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709Y1 - 차량의 배터리 캡 - Google Patents

차량의 배터리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709Y1
KR0139709Y1 KR2019950028726U KR19950028726U KR0139709Y1 KR 0139709 Y1 KR0139709 Y1 KR 0139709Y1 KR 2019950028726 U KR2019950028726 U KR 2019950028726U KR 19950028726 U KR19950028726 U KR 19950028726U KR 0139709 Y1 KR0139709 Y1 KR 01397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p
cover
batter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87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791U (ko
Inventor
김용우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20199500287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709Y1/ko
Publication of KR9700197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7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7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7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배터리에 배선이 연결되는 부분에 개폐가능한 캡을 달아 전기합선의 위험을 없애고 배선의 단락염려도 없게한 개량된 배터리 캡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캡(18)이 씌워지는 배터리의 단자(12)는 차량의 진동이나 정비중에 건드려서 쉽게 벗겨지는 단점이 있고, 차량 엔진룸내의 높은 열에 의해서도 늘어나게 되어 단자(12)로부터 쉽게 벗겨지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캡(18)이 벗겨지는 경우 단자(12)의 노출로 합선의 위험이 크고, 납재질로 된 단자(12)와 접속구(16) 사이에 이물질이 끼어 케이블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되는 등 문제가 컸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이 종래의 배터리 캡이 지닌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이를 위해 관통구(22)가 형성된 바닥부(24)와 케이블 안내구(26)가 형성된 커버(28)로 이루어지며, 바닥부(24)양면에는 탄착편(30)이 형성되고, 커버(28)에는 탄착편(30)에 탄압되는 끼움구(32)를 형성시켜서 단자로 부터 이탈될 염려가 없고 일체형의 커버가 탄착되어서 사용이 간편함은 물론, 완벽한 이물질 혼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배터리 캡
제1도는 종래 차량의 배터리와 캡에 대한 설명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단면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캡의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접힘부 22 : 관통구
24 : 바닥부 26 : 안내구
28 : 커버 30 : 탄착편
32 : 끼움구
본 고안은 차량용배터리에 배선이 연결되는 부분에 개폐가능한 캡을 달아 전기합선의 위험을 없애고 배선의 단락염려도 없게한 개량된 배터리 캡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시동을 위해서는 물론 각종의 전기부품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제공용의 배터리는 제1도와 같이 밀폐된 용기에 화학용액이 내장되어서 화학 반응에 따라 전기가 발생되는 것을 단자를 통해 배선으로 연결하여 필요부품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임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특히, 배터리(10)의 단자(12)에 연결되는 케이블(14)끝의 터미날, 즉 접속구(16)는 그대로 노출시킨 차량도 있지만, 엔진룸정비중의 합선위험이나 이물질이 끼어서 단락의 염려가 있으므로 캡(18)으로 덮어 씌운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이를 위한 캡(18)은 절연성의 재질로 만들어지며, 제2도와 같이 단자(12)위에 씌워져 다른 부품이나 이물질이 캡(18)내로 들어오지 못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캡(18)이 씌워지는 배터리의 단자(12)는 차량의 진동이나 정비중에 건드려서 쉽게 벗겨지는 단점이 있고, 차량 엔진룸내의 높은 열에 의해서도 늘어나게 되어 단자(12)로부터 쉽게 벗겨지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캡(18)이 벗겨지는 경우 단자(12)의 노출로 합선의 위험이 크고, 납재질로 된 단자(12)와 접속구(16) 사이에 이물질이 끼어 케이블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되는등 문제가 컸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이 종래의 배터리 캡이 지닌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즉 종래의 캡이 단순히 단자의 노출만을 방지하기 위해 씌워져 있으므로 쉽게 이탈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캡을 단자에 끼워지는 바닥부와 뚜껑을 이루는 커버로 구성시켜서 캡이 단자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함은 물론, 커버가 바닥부에 대해 개폐되어 지므로써 캡을 이탈시키지 않고도 단자를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캡의 바닥부에는 단자가 끼어지는 관통구와 커버가 탄착되기 위한 탄착편이 형성되고, 커버는 바닥부와 일체로 연장되어 접힘부를 중심으로 접었다 펴질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탄착편과 짝을 이루어 체결되는 끼움구와 케이블 안내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캡의 바닥부를 단자에 먼저 끼운 후 케이블과 연결된 접속구를 단자에 체결시키면 캡은 단자에 끼워진 접속구에 의해 이탈되지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를 닫게 되면 케이블 안내구가 케이블을 씌우는 것과 같이 수납하는 정위치가 되며, 커버의 끼움구와 바닥부의 탄착편을 체결시키면 단자를 덮을 수 있는 캡이 되어 단자의 보호와 단락 및 합선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접힘부(20)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도록 일체로 성형된 배터리 캡으로, 관통구(22)가 형성된 바닥부(24)와 케이블 안내구(26)가 형성된 커버(28)로 이루어지며, 바닥부(24) 양편에는 탄착편(30)이 형성되고, 커버(28)에는 탄착편(30)에 탄압되는 끼움구(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캡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배터리캡에 대한 사시도로, 관통구(22)는 배터리 단자(12) 직경보다 다소 넓게 형성되고, 탄착편(30)과 끼움구(32)는 측면에 대칭되게 한쌍을 형성시켰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위치에 서로 결착될 수 있으면 된다.
또한, 케이블 안내구(26)도 케이블(14)보다 다소 직경이 넓게 형성되어서 장착후의 불편함이 없게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본 고안을 설치할때는 제4도와 같이 단자(12)에 먼저 캡을 끼우되, 그 관통구(22)가 단자(12)에 끼워지게 하고, 그 위로 단자(12)에 종래와 같이 케이블 접속구(16)를 결합시킨다.
이어서, 커버(28)를 덮어서 그 끼움구(32)가 탄착편(30)에 탄착되게 하면 제5도와 같이 캡설치가 끝나며, 단자(12)를 확인하거나 접속구(16)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커버(28)를 좀더 강하게 당기면 끼움구(32)가 탄착편(30)으로부터 이탈되어 열리게 되고, 캡은 그 관통구(22)가 단자(12)에 끼워진채 접속구(16)로 막혀 있으므로 단자(12)로부터 이탈되는 일은 없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단자로부터 이탈될 염려가 없고 일체형의 커버가 탄착되어서 사용이 간편함은 물론, 완벽한 이물질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관미가 우수하므로 상품성이 향상되고, 단락과 이물질 혼입이 방지되어 유지관리가 간편한 실용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배터리(10)의 단자(12)가 삽입되는 관통구(22)가 바닥부(24)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24)의 좌우 양측에는 탄착편(30)이 형성되며, 상기 탄착편(30)에 착탈되는 끼움구(32)가 좌우 양측에 형성된 커버(28)가 바닥부(24)의 상부로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커버(28)와 바닥부(24)가 접힘부(20)를 중심으로 접히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28)의 전면부에는 케이블안내구(2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캡.
KR2019950028726U 1995-10-13 1995-10-13 차량의 배터리 캡 KR01397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726U KR0139709Y1 (ko) 1995-10-13 1995-10-13 차량의 배터리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726U KR0139709Y1 (ko) 1995-10-13 1995-10-13 차량의 배터리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791U KR970019791U (ko) 1997-05-26
KR0139709Y1 true KR0139709Y1 (ko) 1999-05-15

Family

ID=19425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8726U KR0139709Y1 (ko) 1995-10-13 1995-10-13 차량의 배터리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7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153B1 (ko) * 2005-12-02 2007-04-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조인트박스
KR20160001396U (ko) 2014-10-21 2016-04-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단자 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153B1 (ko) * 2005-12-02 2007-04-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조인트박스
KR20160001396U (ko) 2014-10-21 2016-04-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단자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791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3756B2 (ja) 電源供給ボックス
KR0139709Y1 (ko) 차량의 배터리 캡
US5857874A (en) Terminal structure for connection to electric connection box
US6406087B2 (en) Bracket for attaching interior equipment
JPH0751746Y2 (ja) 回路基板の接続装置
JP2002330527A (ja) 電気接続箱
JP3599233B2 (ja) 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取付構造
US5180310A (en) Automotive jumper cable apparatus
JPH11299115A (ja) 車両用バッテリボックス
JPH09149527A (ja) 電気接続箱
JP4116728B2 (ja) 電子機器ケースのシール構造
KR100632301B1 (ko)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구조
KR200161072Y1 (ko) 전기자동차용 밧데리의 고정박스
KR100353926B1 (ko) 자동차퓨즈박스커버의로킹구조
JPH035077Y2 (ko)
JPH10275639A (ja) 自動車用ワイヤーハーネスの接続構造
JPH0221330Y2 (ko)
JP2002345126A (ja) 電気接続箱
JPH0646180Y2 (ja) 自動車用電気接続装置
KR940005275Y1 (ko) 컨넥터 하우징
JPH09213198A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ボックス
JPH11260344A (ja) 電源遮断リレーの取付け構造
KR0115373Y1 (ko) 자동차의 예비 퓨즈박스
JP2004215418A (ja) リレーボックス
KR20220043376A (ko) 배터리 모듈용 일체형 절연 커버 및 이를 포함한 배터리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