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669B1 - 화상 형성장치의 수동급지 모드에서 토너절감과 오염방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장치의 수동급지 모드에서 토너절감과 오염방지 방법 및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669B1
KR0141669B1 KR1019940025701A KR19940025701A KR0141669B1 KR 0141669 B1 KR0141669 B1 KR 0141669B1 KR 1019940025701 A KR1019940025701 A KR 1019940025701A KR 19940025701 A KR19940025701 A KR 19940025701A KR 0141669 B1 KR0141669 B1 KR 0141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aper width
toner
image forming
manual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5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5107A (ko
Inventor
이영섭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25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1669B1/ko
Priority to US08/535,874 priority patent/US5657133A/en
Priority to JP7260109A priority patent/JP2786612B2/ja
Publication of KR960015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6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29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opy material characteristics, e.g. weight, thick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3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233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according to user specified instructions, e.g. user selection of reproduction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9Reproducing arrangements involving production of an electrostatic intermediate picture
    • H04N1/295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34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Handling Of Cut Paper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화상 형성장치에 있어서 토너절감 및 토너에 의한 오염방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토너절약과 토너에 의한 오염방지를 위해 수동급지모드에서 사용할 용지의 크기를 미리 세팅한후 상기 설정된 용지크기 이외의 폭을 벗어난 부분의 프린팅을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수동급지모드에서 사용자가 용지의 실제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용지폭에 따라 좌우마진에 맞춰 프린팅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토너의 소비 또는 이 토너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용지폭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조절되는 용지폭 검지수단과, 상기 용지폭 검지수단에서 발생한 용지폭 검지값을 이요해 실제의 용지폭을 계산하는 수단과, 상기 계산된 용지폭 내에만 화상을 형성하도록 하는 화상형성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용지폭 조절에 의해 용지폭을 검지하는 단계와, 상기 용지폭 검지단계에서 발생한 용지폭 검지값을 이용해 실제의 용지폭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용지폭 내에만 화상을 형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용도
용지수동급지 크기 모드 세팅

Description

화상 형성장치의 수동급지 모드에서 토너절감과 오염방지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키 위한 화상 형성장치의 외관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의 수동급지 모드에서 토너절감과 오염방지를 위한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의 수동급지 모드에서 토너절감과 오염방지를 위한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의 수동급지 모드에서 토너절감과 오염방지를 위한 동작 파형도
본 발명은 화상 형성장치에 있어서 토너절감 및 토너에 의한 오염방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토너절약과 토너에 의한 오염방지를 위해 수동급지모드에서 사용할 용지의 크기를 미리 세팅한후 상기 설정된 용지크기 이외의 폭을 벗어난 부분의 프린팅을 방지하는 화상 형성장치의 수동급지 모드에서 토너절감과 오염방지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장치의 급지는 카세트 등의 용지급지장치에서 규격에 맞는 용지를 넣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콘트롤러부(22)는 사용용지의 크기를 알고 있으므로 인쇄되는 화상은 용지의 크기에 맞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제2도의 정전잠상 형성부(26)도 감광드럼(12)의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데 있어서 영역에 부합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에 있어서 규격용지(A4, Leggal, Letter)이외의 용지를 사용하는 경우 수동(Manual) 급지트레이장치를 이용하게 된다. 수동급지의 경우 1993년 6월 29일 공고된 kamano 특허 제 5,222,722호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으며, 상기에서와 같이 수동급지장치를 이용하여 급지할 경우 화상 형성장치는 급지되는 용지 폭을 알 수 없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 동작은수동급지장치를 통하여 급지되는 용지의 실제폭과는 관계없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잠상형성장치에서 감광드럼에 형성시키는 잠상이 실제로 급지되어지는 용지보다 작을 경우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잠상이 용지보다 클 경우는 현상부를 통하여 현상된 화상의 일부가 전사기에서 용지로 전사되지 않고 남아서 폐토너로 버려지게 된다. 이는 불필요한 토너의 소비를 초래할 뿐더러 이로 인해 화상형성장치를 오염시켜 프린팅 질을 떨어 뜨린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동급지모드에서 사용자가 용지의 실제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용지폭에 따라 좌우마진에 맞춰 프린팅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토너의 소비 또는 이 토너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용지폭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조절되는 용지폭 검지 수단과, 상기 용지폭 검지수단에서 발생한 용지폭 검지값을 이용해 실제의 용지폭을 계산하는 수단과, 상기 계산된 용지폭 내에만 화상을 형성하도록 하는 화상형성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용지폭 조절에 의해 용지폭을 검지하는 단계와, 상기 용지폭 검지단계에서 발생한 용지폭 검지값을 이용해 실제의 용지폭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용지폭 내에만 화상을 형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용된 수동급지부(110)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용지(120)가 수동급지되는 입구인 수동급지부(110)와, 상기 용지(120)가 상기 수동급지부(110)로 삽입되면 이를 감지하는 수동급지 감지센서(170)와, 피이딩되는 용지(120)의 폭(L)에 따라 안내홈(100)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스위치레버(140)와,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레버(14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레버(140)의 안내홈(100)을 따라 좌우 이동에 의하여 용지크기에 대응되는 가변하는 저항값을 발생시키는 가변저항(15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용지(120)를 벽(A)를 기준으로 삽입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기타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여러가지 용지의 삽입기준이 이용될 수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도로서,
상기 제1도의 용지(120)의 크기로 부터 안내홈(100)을 따라 좌우횡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드 스위치레버(140)의 조절에 따라 용지(120)의 폭에 대응하는 값이 센싱되는 가변저항(150)과,
상기 가변저항(150)으로 부터 상기 가변저항(150)의 용지(120)의 크기센싱값을 디지탈화하는 A/D변환기(102)와,
상기 가변저항(150)에 전원단(Vcc)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부하저항(R1)과,
상기 A/D변환기(102)에 A/D변환을 위한 샘플링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A/D변환기(102)에서 전송되는 용지(120)의 크기값에 대응하는 디지탈값을 이용하여 용지(120)의 크기에 해당하는 범위의 내부에만 화상이 형성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콘트롤러부(2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도의 상기 설명하지 않은 다른 부분은 1989년 12월 26일자로 Egawa에 허여된 미국특허 4,890,125호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참조하면 더욱 상세히 이해되어질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수동급지부(110)의 수동급지 감지센터(170)가 온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수동급지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제1과정(S1)과,
상기 제1과정(S1)에서 수동급지모드이면 사용자가 조절한 슬라이드 스위치레버(140)의 위치에 따른 가변저항값을 읽어들이는 제2과정(S2)과,
상기 제2과정(S2)에서 읽어들인 값을 이용하여 실제의 용지폭을 인식하는 제3과정(S3)과,
상기 제3과정(S3)에서 인식한 실제의 용지폭 내에만 정전잠상을 형성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잠상형성부(209)로 전송하는 제4과정(S4)으로 이루어진다.
제4도(4a),(4b)는 계산된 용지폭을 이용하여 정전잠상의 형성을 제어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그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 일실시예를 제1도~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사용상의 필요에 의해 수동급지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먼저 수동급지할 용지(120)를 수동급지부(110)에 삽입하게 된다. 이때 수동급지부(110)에 위치한 수동급지 감지센터(170)는 용지가 삽입되는 것을 제3도(S1)과정에서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고, 콘드롤러부(22)는 수동급지모드임을 인식한다. 또 사용자는 용지(120)를 삽입하면서 용지(120)의 목에 맞추어 용지폭 조절손잡이 즉, 슬라이드 스위치레버(140)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레버(140)의 이동에 의해 슬라이드식 가변저항(150)인 제2도의 가변저항(150)의 저항값이 변화한다.
상기 가변저항(150)은 슬라이드 로딩방식일 경우 용지의 좌측단에서 우측으로 급지 가능한 최소용지폭 위치에서 부터 최대용지폭 위치까지 설정한다. 즉, 가변저항(150)의 저항 변화로 전원단(Vcc)으로 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저항(R1)과 가변저항(150)이 연결되는 A/D변환기(102)의 입력단(221)에 걸리는 레벨(SR=(VR1/VR1+R1×Vcc:VR1=가변저항(150)의 변화값)이 변한다. 이 값은 콘드롤러부(22)로부터 발생되는 샘플링클럭에 의해 A/D변환기(102)에서 디지탈 데이타로 (S2)과정에서 변환되어 콘드롤러부(22)에 입력된다. A/D변환기 내장형의 콘트롤러를 사용하면 상기 A/D변환기는 없어지고 입력이 콘트롤러로 바로 들어갈수도 있다.
상기 콘드롤러부(22)는 (S3)과정에서 상기 A/D변환기(102)에서 디지탈화되어 출력되는 값을 이용하여 실제의 용지폭을 계산한다. 실제의 용지폭을 계산하는 방법은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 영역에 하기 표 1과 같이 테이블을 만들어 놓고, 디지탈화된 용지폭 검지값에 대응하는 실제 용지폭값을 읽는 방법이 있고 또, 계산식을 이용하여 디지탈화된 용지폭 검지값을 이 계산식에 넣어서 구할 수도 있다
실제 용지폭을 계산하지 않고 용지폭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방법은 제2도와 같이 A/D변환기(102)의 출력이 8비트일 경우 슬라이드 스위치레버(140)의 최 좌측과 우측의 위치에서 가변저항(150)의 값이 상기 표 1과 같이 255에 대응되도록 테이블화 되어 있으므로, 상기 디지탈한 값에 의해 제4도와 같이 용지폭 설정 제어값(VD-ACT)(4b)이 상승타임(L)과 하강타임(R)의 테이블값용지, 즉 가변저항(150)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0~255중 하나가 선택되어 용지폭 설정 제어값(VD-ACT)(4b)이 발생된다. 물론 0~255의 범위로 한정되지 않고, 50~250으로 설정값의 조정이 쉽게 가능하고 여기서 삽입 기준이 좌측이므로 L0=L1=Ln이다, 즉 화상이 인쇄되어야 하는 지점의 시작위치가 항상 동일하므로 상기 표 1 테이블의 생략은 가능하다.
수식의 계산에 의해 방법을 예를들면 슬라이드 스위치레버(140)의 위치변화가 표 1의 테이블의 하강타임(L1)과 같이 50~216㎜에서 이루어진다고 볼때 가변저항(150)의 저항변화에 따른 디지탈화된 값이 8비트일 경우 20~200이라하면 용지폭 설정 제어값(VD-ACT)의 하강시간(R)은 다음 ①식과 같이 발생된다.
상기 계산된 용지폭 조정값은 콘드롤러부(22)에서 처리하여 잠상형성부(209)의 제어로 감광드럽(12)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정전잠상 형성예를 제4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4도(4a)(4b)는 용지폭값을 이용하여 정전잠상 형성을 제어하는 일례를 설명하고자 하는 타이밍도로서 제4도(a)는 용지폭에 의한 제어를 하지 않는 일반적인 경우이다. 즉 종래기술이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상형성 장치라 하더라도 카세트 등의 규격용지를 사용하는 용지급지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4a)의 H_SYNC는 새 라인의 시작을 위치한 기준시점이 되는 신호이다. 이 신호는 항상 수평방향으로 일정시점에 발생한다. (4b) VD-ACT는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잠상형성부(209)를 동작시키는 신호로 이 신호가 1일 경우에만 잠상형성부(209)는 동작한다. 즉, 이 신호가 0이면 다른 신호 즉, 뒤에서 설명하는 비디오 데이타 신호(4c)가 들어오더라도 잠상형성부(209)는 노광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정전잠상의 생성예는 (4d)와 같이 검은 색으로 표시된다.
(4b)는 계산된 용지폭값을 이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4b)의 x가 예를 들면, A4등의 규격용지의 폭에 대응하는 타이밍 상의 길이라고 하면 제4도(4a)의 비디오 데이타(4c)는 (4b) VD-ACT신호가 A4에 해당하는 구간동안 1이므로 모두 정전잠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콘드롤러부(22)는 실제 용지폭값이 계산되면 제4도(4b)의 (4f) VD-ACT와 같이 신호를 계산된 용지폭값의 길이 L에 대응하는 시간만큼만 1상태를 유지하도록한다. 그러면 Y부분의 (4f)비디오 데이타는 무시되어 정전잠상으로 형성되지 않아 제4도(4b)의 정전잠상과 같은 결과가 얻어진다.
상술한 바와같이 수동급지시 용지의 사이즈에 따라 얻어진 용지폭 정보에 의해 노광부를 제어함으로서 종이가 없는 부분에 드럼의 정전잠상이 형성되지 않아 실제 용지가 없는 부분에서 프린팅 동작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토너의 소비를 막고 이 토너에 의한 오염의 문제를 제거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화상 형성장치는 용지(120)의 크기로부터 안내홈(100)을 따라 좌우횡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드 스위치레버(140)를 가지며, 상기 용지(120)의 수동급지에 의한 토너절감과 오염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120)의 크기로 부터 안내홈(100)을 따라 좌우횡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드 스위치레버(140)의 조절에 따라 용지(120)의 폭에 대응하는 값이 센싱되는 가변저항(150)과, 상기 가변저항(150)으로 부터 상기 가변저항(150)의 용지(120)의 크기센싱값을 디지탈화하는 A/D변환기(102)와, 상기 가변저항(150)에 전원단(Vcc)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부하저항(R1)과, 상기 A/D변환기(102)에 A/D변환을 위한 샘플링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A/D변환기(102)에서 전송되는 용지(120)의 크기값에 대응하는 디지탈값을 이용하여 용지(120)의 크기에 해당하는 범위의 내부에만 화상이 형성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콘트롤러부(2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의 수동급지 모드에서 토너절감과 오염방지장치.
수동급지부(110), 수동급지 감지센서(170), 슬라이드 스위치레버(140)로 구성된 화상 형성장치의 수동급지에 의한 토너절감과 오염방지 방법에 있어서, 수동급지부(110)의 수동급지 감지센서(170)가 온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수동급지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제1과정(S1)과, 상기 제1과정(S1)에서 수동급지모드이면 사용자가 조절한 슬라이드 스위치레버(140)의 위치에 따른 가변저항값을 읽어들이는 제2과정(S2)과, 상기 제2과정(S2)에서 읽어들인 값을 이용하여 실제의 용지폭을 인식하는 제3과정(S3)과, 상기 제3과정(S3)에서 인식한 실제의 용지폭 내에만 정전잠상을 형성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노광부로 전송하는 제4과정(S4)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의 수동급지 모드에서 토너절감과 오염방지장치.
KR1019940025701A 1994-10-07 1994-10-07 화상 형성장치의 수동급지 모드에서 토너절감과 오염방지 방법 및 장치 KR0141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701A KR0141669B1 (ko) 1994-10-07 1994-10-07 화상 형성장치의 수동급지 모드에서 토너절감과 오염방지 방법 및 장치
US08/535,874 US5657133A (en) 1994-10-07 1995-09-28 Method and device for saving toner and preventing contamination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7260109A JP2786612B2 (ja) 1994-10-07 1995-10-06 画像出力装置の手差サイズ検出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701A KR0141669B1 (ko) 1994-10-07 1994-10-07 화상 형성장치의 수동급지 모드에서 토너절감과 오염방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107A KR960015107A (ko) 1996-05-22
KR0141669B1 true KR0141669B1 (ko) 1998-07-15

Family

ID=19394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5701A KR0141669B1 (ko) 1994-10-07 1994-10-07 화상 형성장치의 수동급지 모드에서 토너절감과 오염방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657133A (ko)
JP (1) JP2786612B2 (ko)
KR (1) KR01416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0106A (en) * 1997-01-31 1999-08-17 Hewlett-Packard Company Resistive media size sens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08647A (en) * 1967-12-15 1970-10-14 Ricoh Kk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hotographic processing apparatus
US3751155A (en) * 1971-12-30 1973-08-07 Xerox Corp Pre-development exposure assembly
US3787689A (en) * 1972-05-16 1974-01-22 Hope H X Ray Products Inc Exposure scanner and replenisher control
JPS6051839A (ja) * 1983-08-31 1985-03-23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630922B2 (ja) * 1984-07-10 1994-04-27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JPS61186067A (ja) * 1985-02-14 1986-08-19 Toshiba Corp 熱転写画像形成装置
JPH0697365B2 (ja) * 1985-11-29 1994-11-30 三田工業株式会社 感光体の帯電領域制御装置
JPS62187365A (ja) * 1986-02-13 1987-08-15 Ricoh Co Ltd カラ−複写機
JP2604156B2 (ja) * 1987-05-28 1997-04-30 株式会社リコー ファクシミリ装置
EP0338828A3 (en) * 1988-04-20 1990-11-2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essure developing device
US5008709A (en) * 1988-06-07 1991-04-16 Ricoh Company, Ltd. Document recycling copier for copying documents of varying sizes
US5040078A (en) * 1988-07-15 1991-08-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splaying boundaries of an original image
JPH02183288A (ja) * 1989-01-09 1990-07-17 Sharp Corp 着色像の転写方法
US5331384A (en) * 1989-01-25 1994-07-19 Canon Kabushiki Kaisha Fixing apparatus having temperature controller which controls temperature according to width size and number of recording sheets
JPH02220876A (ja) * 1989-02-23 1990-09-04 Oki Electric Ind Co Ltd ページプリンタ
US4974024A (en) * 1989-07-03 1990-11-27 Xerox Corporation Predictive toner dispenser controller
JPH03147629A (ja) * 1989-11-01 1991-06-24 Ricoh Co Ltd 記録紙長検知装置
JPH03284776A (ja) * 1990-03-31 1991-12-16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482765A (ja) * 1990-07-26 1992-03-1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5103260A (en) * 1990-10-29 1992-04-07 Colorocs Corporation Toner density control for electrophotographic print engine
US5198853A (en) * 1990-11-16 1993-03-30 Konica Corporation Document size detection apparatus
US5202769A (en) * 1990-12-10 1993-04-13 Fuji Xerox Co., Ltd. Digital electrostatic printing apparatus using a counted number of pixels of various densities to determine and control an amount of toner used during image development
JPH04100133U (ko) * 1991-02-08 1992-08-28
JP2744708B2 (ja) * 1991-03-11 1998-04-2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553422A (ja) * 1991-08-29 1993-03-05 Minolta Camer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810813B2 (ja) * 1991-10-03 1998-10-15 富士通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
JP3030975B2 (ja) * 1991-10-04 2000-04-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質制御装置
JP3220256B2 (ja) * 1991-11-25 2001-10-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5315352A (en) * 1992-06-18 1994-05-24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an image on an image bearing member
US5418603A (en) * 1992-09-25 1995-05-23 Mita Industrial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evaluating image forming perform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86612B2 (ja) 1998-08-13
US5657133A (en) 1997-08-12
JPH08118758A (ja) 1996-05-14
KR960015107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40839B (zh) 图像形成设备
US5550614A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distinguishing between blank pages within a reproduction job
US4962421A (en) Color image generating apparatus
KR0141669B1 (ko) 화상 형성장치의 수동급지 모드에서 토너절감과 오염방지 방법 및 장치
US20060193649A1 (en) Image-forming device
US5950037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power conservation in accordance with ambient light
JP2006243346A (ja) 画像形成装置
EP06601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ckground control in an electrostatographic printing machine
KR100390673B1 (ko) 레이저빔프린터의인쇄농도조절방법
JPH06289682A (ja) 画像形成装置
KR0174666B1 (ko)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방법
JPH0375859B2 (ko)
JP3787369B2 (ja) 画像形成装置
US6151460A (en) Image recording device having a developing bias voltage output circuit
KR100412303B1 (ko) 페이지프린터에서비규격용지인쇄방법
KR0138226B1 (ko) 팩시밀리 장치의 원고급지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0233664B1 (ko) 전사전압 제어방법
JPS6152658A (ja) 画像形成装置
KR100255193B1 (ko) 프린터의 줌 기능 범위 및 단위 설정방법
KR0174613B1 (ko) 화상형성장치의 감지신호 처리회로
KR100265132B1 (ko) 레이저 빔 프린터를 이용한 고속프린팅시 기록용지의 고유저항에 따른 전사전압 제어방법
KR0132012Y1 (ko) 줌배율 복사시 자동 줌배율 조정장치
KR100238584B1 (ko) 화상기록장치의 인쇄속도 향상 방법
EP0226089A1 (en) Automatic image density control device
KR19980028466A (ko)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환경 검색장치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