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021Y1 - 자동차의 조향상태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조향상태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021Y1
KR0139021Y1 KR2019960037756U KR19960037756U KR0139021Y1 KR 0139021 Y1 KR0139021 Y1 KR 0139021Y1 KR 2019960037756 U KR2019960037756 U KR 2019960037756U KR 19960037756 U KR19960037756 U KR 19960037756U KR 0139021 Y1 KR0139021 Y1 KR 01390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attery power
steering
alarm
gea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77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367U (ko
Inventor
김형욱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377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021Y1/ko
Publication of KR199800243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3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0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0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9Steering assistants using warnings or proposing actions to the driver without influencing the steer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조향상태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변속기박스(10)내에 구성되어 변속레버가 후진위치로 변속되었을 때에 온되는 후진기어스위치(11)와, 타이로드(3)의 일측에 상기 후진기어스위치(11)를 통해 인가된 배터리전원(B+)으로 발광되는 발광소자(12a)가 구성되고, 발광소자(12a)에서 발광된 빛을 수광하여 턴온되는 수광소자(12b)가 구성되어 조향상태를 감지하는 근접센서(12)와, 상기 수광소자(12b)의 에미터단에 저항(R1)을 통해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컬렉터단에 후진기어스위치(11)가 연결되어 인가되는 배터리전원(B+)을 스위칭시키는 트랜지스터(14)와, 운전석전면에 구성된 계기판의 일측에 구성되고, 상기 트랜지스터(14)의 에미터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배터리전원(B+)으로 앞바퀴(4)의 정렬상태를 가시적인 표시를 하는 경보램프(16)와, 상기 경보램프(16)와 병렬로 연결되어 소정의 경보음을 출력시키는 경보부져(18)가 포함되어 자동차를 주차할 때나 후진시킬 때에 앞바퀴의 정렬상태를 경보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조향상태 경보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를 주차할 때나 후진시킬 때에 앞바퀴의 정렬상태를 경보하는 자동차의 조향상태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바꾸기 위한 장치로 조작기구, 기어기구 및 링크기구 등으로 나뉘어진다. 이러한 조향장치의 조작기구는 조향휠, 조향축 및 조향컬럼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운전자의 조작력을 기어기구에 전달함과 동시에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안전기구가 채용되고 있다. 기어기구내에는 조향기어가 구성되고, 조향기어는 조향휠의 움직임을 감속함과 동시에 운동의 방향을 바꾸어 링크기구로 전달하는 것으로, 그 감속비를 조향기어비라고 한다. 또한, 링크기구는 조향기어로부터 발생된 힘을 앞바퀴에 전달하는 기구이며, 각종 로드나 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향장치는 운전자가 조작기구인 조향핸들을 조작시키면, 조향핸들의 조향력은 조향컬럼의 하단에 구성된 기어기구내의 조향기어비에 의해 링크기구를 조작시켜 바퀴의 방향을 변화시켜 조향을 시킬 수 있었다.
종래에 주차장이나 도로면에 자동차를 주정차시키거나 주정차된 자동차를 후진할 때에 운전자는 운전감각에 의해서나 또는 앞바퀴의 조향상태를 육안으로 인식하면서 자동차를 후진시켰다. 따라서, 운전자는 조향핸들을 조작할 때에 앞바퀴가 어떻게 조향되었는 지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어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후방에 주차된 자동차나 물체와 충돌되어 자동차를 망실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여러번 자동차를 진행 및 후진시켜야 하므로, 주정차할 때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에 따른 연료가 소모되는 문제와 특히 야간에는 더욱 많은 어려움이 뒤따랐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자동차의 앞바퀴가 정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를 경보하여 운전자가 앞바퀴의 정렬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조향상태 경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상태를 경보하는 장치를 나타낸 회로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앞바퀴의 조향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의 장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변속기박스11: 후진기어스위치
12: 근접센서14: 트랜지스터
16: 경보램프18: 경보부져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변속기박스내에 구성되어 변속레버가 후진위치로 변속되었을 때에 온되는 후진기어스위치와, 타이로드의 일측에 상기 후진기어스위치를 통해 인가된 배터리전원으로 발광되는 발광소자가 구성되고, 발광소자에서 발광된 빛을 수광하여 턴온되는 수광소자가 구성되어 조향상태를 감지하는 근접센서와, 상기 수광소자의 에미터단에 저항을 통해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컬렉터단에 후진기어스위치가 연결되어 인가되는 배터리전원을 스위칭시키는 트랜지스터와, 운전석전면에 구성된 계기판의 일측에 구성되고, 상기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배터리전원으로 앞바퀴의 정렬상태를 가시적인 표시를 하는 경보램프와, 상기 경보램프와 병렬로 연결되어 소정의 경보음을 출력시키는 경보부져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상태 경보장치에 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후진기어스위치(11)는 운전석의 측면에 장착된 변속기박스(10)내에 구성된 것으로,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후진위치로 변속시키면, 온되어 배터리전원(B+)을 도통시킨다. 변속레버가 후진위치에서 다른 변속기어로 변속되면, 다시 오프되어 배터리전원(B+)을 차단시킨다.
근접센서(12)는 링크기구인 타이로드(3)의 일측에 장착되어 조향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출력시킨다. 타이로드(3)에 장착된 근접센서(12)는 앞바퀴(4)가 정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을 때에 온되어 감지신호를 출력시킨다. 즉, 근접센서(12)는 타이로드(3)에 부착된 발광소자(12a)와, 상기 발광소자(12a)와 근접되게 발광소자(12a)로부터 발광된 빛을 감지하는 수광소자(12b)가 구성되어 앞바퀴(4)가 정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만 발광소자(12a)의 빛이 수광소자(12b)로 전달되고, 좌우측으로 벗어나 있을 때에는 수광소자(12b)가 발광소자(12a)에서 발광된 빛을 수광하지 못하게 된다.
트랜지스터(14)는 상기 수광소자(12b)의 에미터단이 저항(R1)을 거쳐 베이스단에 연결되고, 컬렉터단이 후진기어스위치(11)에 연결되어 베이스단으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후진기어스위치(11)를 통해 인가되는 배터리전원(B+)을 스위칭시킨다.
경보램프(16)는 상기 트랜지스터(14)의 에미터단에 연결되어 트랜지스터(14)를 통해 인가된 배터리전원(B+)으로 점등되어 앞바퀴(4)가 정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경보램프(16)는 운전자가 가시적으로 인식하기 용이한 운전석전면의 계기판일측에 장착된다.
경보부져(18)는 상기 경보램프(16)와 병렬로 트랜지스터(14)의 에미터단에 연결되어 자동차의 앞바퀴(4)가 정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을 때에 경보음을 출력시킨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는 릴레이로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관한 자동차의 조향상태 경보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자동차를 주정차시키거나 주정차된 자동차를 운행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조작하여 변속할 때에 변속기박스(10)에 위치된 변속레버를 후진위치로 후진시키면, 배터리전원(B+)이 근접센서(12)의 발광소자(12a)로 인가되어 발광소자(12a)가 발광된다. 이때, 발광소자(12a)와 수광소자(12b)가 정위치로 위치되어 있을 경우, 즉 앞바퀴(4)가 정향향으로 정렬되어 있을 때에는 수광소자(12b)가 발광소자(12a)에서 발광된 빛을 수광하여 후진기어스위치(11)를 통해 인가된 배터리전원(B+)으로 턴온되어 도통상태가 된다. 수광소자(12b)의 도통으로 에미터단에 연결된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14)의 베이스단으로 배터리전원(B+)이 인가되어 트랜지스터(14)를 턴온시킨다. 트랜지스터(14)의 턴온은 컬렉터단에 연결된 배터리전원(B+)을 도통시켜 트랜지스터(14)의 에미터단에 연결된 경보램프(16) 및 경보부져(18)로 인가된다. 따라서, 경보램프(16)는 점등되어 앞바퀴(4)가 정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음을 가시적으로 표시되고, 경보부져(18)는 일정주파수의 경보음을 출력시킨다.
그러나 자동차의 앞바퀴(4)가 정방향이 아닌 좌측방향이나 우측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을 경우에는 후진기어스위치(11)를 통해 인가된 배터리전원(B+)이 근접센서(12)의 발광소자(12a)를 발광시킨다. 발광소자(12a)에서 발광된 빛은 수광소자(12b)와 일정거리로 근접되어 있지 않을 때에 수광소자(12b)는 턴온되지 않아 에미터단에 연결된 트랜지스터(14)를 구동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경보램프(16) 및 경보부져(18)는 배터리전원(B+)을 공급받지 못해 경보표시 및 경고음이 출력되지 않는다. 즉, 발광소자(12a)가 구성된 타이로드(3)는 조향핸들(1)이 일정방향으로 조향될 때에 해당되는 방향으로 동일하게 조작되므로, 대응되는 수광소자(12b)로부터 일정거리를 벗어나게 되어 근접센서(12)는 오프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경보램프(16) 및 경보부져(18)가 작동되지 않은 경우에는 자동차의 앞바퀴(4)가 정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냄을 운전자는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후진으로 주정차를 하거나 주정차되었던 자동차를 후진할 때에 미리 조향핸들(1)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작시킨 후에 경보램프(16) 및 경보부져(18)가 작동될 때에 앞바퀴(4)가 정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음을 인식하여 후진을 할 때에 앞바퀴(4)의 정렬상태를 중심으로하여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용이하게 조작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자동차를 주정차시킬 때에 항상 정방향으로 자동차의 앞바퀴(4)를 정렬시킬 수 있어 자동차를 주차장이나 도로변 등에 주차브레이크를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주정차시켜 두었을 때에 전방 또는 후방에 주차된 자동차가 주정차된 자동차를 용이하게 밀거나 당길 수 있어 다른 자동차가 주정차된 지역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향장치의 링크기구인 타이로드의 일측에 근접센서를 부착시켜 자동차를 후진시킬 때에 앞바퀴가 정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경보램프 및 경보부져를 구동시키므로, 주차장이나 도로변에 자동차를 용이하게 주정차시킬 수 있어 자동차의 운용에 향상된 편의를 제공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변속기박스(10)내에 구성되어 변속레버가 후진위치로 변속되었을 때에 온되는 후진기어스위치(11)와,
    타이로드(3)의 일측에 상기 후진기어스위치(11)를 통해 인가된 배터리전원(B+)으로 발광되는 발광소자(12a)가 구성되고, 발광소자(12a)에서 발광된 빛을 수광하여 턴온되는 수광소자(12b)가 구성되어 조향상태를 감지하는 근접센서(12)와,
    상기 수광소자(12b)의 에미터단에 저항(R1)을 통해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컬렉터단에 후진기어스위치(11)가 연결되어 인가되는 배터리전원(B+)을 스위칭시키는 트랜지스터(14)와,
    운전석전면에 구성된 계기판의 일측에 구성되고, 상기 트랜지스터(14)의 에미터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배터리전원(B+)으로 앞바퀴(4)의 정렬상태를 가시적인 표시를 하는 경보램프(16)와,
    상기 경보램프(16)와 병렬로 연결되어 소정의 경보음을 출력시키는 경보부져(18)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상태 경보장치.
KR2019960037756U 1996-10-31 1996-10-31 자동차의 조향상태 경보장치 KR01390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756U KR0139021Y1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의 조향상태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756U KR0139021Y1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의 조향상태 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367U KR19980024367U (ko) 1998-07-25
KR0139021Y1 true KR0139021Y1 (ko) 1999-04-01

Family

ID=1947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7756U KR0139021Y1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의 조향상태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0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367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62250U1 (ru) Реверсивный радар с сигнализацией приближ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4191939A (en) Vehicle parking signaling device
WO1990005647A1 (en) Safety device for vehicles with a trailer
KR0139021Y1 (ko) 자동차의 조향상태 경보장치
GB2289999A (en) Motor vehicle with parking device
US3683330A (en) Safe-to-pass indicator having portions of indicia flashingly illuminated
CN1163442A (zh) 自动监测前车安全车况的报警系统
US4425560A (en) Highway hazard warning sign signal
KR200400097Y1 (ko) 자동차용 유턴 표시 장치와 그 구동 장치
JPS6216374Y2 (ko)
KR100482834B1 (ko) 차량의 유턴 표시장치
KR200173139Y1 (ko) 자동차 후방 표시기
KR0138074Y1 (ko) 차량의 비상등구동시 방향표시회로
KR0128528Y1 (ko) 후진용 경보장치
KR0144761B1 (ko) 차량의 램프단선경고회로
KR0153903B1 (ko) 차량의 후진상태 표시장치
KR0135022Y1 (ko) 자동차의 후방 방향지시등 자동 제어장치
KR0112964Y1 (ko) 자동차용 라이트스위치의 미작동시 경고장치
JP3048351U (ja) 車輌用情報表示装置
KR200215223Y1 (ko) 자동차의 방향전환표시장치
KR19980031735U (ko) 자동차의 후진등 및 비상등 동시 작동장치
KR19980037222U (ko) 보조램프를 갖는 차량용 2중램프 점등장치
KR19980013016U (ko) 자동차의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점등장치
KR19980037221U (ko) 보조램프를 갖는 차량용 2중램프 점소등장치
US20090115595A1 (en) Automobile warning light improv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