 호출신호 송수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153A KR970019153A (ko) 1997-04-30
KR0145875B1 true KR0145875B1 (ko) 1998-08-17

Family

ID=19427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0759A KR0145875B1 (ko) 1995-09-19 1995-09-19 전원절약형 무선 호출신호 송수신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07795A (ko)
KR (1) KR0145875B1 (ko)
BR (1) BR96031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167B2 (ja) * 1996-12-12 2000-04-24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無線機の電源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源制御方法
TW362329B (en) * 1998-01-16 1999-06-21 Winbond Electronic Corp Control method of RF signal for ERMES pager
SE515626C2 (sv) * 1998-12-22 2001-09-10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för utbyte av digital information mellan elektriska kretsar genom ström och spänningssekvens samt batteri med sådan anordning
US6542751B1 (en) * 1999-11-27 2003-04-01 Long Range Systems, Inc. Multi-mode paging system
US7062281B2 (en) * 1999-11-27 2006-06-13 Long Range Systems, Inc. Multi-mode paging system
US6915146B1 (en) * 2000-04-25 2005-07-05 The Chamberlain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different codes at a plurality of different frequencies
US20040224728A1 (en) * 2003-05-09 2004-11-11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ower save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1991A (en) * 1981-10-13 1984-02-14 Motorola, Inc. Encoder for transmitted message deactivation code
US4644347A (en) * 1983-08-10 1987-02-17 Motorola, Inc. Multiple frequency message system
KR880700603A (ko) * 1985-08-08 1988-03-15 원본미기재 전국 무선 페이징 시스템의 주사용 수신기
US5274843A (en) * 1987-11-28 1993-12-28 Kabushiki Kaisha Toshiba Paging apparatus having a battery saving function
US5230084A (en) * 1990-12-06 1993-07-20 Motorola, Inc. Selective call receiver having extended battery saving capability
US5384564A (en) * 1992-01-23 1995-01-24 Keith H. Wycoff Battery saving arrangement for selectively addressable, portable receivers
GB9202249D0 (en) * 1992-02-03 1992-03-18 Philips Electronics Uk Ltd Battery power conservation in a selective call system
US5448756A (en) * 1992-07-02 1995-09-05 Motorola, Inc. High frequency battery saver for a radio receiver
US5376975A (en) * 1992-11-27 1994-12-2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amble battery saving in selective call receivers
US5376929A (en) * 1992-11-27 1994-12-27 Motorola, Inc. Selective call receiver with battery saving features and method therefor
JP3060837B2 (ja) * 1993-06-10 2000-07-10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バッテリ節約方法および装置
US5475374A (en) * 1994-01-31 1995-12-1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 conserv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5497145A (en) * 1994-07-05 1996-03-05 Motorola, Inc. Selective call receiver with battery saving features and method therefor
JPH0856376A (ja) * 1994-08-10 1996-02-27 Fujitsu Ltd 無線呼出システムにおける符号伝送方法及び携帯呼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603190A (pt) 2005-06-21
KR970019153A (ko) 1997-04-30
US5907795A (en)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1133A (en) Selective call receiver with battery saving features and method therefor
KR930003451B1 (ko) 다중 주파수 메시지 주사 시스템
KR0156273B1 (ko) 배터리 절약 기능이 있는 2중 모드 수신기
US5206855A (en) Multiple frequency message system
US5382949A (en) Method for increasing battery life for selective call receivers
US4644347A (en) Multiple frequency message system
US5376929A (en) Selective call receiver with battery saving features and method therefor
KR0145875B1 (ko) 전원절약형 무선 호출신호 송수신시스템
US6216385B1 (en) Radio calling receiver with means to control reception based on service area, time zone, and/or electric field strength
US5850186A (en) Method of receiving radio paging signal
KR100238707B1 (ko) 광역 무선호출기의 수신지역 자동변경방법
JPH06120868A (ja) 無線呼出受信機
US6477381B1 (en) Selective call receiver and method for detecting mandatory frames of a channel protocol
KR0178838B1 (ko) 광역서비스 무선호출수신기의 전원절약방법
KR100267855B1 (ko) 무선호출수신기의 비규격 수신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JP2692630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H10178669A (ja) 間欠受信制御装置
JP2586821B2 (ja) 周波数制御可能無線個別呼出し受信機
JP3001528B1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のデータ受信方法
KR0181141B1 (ko) 광역 무선호출시스템 및 무선호출기의 지역 판단방법
KR100242426B1 (ko) 무선호출기에서 송신지역 표시방법
JP2822523B2 (ja) データ伝送方法、データ受信機、及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100212746B1 (ko) 무선 호출기에서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방지방법
KR0130629B1 (ko) 다중경보 수신기에서의 프리앰블 포착 실패시에도 호 데이타를 수신할 수 있는 방법
KR970005820B1 (ko) 무선호출 수신기의 전계 강도에 따른 경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