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2746B1 - 무선 호출기에서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방지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호출기에서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2746B1
KR100212746B1 KR1019970020348A KR19970020348A KR100212746B1 KR 100212746 B1 KR100212746 B1 KR 100212746B1 KR 1019970020348 A KR1019970020348 A KR 1019970020348A KR 19970020348 A KR19970020348 A KR 19970020348A KR 100212746 B1 KR100212746 B1 KR 100212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que address
data
address data
change
p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0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4523A (ko
Inventor
강융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20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2746B1/ko
Publication of KR19980084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4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8Address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2Group selection circuits, e.g. for memory block selection, chip selection, array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무선 호출기의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무선 호출기에서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의 변경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와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가능 횟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무선 호출기에서 상기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의 변경을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신호가 입력되면 디코딩한 후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데이터인지를 판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의 판정 결과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데이터이면 상기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가능 횟수를 리드하여 변경이 가능하지 않으면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고 종료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무선 호출기에 이용.

Description

무선 호출기에서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방지방법
본 발명은 무선 호출기에서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의 변경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호출시스템에서는 필요한 정보를 폭삭(POCSAG) 코드에 담아 해당 주파수로 변조하여 무선 호출기로 송출한다. 그러면 상기 무선 호출기에서는 상기 해당 주파수신호가 채널주파수와 일치하면 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주파수에서 상기 폭삭 코드를 디코딩하여 상기 폭삭 코드의 어드레스 데이터와 상기 무선 호출기의 어드레스 데이터가 일치하면 상기 폭삭 코드로부터 정보데이터를 읽어들인다.
도 1은 무선호출기에서 사용되는 POCSAG 코드의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페이저 전용신호 형태이며 CCIR권고안 584에 자세히 명시되어 있다. 하나의 POCSAG 코드는 576비트로 구성되는 프리앰블데이터(preamble data)와 연속되는 다수개의 배치데이터(batch data)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리앰블데이터는 '1'과 '0'이 576비트 동안 반복되는 코드(reversal code)이다. 상기 하나의 POCSAG코드는 통상 30배치에서 최대 60배치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배치는 32비트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워드싱크데이터(wordsync data)와 64비트로 이루어지는 8개의 프레임 데이터(frame data)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워드싱크데이터는 32비트 데이터이다. 또한 각 프레임데이터는 32비트의 어드레스 코드워드(address codeword)와 32비트의 메시지 코드워드(message codeword)의 64비트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나의 배치는 32비트 데이터를 하나의 워드로 하는 17워드의 544비트 데이터(17워드*32비트=544비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리앰블데이터는 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하고 이 신호에 클럭비트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것이다. 상기 워드싱크데이터는 다음에 전송되는 어드레스, 메세지, 아이들(ilde)과 같은 코드워드의 워드동기를 맞추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므로 무선 호출기는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와 채널주파수를 메모리 영역, 즉 EEPROM 영역에 저장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는 롬 라이터(ROM Writer)와 같은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장치에 의해서 쉽게 변경되었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장치로는 직접 무선 호출기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를 변경하는 데이터를 입력하여 변경하는 장치와, 무선 호출기에 연결되지 않고 무선으로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를 변경하는 데이터를 보내는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를 변경하는 데이터는 폭삭코드로 구성되며, 메시지 코드에 변경하기 원하는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와 변경 명령어가 삽입된다. 무선 호출기에서는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를 변경하는 데이터가 입력되면 디코딩하여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를 변경한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롬 라이터를 이용하여 각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를 하나의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로 변경함으로 여러개의 무선 호출기를 하나의 호출번호로 이용하는 불법 복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호출기에서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의 변경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무선호출기에서 사용되는 POCSAG 코드의 형태도.
도 2는 무선 호출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호출기에서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방지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호출기의 구성도를 나타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면의 참조번호 18은 키입력부로서, 무선 호출기의 각종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키들로 이루어진다.
11은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이하 RF라 한다)부로서, 주파수합성부(14)에 의해 채널이 지정되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지정된 채널의 미약한 RF신호를 증폭하고 그 증폭된 신호를 원래의 신호 대역으로 주파수 변환한 후 복조하며 그 복조된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파형 정형하여 출력한다.
12는 디코더로서, 상기 RF부(11)에서 출력하는 디지털 코딩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즉 수신되는 부호화 데이터(통상 BCH 부호화된 데이터임)를 본래의 데이터로 디코딩하며, 폭삭 코드 형태로부터 프리앰블데이터, 워드싱크 및 자신의 프레임데이터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15는 메모리로서, 무선 호출기의 정보를 저장하는 비활성 메모리인 EEPROM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메모리(15)는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인 캡코드와, 상기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를 변경 가능한 휫수와, 무선 호출 서비스를 받기 위한 채널주파수와, 각종 표시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가능 횟수는 출고하기전에 테스팅하기 위해 허용된다. 또한 상기 메모리(15)에는 옵션기능을 수행할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옵션기능으로는 시계 기능과 알람 기능 등을 들 수 있다.
13은 제어부로서, 카운터를 가지며, 상기 메모리(15)의 정보를 분석하여 무선 호출기의 호출 서비스 기능을 제어한다. 먼저 키입력부(18)로부터 전원키 온 신호를 수신할 시, 상기 제어부(13)는 초기 구동을 위한 채널 스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메모리(15)로부터 액세스한 기준채널주파수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며, 그 선택된 기준채널주파수를 일정 주기로 출력함으로써 채널을 지정하고, 그 지정된 채널로부터 데이터의 수신 유무를 검사한다. 이때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되는 프레임데이터를 분석하여 캡코드의 어드레스 데이터와 수신된 폭삭 코드의 어드레스 데이터가 일치하면 메시지데이터를 메모리(15)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키입력부(18)로부터 키데이터를 받아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3)는 수신된 데이터가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데이터이면 해당 수행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14는 주파수합성부(frequency synthesizer)로서, 상기 제어부(13)에서 출력되는 채널 데이터에 따라 상기 RF부(11)의 채널을 지정한다.
16은 표시부로서, 상기 제어부(13)의 제어를 받아 무선 호출 서비스 중에 발생되는 각종 상황 및 수신된 메시지들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6)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할 수 있다.
17은 경보부로서, 상기 제어부(13)의 제어를 받아 메시지 수신시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경보부(17)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수단, 진동신호를 발생하는 바이브레이터(vibrator)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호출기에서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방지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 1의 구성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를 변경하기 위해 변경 데이터를 보내면 제20단계에서 무선 호출기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21단계에서 디코터(12)에서 디코딩한 후 제어부(13)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22단계에서 제어부(13)는 디코딩된 폭삭코드를 받아 분석하여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데이터인지를 판정한다. 상기 판정 결과 수신된 데이터가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데이터이면 제23단계에서 제어부(13)는 메모리(15)를 액세스하여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가능 횟수가 0인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가능 횟수는 테스트를 위해서 일정 수를 허용한다. 상기 제23단계의 판정 결과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가능 횟수가 0이면 제24단계에서 제어부(13)는 메모리(15)를 액세스하여 제1표시데이터를 독출하여 표시부(16)에 표시한 후 종료한다. 여기서 제1표시데이터는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를 변경할 수 없음을 알리는 데이터이다.
그리고 상기 제22단계의 판정 결과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데이터가 아니면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해당 모드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23단계의 판정 결과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가능 횟수가 0이 아니면 제25단계에서 제어부(13)는 상기 횟수를 감소시킨 후 제26단계에서 제2표시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제2표시데이터는 남아있는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가능 횟수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를 변경하는 횟수를 제한하여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의 불법복제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와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가능 횟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무선 호출기에서 상기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의 변경을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신호가 입력되면 디코딩한 후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데이터인지를 판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의 판정 결과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데이터이면 상기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가능 횟수를 리드하여 변경이 가능하지 않으면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고 종료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에서 상기 변경이 가능하면 상기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가능 횟수의 수를 감소시키는 제3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을 수행한 후 남아있는 변경 가능 횟수를 표시하는 제2표시 데이터를 표시하는 제4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에서 변경이 가능하지 않으면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를 변경할 수 없음을 알리는 제1표시데이터를 표시한 후 종료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20348A 1997-05-23 1997-05-23 무선 호출기에서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방지방법 KR100212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348A KR100212746B1 (ko) 1997-05-23 1997-05-23 무선 호출기에서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348A KR100212746B1 (ko) 1997-05-23 1997-05-23 무선 호출기에서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방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523A KR19980084523A (ko) 1998-12-05
KR100212746B1 true KR100212746B1 (ko) 1999-08-02

Family

ID=19506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0348A KR100212746B1 (ko) 1997-05-23 1997-05-23 무선 호출기에서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274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523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3680A (en) Digital radio paging receiver
KR100212746B1 (ko) 무선 호출기에서 고유 어드레스 데이터 변경 방지방법
US5850186A (en) Method of receiving radio paging signal
US5907795A (en) Battery saving radio paging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JPH10200936A (ja) 無線呼出受信機
US6052564A (en) Portable individual calling device
KR100193852B1 (ko) 무선 수신호출기에서 이이피롬의 내용 변경방법
KR910003233B1 (ko) 페이징 수신기의 메시지 표시방법
JP2853225B2 (ja) 表示機能付無線選択呼出受信機
KR100242426B1 (ko) 무선호출기에서 송신지역 표시방법
KR100243807B1 (ko)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AU678934B2 (en) A paging receiver of displaying a 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or
KR19990012146A (ko) 휴대 단말기에서 세계 시간 표시 방법
KR19980045605A (ko) 주변 소음에 따른 동작모드 자동변환 무선 호출 수신장치와 제어방법.
JPS61105137A (ja) 表示機能付無線選択呼出受信機
KR19990007049U (ko) 무선 호출수신기의 경보 구동 장치
KR19980064031A (ko) 자동 다이얼 기능을 가지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JP2625410B2 (ja) 無線個別呼出受信機
KR19990016319A (ko) 무선 호출수신기에서 특정 데이터 수신 경보 및 잠금 방법
KR100237436B1 (ko) 양방향 무선호출수신기에서 송.수신 불가능상태를 알리는 방법
JP3111535B2 (ja) 受信機の試験方法
KR20000010011A (ko) 모스부호를 이용한 무선호출기의 호출장치 및 방법
KR0142948B1 (ko) 광역 무선 호출 수신기의 지역 인식 회로 및 방법
RU2127947C1 (ru) Способ срочной передачи ответного сообщения в пейджере с двусторонней связью
JPH104578A (ja) 無線呼出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