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862B1 - 승용형 이앙기의 모 얹기대 구조 - Google Patents
승용형 이앙기의 모 얹기대 구조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39862B1 KR0139862B1 KR1019950012686A KR19950012686A KR0139862B1 KR 0139862 B1 KR0139862 B1 KR 0139862B1 KR 1019950012686 A KR1019950012686 A KR 1019950012686A KR 19950012686 A KR19950012686 A KR 19950012686A KR 0139862 B1 KR0139862 B1 KR 01398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ions
- mother
- support
- hair
- left en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다수의 심기조분의 모 얹기부(12a, 12b, 12c)를 구비한 모 얹기대(12)를 기체 좌우방향으로, 왕복 수평이송 구동자재로 지지한 다수조식의 승용형 이앙기의 모 얹기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모 얹기대(12)에 있어서의 우단부 및 좌단부의 심기조분의 모 얹기부(12a, 12b)를 각 심기조의 칸막이부(12d) 로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에서 분리 및 연결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분리된 좌우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를 상기 중앙측 모 얹기부(12c) 후부측에 소정간격을 두고, 또한 상기 중앙측 모 얹기부(12c) 와 같은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24, 25)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제1도는 승용형 이양기 전체 측면도,
제2도는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를 연결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모 얹기대부근의 평면도,
제3도는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를 연결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모 얹기대 부근의 정면도,
제4도h는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를 연결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모 얹기대 부근의 측면도,
제5도는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를 분리하여 지지훅 및지지 프레임에 지지시킨 상태에서의 모 얹기대 부근의 측면도,
제6도는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를 분리하여 지지훅 및지지 프레임에 지지시킨 상태에서의 모 얹기대 부근의 평면도,
제7도는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를 분리하여 지지훅 및지지 프레임에 지지시킨 상태에서의 모 얹기대 부근의 정면도,
제8도는 연결한 상태에서의 우단부의 모 얹기부 부근의 정면도,
제9도는 연결한 상태에서의 좌단부의 모 얹기부 부근의 정면도
제10A도는 연결한 상태에서의 우단부의 모 얹기부 부근의 횡단 평면도,
제10B도는 분리한 상태에서의 우단부의 모 얹기부 부근의 횡단 평면도,
제11A도는 연결한 상태에서의 좌단부의 모 얹기부 부근의 횡단 평면도,
제11B도는 분리한 상태에서의 좌단부의 모 얹기부 부근의 횡단 평면도,
제12도는 연결한 상태에서의 좌단부의 모 얹기부에 있어서의 제1구동축 부근의 횡단평면도,
제13도는 분리한 상태에서의 좌단부의 모 얹기부에 있어서의 제1구동축 부근의 횡단평면도,
제14도는 연결한 상태에서의 우단부의 모 얹기부에 있어서의 상부 부근의 정면도,
제15도는 연결한 상태에서의 우단부의 모 얹기부에 있어서의 상부의 레일 맞대기 부근의 상부 부근의 횡단 평면도,
제16도는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에 있어서의 상부 레일 부근의 종단 측면도,
제17도는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에 있어서의 하부 레일의 안내부재 부근의 종단 측면도,
제18도는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에 있어서의 하부 레일의 버클 부근의 종단측면도,
제19도는 분리한 우단부의 모 얹기부를 지지프레임에 지지시킨 상태를 표시하는 배면도,
제20도는 분리한 우단부의 모 얹기부를 지지프레임에 고정하는 노브부착 볼트 부근의 평면도,
제21도는 좌단부의 모 얹기부를 분리상태에서의 제1 및 제2구동축, 보스부 부근의 횡단 평면도,
제22도는 좌단부의 모 얹기부를 분리상태에서의 제1 및 제2구동축, 보스부 부근의 종단 배면도,
제23도는 가이드 레일의 보호 프레임의 신축 구조를 표시하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전륜2:후륜
3:유압실린더4:링크기구
5:모심기장치6:심기클릭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발명의 8조식(8條植)이나 10조식 등과 같이 다수의 심기 조분(條分)의 모 얹기부를 구비한 모 얹기대를 기체 좌우방향으로 왕복 수평 이송 구동자재로 지지한 다수 조식의 승용형 이앙기의 모 얹기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근년에 구획정리된 대규모 수전(水田)용으로서 8조식이나 10조식 등과 같이 다수조식 승용형 이앙기가 출현되고 있다.
다수조식 승용형 이앙기는 모 얹기대의 수평 폭이 넓기 때문에 이 승용형 이앙기를 트럭으로 운반할때 트럭 하대(荷台)에 얹으면 모 얹기대의 좌우 양단이 하대 밖으로 나와버린다. 따라서, 이같은 경우에는 기체에서 모심기장치(모 얹기대를 장비)를 해체하여, 기체와 모심기장치를 별도의 트럭으로 운반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이 기체에서 모심기장치를 해체하여 기체와 모심기장치를 별도로 운반하게 되면 기체와 모심기장치를 동시에 운반하기 위해서는 2대의 트럭이 필요하게 된다.
또, 기체와 모심기장치를 1대의 트럭으로 운반하게 되면 운반을 위하여 트럭을 2왕복하지 않으면 안되어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발명은 다수조식 승용형 이앙기에 있어서, 기체에 모심기장치를 연결한 상태로, 승용형 이앙기를 트럭 하대에 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요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의 승용차 이양기의 모 얹기대 구조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데 있다.
(Ⅰ)
모 얹기대에 있어서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를 각 심기조위 칸막이부로 좌우중앙측 모 얹기부에서 분리 및 연결가능하게 구성하고, 분리된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를 중앙측 모 얹기부 후방에 소정의 상하 간격을 두고, 또한, 좌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와 같은 상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다수 조식의 승용형 이앙기를 트럭하대에 얹을 경우, 모 얹기대에 있어서,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를 중앙측 모 얹기부에서 분리하여 분리한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를 지지부에 지지시키면 된다.
이상과 같이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를 분리하여 중앙측 모 얹기부의 후방에 지지시키면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의 모 얹기대 보다 모 얹기대 전체의 수평폭을 좁은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심기장치를 연결한 상태로 승용형 이앙기를 트럭하대에 얹더라도 모 얹기대의 좌우 양단이 하대에서 옆쪽 밖으로 나오는 일이 없다.
그리고, 분리한 우단부와 좌단부의 모 얹기부를 중앙측 모 얹기부 후방에 지지시킬 경우, 불리한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가 중앙측의 모 얹기부와 같은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지지되어 때문에 아직 심지않은 모가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에 남아 있더라도 이 모를 내려놓을 필요는 없으며, 모를 얹은 상태로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를 중앙측 모 얹기부 후방에 지지시킬 수 있고,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에서 모가 떨어지는 일도 없다. 또한, 아직 심지않은 모가 중앙측의 모 얹기부에 남아 있어도 이 모를 내릴 필요는 없고, 모를 중앙측의 모 얹기부에 얹은 상태로 분리한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를 중앙측의 모 얹기부 상방에 지장없이 지지시킬 수 있다.
(Ⅱ)
전항(Ⅰ)의 승용형 이앙기 모 얹기대 구조에 있어서, 지지프레임을 심기클릭을 회전자재로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케이스에 걸치어서 연이어 설치하고, 이 지지프레임을 상기 지지부로서 형성하기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지지프레임은 분리한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의 지지부가 됨과 동시에 한쌍의 지지케이스에 걸치어서 연결됨으로써 이 한쌍의 지지케이스의 보강부재로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분리한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의 지지프레임을 한쌍의 지지케이스의 보강부재로 겸용할 수 있기 때문에 모심기장치 부근의 강도 향상 및 구조의 간소화 면에서 유리한 것이 된다.
(Ⅲ)
상기(Ⅰ) 기재의 승용형 이앙기의 모 얹기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분리되는 우단부 또는 좌단부의 모 얹기부에 얹게되는 모가 소정량 이하로 감소된 사실을 검출하는 모 잔량 센서를 상기 중앙측의 모 얹기부의 상기 칸막이부에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중앙측 모 얹기대에서 우단부 또는 좌단부의 모 얹기부용 잔량센서가 중앙측 모 얹기부에 남는 것이 되기 때문에 이 모 잔량센서에 접속되는 전선다발(harness)이 우단부 또는 좌단부의 모 얹기의 분리에 의해 휘둘리는 일이 없다.
(Ⅳ)
상기(Ⅰ) 기재의 승용형 이앙기의 모 얹기대 구조에 있어서, 분리되는 우단부 또는 좌단부의 모 얹기부에 얹게되는 모가 소정량 이하로 감소된 사실을 검출하는 모 잔량센서를 구비하여 모 잔량센서의 검출에 의거하여 경보를 발하는 고정부측의 경보장치와 모 잔량센서를 전선다발을 통하여 접속하고, 전선다발의 길이를 우단부 또는 좌단부의 모 얹기부를 분리하여 좌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측의 지지부에 지지가능한 길이로 설정하기 가능하다.
이 경우, 분리한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 지지부에 지지가능한 길이로 전선다발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한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를 지지부로 지지할 때, 전선다발을 해체하는 번거로운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모 얹기부의 연결분리작업의 작업성이 개선된다.
(Ⅴ)
상기(Ⅰ) 기재의 승용형 이앙기의 모 얹기대 구조에 있어서, 분리되는 우단부 또는 좌단부의 모 얹기부에, 얹게되는 모를 하측 모 방출구 측으로 보내는 수직 이송기구와 수직 이송기구를 작동 및 정지조작하는 수직이송 클러치를 구비하여, 고정부측에 구비된 클러치 레버와 수직이송 클러치를 와이어를 통하여 접속하고, 와이어 길이를 우단부 또는 좌단부의 모 얹기부를 분리하여 좌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측의 지지부 지지가능한 길이로 설정하고 있다.
이 경우, 분리한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를 지지부에 지지가능한 길이로 와이어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분리한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를 지지부에 지지할 때, 와이어를 벗기는 번거로운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연결분리 작업의 작업성이 개선된다.
[실시예]
이하, 본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륜(1)과 후륜(2)으로 지지된 기체의 후부에 유압실린더(3)에 의해 링크기구(4)가 승강자재로 지지되고, 링크기구(4)의 후단에 8조식 모심기장치(5)가 연결되어 승용형 이앙기가 구성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심기장치(5)의 좌우 방향을 따라 4개의 지지케이스(8)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심기클릭(6)을 구비한 8개의 회전케이스(7)가 각 지지케이스(8)의 후부 양측에 회전구동 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좌우 중앙에 센터플로트(9), 좌우 양단에 한쌍의 사이드플로트(10)가 배치되어 있다. 제1도, 제2도,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지지케이스(8)에 걸쳐 1개의 가이드레일(11)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모 얹기대(12)하단이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좌우로 왕복 수평이송 구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회전케이스(7)의 회전에 따라 한쌍의 심기클릭(6)이 가이드레일(11)에 형성된 모 방출구(11a)를 번갈아 통과하여 모 얹기대(12)에서 모를 꺼내어 논바닥(G)에 심어간다.
모 얹기대(12)는 8개의 심기조분의 모 얹기부(12a, 12b 12c)를 구비하여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좌우 중앙측의 6개의 심기조분의 모 얹기부(12c)에 대하여 우단부와 좌단부의 1개의 심기조분의 모 얹기부(12a, 12b; 우단부 및 좌단부의 소수의 심기조분의 모 얹기부에 상당)를 분리 및 연결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다음에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의 연결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도, 제8도,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와 주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는 칸막이부(12d)에 있어서 분할되어 있다.
모 얹기대(12)의 상부 및 중간부에 있어서 모 얹기대(12)의 좌우 양단에 걸쳐 가설되는 프레임(13, 14), 모 얹기대(12)의 상부 및 하부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재로 지지하는 레일(15, 18), 각 모 얹기부(12a, 12,b 12,c)에 구비된 수직이송벨트(16; 수직이송기구에 상당)의 제1 및 제2구동축(17a, 17b, 17c; 제12도 참조), 종동축(42a; 제8도, 42b; 제9도, 42c; 제8, 9도)가 상기 칸막이부(12d)에 있어서 분할되어 있다.
다음에, 제14도, 제15도, 제16도, 제18도, 제19도, 제2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측과 좌우 중앙측 모 얹기부(12c)측으로 분할되는 프레임(13) 및 레일(15, 18)에 있어서,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측에 링을 갖는 연결용 버클(27)이 구비되어 있다. 레일(15, 18)맞댐부분에는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측에 위치결정부재(29, 30)가 고정되어 있다.
제2도, 제4도,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의 상부 및 하부의 양단에 합계 4개의 지지판(19)이 고정도고, 좌우 중앙부의 모 얹기부(12c)에도 상부 6개 하부 6개의 12개의 지지판(20; 지지부재에 상당)이 고정되어 있다.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의 양단으 지지판(19)에 걸쳐 상하 한쌍의 지지봉(21)이 가설되고, 좌우 중앙부의 모 얹기부(12c)의 지지판(20)에 걸쳐 상하 한쌍의 지지판(22; 지지부재에 상당)이 가설되어 있고, 상하의 지지부(21, 22)에 걸쳐 모 스테이(stay; 23; 모가 뜨는 것을 모의 상측에서 누르는 부상방지 부재에 상당)가 가서되어 있다.
제5도 및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단부의 모 얹기대(12b)와 좌우 중앙측 모 얹기부(12c)사이에 있어서, 좌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의 상하 지지판(20) 및 칸막이부(12d)에 단면 U자상의 고정부재(31)가 상하 방향으로 요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좌단부이 모 얹기부(12b)의 칸막이부(12d)에 연결판(32)이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우단부의 모 얹기부(12a)와 주우 중앙측 모 얹기부(12c)사이에 있어서, 우단부의 모 얹기부(12a)의 상하의 지지판(19) 및 칸막이부(12d)에 단면 U자상 고정부재(31)가 상하 요동자재로 지지되어 있고, 좌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의 칸막이부(12d)에 연결판(32)이 고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와 좌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의 하측에 있어서, 위치결정부재(29, 30)를 삽입하여 레일(15, 18)을 맞대고, 프레임(13)을 맞대어서 3개의 버클(27)에 의해 레일(15, 18) 및 프레임(13)을 연결한다.
모 얹기부(12a, 12b, 12c)상측에 있어서 3개의 고정부재(31)를 지지판(19, 20) 및 연결판(32)에 끼움으로써 칸막이부(12d)끼리를 연결하기 때문에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는 하측 3개소, 상측 3개소의 합계 6개소에서 좌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에 연결된다.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31)가 구비되어 있는 지지판(19, 20)에 볼록부(20a)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부재(31)를 지지판(19,20)에 끼웠을 때 지지판(19,20)간격이 유지되도록 고정부재(31)의 끼위맞춤부 치수가 형성되어 있다.
제3도 및 제1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측의 레일(18)의 하면에 단면 U자상의 안내부재(33)가 작은 나사로 연결되어 있고, 이 안내부재(33)에 의해 레일(18;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이 가이드레일(11)에 슬라이드 자재로 지지된다. 마찬가지로 좌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의 레일(18)의 하면에도 동일한 안내부재(33; 제17도)가 작은 나사로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좌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에서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를 분리시킬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에서 하나 좌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에 있어서 위의 지지붕(22)에 한쌍의 상향의 지지훅(24; 지지부에 상당)이 고정되어 있다. 우 및 좌측의 각각 한쌍의 지지케이스(8)에 걸쳐 아치형상의 지지프레임(25; 지지부에 상당)이 가설연결되어 있다.
전항에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되어 있는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에 있어서, 프레임(13) 및 레일(15, 18)의 버클(27)을 벗겨서 지지판(19, 20) 및 칸막이부(12d)의 고정부재(31)를 벗기고,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측의 레일(18)과 안내부재(33; 제3도 및 제17도 참조)를 연결하는 작은 나사를 벗겨서 안내부재(33)를 가이드레일(11)에 남긴다. 이에 의해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가 좌우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에서 분리된다.
다음에,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에서 하나 좌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의 지지훅(24)에 분리된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의 레일(15)을 걸고, 지지프레임(25)에 분리한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의 레일(18)을 건다.
이에 따라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가 좌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의 후방(그리고 약간 상방)에 소정의 상하 간격을 두고, 좌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와 같은 방향으로 지적되므로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 및 좌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의 양 외측당의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사이드플로트(10)의 양 외측단 보다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5)은분리한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의 지지부가 됨과 동시에 한쌍의 지지케이스(8)에 걸쳐 연결됨으로써 이 한쌍의 지지케이스(8)의 보강부재가 된다.
그리고, 제6도, 제19도, 제2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5)에 노브부착 볼트(34)가 구비되고,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의 레일(18)의 위치결정 부재(3))에 절결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25)에 분리한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의 레일(18)을 걸 경우, 위치결정부재(30)의 절결부(30a)에 노브 부착 볼트(34)를 넣어서, 이 노브 부착 볼트(34)를 죄어서 레일(18;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를 지지프레임(25)에 고정한다.
제6도, 제7도, 제8도,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1)의 우단부(11b) 및 좌단부(11c)는 버클(27; 제8도)에 의해 뻗은 상태로 고정, 및 힌지 구조에 의해 상방으로 접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1)의 우단부(11b) 및 좌단부(11c)를 보호하는 보호 프레임(35)이 구비되고, 고정된 기부(35a)에 대하여 보호 프레임(35)이 지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제4도 및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이 마커(36a)를 구비한 지지암(36)이 기부(35a)에 상하 요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를 분리했을 때에 가이드레일(11)의 우단부(11b) 및 좌단부(11c)를 상방으로 접어서 고정하고, 좌우의 보호 프레임(35)을 좌우 중앙으로 슬라이드시켜 지지암(36)을 상방으로 들어올리기 조작하여 선단의 마커(36a)를 좌우 중앙측으로 향하게 한다.
이에 의해 사이트플로트(10)의 양 외측단 보다 좌우 중앙측에 지지암(36) 및 마커(36a)가 위치하고, 사이드플로트(10)의 양 외측단과 대략 같은 위치에 가이드레일(11)의 우단부(11b) 및 좌단부(11c), 좌우의 보호 프레임(35)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레일(11)의 우단부(11b) 및 좌단부(11c)를 상방으로 포개어 접어서 고정함으로써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에서 분리되어 가이드레일(11)에 남게되는 안내부재(33)가 가이드레일(11)에 따라 이동하여 외측으로 떨어지는 일이 없다.
이 승용형 이앙기는 모 얹기대(12)에 얹게되는 모가 소정량 이하로 감소된 것을 검지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 다음에 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 제8도,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모 얹기부(12a, 12b, 12c)에 있어서, 좌측 칸막이부(12d)에 접촉제(37; 모 잔량 센서에 상당)가 제2도의 지면 우방(제8도 및 제9도의 저면 좌방)으로 돌출하도록 가압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모 얹기부(12a, 12b, 12c)에 얹게되는 모의 좌측 옆부분이 접촉제(37)에 접촉하여 이것을 칸막이부(12d)내에 압입하고 있다. 모가 소비되어 접촉체(37)의 위치 보다 낮아지면 접촉체(37)가 돌출하여 이것이 리미트스위치(38; 모 잔량 센서에 상당)로 검출되어서 부저(도시않음; 경보장치에 상당)가 울리고, 경고램프(도시않음; 경보장치에 상당)가 점등한다.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에 있어서는 지지판(39)이 모 얹기부(12c)의 좌측(제8도 및 제9도의 지면 우측)의 칸막이부(12d)의 뒷면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4)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판(39)은 외형이 장방형상이고 장방형상의 개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축심(P1)주위에 요동자재로 접촉제(37)가 가지판(39)에 지지되고, 리미트스위치(38)가 지지판(39)에 고정되어 있다.
모 얹기대(12c)의 칸막이부(12d)의 개구에서 접촉제(37)가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돌출하여 리미트스위치(38)의 작용으로 접촉체(37)가 돌출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리미트스위치(38)와 기계측의 부재 및 경고램프가 전선다발(4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제8도 및 제10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단부의 모 얹기부(12a)에 있어서는 우단부의 모 얹기부(12a; 제8도의 지면 우측)의 칸막이부(12d)에 지지판(39; 접촉체(37) 및 리미트스위치(38))가 배치되어 있으나 지지판(39)은 우단부의 모 얹기부(12a)에서 하나 좌우 중앙측(제8도의 지면 우측)의 모 얹기부(12c)의 프레임(14)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우단부의 모 얹기부(12a)의 좌측(제8도의 지면 우측)칸막이부(12d)의 개구에서 접촉체(37)가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우단부의 모 얹기부(12a)에서 하나 좌우 중앙측(제8도의 지면 우측)의 모 얹기부(12c)는 좌측의 칸막이부(12d)에 자체용 지지판(39; 접촉체(37) 및 리미트 스위치(38))을 구비하고, 우측의 칸막이부(12d)에 우단부의 모 얹기부(12a)용 지지판(39; 접촉체(37) 및 리미트스위치(38))를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제 10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단부의 모 얹기부(12a)를 분리할 경우, 우단부의 모 얹기부(12a)용 지지판(39; 접촉제(37) 및 리미트스위치(38))은 하나 중앙측(제 8도의 지면 우측)의 모 얹기부(12c)에 남게 되고, 우단부의 모 얹기부(12a)의 분리에 의해 전선다발(40)이 휘둘리는 일이 없다.
제10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단부의 모 얹기부(12a)르르 분리할 경우, 하나 좌우중앙측(제8도의 지면 우측)의 모 얹기부(12c)의 우측(이앙기 후부측에서 볼 경우)의 칸막이부(12d)에서 접촉체(37)가 노출하게 되는데 접촉체(37)의 하측의 지지판(39)이 접촉체(37)의 선단까지 뻗어 있으므로(제 10B도의 지면 좌측)지지판(39)이 접촉체(37)가 보호된다.
다음에, 좌단부에 모 얹기부(12b)에 있어서의 지지판(39), 접촉체(37) 및 리미트스위치(38)등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9도 및 제 11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단부의 모 얹기부(12b)에 있어서는 좌단부의 모 얹기부(12b)의 좌측(이앙기 후부측에서 볼 경우)의 칸막이부(12d)에 위치하도록, 지지판(39; 접촉체(37) 및 리미트스위치(38))가 프레임(14)에 고정되어 있고, 좌단부의 모 얹기부(12b)의 좌측(이앙기 후부측에서 볼 경우)의 칸막이부(12d)의 개구에서 접촉체(37)가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해 있다.
따라서, 제11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단부의 모 얹기부(12b)를 분리할 경우, 좌단부의 모 얹기부(12b)용 지지판(39; 접촉제(37) 및 리미트스위치(38))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단부의 모 얹기부(12b)를 분리하여 지지훅(24) 및 지지프레임(25)이 걸 때, 좌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와 같은 방향으로 좌단부의 모 얹기부(12b)를 걸고 있으므로 좌단부의 모 얹기부(12b)의 좌측(이앙기 후부측에서 볼 경우)의 칸막이부(12d)의 리미스트스위치(38)는 하나 좌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의 좌측(제9도의 지면 우측)의 칸막이부(12d)에 접근해가게 된다.
이에 의해 제9도 및 제11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단부의 모 얹기부(12d)의 리미트 스위치(38)에 접속되는 전선다발(41)은 좌단부의 모 얹기부(12b)를 연결한 상태에 있어서, 필요한 길이로 설정해 두는 것이 좋으며, 제11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단부의 모 얹기부(12b)를 분리하여 지지훅(24) 및 지지프레임(25)에 걸 때, 전선다발(41)이늘어나는 일이 없고, 전선다발(41)을 리미트스위치(38)에서 해체할 필요가 없다.
제11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단부의 모 얹기부(12b)를 분리할 경우, 하나 내측의 중앙측(지면 좌측)모 얹기부(12c)좌측(이앙기 후부측에서 볼 경우)의 칸막이부(12d)에서 접촉체(37) 및 리미트스위치(38)가 노출하게 되는데, 접촉체(37)하측의 지지판(39)이 리미트스위치(38)선단까지 뻗어 있으므로(지면 우측)지지판(39)에 의해 접촉체(37) 및 리미트스위치(38)가 보호된다.
다음에, 모 얹기대(12)의 각 모 얹기부(12a, 12b, 12c)에 구비된 수직이송 벨트(16)의 구동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8동, 제9도,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8개의 심기조분의 모 얹기부(12a, 12b, 12c)에 있어서, 좌우 중앙측의 6개의 심기조분의 모 얹기부(12c)에 걸쳐 1개의 제2구동축(17c) 및 종동축(42c)이 가설되고, 우단부 및 좌단부의 1개의 심기조분의 모 얹기부(12a, 12b)에 1개의 제1구동축(17a, 17b) 및 종동축(42a, 42b)이 좌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의 제2구동축(17c) 및 동동축(42c)고 동심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좌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와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사이의 칸막이부(12d)에 있어서, 종동축(42a, 42b, 42c)은 연결되어 있지 않고, 제1 및 제2구동축(17a, 17b, 17c)은 후기하는 바와 같이 분리 및 연결자재로 구성되어 있다.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넓은 제1구동륜(43) 및 제2구동륜(54)이 제1 및 제2구동축(17a, 17b, 17c)에 상대회전 자재로 바깥끼움되고, 폭넓은 종동륜(44)이 종동축(42a, 42b, 42c)에 상대회전 자재로 바깥끼움되어 있다. 각 모 얹기부(12a, 12b, 12c)에 있어서, 한쌍의 수직이송벨트(16)가 제1 및 제2구동륜(43, 54), 종동륜(44)에 걸쳐 두루감겨 있고, 각 종동축(42a, 42b, 42c)에 수직이송벨트(16)의 장력을 유지하는 인장스프링(45)이 걸려 있다.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구동륜(43, 54)은 2개의 상기 조분의 모 얹기부(12a, 12b, 12c)끼리 연결되어 있고, 수직이송 클러치(46)가 제1 및 제2구동축917a, 17b, 17c)에 4조(組)배치되어 있다. 수직이송 클러치(46)는 제1 및 제2구동축(17a, 17b, 17c)에 대하여 제1 및 제2구동륜(43, 54)을 연결 및 분리조작하는 것으로, 수직이송 클러치(46)를 연결조작하면, 수직이송 클러치(46)의 인접한 2개의 심기조분의 모 얹기부(12b, 12c)의 제1 및 제2구동륜(43, 54)이 제1 및 제2구동축(17b, 17c)에 연결조작된다.
다음에, 수직이송 클러치(46)의 구성에 대하여 우단부의 모 얹기부(12a)의 수직이송클러치(46)로 설명한다. 제8도 및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구동륜(43)의 단부에 맞물림부(43a; 제1구동축(17a)에 대하여 상대회전 자재)가 고정되고, 일체회전 및 슬라이드 자재로 맞물림부(47)가 제1구동축(17a)에 바깥끼움되고 있다. 맞물림부(47)를 제1구동륜(43)의 맞물림부(43a)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48) 및 축심(P2)주위에 요동자재로 맞물림부(47)에 결합하는 조작암(49)이 구비되어 있고, 각 조( )클러치(도시않음; 수직이송 클러치(46)가 연결해제 조작하는 모 얹기부(12a, 12b, 12c)에 대응하는 회전케이스(7)의 구동 및 정지조작을 행하는 것)의 각 클러치 레버(55; 제3도 참조)와 각 수직이송 클러치(46)의 조작암(49)이 와이어(50)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가령 제11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리한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를 지지부에 지지가능한 길이로 와이어(50)가 설정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길이를 설정함으로써 분리한 좌단부의 모 얹기부(12b)를 지지부에 지지할 때, 와이어(50)를 벗기는 번거로운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어지고, 모심기부의 연결분리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도시하지 않으나 우단부의 모 얹기부(12a)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와이어(50)의 길이를 설정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의 심기 상태에서는 각 수직이송 클러치(46)의 맞물림부(47)가 스프링(48)의 가압력으로 맞물림부(43a)에 맞물려 있고, 모 얹기대(12)가 수평 이송의 스트로크엔드에 도달하면 제1 및 제2구동축(17a, 17b, 17c)이 소정각도 만큼 회전구동되어 제1 및 제2구동륜(43, 54), 수직이송벨트(16)에 의해 모 얹기부(12a, 12b, 12c)에 얹게되는 모가 가이드레일(11)의 모 방출구(11a)측으로 이송된다.
다음에, 가령 우단부의 2개의 심기조분에 대응하는 각주( )클러치의 클러치레버(55)를 정지측으로 조작하면 각조 클러치가 정지조작되어서 우단부의 2개의 심기조분의 회전케이스(7)가 정지됨과 동시에 와이어(50)가 당김 조작되어 조작암(49)에 의해 맞물림부(47)가 맞물림부(43a)에서 분리되고 연결해제 조작되어서 우단부의 2개의 심기조분의 제1 및 제2구동륜(43, 54), 수직이송벨트(16)가 정지된다.
다음에,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와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사이의 칸막이부(12d)에 있어서, 제1 및 제2구동축(17a, 17b, 17c)의 분리 및 연결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8도, 제9도,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의 양 외측부에 수직이송 클러치(46)가 배치되어 있고, 3개의 브라켓(52)에 의해 제1구동륜(43)의 맞물림부(43a) 및 후기하는 보스부(51a, 51b)를 통하여 또는 직접으로, 제1구동축(17a, 17b)이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에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단부의 모 얹기부(12b)에서 하나 내측의 중앙측 모 얹기부(12c)의 제2구동륜(54)단부에 보스부(51c)가 고정되고, 브라켓(52)에 의해 이 모 얹기부(12c)의 제2구동축(17c)이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제12도, 제21도, 제2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이송 클러치(46)와는 반대측의 제1구동축(17b) 및 제1구동륜(43)의 단부에 맞물림부(56) 및 보스부(51b)가 제1구동축(17b) 및 제1구동륜(43)과 일체 회전 및 슬라이드 자재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53, 57)에 의해 맞물림부(56) 및 보스부(51b)가 제2구동축(17c) 및 보스부(51c)측으로 돌출하도록 가압되어 있고, 보스부(51b, 51c)의 서로 맞닿는 단면이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구동축(17b)의 맞물림부(56)가 구비된 단부를 제1연결부재, 그 맞물림부(56)와 결합가능한 오목부(56a)를 구비한 제2구동축(17c)의 단부를 제1피연결부재라 일컫고, 그 제1연결부재와 그 제1피연결부재에 의해 제1연결수단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1구동륜(43)의 보스부(51b)를 제2연결부, 상기 보스부(51b)와 결합가능한 제2구동륜(54)의 보스부(51c)를 제2피연결부재로 일컫고, 그 제2연결부재와 그 제2연결부재에 의해 제2연결수단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2도로서 명백한 바와 같이, 맞물림부(56) 및 제2구동축(17c)의 단면의 위치를 보스부(51b, 51c)의 단면의 위치에서 엇갈리게 하고 있고, 제13도, 제21도, 제2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단부의 모 얹기부(12b)를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에서 분리하면 좌단부의 모 얹기부(12b)에 있어서 보스부(51b)단면에서 내측에 제1구동축(17b)의 맞물림부(56)단면이 위치하고, 중앙측의모 얹기부(12c)에 있어서 보스부(51c)의 단면에서, 제2구동축(17c)의단면이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우단부의 모 얹기부(12a)와 중앙측의 모얹기부(12c)는 제1구동축(17a)의 맞물림부956) 및 제2구동축(17c)의 단면, 보스부(51b, 51c)의 단면의 관계가 반대가 된다.
이에 의해 분리된 좌우 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를 중앙 모 얹기부(12c)에 연결한 경우, 제1 또는 제2구동축 중의 돌출하는 맞물림부를 제1 또는 제2구동륜내의 오목패인 맞물림부내에 삽입해감으로써 제1 및 제2구동축의 맞물림부 끼리, 및 제1 및 제2구동륜의 맞물림부 끼리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좌우 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를 중앙측 모 얹기부(12c)에 연결하고있는 상태에 있어, 제1 및 제2구동축(17b, 17c)의 맞물림부의 맞물림 위치와 제1 및 제2구동륜(43, 54)의 맞물림부의 맞물림 위치가 빗나가 있으면 제1 및 제2구동축(17b, 17c)의 맞물림부가 반경방향으로 빗나가 있으려 하여도 제1 및 제2구동륜(43, 54)의 맞물림부에의해 이것이 저지된다. 마찬가지로 제 1구동륜(43) 및 제 2구동륜(54)의 맞물림부가 반경방향으로 빗나가려 하여도 제1 및 제2구동축(17b, 17c)의맞물림부에 의해 이것이 저지되므로 제1 및 제2구동축(17b, 17c)의 동심도 및 제1 및 제2구동륜(43, 54)의 동심도가 양호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를 조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에 연결한 상태에 있어서, 우단부 및 좌단부의 얹기부(12a, 12b)의 보스부(51a, 51b) 제1구동축(17a, 17b)과 하나 좌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의 보스부(51c) 및 제2구동축(17c)이 맞물려 제1 및 제2구동륜(43, 54), 제1 및 제2구동축(17a, 17b, 17c)이 연결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각 모 얹기부(12a, 12b, 12c)의 제1 및 제2구동축(17a, 17b, 17c), 제1 및 제2구동륜(43, 54)이일체로 회전구동된다.
다음에,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를 분리하면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의 보스부(51a, 51b), 제1구동축(17a, 17b)과, 하나 내측의 중앙측 모 얹기부(12c)의 보스부(51c) 및 제2구동축(17c)이 분리한다.
이 경우, 좌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와 같은 상향으로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얹기부(12a, 12b)를 걸고 있으므로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의 양 외측부의 수직이송 클러치(46)는 하나 내측의 중앙측 모 얹기부(12c)의 칸막이부(12d)에 접근해 가게 된다. 따라서,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의 수직이송 클러치(46)에 접속되는 와이어(50)는 제10B도 및 제11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를 연결한 상태에 있어서 필요한 길이로 설정해 두는 것만으로도 좋으며,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를 분리하여 지지훅(24) 및 지지프레임(25)에 걸 때, 와이어(50)가 늘어지는 일이 없고, 와이어(50)를 수직이송 클러치(46)에서 벗길 필요가 없다.
반대로, 가령 분리한 좌단부의 모 얹기부(12b)를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에 연결한 경우는 제12도, 제21도, 제2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에 있어서 보스부(51c)단면에서 돌출하는 제2구동축(17c)의 단면을 좌단부의 모 얹기부(12b)의 보스부(51b)에 삽입하면서 좌단부의 모 얹기부(12b)의 보스부(51b), 제1구동축(17b)의 맞물림부(56)와 좌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의 보스부(51c) 및 제2구동축(17c)를 맞물리게 하고, 양 보스부(51b, 51c), 제1 및 제2구동축(17b, 17c)을 서로 연결한다.
우단부의 모 얹기부(12a)와 좌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에서는 제1구동축(17a)의 맞물림부(56) 및 제2구동축(17c)단면, 보스부(51a, 51c)단면의 관계가 반대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와는 반대 상태로 양 보스부(51a, 51c), 제1 및 제2구동축(17a, 17c)이 연결된다.
이 경우, 보스부(51a, 51b)와 보스부(51c)와 단면의 위상, 제1구동축(17a, 17b)의 맞물림부(56)와 제2구동축(17c)의 단면의 위상이 합치해 있지 않으면 제13도에 있어서 좌단부의 모 얹기부(12b)의 맞물림부(56) 및 보스부(51b)가 스프링(53, 57)에 저항하여 지면좌방으로 이동한다(우단부의 모 얹기부(12a)의 맞물림부(56) 및 보스부(51a)는 제8도 지면좌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를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에 연결후,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의 제1구동축(17a, 17b), 제1구동륜(43)을 손으로 조금 회전시켜 주면 단면의 위상이 합치하여 스프링(53, 57)의 가압력에 의해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의 맞물림부(56) 및 보스부(51a, 51b)가 이동하여 좌우 중앙측 모 얹기부(12c)의 제2구동축(17c) 및 보스부(51c)에 맞물린다.
[다른 실시예]
상기 실시예에서는 8조식의 승용형 이앙기에 있어서, 우단부 및 좌단부의 1개의 심기조분의 모 얹기부(12a, 12b)를 분리 및 연결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으나, 10조식의 승용형 이앙기에 있어서, 우단부 및 좌단부의 2개의 심기조분의 모 얹기부(12a, 12b)를 분리 및 연결가능하게 구성하고, 분리한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를 좌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상측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제6도에 있어서, 분리한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를 좌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후방에 지지시킬 경우, 좌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의 양 외측부의 칸막이부(12d)보다 조금 옆 바깥쪽으로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의 양외측부의 칸막이부(12d)가나오도록 설정하여도 좋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하는 지지프레임(25)을 폐지하고, 분리한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의 하측의 레일(18)을 좌우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의 하측의 지지판(20)에 지지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에 구비된 접촉체(37) 및 리미트스위치(38)을 칸막이부(12d)가 아니고, 우단부 및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에 있어서, 모가 얹게되는 면의 좌우 중앙에 구비하여도 좋다.
제1연결수단의 제1연결부재로서의 제1구동축(17a, 17b)의 단부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제2연결부재로서의 제2구동축(17c)의 단부에 이들 오목부에 끼워넣게되는 볼록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구동축(17b)의 단부가 보스부(51b)의 단면 보다 내측에 있고, 제2구동축(17c)의 단부가 보스부(51c)에 의해 돌출한 상태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와는 반대로 제1구동축(17a, 17b)의 단면을 각각의 보스부(51b)에 의해 돌출시켜, 제2구동축(17c)의 양단부를 각각의 보스부(51c)의 단면 보다 내측에 있는 상태로 설정하여도 좋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항에 도면과의 대조를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부호를 기입하나, 그 기입에 의해 본발명은 첨부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8)
- 다수의 심기조분의 모 얹기부(12a, 12b, 12c)를 구비한 모 얹기대(12)를 기체 좌우방향으로 왕복 수평이송 구동자재로 지지한 다수조식 승용형 이앙기의 모 얹기대 구조로서,상기 모 얹기대(12)에 있어서의 우단부 및 좌단부의 심기조분의 모 얹기부(12a, 12b)를 각 심기조의 칸막이부(12d)로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에서 분리 및 연결가능하게 구성하고상기 분리된 좌우 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를 상기 중앙측 모 얹기부(12c)의 후부측에 소정간격을 두고, 또한 상기 중앙측 모 얹기부(12c)와 같은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24, 2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이앙기의 모 얹기대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심기클릭(6)을 회전자재로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케이스(8)에 걸치어서 연이어 설치된 지지프레임(25)을 가지고, 상기 지지프레임(25)을 상기 지지부로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이앙기의 모 얹기대 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의 반모 얹기측에는 상부 레일(15)과 하부레일(18)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중앙측 모 얹기부(12c)에 고정접속된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된 지지훅(24)과 상기 지지프레임(25)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좌우 모 얹기대를 상기 중앙측 모 얹기대에서 분리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훅(24)은 상기상부 레일(15)을 지지가능하고,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5)은 상기 하부레일(18)을 지지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얹기대 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의 반 모 얹기측에는 상부 레일(15)과 하부레일(18)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중앙측 모 얹기부(12c)에 고정접속된 상부 지지플레이트(20)에 설치된 지지훅(24)과 상기 중앙측의 얹기부(12c)에 고정접속된 하부지지플레이트(20)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좌우 단부의 모 얹기대를 상기 중앙측 모 얹기대에서 분리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훅(24)은 상기 상부 레일(15)을 지지가능하고, 또한, 상기 하부지지 플레이트(20)는 상기 하부레일(18)을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얹기대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되는 우단부 또는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에, 재치되는 모가 소정량 이하로 감소되는 것을 검출하는 모잔량 센서(37, 38)를 구비하여, 상기 모잔량 센서(37, 38)의 검출에 의거하여 경보를 발하는 중앙 모 얹기부(12c)측의 경보장치와 상기 모잔량 센서(37, 38)를 전선다발(41)을 통하여 접속하고, 상기 전선다발(41) 길이를 상기 우단부 또는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를 분리하여 상기 중앙측의 모 얹기부(12c)측의 상기 지지부(24, 25)에 지지가능한 길이로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이앙기의 모 얹기대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되는 우단부 또는 좌단부이 모 얹기부(12a, 12b)에 얹게 되는 모가 소정량 이하로 감소된 사실을 검출하는 모잔량 센서(37, 38)를 상기 중앙 모 얹기부(12c)의 칸막이부(12d)에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모잔량 센서를 모의 수평측 부분에 접촉하는 접촉체를 가지고, 이 접촉체는 상기 우단부 또는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이앙기의 모 얹기대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되는 우단부 또는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 12b)에 얹게되는 모를 하측의 모 방출구(11a)측으로 이송하는 수직이송기구(16)와 상기 수직이송기구(16)를 작동 및 정지조작하느 수직이송 클러치(46)를 구비하여 상기 중앙 모 얹기부(12c)측에 구비된 클러치 레버와 상기 수직이송 클러치(46)를 와이어(50)를 통하여 접속하고, 상기 와이어(50)의 길이를 상기 우단부 또는 좌단부의 모 얹기부(12a)를 분리하여 상기 중앙측 모 얹기부(12c)측의 지지부(24, 25)에지지 가능한 길이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이앙기의 모 얹기대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 얹기대(12)가 왕복 미끄럼운동하기 위한 상기 모 얹기대의 좌우방향으로 연이어 설치하는 가이드레일(11)를 가지고, 이 가이드레일의 좌우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 중앙부에 대하여 포개어 접기 가능하게 구성되고, 그 포개어 접은 상태로 유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얹기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5-43872 | 1995-03-03 | ||
JP04387295A JP3552778B2 (ja) | 1995-03-03 | 1995-03-03 | 乗用型田植機の苗のせ台構造 |
JP95-43682 | 1995-03-03 | ||
JP04368495A JP3416319B2 (ja) | 1995-03-03 | 1995-03-03 | 乗用型田植機の苗のせ台構造 |
JP95-43684 | 1995-03-03 | ||
JP7043682A JPH08238008A (ja) | 1995-03-03 | 1995-03-03 | 乗用型田植機の苗のせ台構造 |
JP95-69111 | 1995-03-28 | ||
JP7069111A JPH08256543A (ja) | 1995-03-28 | 1995-03-28 | 乗用型田植機の苗のせ台構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33229A KR960033229A (ko) | 1996-10-22 |
KR0139862B1 true KR0139862B1 (ko) | 1998-07-01 |
Family
ID=27461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12686A KR0139862B1 (ko) | 1995-03-03 | 1995-05-20 | 승용형 이앙기의 모 얹기대 구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0139862B1 (ko) |
TW (1) | TW297746B (ko) |
-
1995
- 1995-05-04 TW TW084104467A patent/TW297746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5-05-20 KR KR1019950012686A patent/KR013986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97746B (ko) | 1997-02-11 |
KR960033229A (ko) | 1996-10-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64240B2 (ja) | 田植機の予備苗収容構造 | |
KR0139862B1 (ko) | 승용형 이앙기의 모 얹기대 구조 | |
JP2706816B2 (ja) | 印刷物の収集、まとめおよび差込み合せを行なう装置 | |
CN107535136A (zh) | 水田作业车 | |
CN104519732A (zh) | 作业机搭载用发动机装置 | |
JP3628420B2 (ja) | 田植機 | |
JP3416319B2 (ja) | 乗用型田植機の苗のせ台構造 | |
JP3628421B2 (ja) | 田植機 | |
JP3374041B2 (ja) | 田植機の苗植付装置 | |
JPH08256543A (ja) | 乗用型田植機の苗のせ台構造 | |
JP2007089499A (ja) | 水田作業機 | |
JPH08238008A (ja) | 乗用型田植機の苗のせ台構造 | |
JP3433277B2 (ja) | 田植機 | |
JP3628502B2 (ja) | 田植機の施肥ホース収納構成 | |
JP3640073B2 (ja) | 田植機 | |
JPH08238009A (ja) | 乗用型田植機の苗のせ台構造 | |
JP3521042B2 (ja) | 田植機の苗載装置 | |
KR200341637Y1 (ko) | 콤바인 | |
JP3487480B2 (ja) | 田植機の苗載装置 | |
JP2555230B2 (ja) | 移植機の苗送り装置 | |
JP3655434B2 (ja) | 乗用田植機の苗載台構造 | |
JPH07112377B2 (ja) | 田植機における苗載台 | |
JPH069A (ja) | 苗植付装置 | |
JPS6131654Y2 (ko) | ||
JPH0510584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