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475Y1 - 접착식 박막 케이블 - Google Patents

접착식 박막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475Y1
KR200177475Y1 KR2019990024402U KR19990024402U KR200177475Y1 KR 200177475 Y1 KR200177475 Y1 KR 200177475Y1 KR 2019990024402 U KR2019990024402 U KR 2019990024402U KR 19990024402 U KR19990024402 U KR 19990024402U KR 200177475 Y1 KR200177475 Y1 KR 2001774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nector
thin film
core wir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4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길봉
Original Assignee
송길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길봉 filed Critical 송길봉
Priority to KR20199900244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4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4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4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력선이나 제어선 등으로 사용되는 케이블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실내에 배선하기 좋도록 한 접착식 박막 케이블의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박막상으로 넓은 폭을 가지는 심선과, 심선의 외주를 둘러싸는 절연체와, 절연체를 밀폐하여 둘러싸는 피복으로 이루어지는 얇고 넓은 케이블, 케이블의 일면에 부착되는 접착제, 양측단부에 케이블이 압입되도록 음각으로 형성되는 요입홈과, 각 요입홈내의 심선이 그 사이에 삽지되는 위치에서 노출되는 2매의 평행한 평판상으로 된 돌출도체와로 이루어지는 컨넥터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배선의 편의를 주면서도, 케이블간의 접속을 손쉽고도 누전이나 감전사고 등을 방지 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며, 여러 가지 사양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배선구조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효과적이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접착식 박막 케이블{Adhesive thin cable}
본 고안은 동력선이나 제어선 등으로 사용되는 케이블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실내에 배선하기 좋도록 한 접착식 박막 케이블의 고안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전선)은 그 굵기나 규격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동력선이나 아날로그 또는 디지탈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선등 여러 가지로 사용되고 있으며, 전기에 의하여 동력을 공급받거나 제어를 하는 여러 가지 기기장치 등의 사용이 필수화된 현대생활에서는 배선이 없는 실내가 없다고 할 정도로 우리의 생활주변에 널려 있는 것이 통상이다.
따라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이사를 하거나 새로운 기기를 구입하였을 때에는 그를 위한 각 장치의 배치 및 배선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노력하에서도 깔끔하고 적절한 배선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주거 또는 생활환경의 지장을 초래하고, 심한 경우에는 치렁치렁 늘어진 배선에 걸려서 넘어지거나 다른 장비와의 간섭으로 배선을 파손하여 당해 장치의 손상 및 감전 등의 안전사고까지 일으킬 수 있어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케이블을 개량하고자 하는 시도가 빈번히 있어 왔으며, 이러한 시도중의 하나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2-10368호의 접착전선으로, 이는 도 5a에 구성상태로서 도시하고 도 5b에 확대 단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의 동선(11)에 피복(13)을 압출 성형할 때 접착판을 형성시키고, 여기에 보호지(31)가 부착된 양면 접착테이프(3)를 부착시킨 접착 전선으로 구성된 것(용어는 공개공보에 기재된대로 기재함)으로, 종래의 케이블에 접착테이프(3)를 부착시켜서 실내의 벽면 또는 천정 등에 접착이 되도록 한 것으로, 배선시에 부착을 할 수 있어서 치렁치렁한 배선을 방지한다는 장점은 있으나, 케이블(1)간에 이어서 배선을 할 시에는 접착판이 덧붙은 피복(13)을 벗기기 쉽지 않으며, 또한 연결시에 나출되는 동선(11)에 대한 처리방안이 제시되지 않은 미완성 고안에 불과하며, 기타 제시되는 여러 가지 선행 고안이 있으나 상술한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배선의 편의를 주면서도, 케이블간의 접속을 손쉽고도 누전이나 감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며, 여러 가지 사양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배선구조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것인데, 이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개 상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요부의 발췌 상태도,
도 5는 종래 고안의 구성 상태도 및 단면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블
11 : 심선 12 : 절연체 13 : 피복
2 : 컨넥터
21 : 요입홈 22 : 돌출도체
3 : 접착제
31 : 보호지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케이블(1)과 컨넥터(2)를 연결하기 직전의 전개상태도이고, 도 3a는 도 1의 A-A선에서 절단한 단면확대도이고, 도 3b는 직선 컨넥터(2)의 B-B선에서 절단한 단면 확대도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상으로 넓은 폭을 가지는 심선(11)과, 상기 심선(11)의 외주를 둘러싸는 절연체(12)와, 상기 절연체를 밀폐하여 둘러싸는 피복(13)으로 이루어지는 얇고 넓은 케이블(1); 상기 케이블(1)의 일면에 부착되는 접착제(3); 양측단부에 상기 케이블(1)이 압입되도록 음각으로 형성되는 요입홈(21)과, 상기 각 요입홈(21, 21)내의 상기 심선(11)이 그 사이에 삽지되는 위치에서 노출되는 2매의 평행한 평판상으로 된 돌출도체(22)와로 이루어지는 컨넥터(2);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이 2개 이상의 동일구조로 이루어지고 외피(13)는 측면에서 일체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컨넥터(2)도 상기 케이블(1)의 수량에 따른 접속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도 4a는 본 고안의 일 요부인 컨넥터(2)만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다른 구성상태도이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2)가 ㄱ자상으로 소정각도로 구부러져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도 4b 및 도 4c는 본 고안의 일 요부인 컨넥터(2)만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또 다른 구성상태도이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2)가 T자상 또는 십자상을 이루고, 상기 컨넥터(2) 안에 삽입되는 돌출도체(22)의 연장부들간에는 각 1개소에서만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케이블(1)은 박막상으로 넓은 폭을 가지는 심선(11)과, 상기 심선(11)의 외주를 둘러싸는 절연체(12)와, 상기 절연체를 밀폐하여 둘러싸는 피복(13)으로 이루어지는데, 케이블(1)의 심선(11)은 저항이 적은 소재, 예컨대 구리나 알루미늄을 단체(單體)로서 박막상으로 가공하여 사용하고(도체를 단체로 사용하는 이유는 굴곡시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 심선(11)의 주변을 둘러싸는 절연체(12)는 누전을 차단하면서 저항열에 강한 소재, 예컨대 XLPE나 PVC등이 사용될 수 있고, 피복(13)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소재는 PVC이며, 전체로서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얇고 넓은 평판상을 이루며, 이에다가 케이블(1)의 일면에 접착제(3)가 부착되어 벽면이나 천정 등에 부착이 용이하고, 일단 부착되면 자중에 비하여 부착면적이 넓으므로 견고히 부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착제(3)의 하면에는 보관시의 편의를 위하여 보호지(31)를 부착시킴은 공지의 기술이다.
또한, 컨넥터(2)는 양측단부에 상기 케이블(1)이 압입되도록 음각으로 형성되는 요입홈(21)과, 상기 각 요입홈(21, 21)내의 상기 심선(11)이 그 사이에 삽지되는 위치에서 노출되는 2매의 평행한 평판상으로 된 돌출도체(22)와로 이루어지므로, 케이블(1)과 케이블(1)을 연결할 시에 케이블(1)의 종단은 수직으로 절단된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케이블(1)을 상기 요입홈(21)측으로 접근시키면서 돌출도체(22)의 상하 평판이 심선(11) 상하에 위치하는 절연체(12)에 맞닿도록 하여 밀어 넣으면, 평판의 돌출도체(22)가 넓은 면적으로 심선(11)을 가운데 삽지하면서 그 상하에 밀착되어 적은 저항으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며, 또 케이블(1) 피복(13)의 단부 소정길이 만큼은 컨넥터(2)의 요입홈(21)내에서 압지되며, 이때 돌출도체(22)가 절연체(12)안쪽을 쑤시고 들어가면서 피복(13)을 외측으로 벌리는 역할을 하여 피복(13)을 컨넥터(2)의 요입홈(21)내에서 요입홈(21)을 이루는 벽체측으로 강하게 밀어붙여 주므로 아주 견고한 기계적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컨넥터(2) 일단의 돌출도체(22)는 컨넥터(2)를 횡단하여 반대측에서 다른 케이블(1)과 상기한 과정으로 전기적·기계적 결합을 하므로 결국 컨넥터(2)는 양측의 케이블(1, 1)을 전기적·기계적으로 연결하여 일체화하게 되며, 이때 컨넥터(2)의 저면에도 접착제(3)가 부착되면 배선의 적정을 기할 수 있으며, 컨넥터(2)내에 위치되는 돌출도체(22)는 2매의 평판을 그대로 배치하는 것이 제작비용을 저렴하게 하게되나, 2매의 평판 사이에 압지되는 심선(11)의 쇄기력에 의하여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전기적 연결에 대한 저항이 작으며, 따라서 2매의 평판이 모아져서 하나로 되게 함이 바람직하며{도 2의 우측 돌출도체(22) 참조}, 또 컨넥터(2)내에 위치되는 돌출도체(22)의 연장부도 상기 절연체(12)와 같은 소재로 절연시키면 만전을 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들일지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내에 있음은 명백하다.
본 고안의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 케이블(1)이 2개 이상의 동일구조로 이루어지고 외피(13)는 측면에서 일체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컨넥터(2)도 상기 케이블(1)의 수량에 따른 접속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예컨대 동력선과 같이 2선 또는 3선이 필요한 경우에도 이에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 컨넥터(2)가 ㄱ자상으로 소정각도로 구부러져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실내에서의 배선시 코너부분에의 적응이 용이하다. 이때, 컨넥터(2)의 구부러지는 내외측은 소정반경으로 라운드(Round)를 주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 컨넥터(2)가 T자상 또는 십자상을 이루고 있어서, 예컨대 T자상의 컨넥터(2)에서는 3개의 케이블(1)을 접속시킬 수 있으므로 하나의 인입선을 2개로 나누어 인출시킬 수 있으며, 십자상에서는 하나의 인입에 3개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된다. 또한, 상기 컨넥터(2) 안에 삽입되는 돌출도체(22)의 연장부들간에는 각 1개소에서만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어서, 케이블(1)에 심선(11)이 두 개이상 있는 것의 컨넥터(2)인 경우, 컨넥터(2)내에 삽입되는 돌출도체(22)의 연장부들 간에는 서로 교차가 되나 이들은 상술한 절연체(12)로 감싸이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돌출도체(22)의 연장부간에만 연결이 되므로 합선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며, 이때, 심선(11)이 2이상인 경우에는 케이블(1) 및 컨넥터(2)의 각 심선(11) 및 돌출도체(22)별로 색구별을 주는 것도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는 긴요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배선의 편의를 주면서도, 케이블간의 접속을 손쉽고도 누전이나 감전사고 등을 방지 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며, 여러 가지 사양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배선구조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효과적이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박막상으로 넓은 폭을 가지는 심선(11)과, 상기 심선(11)의 외주를 둘러싸는 절연체(12)와, 상기 절연체를 밀폐하여 둘러싸는 피복(13)으로 이루어지는 얇고 넓은 케이블(1);
    상기 케이블(1)의 일면에 부착되는 접착제(3); 양측단부에 상기 케이블(1)이 압입되도록 음각으로 형성되는 요입홈(21)과, 상기 각 요입홈(21, 21)내의 상기 심선(11)이 그 사이에 삽지되는 위치에서 노출되는 2매의 평행한 평판상으로 된 돌출도체(22)와로 이루어지는 컨넥터(2);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박막 케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이 2개 이상의 동일구조로 이루어지고 외피(13)는 측면에서 일체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컨넥터(2)도 상기 케이블(1)의 수량에 따른 접속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박막 케이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2)가 ㄱ자상으로 소정각도로 구부러져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박막 케이블.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2)가 T자상 또는 십자상을 이루고, 상기 컨넥터(2) 안에 삽입되는 돌출도체(22)의 연장부들간에는 각 1개소에서만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박막 케이블.
KR2019990024402U 1999-11-09 1999-11-09 접착식 박막 케이블 KR2001774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402U KR200177475Y1 (ko) 1999-11-09 1999-11-09 접착식 박막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402U KR200177475Y1 (ko) 1999-11-09 1999-11-09 접착식 박막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7475Y1 true KR200177475Y1 (ko) 2000-04-15

Family

ID=19595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402U KR200177475Y1 (ko) 1999-11-09 1999-11-09 접착식 박막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4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766A (ko) 2020-02-05 2021-08-13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케이블 모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766A (ko) 2020-02-05 2021-08-13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케이블 모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277779U (zh) 可弯曲的线缆连接器组合
DE69713200D1 (de) Elektrische Verbinderanordnung mit Koaxialkabel mit gewelltem Aussenleiter
EP2980931B1 (en) Electrical connector
CA2236230A1 (en) Resolver stator structure
KR20070013349A (ko)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KR200177475Y1 (ko) 접착식 박막 케이블
CN2409631Y (zh) 线缆连接器
CN210039747U (zh) 低压配电和电气装置用铜带层叠导体挤包绝缘电力电缆
CN211181677U (zh) 组合型多功能电源线
JPS6137188Y2 (ko)
CN218005374U (zh) Dc电源线
CN215834802U (zh) 一种控制器接线端的密封连接结构
CN215266709U (zh) 一种防护型的端子接头
CN210606761U (zh) 一种具有防漏电功能的电线电缆
KR200304171Y1 (ko) 트랜스포머
CN216562544U (zh) 一种防水耐磨电缆线
CN220084051U (zh) 一种用于实现拉绳传感器一路或多路信号的装置
CN216487452U (zh) 一种光电复合缆
JPH0531779Y2 (ko)
JP3036644B2 (ja) 電力ケーブル接続部
JPS5925103Y2 (ja) L型ピンプラグ
JPH0614325Y2 (ja) 被覆電線
AU2336495A (en) An electrical connection of a cable to a contact terminal and the terminal thus cabled
JP2740951B2 (ja) ケーブル線路
JPH0743955Y2 (ja) 集中結線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