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758Y1 - 자동차 시이트용 허리받침 조절 손잡이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이트용 허리받침 조절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758Y1
KR0140758Y1 KR2019940014881U KR19940014881U KR0140758Y1 KR 0140758 Y1 KR0140758 Y1 KR 0140758Y1 KR 2019940014881 U KR2019940014881 U KR 2019940014881U KR 19940014881 U KR19940014881 U KR 19940014881U KR 0140758 Y1 KR0140758 Y1 KR 01407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knob
housing
seat
slide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4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119U (ko
Inventor
허준열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14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758Y1/ko
Publication of KR9600011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1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7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7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92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lin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외관이 미려하고, 조작하기에 힘이 들지 않는 자동차 시이트의 허리받침 조절손잡이로서, 하이징(14)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6)으로 슬라이드노브(16)를 수납 배치하되, 탄발스프링(14)에 의해 항상 탄발력을 받고록 설치하고, 상기한 하우징(14)의 소정위치로 해제버튼(24)을 설치하여 상기한 슬라이드노브(16)의 록크홈(30)에 상기한 해제버튼(24)의 일측 종단부(28)가 상대하여 구속-해방시키게 한 자동차 시이트용 허리받침 조절손잡이.

Description

자동차 시이트용 허리받침 조절 손잡이
제1도는 본 고안의 주요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 손잡이의 절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자동차 시이트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하우징 6 : 공간
10 : 커버 12 : 스프링시트
14 : 탄발스프링 16 : 슬라이드노브
18 : 출입구 24 : 해제버튼
26 : 고정축 28 : 종단부
30 : 록크홈 32 : 토오션스프링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등받이 시이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허리받침 조절장치에 적합한 자동차 시이트용 허리받침 조절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시이트는 운전자가 장시간 주행에도 쉽게 피로를 느끼지 않도록 안락하면서도 앉은 자세에서 혈액 순환이 순조로히 되게 하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자동차의 시이트는 여기에 착석하는 운전자의 체형 굴곡에 일치되는 외표면을 갖도록 만들어지고 있지만, 체형의 차이로 인한 문제는 시이트의 외표면 형태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것으로 주지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자동차 시이트는 그 외표면 형상외에도 여러가지 편리장치에 의존하여 가급적 운전자의 체형에 맞춰질 수 있게 하고 있다.
일예로 등받이 시이트의 경우에는, 등받이 경사각 조절장치와 허리받침 조절장치가 설치된다. 그중에서 허리받침 조절장치는 운전자의 허리부위에 해당되는 등받이 내측에 럼바(lumbar)를 가로방향으로 배치해 놓고, 외부에서 조절손잡이를 통해 상기한 럼바를 회동 조작시켜서 등받이 시이트의 허리부위 돌출정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허리받침 조절장치에 있어서, 럼바의 회동 조작을 가능케하는 조절손잡이는 다이얼형과 레버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전자의 다이얼형은 회전 조작을 여러번 해야 하는 것임에도 허리부위의 돌출 조절폭은 그리 크게 나타나지 않는 단점을 보이고 있고, 후자의 레버형은 회동 조작이 간편하고, 또 허리부위의 돌출 조절폭이 큰 장점은 있으나, 등받이 시이트의 측방 곡선에 레버손잡이의 윤곽이 어울리지 않게 되어 외관이 좋지 않게 되고, 게다가 레버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없기 때문에 조작하기가 힘들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자동차 시이트에 있어서, 허리받침 조절장치의 레버형 조절손잡이로 인해 나타나는 외관적인 문제점과 조작상의 곤란성 등을 근본적으로 개선시킨 자동차 시이트용 허리받침 조절손잡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한쪽에 출입구가 열려진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으로, 상기한 공간의 내부에 수납되어서 탄발스프링에 의한 탄발력으로 항상 공간의 출입구를 통해 돌출되는 슬라이드노브를 수납 배치하는 한편, 상기한 하우징의 소정위치에 고정축으로 해제버튼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해서 그 일측의 종단부가 상기한 슬아이드노브의 측면에 형성된 록크홈과 상대하도록 상기한 공간의 내부로 항상 연장 위치하게 되어 있는 자동차 시이트용 허리받침 조절손잡이를 제안한다.
상술한 구성의 조절손잡이는, 그 외형이 종래의 다이얼형 손잡이에 버금가게 할 수 있으면서도 슬라이드노브를 돌출시켰을 때는 종래의 레버형보다도 길이가 더 길어지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주요부 단면도로서, 통상의 럼바(도시 생략)를 연동시키는 회동축(2)의 종단부에는 하우징(4)이 직교방향으로 장착된다.
하우징(4)의 내부에는 공간(6)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6)의 한쪽은 고정나사(8)로 장착되는 커버(10)에 의해 막혀져 있다.
커버(10)는 반구상으로 돌출 형성된 스프링시트(12)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스프링시트(12)에 의해 공간(6)의 내부에는 탄발스프링(8)이 수납 설치될 수 있다.
탄발스프링(14)은 슬라이드노브(16)를 지지해서 이것이 항상 하우징(4)의 외측방으로 돌출하고 있도록 탄발력을 가하여 주게 된다.
슬라이드노브(16)는 커버(10)가 하우징(4)에 장착되기 전에 공간(6)으로 수납되는 것이며, 이것은 내측단에 외향 플랜지(20)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탄발스프링(14)으로부터 힘을 받고 있어도, 공간(6)의 출입구(18)를 통해 이탈되는 일이 없게 되어 있다.
하우징(4)의 한쪽 외주에는 공간(6)과 연통되는 홈(22)이 열려져 있고, 이 홈(22)에는 해제버튼(24)이 고정축(2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해제버튼(24)은 공간(6)으로 연장 위치하는 종단부(28)를 빗장으로 해서 상기한 슬라이드노브(16)의 록크홈(30)과 상대하게 된다.
해재버튼(24)의 내측에는 토오션스프링(32)이 설치된다. 이 토오션스프링(32)은 그 일단부를 해제버튼(24)과 접촉시키고, 반대측 타단부는 하우징(4)에 접촉시켜서 항상 해제버튼(24)의 종단부(28)가 공간(6)으로 돌출하고 있도록 탄압시켜 주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절손잡이는, 슬라이드노브(16)를 하우징(4)의 내부로 밀어 넣어 수용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즉, 제2도의 도시와 같이 슬라이드노브(16)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탄발스프링(14)의 힘을 누르고 하우징(4)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으며, 이 때에 해제버튼(24)의 종단부(28)는 슬아이드노브(16)의 록크홈(30)에 끼워져서 슬라이드노브(16)의 움직임을 구속하게 된다.
만약, 운전자가 허리받침을 조절하고자 해제버튼(24)을 눌러 조작하였다면, 이 해제버튼(24)은 고정축(26)을 중심으로 도면의 시계방향에 따라 회동하게 되고, 그 결과로 종단부(28)가 슬라이드노브(16)의 록크홈(30)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된다.
이로 인해 슬라이드노브(16)에는 단지 탄발스프링(14)의 힘만이 작용하게 되어 슬라이드노브(16)는 하우징(4)의 출입구(18)를 통해 외부로 돌출하게 된다.
운전자는 외부로 돌출된 슬라이드노브(16)를 회동 조작하여 허리받침의 돌출높이를 조절하면 되고, 조절이 완료된 후에는 슬라이드노브(16)를 하우징(4)의 내부로 밀어 넣어 제2도에 도시한 상태로 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과 작용효과를 가진 본 고안은 제3도에 묘사하고 있는대로, 시이트 등받이의 측변에 배치되는 것이며, 이것을 적용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슬라이드노브를 하우징에 접어 넣었을 때는 종래의 다이얼형 조절손잡이에 버금가는 크기로 되기 때문에 시이트의 외관이 나빠지지 않는다.
둘째, 슬라이드노브를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시키면, 종래의 레버형보다도 현저하게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조작하는데에 힘이 들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다이얼형과 레버형으로부터 나타나는 제반 단점을 근본적으로 개선하여 주는 실용성을 가지고 있다.

Claims (3)

  1. 자동차 시이트의 등받이에 설치되는 허리받침 조절장치에 있어서, 한쪽에 출입구(18)가 열려진 공간(6)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4)과; 상기한 공간(6)의 내부에 수납되어서 탄발스프링(14)에 의한 탄발력으로 항상 공간(6)의 출입구(18)를 통해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드노브(16)와; 하우징(4)의 소정위치에서 고정축(26)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일측의 종단부(28)가 상기한 슬라이드노브(16)의 측면에 형성된 록크홈(30)과 상대하도록 상기한 공간(6)의 내부로 항상 연장 위치하게 설치되는 해제버튼(24)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이트용 허리받침 조절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탄발스프링(14)은 공간(6)의 일측을 피복하는 커버(10)에 형성된 스프링시트(12)로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이트용 허리받침 조절손잡이.
  3. 제1항에 있어서, 해제버튼(24)은 토오션스프링(32)에 의해 항상 일측의 종단부(28)가 공간(6)으로 연장 위치하도록 탄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이트용 허리받침 손잡이.
KR2019940014881U 1994-06-23 1994-06-23 자동차 시이트용 허리받침 조절 손잡이 KR01407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881U KR0140758Y1 (ko) 1994-06-23 1994-06-23 자동차 시이트용 허리받침 조절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881U KR0140758Y1 (ko) 1994-06-23 1994-06-23 자동차 시이트용 허리받침 조절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119U KR960001119U (ko) 1996-01-17
KR0140758Y1 true KR0140758Y1 (ko) 1999-04-01

Family

ID=19386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4881U KR0140758Y1 (ko) 1994-06-23 1994-06-23 자동차 시이트용 허리받침 조절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7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119U (ko) 1996-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0758Y1 (ko) 자동차 시이트용 허리받침 조절 손잡이
JP4904655B2 (ja) シート装置
JP2000289505A (ja) 車両用シート
JP2000270946A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0235024B1 (ko)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대 각도조정장치
JPS6010433Y2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トにおける後席者用の操作レバ−機構
JP2000108737A (ja) リクライニング機構付き車両用シート
JP2579938B2 (ja) 回転ノブの取付構造
KR930006330Y1 (ko) 보조좌판을 갖춘 승용차용 시트
JPH0131089Y2 (ko)
JP3424296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H0317708Y2 (ko)
KR19980057289A (ko)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JPH0362210A (ja) 自動車のシート用操作ハンドル装置
JPH0430924Y2 (ko)
KR200152225Y1 (ko) 차량의 조수석 발받침대
KR200268999Y1 (ko)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후면의 레그레스트 장착 구조
JPS5849863Y2 (ja) 車輛用シ−ト
KR0129281Y1 (ko) 뒷자석 안전띠의 높이조절장치
JPH0741642Y2 (ja) シートベルト付きシート
KR200150394Y1 (ko) 시트 백의 허리 지지 조절장치
JPS595404Y2 (ja) ヘツドレストの前後調整装置
JPH0450845Y2 (ko)
JPS6310770Y2 (ko)
JPH042770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