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058Y1 -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 구조 - Google Patents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058Y1
KR0139058Y1 KR2019950043739U KR19950043739U KR0139058Y1 KR 0139058 Y1 KR0139058 Y1 KR 0139058Y1 KR 2019950043739 U KR2019950043739 U KR 2019950043739U KR 19950043739 U KR19950043739 U KR 19950043739U KR 0139058 Y1 KR0139058 Y1 KR 01390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door
support bracket
handle suppor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3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9850U (ko
Inventor
하영욱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3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058Y1/ko
Publication of KR9700298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98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0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0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생산되는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의 플랜지 부분 중 곡률이 심한 부위에서 발생하는 주름에 의해 가공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곡률이 심한 부위의 플랜지를 절개하여 가공 정밀도가 향상된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조립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제품의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의 설치 방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의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절개부 52 :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
52:플랜지
본 고안은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어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외측도어 핸들을 장착하는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차체와 새시로 구분되는 바,상기한 새시는 엔진,동력 전달 장치,조향 장치,서스팬션 등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 구성되어 있고,차체는 상기한 각 장치를 지지함과 아울러 외관을 이루도록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차체에는 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바,도어는 차체의 프론트휀더 부분에 도어 힌지를 부착함과 아울러 상기한 도어 힌지와 대응되는 힌지를 도어에 부착하여 결합함으로써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힌지로 결합된 도어의 타측에는 도어를 잠글 수 있는 도어래치가 설치되어 있고,이와 대응되는 도어 스트라이커가 차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도어 래치와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핸들은 와이어등으로 연결되어 연동하게 되어 있는 바,상기한 도어의 내측에는 탑승자의 하차 시 사용되는 내측 도어 핸들이 도어 래치와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있고,외측에는 탑승자의 승차 시 사용되는 외측 도어 핸들이 상기 도어 래치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외측 도어 핸들은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에 의해서 지지되는 바,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패널(50)에형성된 고정 보스(51)에 상기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52)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구멍(53)이 나사(54)에 의해서 고정되고,상기와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외장용 사출물과 함께 외측 도어 핸들(미도시)이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52)은 금속판을 프레스에의해서 압착하여 가공하게 되는 바,상기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52)의주변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52')가 형성되어 도어 패널(50)의 날카로운 절개면을 덮을 수 있게 된다.
그런데,상기와 같은 플랜지(52')를 형성하는 것은 프레스 가공중 드로잉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52)의 상부와 하부의 양측 모서리 부분에서 급격한 곡률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부분에서는 가공시 재료의 몰림 현상으로 주름( m)이 발생되어 가공의 정밀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가공의 정밀도가 저하되면 상기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52)을 도어 패널(50)에 결합할 때 결합이 용이하지 못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며 무리한 힘을 가하여 작업을 진행하게 되어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52)의 프레스가 공 시가공 정밀도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한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의 외곽선을 따라 곡률의 급격한 변화가 있는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플랜지를 절개한 절개부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상세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52)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어 패널의 고정 보스에 결합되기 위한 구멍(53)이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52)의 하부 양측 모서리 부분에는 절개부(1)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절개부(1)는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52)의 강성을 크게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에서 형성하며, 상기와 같이 상부의 양측 모서리에 절개부를 형성하지 않은 이유도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52)이 견고하게 도어 패널(50)에 결합되어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프레스 작업으로 상기 절개부(1)가 형성된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52)을 가공하면 플랜지(52')가 형성되면서 곡률이 심한 부분에서 발생하던 주름이 크게 줄어들어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52)의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52)의 상부 양측에도 곡률이 심한 플랜지(52') 부분이 형성되지만, 이곳은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52)이 도어 패널(50)에 고정되어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해야 할 위치이므로 절개부를 형성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구조로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52)을 제작하면 가공 정밀도가 향상되어 조립 작업 시 도어 패널(50)에 결합이 용이해져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생산되는 도어 핸들지지용 브라켓의 플랜지 부분 중 곡률이 심한 부위에서 발생하는 주름에 의해 가공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곡률이 심한 부위의 플랜지를 절개하여 가공 정밀도가 향상된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조립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제품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1)

  1. 도어핸들 지지용 브라켓(52)의 외곽선을 따라 곡률의 급격한 변화가 있는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플랜지(52')를 절개한 절개부(1)가 하부 양측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도어패널의 고정보스(51)에 결합되기 위한 구멍(53)이 상부 양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지지용 브라켓구조.
KR2019950043739U 1995-12-19 1995-12-19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 구조 KR01390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3739U KR0139058Y1 (ko) 1995-12-19 1995-12-19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3739U KR0139058Y1 (ko) 1995-12-19 1995-12-19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9850U KR970029850U (ko) 1997-07-24
KR0139058Y1 true KR0139058Y1 (ko) 1999-04-01

Family

ID=19435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3739U KR0139058Y1 (ko) 1995-12-19 1995-12-19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0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9850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282B1 (ko) 차량 문짝 및 차량 문짝을 제조하는 방법
JPH11180238A (ja) 自動車のニーボルスター構造
KR0139058Y1 (ko) 도어 핸들 지지용 브라켓 구조
US5473476A (en) Door mirror assembly
JPS6255239A (ja) 自動車のミラ−取付構造
JP3214641B2 (ja) ドアサッシュの取付構造
KR960010154B1 (ko) 자동차의 리어사이드유리 취부구조
US5069499A (en) Motor vehicle hatchback and a method for producing same
US5271654A (en) Visor mount
JPS6365528B2 (ko)
KR0152742B1 (ko) 도어 샤시 취부구조
JP3513886B2 (ja) 自動車の外板パネル支持構造
JP2605855Y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KR880002009Y1 (ko) 자동차 범퍼의 부착구조
KR0120869Y1 (ko) 트렁크 도어 보강구조
KR970069476A (ko) 자동차의 전방도어 강성구조
KR200148731Y1 (ko) 차량의 본넷트힌지구조
JP3339232B2 (ja) 自動車用リアパーセルトリム
JP2566404Y2 (ja) ミラーアームの基台部取付構造
JP2580469Y2 (ja) 車両のバックドアバンパ取付構造
JPH0453343Y2 (ko)
JPH0131725Y2 (ko)
KR200181788Y1 (ko)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힌지부 취부구조
KR19980034046U (ko) 고강성을 가지는 자동차의 전방 측부 구조
KR0167513B1 (ko) 차량용 아웃사이드미러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