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4851B1 - 제초적 1,3,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 술포닐벤조산 에스테르, 이들의 제조방법 및 이들을 사용하는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제초적 1,3,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 술포닐벤조산 에스테르, 이들의 제조방법 및 이들을 사용하는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4851B1
KR0144851B1 KR1019900003788A KR900003788A KR0144851B1 KR 0144851 B1 KR0144851 B1 KR 0144851B1 KR 1019900003788 A KR1019900003788 A KR 1019900003788A KR 900003788 A KR900003788 A KR 900003788A KR 0144851 B1 KR0144851 B1 KR 0144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triazin
weight
aminosulfonyl
benzo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338A (ko
Inventor
마이어 호르스트
함프레흐트 게르하르트
베스트팔렌 카를-오토
뷔르쩌 브루노
Original Assignee
방에르트,바르츠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에르트,바르츠,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방에르트,바르츠
Publication of KR900014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4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48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2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unspecified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5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 C07D25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5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51/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etero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51/40Nitrogen atoms
    • C07D251/42One nitrogen at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6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containing the group >N—CO—N< directly attached to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Thio analogu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ephalosporin Compounds (AREA)
  • Phenolic Resins Or Amino Resi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초 1,3,5-트리아진-2-일아미노 카르보닐아미노술포닐벤조산 에스테르, 이들의 제조방법 및 이들을 사용하는 제초방법
본 발명은 다음 일반식(I)의 1,3,5-트리아진-2-일아미노 카르보닐아미노술포니벤조산 에스테르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식에서,
R1및 R2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고,
R3는 수소원자, 불소원자 및 염소원자 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I)의 제조방법 및 이들의 제초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EP-A 7687 호, EP-A 30 138 호 및 EP-A 57 546 호는 제초 활성을 가지며 일반식이 상기 기재된 화합물(I)을 포함하는 술포닐 우레아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EP-A 57 546 호에 기재된 구조는 1,3,5-트리아진 N-산화물 유도체(I')이다:
Figure kpo00002
상기 식에서,
X 및 Y는 서로 독립적으로, 메틸기 또는 메톡시기이고,
O는 트리아진일 고리의 1,3 또는 5 위치의 산소원자이다.
EP-A 30 138호에서 강조하는 것은 술폰아미드 부분에 대해 오르토인 에스테르의 변형이다. 트리아진 부분의 할로알킬 치환기는 상기 문헌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EP-A 7687호에는 할로알킬기를 가지는 트리아진일 유도체 (I)가 기재되어 있다 :
Figure kpo00003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대표적인 제초제들에 비해 개선된 제초 특성을 갖는 술포닐우레아를 합성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상기 기재된 일반식(I)의 1,3,5-트리아지-2-일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술포닐벤조산 에스테르를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일반식(I)의 술포닐우레아는 문헌에 기재된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방법 (A,B 및 C)은 이후의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Figure kpo00004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는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다.
A : 술포닐 이소시아네이트(II)를 통상적인 방법(EP-A 162 723)호)으로 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에서 적당한 화학양론적 양의 2-아미노-1,3,5-트리아진 유도체(III)와 반응시킨다. 이 반응은 대기압 또는 초대기압(50bar 이하) 하에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바(bar)하에서 연속식으로 또는 배치(batch)식으로 수행된다.
특정 반응 조건하에서 불활성인 용매 또는 희석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적당한 용매들의 예로는 할로히드로 카본, 특히 클로로히드로카본, 예를 들면 테트라클로로에틸렌, 1,1,2,2-또는 1,1,1,2-테트라클로로에탄, 디클로로프로판, 메틸렌 클로라이드, 디클로로부탄, 클로로포름, 클로로나프탈렌, 디클로 나프탈렌, 테트라클로로메탄, 1,1,1,- 또는 1,1,2-트리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틸렌, 펜타클로로에탄, o-, m-, p-디플루오로벤벤, 1,2-디클로로에탄, 1,1,-디클로로에탄, 1,2-시스-디클로로에틸렌, 클로로벤젠, 플루오로벤젠, 브로모벤젠, 요오도벤젠, o-, m-,p-디클로로벤젠, o-, p-, m-디브로모벤젠, o-, m-, p-클로로톨루엔, 1,2,4-트리클로로벤젠; 에테르, 예를 들면 에틸 프로필에테르, 메틸 3차-부틸 에테르, n-부틸 에틸 에테르, 디-n-부틸 에테르, 디이소부틸 에테르, 디이소아밀 에테르, 디이소 프로필 에테르, 아니졸, 페네톨, 시클로헥실 메틸 에테르, 디에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티오아니졸, b, b'-디클로로디에틸 에테르; 니트로메탄, 니트로에탄, 니트로벤젠, o-, m-, p-클로로니트로 벤젠, o-니트로 톨루엔과 같은 니트로히드로카본; 아세토 니트릴, 부티로니트릴, 이소부티로니트릴, 벤조니트릴, m-클로로 벤조니트릴과 같은 니트릴; 지방족 또는 지환족 탄화수소,예를 들면 헵탄, 피난, 노난, o-, m-, p-시멘, 비등점이 70 내지 190℃ 내인 석유 분획,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데칼린, 석유 에테르, 헥산, 리그로인, 2,2,4,-트리메틸펜탄, 2,2, 3-트리메틸펜탄, 2,3,3,-트리메틸펜탄, 옥탄; 에스테르, 예를 들면 에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 이소부틸 아세테이트; 아미드, 예를 들면 포름아미드, 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 아미드; 케톤, 예를 들면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및 이들의 혼합물들이 있다. 용매는 출발물질(II)을 기준으로 하여 100 내지 200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700wt % 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반응에 필요한 화합물(II)는 출발물질(III)를 기준으로 하여 대략 등몰량(예를 들면, 등몰량에서 0 내지 20% 이내)으로서 사용된다. 먼저 출발물질(III)이 상기 언급한 희석제중 어는 하나에 도입된 후, 출발물질(II)이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신규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출발물질(II)를 상기 언급한 희석제중 어느 하나에 도입한 후, 출발물질(III)을 첨가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이 유리하다.
반응은 성분들이 첨가된 후에, 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에서 20분 내지 24 시간 동안 교반하므로써 완결된다.
3차 아민, 예를 들면 피리딘, a-, b- 또는 c-피콜린, 2,4- 또는 2,6-루티딘, 2,4,6-콜리딘, p-디메틸아미노피리딘,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n-프로필)아민, 1,4-디아자비시클로[2.2.2] 옥탄[DABCO] 또는 1,8-디아자비시클로[5.4.0] 운덱-7-엔의 형태로 반응촉진제를 출발물질(II) 몰당 0.01 내지 1몰로 첨가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최종 생성물(I)은 통상적인 방법, 예컨대 증류에 의해 용매를 제거하거나 흡입 여과에 의해 직접적으로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된다. 이후, 남아있는 잔류물은 물 또는 묽은 산으로 세척되어 염기성 불순물이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잔류물은 물과 혼합될 수 없는 용매에 용해될 수 있으며, 기재된 바와 같이 세척될 수 있다. 이것은 필요한 최종 생성물을 순수한 형태로 얻을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이들은 재결정법, 불순물을 용해시키는 유기용매 중에서의 교반, 또는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정제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은 0 내지 100몰-당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몰-당량의 1,4-디아자비시클로 [2.2.2] 옥탄 또는 트리에틸 아민과 같은 3차 아민의 존재하에서 아세토니트릴, 메틸 3차-부틸 에테르, 톨루엔 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중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상기 일반식(IV)의 적합한 술포닐카르바메이트를 통상적인 방법 (EP-A 120 814호)으로 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로 불활성 유기용매중에서 2-아미노-1,3,5-트리아진 유도체(III)와 반응시킨다. 3차 아민과 같은 염기를 첨가할 수 있으며, 이것은 반응속도를 증가시키고 생성물의 질을 개선시킨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염기들의 예로는 출발물질(IV)의 몰당 0.01 내지 1 몰의 양으로, A 에 기재된 3차 아민, 특히 트리에틸아민 또는 1,4-디아자비시클로[2.2.2] 옥탄이 있다.
용매로는 A에 기재된 용매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는 출발물질(IV)을 기준으로 하여, 100 내지 200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70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반응에 필요한 화합물(IV)는 특정 출발물질(III)을 기준으로 하여, 대략 등몰량(예를 들면, 등몰량에서 0 내지 20% 이내)으로서 사용된다. 우선 출발물질(IV)이 상기 언급한 희석제중 어느 하나에 도입된 후, 출발물질(III)이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먼저 출발물질(III)이 상기 용매 또는 희석제중 어느 하나에 도입된 후, 술포닐카르바메이트(IV)가 첨가될 수도 있다.
두 경우 모두, 반응전 또는 반응 동안에 촉매로서 염기가 사용될 수 있다.
최종 생성물(I)은 A 에 기재된 바와 같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반응 혼합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C : 상기 일반식(V)의 술폰아미드를 통상적인 방법(EP-A 141 777 호)으로 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에서 불활성 유기용매중에서 대략 화학양론적 양으로 페닐 카르바메이트(VI)와 반응시킨다. 반응은 대기압 또는 초대기압(50바 (bar)이하)하에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바(bar)하에서 연속식으로 또는 배치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3차 아민과 같은 염기를 첨가할 수 있으며, 이것은 반응 속도를 증가시키고 생성물의 질을 개선 시킨다. 이러한 목적에 적당한 염기로는 출발물질(V) 몰당 0.01 내지 1 몰의 양으로 A 에 기재된 염기들, 특히 트리에틸아민, 2,4,5-콜리딘, 1,4-디아자비시클로[2.2.2] 옥탄[DABCO] 또는 1,8-디아자비시클로[5.4.0] 운덱-7-엔(DBU)이 있다.
A 에 기재된 용매 또는 희석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용매는 전구물질(V)을 기준으로 하여, 100 내지 2000 중량% ,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70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반응에 필요한 화합물(V)은 출발물질(VI)을 기준으로 하여, 대략 등몰량(예를 들면, 등몰량에서 0 내지 20% 이내)으로서 사용된다. 출발물질(VI)이 먼저 상기 언급한 희석제중 어느 하나에 도입된 후, 출발물질(V)가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먼저 출발물질(V)이 상기 용매들중 어느 하나에 도입된 후, 카르바메이트(VI)가 첨가될 수도 있다. 두 경우, 반응전 또는 동안에 촉매로서 상기 염기들중 어느 하나를 첨가할 수 있다.
반응은 성분의 첨가 후, 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에서 20부 내지 24시간 동안 교반하므로써 완결된다.
일반식(I)의 술포닐우레아는 A 에 기재된 바와 같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된다.
D : 상기식(V)의 술폰 아미드를 통상적인 방법(EP-A 234 352 호)으로 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에서 불활성 유기용매 중에서 대략 화학양론적 양의 이소시아네이트(VII)와 반응시킨다. 반응은 대기압 또는 초대기압 (50 bar 이하) 하에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bar 하에서 연속식으로 또는 배치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반응전 또는 동안에 반응 속도를 증가시키고 생성물의 질을 개선시키는 3차 아민과 같은 염기가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적당한 염기로는 출발물질(V) 몰당 0.01 내지 1몰의 양으로 A 에 기재된 염기들, 특히 트리에틸 아민 또는 2,4,6-콜리딘이 있다.
A에 기재된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용매는 전구물질(V)을 기준으로 하여, 100 내지 200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70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반응에 필요한 화합물(V)는 상기 화합물(VII)을 기준으로하여 대략 등몰량(예를 들면, 등몰량에서 0 내지 20% 이내)으로서 사용된다. 우선 출발물질(VII)이 상기 희석제중 어느 하나에 도입된 후, 출발물질(V)이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먼저 술폰아미드(V)가 도입된 후, 이소시아네이트 (VII)가 첨가될 수 있다.
반응은 성분들의 첨가 후에, 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에서 20분 내지 24시간 동안 교반하므로써 완결된다.
최종 생성물(I)은 A에 기재된 바와 같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반응 혼합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전구물질로서 사용된 일반식(II)의 술포닐 이소시아네이트는 문헌에 기재된, 또는 유사한 방법(EP-A 7687 호)에 의해 수득된다. 일반식(IV)의 술포닐카르바메이트는 공지된, 또는 유사한 반응(EP-A 120, 814)에 의해 수득된다. 그러나, 일반식(II)의 술포닐 이소시아네이트는 에테르 또는 아세토 니트릴과 같은 용매 중에서의 페놀과의 순조로운 반응으로 일반식(IV)의 카르바메이트로 전환될 수 있다.
일반식(VI)의 카르바메이트는 공지된, 또는 유사한 반응(EP-A 141 777 호)으로 수득될 수 있으나, 이들은 또한, 일반식 (VII)의 상응하는 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페놀과의 반응에 의해 수득될 수도 있다.
화합물(I)의 염들은 통상적인 방법(EP-A 304 282 호, US-A 4 599 412 호)으로 수득될 수 있다. 이들은 -8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60℃에서, 염기의 존재하에서 물 또는 불활성 유기용매중에서 상응하는 술포닐우레아의 탈수소반응에 의해 수득된다.
적당한 염기들의 예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나트륨 메탄올레이트, 나트륨 에탄올레이트, 나트륨 3차-부탄올레이트, 수소화나트륨, 수소화칼슘, 및 산화칼슘과 같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 수산화물, 수소화물, 산화물 또는 알코올레이트가 있다.
적당한 용매들의 예로는 물 이외도, 메탄올, 에탄올 및 3차-부탄올과 같은 알코올,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디옥산과 같은 에테르, 아세토니트릴, 디메틸 포름아미드, 아세톤 및 메틸 에틸 케톤과 같은 케톤, 및 할로히드로카본이 있다.
탈수소반응은 대기압 또는 50bar 이하의 초대기압하에서, 바람직하게는 대기압 내지 5bar의 초대기압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반식(V)의 출발물질로서 필요한 술폰아미드는 상응하는 안트라닐산 에스테르의 미에르바인(Meerwein)반응에 이어, 암모니아와의 반응[Houben-Weyl, 9,557 이하 참조(1995)]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2-아미노-4-메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1,3,5-트리아진 및 2-아미노-4-에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1,3,5-트리아진 전구물질은 문헌[Yakugaku Zasshi 95,499(1975)]에 공지되어 있다.
화합물(I) 및 이들을 함유하는 제초제, 및 환경적으로 적합한 이들의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토금속 염은 농작물에 피해 없이 밀과 같은 농작물에 해로운 식물에 뛰어난 제초작용, 특히 낮은 도포율에서 나타나는 효과를 갖는다. 이들은 예를들어 직접 분무할 수 있는 용액, 분말, (많은 %의 물, 기름 또는 다른 현탁액을 함유하는) 현탁액, 분산액, 유탁액, 오일분산액, 페이스트, 분제, 살포제, 또는 과립의 형태로 분무, 가루뿌리기, 살포 또는 급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 형태는 전적으로 제초제가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좌우되지만, 가능한 한 본 발명에 따라 활성 성분은 미세하게 분포되어야 한다.
직접 분무되는 용액, 유탁액, 페이스트 및 오일분산액의 제조를 위해서는, 등유 또는 디젤유, 또한 코올-타르유, 및 동식물기름과 같은 높은 비등점을 갖는 매질의 광물유분획, 지방족, 고리 및 방향족 탄화수소, 예를 들면 톨루엔, 크실렌, 파라핀,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알킬화된 나프탈렌 및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시클로헥산올, 시클로헥사논, 클로로벤젠, 이소포론 등과 같은 이들의 유도체,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 술폭사이드, N-메틸피롤리딘, 물 등과 같은 강한 극성용매가 적당하다.
수성제제는 농축 유탁액, 페이스트, 오일분산액, 수화제 또는 물분산과립에 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유탁액, 페이스트, 및 오일 분산액을 제조하기 위해, 기름이나 용매 중의 또는 용융된 활성성분을 습윤제 또는 분산매, 피착제 또는 유화제에 의해 수중에서 균질화시킬 수 있다. 물로 희석하기에 적당한 농축물은 활성성분, 습윤제, 피착제, 유화제 또는 분산매 및 가능한 용매 또는 오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방향족 술폰산, 예를 들면 리그닌술폰산, 페놀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및 디부틸나프탈렌술폰산, 및 지방산, 알킬 및 알킬아릴술포네이트, 알킬, 라우릴 에테르, 지방족 알코올 술페이트의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및 암모눔 염, 및 황산화된 헥사데칸올, 헵타데칸올 및 옥타데칸올의 염, 지방족 알코올 글리콜 에테르 염, 나프탈렌 또는 나프탈렌술폰산과 페놀 및 포름알데히드의 축합생성물,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놀 에테르, 에톡시화된 이소옥틸페놀, 에톡시화된 옥틸페놀, 에톡시화된 노닐페놀, 알킬테놀 폴리글리콜 에테르, 트리부틸페닐 폴리글리콜 에테르, 알킬아릴 폴리에테르 알코올, 이소트리 데실 알코올, 지방족 알코올 에틸렌 옥사이드 축합체, 에톡시화된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에톡시화된 폴리옥시프로필렌, 라우릴 알코올 폴리글리콜 에테르 아세탈, 소르비톨 에스테르, 리그닌-술파이트 폐기액 및 메틸셀룰로우스가 있다.
분말, 분제 및 살포제는 활성 성분과 고체 담체를 혼합 또는 분쇄하므로써 제조될 수 있다.
미립자들, 예를 들면 피복되고, 함침된 또는 균일한 미립자는 활성성분을 고체 담체에 결합시키므로써 제조될 수 있다. 고체 담체의 예로는 광물토류, 예를 들면 규산, 실리카겔, 규산염, 활석, 카올린, 아타펄거스(attapulgus)점토, 석회석, 석회, 백묵, 보울, 황토, 점토, 백운석, 규조토,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분쇄된 플라스틱, 비료, 예를 들면 황산암모늄, 인산암모늄, 질산암모늄 및 요소, 및 식물성 생산물, 예를 들면 낟알분말, 톱밥, 옥분, 및 견과 껍질가루, 셀룰로오스 분말 등이 있다.
제형은 0.1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90 중량%의 활성 성분을 함유한다.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I. 90중량부의 화합물 번호 1을 10중량부의 N-메틸-알파-피롤리돈과 혼합한다. 매우 미세한 방울형태로 사용하기에 적당한 혼합물을 얻는다.
II. 20중량부의 화합물 번호 1을 80중량부의 크실렌, 10 중량부의 8 내지 10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와 1몰의 올레산-N-모노에탄올 아미드의 첨가생성물, 5중량부의 도데실벤젠술폰산의 칼슘염, 및 5중량부의 40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와 1몰의 피마자유의 첨가생성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중에서 용해시킨다. 이 용액을 100,000중량부의 물에 붓고 그 안에서 균일하게 분포시켜, 0.02주량%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을 얻는다.
III. 20중량부의 화합물번호 2를 40중량부의 시클로헥사논, 30중량부의 이소부탄올, 20중량부의 7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와 1몰의 이소옥틸페놀의 첨가생성물, 10중량부의 40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와 1몰의 피마자유의 첨가생성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중에서 용해시킨다. 이 용액을 100,000중량부의 물에 붓고 그 안에서 미세하게 분포시켜 0.02 중량%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을 얻는다.
IV. 20중량부의 화합물 번호 3을 25중량부의 시클로헥사논, 65중량부의 비등점이 210 내지 280℃인 광물유 분획, 및 10중량부의 40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와 1몰의 피마자유의 첨가 생성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중에서 용해시킨다. 이 용액을 100,000중량부의 물에 붓고 그안에서 균일하게 분포시켜 0.02 중량%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을 얻는다.
V. 20중량부의 화합물번호 4를 3중량부의 디이소부틸 나프탈렌-알파-술폰산의 나트륨염, 17중량부의 아황산염 폐기액으로부터 얻은 리그닌-술폰산의 나트륨염, 및 60중량부의 분말 실리카겔과 잘 혼합하고, 햄머 분쇄기로 분쇄하다. 이 혼합물을 20,000 중량부의 수중에서 균일하게 분포시켜 0.1중량%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분무액을 얻는다.
VI. 3중량부의 화합물 번호 5를 97중량부의 입자화된 카올린과 잘혼합한다. 3중량%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분제를 얻는다.
VII. 30중량부의 화합물 번호 2를 92중량부의 분말 실리카겔 및 8중량부의 상기 실리카겔의 표면에 분무된 파라핀 오일을 함유하는 혼합물과 잘 혼합한다. 양호한 점착성을 갖는 활성 성분의 제형을 얻는다.
VIII. 20중량부의 화합물 번호 6을 2 중량부의 도데실벤젠 술폰산의 칼슘염, 8중량부의 지방족 알코올 폴리글리콜 에테르, 2 중량부의 페놀술폰산-요소-포름알데히드 축합체의 나트륨염 및 68중량부의 파라핀산 무기유와 잘 혼합한다. 안정한 오일 분산액을 얻는다.
활성 성분 또는 활성 성분을 함유한 제초제들은 발아전 또는 발아후에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어떤 농작물이 활성 성분에 대한 내성이 좋지 않으며, 민감한 농작물의 잎에 가능한 한 접촉하지 않고, 제초제가 토양 또는 농작물 하에서 성장하는 잡초에만 영향을 끼치는 방법으로 제초제가 적당한 장비로 분무되는 사용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활성 성분의 사용 비율은 달성되는 목적, 계절, 억제되는 식물 및 이들의 성장 단계에 따라 좌우되고, 0.00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kg/ha 이다.
많은 사용 방법이 가능하다는 관점에서,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 또는 이들을 함유한 시약들은 잡초를 제거하기 위하여 많은 농작물에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식물들은 그 예들이다.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활성 스펙트럼을 증가시키고, 상승작용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일반식(I)의 트리아진일 치환된 술포닐우레아를 각각 다른 성분과 혼합하거나, 제초적 또는 성장조절을 하는 다른 활성 성분의 많은 견본들과 함께 혼합하거나 적용할 수 있다. 적당한 성분의 예로는 디아진, 4H-3,1-벤즈옥사진유도체, 벤조티아디아지논, 2,6-디니트로아닐린, N-페닐카르바메이트, 티올카르바메이트, 할로카르복실산, 트리아진, 아미드, 요소, 디페닐 에테르, 트리아진온, 우라실, 벤조푸란 유도체, 시클로헥산-1,3-디온, 퀴놀린 카르복실산, 페닐옥시- 또는 헤테로아릴옥시페닐 프로피온간 유도체(염, 에스테르, 아미드)등이 있다.
일반식(I)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제초제와 혼합하여, 다른 농약, 예를 들면 해충 또는 식물병리학적균 또는 박테리아 구제제화의 혼합물로 사용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또한 영양물 또는 미량성분 결핍을 구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광물염 용액과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비독성 (식물)오일 및 농축오일이 첨가될 수 있다.
혼합물(I)의 합성예는 하기와 같다:
1) 메틸 2-(4-트리플루오로메틸-6-메톡시-1,3,5-트리아진-2-일 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술포닐) 벤조에이트
Figure kpo00009
25℃ 에서 9.3g(39mmol)의 2-메톡시카르보닐벤젠술포닐 이소시아네이트를 80ml 의 아세토니트릴중의 5.0g (26mmol)의 2-아미노-4-메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1,3,5-트리아진 용액에 첨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70℃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한다. 반응 혼합물을 25℃ 로 냉각 시킨후에,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희석시키고, 2N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한다. 수성 상을 산성화시킨 후, 에틸렌 클로라이드로 추출한다. 유기상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후처리하고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융점이 165 내지 167℃인 6.8g (이론치의 60%)의 의도하는 화합물을 수득한다.
2)메틸 2-(4-트리플루오로메틸-6-에톡시-1,3,5-트리아진-2-일 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술포닐)벤조에이트
Figure kpo00010
합성예 1에 기재된 조건하에서, 융점이 164 내지 168℃인 3.3g (이론치의 30%)의 의도하는 생성물을, 80ml의 아세토니트릴중의5.0g(24mmol)의 2-아미노-4-에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1,3,5-트리아진 및 7.0g(29mmol)의 2-메톡시카르보닐벤젠술포닐 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수득한다.
3) 메틸 4-클로로-2-(4-트리플루오로메틸-6-메톡시-1,3,5-트리아진 -2-일 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술포닐)벤조에이트
Figure kpo00011
5.0g(26mmol)의 2-아미노-4-트리플루오로메틸-6-메톡시-1,3,5-트리아진, 7.1g(26mmol)의 4-클로로-2-메톡시카르보닐벤젠술포닐 이소시아네이트 및 100ml의 아세토니트릴 용액을 25℃에서 72 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후, 용매를 40℃ 에서 감압하에서 증류에 의해 제거하고, 생성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테르로부터 재결정시킨다. 이로써 융점이 148 내지 150℃인 6.5g(이론치의 53%)의 의도하는 화합물을 수득한다.
4) 메틸 2-(4-트리플루오로메틸-6-메톡시-1,3,5-트리아진-2-일 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술포닐)벤조에이트의 나트륨염
Figure kpo00012
합성예 1 에서 제조된 2.0g(4.6mmol)의 화합물, 0.25g(4.6mmol)의 나트륨 메탄올레이트 및 50ml의 메탄올을 25℃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후, 용매를 상승 온도에서 감압하에 증류시켜 제거한다. 의도하는 염을 정량적 수율로 얻는다. 융점 175℃(분해).
5) 메틸 2-(4-트리플루오로메틸-6-메톡시-1,3,5-트리아진-2-일 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술포닐)벤조에이트
Figure kpo00013
a) 2-이소시아나토-4-메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1,3,5,-트리아진
225ml의 톨루엔중의 30.0g(0.154mol)의 2-아미노-4-메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1,3,5-트리아진 및 76.2g(0.6 mol)의 옥살릴 클로라이드 용액을 4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처음에는 기체의 격렬한 방출이 있으나 이것은 빠르게 감소된다. 반응이 완결된 후,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분별시킨다. 비등점이 67 내지 70℃(0.1 mbar)인 24.8g의 생성물을 무색 오일인 이동상으로서 수득한다(이론치의73%).
b) 20ml의 아세토니트릴중의 2.2g(10 mmol)의 메틸 2-아미노술포닐벤조에이트 및 2.2g 의 2-이소시아나토-4-메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1,3,5-트리아진의 용액을 22 내지 25℃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생성물을 합성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제한다.
이로써 융점이 165 내지 167℃인 2.4g (이론치의 55%)의 생성물을 수득한다.
6) 메틸 2-(4-트리플루오로메틸-6-메톡시-1,3,5-트리아진-2-일 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술포닐)벤조에이트
Figure kpo00014
a) 2-메톡시-4-페녹시카르보닐아미노-6-트리플루오로메틸-1,3,5-트리아진
25℃에서 4.3g(45 mmol)의 페놀을 50ml 의 아세토니트릴 중의 100g(45 mmol)의 2-이소시아나토-4-메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1,3,5-트리아진의 용액에 첨가한다. 30mg 의 1,4-디아조비시클로 [2.2.2] 옥탄을 첨가한 후에, 혼합물을 40℃로 가온시키면 엷은 황색이 나타난다. 이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하의 50℃에서 제거한다. 거의 무색의 잔류물을 밤새 결정화시킨다. 이로써 14.0g의 의도하는 화합물(이론치의 98%)을 수득한다.
NMR 스펙트럼의1H (CDCl3, 250 MHZ, TMS, 25℃), d(ppm): 8.3bar(NH); 7.31m(2H ar); 7.24m(1H ar); 7.16(2H ar); 4.12 s(3H OCH3).
b) 10g의 아세토니트릴중의 2.3g(7.3 mmol)의 2-메톡시-4-페톡시카르보니아미노-6-트리플루오로메틸-1,3,5-트리아진, 1.6g(7.3 mmol)의 2-메톡시 카르보닐벤젠술폰아미드, 1.1g(7.3mmol)의 1,8-디아자비시클로 [5.4.0] 운덱-7-엔을 5분 동안의 환류하에서, 25℃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후, 2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다. 감압하의 50℃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오일상 잔류물을 200ml의 에틸 아세테이트에 흡수시킨다. 이 용액을 40ml 의 4N NaOH와 함께 진탕시킨 후, 0℃에서 50ml의 4N HCl와 함께 시킨다. 유기상을 분리 제거하고, 포화된 소금물로 중성이 될 때까지 세척하고, Na2SO4상에서 건조하고, 농축시킨다. 오일상 잔류물을 200ml의 에테르/펜탄 혼합물(1/1 V : V)로서의 교반하여 결정화시킨다. 생성물을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40℃로 건조시킨다.
1.5g (이론치의 47%)의 의도하는 화합물을 수득하며, 이는 방법 A에 의해 수득된 화합물과 동일하다.
7) 메틸 4-플루오로-2-(4-메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1,3,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술포닐)벤조에이트
Figure kpo00015
4.9g(19 mmol)의 4-플루오로-2-메톡시카르보닐벤젠술포닐 이소시아네이트 및 1,2-디클로로에탄 용액 11.0 g을 25℃에서 3.7g(19 mmol)의 2-아미노-4-메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1,3,5-트리아진의 용액에 한 방울식 첨가한다. 혼합물을 25℃에서 65시간 동안 교반하고, 휘발 성분을 감압하에 60℃에서 제거하고 고체 잔류물을 200ml의 디에틸 에테르와 격렬하게 교반한다. 생성물을 여과 분리하고, 에테르로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이로써 융점이 153 내지 157℃인 4.4g(이론치의 51%)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8) 메틸 2-(4-메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1,3,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술포닐)벤조에이트
Figure kpo00016
25℃에서, 294.5g(1.52 mol)의 2-아미노-4-메톡시-6-트리틀루오로메틸-1,3,5-트리아진을 280 ml의 아세토니트릴 중의 366.2g(1.52 mol)의 2-메톡시카르보닐벤젠술포닐 이소시아네이트 용액에 첨가한다. 이 혼합물을 상기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다.
침전물을 흡입 여과 분리하고, 약간의 아세토니트릴로 세척하고 300ml의 디에틸에테르/헥산 혼합물(1:1 V:V)로서 매번 3회 교반한다. 잔류물을 분리하고 건조시킨다. 이로써 432.0g(이론치의 65%)의 표제 화합물(융점이 165 내지 167℃)을 수득한다. 절반의 부피로 모액을 농축시키고 25℃에서 16시간 동안 저장한다. 침전물을 분리하고, 매번 500ml의 디에틸에테르/헥산혼합물(1:1 V:V)로서 3회 교반하고, 다시 분리하고 건조시킨다. 이로써 92.5g(이론치의 14%)의 표제 화합물(융점 165 내지 167℃)을 수득한다.
9) 메틸 2-(4-트리플루오로메틸-6-메톡시-1,3,5-트리아진-2-일 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술포닐)벤조에이트의 칼슘염
Figure kpo00017
2.0g(4.6 mmol)의 합성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 0.20g(4.8 mmol)의 수소화칼슘 및 50 ml의 메탄올의 용액을 25℃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한다. 처음에 균일한 용액이 형성된 후, 생성물을 고체로서 분리해 낸다. 일반적인 분리로 융점이 175 내지 178℃ (분해)인 0.6g(이론치의 14%)의 의도하는 칼슘염을 수득한다.
다음 표 1에 기재된 활성 성분이 유사하게 제조될 수도 있다.
Figure kpo00018
[사용예]
일반식(I)의 [[(1,3,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르보닐] 아미노술포닐]벤조에이트의 제초 작용을 시험 식물의 성장에 대해 하기 온실 실험에서 입증한다.
사용 용기는 용적이 300cm인 플라스틱 화분으로, 약 3.0%의 부식토를 함유하는 모래 롬(loam)으로 채운다. 시험 식물의 종자를 종에 따라 분리하여 뿌린다.
발아 후 처리를 위해, 화분에 직접 파종하고 거기에서 자란 식물을 사용하거나, 종에 따라 분리하여 식물을 경작하고 처리 2,3일 전에 옮겨 심는다.
성장 형태에 따라, 수중에 현탁 또는 유화되어 미세 분산 노즐을 통해 분무되는 활성 성분으로 처리하기 앞서, 시험 식물을 3 내지 15Cm의 높이로 성장시킨다. 발아 후 치료에 대한 활성 성분의 사용 비율은 0.06kg/ha이다.
이 화분을, 더운 지역내 더운 기후(20 내지 35℃)의 종과 10 내지 20℃로 조절된 기후의 종으로 온실에 설치한다. 실험을 2 내지 4주 동안 진행시킨다. 이 기간 동안 식물들을 돌보고 여러 가지 처리에 대한 이들의 반응을 평가한다.
평가 등급은 0 내지 100 까지 있는데, 100은 무발아 또는 최소한 식물의 눈에 보이는 부분의 소멸을 표시하고, 0은 손상이 없는 또는 정상적인 성장을 표시한다.
온실 실험에 사용된 식물들은 아마란투스 레트로플렉수스(Amaranthus retroflexus), 시페루스 아리아(Cyperus iria), 갈리움 아파린(Galium aparine), 이포모애(Ipomoea) spp., 폴리고눔 페르시카리아(Polygonum persicaria), 트리티쿰 애스티붐(Triticum aestivum) 및 베로니카(Veronica) spp. 가 있다.
합성예 1 및 2의 화합물은 발아 후 처리에 0.06 kg/ha의 비율로 사용되어, 원치 않는 활엽 식물을 매우 잘 퇴치하고, 밀이 아주 잘 견딘다.
다음 표 2 및 3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성 성분을 종래의 기술적인 화합물과 비교하는 생물학적 연구의 결과를 포함한다.
비교 목적을 위해 사용된 종래의 기술적인 화합물들은 EP-A 7,687 호에 기재된 술포닐우레아 A 및 B이다:
Figure kpo00019
[표 1]
온실내 0.015Kg/ha의 발아후 사용 비율에서 화합물 번호 1의 제초 작용과 EP-A 7,687호에 기재된 화합물 A의 제초 작용과의 비교
Figure kpo00020
[표 2]
온실내 0.06Kg/ha의 발아후 사용 비율에서 화합물 번호 2의 제초 작용과 EP-A 7,687호에 기재된 화합물 B의 제초 작용과의 비교
Figure kpo00021

Claims (7)

  1. 다음 일반식(I)의 [[(1,3,5-트리아진-2-일)아미노 카르보닐]아미노술포닐] 벤조산 에스테르 및 농업적으로 유용한 이들의 염 :
    Figure kpo00022
    상기 식에서, R1및 R2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고, R3는 수소원자, 불소원자 및 염소원자 이다.
  2. 다음 일반식(II)의 술포닐 이소시아네이트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불활성 유기 용매중에서 적당한 화학양론적 양으로 다음 일반식(III)의 2-아미노-1,3,5-트리아진 유도체와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제 1 항에 따른 일반식(I)의 [[(1,3,5-트리아진-2-일)아미노 카르보닐]아미노술포닐]벤조산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23
    상기식에서 R1, R2및 R3는 제 1항에 기재된 바와 같다.
  3. 다음 일반식(IV)의 카르바메이트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0 내지 120℃에서 불활성 유기용매 중에서 제 2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화학양론적 양으로 2-아미노-1,3,5-트리아진(III)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제 1항에 따른 일반식(I)의 [[(1,3,5-트리아진-2-일)아미노 카르보닐]아미노술포닐]벤조산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24
    상기 식에서, R2및 R3는 제 1항에 기재된 바와 같다.
  4. 다음 일반식(V)의 상응하는 술폰아미드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불활성 유기용매 중에서 다음 일반식(VI)의 페닐 카르바메이트와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제 1항에 따른 일반식(I)의 [[(1,3,5-트리아진-2-일)아미노 카르보닐]아미노술포닐]벤조산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25
    상기 식에서, R1, R2및 R3는 제 1항에 기재된 바와 같다.
  5. 제 1항에 따른 일반식(I)의 화합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물 또는 불활성 유기용매 중에서 염기와 함께 탈수소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제 1 항에 따른 화합물(I)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
  6. 다음 일반식(V)의 상응하는 술폰아미드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불활성 유기용매 중에서 다음 일반식(VII)의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제 1항에 따른 일반식(I)의 [[(1,3,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르보닐] 아미노술포닐]벤조산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26
    상기 식에서, R1, R2및 R3는 제 1항에 기재된 바와 같다.
  7. 제 1항에 따른 일반식(I)의 [[(1,3,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술포닐]-벤조산 에스테르 또는 농업적으로 유용한 이들의 염, 및 통상적인 이들의 담체를 함유하는 제초제.
KR1019900003788A 1989-03-21 1990-03-21 제초적 1,3,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 술포닐벤조산 에스테르, 이들의 제조방법 및 이들을 사용하는 제조방법 KR0144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909146A DE3909146A1 (de) 1989-03-21 1989-03-21 Herbizide ((1,3,5-triazin-2-yl) aminosulfonyl)benzoesaeureester,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P3909146.5 1989-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338A KR900014338A (ko) 1990-10-23
KR0144851B1 true KR0144851B1 (ko) 1998-07-15

Family

ID=6376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788A KR0144851B1 (ko) 1989-03-21 1990-03-21 제초적 1,3,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 술포닐벤조산 에스테르, 이들의 제조방법 및 이들을 사용하는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0)

Country Link
US (1) US5071470A (ko)
EP (1) EP0388873B1 (ko)
JP (1) JP2746720B2 (ko)
KR (1) KR0144851B1 (ko)
AT (1) ATE105551T1 (ko)
AU (1) AU617044B2 (ko)
BR (1) BR9001297A (ko)
CA (1) CA2011987C (ko)
CS (1) CS277621B6 (ko)
DD (1) DD292917A5 (ko)
DE (2) DE3909146A1 (ko)
DK (1) DK0388873T3 (ko)
EG (1) EG18999A (ko)
ES (1) ES2053001T3 (ko)
FI (1) FI101882B1 (ko)
HR (1) HRP931376B1 (ko)
HU (1) HU207935B (ko)
IE (1) IE64292B1 (ko)
IL (1) IL93707A (ko)
MA (1) MA21781A1 (ko)
MY (1) MY105571A (ko)
NO (1) NO176714C (ko)
NZ (1) NZ232980A (ko)
PH (1) PH26727A (ko)
PL (2) PL162694B1 (ko)
PT (1) PT93518B (ko)
SI (1) SI9010535B (ko)
TR (1) TR24266A (ko)
YU (1) YU48166B (ko)
ZA (1) ZA9021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29484A1 (de) * 1990-09-18 1992-03-19 Basf Ag Herbizide (((1,3,5-triazin-2-yl)aminocarbonyl)aminosulfonyl)benzoesaeureester,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4038430A1 (de) * 1990-12-01 1992-06-04 Basf Ag Herbizide n-((1,3,5-triazin-2-yl)-aminocarbonyl) benzolsulfonamide
US5196044A (en) 1991-01-08 1993-03-23 Mycogen Corporation Process and composition for controlling weeds
ZA92970B (en) * 1991-02-12 1992-10-28 Hoechst Ag Arylsulfonylureas,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and their use as herbicides and growth regulators
DE4206146A1 (de) * 1992-02-28 1993-09-02 Basf Ag Herbizide n-((1,3,5-triazin-2-yl)aminocarbonyl)benzolsulfonamide
AU644291B1 (en) * 1992-06-03 1993-12-02 Basf Aktiengesellschaft Herbicidal N-{(1,3,5-triazin-2-yl)-aminocarbonyl}- benzenesulfonamides
DE4238175A1 (de) * 1992-11-12 1994-05-19 Basf Ag Herbizide Sulfonylharnstoffe,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ES2139372T3 (es) 1995-07-11 2000-02-01 Novartis Ag Composicion herbicida selectiva.
DE19534910A1 (de) * 1995-09-20 1997-03-27 Basf Ag Herbizide Mischungen mit synergistischer Wirkung
TWI243019B (en) * 2000-08-31 2005-11-11 Basf A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solid herbicidal formulation
EP2052604A1 (de) 2007-10-24 2009-04-29 Bayer CropScience AG Salz des 2-lodo-N-[(4-methoxy-6-methyl-1,3,5-triazin-2-yl)carbamoyl] benzolsulfonamids,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als Herbizide und Pflanzenwachstumregulatoren
EP2110019A1 (de) 2008-04-19 2009-10-21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e Verbindungen auf Basis von N-Azinyl-N'-phenylsulfonylharnstoff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63123C (da) * 1978-05-30 1992-06-09 Du Pont Benzensulfonylurinstoffer til anvendelse som herbicider eller plantevaekstregulatorer, praeparat indeholdende dem samt deres anvendelse
US4383113A (en) * 1978-05-30 1983-05-1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gricultural sulfonamides
ZA806970B (en) * 1979-11-30 1982-06-30 Du Pont Agricultural sulfonamides
BR8200353A (pt) * 1981-01-26 1982-11-23 Du Pont Composto quimico agricola composicao adequada para controlar o crescimento de vegetacao indesejada
US4897108A (en) * 1984-06-05 1990-01-3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erbicidal sulfonamides
US4661147A (en) * 1984-06-05 1987-04-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erbicidal sulfonami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147990A (en) 1990-09-27
HRP931376A2 (en) 1996-06-30
CS277621B6 (en) 1993-03-17
YU48166B (sh) 1997-07-31
NO901278D0 (no) 1990-03-20
ZA902122B (en) 1991-11-27
PL161370B1 (pl) 1993-06-30
CA2011987C (en) 1999-08-10
PL288795A1 (en) 1992-03-23
IE64292B1 (en) 1995-07-26
SI9010535A (en) 1997-10-31
JPH02279679A (ja) 1990-11-15
KR900014338A (ko) 1990-10-23
EP0388873A1 (de) 1990-09-26
AU617044B2 (en) 1991-11-14
HRP931376B1 (en) 1999-02-28
ATE105551T1 (de) 1994-05-15
NO176714C (no) 1995-05-16
IL93707A (en) 1994-07-31
US5071470A (en) 1991-12-10
SI9010535B (sl) 1998-06-30
TR24266A (tr) 1991-07-01
FI901419A0 (fi) 1990-03-21
DE59005661D1 (de) 1994-06-16
HU207935B (en) 1993-07-28
EP0388873B1 (de) 1994-05-11
MA21781A1 (fr) 1990-10-01
PH26727A (en) 1992-09-28
HUT53622A (en) 1990-11-28
PT93518B (pt) 1996-03-29
CA2011987A1 (en) 1990-09-21
CS129190A3 (en) 1992-08-12
IL93707A0 (en) 1990-12-23
JP2746720B2 (ja) 1998-05-06
NO176714B (no) 1995-02-06
BR9001297A (pt) 1991-04-02
FI101882B (fi) 1998-09-15
DD292917A5 (de) 1991-08-14
NO901278L (no) 1990-09-24
PT93518A (pt) 1990-11-07
PL284383A1 (en) 1991-07-15
IE901019L (en) 1990-09-21
ES2053001T3 (es) 1994-07-16
EG18999A (en) 1994-11-30
DK0388873T3 (da) 1994-06-06
NZ232980A (en) 1993-10-26
YU53590A (sh) 1992-07-20
PL162694B1 (pl) 1993-12-31
HU901617D0 (en) 1990-06-28
MY105571A (en) 1994-10-31
DE3909146A1 (de) 1990-10-18
FI101882B1 (fi)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3015B1 (ko) 제초성 n-[(1,3,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르보닐] 벤젠술폰아미드
KR0144851B1 (ko) 제초적 1,3,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 술포닐벤조산 에스테르, 이들의 제조방법 및 이들을 사용하는 제조방법
EP0161905B1 (en) Herbicidal halopyrimidines
KR100260107B1 (ko) 제초성n-((피리미딘-2-일)아미노카르보닐)벤젠술폰아미드
KR100251885B1 (ko) 제초성 n-((1,3,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르보닐)벤젠술폰아미드
US6320046B1 (en) Herbicidal sulfonylureas, their preparation and use
RU2097380C1 (ru) Замещенные производные сульфонилмочевины или их применимые в сельском хозяйстве соли и гербицидное средство
KR100221503B1 (ko) 제초용 술포닐우레아, 그의 제조 방법 및 중간체
CA1322751C (en) N-((6-trifluoromethylpyrimidin-2-yl)-aminocarbonyl)-2- carboalkoxybenzene-sulfonamide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U616191B2 (en) Heterocyclic-substituted phenylsulfamate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herbicides and plant growth regulators
CS251791A3 (en) Novel sulfoureas
AU644291B1 (en) Herbicidal N-{(1,3,5-triazin-2-yl)-aminocarbonyl}- benzenesulfonamides
EP0476403B1 (de) Herbizide[[(1,3,5-Triazin-2-yl)aminocarbonyl]aminosulfonyl]benzoesäureester,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3792089A (en) N-aryl ureas
KR820000175B1 (ko) 디우레탄의 제조방법
IL102075A (en) N-[(1,3,5-triazin-2-YL)aminocarbonyl] benzenesulfonamides their manufacture and their use as herbici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