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909Y1 - 프레스 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909Y1
KR0139909Y1 KR2019930022624U KR930022624U KR0139909Y1 KR 0139909 Y1 KR0139909 Y1 KR 0139909Y1 KR 2019930022624 U KR2019930022624 U KR 2019930022624U KR 930022624 U KR930022624 U KR 930022624U KR 0139909 Y1 KR0139909 Y1 KR 0139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movable holder
punch
scrap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26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124U (ko
Inventor
김교신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300226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909Y1/ko
Publication of KR9500111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1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9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2Ejec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Abstract

유체의 압을 이용하여 프레스 장치의 스크랩을 처리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프레스 장치에 설치된 보조핀과 보조부시가 피스톤과 실린더 역할을 하여, 이것에 의해 생성된 압축유체는 유로가 형성된 가동홀더와 펀치를 통해 스크랩에 압력을 가하여 스크랩을 처리한다. 따라서, 블랭킹 제품을 만들시 유체접촉으로 제품인 스크랩을 밀기 때문에 제품의 손상을 방지하고, 압축유체가 제품을 금형에 압착시키는 스트리퍼 역할을 할 수 있고, 펀치의 끝은 단지 유로만 형성되어 있어 펀치의 끝을 재연마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레스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프레스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프레스장치에 이용되는 키커펀치의 단면도.
제3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프레스장치에 이용되는 금형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장치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단방향 유동 유체를 이용한 프레스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동홀더 2 : 고정홀도
3 : 펀치고정판 4 : 스트리퍼
5 : 금형 6 : 가이드핀
7 : 스트리퍼볼트 8 : 펀치
10 : 스프링 11 : 흡입구
12 : 패킹볼트 13 : 보조부시
14 : 보조핀 15 : 스크랩
16 : 공작물 17 : 제1체크밸브
18 : 제2체크밸브 20 : 크리너
21 : 키커펀치 22 : 스프링
23 : 밀편 24 : 금형
25 : 틈 26 : 가이드핀부시
본 고안은 프레스를 이용한 성형 작업중 금형의 스크랩 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체(流體)의 압을 이용하여 프레스의 스크랩을 처리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프레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프레스장치로서, 가동홀더(1)과 고정홀더(2) 사이에 펀치(8) 및 스트리퍼(4)를 스트리퍼볼트(7) 및 펀치고정판(3)으로 지지하고, 고정홀더(2) 위에는 금형(5)이 위치하고 그 금형(5) 위에 공작물을 올려 놓았다. 가동홀더(1)가 가이드핀(6)을 따라서 상하로 움직이면서 펀치(8)를 통하여 금형(5) 위의 공작물에 압력에 가하여 공작물을 제조한다.
펀치(8)가 금형(5) 위의 공작물에 힘을 가한 후, 스크랩이 금형의 표면으로 올라오면, 펀치(8)에 짝힘이 발생하여 불량품이 많이 발생하고 스트리퍼(4)에 편심하중이 작용하여 금형의 정밀도 저하의 원인이 되어 금형의 수명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특히, 무인화 작업에 사용되는 순차이송 다이(progressive die) 등은 스크랩이 한조각만 금형 표면으로 올라와도 대량의 불량품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제2도와 같이 펀치(21)의 내부에 스프링(22)과 밀편(23)를 장착하여 제1도의 펀치(8)와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해서 스크랩을 밀어 스크랩이 처리되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에 있어서, 펀치 및 금형 제작시, 펀치의 구조가 복잡하여 금형의 제작비가 높아지고 양산 작업중 펀치의 날 끝이 마모될 경우, 펀치의 날 끝을 재 연마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펀치 및 금형의 수명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 특히 타발가공(Blanking)에 있어서 제품에 손상을 주었다.
천공가공(Piercing) 혹은 타발가공에 의해 제품을 성형할 때, 스크랩이 다이의 상부 표면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3도와 같이, 금형(5) 성형면 일부에 틈(25)을 만들어 펀치로써 금형 위의 공작물에 압력을 가하여 공작물을 만든다. 이 때, 스크랩의 양쪽에 약간의 늘어짐을 유도하여 스크랩이 다이 구멍 안쪽면과 밀착되도록 함으로서 스크랩의 상승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상기 방식은 천공 또는 타발가공 제품의 측면에 버(burr)가 생성되기 때문에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고, 상기 버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도 있으며, 상기 버를 제거하기 위한 작업 공정이 필요하며 금형의 가공에도 와이어 커팅 등 추가 작업이 필요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품 성형시 버의 생성과, 타발가공에 있어서 제품의 손상과, 펀치 및 금형 제작시 복잡한 금형의 제작의 필요성을 제거하고, 펀치의 날끝을 재연마 가능하고, 보다 효과적인 스크랩 처리장치인 압축유체를 이용한 프레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는, 상부의 승강되는 가동홀더와, 이 가동홀더를 유동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핀을 가진 하부에 고정된 고정홀더와, 가동홀더와 고정홀더 사이에 공작물을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가동홀더와 함께 승강되어 공작물에 구멍을 뚫는 펀치부재를 구비하는 프레스장치에 있어서, 상기 펀치부재 단부에 형성된 구멍과, 상기 가동홀더 형성된 유체통로부터 상기 펀치부재로 통하는 유체통로와, 상기 펀치부재 단부로부터 펀칭되는 공작물의 스크랩이 밀려나도록 그 유체통로에 유압을 가하기 위한 유체가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금형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램(비도시)이 회전하면서 이 램의 힘을 받아 하강하며 유로가 형성된 가동홀더(1)가 구비되고, 이 가동홀더의 끝단의 흡입구(11)는 패킹볼트(12)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상기 가동홀더(1)의 중심부에 펀치고정판(3)으로 유로가 형성된 펀치(8)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 가동홀더(1) 우측에 유로가 형성되고 실린더 역할을 하는 보조부시(13)를 설치하고, 이 보조부시 하부에는 피스톤 역할을 하는 보조핀(14)이 고정홀더(2)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공작물을 고정시키는 스트리퍼(4)는 펀치고정판(3)과 금형(5) 사이에 스트리퍼볼트(7)와 스프링(10)에 의해 지지되도록 장착되고, 고정홀더(2) 위에 공작물을 가공할 수 있는 금형이 설치된다. 그리고 가동홀더(1)의 왼쪽에 가이드핀부시(26)를, 고정홀더(2)에는 가이드핀(6)을 각각 설치하여 가동홀더(1)가 수직 승하강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프레스의 스크랩 처리장치는 상기 금형 위에 가공할 공작물을 올려놓고, 상기 가동홀더(1)가 하강하면서, 상기 스트리퍼(4)가 제품을 금형(5)에 압착하고, 계속해서 가동홀더(1)가 하강하게 되면 펀치(8)가 공작물을 펀칭하여 스크랩(15)이 생성된다. 이때 보조핀(14)이 피스톤 역할을 하고 보조부시(13)가 실린더 역할을 하여 이 보조부시(13)의 실린더 내에서 상기 보조핀(14)이 하사점(a)에서 상사점(b)에 도달됨으로써 유체(c)가 압축되고, 압축된 유체는 가동홀더(1)의 유로(1a)를 통하여 펀치(8)를 통하여, 상기 생성된 스크랩(1)에 압력을 가하여 스크랩을 고정홀더(2)의 구멍(2a)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동홀더(1)가 상승할 때는 상기 보조부시(13) 실린더의 상사점(b)에 위치한 피스톤 역할을 하는 보조핀(14)이 하강하면서 펀치(8)에 형성된 유로(8a)를 통하여 유체를 흡입하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처리가능한 프레스 장치가 도시된 제5도를 참조하면, 패킹볼트(12)를 사용하여 흡입구(11)를 폐쇄함으로써 보조부시(13)와 보조핀(14)에서 유도된 압축유체는 유로를 통하여 펀치(8)의 끝단으로 향하고 상기 가동홀더(1)가 상승할 때 펀치(8)가 유로(8a)를 통하여 깨끗하지 못한 유체가 흡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패킹볼트(12)를 제거하고 크리너(20)를 설치하고, 가동홀더(1)의 유로(1a)에 제1, 제2체크밸브(17, 18)를 설치하여 깨끗한 유체를 일방향으로 흐르게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관계를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동홀더(1)가 하강할 때, 보조부시(13)는 하사점(a)에서 상사점(b)으로 상승하고, c의 부피만큼 압축이 된다. 상기 압축된 유체는 제1체크밸브(17)를 열고, 제2체크밸브(18)를 닫히게 하고, 제1체크밸브(17) 및 펀치(8)의 유로(8a)를 통하여 스크랩(15)에 압력을 가한다. 그리고, 가동홀더(1)가 상승할 때는, 보조부시(13)는 상사점(b)에서 하사점(a)으로 하강하여 c부피의 진공이 발생됨으로, 제1체크밸브(17)는 닫히고 제2체크밸브(18)는 열려 크리너(20)를 경유하여 흡입구(11)를 통해 새로운 유체가 흡입되어 깨끗한 유체를 이용하여 스크랩에 유체의 압을 가할 수 있다.
상술한 작동에 의하여, 타발가공 제품을 만들 때 유체접촉에 의해 제품인 스크랩을 밀기 때문에 제품의 손상을 방지하고, 압축유체가 제품을 금형에 압착시키는 스트리퍼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고, 스크랩을 확실히 밀 수 있음으로서 금형의 안쪽표면에 틈을 생성할 필요성을 제거하여 제품에 버의 생성을 방지하고, 펀치의 끝은 단지 유로만 형성되어 었어 펀치의 끝을 재 연마할 수 있다.

Claims (3)

  1. 승강가능한 가동홀더(1)와, 이 가동홀더(1)를 유동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핀(14)을 가진 고정홀더(2)와, 상기 가동홀더(1)와 상기 고정홀더(2) 사이에 공작물을 지지하는 지지수단, 및 상기 가동홀더(1)와 함께 승하강되며, 하강시 상기 공작물에 구멍을 뚫는 펀치부재(8)를 구비하는 프레스장치에 있어서, 상기 펀치부재(8)에는 구멍(8a)이 형성되며; 상기 가동홀더(1)에는 상기 구멍(8a)에 연통될 수 있는 유체통로(1a)가 구비되며; 상기 펀치부재(8)에 의해 펀칭되는 공작물의 스크랩이 밀려나도록 그 유체통로(1a)에 유압을 가하기 위한 유체가압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압수단은, 상기 가동홀더(1)에 형성된 유체통로(1a)에 연결되고, 복수의 가이드부재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부재의 단부를 기밀하게 에워싸도록 실린더벽 역할을 하는 부시부재(13);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압수단은, 상기 가동홀더(1)에 형성된 유체통로(1a)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재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부재의 단부를 기밀하게 에워싸도록 실린더벽 역할을 하는 부시부재(13); 상기 유체통로(1a) 내의 유체의 흐름을 일방향으로 제어하는 밸브(17, 18); 및 상기 유체통로(1a)에서 외부의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구(11);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KR2019930022624U 1993-10-30 1993-10-30 프레스 장치 KR0139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624U KR0139909Y1 (ko) 1993-10-30 1993-10-30 프레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624U KR0139909Y1 (ko) 1993-10-30 1993-10-30 프레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124U KR950011124U (ko) 1995-05-15
KR0139909Y1 true KR0139909Y1 (ko) 1999-04-01

Family

ID=19366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2624U KR0139909Y1 (ko) 1993-10-30 1993-10-30 프레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90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917B1 (ko) * 2020-12-03 2021-05-06 (주)광훈기계 금속부품 제조시스템
WO2021210760A1 (ko) * 2020-04-17 2021-10-21 주식회사 동호에이텍 스크랩 제거가 용이한 반도체 리드프레임 타발용 금형
KR102393480B1 (ko) * 2020-12-01 2022-05-06 주식회사 호원 스크랩 배출장치
KR20230015008A (ko) * 2021-07-22 2023-01-31 주식회사 케이엠제이 이종 접합용 패스너 압입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0760A1 (ko) * 2020-04-17 2021-10-21 주식회사 동호에이텍 스크랩 제거가 용이한 반도체 리드프레임 타발용 금형
KR102393480B1 (ko) * 2020-12-01 2022-05-06 주식회사 호원 스크랩 배출장치
KR102248917B1 (ko) * 2020-12-03 2021-05-06 (주)광훈기계 금속부품 제조시스템
KR20230015008A (ko) * 2021-07-22 2023-01-31 주식회사 케이엠제이 이종 접합용 패스너 압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124U (ko) 199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21890B2 (ko)
JPH11300497A (ja) 粉末成形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0139909Y1 (ko) 프레스 장치
KR100497529B1 (ko) 프레스성형용 금형장치
CN218310421U (zh) 一种冲压模具及冲压设备
KR200167461Y1 (ko) 프레스 성형용 금형장치
CN218452549U (zh) 一种油压机模具的冲头升降辅助装置
JP4382915B2 (ja) タレットパンチプレスの油圧式ダイ上下機構
CN113275495B (zh) 一种热模锻压力机的液压组合工作平台及热模锻压力机
CN216881290U (zh) 一种连续式金属零部件加工用冲压装置
CN217798354U (zh) 一种机械零件加工用冲压切割装置
JPH076985Y2 (ja) 金型装置
EP1293337A1 (en) Bolster-elevating device for a press
CN211247930U (zh) 一种铰链生产用冲孔装置
CN214349004U (zh) 带滑块冲压模具
CN215845468U (zh) 一种热模锻压力机的液压组合工作平台及热模锻压力机
KR930017705A (ko) 터릿 펀치 프레스
KR970063807A (ko) 축전지의 전극단자 제조방법
JPS6178520A (ja) プレス金型
CN216263014U (zh) 一种新型冲压模具组件
JPH07155998A (ja) 段付き鍛造品の孔抜き用油圧プレスの油圧ダイクッション装置
JPS59189026A (ja) 鍛造装置
CN209238851U (zh) 具有工件免压伤功能的冲压模具
JPH0366499A (ja) 油圧プレス機械の油圧装置
KR0129920Y1 (ko) 반도체소자 절단용 펀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