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9872B1 - 배전버스 덕트 - Google Patents

배전버스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9872B1
KR100689872B1 KR1020050005611A KR20050005611A KR100689872B1 KR 100689872 B1 KR100689872 B1 KR 100689872B1 KR 1020050005611 A KR1020050005611 A KR 1020050005611A KR 20050005611 A KR20050005611 A KR 20050005611A KR 100689872 B1 KR100689872 B1 KR 100689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bus
duct
side wall
distribu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4880A (ko
Inventor
김상용
Original Assignee
김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용 filed Critical 김상용
Priority to KR1020050005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87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4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버스가 적용된 새로운 구조의 배전버스 덕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배전버스 덕트는, 일정한 길이의 양측벽부(110)(120)와, 상기 양측벽부(110)(120)의 하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바닥부(1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측벽부(110)(120) 및 바닥부(130)에 의해 내부 공간(S)이 형성된 덕트 본체(100)와;
상기 덕트 본체(100)의 양측벽부(110)(120) 상단에 결합/분리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덮개(200)와;
상기 덕트 본체(100)의 내부 공간(S)내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열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고정수단(400)에 의해 설치되는 배전버스(30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400)은, 상기 덕트 본체(100)의 바닥부(130)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열의 삽입홈(410)과;
상기 배전버스(3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상면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개방된 상면 개방부(421)와, 상기 배전버스(300)의 양단부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개방된 양측면 개방부(422)로 이루어져 상기 배전버스(300)를 감싸며, 상기 다수열의 삽입홈(410)내에 각각 삽입되는 절연체(4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전버스 덕트, 본체, 덮개, 배전버스

Description

배전버스 덕트{A bus duc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전버스 덕트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전버스 덕트의 짧은변에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절연체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버스 덕트의 일단부에 터미널단자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태낸 도면.
도 5는 두개의 배전버스 덕트를 맞대어 연결할때 배전버스들의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덕트 본체
110,120 : 양측벽부
130 : 양측벽부
200 : 덮개
300 : 배전버스
본 발명은 배전버스 덕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버스가 적용된 새로운 구조의 배전버스 덕트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전기를 공급하는 대부분의 배전수단이 원형 단면의 케이블 형태의 전선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케이블 형태의 전선은 대형 빌딩이나 대형 플랜트에 있어서 그 배전용량을 커버하기가 쉽지 않으며, 시설내의 각각의 분기부에서의 연결 및 접속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바(Bar) 형태의 배전수단이 제안되어 그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얇은 바 형태의 배전버스(이하, '배전버스'라 한다.)를 이용하는 예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현재 추세에 맞추어 배전버스가 적용된 새로운 구조의 배전버스 덕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배전버스 덕트는, 일정한 길이의 양측벽부와, 상기 양측벽부의 하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바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측벽부 및 바닥부에 의해 내부 공간(S)이 형성된 덕트 본체와; 상기 덕트 본체의 양측벽부 상단에 결합/분리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덮개와; 상기 덕트 본체의 내부 공간(S)내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열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고정수단에 의해 설치되는 배전버스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덕트 본체의 바닥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열의 삽입홈과; 상기 배전버스의 길이 방향으로의 상면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개방된 상면 개방부와, 상기 배전버스의 양단부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개방된 양측면 개방부로 이루어져 상기 배전버스를 감싸며, 상기 다수열의 삽입홈내에 각각 삽입되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배전버스 덕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전버스 덕트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전버스 덕트의 짧은변에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절연체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버스 덕트의 일단부에 터미널단자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태낸 도면이며, 도 5는 두개의 배전버스 덕트를 맞대어 연결할때 배전버스들의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버스 덕트는, 덕트 본체(100)와, 덮개(200)와, 배전버스(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덕트 본체(100)는 일정한 길이의 양측벽부(110)(120)와, 상기 양측벽부(110)(120)의 하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바닥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양측벽부(110)(120) 및 바닥부(130)에 의해 내부 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덮개(200)는 상기 덕트 본체(100)의 양측벽부(110)(120) 상단에 결합/분리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그 재질은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을 압출하여 형성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220은 덮개(200)를 상기 양측벽부(110)(120)와 결합시키는 체결 볼트이다.
상기 배전버스(300)는 상기 덕트 본체(100)의 내부 공간(S)내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열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고정수단(400)에 의해 설치된다.
상기 배전버스(300)의 재질은 구리등 전도성이 있는 재질이면 무엇이든지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배전버스(300)를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경우라고 할때 상기 배 전버스(300)의 종단면 형상(짧은변에서의 종단면)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을 기본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할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배전버스 덕트의 구성중 상기 고정수단(400)은 상기 배전버스(3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상면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개방시키는 상면 개방부(421)와, 상기 배전버스(300)의 양단부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개방시키는 양측면 개방부(422)로 이루어져 상기 배전버스(300)를 감싸는 절연체(420)로 이루어져 상기 덕트 본체(100)의 바닥부(130)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된 다수열의 삽입홈(410)내에 각각 내장되는 절연체(4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절연체(420)는 일례로 상기 삽입홈(410)에 압입 내장 설치함으로써, 이탈 방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연체(420)를 압입 내장하지 않은 대신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410)을 형성하는 지지벽(411)의 높이는 상기 바닥부(130)의 상면(131)에 비해 소정 높이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절연체(420)의 상측 양외측벽에는 각각 상기 지지벽(411)에 안착되는 지지돌기(423)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기(423)는 상기 바닥부(130)에 결합되는 체결볼트(424)에 의해 상기 지지벽(411)의 상면에 압착되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돌기(423)를 구성함으로 인해 체결볼트(424)로부터 절연체(420)가 삽입홈(4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이제까지 설명한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200)의 하면과 상기 덕트 본체(100)의 양측벽부(110)(120) 상면 사이에는 방수부재(210)를 개재하여 외부로부터 덕트본체(10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방수부재(210)는 고무재질의 판상의 형태로도 구현가능한데, 이렇게 할 경우에는 덮개(200)의 하면 전체에 고무판을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이제까지 설명한 구성에서 상기 덕트 본체(100)의 일단부에는 상기 절연체(420)로부터 노출된 상기 배전버스(300)의 상면에 소정 간격 이격된 한쌍의 나사홈(301)(302)이 형성되고, 상기 배전버스(300)의 상면에 외부로 전원을 인출하는 터미널단자(320)가 놓여지며, 상기 터미널단자(320)는 상기 나사홈(301)(302))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볼트(3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터미널단자(320)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하여 외부로 전기를 인출을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덕트 본체(100)의 일단부에 다른 덕트 본체(100A)를 맞대어 연결할 경우에 상기 덕트 본체(100)내의 배전버스(300)와 상기 덕트 본체(100A)내의 배전버스(300A)를 서로 맞대어 접촉시킨 다음, 상기 배전버스(300)(300A)의 상면에 이들과 공통으로 접속되도록 단일의 접속바(300B)를 위치시키고, 체결볼트(300C)로 상기 접속바(300B)가 상기 배전버스(300)(30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덕트 본체(100)내에 배전버스(300)를 다수열 배열 설치함으로써, 단상 2선, 3상3선, 3상4선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전버스(300)를 조립식으로 덕트 본체(100)에 설치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체(420)를 회로 구성별로 구분하여 조립할 수 있다.
즉, 회로를 분기하는 지점에는 배전버스(300)를 피복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배전버스 덕트는 규격을 다향하게 변경하여 제작 가능하여 탄력적으로 회로를 변경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배전버스가 적용된 새로운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일정한 길이의 양측벽부(110)(120)와, 상기 양측벽부(110)(120)의 하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바닥부(1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측벽부(110)(120) 및 바닥부(130)에 의해 내부 공간(S)이 형성된 덕트 본체(100)와;
    상기 덕트 본체(100)의 양측벽부(110)(120) 상단에 결합/분리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덮개(200)와;
    상기 덕트 본체(100)의 내부 공간(S)내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열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고정수단(400)에 의해 설치되는 배전버스(30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400)은, 상기 덕트 본체(100)의 바닥부(130)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열의 삽입홈(410)과;
    상기 배전버스(3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상면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개방된 상면 개방부(421)와, 상기 배전버스(300)의 양단부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개방된 양측면 개방부(422)로 이루어져 상기 배전버스(300)를 감싸며, 상기 다수열의 삽입홈(410)내에 각각 삽입되는 절연체(4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버스 덕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420)는 상기 삽입홈(410)에 압입 내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버스 덕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410)을 형성하는 지지벽(411)의 높이는 상기 바닥부(130)의 상면(131)에 비해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절연체(420)의 상측 양외측벽에는 각각 상기 지지벽(411)에 안착되는 지지돌기(423)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기(423)는 상기 바닥부(130)에 결합되는 체결볼트(424)에 의해 상기 지지벽(411)의 상면에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버스 덕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의 하면과 상기 덕트 본체(100)의 양측벽부(110)(120) 상면 사이에는 방수부재(210)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버스 덕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본체(100)의 일단부에는 상기 절연체(420)로부터 노출된 상기 배전버스(300)의 상면에 이격된 한쌍의 나사홈(301)(302)이 형성되고, 상기 배전버스(300)의 상면에 외부로 전원을 인출하는 터미널단자(320)가 놓여지며, 상기 터미널단자(320)는 상기 나사홈(301)(302))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볼트(3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버스 덕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본체(100)의 일단부에 다른 덕트 본체(100A)를 맞대어 연결할 경우에 상기 덕트 본체(100)내의 배전버스(300)와 상기 덕트 본체(100A)내의 배전버스(300A)를 서로 맞대어 접촉시킨 다음, 상기 배전버스(300)(300A)의 상면에 이들과 공통으로 접속되도록 단일의 접속바(300B)를 위치시키고, 체결볼트(300C)로 상기 접속바(300B)가 상기 배전버스(300)(30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버스 덕트.
KR1020050005611A 2005-01-21 2005-01-21 배전버스 덕트 KR100689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611A KR100689872B1 (ko) 2005-01-21 2005-01-21 배전버스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611A KR100689872B1 (ko) 2005-01-21 2005-01-21 배전버스 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880A KR20060084880A (ko) 2006-07-26
KR100689872B1 true KR100689872B1 (ko) 2007-03-09

Family

ID=37174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611A KR100689872B1 (ko) 2005-01-21 2005-01-21 배전버스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98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055B1 (ko) * 2006-11-27 2008-03-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방수형 부스 덕트 및 부스 덕트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621U (ko) * 1998-02-25 1999-09-27 이종수 수,배전반의 전로 지지장치
US5967818A (en) 1996-12-17 1999-10-19 Schneider Electric Sa Electrical distribution duct with transmission bus
KR20000009592A (ko) * 1998-07-27 2000-02-15 윤종용 버스바 커버장치
US6431880B1 (en) 1998-06-22 2002-08-13 Cooper Technologies Modular terminal fuse block
KR20030015399A (ko) * 2001-08-07 2003-02-25 학교법인 경북과학대학 식이섬유 제조용 미생물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이섬유제조방법
KR20030058856A (ko) * 2002-01-02 2003-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포토 스피너 설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7818A (en) 1996-12-17 1999-10-19 Schneider Electric Sa Electrical distribution duct with transmission bus
KR19990036621U (ko) * 1998-02-25 1999-09-27 이종수 수,배전반의 전로 지지장치
US6431880B1 (en) 1998-06-22 2002-08-13 Cooper Technologies Modular terminal fuse block
KR20000009592A (ko) * 1998-07-27 2000-02-15 윤종용 버스바 커버장치
KR20030015399A (ko) * 2001-08-07 2003-02-25 학교법인 경북과학대학 식이섬유 제조용 미생물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이섬유제조방법
KR20030058856A (ko) * 2002-01-02 2003-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포토 스피너 설비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3153990000 *
200358856000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880A (ko) 200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62915C (en) Electrical wiring system
FI63304C (fi) Elektriskt anslutningsdon och en med flera kontakter foersedd elektrisk foerbindningsanordning
RU2007146170A (ru) Электропроводность в системе подвесного потолка
DE69709369D1 (de) Leiterplattenmontierbarer elektrischer verbinder
DE69904095D1 (de) Elektrischer Steckverbinder zur Herstellung des Kontakts mit mindestens einer flachen Leiterfolie
KR100689872B1 (ko) 배전버스 덕트
ATE346407T1 (de) Querverbinder für elektrische geräte wie anschlussklemmen
JP2021087272A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DE69921540D1 (de) Elektrischer Verbinder mit abnehmbarer Drahtverbindung am Leitungseinführungsende
KR100717889B1 (ko) 천정배선 분기장치
KR200274778Y1 (ko) 바닥배선용 전선박스
KR20110089559A (ko) 태양전지 패널의 정션박스용 에어밴트 및 이를 구비한 정션박스
FR2821990B1 (fr) Connecteur pour une connexion electrique avec l&#39;exterieur d&#39;une serie de fils electriques
EP1474855B1 (en) Housing for prefabricated electrical conductors
KR19990083286A (ko) 긴홈이형성되는접촉라인용전류공급장치
JP7156875B2 (ja) 電気接続箱、及び、電気接続箱ユニットの製造方法
PL347715A1 (en) Branching device for cables
JP2659169B2 (ja) 太陽電池パネル用コネクタ
KR100830817B1 (ko) 전기적 부하를 전력선에 연결하기 위한 구조체
DK0428832T3 (da) Lederforbindelse til kabelledere, især til telekommunikationskabler
KR100717890B1 (ko) 천정배선 분기장치
KR0171249B1 (ko) 커넥터의 터미널구조
KR200162901Y1 (ko) 조류 둥지 방지를 위한 전주용완금
KR200272442Y1 (ko) 전력분배용 절연지지대
KR101053651B1 (ko) 멀티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