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094B1 - 히드로클로로플루오로프로판의 공비 조성물 또는 공비형 조성물 - Google Patents

히드로클로로플루오로프로판의 공비 조성물 또는 공비형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094B1
KR0139094B1 KR1019900701746A KR900701746A KR0139094B1 KR 0139094 B1 KR0139094 B1 KR 0139094B1 KR 1019900701746 A KR1019900701746 A KR 1019900701746A KR 900701746 A KR900701746 A KR 900701746A KR 0139094 B1 KR0139094 B1 KR 0139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r244ca
r225cb
weight
azeotrop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1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700089A (ko
Inventor
슌이찌 사메지마
겐로오 기따무라
나오히로 와따나베
데루오 아사노
도루 가미무라
신스께 모리가와
Original Assignee
후루모또 지로
아사히가라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2568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07045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2564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07026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2568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0704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9646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79636A/ja
Application filed by 후루모또 지로, 아사히가라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모또 지로
Publication of KR910700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700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0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50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5/00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by other methods; Apparatus for 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with organic solvents
    • C23G5/02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by other methods; Apparatus for 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with organic solvents using organic solvents
    • C23G5/028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by other methods; Apparatus for 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with organic solvents using organic solvents containing halogenated hydrocarbons
    • C23G5/02809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by other methods; Apparatus for 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with organic solvents using organic solvents containing halogenated hydrocarbons containing chlorine and fluorine
    • C23G5/02825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by other methods; Apparatus for 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with organic solvents using organic solvents containing halogenated hydrocarbons containing chlorine and fluorine containing hydrogen
    • C23G5/02841Prop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9/00Acyclic 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oms
    • C07C19/08Acyclic 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oms containing fluorine
    • C07C19/10Acyclic 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oms containing fluorine and chlo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50Solvents
    • C11D7/5036Azeotropic mixtures containing halogenated solvents
    • C11D7/504Azeotropic mixtures containing halogenated solvents all solvents being halogenated hydrocarbons
    • C11D7/5045Mixtures of (hydro)chlorofluorocarb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Pyrrole Compound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히드로클로로플루오로프로판의 공비 조성물 또는 공비형 조성물
클로로플루오로카본 화합물 (이후 CFC 라 약칭한다)은 적은 독성을 가지며, 많은 경우에 비인화성이고 화학적으로 안정하다.
다양한 비점을 갖는 각종 CFC가 입수가능하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1,1,2-트리클로로-1,2,2,-트리플루오로에탄 (R113)은 용매 또는 발포제로서 사용된다 ; 트리클로로모노플루오로메탄 (R11)은 발포제 또는 분사제로서 사용된다 ; 그리고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R12)은 분사제 또는 냉매(refrigerant)로서 사용된다.
화학적으로 안정한 R11, R12 및 R113은 대류권에서 긴 수명을 가지며, 성층권에 도달하여, 거기에서 태양복사에 의해 분해되어 염소 라디칼을 방출하게 되고, 이는 오존과의 연쇄반응을 개시하여 오존층을 고갈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CFC의 사용제한에 관한 규제가 이행되었다. 그러므로 오존층을 거의 고갈시키지 않는 CFC 대체물을 개발하기 위해 활발히 연구가 수행되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CFC와 동등한 여러가지 우수한 성질을 가지며 CFC 대체물로서 유용한,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신규 히드로클로로플루오로프로판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하기식 I 의 히드로클로로플루오로프로판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히드로클로로플루오로프로판 공비 또는 공비형 조성물을 제공한다.
CHaClbFcCF2CHxClyFz(I)
(식중, a + b + c = 3, x + y + z = 3, a + x1, b + y1 이고 0a,b,c,x,y,z,3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인화성이며 공비조성물 또는 공비형 조성물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특히, 용매로서 사용될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종래의 1,1,2-트리클로로플루오로에탄(R113)과 동등하거나, 그보다 우월한 성질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는 R113의 대체물로서 매우 유용하다. 또한, 끊이거나 증발시킬 때에도 조성물 내에 실질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종래의 단일 CFC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종래의 기술에서 실질적인 변화가 요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방식
본 발명에서 식 I 의 히드로클로로플루오로프로판은 필수 원소로서 수소원자 및 플로로오원자를 함유하며, 염소원자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기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중, 바람직한 것은 R225ca, R225cb, R244ca, R244cb, R235ca 및 R243cc 이다.
본 발명의 R225ca,R225cb 및 R244ca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12∼92 중량%의 R225ca, 3∼77 중량%의 R225cb 및 3∼69 중량%의 R244ca, 바람직하게는 51∼64 중량%의 R225ca, 4∼16 중량%의 R225cb 및 26∼39 중량%의 R224ca를 함유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약 58 중량%의 R225ca, 약 10 중량%의 R225cb 및 약 32 중량%의 R244ca를 함유하는 공비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R225ca 및 R225cb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R225ca 및 R225cb의 배합비율 전범위에 걸쳐서 우수한 공비형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R225ca 및 R225cb 의 비율에 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그러나, 상기 조성물은 0.01∼99.99 중량%의 R225cb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R225cb 및 R244ca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27∼67 중량% 의 R225cb 및 33∼73 중량%의 R244ca, 바람직하게는 37∼57 중량%의 R225cb 및 43∼63 중량%의 R244ca를 함유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약 47 중량%의 R225cb 및 약 53 중량%의 R244ca를 함유하는 공비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R225ca 및 R244ca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52∼92 중량%의 R225ca 및 8∼48 중량%의 R244ca, 바람직하게는 62∼82 중량%의 R225ca 및 ALC 18∼38 중량%의 R244ca를 함유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약 72중량%의 R225ca 및 약 28중량%의 R244ca를 함유하는 공비 조성물이다.
R225ca 및 R243cc를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56∼95 중량%의 R225ca 및 4∼44 중량%의 R243cc, 바람직하게는 66∼86 중량%의 R225ca 및 14∼34 중량%의 R243cc를 함유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약 76 중량%의 R225ca 및 약 24 중량%의 R243cc를 함유하는 공비 조성물이다.
R225cb 및 R244cb를 사용하는 경우에,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47∼87 중량%의 R225cb 및 13∼53 중량%의 R244cb, 바람직하게는 57∼77 중량%의 R225cb ALC 23∼43 중량%의 R244cb 를 함유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약 67 중량%의 R225cb 및 약 33 중량%의 R244cb를 함유하는 공비 조성물이다.
R225cb 및 R243cc를 사용하는 경우에,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43∼83 중량%의 R225cb 및 17∼57 중량%의 R243cc, 바람직하게는 53∼73 중량%의 R225cb 및 27∼47 중량%의 R243cc를 함유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약 63 중량%의 R225cb 및 약 37 중량%의 R243cc를 함유하는 공비 조성물이다.
R244ca 및 R243cc를 사용하는 경우에,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48∼88 중량%의 R244ca 및 12∼52 중량%의 R243cc, 바람직하게는 58∼78 중량%의 R244ca 및 22∼42 중량%의 R243cc를 함유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약 68 중량%의 R244ca 및 약 32 중량%의 R243cc를 함유하는 공비 조성물이다.
R244ca 및 R244cb를 사용하는 경우에,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5∼95 중량%의 R244ca 및 5∼95 중량%의 R244cb, 바람직하게는 10∼90 중량%의 R244ca 및 10∼90 중량%의 R244cb를 함유한다.
R244cb 및 R243cc를 사용하는 경우에,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32∼72 중량%의 R244cb 및 28∼68 중량%의 R243cc, 바람직하게는 42∼62 중량%의 R244cb 및 38∼58 중량%의 R243cc를 함유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약 52 중량%의 R244cb 및 약 48중량%의 R243cc를 함유하는 공비 조성물이다.
R235ca 및 R243cc를 사용하는 경우에,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70∼99 중량%의 R235ca 및 1∼30 중량%의 R243cc, 바람직하게는 80∼95 중량%의 R235ca 및 5∼20 중량%의 R243cc 를 함유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약 90 중량%의 R235ca 및 약 10 중량%의 R243cc를 함유하는 공비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그의 응용 분야에 따라 다른 성분이 더 배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조성물이 용매로서 사용될 경우, 상기 조성물은 펜탄, 이소펜탄, 헥산, 이소헥산, 네오헥산, 헵탄, 이소헵탄, 2,3-디메틸부탄 또는 시클로펜탄과 같은 탄화수소 : 니트로메탄, 니트로에탄 또는 니트로프로판과 같은 니트로알칸 ; 1,2,3-벤조트리아졸과 같은 트리아졸 ;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이소프로필아민, 부틸아민 또는 이소부틸아민과 같은 아민 ; α-, β- 또는 Υ-아밀렌, 또는 α- 또는 β-이소아밀렌과 같은 아밀렌 ; 메탄올, 에탄올, n - 프로필알코올, i - 프로필알코올, n - 부틸알코올, i - 부틸알코올, s - 부틸알코올 또는 t - 부틸알코올과 같은 알코올 ; 트리페닐포스파이트 또는 트리부틸 포스파이트와 같은 포스파이트 ; 메틸 셀로솔브, 테트라히드로푸탄 또는 1,4 - 디옥산과 같은 에테르 ; 1,2 - 부틸렌 옥사이드 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같은 에록시드 ;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또는 메틸 부틸 케톤과 같은 케톤 ;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 아세테이트 또는 부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 N - 메틸피롤과 같은 푸란 ;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트랜스 - 1,2 - 디클로로에틸렌, 시스 - 1,2 - 디클로로에틸렌, 1 - 클로로프로판, 2 - 클로로 - 2 - 메틸 프로판 또는 2 - 브로모프로판과 같은 염소화 또는 브롬화 탄화수소 ; 또는 1,1,2 -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 1,1,2 - 트리클로로 - 2,2 - 디플루오로에탄, 테트라클로로 - 1,2 - 디플루오로에탄, 1,1 - 디클로로 - 2,2,2 - 트리플루오로에탄, 1,2 - 디클로로 - 1,1 - 디플루오로에탄, 1,2 - 디클로로 - 1 - 플루오로에탄, 1,1 - 디클로로 - 1 - 플루오로에탄, 1,1 - 디클로로 - 2,3,3,3 - 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 - 1, 트랜스 - 3 - 클로로 - 1,1,1,2,4,4,5,5,5 - 노나플루오로펜텐 - 2, 시스 - 3 - 클로로 - 1,1,1,2,4,4,5,5,5 - 노나플루오로펜텐 - 2 또는 1,1,1,2,2,5,5,6,6,6 - 메카플루오로헥산과 같은 본 발명의 것 이외의 CFC 히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 또는 히드로플루오로카본을 적절하게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중 이러한 첨가성분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용해도를 개선 또는 조절하거나 적절한 비점 또는 비 인화성을 얻기 위해서라면 함량은 일반적으로 0∼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40 중량%이다. 이러한 배합에 의해 공비 또는 공비형 조성물이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혼합물에 높은 수준의 안정화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안정화제를 배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첨가 성분의 함량은 일반적으로 1 ppm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ppm 내지 5 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종 세정 보조제, 계면활성제, 유화제, 물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히드로클로로플루오로프로판 공비 또는 공비형 조성물은 공지의 CFC와 유사하게, 예를들면 발포제등의 다양한 목적에 유용하다. 상기 조성물은 종래 R113과 동등하거나 보다 우월한 용매작용을 부여하기 때문에 용매로서 특히 유용하다.
용매로서의 구체적인 응용분야로서, 융제(flux), 그리이스(grease), 오일, 왁스 또는 잉크용 제거제, 도료용매, 추출제, 유리, 세라믹, 플라스틱, 고무 또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각종 물품용, 특히 반도체 장치, 전자 부품, 전자 회로판, 전기 장치, 정밀기계 부품 또는 광학 렌즈용 세정 또는 수분 제거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레지스트 현상액, 레지스트 제거제 또는 버프 광택 및 세정제로서도 유용하다. 세정법으로서는, 손걸레질, 침액, 분무, 진탕, 초음파 세척 또는 증기 세척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특정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결코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클로로플루오로카본 대체물로서 사용될 수 있고 용매 등으로서 우수한 성질을 갖는 신규의 히드로클로로플루오로프로판 공비 또는 공비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하기의 조성을 갖는 1,000g의 용매조성물을 증류 플라스크에 넣고, 이론단수가 약 20인 충진 증류컬럼을 사용하여, 대기압 하에서 증류를 실시한다.
결과로서, 440g의 증류 분획을 수득한다. 상기 분획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하기의 조성을 가짐을 밝혀낸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조성물 (R225ca / R225cb / R244ca = 58 중량% / 10 중량% / 32 중량% )을 사용하여 기계오일 세정 시험을 수행한다.
SUS-304 시험 견본(25㎜×30㎜×2㎜ 두께)을 기계오일(CQ-30, Nippon Sekiyu KK. 제조)에 액침시키고나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5분간 액침시킨다. 결과적으로 R113의 경우와 같이 기계오일이 만족스럽게 제거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실시예 3
실시예 2의 조성물(R225ca / R225cb / R244ca = 58 중량% / 10 중량% / 32 중량% )의 인화성 태그 봉합 컵 인화점 시험기(Tag closed cup flash point tester JIS K2265)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조성물이 인화점을 갖지 않는 것으로부터 비-인화성을 확인한다.
실시예 4
하기의 조성을 갖는 1,000g의 용매조성물을 증류 플라스크에 넣고, 이론단수가 약 20인 충진 증류 컬럼을 사용하여, 대기압하에서 증류를 실시한다.
결과로서, 54℃에서 분획 320g을 수득한다. 이 분획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하기의 조성을 가짐을 밝혀낸다.
실시예 5
하기의 조성을 갖는 1,000g의 용매조성물을 증류 플라스크에 넣고, 이론단수가 약 20인 충진 증류 컬럼을 사용하여, 대기압 하에서 증류를 실시한다.
결과로서, 53℃에서 300g의 분획을 수득한다. 상기 분획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하기의 조성을 가짐을 밝혀낸다.
실시예 6
하기의 조성을 갖는 1,000g의 용매조성물을 증류 플라스크에 넣고, 이론단수가 약 20인 충진 증류 컬럼을 사용하여, 대기압하에서 증류를 실시한다.
결과로서, 55℃에서 290g의 분획을 수득한다. 상기 분획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하기의 조성을 가짐을 밝혀낸다.
실시예 7
본 발명의 조성물(R225ca / R225cb = 50 중량% / 50 중량%)을 사용하여 기계오일 세정 시험을 수행한다.
SUS-304 시험 견본(25㎜×30㎜×2㎜ 두께)을 기계오일(CQ-30, Nippon Sekiyu KK. 제조)에 액침시키고나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5분간 액침시킨다. 결과적으로 R113의 경우와 같이 기계오일이 만족스럽게 제거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실시예 8
본 발명 조성물(R225ca / R225cb = 50 중량% / 50 중량%)의 인화성을 태그 봉합 컵 인화점 시험기(JIS K2265)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조성물이 인화점을 갖지 않는 것으로부터 비-인화성을 확인한다.
실시예 9
하기의 조성을 갖는 1,000g의 용매조성물을 증류 플라스크에 넣고, 이론단수가 약 20인 충진 증류 컬럼을 사용하여, 대기압하에서 증류를 실시한다.
결과로서, 53℃에서 400g의 분획을 수득한다. 상기 분획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하기의 조성을 가짐을 밝혀낸다.
실시예 10
본 발명의 조성물(R225cb / R244ca = 47 중량% / 53 중량%)을 사용하여 기계오일 세정 시험을 수행한다.
SUS-304 시험 견본(25㎜×30㎜×2㎜ 두께)을 기계오일(CQ-30, Nippon Sekiyu KK. 제조)에 액침시키고나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5분간 액침시킨다. 결과적으로 R113의 경우와 같이 기계오일이 만족스럽게 제거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실시예 11
실시예 10의 (R225cb / R244ca = 47 중량% / 53 중량%)의 인화성을 태그 봉합 컵 인화점 시험기(JIS K2265)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조성물이 인화점을 갖지 않는 것으로부터 비-인화성을 확인한다.
실시예 12
하기의 조성을 갖는 1,000g의 용매조성물을 증류 플라스크에 넣고, 이론단수가 약 20인 충진 증류 컬럼을 사용하여, 대기압하에서 증류를 실시한다.
결과로서, 51℃에서 390g의 분획을 수득한다. 상기 분획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하기의 조성을 가짐을 밝혀낸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조성물(R225ca / R244ca = 72 중량% / 28 중량%)을 사용하여 기계오일 세정 시험을 수행한다.
SUS-304 시험 견본(25㎜×30㎜×2㎜ 두께)을 기계오일(CQ-30, Nippon Sekiyu KK. 제조)에 액침시키고나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5분간 액침시킨다. 결과적으로 R113의 경우와 같이 기계오일이 만족스럽게 제거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실시예 14
실시예 13 의 (R225ca / R244ca = 72 중량% / 28 중량%)의 인화성을 태그 봉합 컵 인화점 시험기(JIS K2265)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조성물이 인화점을 갖지 않는 것으로부터 비-인화성을 확인한다.
실시예 15
하기의 조성을 갖는 1,000g의 용매조성물을 증류 플라스크에 넣고, 이론단수가 약 20인 충진 증류 컬럼을 사용하여, 대기압하에서 증류를 실시한다.
결과로서, 51℃에서 400g의 분획을 수득한다. 상기 분획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하기의 조성을 가짐을 밝혀낸다.
실시예 16
실시예 15의 (R225ca / R243cc = 76 중량% / 24 중량% )을 사용하여 기계오일 세정 시험을 수행한다.
SUS-304 시험 견본(25㎜×30㎜×2㎜ 두께)을 기계오일(CQ-30, Nippon Sekiyu KK. 제조)에 액침시키고나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5분간 액침시킨다. 결과적으로 R113의 경우와 같이 기계오일이 만족스럽게 제거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실시예 17
실시예 15의 (R225ca / R243cc = 76 중량% / 24 중량% )의 인화성을 태그 봉합 컵 인화점 시험기(JIS K2265)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조성물이 인화점을 갖지 않는 것으로부터 비-인화성을 확인한다.
실시예 18
하기의 조성을 갖는 1,000g의 용매조성물을 증류 플라스크에 넣고, 이론단수가 약 20인 충진 증류 컬럼을 사용하여, 대기압하에서 증류를 실시한다.
결과로서, 56℃에서 450g의 분획을 수득한다. 상기 분획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하기의 조성을 가짐을 밝혀낸다.
실시예 19
실시예 18의 (R225cb / R244cb = 67 중량% / 33 중량% )을 사용하여 기계오일 세정 시험을 수행한다.
SUS-304 시험 견본(25㎜×30㎜×2㎜ 두께)을 기계오일(CQ-30, Nippon Sekiyu KK. 제조)에 액침시키고나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5분간 액침시킨다. 결과적으로 R113의 경우와 같이 기계오일이 만족스럽게 제거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실시예 20
하기의 조성을 갖는 1,000g의 용매조성물을 증류 플라스크에 넣고, 이론단수가 약 20인 충진 증류 컬럼을 사용하여, 대기압하에서 증류를 실시한다.
결과로서, 54℃에서 390g의 분획을 수득한다. 상기 분획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하기의 조성을 가짐을 밝혀낸다.
실시예 21
실시예 20의 (R225cb / R244cc = 63 중량% / 37 중량%)을 사용하여 기계오일 세정 시험을 수행한다.
SUS-304 시험 견본(25㎜×30㎜×2㎜ 두께)을 기계오일(CQ-30, Nippon Sekiyu KK. 제조)에 액침시키고나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5분간 액침시킨다. 결과적으로 R113의 경우와 같이 기계오일이 만족스럽게 제거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실시예 22
하기의 조성을 갖는 1,000g의 용매조성물을 증류 플라스크에 넣고, 이론단수가 약 20인 충진 증류 컬럼을 사용하여, 대기압하에서 증류를 실시한다.
결과로서, 53℃에서 430g의 분획을 수득한다. 상기 분획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하기의 조성을 가짐을 밝혀낸다.
실시예 23
실시예 228의 조성물(R244ca / R243cc = 68 중량% / 32 중량% )을 사용하여 기계오일 세정 시험을 수행한다.
SUS-304 시험 견본(25㎜×30㎜×2㎜ 두께)을 기계오일(CQ-30, Nippon Sekiyu KK. 제조)에 액침시키고나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5분간 액침시킨다. 결과적으로 R113의 경우와 같이 기계오일이 만족스럽게 제거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실시예 24
하기의 조성을 갖는 1,000g의 용매조성물을 증류 플라스크에 넣고, 이론단수가 약 20인 충진 증류 컬럼을 사용하여, 대기압하에서 증류를 실시한다.
결과로서, 360g의 분획을 수득한다. 상기 분획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하기의 조성을 가짐을 밝혀낸다.
실시예 25
R244ca / R244cb = 70 중량% / 30 중량%)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기계오일 세정 시험을 수행한다.
SUS-304 시험 견본(25㎜×30㎜×2㎜ 두께)을 기계오일(CQ-30, Nippon Sekiyu KK. 제조)에 액침시키고나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5분간 액침시킨다. 결과적으로 R113의 경우와 같이 기계오일이 만족스럽게 제거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실시예 26
하기의 조성을 갖는 1,000g의 용매조성물을 증류 플라스크에 넣고, 이론단수가 약 20인 충진 증류 컬럼을 사용하여, 대기압하에서 증류를 실시한다.
결과로서, 56℃에서 480g의 분획을 수득한다. 상기 분획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하기의 조성을 가짐을 밝혀낸다.
실시예 27
실시예 26의 조성물 (R244cb / R243cc = 52 중량% / 48 중량% )을 사용하여 기계오일 세정 시험을 수행한다.
SUS-304 시험 견본(25㎜×30㎜×2㎜ 두께)을 기계오일(CQ-30, Nippon Sekiyu KK. 제조)에 액침시키고나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5분간 액침시킨다. 결과적으로 R113의 경우와 같이 기계오일이 만족스럽게 제거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실시예 28
하기의 조성을 갖는 1,000g의 용매조성물을 증류 플라스크에 넣고, 이론단수가 약 20인 충진 증류 컬럼을 사용하여, 대기압하에서 증류를 실시한다.
결과로서, 45℃에서 430g의 분획을 수득한다. 상기 분획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하기의 조성을 가짐을 밝혀낸다.
실시예 29
실시예 28의 조성물 (R235ca / R243cc = 90 중량% / 10 중량%)을 사용하여 기계오일 세정 시험을 수행한다.
SUS-304 시험 견본(25㎜×30㎜×2㎜ 두께)을 기계오일(CQ-30, Nippon Sekiyu KK. 제조)에 액침시키고나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5분간 액침시킨다. 결과적으로 R113의 경우와 같이 기계오일이 만족스럽게 제거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산업용적 응용 가능성
본 발명의 히드로클로로플루오로프로판 조성물은 종래의 CFC 만큼 우수한 성질을 가지며, 우수한 공비형성질을 갖는 공비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을 비등이나 증발시에도 실질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다. 그 조성물은 종래의 단일 CFC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그 사용에 있어서 종래기술의 실질적인 변화가 요구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0)

  1. 하기식 (I)의 히드로클로로플루오로프로판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히드로클로로플루오로프로판 공비 또는 공비형 조성물.
    CHaClbFcCF2CHxClyFz(I)
    (식중, a + b + c = 3, x + y + z = 3, a + x1, b + y1 이고 0a,b,c,x,y,z,3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3,3 - 디클로로 - 1,1,1,2,2 - 펜타플루오로프로판 (R225ca), 1,3 - 디클로로 - 1,1,2,2,3 - 펜타플루오로프로판 (R225cb) 및 3 - 클로로 - 1,1,2,2 - 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 (R244ca)을 함유하는 공비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58 중량%의 R225ca, 10 중량%의 R225cb 및 23 중량%의 R244ca를 함유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3,3 - 디클로로 - 1,1,1,2,2 - 펜타플루오로프로판 (R225ca), 1,3 - 디클로로 - 1,1,2,2,3 - 펜타플루오로프로판 (R225cb) 및 3 - 클로로 - 1,1,2,2 - 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 (R244ca)을 함유하는 공비형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12∼92 중량%의 R225ca, 3∼77 중량%의 R225cb 및 3∼69 중량%의 R244ca를 함유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3,3 - 디클로로 - 1,1,1,2,2 - 펜타플루오로프로판 (R225ca) 및 1,3 - 디클로로 - 1,1,2,2,3 - 펜타플루오로프로판 (R225cb)을 함유하는 공비형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0.01∼99.99 중량%의 R225ca 및 0.01∼99.99 중량%의 R225cb를 함유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1,3 - 디클로로 - 1,1,2,2,3 - 펜타플루오로프로판 (R225cb) 및 3 - 클로로 - 1,1,2,2 - 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 (R244ca)을 함유하는 공비형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47 중량%의 R225cb 및 53 중량%의 R244ca을 함유하는 공비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1,3 - 디클로로 - 1,1,2,2,3 - 펜타플루오로프로판 (R225cb) 및 3- 클로로 1,1,2,2 - 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 (R244ca)을 함유하는 공비형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27∼67 중량%의 R225cb 및 33∼73 중량%의 R244ca 를 함유하는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3,5 - 디클로로 1,1,1,2,2 - 펜타플루오로프로판 (RR225ca) 및 3- 클로로 1,1,2,2, - 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 (R244ca) 을 함유하는 공비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72 중량%의 R225ca 및 28 중량%의 R244ca를 함유하는 조성물.
  14. 제10항에 있어서, 3,3 - 디클로로 - 1,1,1,2,2 - 펜타플루오로프로판 (R225ca) 및 3 - 클로로 - 1,1,2,2 - 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R244ca)을 함유하는 공비형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52∼92 중량%의 R225ca 및 8∼48 중량%의 R244ca 를 함유하는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3,3 - 디클로로 - 1,1,1,2,2 - 펜타플루오로프로판 (R225ca), 1,3 - 디클로로 - 1,1,2,2,3 - 펜타플루오로프로판 (R225cb), 3- 클로로 1,1,2,2 - 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 (R244ca), 1- 클로로 1,2,2,3 - 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 (R244cb), 1- 클로로 1,2,2,3,3 -펜타플루오로프로판 (R235ca) 및 1,1 - 디클로로 - 1,2,2 - 트리플루오로프로판 (R243cc)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히드로클로로플루오로프로판을 함유하는 공비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76 중량%의 R225ca 및 24 중량%의 R243cc를 함유하는 조성물.
  18. 제16항에 있어서, 67 중량%의 R225cb 및 33 중량%의 R244cb를 함유하는 조성물.
  19. 제16항에 있어서, 63 중량%의 R225cb 및 37 중량%의 R243cc를 함유하는 조성물.
  20. 제16항에 있어서, 68 중량%의 R244ca 및 32 중량%의 R243cc를 함유하는 조성물.
  21. 제16항에 있어서, 52 중량%의 R244cb 및 48 중량%의 R243cc를 함유하는 조성물.
  22. 제16항에 있어서, 90 중량%의 R235ca 및 10 중량%의 R243cc를 함유하는 조성물.
  23. 제1항에 있어서, 3,3 - 디클로로 - 1,1,1,2,2 - 펜타플루오로프로판 (R225ca), 1,3 - 디클로로 - 1,1,2,2,3 - 펜타플루오로프로판 (R225cb), 3- 클로로 1,1,2,2 - 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 (R244ca), 1- 클로로 1,2,2,3 - 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 (R244cb), 1- 클로로 1,2,2,3,3 -펜타플루오로프로판 (R235ca) 및 1,1 - 디클로로 - 1,2,2 - 트리플루오로프로판 (R243cc)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히드로클로로플루오로프로판을 함유하는 공비형 조성물.
  24. 제23항에 있어서, 56∼96 중량%의 R225ca 및 4∼44 중량%의 R243cc를 함유하는 조성물.
  25. 제23항에 있어서, 47∼87 중량%의 R225cb 및 13∼53 중량%의 R244cb를 함유하는 조성물.
  26. 제23항에 있어서, 43∼83 중량%의 R225cb 및 17∼57 중량%의 R243cc를 함유하는 조성물.
  27. 제23항에 있어서, 48∼88 중량%의 R244ca 및 12∼52 중량%의 R243cc를 함유하는 조성물.
  28. 제23항에 있어서, 5∼95 중량%의 R244ca 및 5∼95 중량%의 R244cb를 함유하는 조성물.
  29. 제23항에 있어서, 32∼72 중량%의 R244cb 및 28∼68 중량%의 R243cc를 함유하는 조성물.
  30. 제23항에 있어서, 70∼99 중량%의 R235ca 및 1∼30 중량%의 R243cc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900701746A 1989-02-06 1990-08-11 히드로클로로플루오로프로판의 공비 조성물 또는 공비형 조성물 KR0139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5683A JPH02207045A (ja) 1989-02-06 1989-02-06 1,1―ジクロロ―2,2,3,3,3―ペンタフルオロプロパン系共沸及び共沸様混合物
JP1-25641 1989-02-06
JP2565289 1989-02-06
JP1025641A JPH02207026A (ja) 1989-02-06 1989-02-06 ジクロロペンタフルオロプロパン系の共沸及び共沸様混合物
JP1025682A JPH02207044A (ja) 1989-02-06 1989-02-06 1,3―ジクロロ―1,1,2,2,3―ペンタフルオロプロパン系共沸及び共沸様混合物
JP1096464A JPH02279636A (ja) 1989-04-18 1989-04-18 フッ素化炭化水素系共沸組成物及び擬共沸組成物
PCT/JP1990/000137 WO1990008815A1 (en) 1989-02-06 1990-02-05 Azeotropic or azeotropic-like composition of hydrochlorofluoropropane
JPPJP90/00137 1990-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700089A KR910700089A (ko) 1991-03-13
KR0139094B1 true KR0139094B1 (ko) 1998-04-27

Family

ID=27520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1746A KR0139094B1 (ko) 1989-02-06 1990-08-11 히드로클로로플루오로프로판의 공비 조성물 또는 공비형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382095B1 (ko)
KR (1) KR0139094B1 (ko)
AT (1) ATE122385T1 (ko)
AU (1) AU625738B2 (ko)
CA (1) CA2022989C (ko)
DE (1) DE69019183D1 (ko)
GR (1) GR3017051T3 (ko)
WO (1) WO19900088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1775A (en) * 1988-06-22 1993-12-21 Asahi Glass Company Ltd. Methods for treating substrates by applying a halogenated hydrocarbon thereto
CA1339150C (en) * 1988-06-22 1997-07-29 Teruo Asano Halogenated hydrocarbon solvents and use thereof
US5302313A (en) * 1988-06-22 1994-04-12 Asahi Glass Company Ltd. Halogenated hydrocarbon solvents
DE69024378T2 (de) * 1989-02-01 1996-09-12 Asahi Glass Co Ltd Azeotrope oder azeotropähnliche Zusammensetzung auf der Basis von Chlorfluorkohlenwasserstoffen
ES2083978T3 (es) * 1989-02-01 1996-05-01 Asahi Glass Co Ltd Mezcla azeotropica o similar a una mezcla azeotropica a base de hidrocarburos hidrogenados, clorados y fluorados.
US5124065A (en) * 1989-10-06 1992-06-23 Allied-Signal Inc.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dichloropentafluoropropane and an alkanol having 1-4 carbon atoms
IE902926A1 (en) * 1989-10-06 1991-04-10 Allied Signal Inc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dichloropentafluoropropane¹and 1,2-dichloroethylene
US5116526A (en) * 1989-10-06 1992-05-26 Allied-Signal Inc.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dichloropentafluoropropane and 1,2-dichloroethylene
AU644551B2 (en) * 1990-03-12 1993-12-09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ernary azeotropic compositions of dichloropentafluoropropane and trans-1,2-dichloroethylene with methanol or ethanol or isopropanol
US5116525A (en) * 1990-03-12 1992-05-2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ernary azeotropic compositions of dichloropentafluoropropane and trans-1,2-dichloroethylene with methanol or ethanol or isopropanol
DE4022927A1 (de) * 1990-04-03 1992-01-23 Kali Chemie Ag Zusammensetzungen aus dichlorpentafluorpropanen und aceton
FR2661918B1 (fr) * 1990-05-10 1992-07-17 Atochem Composition nettoyante a base de 1,1,1,2,2-pentafluoro-3,3-dichloro-propane et de methyl tert-butyl ether.
US5106526A (en) * 1990-06-06 1992-04-21 Allied-Signal Inc.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dichloropentafluoropropane, methanol and a hydrocarbon containing six carbon atoms
US5104565A (en) * 1990-06-25 1992-04-14 Allied-Signal Inc.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dichloropentafluoropropane, 2-propanol and a hydrocarbon containing six carbon atoms
US5152845A (en) * 1991-03-18 1992-10-06 Allied-Signal Inc. Method of cleaning using 1-chloro-3,3,3-trifluoropropane
US5256329A (en) * 1991-11-27 1993-10-26 Alliedsignal Inc. 1,1-dichloro-1-fluoroethane dewatering systems
ES2645949T3 (es) * 2002-10-25 2017-12-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étodo de esterilización que utiliza composiciones que contienen olefinas sustituidas con flúo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0430A (en) * 1960-01-26 1963-03-05 Du Pont Fluorine-containing compounds
US3476819A (en) * 1966-06-03 1969-11-04 Whittaker Corp 1,5-dichloro-2,2,3,3,4,4-hexafluoropentane
JPS63295699A (ja) * 1987-05-27 1988-12-02 Daikin Ind Ltd 共沸溶剤組成物
JPS6460694A (en) * 1987-08-31 1989-03-07 Daikin Ind Ltd Azeotropic solvent composition
CA1339150C (en) * 1988-06-22 1997-07-29 Teruo Asano Halogenated hydrocarbon solvents and use thereof
DE69024378T2 (de) * 1989-02-01 1996-09-12 Asahi Glass Co Ltd Azeotrope oder azeotropähnliche Zusammensetzung auf der Basis von Chlorfluorkohlenwasserstoffen
ES2083978T3 (es) * 1989-02-01 1996-05-01 Asahi Glass Co Ltd Mezcla azeotropica o similar a una mezcla azeotropica a base de hidrocarburos hidrogenados, clorados y fluorado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82095B1 (en) 1995-05-10
CA2022989A1 (en) 1990-08-07
CA2022989C (en) 1999-10-12
AU5032690A (en) 1990-08-24
WO1990008815A1 (en) 1990-08-09
AU625738B2 (en) 1992-07-16
GR3017051T3 (en) 1995-11-30
ATE122385T1 (de) 1995-05-15
EP0382095A1 (en) 1990-08-16
DE69019183D1 (de) 1995-06-14
KR910700089A (ko) 1991-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9094B1 (ko) 히드로클로로플루오로프로판의 공비 조성물 또는 공비형 조성물
AU623748B2 (en) Hydrochlorofluorocarbon azeotropic or azeotropic-like mixture
US5320683A (en) Azeotropic or azeotropic-like composition of hydrochlorofluoropropane
KR930007225B1 (ko) 세정 또는 건조제로서의 (퍼플루오로알킬)에틸렌의 용도, 및 이 목적을 위해 사용가능한 조성물
EP0381216A1 (en) Hydrochlorofluorocarbon azeotropic or azeotropic-like mixture
JP2010248443A (ja) 1,1,1,3,3−ペンタフルオロブタンを含む共沸様組成物
JP2870095B2 (ja) ジクロロペンタフルオロプロパン系組成物
USRE39819E1 (en) Cleaning or drying compositions based on 1,1,1,2,3,4,4,5,5,5-decafluoropentane
JPH03162497A (ja) 清浄組成物、及び清浄―並びに脱脂法
JPH0334941A (ja) 3,3―ジクロロ―1,1,1,2,2―ペンタフルオロプロパン系組成物
WO1995011293A1 (fr) Composition de solvants melanges
JPH03123743A (ja) 1,3―ジクロロ―1,1,2,2,3―ペンタフルオロプロパン系組成物
JPH05506878A (ja) ジクロロペンタフルオロプロパン、メタノール及び6個の炭素原子を含む炭化水素から成る共沸混合物―類似の組成物
RU2057205C1 (ru) Хлорфторуглеводородная азеотропная или азеотропоподобная растворя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US5182042A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1-trifluorohexane and perfluoromethylcyclohexane
US6281184B1 (en) Cleaning or drying compositions based on 43-10mee and on trichloroethylene
JP2981020B2 (ja) 混合溶剤組成物及び共沸様溶剤組成物
JPH04239599A (ja) 1,1−ジクロロ−1−フルオロエタン、メチレンクロリド及びメタノールを主成分とする洗浄組成物
JPH04359094A (ja) 共沸組成物
CA2026576C (en) Hydrochlorofluorocarbon azeotropic or azeotropic-like mixture
JP2797593B2 (ja) フッ素化炭化水素系共沸様組成物
JP2692230B2 (ja) フッ素化炭化水素共沸混合物及び共沸様組成物
JPH03173835A (ja) トリクロロジフルオロエタンを主剤とする共沸および共沸様組成物の安定化方法
JPH02237945A (ja) フッ素化炭化水素系共沸及び共沸様組成物
JPH0953097A (ja) 溶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7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