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4667B1 - 내구성 직물용 혼면사의 제조방법, 이 방법에 따른 연속사 및 이 연속사를 경사로 포함하는 고내구성 고내마모성 직물 - Google Patents

내구성 직물용 혼면사의 제조방법, 이 방법에 따른 연속사 및 이 연속사를 경사로 포함하는 고내구성 고내마모성 직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4667B1
KR0144667B1 KR1019910003463A KR910003463A KR0144667B1 KR 0144667 B1 KR0144667 B1 KR 0144667B1 KR 1019910003463 A KR1019910003463 A KR 1019910003463A KR 910003463 A KR910003463 A KR 910003463A KR 0144667 B1 KR0144667 B1 KR 0144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s
yarn
fabric
dtex
modu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3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989A (ko
Inventor
랄프 그린 제임스
Original Assignee
미리암 디 메코너헤어
이. 아이. 듀퐁 드 네모어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리암 디 메코너헤어, 이. 아이. 듀퐁 드 네모어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미리암 디 메코너헤어
Publication of KR910016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4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46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2Cut or abrasion resistant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03D1/0041Cut or abrasion resistan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03D15/21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natural from plants, e.g. cott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1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twis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multicomponent, e.g. blend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02Cott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eth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1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mers of unsaturated nitriles, e.g. polyacrylonitrile, polyvinylidene cyanid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2High modulus filament or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9Bicomponent, conjugate, composite or collateral fibers or filaments [i.e., coextruded sheath-core or side-by-sid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9Bicomponent, conjugate, composite or collateral fibers or filaments [i.e., coextruded sheath-core or side-by-side type]
    • Y10T428/2931Fibers or filaments nonconcentric [e.g., side-by-side or eccentric,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Woven Fabric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면과 고모듈러스 섬유의 스테이플사를 습윤시키고 장력하에 건조시킴으로써 높은 내구성 및 내마모성을 가진 직물용 경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구성 직물용 혼면사의 제조방법, 이 방법에 따른 연속사 및 이 연속사를 경사로 포함하는 고내구성 고내마모성 직물
본 발며은 높은 내마모성을 제공하기 위해 직물의 경사로서 사용될 수 있는 연속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연속사의 직물은 착용 수명이 길며 적합한 위사의 선택에 따라 편안한 의복을 제조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은,
a. 면 섬유 약 35 내지 90중량%, 모듈러스가 200g/dtex이상인 유기 중합체 섬유 약 10 내지 50중량% 및 임의로 모듈러스가 100g/dtex 미만인 다른 섬유 55중량%이하로 이루어진 스테이플 혼합 섬유(staple fiber blend)를 형성하고;
b. 수득된 섬유를 방적하여 연속사를 형성시키며;
c. 수득된 사를 수용액으로 완전히 습윤시키고;
d. 수득된 습윤사를 0.2 내지 2g/dtex의 장력하에 건조시키며;
e. 수득된 사를 수집함을 포함하는 내구성 직물용 혼면사(ctton blend yarn)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생성되는 사도 본 발명의 일부이다. 내마모성이 높은 내구성 직포는 0내지 50중량%의 고모듈러스 유기 중합체 섬유, 35 내지 100%의 면 및 0 내지 65%의 다른 저모듈러스, 즉 10gpd 이하의 유기 섬유를 함유하는 위사와 함게 직포의 경사로서 신규한 사를 사용하고 직물 치밀도 값(fabric tightness value)이 1이상인 직물을 제직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스테이플 섬유는 의류용으로 적합한 선밀도 즉, 섬유당 10 dtex미만, 바람직하게는 섬유당 5 dtex미만의 선밀도 및 1.9 내지 6.3 cm(0.75 내지 2.5in)의 길이를 갖는 방직 섬유이다. 선밀도가 섬유당 1 내지 약 3dtex 인 섬유가 보다 바람직하다. 귄축된 섬유는 직물의 심미적인 면 및 가공성을 위해 특히 바람직하다.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먼저 10 내지 50%의 고모듈러스 섬유, 35 내지 90%의 면 및 0 내지 55%의 저모듈러스 유기 스테이플 혼합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연속사는 혼합 섬유로부터 방적되어 신장 치밀화 공정(stretch tightening process)에 적용되는데, 이 공정은 사를 수용액, 바람직하게는 물론 완전히 습윤시키고 0.2 내지 2.0 g/dtex 장력을 적용하며 사를 장력하에 바람직하게는 약 100℃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당해 분야의 숙련가라면 알 수 있듯이, 방적된 사는 신장 치밀화 공정에 견디기에 충분하도록 꼬이거나 엉켜야 한다. 직물은 경사로서 이러한 연속사를 사용하고 0 내지 50% 의 고모듈러스 섬유, 35 내지 100%의 면 및 0 내지 65%의 다른 저모듈러스 유기 스테이플 섬유를 포함하는 위사를 사용하여 제직한다. 위사에 있어서, 너무 많은 고모듈러스 섬유(200 g/dtex) 또는 저수축, 저모듈러스 섬유는 내마모성의 증가를 위해 경사가 치밀하게 유지되도록 세척시 위사가 충분히 수축하는 것을 방해할 것이다. 위사에 있어서 면은 경사가 압축되도록 세탁시 수축하며 부드러움 및 수분 흡수성을 제공한다.
목적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신규한 사에 여러 형태의 섬유를 적합한 함량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경사중에 고모듈러스 섬유가 너무 많거나 너무 적으면 강성 표면에 대한 내마모성이 불충분한 직물이 생성된다. 경사중의 면은 부드러운 촉감 및 수분흡수성을 제공하며 수축시 직물 구조내에 밀집된 고모듈러스 섬유를 고정시킴으로써 내마모성을 향상시킨다. 모듈러스가 100g/dex 미만인 섬유도 더 큰 강도 또는 개선된 심미적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추가로 존재할 수 있다.
스테이플 혼합 섬유의 사는 이후에 완전히 습윤시킨다. 수성욕을 통한 사의 통과는 만족스러운 결과를 제공한다. 소량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순수 대신 사용하여 개선된 광택 또는 오존에 대한 내성과 같은 추가의 이점들을 얻을 수 있다. 윤활 가공 조제(lubricant finishing aid)도 이 습윤 단계에 혼입시킬 수 있다.
습윤사에 장력을 적용하고 사를 장력하에 가열 건조시킨다. 이를 수행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사를 가열된 롤 및 이들 롤 사이로 통과시키는 것이다. 약 100℃의 온도가 건조를 촉진시키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된다. 약 0.2 내지 2g/dtex범위 내의 균일한 장력을 건조단계 동안 적용시킨다. 고모듈러스 섬유의 비율이 상한선에 접근할 때 2g/dtex에 근저하는 수준의 장력이 사용되며, 0.2 g/dtex에 근접한 장력은 고모듈러스 섬유의 비율이 낮을 때 사용한다. 신장 치밀화된 사는 제직 영역으로의 이송을 위한 콘테이너에 수집된다.
신장 치밀화 공정 동안 장력이 너무 낮을 경우, 치밀화가 불충분하게 발생하게 되며 열등한 결과가 수득될 것이다. 건조중 면의 수축이 방해될 정도로 장력이 너무 높아서는 안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모듈러스의 섬유의 함량이 높을수록 허용되는 장력이 더 높아진다.
신장 치밀화 공정에 있어서, 고모듈러스 섬유는 하중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사가 장력하에 있을 경우 치밀해지는 반면, 면 섬유는 비교적 낮은 장력하에 존재하고 이동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장력하에 건조시키면 면이 이미 치밀해진 고모듈러스 섬유 주위를 조일 수 있고, 이에 의해 일단 사가 건조되면 상기 섬유들이 고정된 형태로 유지된다. 직물에 혼입되기 전에 사를 신장 치밀화시키는데 실패하면 고모듈러스 섬유가 느슨한 이완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수축시키기 위해 상기 직물을 세척하는 것은 본 명세서에서 목적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충분하지 못하다. 이와 유사하게, 불충분한 장력하에 수축되는 혼면사는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필수적인 섬유 치밀도를 나타내지 않을 것이다.
실시예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용 직물에 대한 테이버(Taber) 내마모성의 실질적인 증가는, 경사가 직물을 제직하기 전에 신장 치밀화되는 경우 달성된다. 본 발명의 직물은 경사가 제직 전에 처리되지 않은 직물의 것보다 50% 이상의 강성 표면 테이버 마모성을 갖는다.
섬유는 링 방적(riing spinning), 오픈 엔드 방적(open end spinning) , 에어 제트 방적(air jet spinning) 및 마찰 방적(friction spinning)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 다수의 상이한 방적법에 의해 사로 방적할 수 있다.
나일론은 습윤 후 건조시에 쉽게 수축되어 경사의 치밀화 공정을 보조해주므로 바람직한 부가적인 저모듈러스 섬유이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기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및 기타 아크릴 섬유, 폴리벤즈이미다졸 및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와 같은 기타의 저모듈러스 섬유도 특정된 비율내에서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고모듈러스 섬유의 예는 폴리(p-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PPD-T)스테이플 섬유이다. 이 섬유는 미합중국 특허 제3,767,756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고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다.
모듈러스가 200g/dtex이상인 기타의 유기 스테이플 섬유가 사용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섬유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미합중국 특허 제4,075,172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3,4'-디아미노디페닐 에테르 및 p-페닐렌디아민을 포함하는 디아민들의 혼합물과 테레프탈산과의 공중합체의 고모듈러스 섬유.
미합중국 특허 제4,413,110호 및 제4,430,383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용액 방사시켜 겔 섬유를 형성한 다음 연신시킨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용액의 고모듈러스 섬유.
미합중국 특허 제4,603,083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건식 제트 습식 방사공정에 의해 제조된, 중합도가 1500 이상인 폴리비닐알콜의 고모듈러스, 초고강력 섬유.
미합중국 특허 제4,161,470호, 제4,118,372호 및 제4,183,895호에 기술된 종류의 이방성 용융물을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코폴리에스테르로부터 방사되고, 방사후 가열처리된 고모듈러스 섬유.
위에서 언급한 중합체의 예는 동몰량의 p-히드록시벤조산과 6-히드록시 - 2- 나프토산의 코폴리에스테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유기 스테이플 섬유는 탄소와 수소를 모두 함유하고 산소 및 질소와 같은 다른 원소들도 함유할 수 있는 중합체들의 스테이플 섬유를 의미한다. 연속사는 직포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무한한 길이의 권취가능한 사를 의미한다.
몇몇의 적용예에 있어서, 경사가 염색된 직물을 제조하기 위해 신장 치밀화공정 동안 경사를 염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직물의 가공 중, 다수의 직물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직물은 염색, 광택가공(mercerization)및 난연처리할 수 있다. 건조공정중, 0.2 내지 2.0 g/dtex의 경사 장력하에 직물처리를 수행할 경우, 내마모성이 추가로 향상될 수 있다. 샌퍼라이제이션(Sanforization
Figure kpo00001
)과 같은 압축 수축을 수행하여 세탁 수축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시험측정)
모든 직물 시험 및 측정은 시험될 직물을 5회의 세척/건조 사이클에 투입시킨 후 행해졌다. 세척/건조 사이클은 57℃(135℉)에서 14분간 교반하면서 통상의 가정용 세탁기내에서 세재로 직물을 세척하고 이어서 직물을 37℃(100℉)에서 세정하여 최종(최대) 71℃(160℉)에서 통상적인 텀블 건조기 속에서 최대로 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보통 약 30분의 건조 시간이 요구된다.
(직물 치밀도의 측정)
직물 치밀도는 사가 직포 내에 함께 채워진 정도를 의미하며 문헌[참조 : RESEARCH DISCLOSURE October, 1988, Publication Item No. 29498, Calculation of Fabric Tightness Factor, pp. 833-6(여기서는 계수(factor)라는 단어가 생략된다)]에 기술된 바와 같이 측정하고 계산한다. dtex또는 면사 번수로 표시되는 사의 선밀도는 세척된 직물로부터 사를 빼내어 제직권축 없이 사의 길이를 얻기 위해 사를 수 신장(hand stretching)시키며 대략적인 선밀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사의 길이를 평량하고 사를 0.11 g/dtex까지 부하시키고 그 길이를 하중하에 측정하므로써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측정된 길이를 동일한 길이의 사의 중량과 함께 사용하여 직물 치밀 계산용 공식에 사용되는 선밀도를 계산한다.
(내마모성)
내마모성은 미합중국 뉴욕 14120 노오쓰 토나완다 브리안트 스트리트 455 소재으 텔레다인 테이버(Teletyne Taber, 455 Bryant St., North Tonawanda, NY 14120)에서 시판하는 테이버 마모기에서 H-18 휠(wheel)과 1000g의 하중으로 ASTM방법 D 3884-80 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샘플을 시험하기 전에 평평하게 다림질한다. 상기 과정에 있어서 주름을 방지하기 위해 샘플을 홀더(holder)내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장착시키는데 주의해야 한다. 테이버 내마모도는 파손될 때까지의 사이클로서 기록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내구성이 높은 직물은 PPD-T 스테이플 섬유, 면 및 나이론 스테이플 섬유의 균질 혼합 섬유의 링 방적 사(ring-spun yarn)의 경사로부터 제조한다. 워사는 오픈 엔드 방적되며 100% 면으로 이루어진다.
선밀도가 1.65 dtex(1.5dpf)이고 절단길이가 3.8cm(1.5in)인 PPD-T섬유 25중량%, 선밀도가 2.77 dtex(2.5dpf)이고 절단 길이가 3.8cm(1.5in)인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프아미드(나일론 6,6) 섬유 10중량% (E. I. du Pont de Nemours Co., Inc. 로부터 T-420나이론 섬유로서 입수가능함) 및 면 65% 중량%의 혼합 슬라이버(blend sliver)를 제조하고 통상적인 면 시스템을 사용하여 링 방적기를 사용하여 Z꼬임이 cm당 3.9회전(turn)(10tpi)인 방적사로 가공한다. 이와 같이하여 제조된 사는 913dtex(공칭 6.4/1 면사변수 : 830 denier)의 단일 방적사이다. 이후에, 사를 인디고 염료 (indigo dye)를 함유하는 수개의 실온 수욕을 통과시킨 다음 열풍 챔버를 통과시킨다. 이어서, 사를 열수로 세정하고 최종단계로서 약 0.5 g/dtex의 장력하에 82℃에서 롤 위에서 건조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단일 방적사를 경사로서 사용하여 면 100%의 5.75/1 면사변수(1017dtex, 924 denier)오픈 엔드 방적된 위사와 함께 3x1우향 능직(right hand twill)구조로 제직한다. 능직물은 조직구성이 25경사/cm x 19 위사/cm(64ends/inx48picks/in)이고, 기초중량이 511 g/m2(15.10z/yd2)이고, 테이버 마모도가 2700 사이클이며 직물 치밀도가 1.09이다.
대조를 위해, 링 방적된 위사를 사용하고 경사를 신장 치밀화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성을 갖는 유사하게 구성된 직물은 테이버 마모도가 단지 1700사이클이다.
[실시예 2]
청색으로 염색된 PPD-T섬유 20중량%, 나일론 6, 6 섬유(E. I. du Pont de Nemours Company 로부터 입수가능한 T-420) 15중량% 및 면 65중량%의 혼합 슬라이버를 사용하여 경사를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직물을 제조한다. 직물은 테이버 마모도가 2600사이클이다.

Claims (4)

  1. a. 면 섬유 약 35 내지 90중량%, 모듈러스가 200 내지 2000g/dtex인 유기 중합체 섬유 약 10 내지 50중량% 및 임의로 모듈러스가 100g/dtex 미만인 기타 섬유 55중량%이하로 이루어진 스테이플 혼합 섬유를 형성하고;
    b. 수득된 섬유를 방적하여 연속사를 형성하며;
    c. 수득된 사를 수용액으로 완전히 습윤시키고;
    d. 수득된 습윤사를 0.2 내지 2g/dtex의 장력하에 건조시키며;
    e. 수득된 사를 수집함을 포함하는, 내구성 직물용 혼면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모듈러스가 200 내지 2000g/dtex인 유기 중합체 섬유가 폴리(p-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 섬유인 내구성 직물용 혼면사의 제조방법.
  3. 제1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연속사.
  4. 0 내지 50중량%의 고모듈러스 유기 중합체 섬유, 35 내지 100중량% 의 면 및 모듈러스가 100gpd미만인 0 내지 65중량%의 기타 유기 섬유를 함유하는 위사와, 경사로서 제3항에 따르는 연속사를 포함하면 직물 치밀도 값이 1 내지 1.33이 되도록 제작된, 고내구성 고내마모성 직물.
KR1019910003463A 1990-03-05 1991-03-04 내구성 직물용 혼면사의 제조방법, 이 방법에 따른 연속사 및 이 연속사를 경사로 포함하는 고내구성 고내마모성 직물 KR01446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489,276 US5077126A (en) 1990-03-05 1990-03-05 Process for making cotton blend warp yarns for durable fabrics
US489,276 1990-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989A KR910016989A (ko) 1991-11-05
KR0144667B1 true KR0144667B1 (ko) 1998-07-15

Family

ID=23943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3463A KR0144667B1 (ko) 1990-03-05 1991-03-04 내구성 직물용 혼면사의 제조방법, 이 방법에 따른 연속사 및 이 연속사를 경사로 포함하는 고내구성 고내마모성 직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077126A (ko)
EP (1) EP0445724B1 (ko)
JP (1) JP3070963B2 (ko)
KR (1) KR0144667B1 (ko)
CN (1) CN1032491C (ko)
AU (1) AU625487B2 (ko)
CA (1) CA2036937C (ko)
DE (1) DE69101993T2 (ko)
IL (1) IL97343A0 (ko)
MX (1) MX167033B (ko)
RU (1) RU183492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0756A (en) * 1993-06-01 1994-12-06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Substrate splices for roofing
US5467512A (en) * 1994-02-14 1995-11-21 Burlington Industries, Inc. Knitted fabric construction for an industrially launderable knitted garment
US5477595A (en) * 1994-02-14 1995-12-26 Burlington Industries, Inc. Knitted fabric construction for an industrially launderable soft hand knitted garment
US5876849A (en) * 1997-07-02 1999-03-02 Itex, Inc. Cotton/nylon fiber blends suitable for durable light shade fabrics containing carbon doped antistatic fibers
CN1081249C (zh) * 1997-10-05 2002-03-20 泰安市第一山毛纺织有限公司 熨可挺纺织品的加工方法
US6666235B2 (en) 2001-10-26 2003-12-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ightweight denim fabric containing high strength fibers and clothing formed therefrom
US20030157294A1 (en) * 2002-02-20 2003-08-21 Green James R. Non-pilling insulating flame-resistant fabrics
US20040229538A1 (en) * 2003-05-15 2004-11-18 Love Franklin S. Woven stretch fabric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050025962A1 (en) * 2003-07-28 2005-02-03 Reiyao Zhu Flame retardant fiber blends comprising flame retardant cellulosic fibers and fabrics and garments made therefrom
US7214425B2 (en) * 2005-02-10 2007-05-08 Supreme Elastic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fiber blend and products made therefrom
US8932965B1 (en) 2008-07-30 2015-01-13 International Textile Group, Inc. Camouflage pattern with extended infrared reflectance separation
WO2010060943A1 (en) * 2008-11-26 2010-06-03 Dsm Ip Assets B.V. Thermoregulating, cut-resistant yarn and fabric
US10433593B1 (en) 2009-08-21 2019-10-08 Elevate Textiles, Inc. Flame resistant fabric and garment
US8793814B1 (en) 2010-02-09 2014-08-05 International Textile Group, Inc. Flame resistant fabric made from a fiber blend
US8209785B2 (en) 2010-02-09 2012-07-03 International Textile Group, Inc. Flame resistant fabric made from a fiber blend
CN103732814B (zh) * 2011-08-18 2018-02-23 帝斯曼知识产权资产管理有限公司 耐磨纱线
US9624608B2 (en) * 2012-02-17 2017-04-18 Nike, Inc. Architecturally reinforced denim
CN104195707B (zh) * 2014-08-13 2016-06-22 武汉纺织大学 一种湿热牵伸抚顺式改善环锭短纤纱结构的后加工方法
HK1198794A2 (en) * 2015-01-05 2015-06-05 達豐紡織印染有限公司 Production process and production line for eco-friendly denim
US20190186055A1 (en) * 2017-12-14 2019-06-20 The Gap, Inc. Yarn formed from recycled cotton and recycled para-aramid, and fabrics made therefro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8741A (en) * 1976-09-30 1978-07-04 Basf Wyandotte Corporation Phosphorus-containing polyester and size compositions
FR2581665B1 (fr) * 1985-05-07 1987-06-12 Rhone Poulenc Textile Files de fibres en materiaux textiles thermostables
GB8520318D0 (en) * 1985-08-13 1985-09-18 Ten Cate Over All Fabrics Bv Flame resistant materials
US4900613A (en) * 1987-09-04 1990-02-1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 Comfortable fabrics of high durability
ES2074064T3 (es) * 1989-08-10 1995-09-01 Du Pont Mezcla de algodon, nylon y fibras resistentes al cal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45724A2 (en) 1991-09-11
JP3070963B2 (ja) 2000-07-31
CA2036937A1 (en) 1991-09-06
CA2036937C (en) 2000-10-31
AU7260991A (en) 1991-09-05
JPH04214434A (ja) 1992-08-05
RU1834927C (ru) 1993-08-15
IL97343A0 (en) 1992-05-25
EP0445724B1 (en) 1994-05-18
AU625487B2 (en) 1992-07-09
EP0445724A3 (en) 1991-10-02
DE69101993T2 (de) 1994-12-08
KR910016989A (ko) 1991-11-05
CN1032491C (zh) 1996-08-07
CN1054623A (zh) 1991-09-18
DE69101993D1 (de) 1994-06-23
MX167033B (es) 1993-02-25
US5077126A (en) 1991-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4667B1 (ko) 내구성 직물용 혼면사의 제조방법, 이 방법에 따른 연속사 및 이 연속사를 경사로 포함하는 고내구성 고내마모성 직물
AU621394B2 (en) Comfortable fabrics of high durability
US4941884A (en) Comfortable fabrics of high durability
JP3409329B2 (ja) 「太細を有するポリアミド系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Gun Dimensional, phys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plain knitted fabrics made from 50/50 blend of modal viscose fiber in microfiber form with cotton fiber
WO1997013897A1 (fr) Fil texture par fausse torsion
JPS59204942A (ja) 弾性の平坦表面を有する織布及びその製造法
Fouda Effect of backed yarn characteristics on two-thread fleece knitted fabric properties
JP3733696B2 (ja) 仮撚加工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290846A (ja) 異収縮複合混繊糸およびその織物、編物
JPS583064B2 (ja) シルキ−調ポリエステル織物の製造方法
KR101596710B1 (ko) 선염된 레이온사를 이용하여 제직된 실크-레이온 혼방 원단
RU1804509C (ru) Механизм смены цвета ткацкого станка
JP4110447B2 (ja) 高吸放湿性ポリエステル繊維及びそれより構成されてなる布帛
FI89383B (fi) Grundligt blandad stapelfiberblandning och vaermebestaendigt, slitstarkt vaevt tyg
JP2848638B2 (ja) 高収縮ナイロンフィラメントからなる異収縮混繊糸
JPS6249372B2 (ko)
FI89382B (fi) Vaevt tyg och foerfarande foer dess framstaellning
JP2747571B2 (ja) 綿、ナイロンおよび耐熱性繊維の混合物、糸ならびに織布
Büyükkoru et al. Investigation of Anti-Pilling Properties of Different Fabrics Applied with Polyvinylcaprolactam.
RU1804508C (ru) Теплостойка прочна ткань
KR920006871B1 (ko) 고내구성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RU2041984C1 (ru) Ткань
JP3968856B2 (ja) 傘地
JP2002115131A (ja) 二層構造仮撚糸およびその織物、編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