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939Y1 - 풀리 - Google Patents

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939Y1
KR0138939Y1 KR2019950049118U KR19950049118U KR0138939Y1 KR 0138939 Y1 KR0138939 Y1 KR 0138939Y1 KR 2019950049118 U KR2019950049118 U KR 2019950049118U KR 19950049118 U KR19950049118 U KR 19950049118U KR 0138939 Y1 KR0138939 Y1 KR 01389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ortion
pulley
flange
body portion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91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3195U (ko
Inventor
노용호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20199500491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939Y1/ko
Publication of KR9700431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31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9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9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lle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풀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별도로 제작되어 몸체부의 일측단에 결합되는 제2플랜지부가 구동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부품수 및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길이방향중심선을 따라 구동축이 끼워지는 축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구동벨트가 감겨지는 원통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한쪽 끝부분의 가장자리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일체로 절곡되는 제1플랜지부와,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몸체부의 다른쪽 끝부분에 결합되는 제2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풀리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랜지부는 제1플랜지부와 동일한 크기의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원호상의 한 지점으로부터 중심점을 일정 길이만큼 지나친 지점까지에는 소정 폭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중심점에 해당되는 절개부상에는 구동축상에 형성된 고정홈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를 갖는 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의 입구와 고정공사이의 중간부위에는 그 절개부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개구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제2플랜지부가 플랜지겸 E-링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별도의 E-링이 필요없게 되어 풀리의 조립공수가 감소됨은 물론, 조립시간이 단축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플랜지부 자체가 구동축상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풀리의 구동시 제2플랜지부가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풀리(Pulley)
제1도는 종래의 풀리를 구성하는 몸체부와 제2플랜지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일실시예의 평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풀리를 구성하는 몸체부와 제2플랜지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의 부분 평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풀리를 구성하는 제2플랜지부의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풀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풀리 14 : 몸체부
16 : 제1플랜지부 18 : 제2플랜지부
50 : 절개부 60 : 고정공
70 : 개구공
본 고안은 풀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측 플랜지부의 구조를 개량하여 E-링의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구동시 플랜지부의 이탈을 방지하고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동벨트를 이용한 동력전달장치에서는 모터의 회전구동력을 동력이 필요한 타지점에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구동벨트를 걸어 동력을 구동하는 풀리(Pullet)가 이용된다.
상기 풀리는 금형기술상 몸체부와 그 양단의 제1플랜지부 및 제2플랜지부를 동시에 일체로 성형할 수 없기 때문에 제1플랜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와 제2플랜지부를 각각 별도로 제작한 다음, 상기 제2플랜지부를 몸체부상의 축공내부에 강제로 압입하거나 또는 상기 축공을 통하여 끼워져 반대쪽으로 돌출된 구동축에 제2플랜지부를 끼운 다음 E-링을 구동축상의 고정홈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다.
제1도는 종래의 풀리를 구성하는 몸체부와 제2플랜지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일실시예의 평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이러한 풀리(10)는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축공(12)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부(14)와, 상기 몸체부(14)의 한쪽 끝부분의 가장자리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일체로 절곡되는 제1플랜지부(16)와, 상기 몸체부(14)의 다른쪽 끝부분에 결합되는 제2플랜지부(18)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플랜지부(18)의 내면 중심부에는 상기 축공(12)에 끼워지는 고정돌부(2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제1플랜지부(16)의 반대쪽으로부터 상기 제2플랜지부(18)상의 고정돌부(20)를 몸체부(14)상의 축공(12)내에 억지끼움하면 완성된 형태의 풀리가 제작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2플랜지부(18)가 억지끼워지는 방식으로 제작된 풀리의 경우에 구동시 고속으로 회전하는 풀리의 원심력이나 또는 상기 몸체부(14)에 감겨져 회동되는 구동벨트로부터 제2플랜지부(18)로 가해지는 작용힘에 의하여 억지끼움된 제2플랜지부(18)가 분리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제2도는 종래의 풀리를 구성하는 몸체부와 제2플랜지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의 부분 평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풀리(10)는 구동벨트가 걸려 접촉되는 몸체부(14)와, 그 몸체부(14)의 한쪽 끝부분의 가장자리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일체로 절곡되는 제1플랜지부(16)와,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몸체부(14)의 다른쪽 끝부분에 결합되는 제2플랜지부(18)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풀리(10)를 구성하는 몸체부(14)상의 축공(12)을 통하여 구동축(22)을 끼워 상기 제1플랜지부(16)의 반대쪽으로 노출되게 한 상태에서 제2플랜지부(18)를 구동축(22)의 외측단 부분에 끼워 결합한 후 그 외측에서 E-링(24)을 구동축(22)상의 E-링고정홈(26)에 끼우면, 제1플랜지부(16)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몸체부(14)의 끝부분에 제2플랜지부(18)가 맞닿아 고정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은 해소될 수 있으나, 조립부품 및 조립공수가 증가하여 제조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되는 제2플랜지부가 구동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부품수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조립공수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풀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구동축이 끼워지는 축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구동벨트가 감겨지는 원통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한쪽 끝부분의 가장자리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일체로 절곡되는 제1플랜지부와,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몸체부의 다른쪽 끝부분에 결합되는 제2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풀리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랜지부는 제1플랜지부와 동일한 크기의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원호상의 한 지점으로부터 중심점을 일정 길이만큼 지나친 지점까지에는 소정 폭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중심점에 해당되는 절개부상에는 구동축상에 형성된 고정홈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를 갖는 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의 입구와 고정공사이의 중간부위에는 그 절개부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개구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풀리를 구성하는 제2플랜지부의 정면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풀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풀리(10)는 구동벨트가 감겨지는 몸체부(14)와, 그 몸체부(14)의 한쪽 끝부분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제1플랜지부(16)와,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제1플랜지부(16)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몸체부(14)의 다른쪽 끝부분에 결합되는 제2플랜지부(18)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14)의 길이방향 중심선상에는 구동축(22)을 끼우기 위한 축공(12)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12)에 끼워지는 구동축(22)의 바깥쪽 끝부분의 외주면 상에는 고정홈(26)이 형성된다.
상기 제1플랜지부(16)와 동일한 직경의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는 제2플랜지부(18)는 그 원호상의 한 지점으로부터 중심점을 일정 길이만큼 지나친 지점까지 소정 폭의 절개부(50)가 형성되고, 중심점에 해당되는 절개부(50)상에는 구동축(22)상에 형성된 고정홈(26)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를 갖는 고정공(6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 상기 절개부(50)의 입구와 고정공(60) 사이의 중간부위에는 절개부(50)의 입구를 구동축(22)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가압하는 경우에 절개부(50)가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그 절개부(50)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개구공(7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풀리와 구동축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랜지부(16)쪽으로부터 몸체부(14)상에 형성된 축공(12)을 통하여 구동축(22)을 끼워, 그 구동축(22)의 바깥쪽 끝부분이 제1플랜지부(16)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몸체부(14)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제2플랜지부(18)상에 형성된 절개부(50)의 입구가 구동축(22)상의 고정홈(26)과 일치되도록 한 다음 아랫쪽으로 누르면, 그 작용힘과 절개부(50)상의 개구공(70)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절개부(50)의 입구가 양쪽으로 벌어지면서 구동축(22)이 절개부(5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제2플랜지부(18)를 아랫쪽으로 조금 더 가압하면, 중심점에 해당되는 절개부(50) 상에 형성된 고정공(60)이 상기 구동축(22)상의 고정홈(26)에 끼워져 맞물리면서 제2플랜지부(18)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제2플랜지부가 E-링의 기능을 겸하기 때문에 별도의 E-링이 필요없게 되어 풀리의 조립공수가 감소됨은 물론, 조립시간이 단축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플랜지부 자체가 구동축상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풀리의 구동시 제2플랜지부가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Claims (1)

  1.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구동축(22)을 끼우기 위한 축공(12)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구동벨트가 감겨지는 원통형의 몸체부(14)와, 상기 몸체부(14)의 한쪽 끝부분의 가장자리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일체로 절곡되는 제1플랜지부(16)와,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몸체부(14)의 다른쪽 끝부분에 결합되는 제2플랜지부(18)로 이루어지는 풀리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랜지부(18)는 제1플랜지부(16)와 동일한 크기의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원호상의 한 지점으로부터 중심점을 일정 길이만큼 지나친 지점까지에는 소정 폭의 절개부(50)가 형성되고, 중심점에 해당되는 절개부(50)상에는 구동축(22)상에 형성된 고정홈(26)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를 갖는 고정공(60)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50)의 입구와 고정공(60) 사이의 중간부위에는 그 절개부(50)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개구공(70)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KR2019950049118U 1995-12-27 1995-12-27 풀리 KR01389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9118U KR0138939Y1 (ko) 1995-12-27 1995-12-27 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9118U KR0138939Y1 (ko) 1995-12-27 1995-12-27 풀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195U KR970043195U (ko) 1997-07-29
KR0138939Y1 true KR0138939Y1 (ko) 1999-04-01

Family

ID=19439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9118U KR0138939Y1 (ko) 1995-12-27 1995-12-27 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9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195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3573B1 (ko) 벨트인장장치
US5115375A (en) Snap-in retainer sleeve
US5508671A (en) Electromagnetic coupling device
US4798984A (en) Electric motor with earth plate press fitted to motor casing
JPH08145143A (ja) ボールねじ装置のシール部材
KR0138939Y1 (ko) 풀리
JP2000230578A (ja) 電磁クラッチ
KR950034225A (ko) 테이프 카트리지의 커버 및 조립 방법
KR940001990B1 (ko) 전자기 클러치용 클러치 회전자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48726A (ko) 리니어 모터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US20050174010A1 (en) Motor brush holder and alignment assembly
KR900010671Y1 (ko) 모터식 타임스위치
JP2002010536A (ja) モータにおける永久磁石の固定構造および固定方法
KR200371145Y1 (ko) 가조립구조를 가진 윈도우용 레귤레이터의 권취모듈
KR0139446Y1 (ko) 자동차의 볼팅타입 도어 힌지구조
KR200147752Y1 (ko) 압축기용 클러치
KR0127656B1 (ko) 시동모우터 솔레노이드어셈블리 조립방법
JPH09147687A (ja) レバー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KR910005226Y1 (ko) 모터와 풀리의 결합장치
JP4108437B2 (ja) 電磁クラッチ
KR0122125Y1 (ko) 구동부품 조립장치
KR950006381Y1 (ko) 축에 기어를 고정시키는 장치
JP2932608B2 (ja) モータの固定子のカバー、モータの固定子及びその組立方法
JPS61218342A (ja) 小型電動機の軸受構造
KR200200805Y1 (ko) 모터의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