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820B1 - 무선호출 수신기의 전계 강도에 따른 경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호출 수신기의 전계 강도에 따른 경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820B1
KR970005820B1 KR1019940020367A KR19940020367A KR970005820B1 KR 970005820 B1 KR970005820 B1 KR 970005820B1 KR 1019940020367 A KR1019940020367 A KR 1019940020367A KR 19940020367 A KR19940020367 A KR 19940020367A KR 970005820 B1 KR970005820 B1 KR 970005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preamble
timer
detecte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0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646A (ko
Inventor
서인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20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820B1/ko
Publication of KR960008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8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2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47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alarm criteria uses signal strengt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호출 수신기의 전계 강도에 따른 경보방법
제1도는 무선호출수신기의 POCSAG의 형태도.
제2도는 무선호출수신기의 구성도.
제3도는 종래의 무선호출 수신기의 무선 호출 서비스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 수신기의 전계 강도에 따른 경보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RF부 22 : 디코더
23 : 제어부 24 : 주파수합성부
25 : EEPROM 26 : 표시부
27 : 경보부
본 발명은 무선호출수신기의 경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호출수신기가 서비스 지역권을 벗어날 경우 경보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호출수신기(paging receiver)는 송신측인 페이징 시스템(paging system)으로부터 송출되는 제1도와 같은 형태의 POCSAG코드를 디코딩하여 무선 호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POCSAG 코드는 하나의 프리앰블(preamble)신호와 다수개의 배치(batch)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나의 배치는 하나의 워드싱크(word sync)와 8개의 프레임(frame)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프레임은 32비트의 어드레스 코드워드(adress cordword)와 메세지 코드워드(message cordword)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어드레스 코드워드에는 호출하고자 하는 무선호출수신기의 고유 어드레스인 캡코드들이 실리고, 메세지 코드워드에는 호출 측의 전화번호와 같은 메세지가 실린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페이징 시스템이 POCSAG 코드를 송출하면, 무선호출수신기는 먼저 프리앰블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프리앰블신호는 101010…1010 형태로 반복되는 코드(reversal code)이다. 상기와 같은 코드가 소정 비트 수 이상 검출되면, 7CD215D8의 데이타를 갖는 워드싱크를 검출한다. 상기와 같은 워드싱크를 검출하면, 무선호출수신기는 자기 프레임 위치에서 어드레스 코드워드를 수신하여 자기 고유의 어드레스와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에는 자기 메세지로 판단하고 수신된 메세지 코드워드를 저장하는 동시에 호출됐음을 알리는 경보신호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신되는 POCSAG 코드 데이타를 검출하는 동작은 무선호출수신기의 디코더에서 수행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수신기의 구성도로서, RF부21은 주파수합성부 24에 의해 채널이 지정되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지정된 채널의 RF신호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 출력한다. 상기 RF부21은 지정된 채널로 수신되는 미약한 RF신호를 증폭하며, 증폭된 신호를 원래의 신호 대역으로 주파수 변환한 후 복조하며, 복조된 디지탈 데이타로 파형 정형하여 출력한다. 상기 디지탈 데이타는 코딩된 데이타이다.
디코더 22는 상기 RF부21을 출력하는 디지탈 코딩데이타를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상기 디코더22는 상기 제1도와 같은 POCSAG 코드 형태에서 프리앰블, 워드싱크를 검출하고, 자신의 프레임 데이타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EEPROM25는 무선호출수신기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상기 EEPROM25에 저장되는 정보는 고유어드레스 데이타 및 프레임 데이타로 구성되는 캡코드가 저장된다.
제어부23은 초기 구동시 상기 EEPROM25의 정보를 리드하여 내부의 램에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23은 가입자가 속한 기준채널데이타를 출력하여 채널을 지정하고, 지정된 기준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프레임데이타 분석하여 경보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23은 전원 절약 모드를 수행하기 위하여 일정 주기로 상기 RF부21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주파수합성부(frequency synthesizer)24는 상기 제어부23으로부터 출력되는 채널 데이타에 따라 상기 RF부21의 채널을 지정한다.
표시부26은 상기 제어부23의 제어하에 무선 호출 서비스 중에 발생되는 각종 상황 및 수신된 메세지들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26은 LCD가 될 수 있다. 경보부27은 상기 제어부23의 제어하에 메세지 수신시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경보부27은 경보음을 발생하는 수단, 진동신호를 발생하는 바이브레이터(vibrator)등으로 구성된다.
제3도는 무선호출수신기에서 무선호출 기능을 서비스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제어부23은 전원을 절약하기 위하여 일정 주기로 RF부21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전원이 공급되면 RF부21은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RF신호를 증폭, 주파수변환 및 복조한 후 디지탈형태의 부호화데이타를 출력한다. 그러면 디코더 22는 수신되는 데이타를 디코딩한 수, POCSAG 코드의 수신 유무를 분석한다.
상기 POCSAG코드는 프리앰블, 워드싱크 및 프레임 데이타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디코더22는 상기 프리앰블의 수신 유무를 검사하며, 상기 프리앰블이 검출되면 이를 상기 제어부23으로 통보한다. 또한 상기 디코더22는 상기 RF부21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디코딩한 후 분석하는 과정에서 워드싱크를 검출하면, 이를 상기 제어부23으로 통보한다. 그리고 상기 디코드22는 부호화된 프레임 데이타들을 디코딩하여 제어부23으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디코더22는 상기 RF부21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프리앰블 검출신호 및 워드싱크 검출신호를 발생하지 못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3은 상기 RF부21로 전원을 공급한 후 상기 디코더22의 출력을 분석하여 프리앰블 및 워드싱크의 검출이 이루어졌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디코더22로부터 프리앰블 검출신호 및 워드싱크 검출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23은 311단계 및 313단계에서 각각 이를 인지하고, 315단계에서 지정된 자기 프레임의 어드레스 부호어를 구신하여 자기 어드레스와 수신된 자기 프레임의 어드레스 부호어가 동일한가를 검사한다. 이때 프레임 데이타의 어드레스 부호어가 자기의 고유 어드레스와 다른 경우에는 수신된 데이타가 다른 가입자의 데이타가 되므로 대기상태로 천이되어 다음 상태로 대비한다. 그러나 자기프레임으로 지정된 프레임 데이타의 어드레스 부호어가 자기 고유 어드레스와 동일한 경우에는 수신된 데이타가 자기데이타이므로, 317단계에서 프레임 데이타의 메세지 부호어를 내부의 램에 저장하며, 319단계에서 경보부27을 제어하여 호출되었음을 경보한다. 그리고 321단계에서는 상기 표시부26을 제어하여 수신된 메세지를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선 호출 서비스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하는 상태를 경보할 수 없어 무선 호출 서비스의 능력을 저하시키게 된다. 즉, 상기 무선호출수신기가 서비스 지역을 벗어난 수신불가지역에 위치되니 경우 또는 현재 무선호출수신기가 약전계 지역에 위치된 경우, 이런 상태를 경보하지 못하므로서 사용자는 현재의 위치가 어떤 상태인가를 알 수 없으며, 이로인해 무선호출 기능의 저하를 야기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호출수신기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있는 무선호출수신기에서 프리앰블의 검출 시간을 설정하여 구비하고, 호출 기능서비스시 프리앰블의 검출 주기를 상기 설정시간들과 비교하여 현재 무선호출수신기의 호출 정보 수신 기능유무를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호출수신기에서 워드싱크의 검출 시간을 설정하여 구비하고, 호출 기능 서비스시 워드싱크의 검출 주기를 상기 설정시간과 비교하여 현재 무선호출수신기의 호출 정보 수신 가능 유무를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무선호출수신기는 프리앰블의 검출주기에 대응하는 시간을 발생하는 제1타이머 및 워드싱크의 검출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을 발생하는 제2타이머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호출수신기의 상태 표시 방법은 프리앰블 검출 유무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앰블이 검출되지 않을 시 상기 제1타이머의 시간과 설정시간을 비교하며, 설정시간 이내이면 상기 프리앰블검출과정을 반복하는 과정과, 상기 제1타이머의 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할 시 수신불가지역임을 표시하고 상기 프러앰블 검출과정으로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앰블이 검출될 시 워드싱크의 검출유무를 검사하는 과정돠, 상기 워드싱크가 검출되지 않을 시 상기 제2타이머의 시간과 설정시간을 비교하며, 설정시간 이내이면 상기 워드싱크 검출과정을 반복하는 과정과, 상기 제2타이머의 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할 시 약전계지역임을 표시하고 상기 프리앰블 검출과정으로 진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중 동일한 부품들은 가능한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제1설정시간-제3설정시간 및 제1상태-제3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타 등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제1설정시간은 프리앰블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수신불가지역임을 표시하기 위한 기준시간을 의미하며, 제2설정시간은 프리앰블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완전수신불가지역임을 표시하기 위한 기준시간을 의미하고, 제3설정시간은 워드싱크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 약전계지역임을 표시하기 위한 기준시간을 의미한다. 또한 제1형태는 현재 무선호출수신기의 위치가 수신불가지역에 있음을 의미하며, 제2상태는 현재 무선호출수신기의 위치가 완전수신불가지역에 있음을 의미하고, 제3상태는 현재 무선호출수신기의 위치가 약전계지역에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실행하는 무선호출수신기의 구성은 상기한 제2도의 구성과 동일하며, 또한 참조부호도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3은 본 발명에 따라 각 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제1타이머 및 제2타이머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23은 상기 디코더22로부터 출력되는 프리앰블 검출신호의 주기를 계산하기 위하여 제1타이머를 제어하며, 상기 디코더22로부터 출력되는 워드싱크 검출신호의 주기를 계산하기 위하여 제2타이머를 제어한다. 상기 제1타이머는 상기 프리앰블 검출신호 수신시 초기화되며, 상기 프리앰블이 검출되지 않을시 프리앰블이 검출되지 않는 시간에 대응되는 시간 정보를 발생한다. 상기 제2타이머는 상기 워드싱크검출신호 수신시 초기화되며, 상기 워드싱크가 검출되지 않을 시 워드싱크가 검출되지 않는 시간에 대응되는 시간 정보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3은 메세지 수신을 알리기 위한 톤 및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톤 구동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상태 정보를 발생하기 위한 톤 신호들을 수신불가지역임을 알리기 위한 제1상태톤신호, 완전수신불가지역음을 알리기 위한 제2상태톤신호, 약전계지역임을 알리기 위한 제3상태톤신호들이 된다. 상기 제어부23은 상기 3가지 상태에 따른 톤 신호들을 각각 다른 형태로 발생하며, 이들 상태를 나타내는 톤 신호들은 상기 메세지 수신시의 톤 신호와도 다른 형태가 되어야 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무선호출수신기에서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로서, 프리앰블 검출 유무를 검사하는 방법과, 상기 프리앰블이 검출되지 않을 시 상기 제1타이머의 시간과 제1설정시간을 비교하며, 제1설정시간 이내이면 상기 프리앰블검출과정을 반복하는 과정과, 상기 제1타이머의 시간이 상기 제1설정시간을 초과할 시 수신불가지역임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불가지역 표시 상태에서 상기 제1타이머의 시간과 제2설정시간을 비교하며, 제2설정시간 이내이면 프리앰블검출과정으로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1타이머의 시간과 제2설정시간을 비교하며, 제2설정시간 이내이면 프리앰블검출과정으로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1타이머의 시간이 상기 제2설정시간을 초과할 시 완전수신불가지역임을 표시하고 상기 프리앰블 검출과정으로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앰블이 검출될 시 워드싱크의 검출유무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워드싱크가 검출되지 않을 시 상기 제2타이머의 시간과 제3설정시간을 비교하며, 제3설정시간이내이면 상기 워드싱크 검출과정을 반복하는 과정과, 상기 제2타이머의 시간이 제3설정시간을 초과할 시 약전계지역임을 표시하고 상기 프리앰블 검출과정으로 진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제2도의 구성 및 제4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어부23은 무선호출 기능을 서비스할 시 상기 RF부21로 전원을 공급하고, 411단계에서 디코더22로부터 프리앰블검출신호가 수신되는가 검사한다. 이때 프리앰블검출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부23은 제1타이머를 초기화시키고, 425단계로 진행하여 프리앰블에 뒤이어지는 워드싱크 검출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그리고 상기 425단계에서 워드싱크 검출신호가 수신되면 자기 프레임의 메세지를 수신하며, 433단계에서 프레임 데이타의 어드레스 부호어와 자신의 캡코드를 비교하여 자기 메세지인가 검사한다. 이때 수신된 프레임 데이타가 자기 어드레스를 갖지 않는 경우에는 대기상태로 진행한 후 다시 상기 프리앰블 검출과정으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상기 433단계에서 프레임 데이타의 어드레스가 자기 어드레스인 경우, 상기 제어부23은 435단계에서 프레임 데이타의 메세지 부호어를 내부의 램에 지정하고, 437단계에서 경보부27을 제어하여 메세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경보신호를 출력하며, 439단계에서 표시부26을 제어하여 수신된 메세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대기 상태로 진행하여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전원 스위치가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무선호출수신기는 상기 제1도와 같은 같은 구성을 갖는 POCSAG코드를 수신하며, 수신된 POCSAG코드를 분석하여 무선호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POCSAG코드는 페이징 시스템으로부터 항상 출력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때 상기 무선호출수신기가 POCSAG코드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는 현재 무선호출수신기의 위치가 수신이 불가능한 지역에 위치되어 있거나 또는 약전계 지역에 위치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무선호출수신기가 일정시간 내에 상기 POCSAG코드의 프리앰블을 검출하지 못하면, 현재 무선호출수신기가 수신불가지역에 위치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무선호출수신기가 POCSAG코드의 프리앰블을 검출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내에 워드싱크를 검출하지 못하면, 현재 무선호출수신기가 약전계 지역에 위치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무선호출수신기가 수신불가지역 또는 약전계지역에 위치되면, 본 발명에서는 해당하는 상태를 표시 및 경보한다. 이를 판단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1설정시간-제3설정시간의 기준 시간 값을 구비한다. 먼저 제1설정시간은 현재 무선호출수신기가 수신불가지역에 위치되었음을 판단하기 위해 설정한 기준 시간값으로서, 프리앰블이 제1설정시간을 초과하도록 검출되지 않으면 수신불가지역임을 판단하고 제1상태를 표시하는 동시에 제1상태톤을 발생한다. 두번째로 제2설정시간은 현재 무선호출수신기가 완전수신불가지역에 위치되었음을 판단하기 위해 설정한 기준 시간 값으로서, 프리앰블이 제2설정시간을 초과하도록 검출되지 않으면 완전수신불가지역임을 판단하고 제2상태를 표시하는 동시에 제2상태톤을 발생한다. 여기서 제1설정시간은 5분으로 가정하고, 제2설정시간은 20분으로 가정한다. 세번째로 제3설정시간은 현재 무선호출수신기가 약전계지역에 위치되었음을 판단하기 위해 설정한 기준 시간 값으로서, 프리앰블 검출 후 워드싱크가 제3설정시간을 초과하도록 검출되지 않으면 약전계지역임을 판단하고 제3상태를 표기하는 동시에 제3상태톤을 발생한다. 여기서 제3설정시간은 3분으로 가정한다.
상기 제어부23은 프리앰블이 검출되지 않으면, 411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제1타이머의 시간 값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3은 413단계에서 상기 제1타이머의 시간 값과 제1설정시간 값을 비교한다. 이때 상기 제1타이머의 시간 값이 상기 제1설정시간 이내의 값을 갖는 경우 상기 411단계로 되돌아가 프리앰블 검출과정을 반복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3은 프리앰블이 검출되지 않을 시 상기 제1타이머의 시간 값을 증가시켜 가며 상기 제1설정시간과 비교하는 과정을 반복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1설정시간인 5분 내에 싱기 디코더22로부터 프리앰블 검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타이머를 초기화시킨후 워드싱크 검출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그러나 상기 제1설정시간인 5분 내에 프리앰블 검출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3은 상기 413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415단계에서 제1상태톤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경보부27로 출력하고, 417단계에서 제1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타를 표시부26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411단계-제417단계에서 제1설정시간인 5분이내에 프리앰블이 검출되지 않으면 수신불가지역임을 나타내는 제1상태톤을 발생하는 동시에 표시부26 상에는 수신불가지역임을 나타내는 문자가 표시된다.
따라서 가입자가 수신불가능한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 무선호출수신기는 경보부27 및 표시부26을 통해 가청음 및 표시 문자로 경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상태가 발생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3은 계속하여 프리앰블 검출신호의 수신을 대기하는 동시에 제1타이머의 시간 값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무선호출수신기가 수신불가지역에 위치되어 있음을 경보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제1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제어부23은 419단계에서 상기 제1타이며의 시간값과 완전수신불가지역임을 설정한 제2설정시간을 비교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2설정시간인 20분 내에 상기 디코더22로부터 프리앰블검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타이머를 초기화시키며, 경보부27 및 표시부26을 제어하여 제1상태의 경보동작을 중지시킨 후 워드싱크 검출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그러나 상기 제2설정시간인 20분 내에 프리앰블 검출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3은 상기 419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421단계에서 제2상태톤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경보부27로 출력하고, 423단계에서 제2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타를 표시부26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411단계-제423단계에서 제2설정시간인 20분 이내에 프리앰블이 검출되지 않으면 완전수신불가지역임을 나타내는 문자가 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리앰블이 제1설정시간을 초과하도록 검출되지 않을 경우 수신불가지역임을 나타내는 제1상태를 표시하는 동시에 가청음으로 경보하며, 이후 상기 제1상태를 경보하는 상태에서 제2설정시간을 초과하도록 프리앰블이 검출되지 않으면, 완전수신불가지역임을 나타내는 제2상태를 표시하는 동시에 가청음으로 경보한다. 상기 제1상태 및 제2상태를 경보하는 가청음 각각 다른 형태로 하며, 상태 표시 정보는 각각 다르게 설정한다.
상기 411단계에서 프리앰블이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23은 제1타이머를 초기화시킨 후 제2타이머를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2타이머는 시간 값을 증가시키기 시작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3은 상기 디코더22로부터 프리앰블 검출신호를 수신하면, 425단계에서 워드싱크 검출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이때 상기 워드싱크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3은 427단계에서 상기 제2타이머의 시간 값과 제3설정시간을 비교한다. 이때 상기 제2타이머의 시간 값이 상기 제3설정시간 이내의 값을 갖는 경우 상기 425단계로 되돌아가 워드싱크 검출과정을 반복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3은 워드싱크가 검출되지 않을 시 상기 제2타이머의 시간값을 증가시켜 가며 상기 제3설정시간과 비교하는 과정을 반복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3설정시간인 3분 내에 상기 디코더22로부터 워드싱크 검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타이머를 초기화시킨 후 수신되는 프레임 데이타를 분석하기 위하여 433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제3설정시간인 3분 내에 워드싱크 검출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3은 상기 427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429단계에서 제3상태톤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경보부27로 출력하고, 431단계에서 제3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타를 표시부26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425단계-제431단계에서 제3설정시간인 3분 이내에 프리앰블이 검출되지 않으면 약전계지역임을 표시하기 위하여 제3상태톤을 발생하는 동시에 표시부26 상에는 약전계지역임을 나타내는 문자가 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프리앰블이 검출되는 상태에서 워드싱크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무선호출수신기가 약전계지역에 위치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가입자가 약정계지역으로 이동한 경우 무선호출수신기는 경보부 27 및 표시부26을 통해 가청음 및 표시 문자로 경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상태에서 발생되는 경보 및 표시동작은 각각 상기 제1상태 및 제2상태의 경보 및 표시동작과 다른 형태로 하여 각각의 상태를 경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상태에 대한 경보 동작을 톤 신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지만, 멜로디(melody) 및 음성메모리(voice memory)를 이용한 음성신호로 통보할 수도 있다.

Claims (9)

  1. 프리앰블로 유도되는 데이타를 분석하여 무선호출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프리앰블의 발생 주기를 계수하는 타이머를 구비하는 무선호출 수신기의 상태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검출시 상기 제1타이머를 초기화하며, 상기 제1타이머의 시간 값을 증가시켜 프리앰블 검출주기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앰블의 검출주기가 제1설정시간을 초과할 시 완전 수신 불가능 지역에 있음을 경보하는 제2경보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수신기의 상태 표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설정시간이 상기 제1설정시간 보다 더 크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수신기의 상태 표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과정이 상태를 나타내는 가청음 및 표시문자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수신기의 상태 표시 방법.
  4. 프리앰블의 검출주기에 대응하는 시간을 발생하는 제1타이머 및 워드싱크의 검출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을 발생하는 제2타이머를 구비하는 무선호출수신기의 상태 표시 방법에 있어서, 프리앰블 검출 유무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앰블이 검출되지 않을 시 상기 제1타이머의 시간과 설정시간을 비교하며, 설정시간 이내이면 상기 프리앰블 검출과정을 반복하는 과정과, 상기 제1타이머의 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할 시 수신불가지역임을 표시하고 상기 프리앰블 검출과정으로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앰블이 검출될 시 워드싱크의 검출 유무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워드싱크가 검출되지 않을 시 상기 제2타이머의 시간과 설정시간을 비교하며, 설정시간 이내이면 상기 워드싱크 검출과정을 반복하는 과정과, 상기 제2타이머의 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할 시 약전계지역임을 표시하고 상기 프리앰블검출과정으로 진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수신기의 상태 표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검출을 설정하는 시간이 상기 워드싱크를 검출을 설정하는 시간보다 더 크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수신기의 상태 표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과정이 상태를 나타내는 가청음 및 표시문자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수신기의 상태 표시 방법.
  7. 프리앰블의 검출주기에 대응하는 시간을 발생하는 제1타이머 및 워드싱크의 검출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을 발생하는 제2타이머를 구비하는 무선호출수신기의 상태 표시방법에 있어서, 프리앰블 검출유무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앰블이 검출되지 않을 시 상기 제1타이머의 시간과 제1설정시간을 비교하며, 제1설정시간 이내이면 상기 프리앰블 검출과정을 반복하는 과정과, 상기 제1타이머의 시간이 상기 제1설정시간을 초과할 시 수신불가지역임을 제1경보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불가지역 표시 상태에서 상기 제1타이머의 시간과 제2설정시간을 비교하며, 제2설정시간 이내이면 상기 프리앰블 검출과정으로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1타이머의 시간이 상기 제2설정시간을 초과할 시 완전수신불가지역임을 제2경보하고 상기 프리앰블검출과정으로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앰블이 검출될 시 워드싱크의 검출유무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워드싱크 검출과정을 반복하는 과정과, 상기 제2타이머의 시간이 제3설정시간을 초과할 시 약전계지역임을 제3경보하고 상기 프리앰블 검출과정으로 진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수신기의 상태 표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설정시간이 상기 제1설정시간 보다 더 크게 설정되고, 상기 제1설정시간이 상기 제3설정시간 보다 더 크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수신기의 상태 표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과정이 상태를 나타내는 가청음 및 표시문자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수신기의 상태 표시 방법.
KR1019940020367A 1994-08-18 1994-08-18 무선호출 수신기의 전계 강도에 따른 경보방법 KR970005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0367A KR970005820B1 (ko) 1994-08-18 1994-08-18 무선호출 수신기의 전계 강도에 따른 경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0367A KR970005820B1 (ko) 1994-08-18 1994-08-18 무선호출 수신기의 전계 강도에 따른 경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646A KR960008646A (ko) 1996-03-22
KR970005820B1 true KR970005820B1 (ko) 1997-04-21

Family

ID=19390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0367A KR970005820B1 (ko) 1994-08-18 1994-08-18 무선호출 수신기의 전계 강도에 따른 경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8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646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1133A (en) Selective call receiver with battery saving features and method therefor
US6075456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location of lost or misplaced paging receiver and its owner's telephone number
US58315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battery power in a paging receiver
KR0165210B1 (ko) 무선호출수신기의 음성호출장치 및 방법
US5850186A (en) Method of receiving radio paging signal
JPH1198549A (ja) 無線呼出受信機
KR970005820B1 (ko) 무선호출 수신기의 전계 강도에 따른 경보방법
US5907795A (en) Battery saving radio paging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KR100229879B1 (ko) 무선 호출 수신기의 경보 발생 방법 및 장치
KR930002750B1 (ko) 무선호출 수신기의 경보음 다양화 회로 및 그 제어방법
US5929772A (en) Data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use in a paging receiver
KR19980067608A (ko) 광역 무선호출기의 수신지역 자동변경방법
KR100247188B1 (ko) 무선 호출 수신기의 동일메시지 처리 방법
KR100277068B1 (ko) 무선호출기에서 미확인 메세지 알림방법
GB2264579A (en) Paging recei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294046B1 (ko) 무선호출기의미수신메시지알림방법
KR100242426B1 (ko) 무선호출기에서 송신지역 표시방법
KR100228910B1 (ko) 무선호출 수신기의 배터리 절약 방법
KR100218595B1 (ko) 수첩기능을 갖는 무선호출기
KR960012953B1 (ko) 무선호출 수신기의 선택적 호출 제어 방법
KR100271599B1 (ko) 보조호출장치를가지는무선호출수신기
JPH0779466A (ja) 未読み出しメッセージ報知機能付き無線選択呼出受信機
KR19990047846A (ko) 모스부호를 이용한 무선호출기의 메시지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0228912B1 (ko) 무선 호출 수신기의 연속메시지 표시 방법
KR20000010011A (ko) 모스부호를 이용한 무선호출기의 호출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