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198B1 - 팬(fan)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팬(fan) 구동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198B1
KR0139198B1 KR1019910019941A KR910019941A KR0139198B1 KR 0139198 B1 KR0139198 B1 KR 0139198B1 KR 1019910019941 A KR1019910019941 A KR 1019910019941A KR 910019941 A KR910019941 A KR 910019941A KR 0139198 B1 KR0139198 B1 KR 0139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r
power
controller
circui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9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1703A (ko
Inventor
이경근
Original Assignee
강진구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구,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진구
Priority to KR1019910019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198B1/ko
Publication of KR930011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1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Air Blow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팬(FAN)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전원차단 후에도 일정기간 냉각용 팬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최근 전원 투입시의 노이즈로 부터 타이머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제품의 동작중 회로불안정등에 기인한 노이즈로 부터의 타이머 오동작시에도 타이머의 출력이 제어부에 피드백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팬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팬(FAN) 구동회로
제 1도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투사형수상관의 냉각용 팬 구동회로도,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 구성부분의 출력파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원공급부3 : 냉각용팬
5 : 제어부7 : 전원제어부
9 : 트리거펄스발생회로11 : 타이머
13 : 타이머출력제어부
본 발명은 액정투사기(LCD PROJECTOR)에서 화면을 스크린에 투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램프광원을 냉각시키기 위한 팬의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액정투자기에는 고온의 램프가 사용되고, 이는 열에 약하기 때문에 전원을 차단한 이후에도 일정시간 동안 램프를 소정의 온도 이하로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용 팬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전원을 차단한 이후에도 일정시간 동안 램프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타이머를 사용하여 냉각용팬을 구동시켜 왔었다. 그러나, 종래의 타이머 회로는 대기전원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 전원을 투입할때 노이즈로 인한 타이머의 오동작이 있어 왔다. 뿐만아니라 타이머의 동작여부를 인지하고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타이머의 출력을 직접제어부에 피드 백(Feed Back)시킴으로 인해서, 제품의 동작중 노이즈로 인한 타이머의 작동시에 제어부에서 타이머의 동작을 인지하여 타이머의 동작상태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전원투입시의 노이즈로 부터 타이머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팬 구동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도 다른 목적은 전원의 투입후 제품의 동작중에 회로 불안정등의 노이즈로 인한 타이머의 동작시에도 타이머의 출력이 제어부로 피드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팬 구동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머를 구비한 팬 구동회로에 있어서, 전원개폐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스위칭수단을 개재하여 교류 전원 입력단에 연결되고, 냉각용 팬 및 내부회로에 전원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대기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전원개폐신호 또는 타이머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수단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에 연결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타이머에 트리거펄스를 발생하는 트리거펄스발생회로를 포함하는 팬 구동회로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투사용수상관의 냉각용 팬 구동회로도이다. 교류입력단에는 전원공급부(1)가 연결되어 있다. 이 전원공급부(1)는 교류입력전원을 받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냉각용 팬(3) 및 각종 내부회로에 전원전압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에 입력되는 교류전원 입력라인에는 릴레이(RL)의 스위치 접점이 개재되어 있다.
제어부(5)는 각부의 동작을 감시하고 지시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이 제어부(5)는 제품의 동작을 개폐하는 제어신호(S7)를 출력하고, 타이머출력제어부(13)의 궤환신호(S10)을 입력받아 타이머(11)의 동작을 감시하고 표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번호 7의 점선부분은 제어부(5)의 전원개폐신호(S7) 또는 타이머 출력제어부의 궤환시놓(S10)에 따라 릴레이(RL)의 접점을 개폐하기 위한 전원제어부를 나타낸다. 이 전원제어부(7)는 제어신호에 따라 교류전원 입력라인에 연결된 스위치접점을 개폐할 수 있도록 대기 (STAND-BY)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릴레이(RL)와, 콜렉터가 릴레이(RL)에 연결되어 릴레이(RL)를 제어하는 NPN트랜지스터(Q1)와, 제어부(5)로 부터의 전원ON 제어신호(HIGH:S7)또는 타이머출력제어부(13)의 궤환신호(S10)가 High 일때 트랜지스터(Q1)를 턴온 하도록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OR게이트(15)로 구성되어 있다.
번호 9의 접선부분은 전원공급부(1)의 전원을 인가받아 제어부(5)가 전원개폐신호(S7)의 전원 OFF(Low)신호를 송출시 타이머(11)를 작동시키기 위한 트리거펄스발생하는 트리거펄스발생회로를 나타낸다. 이 트리거펄스발생회로(9)는 제어부(5)의 전원개폐신호(S7)를 반전시키는 위상반전 트랜지스터(Q2)와, 위상반전 트랜지스터(Q2)의 출력을 미분하는 미분회로(C1,R3)와, 미분회로의 베이스인가전압에 따라 타이머(11)에 트리거펄스를 발생 하기 위한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된다. 여기서 미설명된 저항들 (R1,R2,R4)은 회로의 정수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번호 13의 점선부분은 제어부(5)의 전원개폐신호(S7)가 ON(High)상태일때 타이머(11)의 출력(S9)을 항상 제어부(5)에 Low상태에 피드백 신호(S10)를 송출하고, 전원개폐신호(S7)가 OFF(Low)상태일때 타이머(11)의 출력(S9)을 그대로 제어부(5)에 피드백시키는 타이머출력제어부로서, 베이스가 제어부(5)에 연결되고 콜렉터가 타이머(11)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냉각용 팬 구동회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초기상태로 교류입력이 입력되면 제어부(5)의 전원개폐신호(S7)는 OFF(Low)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때 대기전원은 공급되고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부(1)의 출력전압 (S3,S4)은 0레벨로써 동작되고 있지 않는 상태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제어부(5)로 부터의 전원개폐신호(S7)가 ON상태(High)로 전환되면 OR게이트(15)를 통하여 전원제어부(7)의 트랜지스터(Q1)를 동작시키고, 따라서 대기전원에 연결된 릴레이(RL)가 작동하여 스위접점을 ON시킴으로 교류입력전원이 전원공급부(1)에 공급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원공급부(1)는 냉각용 팬을 구동하여 액정투사기에 사용되는 램프광원을 냉가시키게 되고, 회로내부의 전원전압을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어부(5)로 부터의 전원개폐신호(S7)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될 때에, 트리거펄스발생회로(9)의 트랜지스터(Q2,Q3)는 아직 전원공급부(1)가 동작을 하고 있지 아니한 상태이기 때문에 전원전압이 0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전기적으로 동작을 하지 아니한다. 따라서, 트리거펄스발생회로(9)가 전원개폐신호의 ON될때의 노이즈로 인한 트리거펄스를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타이머(11)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전원개폐신호(S7)가 ON상태에서 회로불안전등의 노이즈로 인하여 타이머(11)가 동작, 즉 타이머(11)의 출력 (S9)이 High상태로 된다 하더라도, 제어부(5)로 부터의 전원개폐신호(S7)가 High상태로 타이머출력제어부(13)의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인가되고 있으므로, 트랜지스터(Q4)는 ON상태를 유지하고, 따라서, 타이머(11)의 출력신호(S9)로 부터의 피드백신호(S10)는 항상 Low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타이머(11)의 오동작에 의한 제품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타이머출력제어부(13)의 트랜지스터(Q4)의 동작상태에 대한 진리표는 표 1과 같다.
다음, 제어부(5)의 전원개폐신호(S7)가 ON상태(High)에서 OFF상태(Low)로 전환될 때의 회로동작을 설명한다.
제어부(5)로 부터의 전원개폐신호(S7)는 트리거펄스발생회로(9)의 위상반전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때 전원개폐신호(S7)는 Low상태이므로 트랜지스터(Q2)는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전환되고, 따라서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은 Low에서 High로 전환된다. 이때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펄스는 미분기 (C1,R3)에 의해 미분되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때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베이스전압(VB)은 하기 식(1)과 같다.
여기서, Vcc는 전원공급부(1)로 부터 미분회로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이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3)는 콘덴서(C1) 충전시간동안 ON상태로 있으며 충전이 끝난 시점에서 부터 OFF상태로 유지하므로,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는 부극성펄스가 발생하여 타이머(11)에 인가된다. 타이머(11)는 트리거펄스의 입력에 의해 Low상태에 있었던 출력신호(S9)를 High상태로 유지하게한다. 이 일정시간은 타이머(11)의 저항(R7) 및 콘덴서(C2)의 시정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저항(R7) 및 콘덴서(C2)의 시정수에 의해 결정되어지는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타이머(11)의 출력은 다시 Low상태로 환원된다. 다시, 타이머(11)의 출력이 High 상태로 전환되면, 제어부(5)로 부터의 전원개폐신호(S7)는 Low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타이머출력제어부(13)의 트랜지스터(Q4)는 OFF상태이고, 따라서 타이머의 High상태의 출력은 피드백되어 제어부(5)에 타이머(11)의 작동중임을 알림과 동시에 전원제어부(7)의 OR게이트(15)에 인가된다. 여기서, OR게이트의 진리표를 나타내면 표 2와 같다.
그리고, OR게이트(15)의 출력은 High상태로 전원제어부(7)의 트랜지스터(Q1)를 ON시켜 릴레이(RL)를 작동시키므로 교류입력전원이 전원공급부(1)에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타이머(11)의 동작기간중 전원개폐신호가 OFF된 이후에도 냉각용 팬을 구동시켜 램프광원을 소정온도이하로 계속하여 냉각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 전원개폐신호(S7)가 OFF된 이후에도 타이머(11)의 동작시간이 대단히 짧기 때문에 전원 공급부(1)의 전원전압이 충분히 Low상태로 떨어지지 아니하므로 타이머(11)는 이 전원전압(Vcc)에 따라 충분히 회로동작이 가능하다.
제 2도는 제 1도 회로도의 각부 동작을 나타내는 출력 파형도로서, (1)은 제어부(5)로 부터의 전원개폐신호(S7), (2)는 전원제어부(7)의 트랜지스터(Q1)의 ONOFF상태를 나타내는 파형도, (3)은 전원공급부(1)의 출력전압(S3,S4),(4)는 트리거펄스발생회로(9)의 출력(S8)파형도, (5)는 타이머(11)의 출력(S9),(6)은 피드백신호(S10)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면 중 (A)는 릴레이(RL)가 ON될때 까지의 기간, (B)는 전원공급부(1)가 동작될때 까지의 기간, (C)는 전원개폐신호(S7)의 OFF후 타이머(11)가 동작시 까지의 과도기간, (D)는 전원공급부(1)의 전압유지기간, (E)는 트리거펄스, (F)는 타이머(11)의 동작기간을 각각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팬 구동회로는 전원투입시 노이즈로 부터 타이머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제품의 동작중 회로불안 정등의 노이즈에 의한 타이머의 오동작에도 타이머의 출력이 궤환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타이머(Timer)를 구비한 팬(FAN) 구동회로에 있어서,
    전원개폐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스위칭 수단을 개재하여 교류전원입력단에 연결되고, 냉각용 팬 및 내부회로에 전원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대기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전원개폐신호 또는 타이머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에 연결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타이머에 트리거펄스를 발생하는 트리거펄스발생회로를 포함하는 팬 구동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제어부의 전원개폐신호출력단과 타이머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고, 타이머의 출력을 제어부와 전원제어부에 인가하는 타이머출력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팬 구동회로.
  3. 제 2항에 있어서, 타이머 출력 제어부는 콜렉터가 타이머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베이스가 제어부의 전원개폐신호출력단에 연결된 NPN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팬 구동회로.
  4. 제 1항에 있어서, 전원제어부의 콜렉터가 스위칭수단을 제어 하도록 대기전원에 연결된 NPN 트랜지스터와, 제어부의 전원개폐신호 또는 타이머의 출력신호 상기 트랜지스터에 베이스에 인가하는 OR회로를 포함하는 팬 구동회로.
  5. 제 1항에 있어서, 트리거펄스발생회로는 베이스가 제어부에 연결되어 전원개폐신호를 발전시키는 위상반전 트랜지스터와, 위상반전 트랜지스터의 출력을 미분하는 미분회로와, 베이스가 미분회로에 연결되고 콜렉터가 전원공급부 및 타이머에 연결되어 미분회로의 베이스인가 전압에 따라 타이머에 트리거펄스를 인가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팬 구동회로.
KR1019910019941A 1991-11-11 1991-11-11 팬(fan) 구동회로 KR0139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9941A KR0139198B1 (ko) 1991-11-11 1991-11-11 팬(fan)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9941A KR0139198B1 (ko) 1991-11-11 1991-11-11 팬(fan) 구동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703A KR930011703A (ko) 1993-06-24
KR0139198B1 true KR0139198B1 (ko) 1998-05-15

Family

ID=19322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9941A KR0139198B1 (ko) 1991-11-11 1991-11-11 팬(fan)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19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703A (ko) 199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48921B2 (ja) 水晶発振回路
KR0171857B1 (ko) 전원 공급 제어 회로 및 방법
JPH09180888A (ja) 放電灯点灯装置
KR0139198B1 (ko) 팬(fan) 구동회로
KR950008798A (ko) 전자석 장치의 구동 회로
JPH08256478A (ja) 電 源
JPH0744134A (ja) 液晶ディスプレイ駆動電源供給制限回路
JP3561653B2 (ja) ゲート駆動回路及びそれを内蔵する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H0415620A (ja) 液晶表示器用電源の制御装置
JPH05265599A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の電源供給装置
JP3272319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2000224843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3783473B2 (ja) 節電電力制御装置
KR910000706B1 (ko) Lcd 프로젝터 조명 장치의 온도 조절장치
KR0150157B1 (ko) 비디오장치에서 소비전력 절약장치 및 방법
JP3090866B2 (ja) 電源シーケンス制御回路
JP4389914B2 (ja) 光源点灯装置
JP2002318645A (ja) 待機電力低減装置
JPH01122328A (ja) 機器冷却装置
KR0121104Y1 (ko) 소자회로
KR910005672Y1 (ko) 시계의 알람 제어회로
KR900000231B1 (ko) 장시간 타이머회로
JP3318465B2 (ja) 電源回路
JPH09306322A (ja) リレー駆動装置
JPH0746826A (ja) スタンバイモード付き昇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