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258B1 - 단말기의 내선번호 확인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내선번호 확인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258B1
KR0141258B1 KR1019950002437A KR19950002437A KR0141258B1 KR 0141258 B1 KR0141258 B1 KR 0141258B1 KR 1019950002437 A KR1019950002437 A KR 1019950002437A KR 19950002437 A KR19950002437 A KR 19950002437A KR 0141258 B1 KR0141258 B1 KR 0141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number
button
input mode
extens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2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001A (ko
Inventor
유윤경
Original Assignee
박성규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규,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성규
Priority to KR1019950002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1258B1/ko
Publication of KR960033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2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9Wire identification arrangements; Number assignment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45Management of the local loop pl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내선번호 확인방법은 교환시스템과 전용 단말기간의 연결 포트에 특정코드를 지정하고, 지정된 특정코드와 단말기의 내선번호를 연계시켜 저장함으로써, 접속된 전용 단말기의 내선번호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방법은, 전용 단말기를 통해 제어된 버튼내용을 분석하고;기능버튼이 제어된 경우 동작모드를 기능입력모드로 설정하고;숫자버튼이 제어된 경우 현재 설정된 동작모드를 분석하고;기능입력모드인 경우 전용 단말기로 부터 인가된 숫자버튼을 분석하여 내선번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인지 포트번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인지 체크하며;내선번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경우 포트번호 입력모드로 설정하고;포트번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경우 동작모드를 내선번호 입력모드로 설정하고;내선번호 입력모드인 경우 해당 내선번호를 서치하고, 대응되는 포트번호와 함께 디스플레이하고;포트번호 입력모드인 경우 해당 포트번호를 서치하고 대응되는 내선번호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수행된다.

Description

단말기의 내선번호 확인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교환시스템과 단말기간의 관계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내선번호 확인방법의 흐름도이고,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기능입력모드에 대한 처리과정의 서브루틴이고,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내선번호 입력모드에 대한 처리과정의 서브루틴이고,
제5도는 제2도에 도시된 포트번호 입력모드에 대한 처리과정의 서브루틴이다.
* 도면의 주요분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교환시스템110~130:제1~N 단말기
101,112:CPU102:스위칭부
103,113:메세지 및 음성 혼합/분리부104,116:메세지 송수신부
105,114:롬(ROM)106,115:램(RAM)
111:키입력부117:마이크
118:스피커119:액정표시부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 다수의 전용 단말기를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시스템에 접속되어 있는 전용 단말기의 내선번호를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환시스템은 접속되어 있는 다수의 전용 단말기 상호간에 음성신호 또는 메시지신호에 대한 전송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키시스템(Key System)이라고도 하며 전용 단말기로는 키폰(Key Phone) 또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일반전화기와 같은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환시스템에 접속되어 있는 각각의 단말기들은 고유의 내선번호를 갖게 되는데 이러한 내선번호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접속을 원하는 단말기의 내선번호가 변경되었거나 내선번호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일일이 내선번호를 입력하여 확인하여야 하므로 수리시 고장난 내선과 교환시스템간의 연계관계를 알기가 어려울 뿐아니라 안다하더라도 일괄적으로 파악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시스템과 전용 단말기간의 연결포트에 특정코드를 지정하고, 지정된 특정코드와 단말기의 내선번호를 연계시켜 교환시스템에 저장함으로써, 접속된 전용 단말기의 내선번호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단말기의 내선번호 확인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전용 단말기와 접속된 교환시스템을 통하여 전용 단말기의 내선번호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전용단말기중 하나의 전용단말기의 버튼이 제어되면, 교환시스템은 제어된 버튼내용을 분석하는 제1분석과정;제1분석과정을 통하여 기능버튼이 제어된 경우에는 전용 단말기와 교환시스템의 동작모드를 기능입력모드로 설정하는 과정;제1분석과정을 통해 숫자버튼이 제어된 경우에는 현재 설정된 동작모드를 분석하는 제2분석과정;제2분석과정을 통하여 현재 설정된 동작모드가 기능입력모드인 경우에는 전용 단말기로 부터 인가된 숫자 버튼을 분석하여 인가된 숫자버튼의 내용이 내선번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인지 포트번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인지를 체크하는 과정;체크과정을 통하여 내선번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경우에는, 전용 단말기와 교환시스템의 동작모드를 포트번호 입력모드로 설정하는 과정;체크과정을 통하여 포트번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경우에는, 전용 단말기와 교환시스템의 동작모드를 내선번호 입력모드로 설정하는 과정;제2분석과정을 통하여 현재 설정된 동작모드가 내선번호 입력모드인 경우에는 전용 단말기로 부터 인가된 숫자버튼을 분석하고, 내선번호가 인가되었으면 해당 내선번호를 서치하고, 대응되는 포트번호와 내선번호를 전용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는 제1디스틀레이과정;제2분석과정을 통하여 현재 설정된 동작모드가 포트번호 입력모드인 경우에는 전용 단말기로 부터 인가된 숫자버튼을 분석하고, 포트번호가 인가되었으면 인가된 포트번호를 서치하고 대응되는 내선번호와 해당되는 포트번호를 전용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제2디스플레이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교환시스템과 전용 단말기간의 관계도를 나타낸 것으로, 교환시스템(100)은 교환시스템의 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CPU(Central Processing Unit, 101), CPU의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롬(ROM, 105), CPU(101)에 의해 제어되어 본 발명에 따른 내선번호와 같은 데이타를 저장하고 있는 램(RAM, 106), 접속된 단말기(110, 120, 130)와의 메세지 송수신처리를 하기 위한 메세지 송수신부(104), 단말기(110, 120,130)와 음성신호에 대한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스위칭되는 스위칭부(102), 단말기(110, 120, 130)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대해서는 음성신호와 메세지를 분리처리하고 교환시스템(100)으로 부터 단말기(110, 120, 130)로 전송되는 음성신호와 메세지 신호는 혼합하기 위한 메세지 및 음성 혼합/분리부(103)을 포함하고, 단말기(110, 120, 130)는 교환시스템(100)에 포함되어 있는 CPU(112), 롬(114), 램(115), 메세지 송수신부(116), 메세지 및 음성 혼합/분리부(113) 및 운용자의 제어명령을 인가하기 위한 키입력부(111), 운용자의 음성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마이크(117), 교환시스템(100)으로 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18), 교환시스템(100)으로 부터 전송되는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액정표시부(119)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단말기(110, 120, 130)는 교환시스템(100)의 규격에 의하여 다수개 구비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N개의 전용 단말기가 접속된 경우를 예로 든 것이다. 그리고 교환시스템(100)의 램(106)에는 접속된 단말기(110, 120, 130)의 내선번호와 포트번호가 서로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내선번호 학인방법에 대한 흐름도로서, 제1도에 도시된 교환시스템(100)과 전용 단말기(110, 120, 130)간의 관계도와 결부시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200단계에서 N개의 전용 단말기중 해당되는 소정의 단말기(여기서는 제1단말기(110))의 키입력부(111)를 통해 운용자가 소정의 버튼을 제어하면, CPU(112)는 키입력부(111)를 통해 인가된 대이타를 메세지 및 음성 혼합/분리부(113)를 통해 교환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교환시스템(100)은 메세지 및 음성 혼합/분리부(103)를 통해 인가된 테이타를 메세지 송수신부(104)를 통해 CPU(101)로 전송한다. CPU(101)는 제어된 버튼내용을 분석하고, 분석결과[기능]버튼이 제어된 것이면, 제201단계로 진행되어 교환시스템(100)은 물론 해당되는 전용 단말기(110)를 기능입력모드로 설정하고 제200단계로 귀환한다.
그리고 다시 해당하는 전용 단말기(110)의 키입력부(111)를 통해 버튼이 제어될 때, 상술한 과정을 통해 전송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CPU(101)가 제어된버튼이 숫자버튼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202단계로 진행되어 현재 교환시스템(100)과 전용 단말기(110)에 설정되어 있는 동작모드가 어떤 모드인지를 분석한다. 분석결과, 기능입력모드인 경우에는 제203단계로 진행되어 기능입력모드에 따른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처리과정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된다.
즉,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기능입력모드에 대한 처리과정의 서브루틴으로서, 우선 제202단계에서 분석한 결과, 기능입력모드인 경우에는 제301단계로 진행되어 해당 전용 단말기(110)으로 부터 인가된 키데이타를 램(106)에 저장하고 제302단계로 진행한다. 제302단계에서는 인가된 키카운트값을 증가시킨다. 이는 현재 인가된 키테이타의 수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303단계로 진행되어 해당 전용 단말기(110)의 액정 표시부(119)를 통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반항 메시지를 전송한 다음 제304단계로 진행되어 다시 인가된 키데이타를 분석한다. 분석결과, 해당 전용 단말기로부터 내선보호 디스플레이 프로그램에 대한 구동이 요구된 경우에는 제305단계에서 제306단계로 진행되어 포트번호(또는 포트테이타)입력모드로 설정한 다음, 제307단계로 진행되어 액정표시부(119)상에 PORT:메세지를 디스글레이하도록 교환시스템(100)내의 메시지 송수신부(104)와 메시지및 음성 혼합 믹싱부(10)와 전용 단말기(110)측의 메시지 및 음성 혼합/믹싱부(113), 메시지 송수신부(116) 및 CPU(112)룰 거쳐 액정 표시부(119)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308단계로 진행되어 키 카운트값을 클리어한 다음 제211단계로 진행되어 리턴된다.
한편, 제304단계에서 분석한 결과, 인가된 키데이타가 포트번호 디스플레이 프로그램이 구동되기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제305에서 제309, 310단계로 진행되어 내선번호 입력모드로 설정하고, 제311단계로 진행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처리되어 액정표시부(119)를 통해'SET NO:메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음, 제308단계로 진행되어 키 카운트값을 클리어한 뒤, 제211단계로 진행되어 리턴된다. 그리고 제304단계에서 분석된 키데이타가 상술한 바와 같이 내선번호 디스플레이 프로그램 또는 포트번호 디스플레이 프로그램이 구동되기늘 요구하는 경우가 아니면 제312단계로 진행되어 해당 기능을 수행한 뒤, 제308단계로 진행되어 키 카운트값을 클리어한 다음 제211단계로 진행되어 리턴한다.
그러나 제202단계에서 분석한 결과, 내선보호 입력모드인 경우에는 제204단계로 진행되어, 내선번호 입력모드에 대한 과정을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한다.
즉,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내선번호 입력모드에 대한 처리과정의 서브루틴으로서, 제202단계의 분석결과가 내선번호 입력모드인 경우에는 제401내지 제404단계를 통해 상술한 제301내지 제304단계에서와 같이 키데이타를 처리하고 분석한다.
분석결과, 내선번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405단계를 거쳐 제406단계로 진행되어 램(106)에 저장되어 있는 내선번호를 서치하고, 서치되면 제407단계로 진행되어 서치된 내선번호와 함께 저장되어 있는 대응되는 포트번호를 액정표시부(119)상에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CPU(101)는 상술한 바와 같은 신호처리를 하고, 전용 단말기(110)의 램(115)에 디스플레이되었던 내선번호를 저장하여 후술할 NEXT 기능 수행시 이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408단계로 진행되어 키카운트값을 클리어하고, 제409단계로 진행되어 복귀(EXIT)기능 또는 다음순번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NEXT) 기능 수행을 위한 입력모드로 변환되도록 설정한 다음 제211단계로 진행되어 리턴된다.
제404단계의 분석결과, 입력된 데이터가 내선번호가 아닌 경우에는 제410단계로 진행되어 에러메세지가 액정표시부(119)상에 디스클레이되도록 하고 제411단계로 진행되어 일정시간동안 에러메시지 디스플레이상태를 유지한 뒤, 제3도의 제311단계로 진행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SET NO:메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로써 해당 운용자가 다시 내선번호를 압력시키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제202단계의 분석결과, 포트번호 입력모드인 경우에는, 제205단계로 진행되어 포트번호 입력모드에 대한 과정을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한다.
제5도는 포트번호 입력모드에 대한 서브루틴으로서, 제202단계의 분석결과, 현재 동작모드가 포트번호 입력모드인 경우에는 제501내지 제503단계를 통해 상술한 301내지 제303단계와 제401내지 제403단계에서와 같이 처리한 다음 포트번호에 대당하는 2자리 데이터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504단계를 거쳐 제505단계로 진행되어 코트번호를 CPU(101)가 인식할 있도록 변환(Conversion)한다. 여기서 두자리 입력데이타에 대한 판단은 현재 2자리데이타를 이용한 포트번호의 경우를 예로 들었기 때문이다.
번호 변환이 이루어지면, 제506단계로 진행되어 포트번호인가를 다시 판단한 뒤, 포트번호인 경우에는 제507단계로 진행되어 램(106)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포트번호를 서치하고, 제508단계로 진행되어 포트번호와 포트번호와 함께 저장되어 있는 대응되는 내선번호가 액정표시부(119)상에 디스플레이하고, 포트번호는 다시 램(115)에 저장하여 후술할 NEXT기능 제어시 다음 포트번호 지정을 위하여 이용된다. 포트번호 저장이 완료되면, 제509단계로 진행되어 키 카운트값을 클리어한 뒤, 제510단계로 진행되어 상술한 제409단계에서와 같은 과정을 수행한 다음 제211단계로 진행되어 리턴된다.
그러나 제506단계에서 포트번호가 아닌 경우에는 여러메세지를 제4도의 제410, 411단계에서와 같이 일정시간 디스플레이하고, 제3도의 제307단계로 진행되어PORT: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해당 운용자로 하여금 다시 포트번호를 재입력하도록 한다. 그러나 제504단계에서 판단한 결가, 2자리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510단계로 진행되어 상술한 바아 같이 수행된다.
그러나 제202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모드가 기능입력모드, 내선번호 입력모드인 경우에는 제206단계로 진행되어 해당되는 기능을 수행한 뒤, 제211단계로 진행되어 해당되는 기능을 수행한 뒤, 제211단계로 진행되어 리턴된다.
제200단계에서 분석된 결과, 제어된 버튼이 복귀기능(EXIT로 여기서는 S1버튼을 EXIT버튼으로 예로 들고 있다.)을 제어하기 위한 S1버튼인 경우에는 제207단계로 진행되어 복귀기능(EXIT)을 수행하고, 제208단계로 진행되어 정상모드로 변환한 뒤 제211단계로 진행되어 리턴된다.
제200단계에서 분석된 결과, 제어된 버튼이 다음 순번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기능(NEXT로 여기서는 S2버튼을 NEXT버튼으로 예를 들고 있다.)을 제어하기 위한 S2버튼인 경우에는 제209단계로 진행되어 램(115)에 저장되어 있던 내선번호 또는 포트번호 데이타를 이용하여 다음 순번에 해당되는 내선번호 또는 포트번호 데이타에 대하여 동일한 과정을 통하여 디스클레이되도록 처리된다. 이때 램(115)에 저장된 데이타가 최종 순번에 해당된 경우에 CPU(112)는 다음에 자동 서치될 순번이 최초순번에 해당되는 데이타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과정을 종료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NEXT 기능이 수행되면, 제211단계로 진행되어 리턴된다.
그러나 제200단계에서 분석된 제어버튼이 상술한 경우가 모두 아닌 경우에는 제210단계로 진행되어 해당되는 기능을 수행한 뒤 제211단계로 진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접속된 단말기와 교환시스템간의 포트에 특정코드를 설정하고, 설정딘 특정코드와 단말기의 해당 내선번호를 연계시켜 저장함으로써, 단말기의 내선번호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뿐아니라 접속된 단말기의 내선번호를 일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Claims (4)

  1. 적어도 2개 이상의 전용 단말기와 접속된 교환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전용 단말기의 내선번호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용 단말기중 하나의 전용 단말기의 버튼이 제어되면, 상기 교환시스템은 제어된 버튼내용을 분석하는 제1분석과정; 상기 제1분석과정을 통하여 기능버튼이 제어된 경우에는 상기 전용 단말기와 교환시스템의 동작모드를 기능입력모드로 설정하는 과정; 상기 제1분석과정을 통해 숫자버튼이 제어된 경우에는 현재 설정된 동작모드를 분석하는 제2분석과정; 상기 제2분석과정을 통하여 현재 설정된 동작모드가 기능입력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전용 단말기로 부터 인가된 숫자버튼을 분석하여 인가된 숫자버튼의 내용이 내선번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인지 포트번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인지를 체크하는 과정; 상기 체크과정을 통하여 내선번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경우에는, 상기 전용 단말기와 교환시스템의 동작모드를 포트번호 입력모드로 설정하는 과정; 상기 체크과정을 통하여 포트번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경우에는, 상기 전용 단말기와 교환시스템의 동작모드를 내선번호 입력모드로 설정하는 과정; 상기 제2분석과정을 통하여 현재 설정된 동작모드가 내선번호 입력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전용 단말기로 부터 인가된 숫자버튼을 분석하고, 내선번호가 인가되었으면 해당되는 내선번호를 서치하고, 서치된 내선번호와 대응되는 포트번호를 상기 전용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제1디스플레이과정; 상기 제2분석과정을 통하여 현재 설정된 동작모드가 포트번호 입력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전용 단말기로 부터 인가된 숫자버튼을 분석하고, 프트번호가 인가되었으면 해당되는 포트번호를 서치하고, 서치된 포트번호와 대응되는 내선번호를 상기 전용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제2디스플레이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내선번호 확인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선번호 확인방법은, 상기 제1디스플레이과정과 제2디스플레이과정 수행 후, 복귀(EXI)기능과 다음 순번에 해당되는 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하는(NEXT)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입력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내선번호 확인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과정은 분석된 상기 숫자버튼이 내선번호가 아닌 경우에는 에러메세지를 소정시간 동안 디스플레이한 뒤, 다시 내선번호 입력모드 설정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내선번호 확인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과정은 분석된 상기 숫자버튼이 포트번호가 아닌 경우에는 에러메세지를 소정시간동안 디스플레이한 뒤, 다시 포트번호 입력모드 설정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내선번호 확인방법.
KR1019950002437A 1995-02-10 1995-02-10 단말기의 내선번호 확인방법 KR0141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2437A KR0141258B1 (ko) 1995-02-10 1995-02-10 단말기의 내선번호 확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2437A KR0141258B1 (ko) 1995-02-10 1995-02-10 단말기의 내선번호 확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001A KR960033001A (ko) 1996-09-17
KR0141258B1 true KR0141258B1 (ko) 1998-07-01

Family

ID=19407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2437A KR0141258B1 (ko) 1995-02-10 1995-02-10 단말기의 내선번호 확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12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001A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05015B2 (ja) Catv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装置
EP1457849B1 (en) Display and edit device, display method and program product
US6313827B1 (en) Computer data re-presentation apparatus and method
KR0141258B1 (ko) 단말기의 내선번호 확인방법
JPH10320488A (ja) データエントリ方法及び装置
KR0141248B1 (ko) 단말기의 호대기 서비스 등록 및 해제방법
KR0141250B1 (ko) 단말기의 기능 복사방법
KR960002157B1 (ko) 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엠엠씨 표시방법
JPH0519841A (ja) 教示操作盤接続装置
JP2770832B2 (ja) 運転履歴管理装置
JP2710449B2 (ja) ボイスディジタイザの試験方式
KR19980021326A (ko) 동시에 2축(x, y)을 제어하는 cnc 제어장치 및 방법
JPH0477944A (ja) 自動送信方式
JPS6160055A (ja) 音声認識応答装置
JPH0694572A (ja) 多芯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用芯線識別装置
KR100222739B1 (ko) 사설 교환기에서의 사용자 그룹별 운용 방법
KR20000015017A (ko) 키보드에서의 특수기능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H07186464A (ja) ネットワーク機能付きプリンタ装置
JPH05244230A (ja) データ伝送試験装置
JPH02259908A (ja) 通信ポートチェック機能を有する数値制御装置
KR100372914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지능망 응용 프로토콜 모니터링 시스템및 그 구현 방법
JPH1139239A (ja) 認識装置
JPH0575741A (ja) Isdn端末
JPH0343851A (ja) 電話機によるユーザレポート出力制御方式
JPH0340656A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