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388B1 -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388B1
KR0145388B1 KR1019950063757A KR19950063757A KR0145388B1 KR 0145388 B1 KR0145388 B1 KR 0145388B1 KR 1019950063757 A KR1019950063757 A KR 1019950063757A KR 19950063757 A KR19950063757 A KR 19950063757A KR 0145388 B1 KR0145388 B1 KR 0145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seat belt
fixed
vehicle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3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9896A (ko
Inventor
김국일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63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5388B1/ko
Publication of KR970039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9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388B1/ko

Link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벨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사고시 시트벨트로부터 받는 충격을 감쇄시켜서 벨트착용자의 상해를 방지하도록 한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 앵커 브래킷에 걸어져 일단이 이머젼시 록킹 리트렉터에 고정되고 타단이 센터필라(30)측에 고정됨과 동시에 텅 플레이트가 개재되어 시트의 일측에 고정된 시트벨트 버클에 잠금, 해제 가능하게 되어 있는 시트벨트(10)에 있어서, 상기 센터필라(30)의 하부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1 측벽(41)의 양단에 일체로 연장된 제2측벽(42), 제3측벽(43), 제4측벽(44), 제5측벽(45)이 내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있고, 상기 제5측벽(45)에 종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턱(45a)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40)과, 이 가이드 레일(40)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 중앙에 연장된 지지벽(52)과, 이 지지벽(52)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제1측벽(53)과, 이 제1측벽(53)에 각각 수직으로 연장된 제2측벽(54), 제3측벽(55)을 구비하여 상기 제1측벽(53)의 내측면에 상기 걸림턱(45a)에 걸림되는 걸림돌기(53a)가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더(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의 설치상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서 슬라이더의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에서 슬라이더와 가이드 레일의 요부단면도.
제5도는 종래 시트벨트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센터필라, 40:가이드 레일
41,42,43,44,45:제1,2,3,4,5측벽, 45a:걸림턱
50:슬라이더, 52:지지벽
53,54,55:제1,2,3측벽, 53a:걸림돌기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벨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사고 시트벨트로부터 받는 충격을 감쇄시켜서 벨트착용자의 상해를 방지하도록 한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시트벨트는 추돌이나 충돌 또는 전복사고 또는 급정차시 발생되는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종래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벨트(10)는, 상부 앵커 브래킷(12)에 걸어져 일단이 이머젼시 록킹 리트렉터(14)에 고정되고 타단이 하부 앵커 브래킷(16)에 연결되고, 이 하부 앵커 브래킷(16)은 하부 앵커 볼트(18)에 의해 필라(도시안됨)에 고정되며, 텅 플레이트(20)가 상기 시트벨트(10)에 개재되어 시트(22)의 일측에 고정된 시트벨트 버클(24)에 잠금, 해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시트벨트(10)의 착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시트(22)에 탑승자가 앉은 상태에서 긴장된 시트벨트(10)에 개재된 텅 플레이트(20)를 잡아당겨서 시트벨트(10)를 신장시키고 텅 플레이트(20)를 시트벨트 버클(24)에 삽입 고정시켜서 시트벨트(10)가 탑승자의 가슴에 밀착된 상태로 착용이 완료되게 된다.
이같은 상태에서 차량이 충돌 및 급감속을 하게 되어 시트벨트(10)의 인출속도가 설정된 한계속도에 이르게 되면, 이머젼시 록킹 리트렉터(14)가 시트벨트(10)의 인출을 차단함과 동시에 탑승자를 시트(22)에 구속시키므로써 시트벨트(10)의 착용자를 보호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종래의 시트벨트에 있어서, 이머젼시 록킹 리트렉터(14)가 시트벨트(10)의 인출을 정지시킬때에는 시트벨트가 시트벨트 착용자를 순간적으로 강하게 압박하게 된다. 이러한 시트벨트(10)의 압박력은 차량이 받는 충격력에 비례하게 되므로 이 충격력이 클 경우에 시트벨트(10)의 착용자는 그 압박력으로 인해 상해를 받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차량의 충돌사고시에 시트벨트로부터 받는 충격을 감쇄시켜서 벨트착용자의 상해를 방지하도록 한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체적인 수단은, 상부 앵커 브래킷에 걸어져 일단이 이머젼시 록킹 리트렉터에 고정되고 타단이 센터필라측에 고정됨과 동시에 텅 플레이트가 개재되어 시트의 일측에 고정된 시트벨트 버클에 잠금, 해제 가능하게 되어 있는 시트벨트에 있어서, 상기 센터필라(30)의 하부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1측벽(41)의 양단에 일체로 연장된 제2측벽(42), 제3측벽(43), 제4측벽(44), 제5측벽(45)이 내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있고, 상기 제5측벽(45)에 종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턱(45a)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40)과, 이 가이드 레일(40)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 중앙에 연장된 지지벽(52)과, 이 지지벽(52)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제1측벽(53)과, 이 제1측벽(53)에 각각 수직으로 연장된 제2측벽(54), 제3측벽(55)을 구비하여 상기 제1측벽(53)의 내측면에 상기 걸림턱(45a)에 걸림되는 걸림돌기(53a)가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더(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의 설치상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이고, 제3도는 제1도에서 슬라이더의 사시도이고, 제4도는 제1도에서 슬라이더와 가이드 레일의 요부단면도이다.
제1,2도는 제5도와 동일 또는 동등부분은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앵커 브래킷에 걸어져 일단이 이머젼시 록킹 리트렉터에 고정되고 타단이 센터필라(30)측에 고정됨과 동시에 텅 플레이트가 개재되어 시트의 일측에 고정된 시트벨트 버클에 잠금, 해제 가능하게 되어 있는 시트벨트(10)에 있어서, 상기 센터필라(30)의 하부에 체결수단인 하부 앵커 볼트(18)와 너트(32)의 결합으로 가이드 레일(40)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측벽(41)에 양단에 일체로 연장된 제2측벽(42), 제3측벽(43), 제4측벽(44), 제5측벽(45)이 내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있고, 상기 제5측벽(45)에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턱(4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40)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50)는, 시트벨트(10)가 연결되는 연결구멍(51a)을 갖는 플랜지(51)와, 이 플랜지(51)의 내측 중앙에 연장된 지지벽(52)과, 이 지지벽(52)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제1측벽(53)과, 이 제1측벽(53)에 각각 수직으로 연장된 제2측벽(54), 제3측벽(55)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측벽(53)의 내측면에 걸림돌기(53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조립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가이드 레일(40)을 센터필라(30)에 하부 앵커 볼트(18)로 고정하고, 가이드 레일(40)의 하방으로부터 시트벨트(10)와 연결된 슬라이더(50)을 삽입한다.
이때, 슬라이더(50)의 지지벽(52)은 가이드 레일(40)의 제4측벽(44)의 사이에 위치되고 동시에 슬라이더(50)의 제1,2,3측벽(53,54,55)은 가이드 레일(40)의 제5측벽(45)에 밀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시트벨트(10)가 잡아당겨졌을 때의 작동상태를 살펴본다.
제1도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의 충돌 또는 급감속시에는 시트벨트(10)의 착용자는 시트로부터 일방향으로 강하게 이탈하려는 힘을 받게 되고, 이 이탈력은 시트벨트(10)를 잡아당기게 된다.
그러면, 시트벨트(10)의 일단은 도시안된 이머젼시 록킹 리트렉터에 의해 고정되고 그 타단은 제1도에서와 같이 슬라이더(50)을 잡아 올리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50)의 제1측벽(53)에 형성된 걸림돌기(53a)가 가이드 레일(40)의 걸림턱(45a)에 접촉되게 되어 상승 이동을 억제하게 된다.
여기서, 슬라이더(50)를 당김하는 시트벨트(10)의 장력이 상기 억제력 보다 크게 되면 슬라이더(50)는 가이드 레일(50)에 안내되어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50)는 가이드 레일(40)에 형성된 걸림턱(45a)을 시트벨트(10)의 장력에 비례하여 순차적으로 누르고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시트벨트(10)는 소정량 풀려나게 된다.
이와같이 시트벨트(10)에 작용되는 충격력은 슬라이더(50)를 강제로 상승시키는데에 분산되므로 시트벨트(10) 착용자의 압박력은 줄어들어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 레일에 결합된 슬라이더를 시트벨트에 작용하는 충격에 비례하여 강제 이동하게 하므로써 시트벨트 착용자에 가해지는 충격은 완화되어 신체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상부 앵커 브래킷에 걸어져 일단이 이머젼시 록킹 리트렉터에 고정되고 타단이 센터필라(30)측에 고정됨과 동시에 텅 플레이트가 개재되어 시트의 일측에 고정된 시트벨트 버클에 잠금, 해제 가능하게 되어 있는 시트벨트(10)에 있어서; 상기 센터필라(30)의 하부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1측벽(41)의 양단에 일체로 연장된 제2측벽(42), 제3측벽(43), 제4측벽(44), 제5측벽(45)이 내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있고, 상기 제5측벽(45)에 종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턱(45a)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40)과, 이 가이드 레일(40)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 중앙에 연장된 지지벽(52)과, 이 지지벽(52)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제1측벽(53)과, 이 제1측벽(53)에 각각 수직으로 연장된 제2측벽(54), 제3측벽(55)을 구비하여 상기 제1측벽(53)의 내측면에 상기 걸림턱(45a)에 걸림되는 걸림돌기(53a)가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더(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KR1019950063757A 1995-12-29 1995-12-29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KR0145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3757A KR0145388B1 (ko) 1995-12-29 1995-12-29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3757A KR0145388B1 (ko) 1995-12-29 1995-12-29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896A KR970039896A (ko) 1997-07-24
KR0145388B1 true KR0145388B1 (ko) 1998-07-01

Family

ID=66623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3757A KR0145388B1 (ko) 1995-12-29 1995-12-29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538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896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4252A (en) Anchor device for seat belt
US6336664B1 (en) Seat-belt system
KR0145388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KR0177426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KR0157803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KR0177428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KR0177425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KR0145386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KR100186281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KR014909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45387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KR0145389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KR0177423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KR0177458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KR100187861B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완충장치
KR015090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353073B1 (ko) 로드 리미터 기능을 갖는 자동차 시트벨트 앵커 구조
KR100362113B1 (ko) 시트벨트용 미니앵커의 취부구조
KR0123274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앵커취부구조
KR0177424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KR200143428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100196280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구속장치
KR200143427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0150897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57813B1 (ko) 시트벨트의 흉부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