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822Y1 - 전선 배선용 닥트 - Google Patents

전선 배선용 닥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822Y1
KR0140822Y1 KR2019960022205U KR19960022205U KR0140822Y1 KR 0140822 Y1 KR0140822 Y1 KR 0140822Y1 KR 2019960022205 U KR2019960022205 U KR 2019960022205U KR 19960022205 U KR19960022205 U KR 19960022205U KR 0140822 Y1 KR0140822 Y1 KR 01408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ver
duct
connection part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22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9823U (ko
Inventor
김경미
Original Assignee
김경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미 filed Critical 김경미
Priority to KR20199600222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822Y1/ko
Publication of KR9800098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8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8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8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본체(1) 양측에 각기 만곡융기부(7)를 갖는 암 접속부(5)와 숫 접속부(6)가 형성되는 것이여서 이에 다른 하나의 본체(1)를 손쉽게 접·탈한다음 덮개(8)(9)를 씌우게 한 구성임으로 닥트를 일단 설치한 후에도 배선용량의 증·감에 따른 닥트의 증·감설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전선 배선용 닥트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이는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제3도의 (a)(b)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상판
3 : 하판 4 : 연결격판
5 : 암 접속부 6 : 숫 접속부
7 : 만곡융기부 8 : 덮개
9 : 덮개
본 고안은 공장이나 지하실·차고 또는 각종 건축물의 내부에서 전열선·전등선·전화선 또는 기타 선로등을 집단적으로 배선할 때 사용되는 전선 배선용 닥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닥트는 단순히 본체와 그 덮개로 구성되고 사용시에는 본체 내부에 다수의 전선을 수장하고 덮개를 덮어서 사용되는 것 임으로 일단 그 닥트를 설치한 후 배선을 증설하고자 할때 닥트내에 여유공간이 남아있으면 큰 문제가 없지만 여유공간이 없을 때에는 새로운 닥트 하나를 더 증설하거나 아니면 더 큰 규격의 닥트로 교체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미 설치된 닥트의 덮개를 열고 그 부위에 다른 닥트를 연설한 다음 그 덮개를 연설된 닥트에 덮도록 구성함으로서 여러개의 닥트를 계속 연설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 그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술한다.
상판(2)과 하판(3)을 연결격판(4)으로 연설하여 본체(1)를 구성한 다음 그 상판(2)과 하판(3)의 일측 선단에는 만곡융기부(7)를 갖는 암 접속부(5)를 형성하고 그 타측선단에는 역시 만곡융기부(7)를 갖는 숫 접속부(6)를 형성하여 본체(1)의 암 접속부(5)에는 숫 접속부(6)를 갖는 덮개(8)를, 그리고 본체(1)의 숫 접속부(6)에는 암 접속부(5)를 갖는 덮개(9)를 각각 덮어서 된 전선 배선용 닥트로서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본체(1)에서 덮개(8)(9)를 분리시켜서 그 본체(1)를 닥트 현가장치(도면 불표시)위에 고정한 다음 본체(1)의 내부 즉 상판(2)와 하판(3) 사이에 각종 전선(도면 불표시)을 배선 내장하고 덮개(8)(9)를 씌워서 사용하는 것으로 이와같이 덮개(8)(9)를 본체(1)에 씌울때에는 덮개(8)의 숫 접속부(6)를 본체(1)의 암 접속부(6)에 댄 다음 외측에서 내측으로 약간의 힘을 가하면 상판(2)과 하판(3)의 탄성에 의하여 덮개(8)(9)가 본체(1)에 씌워져서 각 만곡융기부(7)에 의하여 고정된다. 또 본체(1)에서 덮개(8)(9)를 이탈시킬 때에는 덮개(8)(9)의 일측선단을 잡고 외측으로 약간의 힘을 가하면 그 일측선단부터 쉽게 본체(1)에서 이탈된다.
그리고 닥트의 용량을 보충하기 위하여 닥트를 증설하고자 할 때에는 덮개(8)(9)중 어느 하나를 본체(1)에서 분리하고 그 본체(1)의 암 접속부(5) 또는 숫 접속부(6)에 다른 본체(1)의 숫 접속부(6) 또는 암 접속부(5)를 대고 상기와 같은 요령으로 접속시킨 다음 새로 접속된 본체(1)일측에 전에 이탈시켰던 덮개를 씌우면 손쉽게 본체(1)하나가 더 접속됨으로서 닥트가 증설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격판(4) 변형을 가하면 본체(1)내부에 더 많은 격실이 형성되어 다양한 전선을 서로 전기적 간섭없이 배선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본체(1) 양측에 각기 만곡융기부(7)를 갖는 암 접속부(5)와 숫 접속부(6)가 형성되는 것이여서 이에 다른 하나의 본체(1)를 손쉽게 접·탈한 다음 덮개(8)(9)를 씌우게 한 구성임으로 닥트를 일단 설치한 후에도 배선 용량의 증·감에 따른 닥트의 증·감설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상판(2)과 하판(3)을 연결격판(4)으로 연설하여 본체(1)를 구성한 다음 그 상판((2)과 하판(3)의 일측 선단에는 만곡융기부(7)를 갖는 암 접속부(5)를 형성하고 그 타측선단에는 역시 만곡융기부(7)를 갖는 숫 접속부(6)를 형성하여 본체(1)의 암 접속부(6)를 갖는 덮개(8)를, 그리고 본체(1)의 숫 접속부(6)에는 암 접속부(5)를 갖는 덮개(9)를 각각 덮어서 된 전선 배선용 닥트.
KR2019960022205U 1996-07-26 1996-07-26 전선 배선용 닥트 KR01408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205U KR0140822Y1 (ko) 1996-07-26 1996-07-26 전선 배선용 닥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205U KR0140822Y1 (ko) 1996-07-26 1996-07-26 전선 배선용 닥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823U KR980009823U (ko) 1998-04-30
KR0140822Y1 true KR0140822Y1 (ko) 1999-05-15

Family

ID=19462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2205U KR0140822Y1 (ko) 1996-07-26 1996-07-26 전선 배선용 닥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82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823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0822Y1 (ko) 전선 배선용 닥트
GB2137025A (en) Outlet adaptor for cable trunking
CN107635370A (zh) 电器盒安装结构、电器盒及空气净化设备
EP0751584A3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US2226292A (en) Lamp holder
CN212257820U (zh) 防溅盒盖体及防溅盒
JP4443820B2 (ja) 分電盤
KR100689872B1 (ko) 배전버스 덕트
JPS5829844Y2 (ja) 照明器具
KR200225092Y1 (ko) 익스텐션
JP3666238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JPH0411302Y2 (ko)
KR200300014Y1 (ko) 전기온돌판넬
KR950007608Y1 (ko) 케이블용 배선 관로
KR200167086Y1 (ko) 단자 블록
KR200267081Y1 (ko) 전선캡
KR200177475Y1 (ko) 접착식 박막 케이블
KR200171330Y1 (ko) 배선덕트용 커버
JPH044377Y2 (ko)
JPS5915213Y2 (ja) 机の配線ダクト
JPH0113505Y2 (ko)
JPS5833657Y2 (ja) 配線ダクトのセンタ−フィ−ドインジョイナ
KR101094661B1 (ko) 엘리베이터 전선 분기박스
JPS63180367U (ko)
JPS61151309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