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3456B1 - 자동차용 라이트 자동오프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라이트 자동오프 장치 및 그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3456B1
KR0143456B1 KR1019950024543A KR19950024543A KR0143456B1 KR 0143456 B1 KR0143456 B1 KR 0143456B1 KR 1019950024543 A KR1019950024543 A KR 1019950024543A KR 19950024543 A KR19950024543 A KR 19950024543A KR 0143456 B1 KR0143456 B1 KR 0143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vehicle
turned
stat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4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364A (ko
Inventor
김규승
Original Assignee
김회수
엘지전자부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회수, 엘지전자부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회수
Priority to KR1019950024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3456B1/ko
Publication of KR970010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3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34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5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lighting devices combined with starting or ignition devices for 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시동이 오프(OFF) 상태가 되면 자동으로 모든 라이트를 오프시키는 자동차용 라이트 자동오프(OFF)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전원, 퓨즈, 스위치, 라이트가 순차로 연결되고, 상기 라이트로 흐르는 전류룰 감지하는 전류감지부와, 상기 라이트에 인가되는 전원의 연결을 결정하는 접점구동부와, 자동차의 시동이 오프상태가 되면 상기 전류감지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접점구동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자동차의 시동이 오프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시동이 오프상태인 경우에 라이트로 전류가 흐르는지를 체크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라이트로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라이트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이 수행된 후 자동차의 시동이 온상태가 되는지를 판단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시동이 온상태인 경우에 경고메세지를 표시하고 라이트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제5과정으로 동작하여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라이트 자동오프 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라이트 온/오프(ON/OFF)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제2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라이트 자동오프(OFF)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제3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라이트 자동오프(OFF)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전원 11:배터리(Battery)
12:제너레이터(Generator) 20:퓨즈(fuse)
30:스위치 40:라이트(Light)
50:전류감지부 60:접점구동부
70:제어부 80:기능선택키
본원 발명은 자동차용 라이트 자동오프(OFF)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동이 오프(OFF) 상태가 되면 자동으로 모든 라이트를 오프시키는 자동차용 라이트 자동오프(OFF)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라이트 온/오프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11) 및 제너레이터(112), 퓨즈(120), 스위치(130), 라이트(140)가 순차적으로 연결 구성되고, 운전자에 의해 상기 스위치(130)가 온(ON)되면 그에 따라 상기 배터리(111) 또는 제너레이터(112)의 전원이 상기 라이트(140)에 인가되어 상기 라이트(140)를 온(ON)시키고, 상기 스위치(130)가 오프(OFF)되면 상기 라이트(140)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라이트(140)를 오프(OFF)시킨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라이트 온/오프장치는 수동으로 동작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부주의로 장시간 라이트가 켜진 상태로 방치되면 자동차의 배터리가 방전되어 시동이 안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시동이 오프상태가 되면 라이트로 전류가 흐르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라이트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라이트를 오프시킬수 있는 자동차용 라이트 자동오프(OFF)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라이트 자동오프(OFF)장치 및 그 방법은 전원, 퓨즈, 스위치, 라이트가 순차로 연결되고, 상기 라이트로 흐르는 전류룰 감지하는 전류감지부와, 상기 라이트에 인가되는 전원의 연결을 결정하는 접점구동부와, 자동차의 시동이 오프상태가 되면 상기 전류감지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접점구동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자동차의 시동이 오프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시동이 오프상태인 경우에 라이트로 전류가 흐르는지를 체크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라이트로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라이트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3과정과, 제3과정이 수행된 후 자동차의 시동이 온상태가 되는지를 판단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시동이 온상태인 경우에 경고메세지를 표시하고 라이트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제5과정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원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라이트 자동오프(OFF)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 발명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10), 퓨즈(20), 스위치(30), 라이트(40)가 순차 연결되고, 상기 라이트(40)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50)와, 상기 라이트(40)에 인가되는 전원(10)의 연결을 결정하는 접점구동부(60)와, 자동차의 시동이 오프상태가 되면 상기 전류감지부(50)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접점구동부(60)를 동작시키는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10)은 자동차가 정지중 시스템에 전압을 제공하는 배터리(11)와, 자동차가 주행중 시스템에 전압을 제공하는 제너레이터(12)로 구성된다.
본원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라이트 자동오프(OFF) 방법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시동이 오프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시동이 오프상태인 경우에 라이트로 전류가 흐르는지를 체크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라이트로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라이트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이 수행된 후 자동차의 시동이 온상태가 되는지를 판단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시동이 온상태인 경우에 경고메세지를 표시하고 라이트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원 발명의 자동차용 라이트 자동오프(OFF)장치 및 그 방법은 먼저 상기 제어부(70)에서 자동차의 엔진회전수(rpm)를 검출하여 자동차의 시동이 오프(OFF)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자동차의 시동이 오프상태이면 상기 전류감지부(50)에서는 상기 라이트(40)로 전류가 흐르는지를 감지한다. 이때, 상기 전류감지부(50)는 상기 라이트(40)로 전류가 흐르면 하이(high)를 출력하고,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로우(low)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70)에서는 상기 전류감지부(50)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라이트(40)가 점등되어 있으면 상기 접점구동부(60)를 동작시켜 상기 라이트(40)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라이트(40)를 소동시킨다.
상기 라이트(40)의 전원이 차단된 후에 다시 자동차의 시동이 온상태가 되면 운전석의 프론트판넬에 장착된 인디케이터를 점멸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현재의 상태를 알려주는 경고메세지를 표시하고, 상기 라이트(40)로 전원을 인가시켜 상기 라이트(40)를 점등시킨다.
본원 발명의 제어부(70)에는 시스템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기능 선택키(80)가 연결되어 자동모드가 선택되면 상기와 같이 동작하도록 하고, 수동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70) 및 접점구동부(60)가 동작을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하는 본원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라이트 자동오프(OFF)장치 및 그 방법은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라이트를 온시킨 상태로 주차시킨 경우에도 자동으로 라이트를 오프시키기 때문에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전원, 퓨즈, 스위치, 라이트가 순차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라이트 자동오프장치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와, 상기 라이트에 인가되는 전원의 연결을 결정하는 접점구동부와, 자동차의 엔진회전수(rpm)를 검출하여 시동이 오프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시동감지수단과, 상기 시동감지수단에서 자동차의 시동 오프상태가 판단되면 상기 전류감지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접점구동부를 동작시켜 라이트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라이트 자동오프(OFF)장치.
  2. 자동차의 시동이 오프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시동이 오프상태인 경우에 라이트로 전류가 흐르는지를 체크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라이트로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라이트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이 수행된 후 자동차의 시동이 온상태가 되는지를 판단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시동이 온상태인 경우에 경고메세지를 표시하고 라이트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라이트 자동오프(OFF)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에서는 자동차의 엔진회전수(rpm)를 검출하여 자동차의 시동이 오프(OFF)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5과정에서는 운전석의 프론트판넬에 장착된 인디케이터를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라이트 자동오프(OFF)방법.
KR1019950024543A 1995-08-09 1995-08-09 자동차용 라이트 자동오프 장치 및 그 방법 KR0143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4543A KR0143456B1 (ko) 1995-08-09 1995-08-09 자동차용 라이트 자동오프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4543A KR0143456B1 (ko) 1995-08-09 1995-08-09 자동차용 라이트 자동오프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364A KR970010364A (ko) 1997-03-27
KR0143456B1 true KR0143456B1 (ko) 1998-08-01

Family

ID=1942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4543A KR0143456B1 (ko) 1995-08-09 1995-08-09 자동차용 라이트 자동오프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345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364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3456B1 (ko) 자동차용 라이트 자동오프 장치 및 그 방법
KR0146580B1 (ko) 차량의 제동등 단선경고회로
KR200144110Y1 (ko) 자동차 배터리 방전 방지용 램프 소등 장치
KR0164325B1 (ko) 자동차의 램프 자동소등장치
KR0135438Y1 (ko) 자동차 램프의 자동시험장치
KR0178919B1 (ko) 계기판 미등램프 자동소등장치
KR0139061Y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장치
KR100427233B1 (ko) 차량위치 인식램프 제어장치
KR19990041814U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100197144B1 (ko) 자동차의 등화단선 검출장치
JP2956481B2 (ja) 車両の衝突ハザード点灯装置
KR970002133B1 (ko) 브레이크등의 이상발생시 고장경고 및 엔진시동제어장치
KR0133192B1 (ko) 자동차계기판 및 테일-라이트자동오프제어방법 및 장치
KR0129689Y1 (ko) 자동차의 워닝램프 점등장치
KR0180848B1 (ko) 램프 자동 꺼짐 제어 장치 및 방법
JPH04260840A (ja) 車輌用放電灯の点灯装置
KR20000008214A (ko) 전조등 자동 온/오프장치 및 방법
KR20000045710A (ko) 미등에의한배터리의방전방지장치및방지방법
KR19980010795U (ko) 배터리 방전 자동 차단장치
KR20050060820A (ko) 차량용 계기판 램프의 자동 점등/소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40989A (ko) 자동차의 램프 고장 감지 장치
KR19980038512A (ko) 차량의 주간 주행시 램프점등상태 경보장치
KR19980050327A (ko) 자동차의 미등점등 경보방법
KR19980012160U (ko) 차량용 헤드램프 자동점멸장치
KR19980026032A (ko) 차량의 헤드램프 자동 점.소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