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912B1 - 화상치료장치 - Google Patents

화상치료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912B1
KR0140912B1 KR1019950004835A KR19950004835A KR0140912B1 KR 0140912 B1 KR0140912 B1 KR 0140912B1 KR 1019950004835 A KR1019950004835 A KR 1019950004835A KR 19950004835 A KR19950004835 A KR 19950004835A KR 0140912 B1 KR0140912 B1 KR 0140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fixed
water
driv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4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410A (ko
Inventor
조성기
Original Assignee
조성기
박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기, 박창진 filed Critical 조성기
Priority to KR1019950004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912B1/ko
Priority to EP96103590A priority patent/EP0730854A3/en
Priority to US08/612,686 priority patent/US5776048A/en
Priority to JP8053437A priority patent/JP2847061B2/ja
Publication of KR960033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9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3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mattress frames having alternately mov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05Means for bathing bedridden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2033/0004Bath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burned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5Constructive details used in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환자의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환자의 치료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설비를 하나의 장치에 복합화및 집약화하여 소형경량화한 간결성내지는 간편성의 구조로 구성시켜서 설치공간의 확보, 사용의 편리성및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제조가 용이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될수 있어 신뢰성이 확보되는 화상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격리실의 기능을 보편적인 환자용 침대정도의 크기로 캡슐화시켜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음이 없이 언제, 어느곳에서나 필요에 따라 간단히 비치하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의 간편성과 편리성을 구득하면서 설비투자및 운용비용을 극소화한 화상지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고, 본 발명의 목적을 공기정화장치 기능, 냉,난방장치기능, 가습장치기능등 격리실에 수반하는 부대장치기능과, 욕창방지용 침상, 욕조, 물맛사지기등 화상치료용 장치기능을 소형경량화 시킴과 동시에 이를 캡슐화된 격리실에 연계하여 상호기능적 내지는 구조적인 복합과 간결성 내지는 간편성이 구조로 재구성시켜서 장치의 신뢰성을 극대화한 화상치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화상치료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단면구성도로써 밀폐캡의 승,하강 작동예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단면구성도로써 욕조의 승,하강 작동예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베드의 발췌도,
제5도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베드에 있어 바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발췌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밀폐캡, 욕조, 베드의 가이드기구의 발췌 측면 및 정면구성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있어 베드구동기의 정면및 평면구성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있어 밀폐캡및 욕조구동기의 정면및 평면구성도,
제9도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기,수처리 공급기의 구성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지지대20:베드
30:밀폐캡40:욕조
50:기,수처리공급기70:체중계
본 발명은 화상환자의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환자의 치료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설비를 하나의 장치에 복합화및 집약화하여 소형경량화한 간결성내지는 간편성의 구조로 구성시켜서 설치공간의 확보, 사용의 편리성및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제조가 용이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될수 있어 신뢰성이 확보되는 화상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환자의 치료에 있어서는 피부손상으로 노출된 모세혈관을 통한 세균감염내지는 독성과의 접촉에 의해 병세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압상태의 무균격리실(pressured clean isolation)은 필수적이고, 이러한 무균리격리실은 다음의 구비요건을 갖추어야만 된다.
첫째로 공기청정장치(air cleaning system)의 구비이다.
무균격리실의 공기중에 세균성분진은 물론 여하한 독성의 가스도 포함되어서는 안된다. 이처럼 고단위 청정도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0.1㎛까지의 미립자를 포집할수 있는 베타필터(VEPA FILTE : Very High Efficiency Air Filter)를 통과한 청정공기를 급기시켜야 되며, 환기량도 최소 5/h정도가 요구된다.
그리고 이러한 격리실에 외기의 유입을 막기 위해서는 실압(room pressure)을 외압보다 1∼2기압 정도 높게 유지시켜야하며, 이러한 역할을 위한 장치로써 무소음 고성능의 송풍기(blower)및 배풍기(ventilutor)의 설치가 수반되어야 한다.
둘째로 난방장치(room warming system)의 구비이다.
화상치료는 환자의 옷을 전부 벗긴 상태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체온을 충분히 보온시킬수 있는 난방장치가 요구되며, 격리실에 따라 적정하게 조정한 난방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자동제어장치가 수반되어야 한다.
세째로 냉방장치(room cooling system)의 구비이다.
하절기 혹은 체온강하가 필요할때 냉방장치가 요구되며, 이러한 냉방장치 역시 격리실에 따라 적정하게 조정한 냉방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자동제어장치가 되어 있어야만 한다.
네째로 가습장치(huminidity controller)의 구비이다.
격리실의 공기가 너무 건조하면 환부의 수분증발 과다현상으로 새로 돋아나는 약한피부를 쉽게 균열시키거나 수축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가습장치 역시 격리실에 따라 적정하게 조정한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자동제어장치가 되어있어야 한다.
다섯째로 욕창방지용 침상(anti-sorebed)시설의 구비이다.
화상치료는 비교적 장시간을 요하며 환부를 침상에 깔고 지내야 하는 환자의 경우 대부분 욕창(오랜병상의 생활로 인하여 피부접촉부위가 곪는 현상)을 우려해야 한다.
이러한 욕창의 방지를 위해서는 가까운 예로 공기요((air-mattress)를 비롯하여 선회침대(circle bed)등이 요구된다.
여섯째로 욕조(bathing tank)시설의 구비이다.
환부의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기 위한 물맛사지겸, 눌러붙은 거즈등의 이물질을 제거시키기 위하여 수시로 온수욕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욕조시설 역시 적정하게 조정한 수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자동제어기가 수반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화상의 치료를 위해서는 여러가지의 설비의 화상치료유니트가 요구된다.
이러한 화상치료에 필수적인 제반기술의 설비와 운용은 선진국에서는 이미 실시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기초적인 치료기기조차도 구비되지 못한 종합병원이 대부분인 형편이다.
최근 우리나라의 화상환자 발생률은 연료가스의 중가와 산업재해등의 이유로 매년 17∼20%의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증기비율은 다른나라와 비교하여 볼때 매우 높은 비율이다.
그러나, 이러한 화상환자의 증가비율에 비하여 화상치료설비가 미약한 우리나라는 사망률에 있어 선진국보다 약 3∼4배 정도가 높고, 특히 치료과정에서 73%정도가 패혈증에 기인하고 있으며, 환자의 치료기간도 선진국경우에 비하여 평균 30%정도가 연장되고 있어 환자의 고통과 치료비용을 배가시키는 형편인 것이다.
이러한 격차들의 주된 원인은 선진국들은 대부분의 병원에 상기한 바와같은 화상치료에 필요한 본격적인 화상치료 유니트가 운용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상기한 바와같이 기초적인 치료설비내지는 장비들마저 갖추지 못한 실정인 것이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화상치료를 위한 설비의 미약요인은 일반적으로 성인병 환자의 경우와는 대조적으로 화상환자는 대부분 영세한 부류에 속하며 그 상당수가 입원비문제로 조기퇴원을 원할정도여서 그 의료수가를 높일 수 없고 상기한 화상치료 유니트는 건축의 기초단계로 부터 계획내지는 시공이 이루어져야 하고 그 설비중 많은 부분이 중앙공급시스템으로 되어져야 하기 때문에 이동과 신,증설에 제약이 많이 따르며 이를 위해 소요되는 설비투자및 그 운용비용이 막대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병원에서 조차도 본격적인 화상치료 유니트의 설치를 기피해 오고 있는 주된요인으로 연유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은 화상치료 유니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설치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화상치료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화상치료 유니트의 설비및 운용에 따른 막대한 자본투자의 폐단을 극복하면서 우리나라의 실정에 최대한으로 부합될수 있는 화상치료기술에 역점을 두고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격리실의 기능을 보편적인 환자용 침대정도의 크기로 캡슐화시켜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음이 없이 언제, 어느곳에서나 필요에 따라 간단히 비치하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의 간편성과 편리성을 구득하면서 설비투자및 운용비용을 극소화한 화상치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공기정화장치 기능, 냉,난방장치기능, 가습장치기능등 격리실에 수반하는 부대장치기능과, 욕창방지용 침상, 욕조, 물맛사지기등 화상치료용 장치기능을 소형경량화 시킴과 동시에 이를 캡슐화된 격리실에 연계하여 상호기능적 내지는 구조적인 복합과 간결성 내지는 간편성의 구조로 재구성시켜서 장치의 신뢰성을 극대화한 화상치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환자용 침대크기로 베드를 구성하되 상기 베드를 구성하는 고정바사이에 격바를 설치하고 이를 구동기에 의하여 승,하강 작동토록하여 승강시에 상기 고정바와 높이편차에 의한 환자 피부접촉을 달리하여 욕창을 방지토록 구성하고, 상기 베드의 상,하부에는 밀폐캡과 욕조가 각각의 구동기에 의한 승,하강작동토록 하여서 상기 베드를 밀폐시킴에 의한 캡슐화된 격리실을 구현함과 동시에 상기 밀폐캡에는 환자에게 공기및 물을 정화하고 적정온도, 적정습도로 처리공급하는 기,수처리공급기가 연결설치되도록 구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펴보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중공의 상부프레임(11)및 좌,우프레임(12,12)과 하부지지판(13)으로 연결된 장방형의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좌,우프레임(12,12)내측에 수용되는 보편적인 환자용 침대크기의 베드(20)와, 상기 베드(20)의 상,하부에서 상기 지지대(10)의 좌,우프레임(12,12)을 승,하강 작동하는 밀폐캡(30)및 욕조(40)와, 상기 밀폐캡(30)으로 공기를 정화하여 적정온도, 적정습도로 처리공급함과 동시에 물은 정화하여 적정상태로 공급할 수 있는 기,수처리공급기(50)로 대별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0)는 좌,우프레임(12,12)의 상단내부에 3단으로 단차구성된 가이드롤(14,14)이 축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롤(14,14) 사이의 상기 상부프레임(11)내부에는 밀폐캡구동기(17), 베드구동기(18), 욕조구동기(19)가 상,하부로 그 설취위치가 단차지어서 설치되고, 상기 하부지지판(13)과 좌,우프레임(12,12)의 내부에는 각각 전후방으로 가이드봉(15,15)이 입설되어서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베드가이드기구(21) 욕조가이드기구(22), 밀폐캡가이드기구(23)가 연결간(24)의 양단에 고정된 슬라이딩블록(25,25)으로 유설되어지되, 상기 각 연결관(24)은 상호간 단차지어서 가이드브라켓(26)을 고정하여 이에 상기 가이드롤(14,14)및 밀폐 캡구동기(17), 베드구동기(18), 욕조구동기(19)를 경유 설치되는 와이어로우프(W.R)와 상호 연결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10)의 좌,우프레임(12,12)내측에는 전,후방으로 가이드 장공(12a)이 대향천공되어 상기 각각의 가이드기구(21)(22)(23)의 슬라이딩블록(25)에 고정된 연결로드(25a)가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베드구동기(18)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동모터(M)의 워엄샤프트(M-1)에 치합구동되는 워엄휘일(27)이 상기 상부프레임(11)에 고정된 전,후양방의 베어링받이(28)에 중심축(27a)으로 축설되되, 상기 중심축(27a)의 양단에는 편심연결간(29a,29b)을 구성한 연동휘일(29,29)이 고정결합되어서 상기 편심연결간(29a,29b)에 상기 베드가이드기구(21)에 연결된 와이어 로우프(W.R)의 일단이 연결구성된다.
상기 밀폐캡구동기(17)와 욕조구동기(19)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구동모터(M)의 워엄사프트(M-1)에 치합되는 워엄휘일(31)이 양방으로 구획된 권취드럼(32)을 일측에 고정하고 상기 상부프레임(11)에 고정된 전,후 양방의 베어링받이(33)에 중심축(31a)으로 축설되어 와이어 로우프(W.R)를 권취 또는 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밀폐캡구동기(17)와 욕조구동기(19)의 권취드럼(32)은 와이어 로우프(W.R)의 권취에 따른 상호간섭을 배제하도록 권취드럼(32)의 폭을 상호 달리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0)를 구성하는 하부지지판(13)의 상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의 보호지지캡(34)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보호지지캡(34)의 하부 네모 서리부에는 이동용 캐스터(35)가 고정설치된다.
상기 보호지지캡934)의 상부 개방단에는 욕조(40)가 테두리 절곡부(40a)에의해 형성되는 저부의 요홈부(40b)로 안착되어지되, 상기 좌,우의 테두리 절곡부(40a)에는 상기 욕조가이드기구(22)의 슬라이딩블록(25)에 고정된 연결로드(25a)가 연결고정된다.
상기 베드(20)는 상기 욕조(40)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보호지지캡(34)의 내부하부면에 전,후방의 좌,우도 대향되어 고정봉(36,36)이 입설되고 이들의 좌우상부에 고정횡간(37)을 전,후방으로 연결고정되며, 상기 전,후의 고정횡간(37)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바(38)가 다수 설치되어 베드면을 구성하되, 상기 고정바(38)의 각 사이에는 상기 고정바(38)에 의하여 형성되는 베드면보다 낮은 위치로 격바(43)가 전후의 고정횡간(42)의 상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전,후의 고정횡간(42)은 상기 보호지지캡(34)의 내하부에 설치되는 작동판(39)상부의 전,후방에 좌우로 대향되어 입설되는 작동봉(41,41)과 연결고정되며, 상기 작동판(39)은 좌,우의 전,후방에 고정돌기(39a)를 돌설하여 상기 보호지지캡(34)의 좌,우양방에 천공되는 가이드홈(34a)에 돌출되어서 베드가이드기구(21)를 구성하는 슬라이딩블록(25)의 연결로드(25a)와 연결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바(38)및 격바(43)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지간(44)에 상부면이 만곡부로 형성된 분리간(45)이 조립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에 따라 상기 분리간(45)을 분리하고 세척과 소독을 하여 조립사용토록 되어있다.
상기 밀폐캡(30)은 상기 욕조(40)의 절곡테두리부(40a)의 상부면과 동일한 크기의 테두리부(30a)를 형성하여 밀폐패드(30b)를 고정하고 외부에서 내부를 용이하게 볼수 있는 투시창(30c)을 구성하며 상기 좌,우의 테두리부(30a)에는 상기 밀폐캡 가이드기구(23)를 구성하는 슬라이딩블록(25)의 전,후방의 연결로드(25a)와 연결고정된다.
이때, 상기 밀폐캡(30)의 상부 일측에는 주름관(F-1)의 일측이 연통설치되고, 상기 주름관(F-1)의 타측은 상기 지지대(10)의좌프레임(12)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관(46)과 외측에서 연통설치되고, 상기 연결관(46)의 타측은 상기 기,수처리공급기(50)와 연결된 주름관(F-2)과 연통설치된다.
상기 기,수처리공급기(50)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동캐스터(35)에 의해 이동가능한 하우징(51)의 상부에 토출구(51a)를 구성하여 상기 주름관의 일측과(F-2)과 연결되되,
상기 하우징(51)은 토출구(51a)측에 외부 공기를 급기하는 송풍기(52)와 상기 송풍기(52)로 부터 급기되는 공기를 단계별로 여과시키는 1,2차여과기(53,54)와 상기 1,2차여과기를 거치는 과정에 공기를 가온하는 히터(55)와, 외부공기를 적정습도로 정화공급하는 가습기(56)가 구비됨과 동시에 일측에 물을 공급받는 급수구(57)가 설치되고 이 급수구 라인에 급수되는 물을 단계별로 정수처리하는 1,2,3차필터(58,59,60)와 상기 정수된 물을 가온시키는 가온시(61)와 상기 가온기(61)에서 가온된 물을 적정수온으로 조정하는 혼합밸브(62)와, 상기 적정온수의 물을 적정사이클로 샤워기(64)에 조정공급하는 맛사지 싸이클러(63)가 구비되는 한편, 환자치료에 따른 체감성, 인체안정성, 살균성의 산성수를 저장공급하는 산성수탱크(65)가 가압펌프(66)와 연결되고 상기 가압펌프(66)는 상기 3차 필터(60)에서 정화된 물의 공급라인에 연결되어 구성되어진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7은 배수공을, 48은 기밀유지링을, C.B는 제어판넬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제어판넬(C.B)을 조작하여 밀폐된 베드(20) 상부의 밀폐캡(30)을 밀폐캡 구동기(17)에 의하여 상승시켜 베드(20)를 개방시키게 되는바, 이러한 작동을 자세히 살펴보면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밀폐캡구동기(17)를 구성하는 구동모터(17)가 작동하여 워엄사프트(M-1)가 회전하게되고 따라서 이에 치합된 워엄휘일(31)이 중심축(31a)으로 회전하여 권취드럼(32)을 회전시키게된다.
이러한 작동은 상기 권취드럼(32)에 권취된 와이어로우프(W.R)의 양단과 연결된 양방의 밀폐캡 가이드 기구(23)의 슬라이드불록(25)이 상기 지지대(10)의 좌,우프레임(12,12)에 입설된 가이드봉(15)을 따라 상승작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드블록(25)의 연결로드(25a)와 테두리부(30a)로 연결된 밀폐캡(30)이 동시에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개방상태에서 상기 베드(20)의 상부 베드면에 환자를 눕히고 상기 밀폐캡구동기(17)의 구동모타(M)의 역회전작동에 의한 상기의 역순으로 밀폐캡(30)은 하강하여 상기 베드(20)의 하부에 설치된 욕조(40)의 절곡테두리부(40a)의 상부면과 테두리부(30a)의 밀폐패드(30b)가 맞닿아서 상기 베드(20)는 캡슐화된 격리실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밀폐캡(30)의 상부에연통된 주름관(F-1)과 연이어 연결된 연결관(46)및 주름관(F-2)으로 연통연결된 기,수처리공급기5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캡슐화된 베드(20)의 환자에게는 적정온도, 적정습도로 정화처리된 공기가 공급되어 하부의 욕조(40)에 구성되는 배수공(47)으로 배출되어서 무균격리실을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공기의 공급으로 상기 환자는 호흡에 전혀지장이 없게 되어 외부로 부터의 세균감염및 독성과의 접촉이 화상환자의 가장큰 사망요인인 패혈증이 배제되어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화상치료는 장기간의 치료를 요하게 됨으로 환부를 침상에 깔고 지내야 하는 환자의 경우 대부분의 욕창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베드(20)를 구성하는 고정바(28)를 일정간격이격설치하고 동시에 이들 사이에 격바(43)를 상기 고장바(38)가 형성하는 베드면보다 낮게 설치하고 또한 이들 간에도 틈새를 두어 상기 기,수처리공급기(50)에서 처리공급되는 공기에 의하여 통풍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격바(43)를 승,하강작동토록하여 상기 격바(43)의 상승시에는 상기 고정바(38)가 구성하는 베드면보다 높은 베드면을 형성시켜서 환자의 피부접촉을 바꾸도록 하여 욕창을 최대로 방지토록 되어 있는바, 이러한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판넬(C.B)은 조작하여 베드구동기(18)를 작동시키게 되면 베드구동기(18)의 구동모터(M)가 작동하여 이의 워엄샤프트(M-1)의 치합된 워엄휘일(27)을 중심축(27a)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중심축(27)의 양방에 고정결합된 연동휘일(29,29)이 동시회전하게되고 따라서 상기 연동휘일(29,29)에 편심고정된 편심열견간(29a,29b)이 회전하여 상기 양방의 편심연결관(29a,29b)에 일측이 연결된 와이어로우프(W.R)가 양방에서 동시에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외이어로우프(W.R)의 상승은 전술한 밀폐캡가이드기구(23)와 동일하게 베드가이드기구(21)를 작동시키게 되는데 상기 베드가이드기구(21)는 슬라이딩블록(25)의 연결로드(25a)에 연결된 작동판(39)이 상승하면서 이에 연계되어 상기 작동판(39) 상부의 작동봉(41) → 고정횡간(42) → 격바(43)를 상승작동하여 상기 고정바(38)가 구성하는 베드면보다 높게 상승하면서 상기 고정바(38)가 맞닿아 있던 피부와 다른 부위를 떠받쳐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격바(43)를 하강시키고자 하면 다시 상기 베드구동기(18)를 작동시키면 원상태로 되어서 상기 격바(43)가 접촉하고 있던 환자 피부의 다른 부위가 고정바(38)에 의하여 떠받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베드(20)의 작동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그시간과 횟수는 통상적으로 제어판넬(C.B)에 의한 간헐적으로 행함은 당연시 될 것이다.
한편, 화상환자는 환부의 손상된 세포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키기 위하여는 혈액순환의 원활을 기하도록 물맛사지 요법을 병행시켜야 하는바, 본 발명은 환자가 욕조안에 들어가지 않고 베드(20)에 누운상태에서 수욕(水浴) 내지는 맛사지를 받을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료의 능률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러한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판넬(C.B)을 조작하여 상기에서 전술한 바와같이 밀폐컵구동기(17)에 의한 밀폐캡(30)을 상승하여 베드(20)는 개방하고 상기 밀폐캡구동기(17)와 동일하게 욕조구동기(19)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욕조구동기(18)의 작동은 구동모터(M)가 작동하여 워엄샤프트(M-1)회전 → 워엄휘일회전(31) → 권취드럼(32)에 의한 와이어로우프 권취 → 욕조가이드기구(22)의 슬라이등블록(25)이 상승작동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블록(25)의 연결로드(25a)와 절곡테두리(40a)로 연결고정된 욕조(40)가 상승하여 상기 베드(20)에 의해 형성된 베드면 보다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기수처리공급기(50)를 작동하여서 급수구(57)를 통해 인입된 물을 단계적으로 필터(58,59,60)를 거쳐 정수한후 가온기(61)에서 가온하고 혼합밸브(62)에서 적정수온으로 조정하며, 또한 맛사지 싸이클러(63)에서 적정싸이클로 조정하여 샤워기(64)를 통해 환부에 적용시킨다. 그리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 필요되는 산성수의 사용에 있어서는 산성수탱크(65)로부터 가압펌프(66)를 거쳐 가온기(61), 혼합밸브(62), 맛사지 싸이클러(63), 샤워기(64)를 통해 공급시켜서 환자의 상태에따라 적절하게 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화상치료유니트와 같이 광범위한 부대설비가 필요없이 캡슐화된 베드(20)에 편히 누운 상태에서 수욕내지는 물맛사지 요법을 수행할수 있어 치료능률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러한 본발명에 있어 상기 베드(20)는 사용시에 각각의 고정바(38)및 격바(43)는 지지간(44)과 상기 지지간(44)에 조립/분리되는 분리간(45)을 구성하여 상기 분리간(45)을 분리하여 세척및 소독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또한 상기 분리간(45)은 상부를 만곡되게 구성하여 환부와의 압박감을 최소화 시켰다.
또한 화상환자는 수분의 방출이 심하여 치료시에 수시로 환자의 체중 체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베드(20)을 구성하는 격바(43)의 작동구성원인 작동판(39)의 하부에 체중계(70)를 설치하고 상기 체중계(70)는 양방에 지지판(71)로 연결고정하고 상기 지지판(71)은 전술한 각각의 구동기 및 가이드기구와 동일한 기술구성을 별도로 구성하여 이에의한 연계작동으로 승,하강작동하여 상기 체중계(70)가 상기 작동판(39)을 떠받쳐서 상기 베드(20)을 구성하는 격바(43)에 누운상태에서 환자의 체중을 체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 또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수 있는 것은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체중계(70)의 하부에 유,공압실린더(72)를 설치하여 상기 유,공압실린더(72)의 작동에 의해 상기 체중계(70)가 상기 작동판(39)을 떠받치도록 하여 체중을 체크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집약화된 장치 전체를 지탱하는 지지대(10)와 보조수단인 기,수처리공급기(50)을 이동캐스터(35,35)에 의한 간편하게 필요시에 이동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공간의 활용이 극대화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같이 기존의 화상치료에 필수적인 무균격리실의 축조물이어야 된다는 개념을 바꾸어서 보편적인 환자침대의 크기로 화상환자의 치료에 필요한 집약화된 장치를 구현하여 설비 및 운용비용을 최소화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및 설치공간에 따른 이동사용의 편의성과 동시에 상기 집약화된 장치에 필수적인 공기정화기능, 냉난방기능, 가습기능 욕조기능 등의 제반부대장치기능도 밀집소형화하여 장치의 신뢰성이 확보되며 베드의 특이한 구성으로 환부압박에 의한 혈액순환 장해(욕창)방지를 최대로 구득할 수 있어 장치의 신뢰성이 더욱더 확보되는등 매우 유용한 발명임이 명백한 것이다.

Claims (10)

  1. 중공의 상부프레임(11) 및 좌,우프레임(12,12)과 하부지지판(13)으로 연결되어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장방형의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좌,우프레임(12,12)사이에 수용되고 일정간격 이격설치된 고정바(38)사이에 격바(43)를 설치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1)에 설치되는 베드구동기(18)와 연결되고 상기 좌,우프레임(12,12)에 설치된 베드가이드기구(21)에 의하여 승.하강 작동하여 상기 고정바(38)가 형성하는 베드면과 높이편차에 의한 환부와 접촉을 달리한 베드(20)와, 상기 베드(20)의 상,하부에서 상기 상부프레임(11)에 설치된 밀폐캡구동기(17), 욕조구동기(19)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좌,우프레임(12,12)에 설치된 밀폐캡가이드기구(23), 욕조가이드기구(22)에 의하여 승,하강작동하여 상기 베드(20)를 밀폐 도는 개방토록 하여서 베드를 캡슐화하는 밀폐캡(30)과 욕조(40)로 구성되며, 상기 밀폐캡(30)에는 이동가능케 되면서 공기를 정화하고 적정온도, 적정습도로 처리공급함과 동시에 물을 정화하여 환자에 필요한 적정 상태로 처리공급하는 기,수처리공급기(50)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치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는 좌,우프레임(12,12)의 상단내부에 3단으로 단차구성된 가이드롤(14,14)이 축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롤(14,14) 사이의 상기 상부프레임(11) 내부에 밀폐캡구동기(17), 베드구동기(18), 욕조구동기(19)가 상,하부로 그 설치위치가 단차지어서 설치되고 상기 하부지지판(13)과, 좌,우프레임(12,12)의 내부에는 각각 전,후방으로 가이드봉(15,15)이 입설되어서 상기 베드가이드기구(21), 욕조가이드기구(22), 밀폐캡가이드기구(23) 각각이 연결간(24)의 양단에 고정된 슬라이딩 블록(25,25)으로 유설되어지되, 상기 각 연결간(24)은 상호 단차지어서 가이드 브라켓(26)을 고정하여 이에 상기 가이드롤(14,14)및 밀폐캡구동기(17), 베드구동기(18), 욕조구동기(19)를 경유 설치되는 와이어로우프(W.R)와 상호 연결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치료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의 좌,우프레임(12,12) 내측에는 전,후방으로 가이드 장공(12a)이 대향천공되어 상기 각각의 가이드기구(21,22,23)의 슬라이딩 블록(25)에 돌출고정된 연결로드(25a)에 의해서 상기 베드(20), 밀폐캡(30), 욕조(40)와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치료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구동기(18)는 구동모터(M)의 워엄사프트(M-1)에 치합구동되는 워엄휘일(27)이 전,후 양방의 베어링받이(28)에 중심축(27a)으로축설되되, 상기 중심축(27a)의 양단에는 편심연결간(29a,29b)을 구성한 연동휘일(29,29)이 고정결합되어서 상기 편심연결간(29a,29b)에 베드가이드기구(21)에 연결된 와이어로우프(W.R)를 각각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치료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캡구동기(17) 또는 욕조구동기(19)는 구동모터(M)의 워엄사프트(M-1)에 치합되는 워엄휘일(31)이 양방으로 구획된 권취드럼(32)을 일측에 고정하고 전,후양방의 베어링받이(33)에 중심축(31a)으로 축설되어 상기 각각의 욕조가이드기구(22), 밀폐캡가이드기구(23)와 연결되는 와이어로우프(W.R)를 권취 또는 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치료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의 하부지지판(B)은 상부에 장방형의 보호지지캡(34)이 고정설치되고 하부에 이동용캐스터(35)가 고정설치되되, 상부 개방단에는 상기 욕조(40)가 테두리절곡부(40a)에 의해 형성된 요홈부(40b)로 안착됨과 동시에 좌,우에 형성된 테두리절곡부(40a)와 상기 욕조가이드기구(22)의 슬라이딩블록(25)에 고정된 연결로드(25a)와 연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치료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20)는 상기 욕조(40)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보호지지캡(34)의 내부 하부면에 전,후방의 좌,우로 대향되어 고정봉(36,36)이 입설되고 이들의 좌,우상부에 고정횡간(37)을 전,후방으로 연결고정되며, 상기 전,후의 고정횡간(37)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고정바(38)가 다수 설치되어 베드면을 구성하되, 상기 고정바(38)의 사이에는 상기 고정바(38)에 의하여 형성되는 베드면보다 낮은 위치로 상기 격바(43)가 전,후의 고정횡간(42)의 상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전,후의 고정횡간(42)은 상기 보호지지캡(34)의 내하부에 설치되는 작동판(39) 상부의 전,후방에 좌,우로 대향되어 입설되는 작동봉(41,41)과 연결고정되며, 상기 작동판(39)은 좌,우의 전후방에 고정돌기(39a)를 돌설하여 상기 보호지지캡(34)의 좌,우양방에 천공되는 가이드홈(34a)에 돌출되어서 베드가이드기구(21)를 구성하는 슬라이딩블록(25)의 연결로드(25a)와 연결고정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치료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38) 또는 격바(43)는 지지간(44)에 분리간(45)이 조립/분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치료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수처리공급기(50)는 상기 밀폐캡(30)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는 주름관(F-1)과 연결된 상기 지지대(10)의 좌프레임(12)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관(46)과 하우징(51) 상부에 형성된 토출구(51a)에 연결된 주름관(F-2)과 연결되되, 상기 하우징(51)은 이동캐스터(35)에 의해 이동가능케 구성되고 상기 토출구(51a)측에 외부공기를 급기하는 송풍기(52)와 상기 송풍기(52)로 부터 급기되는 공기를 단계별로 여과시키는 1,2차여과기(53,54)와 상기 1,2차여과기를 거치는 과정에 공기를 가온하는 히터(55)와, 외부공기를 적정습도로 정화공급하는 가습기(56)가 구비됨과 동시에 일측에 물을 공급받는 급수구(57)가 설치되고 이 급수구라인에 급수되는 물을 단계별로 정수처리하는 1,2,3차필터(58,59,60)와 상기 정수된 물을 가온시키는 가온기(61)와 상기 가온기(61)에서 가온된 물을 적정수온으로 조정하는 혼합밸브(62)와, 상기 적정수온의 물을 적정사이클로 샤워기(64)에 조정공급하는 맛사지싸이클러(63)가 구비되는 한편, 환자치료에 따른 체감성, 인체안전성, 살균성의 산성수를 저장공급하는 산성수탱크(65)가 가압펌프(66)와 연결되고 상기 가압펌프(66)는 상기 3차필터(60)에서 정화된 물의 공급라인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치료장치.
  10.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20)는 작동판(39) 하부에 체중계(70)를 설치하여 이의 승,하강 작동에 의한 상기 작동판(39)을 떠받쳐서 환자의 체중을 체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치료장치.
KR1019950004835A 1995-03-09 1995-03-09 화상치료장치 KR0140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4835A KR0140912B1 (ko) 1995-03-09 1995-03-09 화상치료장치
EP96103590A EP0730854A3 (en) 1995-03-09 1996-03-07 System for the treatment of burned patients
US08/612,686 US5776048A (en) 1995-03-09 1996-03-08 System for treating burn sufferers
JP8053437A JP2847061B2 (ja) 1995-03-09 1996-03-11 火傷治療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4835A KR0140912B1 (ko) 1995-03-09 1995-03-09 화상치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410A KR960033410A (ko) 1996-10-22
KR0140912B1 true KR0140912B1 (ko) 1998-06-15

Family

ID=19409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4835A KR0140912B1 (ko) 1995-03-09 1995-03-09 화상치료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76048A (ko)
EP (1) EP0730854A3 (ko)
JP (1) JP2847061B2 (ko)
KR (1) KR01409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974B1 (ja) * 1999-02-02 2000-08-07 株式会社サンメディカル 温熱治療装置
JP4221163B2 (ja) 2001-03-23 2009-02-12 株式会社リコー 感熱記録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7198045B2 (en) * 2003-02-10 2007-04-03 Hollis Parker Risley Low pressure hyperbaric chamb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799342B1 (en) 2003-05-27 2004-10-05 Robert G. Jarm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body
US7503322B2 (en) * 2003-09-12 2009-03-17 Harris Michael F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HIV and other viruses
WO2006050594A1 (en) * 2004-11-11 2006-05-18 Arkadij Semenovich Gofman Device for curing burns and for decubitus prevention and treatment
CN101156820B (zh) * 2007-10-18 2010-12-01 施正 抑制灼伤创面渗出用的空气压力舱
WO2010149572A2 (de) * 2009-06-26 2010-12-29 Medis-Kugel Gmbh Verfahren und anlage zur konservierung anatomischer präparate
CN105167951A (zh) * 2015-08-31 2015-12-23 济南方宇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医用水汽理疗床
CN105287127B (zh) * 2015-10-12 2017-11-07 翟德翠 封闭式防传染综合护理床
CN107432823B (zh) * 2016-05-26 2023-08-08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一种冲浪式烧伤浸浴设备
RU183680U1 (ru) * 2017-11-21 2018-10-0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ижегоро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Р.Е. Алексеева" (НГТУ)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ожогов в управляемой влажной среде
CN109833161A (zh) * 2017-11-24 2019-06-04 姜明丽 一种烫伤床
PL233484B1 (pl) * 2017-12-18 2019-10-31 Reha Bed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Sposób pomiaru parametrów środowiskowych w łóżku i łóżko, zwłaszcza dla obłożnie chorych
CN108095952B (zh) * 2018-01-23 2020-12-04 西南医科大学附属医院 单人高压氧舱系统
CN108066081B (zh) * 2018-01-23 2020-12-04 西南医科大学附属医院 高压护理沐浴装置
GB2596288A (en) * 2020-06-22 2021-12-29 Korbadesign Uk Ltd Patient enclosure device
CN112603679A (zh) * 2020-12-17 2021-04-06 杭州喜达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儿科安全防护病床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28548A (ko) *
NL132479C (ko) * 1966-03-25
FR1534753A (fr) * 1967-05-08 1968-08-02 Appareil médical pour le transport, le traitement et l'hospitalisation des polytraumatisés
US3692028A (en) * 1970-12-31 1972-09-19 Ronald F Etten Emergency treatment tank
JPS5247636B2 (ko) * 1973-12-15 1977-12-03
SU1674836A1 (ru) * 1988-12-28 1991-09-07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испытательный институт медицинской техники Гидробарокамера
US5263476A (en) * 1991-07-08 1993-11-23 Henson-Thiery Corporation Enclosure system for burn victims
US5308310A (en) * 1992-08-18 1994-05-03 Vitaltrends Technology, Inc. Plethysmograph system and air-tight sealing assembly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30854A2 (en) 1996-09-11
KR960033410A (ko) 1996-10-22
JPH08266577A (ja) 1996-10-15
US5776048A (en) 1998-07-07
EP0730854A3 (en) 1997-01-08
JP2847061B2 (ja) 1999-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0912B1 (ko) 화상치료장치
US4109329A (en) Invalid bed
US4944060A (en) Mattress assembly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cubitus ulcers
EP2338457A2 (en) Medical bed
CN106137610B (zh) 一种具有防褥疮功能的智能护理床
CN109646216B (zh) 梳齿式具有洗澡功能的护理床
CN111622583A (zh) 全密封篷布装置及具有其的护理室
CN111588574A (zh) 一种临床医学用预防感染的隔离装置
CN110584910A (zh) 一种防传染病肺结核加护病床
CN111728801A (zh) 一种隔离结构及其感染科用隔离护理床
CN214712246U (zh) 一种新生儿用清洗装置
ITBO960329A1 (it) Apparecchiatura sanitaria per l'assistenza a persone inferme, in particolare per l'ausilio nell'espletamento di funzioni fisiologiche.
JP4104962B2 (ja) 無菌室
CN111685472A (zh) 医用剃毛器清洗消毒装置及清洗消毒方法
CN208525272U (zh) 一种神经内科用护理病床
CN208756426U (zh) 一种新型妇产科理疗床
RU2275893C2 (ru) Кровать медицинская, противопролежневая, ожоговая
CN110916925B (zh) 一种手术室护理床及使用方法
RU2051657C1 (ru) Медицинская кровать
CN218375679U (zh) 一种正压充气式洗消帐篷
JP2000316916A (ja) ベッド装置
CN213174945U (zh) 护理室
CN220213265U (zh) 一种翻身辅助器
CN214806277U (zh) 一种床上淋浴器
CN215348577U (zh) 一种特种车辆气溶胶洗消方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