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252B1 -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 Google Patents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252B1
KR0141252B1 KR1019890016199A KR890016199A KR0141252B1 KR 0141252 B1 KR0141252 B1 KR 0141252B1 KR 1019890016199 A KR1019890016199 A KR 1019890016199A KR 890016199 A KR890016199 A KR 890016199A KR 0141252 B1 KR0141252 B1 KR 0141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indicator
case
operation cov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6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709A (ko
Inventor
하사나오 고지마
Original Assignee
후지다 데이조오
이즈미 덴끼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97508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475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908067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9534Y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다 데이조오, 이즈미 덴끼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다 데이조오
Publication of KR910003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제1도 및 제2도는 각각 종래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의 예를 표시하는 개략종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의 종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I - I 선 종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케이스의 저부내를 표시한 표시도.
제6도 A, 제6도 B 및 제6도 C는 제3도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를 조작패널에 착설하는 순서도.
제7도는 제3도에 표시한 제1실시예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의 고정 프린트기 초판대신에 유연선프린트 기초판을 사용한 변경예를 부분적으로 표시한 단면도.
제8도는 제3도와 같은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에 유연성프린트 기초판을 사용하여 그 일부를 케이스의 후면으로부터 밖으로 꺼낸 또다른 변경예를 부분적으로 표시한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를 표시한 종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II - II 선 단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의 케이스 저부내 표시도.
제12도 A 제12도 B 및 제12도 C 는 제9도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를 조작 패널에 착설하는 순서도.
제13도는 제9도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의 고정프린트 기초판대신에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을 사용한 변경예를 부분적으로 표시한 단면도.
제14도는 제9도와 같은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의 고정 프린트 기초판대신에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을 사용하여 그 일부를 케이스의 후면으로부터 밖으로 꺼낸 또다른 변경예를 부분적으로 표시한 단면도.
제15도는 조작패널에 종래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를 여러개 병설하는 동시에 그것들에 대응하는 점자각인 테이프를 붙인 구성을 가진 종래기술을 표시한 정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를 표시한 종 단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의 정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를 표시한 종 단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의 선행예를 표시하는 종 단면도.
제20도는 제19도의 표시기 부분의 확대단면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를 표시하는 종 단면도.
제22도는 제21도의 표시기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23도는 제21도의 케이스의 저부내를 표시한 표시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제6시리예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를 표시한 종 단면도.
제25도는 제24도중의 R 부의 확대단면도.
제26도는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의 종래기술을 표시하는 개략정면도.
제27도는 조광압버튼 스위치의 종래기술을 표시하는 개략 정면도.
제28도는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예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를 표시하는 종 단면도.
제29도는 제 28도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의 정면도.
제30도는 제28도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의 케이스의 저부내를 표시한 표시도.
제31도는 본 발명의 제8의 실시예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를 표시하는 종 단면도.
제32도는 제31도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의 정면도.
제33도는 제31도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의 케이스의 저부내를 표시한 표시도.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스위치4:호울더
6:호울더 커버8:케이스
10,30:프린트기초판16:스위치
18:작동기20:조작커버
22,24:가동편26,32:반전스프링
본 발명은 표시기와 스위치를 일체화 한 구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예컨대 자동권 매기, 자동판매기등의 조작패널에 착설하여 사용하는데 적합한 스위치기능과 표시기능을 겸비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류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의 종래기술로서는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것이있다.
제1도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2)는 고정프린트 기초판(10) (이 명세서에서는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과는 대조적으로 딱닥한 프린트기초판을 말한다) 의 전방측 (도면의 상방측)에 LED 표시기들의 표시기(12)를 그후 방측에 조작기구용 간격을 두고 스위치(16)를 각각 착설한 것을 다 같이 절연물로된 호울더(4) 및 커버(6)로된 케이스(8)내에 프린트기초판(10)의 일부를 외부접속용으로 후방으로 꺼내서 수납한 것이다.
또, 케이스(8)의 전면부내에는 투광성의 조작커버(20) 가 끼워져 있고 그것을 밀거나 떼어 놓으므로서 2개의 가동편(22),(24) 및 양자간을 연결하는 반전스프링(26)으로 된 조작기구의 작용으로 스위치(16)의 작동기(18)를 밀거나 떼어놓거나 하여 스위치(16)를 조작할 수가 있다.
그때의 스위치(16)의 조작에 대응하는 외부로부터 표시기(12)에 대한 전기신호는 외부에 꺼내어져 있는 프린트 기초판(10)을 경유하여서 전해진다.
제2도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28)는 위에서 설명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2)와의 상이점을 주로 설명하면 고정 프린트 기초판(10) 대신에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30)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것을 케이스(8)의내부에서 전후이단으로 절곡하여 그것들에 표시기(12) 및 스위치(16)의 단자(14)(17)를 부착하는 동시에 일부를 후방으로 인출하였다.
또 스위치(16)의 조작기구를 구성하는 것으로 그 전방에 좌우 2개의 코일스프링(34)으로 가동편(32)을 지지하고 그것을 조작커버(20)로 밀거나 떼어놓으므로서 스위치(16)의 작동기(18)를 조작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어느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2),(28)에 있어서도 표시기(12)와 스위치(16) 사이에단자(14)나 조작기구의 간격이 또한 스위치(16) 의 후방에도 단자(17),의 간격이 필요하다는 이유 때문에 안길이 L1,L2가 다같이 크다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여기에 더하여 제1도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2)에서는 고정프린트 기초판(10)을 한 장으로 해서 생산가를 저렴하게 하는 관계상 도시한 바와같이 표시기(12)의 단자(14)의 배열을 일렬로 하여 90도로 절곡할 필요가 있고, 그로 인하여 단자(14)의수가 많은 경우 (예컨데 내자리의 숫자표시기는 열두개가 필요하게 된다) 단자(14)의 피치가 필연적으로 작게되며 부착시킬때에 단자사이가 납땜에 의하여 단락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할 필요가 있는 등 조립의 작업성이 나쁘게 되어불리하다.
일방 제2도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28)에서는 유연성 프린트기초판(30)을 사용하여 그것을 옆으로 절곡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기(12)의 단자(14)의 배열은 이열로 되고 상기한 것과 같은 작업성악화의 문제는 없는 반면, 유연성프린트 기초판(30)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프린트 기초판(10)의 경우에 비하여 생산가가 높게 된다는 불리점이 있었다.
또 이같은 종류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는 기본적으로는 케이스내에 표시기 및 스위치를 수납하여 표시기의 전면측에 마련한 투광성의 조작커버를 압압조작하므로서 내부의 스위치를 조작하는 구조가 되고 있다.
그리고 이 표시기에는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전기신호의 내용을 표시할 수가 있다.
그런데 근년 자동권매기들에 있어서는 시각장해자와 시각건전자에 의한 공동 이용을 도모하는 경향이 있다.
종래 이와같은 공동이용 때문에 예컨에 제15도 표시와 같이 자동권매기들의 조작패널(지면이 그것에 상당한다) 에 상술한 바와같은 푸시기를 부착한 스위치(2)를 여러개 병설하는 동시에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2)의 상부의 근방에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2)의 표시내용을 표시하는 점자의 각인 테이프(4)를 정착하는 것으로 대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것으로는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2)와 그것에 대응하는 점자각인 테이프(4)가별개의 부품이기 때문에 더욱이 다수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2)를 몇단으로 병설하는 경우에는 상하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상호간의 거리가 단축하기 때문에 특히 점자각인 테이프(4)와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2)와의 대응을 잘못하여 (특히 상하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2)를 잘못해서) 조작하게 되는 일이 많다는 불이익이 있었다.
또 점자각인 테이프(4)의 간격을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더욱이 잘못한 조작을 적게 하자면 상하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2)들간의 거리를 일층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큰 간격이 필요하게 되고, 그 때문에 조작 스프링이 대형화되는 불이익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동권매기들에 있어서는 예컨대 제26도의 표시와 같이 투광성의 조작커버(3)의 배후에 요금을 전기적으로 표시하는 숫자표시기(4)를 마련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2)또는 예컨데 제27도 표시와 같은 투명성의 조작커버(7)의 배후에 요금과 동시에 행선을 표시 (예컨데 조각)한 기명표시판(8)을 마련한 조광압 버튼스위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제26도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2)에서는 우선 행선과 요금을 별도의 안내표시판으로 확인한후에 그 요금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찾아서 누르지 않으면 안되고, 그 때문에 스위치의 선택에 시간이 걸려 불편하다는 불이익이 있었다.
한편 제27도의 조광압 버튼 스위치(6)와 같이 요금과 행선을 병구한 것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는 적지만 요금 개정시에는 기명표시판(8)을 일일이 교환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 작업에 다대한 시간이 걸려서 불리 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의한 상술한 불이익을 해결하는 것을 지향한 것으로 안 길이를 작게 할 수가 있고 또한 고정프린트 기초판을 사용하는 경우도 한 장으로 표시기의 복수열의 단자배열을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1의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조작커버의 전면측의 일부에 점자기호를 마련하였으므로 점자기호의 내용을 확인한 손으로 그대로 조작커버를 압압조작하면 좋고 따라서 시각장해자가 점자기호와 스위치와의 대응을 잘못조작하는 우려가 없어지고 또 점자기호가 표시기의 전방을 피해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시각장해자와 시각건전자의 공용이 가능하게 된다.
신규하고 유용성이 있는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2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필요로 하는 부품수가 적게 되기 때문에 작업공정수가 적어서 제작이 용이하고 더욱이 전체의 안길이 크기가 작아서 조작패널의 착설이 편리하며 공간이용율 (space factor) 이 높은 이와같은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를 제공함을 제3의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스위치의 선택이 용이하며 또한 요금개정에도 용이하게 대응할수 있는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를 제공함을 제4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제4의 목적을 지향하여 시그먼트식 표시기를 사용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와 같이 그 표시내용 (행선, 상품명)이 고정적이면서 교환에 시간이 걸리는 표시판의 사용을 피하고 동일스위치의 절환조작에 의하여 표시내용을 자재로 그리고 광범위하게 변경할 수가 있고, 다목적으로 이용가능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를 제공함을 제5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를 절연물로 된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내부에 그 전면에 거이 평행으로 배치되어 일부가 케이스의 밖으로 나온 프린트 기판과 케이스내의 프린트 기초판의 전면측에 착설된 표시기와 위의 프린트 기초판의 후면측에 착설된 스위치와 케이스의 전면부내에 압압방향으로 동작 가능하게 끼워진 투광성의 조작커버와 이 조작커버의 압압조장에 용하여 그 압압력을 반전시켜서 전술한 스위치를 조작하는 조작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경우 조작커버는 전후방향으로 직동 가능으로 하여도 좋고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으로 하여도 좋다.
또, 케이스의 저부내에 절곡된 지릿대와 같은 가동편을 수납하여 그 지점을 케이스에서 정하고, 이 가동편의 일단부를 커버에서 연장한 발로 밀으므로서 그 타단부로 스위치의 후방측기구를 구성하여도 좋다.
또, 케이스를 호울더와 커버로 구성하고 이 호울더의 저부내에 조작기구를 구성하는 보강 판스프링을 끼워 넣고 나아가서 그 위로부터 가동편을 끼워 넣어도 좋다.
또, 전술한 프린트 기초판은 고정프린트 기초판이라고 좋고 유열성 기초판이라도 좋으며 그 일부를 케이스의 측면으로부터 밖으로 꺼내는 경우는 케이스의 후방각부를 제거하는 것으로 하고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으로 하여 그 일부를 케이스의 후면으로부터 밖으로 나오게 하는 경우는 케이스의 후방각부를 제거하는 여부는 임의이다.
상기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에 있어서는 케이스내에 프린트 기초판을 케이스의 전면과 거의 평행으로 배치하여 그 전후면에 표시기 및 스위치를 착설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스내의전후방향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종래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에 비하여 안길이를 작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이와같은 이유로 프린트 기초판에 고정프린트 기초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표시기의 단자배열을 일렬로 하여 90도 절곡하는 것과 같은 필요는 없고, 한 장의 프린트 기초판으로 복수열의 단자배열이 이용가능케 된다.
또, 상기의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는 조작커버의 전면측의 일부이고 표시기의 전방을 피한곳에 점자기호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경우 조작커버를 그 점자기호의 후방부에 있는 지축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케 하여도 좋다.
또 점자기호를 각인한 점자각인부재를 조작커버에 착탈 가능케 착설하여도 좋다.
또 조작커버를 케이스의 전면부내에 착탈가능케 끼워도 좋다.
상기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에 의하면 그 조작커버의 전면측의 일부에 점자기호를 마련하였으므로 즉 점자기호와 조작커버가 일체어어서 시각장해자는 점자기호의 내용을 확인한 손으로 그대로 조작커버를 압압 조작하는 것으로 당해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를 조작할 수가 있다.
또 점자기호는 표시기의 전방을 피하고 있기 때문에 시각 건전자에 의한 표시기의 표시내용의 시인도 하등의 지장없이 할 수가 있다.
상기의 제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는 그 한가지 태양에 있어서는 절연물로 된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전면부내에 압압방향으로 동작 가능케 끼워진 투광성의 조작커버와 이 조작커버의 전면부에 연하도록 케이스내에 배치되고 또한 일부가 케이스 밖으로 인출된 프린트 기판과 이 프린트 기초판의 케이스내의 전면측에 직접 장치된 여러개의 LEP 칩을 가진 표시기와 전술한 프린트 기초판의 케이스 내의 후면측에 착설된 스위치와 전술한 조작커버의 압압조작에 응해서 그 압압력을 반전시켜서 이 스위치를 조작하는 조작기구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진 것으로 인하여 이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에 있어서는 표시기를 구성하는 여러개의 LEP 칩이 케이스내의 프린트기판의 전면측에 직접 장치되어 있기 때문에 앞에서의 예와 같은 표시기와 프린트기판을 접속하는 여러개의 핀단자가 필요없게 되고 또한 이에 수반하여 접속개소도 감하여진다.
또 표시기고유의 프린트 기초판도 필요없게 된다.
또 마찬가지로 상기한 제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는 다른 태양에 있어서는 절연물로 된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전면부내에 압압방향으로 동작가능케 끼워진 투광성의 조작커버와 이 조작커버의 전면부에 연하도록 케이스내에 배치되고 또한 일부가 케이스밖으로 인출된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과, 여러개의 LEP 칩을 장치한 프린트 기초판을 가진 표시기 이어서 전술한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의 케이스내의 전면측에 그 프린트 기초판이 직접 납땜되어 있는 것과 이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의 케이스내의 후면측에 착설된 스위치와 전술한 조작커버의 압압조작에 응해서 그 압압력을 반전시켜서 이 스위치를 조작하는 조작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진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에 있어서도 여려개의 LEP 칩을 장치한 표시기용의 프린트 기초판의 케이스내의유연성 프린트 기초판의 전면측에 직접 납땜되어 있기 때문에 앞에서의 예와 같은 표시기와 프린트 기초판을 접속하는 여러개의 핀단자가 필요 없게되고 또한 이에 수반하여 접속개소도 감해진다는 이점을 얻을수 있다.
상기의 제4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전면부내에 압압방향으로 동작가능케 끼워진 투광성의 조작커버와 전술한 케이스내이고 이 조작커버의 배후에 수납된 점매트릭스식 표시기 및 시스먼트식 표시기와 전술한 케이스내에 수납된 스위치와 전순한 조작커버의 압압조작에 응해서 이 스위치를 조작하는 조작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경우 전술한 점매트릭스식 표시기를 전술한 조작커버의 후면부에 착설하고 또한 이점 매트릭스식 표시기에 일부가 전술한 케이스밖으로 인출된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을 접속하고 그것에 의하여 당해 점매트릭스식 표시기가 전술한 조작커버와 더불어 움직이도록 하여도 좋다.
또 전술한 점매트릭스식 표시기를 전계발광표시기 ( EL 디스플레이 )로 하여도 좋다.
상기의특징을 가진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에 의하면 그 점매트릭스식 표시기에 행선이나 상품명들을 표시지키고 또한 그것에 대응하는 요금을 시그먼트식 표시기에표시시키도록 하여서 행선과 그 요금을 공히 표시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스위치의 선택이 용이하게 된다.
또 양 표시기는 공히 전기적으로 표시내용이 가변이기 때문에 요금개정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가 있을뿐만 아니라 행선이나 상품명의 변경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양 표시기의 표시내용을 절환하는 것으로 동일의 스위치를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관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를 표시하는 종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3도의 I - I 선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제5도는 제3도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의 케이스의 저부내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이 실시예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40)는 전면측 (제3도의 좌측)이 개구된 절연재료로 된 상자상의 호울더(44)와 그것에 그 개구면측으로부터 씌워끼우는 절연재료로 된 각 통상의 커버(46)를 케이스(48)를 구성하고 있으며, 그 내부에 고정프린트 기초판(50)을 케이스(48)의 전면에 거의 평행으로 배치하여 그 일부를 케이스(48)의 일측면으로부터 밖으로 (옆으로) 거내서 외부접속용이 되게 하였다.
그리고, 케이스(48) 내의 프린트 기초판(50)의 전면측 (제3도의 좌측)에 예컨데 LED 표시기와 같은 표시기(52)를 착설하고 있고, 프린트 기초판(50)의 후면측에 표시기(52)와 등을 맞되게 예컨데 택트스위치와 같은 스위치(56)를 착설하여 그 작동기(562)를 후방측에 나오게 하고 있다.
도면중의 (521),(561)은 각각 표시기 (52) 및 스위치(56)의 단자이고, 프린트 기초판(50)의 양면에 예컨데 납땜되어 있다.
또한 제3도에 있어서 표시기(52) 및 뒤에 설명할 조작커버(60)가 상향으로 기울어지고 있는 것은 동 도면에 있어서 상측이 당해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40)의 통상사용시의 상방이 되고 표시기(52)의 표시를 경사 상방으로부터 보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지만 꼭 그와 같이 기울게 하지 않아도 된다 (예컨데 뒤에 설명할 제7도의 예를 참조).
그리고 케이스(48)의 전면부내에는 이 실시예에서는 화살표 (A)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직동 (슬라이드) 가능케 투광성의 조작커버(60)가 끼워져 있다.
이 조작커버(60)는 투명이거나 반투명이라고 좋고 또 착색하여도 좋다.
또한 이에에서는 호울더(44)내의 저면에 두 개의 지지부(441)를 나란히 돌설하고, 그위에 두장의 측면에서 보면 지릿대상 가동편(64a)(64b)을 각각 재치시켜서 지지부(441)를 각각 지점으로 하고, 각 가동편(64a)(64b)을 각각 재치시켜서 지지부(441)를 각각 지점으로 하고, 각 가동편(64a)(64b)의 장변측의 단부(641)를 역점으로 하여서 전술한 조작커버(60)에서 연장한 두 개의 다리(601)로 각각 화살표(B)와 같이 밀거나 떨어지도록 하고 그것에 응해서 각 가동편(64a)(64b)의 단변측의 단부(642)를 작용점으로 하여 전술한 스위치(56)의작동기(562)를 각각 화살표(C)와 같이밀거나떨어지도록 하여서 스위치(56)의 조작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즉 이 조작기구에서는 가동편(64a)(64b)에 의해서 조작커버(60)의 압압조작에 응해서 그 압압력을 압압방향에 역방향으로 반전시켜서 스위치(56)의 작동기 (562)를 조작하도록 하고 있다.
스위치(56)의 조작기구를 이와같이 구성하면 종래의 조작기구에 비해서 구조가 간단하게 되므로 부품점수가 적게 되는 동시에 뒤에 설명할 안길이 (L3)를 작게 하는데도 기여한다.
또한 두장의 가동편(64a)(64b)을 마련한 것은 조작커버(60)가 경사지게 눌려지는 경우에도 스위치(56)의 작동기(562)를 보다 확실히 조작될수 있게한 것이지만 어느한쪽만으로 하여도 좋다.
또 이예와 같이 가동편(64a)(64b)의 배면측에 보강핀 스프링(66)을 마련하면 그것으로 인하여 가동편(64a)(64b)이나 조작커버(60)의 복귀력을 증가할수가 있어서 호적하지만 필수의 것은 아니다.
도면중의 (661)은 당해보강판스프링(66)의 양측으로부터 나온 자리빠짐방지용의 계지편이다.
상기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40)에 있어서는 케이스(48)내에 프린트 기초판(50)을 케이스(48)의 전면에 거의 평행으로 배치하여 그 일부를 케이스(48)밖에 내놓고, 그리고 프린트 기초판(50)의전후면에 표시기(52) 및 스위치(56)를 등이 맞닿도록 하여 케이스내에 착설하였으므로 예컨데 양자의 단자(521),(561)의 길이분이 안길이 치수에 영향을 주지 않게 케이스(48)내의전후방향의 공간을 유효하게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있고, 따라서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되는 종래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2),(28)에 비해서 안길이(L3)를 대폭으로 작게 할 수가 있다.
예컨데 종래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2),(28)에서는 안길이 (L1),(L2)가 어는 것이나 약 36㎜정도의 였으나, 이 실시예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40)에서는 안길이(L3)를 약 19㎜가 되고 종래의 약반으로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당해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40)를 사용하면 기기의 공간을 절약하고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프린트 기초판(50)을 케이스(48)의 전면에 거의 평행으로 배치하고 있는 것으로 인해서종래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2)와 같이 표시기의 단자를 일렬로 하여 90도 절곡할 필요는 없고 한 장의 고정프린트기판(50)으로 표시기(52)의 단자(521)의 배열을 이열 (혹은 그이상)로 형성할수 있으므로 단자(521)의 수가 많은 경우에도 납땜작업이 편하고, 따라서 조립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또한 프린트기초판이 한 장으로 끝나므로 생산비도 저렴하게 제작할 수가 있다.
더욱이 프린트 기초판(50)의 일부를 케이스 (48)의 측면으로부터 옆으로 꺼내는 경우는 당해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40)를 조작패널에 삽입하여 착설하고 저하여도 밖으로 나온 프린트 기초판(10)이 방해가 되어서 착설이 곤란하게 된다.
그래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40)에 있어서는 제3도 표시와 같이 케이스(48)(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예에 있어서는 호울더(44))에 있어서의 프린트 기초판(50)이 돌출한 부분과 반대측의 측면의 후방각부가 제거(절단)되어 있다.
도면중의 (481)은 케이스(48)에 있어서의 절단면이다.
그 절단의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던 프린트기초판(50)이 케이스(48)를 나온 표면측의점 (P)을 중심으로 하고 그 점 (P)과 반대측의 점 (Q) 까지의 케이스(48)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호 (72)내에 적어도 절단면 (481)이 들어가도록 하고 있다.
절단면(481)은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이라도 좋고 R 면(즉 곡면) 이라도 좋다.
그리고 이와 같은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40)를 조작 패널에 착설하는 순서는 제6A 도내지 제6C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우선 제6A도 표시와 같이 조작패널(78)의 개구부 (781)에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40)의밖에 나온 프린트 기초판(50)의 부분을 넣는다.
이 개구부(781)는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40)의 외형에 대응하고 있다. 그 경우 프린트 기초판(50) 에는 외부 접속용 연결부재(76)가 착설되어 있어도 좋고 프린트 기초판(50)이 더 길어도 좋다.
또 도면중의 (74)는 케이스(48)의 외측의 좌우에 착설된 패널 착설된 패널 착설용의자상의 판 스프링이다.이어서 제6B도 표시와 같이전술한 점 (P) 근처를 중심으로 하여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40)를 회전시킨다.
이때 케이스(48)의 후방각부를 전술한 바와 같이 절단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패널(78)에 케이스(48)가 닿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40)를 더욱 회전시키면서 조작패널(78)에 밀어 넣으면 제6C 도 표시와 같이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40)는 조작패널(78)의 개구부 (781)에 완전히 끼워져서 판스프링(74)으로 고정된다.
다음에 상기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40)의 조립순서의 예를 다시 제3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호울더(44)의 저부에 보강판스프링(66)을 위로부터 끼우고 나아가서 그위로부터
가동편(64a)(64b)을 각각 끼운다.
그 경우에 이 예서는 각 가동편(64a)(64b)에 측편부(644) 및 계지편(643)을 마련하여 또한 호울더(44)내에 이들에 각각 맞물리는 부상방지부 (444) 및 돌기(443)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제 5도들을 참조) 가동편(64a)(64b)을 미끄러져 들어가게 한 형태로 지지부 (441)위에 끼워넣을수가 있는 동시에 끼워넣은 후의 가동편(64a)(64b)의 튀어나옴이 (부상하는 것) 그들에 의해서 방지되고 이로인하여 조립작업이 극히 편하게 된다.
이어서 그위로부터 전후면에 표시기(52) 및 스위치(56)가 착설된 프린트 기초판(50)을 일부를 밖으로 내어서 끼운다. 그리고 그들의 전방으로부터 커버(46)를 덮고 또한 조작커버(60)를 전방으로부터 끼운다. 이에 의하여 조립이 완료한다. 말하자면 상기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40)에서는 부품을 밑으로부터 차례로 넣어가면 좋으므로 조작기구뿐만 아니라 전체의 조립이 극히 간단하며 조립의 자동화에 대응하는 것도 용이하다.
또한 프린트기초판에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고정 프린트 기초판(50)을 사용하면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원가절감화를 도모할 수가 있으나, 물론 필요에 따라서 유연선 프린트기초판을 사용하여도 좋고 그와같이 하면 유연성프린트기초판을 길게 해놓고 그것으로 배선을 겸할 수가 있으므로 당해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와 다른 기긱 (예컨데 모판) 사이의 중계용의 케이블들이 필요없게 되고 다른 기기와의 접속이 용이하게 된다.
제7도는 상기한 제1의 실시예의 고정프린트 기초판 대신에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80)을 사용한 경우의 변형이고, 그 경우에 케이스(48)내에 보강판(82)을 병용하면 다른구조는 상기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40)의 경우와 완전히 공용 할 수가 있고 사용자의 요망에 응해서 고정유연성 어느 프린트 기초판에도 간단하게 대응할 수가 있는 된다.
또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80)을 사용하는 경우는 예컨데 제8도 표시와 같이 그것을 케이스(48)내에서 벽면에 연하여 절곡시켜 그 일부를 호울더(44)와 커버(46) 사이를 통해서 케이스(48)의 후면으로부터 밖으로 나오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면 케이스(48)의 후방각부(482)를 필히 제3도표시의 제1의 실시예와 같이 절단하지 않아도 조작패널에의 삽입이 가능케된다.
물론 제1의 실시예와 같은 것과 케이스(48)를 공용한다던가 디자인을 통일한다등의 이유로 후방각부(482)를 전술한 바와 같이 절단하여 놓아도 좋다.
또 이에와 같이 케이스(48)내에 있어서 보강판(82)의 표리양면을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80)을 사용하면서 전후양측에 있어서 푸시기(52) 및 스위치(56)의 단자(521)(561)의 납땜이 될 수 있으므로 양면도체의 프린트 기초판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 관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140)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0도는 제9도의 II-II 선에 거의 연하는 단면도 이지만, 표시기(52)의 좌측반분의 단자(521)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제11도는 제9도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의 케이스의 저부내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상기한 제3도내지 제8도로 설명한 제1의 실시예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이하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와의 상이점을 주체로 하여 설명한다.
이 제2의 실시예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140)의 기본적인 구성은 조작커버(60)의 동작태양을 제의하면 앞서의 제1의 실시예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40)와는 거의 마찬가지다.
즉 호울더(44)와 커버(46)로 구성되는 케이스(48)내에 고정 프린트 기초판(50)을 당해 케이스(48)의 전면 (제9도의 좌측면) 에 거의 평행으로 배치해서 그 일부를 케이스(48)의 일측면으로부터 밖으로 (옆으로) 꺼내서 외부 접속용으로 되게 하였다.
케이스(48)내의 프린트 기초판(50)의 전면측에 표시기(52)를 착설하고 있고, 프린트 기초판(50) 후면측에 스위치(56)를 이예에서는 두 개 (제10도 참조) 착설해서 그 작동기(562)를 후방측에 꺼내 놓고 있다.
표시기(52) 및 조작커버(60)를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다.
케이스 (48)의 전면부내에는 앞서의 제1의 실시예와는 달리 이 실시예에서는 커버(46)의 좌우양면측으로부터 내향으로 각각 돌출된 두 개의 돌출측(461)에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 맞추는 두 개의 감합편(602)을 가지고 있어서 이 돌출축(461)을 지축으로 해서 화살표(A)(제9도 참조)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한 투광성의 조작커버(60)가 끼워져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호울더(44)내의 저면의 중앙부 및 양측에 지지부(441),(442)를 마련해서 그위에 평면형상이 거의 U 자상을 하고 있고 (제11도를 참조) 측면으로부터 보번 ·
Figure kpo00002
·상으로 절곡된 (제9도 참조) 탄성이 있는 지릿대상의 가동편(64)을 올려놓고 지지부(441)(442)를 그 지점으로 하여 당해 가동편(64)의 장변측의 단부(641)를 역점으로 해서 전술한 조작커버(60)로부터 연장한 다리(601)로 화살표(B)와 같이 밀거나 떨어지게 하도록 하고, 그것에 응해서 당해가동편(64)의 단변측의 두 개의 단부(642)를 작용점으로 해서 전술한 두 개의 스위치(56)의 작동기(562)를 동시에 화살표(C)와 같이 밀거나 떨어지도록 해서 스위치(56)의 조작기구룰 구성하고 있다. 즉, 가동편(64)으로 조작커버(60)의 압압조작에 응해서 그 압압력을 압압방향과 역방향으로 반전시켜서 스위치(56)의작동기(562)를 조작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조작커버(60)를 압압조작하는 경우는 그 회동중심이 상부쪽에 있으므로 하부쪽을 압압하는 편이 움직임이 가볍다.
또 프린트기초판(50)에는 조작커버(60)의 다리(601)와 간섭하지 않도록 절결부(501)가 마련되어 있다.
스위치(56)의 조작기구를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으로 하므로 또 이 제2의 실시예에서는 종래기술의 조작기구에 비해서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서 부품점수가 적게되는 동시에 뒤에 설명할 안길이(L4)를 작게 하는데 기여한다.
또 제3도에 표시한 제1의 실시예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40)에서는 조작커버(60)를 경사되게 상방으로부터 미는 경우에는 압압방향과 조작커버(60)의 이동(직동)방향이 일치하지 않고 조작커버(60)의 하부와 스위치(48)가 마찰되어 마모가 생기는 우려가 없다고 말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 제2의 실시예와 같이 조작커버(60)를 회동 방식으로 하면 그와 같은 우려는 전연 없어지므로 조작성, 장수명화라는 점에서 호적하게 된다.
또한 가동편(64)의 배면측에 보강판 스프링(66)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전술한 바와같다.
또 스위치(56)는 한개라도 좋고 그 경우에는 가동편(64)의 단부(642)도 한 개로 해도 좋다.
이 제2의 실시예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146)에 있어서도 케이스(48)내에 프린트기판(50)을 케이스(48)의 전면에 거의 평행되게 배치해서 그 일부를 케이스(48) 밖으로 꺼내고 그리하여 프린트기초판(50)의 전후면에 표시기(52) 및 스위치(56)를 착설하고 있으므로 예컨데 양자의 단자(521),(561)의 길이분이 안길이 치수에 영향을 주지 않는등 케이스(48)내의 전후방향의 케이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안길이 (L4)를 앞서의 제1의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종래예에 비해서 대폭으로 작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당해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140)를 사용하면 기기의 공간 절약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프린트기초판(50)을 케이스(48)의 전면에 거의 평행으로 배치하므로서 한 장의 고정프린트 기초판(50)으로 표시기(52)의 단자(521)의 배열로서 이열 (혹은 그이상)이 이용될수 있으므로 단자(521)의 수가 많은 경우에도 납탬 작업이 편하고 따라서 조립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또한 프린트 기초판이 한 장으로 족하므로 생산가도 저렴하게 된다. 또한 프린트 기초판(50)의 일부를 이예와 같이 케이스(48)의 측면으로부터 옆으로 내놓는 경우에 케이스(48)의 후방각부를 제거(절단)하는 이유 및 절단면(481)의 절단의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 당해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140)의 조작 패널(78)에 착설하는 순서를 제12A도 내지 제12C도에 표시하지만 이것은 앞서의 제6A도 내지 제6C도와 거의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상기한 제2의 실시예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140)의 조립순서의 예를 다시 제9도내지 제11도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우선호울더(44)의 저부에 보강판 스프링(66)을 위로부터 끼우고 다시 그위로부터 가동편(64)를 끼운다.
이 경우 이 실시예에서는 가동편(64)에 측편부(64) 및 계지편(643)을 마련하고 또한 이것들에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서 지지부(442)에 부상방지용의 파들어간 부분을 형성하는 동시에 호울더(44)내에 돌기(443)를 마련하였으므로 (제11도 참조) 가동편(64)을 미끄러져 들어가게 한 형상으로 지지부(441),(442)위에 끼워 넣을수가 있는 동시에 끼워 넣은후에 가동편(64)의 튀어나옴 (부상)이 그것들에 의해서 방지되고, 그것으로 인하여 조립작업이 극히 편하게 된다.
이어서 그위로부터 전후면에 표시기(52) 및 스위치(56)가 착설된 프린트 기초판(50)을 일부를 밖으로 나오도록 해서 끼운다. 그리고 그것들의 전방으로부터 커버(46)를 덮고 또한 조작커버(60)를 전방으로부터 끼운다.
이것에 의해서 조립은 완료된다.
결국 이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140)에 있어서도 부품을 밑으로부터 차례로 넣어가면 되므로 조작기구뿐만아니라 전체의 조립이 극히 간단하고 조립의 자동화에 대응하는 것도 용이하다.
또한 이 제2의 실시예의 경우도 고정프린트 기초판(50) 대신에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80)을 사용하여도 좋고 그 변형예를 제13도에 표시한다.
이예에서도, 보강판(82)을 병용하는 동시에 케이스(48)내에서 그 표리양면을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80)으로 두르도록 하고 있으나 그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전술과 같다.
또 유연성프린트 기초판(80)을 사용하는 경우는 예컨데 제14도 표시와 같이 그것을 케이스(48)내에서 벽면에 연하여 절곡하고 그 일부를 호울더(44)와 커버(46)사이를 통하여 케이스(48)의 후면으로부터 밖으로 나오도록 하여도 좋고 그와같이 하면 케이스(48)의 후방각부(482)를 필히 제9도의 제2의 실시예와 같이 절단하지 않아도 조작 패널에의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관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를 표시하는 종단면도이고, 제17도는 제16도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의 정면도이다.
이 실시예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12)는 절연물로 된 케이스(14)내에 보강판(16)의 표리양면을 편면도체의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18)으로 말아서 케이스(14)의 전면 (제16도의 좌측면)에 거의 평행으로 배치하고 그리고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18)의 일부를 케이스(14)의 후면으로부터 밖으로 나오게하여 외부접속용으로 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이와같은 보강판(16) 및 유연성프린트 기초판(18)을 사용하는 대신에 고정프린트 기초판을 사용하여 그 일부를 케이스(14)의 측면으로부터 밖에 나오게 하여도 좋다. 그리고 케이스(14)내의 프린트 기초판(18)의 전면 측 (제16도의 좌측)에 예컨데 LED 표시기의 표시기(20)를 착설하고 있고, 또한 프린트 기초판(18)의 후면측에 예컨데 낵트 스위치와 같은 스위치(22)를 착설해서 그 작동기(221)를 후방측에 내놓고 있다.
또한 제16도에 있어서 표시기(20) 및 뒤에 설명할 조작커버(24)가 상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은 동도면에 있어서 상측이 당해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12)의 통상 사용할 때의 상방이 되고 표시기(20)의 표시를 경사상방으로부터 보기쉽게 하기위한 것인데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케이스(14)의 전면부내에는 케이스(14)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내향으로 각각 돌출 돌출된 두 개의 돌출축(142)에 회전자재 및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두 개의 감합편(243)을 가지고 있으며 이 돌출축(142)을 지축으로 해서 화살표(A)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가동 가능한 투광성의 조작커버(24)가 착탈가능케 끼워져 있다.
이 조작커버(24)는 투명이거나 반투명이라도 좋고 또 착색하고 있어도 좋다.
또 케이스(14)의 저부내에 측면에서 보면 역
Figure kpo00003
자상으로 절곡된 탄성을 가진 지릿대상의 가동편(26)을 수납하여 케이스(14)의 저부에 마련한 지지부(141)를 그 지점으로 하고 당해 가동편(26)의장변측의 단부를 역점으로해서 그곳을 전술한 조작커버(24)로부터 연장한 다리(241)로 조작커버(24)의 화살표(A)와 같은 압압조작에 응해서 화살표(B)와 같이 밀거나 떨어지도록 하고 그것에 응해서 당해 가동편(26)의 단변측의 단부를 작용점으로해서 거기에서 전술한 스위치(22)의 작동기(221)를 화살표(C)와 같이 밀거나 떨어지게 해서 스위치(22)를 조작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조작커버(24)의 전면측의 일부이며 표시기(20)의 전방을 피한 곳에 특히 이예에서는 조작커버(24)의 전술한 바와 같은 회동의 지축인 돌출축(142)의 전방부에 홈부(242)를 마련하여 그 안에 점자기호를 각인한 테이프상 또는 플레이트상의 점자각인 부재(28)를 수납하고, 또한 그위로부터 틀형상의 착탈가능한 각인 커버(30)를 쒸우므로서 점자각인부재(23)를 착탈가능케 착설하고 있다.
이 점자각인부재(28)의 점자기호의 내용은 당해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12)를 실제로 사용할때에 표시기(20)에 의하여 표시되는 내용과 대응시킨다.
따라서 이와 같은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12)에 의하면 점자기호와 조작커버(24)가 말하자면 일체어서어 그것을 예컨데 전술한 바와같은 자동권매기나 자동판매기들에 사용했을 경우, 시각장해자는 점자기호를 내용을 확인한 손으로 그대로 조작커버(24)를 압압조작하는 것으로 당해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12)를 조작할 수가 있다.
따라서 시각장해자가 점자기호와 스위치와의 대응을 잘못조작하는 우려는 없어진다.
또, 전술한 바와같이 점자각인부재(28)는 표시기(20)의 전방을 피하고 있으므로 시각 건전지에 의한 표시기(20)의 표시내용의 시각적 확인도 하등의 지장없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12)는 나아가서는 그것을 사용한 자동권매기들은 시각장해자와 시각건전지의 공용이 가능하다.
또 종래와 같이 점자각인테이프들을 별도로 마련할필요가 없으므로 그 공간이 필요없고 또한 여러개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12)를 근접배치하여도 전술한 이유로 인하여 잘못조작의 우려가 없으므로 스위치사이의 간격, 특히 상하의 간격을 줄일수가 있어 이같은 결과 조작패널들에 있어서의 공간 절약이 가능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자동권매기들의 기기의 소형화를 도모할수도 있다.
또 이 제3의 실시예와 같이 조작커버(24)를 점자각인부재(28) 의후방부에 있는 지축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면 점자각인부재(28) 에 손을 떼어서 점자기호내용을 확인하고 있을때에 그것에 약간 압압력이 가해져도 조작커버(24)는 간단하게 회동하지 않으며 특히 조작커버(24)를 압압조작하고저 할 때는 점자각인부재(28)의 약간밀을 밀으면 되므로 점자기호내용의 확인중에 잘못 조작하는 가능성이 극히 적게된다.
특히 조작커버(24)는 전후방향으로 작동 (슬라이드)가능한 것이라도 좋고 그 경우는 조작커버(24)의 압압력 (즉 가동편(26)들의 스프링압) 이라던지 행정들을 고려한다면 점자기호 내용의 확인중에 잘못 조작하는 가능성을 적게 할 수가 있다.
제18도에 표시하는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32)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에서 이와 같이 조작커버(24)가 전후 방향으로 직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이 제4의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4)의 전면부내에 조작커버(24)가 화살표(A)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직동(슬라이드) 가능케 또한 그 돌기(244)와 케이스(14)의 홈부(143)와의 감합에 의해서 착탈가능케 끼워져 있고 이 조작커버(24)로부터 연장한 다리(241)로 지면의 표리방향으로 연장한 지릿대상의 가동편(26)을 압압하고 그것으로 인해서 스위치(22)의 작동기(221)를 화살표(C)와 같이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기타는 제16도 표시의 제3의 실시예와 거의 마찬가지이므로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점자각인부재(28)를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조작커버(24)에 대하여 착탈가능케 착설하여 놓으면 요금변경과 같이 표시내용을 변경하는 경우는 점자각인부재(28)의 교환만으로 간단히 대응할 수가 있다. 혹은 그와 같이 하는 대신에 점자각인부재(28)를 조작커버(24)에 붙이던가 조작커버(24)자체에 집접 점자기호를 돌출표시하여도 좋고 그 경우에도 조작커버(24)를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4)의 전면 부내에 착탈가능케 끼워 넣으면 요금변경에 대해서는 조작커버(24)의 교환만으로 간단하게 대응할 수가 있다.
또, 상기한 제3 및 제4의 실시예와 같이 점자각인부재(28)를 조작커버(24)에 마련한 홈부(242)내에 수납해서 각인커버(30)를 덮은 구조로 하면 점자각인부재(28)를 홈부(242)내에 단순히 수납하던지 붙이던지에 불구하고 조작커버(24)의 표면에 쓸데없는 돌출이 없어지므로 미관이나 조작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또 점자각인부재(28)가 소망스럽지 못하게 빠지던지 벗겨지는 것이 어렵게 되므로 소망스럽다.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를 표시한 종단면도이다.
이것은 전술한 제9도 표시의 제2의 실시예에 상당하는 제19도의 실시예를 개량한 것이다.
이 제5의 실시예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40)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케이스(18)네에 고정프린트기판 (이 명세서에서는 유연성프린트 기초판에 대한 딱딱한 프린트기판을 말한다)(42)을 조작커버(28)의 경사진 전면부에 연하여 배치하는 동시에 그 일부를 케이스(18)의 일측면으로부터 밖으로 (옆으로) 끄내서 외부 접석이 되도록 하고 있다.
이 프린트 기초판(42)의 케이스(18)내의 전면측에 표시기(44)를 마련하는 동시에 후면측에 전술한 바와같은 스위치(26)를 이 예에서는 두 개 병설하고 있다(그것들의 작동기(261)의 위치를 제23도중에서 표시한다)
표시기(44)의 부분을 제22도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이 제5의 실시예에서는 표시기(44)를 구성하는 여러개의 LED 칩(442)을, 케이스(18)내의 프린트기초판(42)의 전면측에 집접 장치하고 있다.
즉 프린트기초판(42)의 전면측에 마련된 소정의 패턴의 도체(도시생략)위에 여러개의 LED 칩(442)을 예컨데 숫자를 표시하도록 시그먼트 상으로 배치해서 예턴데 도전성 접착제로 접착하는 동시에, 각 LED 칩(442)과 프린트기판(42)의 표면의 소정의 도체를 와이어(443)를 사용해서 와이어 결합하고 있다.
또한, 이 프린트기초판(42)의 전면측에, 확산필터(447)를 착설한 램프하우스(446)를 LED 칩(442)에 덮도록 착설하고, 이와같이 해서 표시기(44)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프린트 기초판(42)의 표면의도체에 LED 칩(442)을 와이어 결합하는 경우는 결합을 하기쉽게 하기 위해서 적어도 결합을 하는 부분의 도체 표면에 예컨데 금,은의 도금을 해놓은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40)에 의하면 표시기(44)를 구성하는 여러개의 LED 칩 (442)이 케이스(18)내의 프린트기초판(42)의 전면측에 직접 장치되어 있으므로, 선행에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12)와 같은 표시기(24)와 프린트 기초판(22)을 접속하는 여러개의 핀 단자(244)가 필요없게 되고, 또한 이에 수반해서접속 개소도 감소한다.
또, 표시기 고유의 프린트기초판(241)도 필요없게 된다.
그 결과,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40)전체를 볼 경우, 선행예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12)에 비해서, 부품점수 및 납땜과 같은 작업공정수가 감소되므로 원가절하가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접속개소가 감소되므로 신뢰성도 향상한다.
또, 제19도 표시의 선행에의 경우와는 달리 표시기(44)와 프린트 기초판 (42)사이에 여분의 틈이 없으므로 그만큼 당해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40)의 안길이치수 (L2)를 작게 할 수가 있다.
예컨데 선행에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12)에서는 안길이(L1)가 전술한 바와같이 약 19㎜ 이었던 것이, 이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40)에서는 안길이 치수 (L2)를 약 16㎜로 할 수가 있었다.
또한 제23도는 상기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40)의 케이스(18)의 저부내를 표시하는것이고, 보강판스프링(32)위에 이예에서는 두 개의 스위치(26)를 일광조작하기 때문에 평면 U 자 상을 이루고 있는 가동편(30)을 끼우고 있다.
호울더(14)에는 이 가동편(30)의 부상방지용의 계합부(142) 및 튀어나옴방지용의 계합부 (143)가 마련되어있다.
다시 제21도에 있어서, 케이스(18)의 프린트기초판(42)을 꺼집어 놓은것과 반대측의 측면의 후방각부를 제거 (절단)하고 있는 (181 은 그 절단면을 표시한다)것은 그와같이하면 당해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40)를 조작패널(48)에 착설할 경우, 케이스(18)밖으로 나온 프린트기초판(42)의 부분을 조작패널(48)의 개구부(481)에 넣은후, 프린트기초판(42)의 개구부(481)에 넣은후, 프린트기초판(42)의 출구의 P 점 부근을 중심으로 당해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40)를 회전 (제21도에 있어서 좌회전) 시키면서 조작패널(48)에 밀어 넣으므로서 프린트기초판(42)이 방해되지않고 또한 케이스(18)의 후방각부가 조작패널(48)에 닿는 일이 없으며,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40)를 조작패널(48)의 개구부(481)에 끼워넣을수가 있기 때문이다.
또 프린트기초판에 이 제5의 실시예와 같이 고정프린트 기초판(42)을 사용하면, 유연성 프린트기초판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생산가 저하를 도모할 수가 있으나, 물론 필요에 따라서, 선행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유연성프린트 기초판을 보강판과 조합하는데 사용하여도 좋다.
그와같이 하면,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을 길게 하여 놓고 그것을 다른 기기와의 사이의 배설을 겸할 수가 있으므로 중계용의 케이블을 생략 할 수 있는 동시에, 유연성프린트기초판은 케이스(18)내에서 절곡시켜서 그 일부를 케이스(18)의 후면으로부터 밖으로 꺼낼수가 있으므로, 케이스(18)의 후방각부를 필히 제21도의 제5의 실시예와 같이 절단하지 않아도 조작패널(48)에의 삽입이 가능하게된다. 이와같이 제5의 실시예를 더욱 개량한 것이 제24도에 표시하는 제6의 실시예이다.
제24도와 같이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을 사용하는 경우도, 그것에 표시가 (44)를 구성하는 LED 침(442)을 와이어 결합할때는 결합을 하기쉽게 하기 위해서 적어도 와이어 결합을 하는 부분의 도체 표면에 예컨데, 금,은의 도금을 해놓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즉이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50)에서는 상기한 고정 프린트기판(42)대신에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22)을 사용하고 있으나, 그 보강판(20)은 스위치(26)의 부분에만 마련하고 있다.
또, 전술한 바와같은 LED 칩(442)을 고정프린트 기초판(46)에 장치하고 또한 램프하우스(446)를 착설하므로서 표시기(44)를 구성하고, 이 프린트 기초판(46)을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22)의 전면측에 배치해서 양자간을 직접(즉선행예와 같이 핀단자(244)를 개재시키지 않고 납땜해놓고 있다.
이 납땜부분의 상세한 예를, 제24도중의 R 부의 확대 단면도인데 제2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프린트기초판(46)은, 기초판(461)의 표리양면에 소정패턴의 도체(462),(463)를 가지고 있고, 양자는 통공 (두루우 호올)(464)내의 도체(465)를 거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프린트 기초판(46)의 전면측의 도체(462)에 전술한 바와같이 여러개의 LED 칩(442)이 도전성 접착제로 착설되고 또한 와이어(443)를 사용해서 와이어 결합되어있다.
유연성 프린트 기처판(22)은, 이 예에서는 베이스 필름(221)의 표면에 소정의 패턴의 도체(222)를 마련하고 또한 커버필름(223)을 씌운것이고, 그 소요의 접속개소에 통공(224)을 형성하여, 또한 그 주위에 도체(222)를 노출시켜, 이것과 프린트 기초판(46)의 이면측의 도체(463)를 납땜(34)으로 집접 착설하고 있다.
상기한 제24도 표시의 제6의 실시예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50)에 있어서는, 표시기(44)를 구성하는 고정프린트 기초판(46)이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22)의 보강판의 작용도한다.
또한,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22)을 사용한 경우에도, 그것에 직접 LED 칩(442)을 와이어 결합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22)에 금, 은의 도금을 할 필요가 없고, 말하자면 프린트 기초판 (46)의 전면측의 도체(462)에 금, 은의 도금을 해놓으면 좋으므로,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22)으로서 통상의 납땜방법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이 제6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표시기(44)를 구성하는 프린트 기초판(46)의 과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22)이 집접 납땜되어 있으므로, 선행예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12)와 같은 표시기(24)와 프린트기초판(22)을 접속하는 여러개의 핀단자(244)가 불필요하게된다. 또 프린트기초판(46)과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22)을 납땜한다하여도, 납땜개소는 핀단자(244)를 사용하는 경우의 반(즉 편측부분)만으로 되게 되므로, 접속개소도 감해진다.
그 결과, 당해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50)전체를 볼 경우, 선행예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12)에 비해서, 부품점수 및 납땜과 같은 작업공정수가 감소되므로 원가 절하가 가능한 동시에 적속개소가 감소되어서 신뢰성도 향상한다.
또, 표시기(44)와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22)사이에 틀림없어지므로, 앞서의 제5의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당해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50)의 안길이 치수(L3)를 작게 (예컨데 약 16㎜ 정도에)할 수 있다.
또한, 조작커버(28)는, 상기한 예와같이 케이스(18)의전면부내에서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한 것으로 하는 대신에, 전후방향으로 작동 (슬라이드) 가능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 조작커버(18)의 전면부를 상기한 각예와 같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하고, 그것에 맞추어서 케이스(18)내의 프린트기판(42),(22)도 상기 각예와 같이 경사지게하는 편이, 경사상방으로 부터의 조작커버(28)의 조작성 및 표시기(44)의 표시내용을 보기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호적하지만, 필수적인 것이 아니고, 이것들을 경사지게 하지않고 케이스(18)의 전면부에 연하도록 해도 좋다.
제28도는 본발명의 제7의 실시예에 관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를 표시하는 종단면도인데, 제29도는 제28도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의 정면도이고, 제30도는, 제28도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의 케이스의 저부내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이 실시예는 제26도 및 제27도에 표시하는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불이익을 해소하는 것이다.
이 제7의 실시예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12)는 전면(제28도의 좌 측) 이 개구된 절연물로된 상자상의 호울더(14)와, 그것에 개구면측으로부터 씌워서 감합시키는 절연물로된 각통상의 커버(16)이어서, 이것들을 일체가 되어서 케이스(18)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케이스(18)내에, 보강판(20)의 표면의 일부 및 이면에 편면도체의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22)을 배설한 것을, 뒤에 설명할 조작 커버(28)의 경사진 전면부에 연해서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22)을 케이스(18)내에서 벽면에 연해서 절곡시켜 그 일부를 호울더(14)와 커버(16)의 사이를 통해서 케이스(18)의 후면으로부터 밖으로 꺼집어내서, 외부접속으로 해놓고 있다.
그리고, 보강판(20)의 전면측에, 예컨데 LED 식숫자 표시기와 같이, 그 표시내용이 전기적으로 가변의 표시기(24)를 착설하는 동시에, 그 단자를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22)에 납땜하고 있다.
또, 보강판(20)의 후면측에, 예컨데 택트스위치와 같은 스위치(26)를 그 작동기 (261)를 후방측으로하여서 착설하는 동시에, 그 단자를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22)에 납땜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18)의 전면부내에, 그 커버(16)의 좌우양측면으로부터 내향으로 각각돌출한 두께의 돌출축(161)에 회전이 자유스럽게 또한 착탈가능케 감합하는 두 개의 감합편(281)을 가지고 있고, 이 돌출축(161)을 지축으로 해서 화살표(A) 와같이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한 투광성의 조작커버(28)를 착탈가능케 끼워놓고 있다.
이 조작커버(28)는, 투명이거나 반투명이라도 좋고, 또 착색하여도 좋다.
또한, 제28도에 있어서 조작커버(28)의 전면부 및 표시기(24)를 상향으로 경사지게한 것은, 도면에서 상측이 당해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12)의 통상사용시의 상방이되며,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이 하면 조작커버(28)에 경사진 상방으로부터 조작하기 쉽고, 또한 표시기(24)의 표시내용이 경사상방으로부터 보기쉽게 되는 것이지만, 필수한 것은 아니다.
케이스(18)의 (보다 구체적으로는 호울더(14)의) 저부내에는, 측면으로부터 보면 ·
Figure kpo00004
·상으로 잘곡된 탄성을 가진 지릿대상의 가동편(30)을 수납하고 있다.
그리고 호울더(14)의 저면에 마련한 지지부(141)를 이 가동편 (30)의 지점으로하는 동시에, 그 긴변측의 단부를 역점으로해서 그곳을 조작커버(28)에 마련한 돌출부(282)로 조작커버(28)의 화살표(A)와 같은 압압 조작에 응하여 밀거나 떼어놓도록 하고, 또한 그것에 응하여 당해가동편(30)의 단변측의 단부를 작용점으로해서 거기서 전술한 스위치(26)의 작동기(261)를 화살표(B)와 같이 밀거나 떼어놓도록해서, 스위치(26)의 조작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호울더(14)에는, 이 가동편(30)의 부상방지용의 계합부(142) 및 튀어나옴방지용의 계합부(143)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7의 실시예에서는, 가동편(30)의 배면측에 보강판스프링(32)을 마련해놓았으며, 그와 같이 하면 가동편(30)이나 조작커버(28)의 복귀력을 증가할 수가 있으나, 이것은 본 발명에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한편, 저술한 조작커버(28)의 정면측의 일부이고 표시기(24)의 전방을 피한곳에, 이 실시예에서는 개구부(283)를 마련하여, 그 내측의 제일안쪽에 차광틀(38)을 끼우고, 또한 그 전방에 표시부재(36)를 착탈가능케 끼우며, 또한 그 전방에 표시부 커버(34)를 착탈가능케 끼우고 있다. 이때 표시부 커버(34)의 표면과 조작커버(28)의 표면은 거이 동일수평이 되도록 해서, 조작커버(28)의 표면에 더 이상의 돌출이 생기지 않도록하고 있다.
또 전술한 보강판(20)이고 상기한 표시부재(36)들의 배후에 위치는 하는곳에, 예컨데 발광다이오우드와 같은 광원(40)을 이예에서는 두 개착설하는 동시에, 그 단자를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22)에 납땜하고 있다.
전술한 표시부커버(34)는, 이예에서는 투명의 부재로이루어지고, 또한 그것이 멋대로 빠지는것을 방지하는 게합편(341)을 갖고 있다.
전술한 표시부재(36)는, 투광성부재로 되어있고, 그 표면 또는 이면에 예컨데 행선이나 상품명의 표시내용이 예컨데 조각이나 인쇄에 의해서 표시된다.
또한 이예에서는, 당해표시 부재(36)를 반투명적인 부재로 구성해서, 광원(40)으로부터 반투명적인 부재로 구성해서, 광원(40)으로부터 빛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겸비하고 있다.
전술한 차광틀 (38)은, 광원(40)으로부터 표시부재(36)의 배면부에 걸친 부분을 포위하고 있고, 기본적으로는, 광원(40)으로 부터의 빛이 측방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이와같은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12)에 의하면, 그 조작커버(28)에 착설한 표시부재(36)에 행선이나 상품명을 표시해놓고, 또한 그것에 대응하는 요금을 내부의 표시기(24)에 표시시키므로써, 행선이나 상품명과 그 요금을 같이 표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숫자 표시기(4)로 숫자표시만을 하는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2)와는 달리 스위치의 선택이 용이하게된다.
또한, 표시기(24)는, 전기적으로 표시내용이 가변이므로, 요금개정의 경우는, 예컨데 당해 표시기(24)의 제어프로그램을 변경하는 것으로써 그 표시내용을 전기적으로 너무 일손을 드리지 않고 변경할 수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명 표시판(8)을 변경하는 방식의 조광압버튼스위치(6)와는 달리, 요금개정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가 있다.
또, 조작커버(28)에 표시부재를 착설하면 상술한 바와같은 기본적인 효과를 얻을수가 있으나, 이 제7의 실시예와 같이 표시부재(36)를 조작커버(28)의 개구부(283)내에 착탈가능케 끼우면, 조작커버(28)의 표면에 불필요한 돌출을 없앨수가 있으므로 미관이나 조작성의 점에서 호적하고, 또 표시부재(36)의 교환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이 제7의 실시예와 같이표시부재(36)를 투광성부재로 구성하고, 또한 그 배후에 광원(40)을 마련하면, 표시부재(36)의 표시내용이 밝아져서 보기쉽게된다.
또 상술한 바와같이 광원(40)을 마련하는 경우, 표시부재(36)의 배면부에 광원(40)으로부터의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마련하던지, 혹은 이 실시예와 같이 표시부재(36)에 광원(40)으로부터의 빛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갖게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와같이 하면 보다 균일한 조광이 얻어질수 있다.
표시부재(36)에 확산기능을 갖게하면, 부품점수가 적어도된다는 효과도 얻을수 있다.
또, 이 제7의 실시예와 같이 차광틀(38)을 마련하면, 동일 케이스(18)내에서 표시기(24)와 광원(40)을 근접배치하는 경우에는 광원(40)으로부터의 빛이 표시기(24)의 주위로 세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서, 표시기(24)의 표시내용이 보기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이 창광틀(38)을 예컨데 백색부재로 구성해서 그것에 광원(40)으로부터의 빛을 반사하는 기능을 갖게하는 동시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내주면을 전방을 향해서 넓히면, 광원(40)으로부터의 빛을 보다 효율적으로 전방으로 유도할수 있으므로, 표시부재(36)의 표시내용이 훨신 보기쉽게 된다.
또한, 상술한 표시부재(36)를 단순한 확산판으로 하여, 표시부 커버(34)의 예컨데 이면에 표시내용을 조각과 같은 것으로 표시하는것으로써 이 표시부커버(34)를 표시부재로 하던지, 혹은 표시부커버(34)와 확산판 사이에 별개의 얇 은시이트 상의것으로 투광성의 표시부재를 협지하여도 좋다.
또, 보강판(20)대신에 고정프린트기판 (딱딱한 프린트기판)을 사용해서 그것에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22)을 접속하여 그 일부를 케이스(18)밖으로 꺼내던지, 그것들 대신에 고정프린트기판을 사용해서 그 일부를 케이스(18)밖으로 인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조작커버(28)는, 상술한 바와같이 회동가능한 것으로하는 대신에, 전후방향으로 직동(슬라이드)가능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 케이스(18)에서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22)을 이 제7의 실시예와 같이 조작커버(28)의 전면부에 연해서 배치하던지, 혹은 케이스(18)의 전면부에 연해서 배치하는 동시에,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22)의 전후양면에 표식(24), 광원(40) 및 스위치(26)를 착설하면, 그것들의 단자부의 길이가 안길이 치수에 영향을 주지않게되는 등, 케이스(18)의 전후방향의 공간을 유효하게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가 있으므로, 당해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12)의 안길이 치수를 작게할수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스위치(26)의조작기구를 상술한 바와같은 가동편(30)으로 구성하면, 그 구조가 간단하게되는 동시에 상술한 안길이 치수를 작게하는데도 기여한다.
제31도는, 본발명의 제8의 실시예에 관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를 표시하는 종단면도이고, 제32도는, 제31도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의 정면도이며, 또 제33도는, 제31도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의 케이스의 저부내를 표시하는 도면인 것으로, 이 실시예에 의하여도, 전술의 제26도 및 제27도에 표시하는 종래 기술의 불이익을 해소할 수가 있다.
이 제8의 실시예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20)는, 전면(31도의 좌 측)이 개구된 절연물로된 상자상의 호울더(22)와, 그것에 그 개구면측으로부터 씌워서 감합시키는 절연물로된 각통상의 커버(24)로 구성되는 케이스(26)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케이스(26)내에, 보강판(28)의 표리양면에 편면도체의 유연성 프린트 기판(30)을 둘른 것을, 케이스(26)의 전면부에 연하여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유연성 프린트 기판(30)을 케이스(22)내에서 절곡해서 그 일부를 호울더(22)와 그 뒤쪽하게(224)사이를 통해서 케이스(26)의 후면으로부터 밖으로 꺼내서, 외부 절속용으로 되도록 하고 있다.
32는 연결부재이다.
그리고, 보강판(28)의 전면측에, 시그먼트식 표시기(34)를 그 전면이 뒤에 설명하는 조작커버(42)의 경사진 전면부에 연하도록 착설하는 동시에, 그 단자(341)를 유연성 프린트 기판(30)에 납땜하고 있다.
이 시그먼트식 표시기(34)는, 예컨데·발광다이오우드 표시기(LED 디스플레이) 이고, 제32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최대로 다섯자리의 숫자를 표시할 수가 있다.
또 36은 예컨데 택트 스위치와같은 스위치, 361은 작동기로, 그 단자는 전술한 유연성 프린트 기판(30)에 납땜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26)의 전면부내에, 그 커버(24)의 좌우양측으로부터 내향으로 각각 돌출한 두 개의 돌축축(241)에 회전자재 및 착탈 가능케 감합하는 두 개의 감합편 (421)을 가지고 있고, 이 돌출축(241)을 지축으로 해서 화살표(A)와같이 전후 방향으로 회동가능한 투광성의 조작커버(42)를 착탈가능케 끼우고 있다.
이 조작커버(42)는 투명이거나 반투명이라도 좋고, 또 착색이 되어있어도 좋지만, 반투명폭이 시그먼트식 표시기(34)의 표시내용이 보기쉽게 되므로 호적하다.
케이스(26)의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 호울더(22)의) 저부내에는 ·
Figure kpo00005
·상이 고 탄성을 가진 가동편(38)이 수납되어있다. 그리고 호울더(22)의 저면에 마련한 지지부(221)를 이 가동편(38)의 지점으로하는 동시에, 그 진변측의 단부를 역점으로해서 그곳을 조작커버(42)에 마련한 돌기부(422)로 조작커버(42)의 화살표(A)와 같은 압압조작에 응해서 밀거나 떨어지게 하도록 하고, 또한 그것에 응해서 당해 가동편(38)의 단변측의 단부를 작용점으로 해서 그곳에서 전술한 스위치(36)의 작동기(361)를 화살표(B)와 같이 밀거나 떨어지도록 해서, 스위치(36)의 조작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호울더(22)에는, 제33도의 표시와 같이, 이 가동편(38)의 부상방지용의 계합부(222) 및 튀어나옴방지용의 계합부(223)가 마련되어 있다.
40은 가동편(38)이나 조작커버(42)의 복귀력을 증가하기위한 보강판스프링이다.
한편, 전술한 조작커버(42)의 정면측의 일부이고 시스먼트 식표시기(34)의 전방을 피한곳에, 이 실시예에서는 개구부(423)를 마련하고, 그 후면부에 점매트릭스식 표시기(44)를 표시기호울더(46)로 착설하고 있다.
또, 상술한 개구부(423)에는 투광성의 창판(48)을 끼우고 있다.
그리고 이 점매트릭스식표시기(44)에 유연성 프린트 기초판(50)을 접속하는 동시에 그것을 케이스(26)내에서 절곡해서 그 일부를 뒷마개(22)와 커버(24)사이를 통해서 케이스(26)의 후면으로부터 밖으로 내놓고, 외부접속용으로 하도록 하고 있다.
52는 연결부재이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점매트릭스식 표시기(44)는 조작커버(42)와 더불어 동작할 수가 있어서, 이와같이 하는편이 점매트릭스식 표시기(44)를 조작커버(42)는 별도로 고정하는 것보다는 점매트릭스식 표시기(44)가 항상 앞쪽에 위치하게되여 그 표시내용이 보기쉽게 되므로 호적하지만, 물론 점매트릭스식 표시기(44)를 케이스(26)내에 고정해놓아도 좋다.
점매트릭스식 표시기(44)는, 이 제8의 실시예에서는 전계발광표시기 ( EL 디스플레이 )이고, 예컨데 48 × 64 도트의 표시 패널과 그 구동회로를 하나의 케이스내에 수납해서 이루어졌다.
따라서, 예컨데 16 × 16 도트를 1문자로 할당하면, 12문자를 표시할 수가 있다. 또 근년에는, 직류저전압(예컨데 DC 3V 이하) 구동형의 EL 의 디스플레이가 개발되어 있으므로, 이와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호적하다.
또한, 점매트릭스식 표시기(44)에는, 액정표시기를 사용하여도 좋으나, 전계발광표시기기, ① 시야각이 넓고 경사로 보기쉽다. ② 자발광식이고 어두운 곳에서도 보기쉽다는 등의 점에서 호적하다.
전술한 창판(48)은, 점매트릭스식 표시기(44)가 시그먼트식 표시기(34)에 비해서 발광강도가 낮으므로, 보기쉬운점에서, 투명이나 그것에 가까운 반투명으로 하는 것이 호적이다.
따라서 이와같은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20)에 의하면, 그 점매트릭스식 표시기(44)에 행선이나 상품명을 표시시켜, 또한 그것에 대응하는 요금을 시그먼트식 표시기(34)에 표시시키는 것으로서, 행선이나 상품명과 그 요금을 같이 표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숫자표시만을 하는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2)와 달리, 스위치의 선택이 용이하게된다.
또한, 점매트릭스식 표시기(44) 및 시그먼트식 표시기(34)는 공히 전기적으로 표시내용이 가변이기 때문에, 그것들의 제어 프로그램을 변경하므로써, 그것들의 표시내용을 너무남의 손을 빌리지 않고 변경할 수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명표시판(8)을 변경하는 방식의 조광압 버튼 스위치(6)와 달리 요금 개정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가 있을 뿐만아니라 행선이나 상품명의 변경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가 있다.
또한, 양표시기 (34).(44)의 표시내용을 절환하는것으로써, 동일 스위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20)를 다목적으로 사용할수도 있다.
일예를 표시하면, 상술한 시그먼트식 표시기(34)를 마련하는 것을 그만두고, 점매트릭스식 표시기(44)에 행선과 요금의 양쪽을 표시시킨다는 생각도 있으나, ① 점매트릭스식표시기에서는 복잡한 한문자를 표시하거나 문자를 매끄럽게 표시하고저 하면 많은 도트수가 필요하게 되고, 구동신호의 시명(듀티)비가 작게 되어서 표시가 어둡게 되고, 또 밝게하고저 구동신호의 피이크치를 너무 올리면 소자의 내압이나 전점동시의 발열상의 문제가 생긴다. 또, 점매트릭스식 표시기의 구동회로가 복잡하게 되고 배선도 하기 어렵게 되는 동시에, 숫자표시를 하기위한 복잡한 소프트가 필요하게 되므로, 숫자부분은 시스먼트 표시로 해놓으면, 발멸상의 문제가 생기는 일이없고 밝은 표시가 되며, 구동회로도 간단하게 되어 배선도 하기쉽고, 소프트상의 변잡함도 경감할 수가 있다. ② 시그먼트식표시기(34)와 점매트릭스식 표시기(44)양쪽을 마련하면, 만일 한쪽의 고장시에도 행선(혹은 상품명)이나 용금의 어느것이나가 표시 되어있으면, 그 나름대로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유로, 이 제8의 실시예와 같이 시그먼트표시기(34)와 점매트릭스식 표시기(44)의 양쪽을 마련하는 것이 호적하다. 보강판 (28)대신에 고정프린트기판(딱딱한 프린트기초판)을 사용해서 그것에 유연성 프린트기판(30)을 접속해서 그 일부를 케이스(26) 밖으로 인출하던지, 그것들의 대신에 고정프린트기판을 사용해서 그 일부를 케이스(26)밖으로 인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점매트릭스식 표시기(44)를 케이스(26)내에 고정하도록 한 경우는, 유연성프린트기판(50)대신에 고정프린트기판을 사용하여 그 일부를 케이스(26)밖으로 인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조작커버(42)는, 상술한 바와같이 회동가능한 것으로 하는 대신에, 전후 방향으로 작동(슬라이드) 가능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Claims (22)

  1. 절연물로된 케이스와, 이 케이스내에 그 전면에 거이 평행으로 배치되어 그 일부가 케이스의 밖으로 나온 프린트 기판과, 케이스내의 프린트 기판의 전면측에 착설된 스위치와, 케이스의 전면부내에 압압방향으로 동작 가능케 끼워진 투광성의 조작커버와, 이 조작커버의 압압조작에 응해서 그 압압력을 반전시켜 전술한 스위치를 조작하는 조작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조작커버가, 케이스의 전부내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가능케 끼워져 있는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조작커버가, 케이스의 전부내에 전후 방향으로 작동가능케 끼워진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케이스의 전부내에 절곡된 지릿대상의 가동편을 수납하여 그 지점을 케이스에서 정하고, 이 가동편의 일방 단부를 조작커버로부터 연장한 다리로 밀어줌으로써, 그 타방 스위치의 후방측에 나와 있는 작동기를 밀도록 하여서 조작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5. 제4항에 있어서, 조작기구가 그 가동편의 복귀력을 보강하는 보강판 스프링을 또한 가추고 있고, 또 케이스가 전면이 개구된 상자상의 호울더와 그것에 씌워서 감합시키는 통상의 커버로 되어 있고, 그리고 이 호울더의 저부내에 보강판 스프링을 위로부터 끼우고 또 그 위로부터 가동편을 끼우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6. 제5항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이 고정프린트 기판 또는 유연성 프린트 기판이고 그 일부를 케이스의 측면으로부터 밖으로 꺼내고, 또한 케이스의 프린트 기판을 꺼낸 것을 반대측의 측면의 후방 각부를 제거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7. 제5항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의 유연성 프린트 기판이고, 그 일부를 케이스의 후면으로부터 밖으로 꺼낸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8. 케이스내에 표시기 및 스위치를 수납하고, 표시기의 전면측에 마련한 투광성의 조작커버를 압압조작 함으로써 스위치를 조작하는 구조의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에 있어서, 전술한 조작커버의 전면측의 일부이고 표시기의 전방을 피한곳에 점차 기호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9. 제8항에 있어서, 조작커버가, 그 점자기호의 후방부에 있는 지축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동가능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점자기호를 각인한 점자각인 부재를 조작커버에 착탈가능케 착설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11. 제8항,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조작커버가, 케이스의 전면부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12. 절연물로된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전면부내에 압압방향으로 동작 가능하게 끼워진 투광성의 조작커버와, 이 조작커버의 전면부에 연하도록 케이스내에 배치되고 일부가 케이스 밖으로 인출된 프린트 기판과, 이 프린트 기판의 케이스내의 전면측에 직접 장치된 여러개의 LED 칩을 가진 표시기와, 전술한 프린트기판의 케이스내의 후면측에 착설된 스위치와, 전술한 조작커버의 압압조작에 응해서 그 압압력을 반전시켜서 이 스위치를 조작하는 조작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를 부착하는 스위치.
  13. 절연물로된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전면부내에 압압방향으로 동작가능케 끼우진 투광성의 조작커버와, 이 조작커버의 전면부에 연하도록 케이스내에 배치되고 일부가 케이스 밖으로 인출된 유연성 프린트 기판과, 여러개의 LED 칩을 장치한 프린트 기판을 가진 표시기이고 전술한 유연성 프린트 기판의 케이스내의 전면측에 그 프린트 기판이 적접 납땜되어 있는 것과, 전술한 유연성 프린트 기판의 케이스내의 후면측에 착설된 스위치와, 전술한 조작커버의 압압조작에 응해서 그 압압력을 반전시켜서 이 스위치를 조작하는 조작기기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14. 케이스내에, 전기적으로 표시 내용이 가변한 표시기 및 스우치를 수납하고, 이 표시기의 전면측에 마련한 투광성 커버를 압압조작 함으로써 전술한 스위치를 조작하는 구조인 것이고, 또한 전술한 조작커버의 정면측의 일부이며, 전술한 표시기의 전방을 피한곳에 표시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재가 착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조작커버에 개구부를 마련해서 이 안에, 투광성의 부재로된 전술한 표시부재를 착탈가능케 키우고, 또한 그 배후에 광원을 마련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16. 제15항에 있어서, 표시부재의 배면부에, 전술한 광원으로 부터의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마련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17. 제15항에 있어서, 표시부재가, 광원으로 부터의 빛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겸비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18. 제15항,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 표시부재의 배면부에 걸친 부분을 둘려싸도록, 전술한 광원으로 부터의 빛이 축방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틀을 마련한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차광틀이 광원으로 부터의 빛을 반사하는 기능을 겸비하고 있고, 또한 차광틀의 내주면이 전방을 향해서 넓혀진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20.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전면부내에 압압방향으로 동작가능케 끼워진 투광성의 조작커버와, 전술한 케이스 내에서 이 조작커버의 배후에 수납된 점매트릭스식 표시기 및 시그먼트식 표시기와, 전술한 케이스내에 수납된 스위치와, 전술한 케이스내에 수납딘 스위치와, 전술한 조작커버의 압압조작에 응해서이 스위치를 조작하는 조작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점매트리스식 표시기를 조작커의 후면부에 착설하여, 이 점매트릭스식 표시기에, 일부가 케이스 밖으로 인출된 유연성 프린트 기판을 접촉하고, 그것에 의하여 당해 점매트릭스식 표시기가 전술한 조자커버와 더불어 동작하도록 하고 있는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점매트릭스식 표시기가 전계발광 표시기인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KR1019890016199A 1989-07-05 1989-11-09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KR0141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676
JP89-79750 1989-07-05
JP7975089U JPH0724754Y2 (ja) 1989-07-05 1989-07-05 表示器付スイッチ
JP89-80676 1989-07-07
JP1989080676U JPH0729534Y2 (ja) 1989-07-07 1989-07-07 表示器付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709A KR910003709A (ko) 1991-02-28
KR0141252B1 true KR0141252B1 (ko) 1998-07-01

Family

ID=67662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199A KR0141252B1 (ko) 1989-07-05 1989-11-09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125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709A (ko) 199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06496B1 (en) Switch provided with indicator
US5134505A (en) Push-button switch with liquid-crystal display
US20070279932A1 (en) Sheet switch module
EP0898412B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U2006202651B2 (en) Electromagnetic counter with built-in illumination device
KR0141252B1 (ko) 표시기를 부착한 스위치
US5610797A (en) Control panel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s
TWI308733B (en) Control panel device and display
JP2010039311A (ja) 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4213924A (ja) 照光式押釦スイッチ用部材及び携帯電話の照光式押釦スイッチ用部材
JP2003257271A (ja) 照光式押し釦スイッチ装置
JPH0955143A (ja) キーバックライト照明効果装置
CN220872668U (zh) 光电传感器
JP5218199B2 (ja) 計器装置
JPH0786942B2 (ja) 表示器付スイッチ
JP2012212549A (ja) 照光装置および前記照光装置を使用した入力装置
JPH0724754Y2 (ja) 表示器付スイッチ
JPH10162681A (ja) ボタン照明付き電子機器
JP2000156130A (ja) 照光スイッチ装置
JP2004133131A (ja) 操作パネル
JP5241409B2 (ja) 携帯機器の入力装置
JPS63202808A (ja) キ−入力装置
JP3838450B2 (ja) カメラにおける操作部材ガイドの取付構造
JPH07325292A (ja) 液晶表示装置
JP2000123676A (ja) 押ボタ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