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700B1 - 고경도 고무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경도 고무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700B1
KR0140700B1 KR1019890019158A KR890019158A KR0140700B1 KR 0140700 B1 KR0140700 B1 KR 0140700B1 KR 1019890019158 A KR1019890019158 A KR 1019890019158A KR 890019158 A KR890019158 A KR 890019158A KR 0140700 B1 KR0140700 B1 KR 0140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rubber composition
weight
ethylen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9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492A (ko
Inventor
게이사꾸 야마모또
요시오 다니모또
이사오 다까노
Original Assignee
모리히데오
쓰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308422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4070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모리히데오, 쓰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히데오
Publication of KR900014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7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6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2/00Crosslin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경도 고무 조성물
본 발명은 고경도 고무 조성물에 관한 발명이다.
특히, 내열성과 내풍우성이 뛰어나며, 표면이 매끄러운 압축물질을 만드는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 고무로 이루어진 고경도 고무에 관한 발명이다.
본 고무 조성물은 자동차 부품, 공업생산품, (industrial parts), 구조물질을 만드는데 사용되며, 광범위한 영역에 이용된다.
본 발명가들은 이미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 고무 및 액체 디엔 고무와 다량의 황으로 구성된 고경도 고무 조성물을 발명했었는데, 이 조성물들은 혼합 공정성(processability)이 우수하고 가황 고무 조성물 성질이 뛰어나며 게다가 표면이 매끄러운 압축물질을 만든다.
(일본특허 공개소 60-262842 와 62-135552 그리고 미국 특허 4708992호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점성액체인 액체 디엔 고무로 고경도 고무 조성물을 만들때는, 액체 디엔을 중량하고 혼합 공정 처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개선이 필요하다.
한편, 미국 특허 4137350호에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 고무 및 거체 디엔 고무와 다량의 황으로 구성된 고경도 고무 조성물에 관한 설명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미국 특허는 압축물 표면의 개선에 대해서는 명백히 밝히지 못했다. 본 발명가는 일본 특허 공개서 61-143458에서 압출기의 공급능(feedability)과 같은 압출 공정능의 개선에 관해 밝혔으나 여기서도 압출물질 표면의 개선에 대해서는 명백히 밝히지 못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격렬하게 처리해야 하는 액체 디엔 고무를 사용하지 않고 고경도 고무 조성물과 표면이 매끄러운 압출물질을 만드는 것이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가의 지속적인 연구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미가황 고무 조성물을 가황 처리하여 고경도 고무 조성물을 만드는 것이다. 여기서 미가황 고무 조성물은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 고무 100중량부, 보강제 60-150중량부와 연화제 0-70중량부를 함유하는 미가황 에틸렌 α-올레핀 고무 조성물(A); 상기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 고무 100중량부에 대해 고체 디엔 고무(B) 5-40중량부; 상기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 고무 100중량부에 대해 황(C) 4-15중량부로 되어 있다. 그 가운데 상기 미가황 고무 조성물은 상기 미가황 에틸렌 α-올레핀 고무 조성물(A)에 고체 디엔 고무 (B)와 황 (C)를 첨가하여 만든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상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미가황 에틸렌 α-올레핀 고무 조성물 (A)는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 고무 100중량부 및 보강제 60-150중량부와 연화제 0-70중량부를 함유하는 미가황 고무 조성물이다.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 고무는 에틸렌 및 적어도 하나의 α-올레핀과 적어도 하나의 짝짓지 않은 디엔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이다. α-올레핀 에는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과 그 밖의 종류가 있다.
짝짓지 않은 디엔에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에틸리덴노보넨, 1,4-헥사디엔, 메틸테트라-히드로인덴, 메틸노보넨과 같은 종류가 있다.
보강제로는 카아본 블랙, 무수실리카, 가스실리카, 표면을 칼슘으로 처리한 카보네이트, 표면 처리된 점토와 같은 종류가 있다. 이 보강제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서로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카아본 블랙은 가황고무의 성질과 미가황고무의 공정능이 있다.
보강제의 함량은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 고무 100중량부에 대해 60-150중량부이다. 만약 보강제의 함량이 상기양보다 적어진다면 미가황 고무의 공정능은 낮아지며, 보강제의 함량이 상기 양보다 많아지면 가황 고무의 성질이 적어진다.
연화제에는 방향족 공정유, 나프테닉 공정유와 파라피닉 공정유가 있다. 나프테닉 공정유와 파라피닉 공정유들은 가황고무 조성물과 접촉하는 강철판과 플라스틱을 입힌 물질에 덜 착색된다는 견지에서 바람직하다. 연화제로서 DOS(디-(2-에틸헥실)시브아케이트(sebacate))와 DOP(디-(2-애틸헥실)프탈산염)과 같은 염화 폴리비닐 대신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다.
연화제이 연화제의 함량은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 고무 100중량부에 대해 0-70중량부이다. 이 함량을 초과하면 최종 가황고무 조성물의 경도를 증가시키기는 어렵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고체 디엔 고무(B)(이하디엔 고무라 한다)는 천연고무(NR), 폴리이소프렌 고무(IR), 폴리부타디엔 고무(BR), 스틸렌-부타디엔 고무(SBR)와 시안화 비닐 부타디엔 고무(NBR)이며 다른 고무도 사용할 수 있다. 온도에 따라 좌우되는 최종 가황 고무 조성물의 경도 뿐만아니라 미가황 고무 조성물의 회전 공정능을 고려해 볼 때 디엔고무의 부타디엔 함량은 50 중량부 또는 그 이상이다. 더욱이 최종 가황 고무 조성물의 강도와 경도면에서 보면 디엔고무의 부타디엔 부분은 40%이상이 1,2결합한다. 디엔고무에는 50%이상의 부타디엔이 함유되어 있으며, 부타디엔 결합의 40%이상은 1,2결합이며 수-평균 분자량(number-average molecuar weight)에 대한 무게-평균 분자량 비(무게-평균분자량/수-평균 분자량, 이하 Q라 한다)는 2이하이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고경도 가황고무 조성물을 얻는다. 디엔 고무의 종류에는 폴리부타디엔 고무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가 있다.
본 발명에서 Q값은 이동상으로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을 사용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at 40℃)로 분자량 분포를 측정하여 구했다.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 고무 100중량부에 대한 디엔고무 (B)의 첨가량은 5-40 중량부, 바람직한 첨가량은 10-30중량부, 최적첨가량은 13-27중량부이다. 만약 상기 범위의 양보다 첨가량이 적으면 최종 가황 고무 조성물의 경도는 만족할 만큼 증가하지 못한다. 만약 상기 범위의 양보다 많으면, 경도는 증가하더라도 가황 고무의 성질인 신장이나 강도는 낮아진다.
본 발명에서, 디엔고무 (B)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보강제, 연화제 또는 그 밖의 같은 종류를 첨가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마지막의 경우, 디엔고무에 디엔고무를 첨가한 보강제의 무게비가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 고무에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 고무를 첨가한 보강제의 무게비보다 적도록 디엔고무(B)에 보강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디엔고무에 첨가하는 보강제의 양이 디엔고무 100중량부에 대해 10-80중량부가 되도록 디엔고무(B)에 보강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분말황이나 불용성 황을 사용할 수 있다.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 고무 100중량부에 대해 첨가하는 황(C)는 4-15중량부, 바람직한 첨가량은 5-12중량부, 최적 첨가량은 5-10중량부이다. 만약 양이 상기 범위보다 적으면 최종 가황고무 조성물의 경도는 만족할 만큼 증가하지 못하며, 상기 범위의 양보다 많으면, 가황고무 조성물의 성질인 신장(elongation)은 저하되며 블루밍(blooming)에 따라 외관이 불량하게 된다.
게다가, 미가황 고무에 황(C)를 결합시키기 위해서 모르폴린 이황화물, 알킬페놀 이황화물과 N,N'-디티오-비스(bis)(육히드로 2H-아제피논(azepinone)-2와 같은 황주개(donor)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리 중요한 점은 본 발명에서 특이하게 얻어지는 미가황 에틸렌 α-올레핀 고무 조성물(A)를 디엔고무(B)와 황(C)에 첨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면이 매끄러운 압출고무 조성물을 만들기 위해서는,보강제를 고무조성물에 빠짐없이 균일하게 분산시켜야 한다. 그러나,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 고무와 디엔 고무로 구성된 고무 조성물은 보강제를 균일하게 분산시키지 못한다. 더욱 특히한 점은,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 고무와 디엔고무 사이에 함유되어 있는 보강제의 양이 크게 다르기 때문에 첨가된 보강제는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 고무보다 디엔고무에서 균일하게 분포되며, 따라서 압출고무 조성물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다.
이와같은 현상의 주목할 만한 결과로서, 본 발명가들은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 고무와 디엔고무를 함유하는 고무조성물에 보강제를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음을 본 발명에서 알아냈다. 그 결과 표면이 매끄러운 압출고무 조성물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다음에 기술하는 두 가지 공정으로, 디엔고무(B)와 에틸렌 α-올레핀 고무 조성물을 혼합할 수 있다.
(1)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 고무, 보강제와 연화제를 강도 혼합기 및/ 또는 혼합롤로 혼합하고, 그때 얻어진 에틸렌 α-올레핀 고무 조성물 (A)는 디엔고무 (B)를 다른 강도 혼합기 및/ 또는 다른 혼합물(roll)로 혼합하는 공정
(2)에틸렌 α-올레핀 고무 조성물(A)를 강도 혼합기 및/또는 혼합롤로 혼합하여 얻은 후, 조성물(A)를 배출하지 않은 거기에 (B)를 넣은 같은 강도 혼합기 및/ 또는 같은 혼합롤로 연속적으로 디엔고무(B)와 혼합하는 공정.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 고무(A)와 디엔고무(B)를 혼합할 때 혼합시간은 짧을수록 회전자(rotor)와 롤의 회전율은 낮을수록 좋다.
미리 보강제, 연화제 또는 그밖의 같은 종류의 물질과 디엔고무(B)를 강도 혼합기 및/또는 혼합롤 안에서 혼합하여 얻은 미가황 디엔고무 조성물 형태인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 고무 조성물 (A)를 디엔고무 (B)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에틸렌 α-올레핀 고무 조성물(A)나 미가황 디엔고무 조성물이 얻어지면, 고무제조업에 널리 알려진 충전물, 공정 보조제, 제포제, 산화아연, 염스테아르산, 가황촉진제와 산화방지제 같은 여러 가지 첨가물을 거기에 첨가할 수 있다. 게다가, 에틸렌 α-올레핀 고무 조성물(A)와 디엔고무(B)를 혼합할 때, 첨가되는 보강제나 연화제 뿐만 아니라 고무제조업에 널리 알려진 첨가제로서 충전물, 공정보조제, 제포제, 산화아연, 염스테아르산, 가황촉진제, 가황제 그리고 산화방지제를 거기에 첨가할 수 있다.
디엔고무(B)를 에틸렌 α-올레핀 고무 조성물(A)와 혼합물 동시에 황(C)를 혼합할 수 있다. 그러나, 미가황 고무 조성물의 스코칭 (scorching)견지에서 황(C)는 에틸렌 α-올레핀 고무 조성물(A)와 디엔고무(B)를 혼합한 후 강도 혼합기 및/또는 혼합롤 안에서 비교적 낮은 온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단계에서, 추가 보강제나 연화제 뿐만 아니라 고무제조업에 널리 알려진 충전물, 공정보조제, 제포제, 산화아연, 염스테아르산, 가황촉진제, 가황제 그리고 산화방지제와 같은 다양한 첨가제를 거기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경도 고무 조성물은 압축가황, 증기가황, 사출형서, 열기연속가황, UHF 연속가황, LCM 연속 가황, PCM 연속가황 그리고 이 같은 방법을 둘 또는 그 이상 결합한 연속가황 방법 중 어떤 방법을 사용해서든지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경도 고무 조성물은 자동차 부품, 공업 생산품을 포함한 광범위한 영역에 이용될 수 있다. 이용된 예로는 충전물(packings), 호오스(hoses)경로(channel)고무, 유리 런 (run)고무, 틈마개(weatherstrips)과 같은 자동차 부품, 연질 고체고무와 경질 고체고무 합성물 중 경질 고체 고무 부분, 문막이(door seals)또는 트렁크 막이 (trunk seals), 진흙받이(mudguards), 틈마개로 사용되는 고체고무와 스폰지(sponge)고무의 합성물 중 고체고무 부분; 고무롤, 밀봉물질과 충전물과 같은 공업생산품; 그리고 세팅 블록(setting blocks), 고무타일, 가스켓(gaskets)과 같은 구조물질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겠지만,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에서, 디엔고무의 Q값은 TOYO SODA CO., LTD. 제품인 HLC-802UP(at 40℃, 분리관으로 103,104,106,107의 관, 검출기로는 굴절계, 이동산으로는 테트라하이드로 퓨란(THF)을 사용했다)으로 분자무게 분포를 측정하여 얻었다.
[실시예 1-6과 비교예 1-3]
실시예 1-6에서, 미가황 에틸렌 α-올레핀 고무 조성물(A)와 디엔고무(B) 또는 미가황 디엔고무 조성물은 각각 표1에 나타나 있는 공식표시 (중량부)와 혼합공정, 혼합조건 따라 만들었다. 디엔고무(B) 또는 미가황 디엔고무 조성물과 에틸렌 α-올레핀 고무 조성물(A)를 혼합할 때는 표1에 나타난 공정과 조건을 따른다. 반응 생성물을 혼합하기 위해, 황(C)와 가황촉진제를 표1에 표기된 양과 공정, 조건에 따라 첨가된다. 이렇게 하여 얻은 미가황 고무 조성물의 무늬점도는 JIS K 6300으로 측정하고 아래와 같은 조건하에 압축공정해서 리본모양의 압출물질을 만든다. 압출물질의 한 측면은 육안으로 관찰되며, 약 0.5-1㎜의 돌출은 미터당 돌출의 수를 결정한다.
게다가, 가황고무 조성물을 160℃, 온압에서 20분 동안 가황처리하여 2㎜두께의 가황고무 조성물을 얻었다. JIS K 6301로 가황고무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가 표3에 있다.
압출 공정 조건
압출기:나사지름, 45㎜;그리고 나사 지름에 대한 길이 비, 16.
나사회전율:30rpm
다이:2㎜ X 200㎜의 리본 형태의 다이.
온도:다이, 80℃;그리고 실린더, 60℃
비교 실시에 1-3에서, 미가황 고무 조성물은 표2가 나타난 공식표시와 혼합공정과 조건에 따라 얻었다.
게다가, 미가황 고무 조성물들은 가황처리했고 가황 고무 조성물은 실시예 1-6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했으며 그 결과를 표3에 나타냈다.
실시예 1-6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경도 고무 조성물일 뿐만아니라 표면이 매끄러운 압출물질이다.
한편, 비교 실시예 1-3에서 볼수 있는 바와같이 디엔고무(B)와 황(C)를 미가황 에틸렌 α-올레핀 고무 조성물(A)에 첨가하지 않아도 되는 고무 조성물은 경도가 높고 압출물질 표면의 매끄러운 정도가 우수하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귀찮게 처리해야 하는 액체 디엔고무를 사용하지 않고도 고경도 고무 조성물과 양질의 표면이 매끄러운 압출물질을 만든다.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주목
*1 에틸렌-프로필렌-에틸리덴 노보넨 공중합 고무
무늬 점도(ML100℃)40
에틸렌 함량 (중량%)35
요오드 값15
*2 에틸렌-프로필렌-에틸리덴 노보넨 공중합 고무
무늬 점도(ML100℃)45
에틸렌 함량 (중량%)50
요오드 값12
*3 폴리부타디엔 고무
무늬 점도(ML100℃)42
1,2 결합 함량(%)80
Q1.7
*4 폴리부타디엔 고무
무늬 점도(ML100℃)45
1,2 결합 함량(%)75
Q2.3
요오드 값12
0*5 폴리부타디엔 고무
무늬 점도(ML100℃)55
1,2 결합 함량(%)26
Q1.4
요오드 값12
*6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무늬 점도(ML100℃)70
부타디엔 함량 (중량%)63
부타디엔 부분의 1,2결합 함량50
Q1.5
*7 스미토모 화학 Co., LTd. 제품인 가황 가속장치
*8 혼합공정과 조건 Ⅰ
혼합기:BR-형 반버리 (Banbury)혼합기
회전자 회전(rpm):57. 5/ 51. 2 (앞 회전자/ 뒤 회전자)
혼합이 시작될 때 실(chamber)의 온도 (℃):70
하중 비율(%):약70
혼합 시간(min):4
*9 혼합공정과 조건 Ⅱ
혼합기:BR-형 반버리 혼합기
회전자 회전(rpm):57. 5/ 51. 2 (앞 회전자/ 뒤 회전자)
혼합이 시작될 때 실(chamber)의 온도 (℃):70
하중 비율(%):약70
혼합 시간(min):1
*10 혼합공정과 조건 Ⅲ
혼합기:BR-형 반버리 혼합기
회전자 회전(rpm):57. 5/ 51. 2 (앞 회전자/ 뒤 회전자)
혼합이 시작될 때 실(chamber)의 온도 (℃):70
하중 비율(%):약70
혼합 시간(min):1
*11 혼합공정과 조건 Ⅳ
혼합 공정과 조건 Ⅱ로 얻은 에틸렌 α-올레핀 고무 조성물은 에틸렌 α-올레핀 고무 조성물을 배출하지 않는 반버리 혼합기에 디엔고무를 첨가함으로써 같은 반버리 혼합기 안에서 디엔고무와 연속적으로 혼합했다.
하중 비율(%):약70
혼합 시간(min):1(첨가 혼합시간)
*12 혼합 공정과 조건 Ⅴ
혼합기:직경 8-인치 (inch)인 혼합롤
롤 회전 (rpm):20/24(앞 롤/ 뒤 롤)
롤 온도 (℃):50-60
혼합한 양:1130g
혼합시간(min.):15
*13 혼합 공정과 조건 Ⅵ
혼합기:직경 8-인치인 혼합롤
롤 회전 (rpm):20/24(앞 롤/ 뒤 롤)
롤 온도 (℃):50-60
혼합한 양:1130g
혼합시간(min.):5

Claims (5)

  1.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 고무 100중량부, 보강제 60-150중량부와 연화제 0-70 중량부를 포함하는 미가황 에틸렌·α-올레핀 고무 조성물(A);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 고무 100중량부에 대해 고체 디엔 고무(B)5-40중량부; 및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 고무 100중량부에 대해 황(C)4-15중량부를 포함하고, 고체 디엔고무(B)와 황(C)를 미가황 에틸렌·α-올레핀 고무 조성물 (A)에 첨가함으로써 얻어지는 미가황 고무 조성물을 가황처리하여 얻은 고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고체 디엔고무 (B)의 함량이 50중량%이고 부타디엔 부분의 40%이상이 1,2결합으로 이루어진 고무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고체 디엔고무 (B)의 수-평균 분자량에 대한 무게-평균 분자량의 비가 2이하인 고무 조성물.
  4. 제1항, 제2항 및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고체 디엔고무가 (B)가 스텐렌-부타디엔 고무로 되어 있는 고무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고체 디엔고무(B)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 고무 100중량부에 대한 고체 디엔고무 (B)5-40중량부이외에 보강제와 연화제를 함유하는 미가황 디엔고무 조성물 형태인 고무 조성물.
KR1019890019158A 1989-03-09 1989-12-21 고경도 고무 조성물 KR0140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58432 1989-03-09
JP1058432A JP2773194B2 (ja) 1989-03-09 1989-03-09 高硬度ゴム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492A KR900014492A (ko) 1990-10-24
KR0140700B1 true KR0140700B1 (ko) 1998-07-01

Family

ID=13084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9158A KR0140700B1 (ko) 1989-03-09 1989-12-21 고경도 고무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946888A (ko)
EP (1) EP0386887B1 (ko)
JP (1) JP2773194B2 (ko)
KR (1) KR0140700B1 (ko)
CA (1) CA1326574C (ko)
DE (1) DE69008009T2 (ko)
ES (1) ES2052169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62322B1 (fr) * 1997-04-21 1999-05-28 Elf Antar France Procede de preparation de compositions bitume/polymere, application des compositions obtenues a la production de liants bitume/polymere pour revetements et solution mere de polymere pour l'obtention desdites compositions
JP2000344979A (ja) * 1999-06-01 2000-12-12 Jsr Corp 高硬度加硫ゴム組成物
JP2004002682A (ja) * 2002-04-12 2004-01-08 Toyoda Gosei Co Ltd 水系液体接触ゴム部品
WO2009044653A1 (ja) 2007-10-03 2009-04-09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サイドウォール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サイドウォールを有するタイヤ、ならびにクリンチ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クリンチを有するタイヤ
JP5421400B2 (ja) 2011-06-21 2014-02-1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クリンチ又はチェーファー用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JP6401551B2 (ja) * 2013-09-12 2018-10-1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樹脂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262693A (zh) * 2014-08-29 2015-01-07 朱其贵 一种高硬度无机增强型橡胶料
CN108752667A (zh) * 2018-05-23 2018-11-06 嘉兴东升橡塑有限公司 一种变压器密封件及其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910520A (en) * 1972-09-19 Milano Mario Sulfur-vulcanizable compositions of olefinic terpolymers with a low degree of unsaturation and of highly unsaturated rubbers
NL137200C (ko) * 1962-11-15 1900-01-01
DE1570090C3 (de) * 1965-05-14 1979-11-22 Uniroyal Gmbh, 5100 Aachen Verfahren zur verbesserten S-Vulkanisation von Äthylen-Propylen-Terpolymerisate enthaltenden Elastomerengemischen
JPS46190Y1 (ko) * 1967-08-14 1971-01-07
US3649573A (en) * 1968-02-20 1972-03-14 Sumitomo Chemical Co Sulfur-curable compositions comprising amorphous olefin copolymers and diene rubbers
US4089820A (en) * 1972-01-19 1978-05-16 Phillips Petroleum Company Curable ethylene/alpha-monoolefin/diene polymer-unsaturated rubbery polymer blends
JPS5147465B2 (ko) * 1972-12-12 1976-12-15
US3846371A (en) * 1973-04-09 1974-11-05 Du Pont Masterbatching elastomer blends
JPS512744U (ko) * 1974-06-20 1976-01-10
CA1078679A (en) * 1975-09-15 1980-06-03 Arthur A. Blaskiewicz Epdm copolymer rubber-highly unsaturated rubber (filled) blends
CA1100732A (en) * 1977-10-27 1981-05-12 George J. Briggs Processing green strength polymers
JPS61143458A (ja) * 1984-12-14 1986-07-01 Sumitomo Chem Co Ltd 高硬度ゴム組成物
DE3626240A1 (de) * 1986-08-02 1988-02-04 Continental Gummi Werke Ag Steife, daempfungsarme gummimischung
JPS63110230A (ja) * 1986-10-27 1988-05-14 Bridgestone Corp ゴム組成物の製造方法
JPS63126559U (ko) * 1987-02-13 1988-08-18
JPH085072Y2 (ja) * 1990-02-23 1996-02-14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グローブボック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492A (ko) 1990-10-24
CA1326574C (en) 1994-01-25
EP0386887A2 (en) 1990-09-12
JP2773194B2 (ja) 1998-07-09
EP0386887B1 (en) 1994-04-13
DE69008009D1 (de) 1994-05-19
ES2052169T3 (es) 1994-07-01
DE69008009T2 (de) 1994-07-28
EP0386887A3 (en) 1992-01-22
US4946888A (en) 1990-08-07
JPH02235948A (ja) 1990-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6150B1 (ko)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KR0158498B1 (ko) 에틸렌-알파-올레핀-비공액 디엔 공중합체 고무 조성물
US5118753A (en) Olefinic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EP0357322A2 (en) Thermoplastic olefin compositions of epdm rubber and ethylene copolymer resin
EP0486700B1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JPH09193299A (ja) 自動車用ウェザストリップ
US4341667A (en) Composition and method of improving the unvulcanized properties of blends containing reclaimed rubber
KR0140700B1 (ko) 고경도 고무 조성물
US7452940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dynamically vulcanized thermoplastic elastomer
US4400488A (en) Composition and method of improving the unvulcanized properties of blends containing reclaimed rubber
US4708992A (en) Rubber compositions
KR19990022925A (ko) 개선된 엘라스토머성 압출 프로파일
US5597860A (en) Vulcanizable rubber compositions and vulcanized rubber
KR100269835B1 (ko) 내충격성 폴리올레핀 성형 조성물
CA1333310C (en) Rubber compositions
JPH10195259A (ja) エチレン−α・オレフィン−非共役ジエン共重合体組成物
US5180769A (en) Process for producing a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JPH07103274B2 (ja) 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2876697B2 (ja) スポンジ用ゴム組成物
JP3209068B2 (ja) エチレン−α−オレフィン−非共役ジエン共重合ゴム組成物
JP3259649B2 (ja) 複合体製造用樹脂組成物及び複合体
JPS61143458A (ja) 高硬度ゴム組成物
JPS60262842A (ja) ゴム組成物
JP3535640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3981760B2 (ja) 複合体製造用樹脂組成物及び複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