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125Y1 - 구동부품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구동부품 조립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125Y1
KR0122125Y1 KR2019950012111U KR19950012111U KR0122125Y1 KR 0122125 Y1 KR0122125 Y1 KR 0122125Y1 KR 2019950012111 U KR2019950012111 U KR 2019950012111U KR 19950012111 U KR19950012111 U KR 19950012111U KR 0122125 Y1 KR0122125 Y1 KR 01221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drive
drive shaft
lock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2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9085U (ko
Inventor
김광곤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12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125Y1/ko
Publication of KR9600390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90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1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1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Gears, Cam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구동부품의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안이 해결하려고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구동축에 구동기어를 조립할때 정확하고, 용이한 조립이 되도록하여, 조립공수를 간수화하고, 조립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한 구동부품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고안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잠금홈이 형성된 구동축에 맞춤리브와 훅크가 달린 잠금부가 형성된 구동기어를 삽입시켜 정확하게 조립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별도의 고정핀을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조립공정이 간소하게 되어 생산성 향상을 가져오고, 조립 자동화가 가능하게됨으로써 원가절감 및 품질향상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구동부품 조립장치
제1도는 종래의 구동부품 조립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분리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구동부품 조립장치의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부품 조립장치의 구성도.
제5도는 제4도의 분리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구동축(Shaft) 21 : 구동기어(Gear)
22 : 안내홈(Guide Home) 23 : 잠금홈(Locking Home)
24 : 기어부 25 : 돌기부
26 : 고정부 27 : 잠금부
27a : 훅크(Hook) 27b : 분리리브
28 : 맞춤리브
본 고안은 구동부품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동축에 구동기어를 고정시킬때 구동기어에 일체로된 잠금리브(Locking Rib)를 형성시켜 별도의 고정핀을 이용하지 않고 구동축과 조립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구동부품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1, 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동축(20)에 구동기어(21)를 고정핀(14)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구동축(20)은 일측에서 원주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핀구멍(15a)을 형성하고, 상기 구동축(20)에 조립되는 구동기어(21)는 기어부(24)의 일측에 단차지게 형성된 고정부(26)를 이루고, 상기 고정부(26)에는 원주면을 관통하는 핀구멍(15b)이 형성되어서, 상기 구동축(20)의 핀구멍(15a)과 상기 구동기어(21)의 핀구멍(15b)이 일치되게 조립시키고 고정핀(14)을 상기 핀구멍(15a,15b)에 억지끼워 맞춤시켜 고정되도록 한것이다.
상기한 구동부품 조립장치에서 구동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설계 또는 제조시에 필요한 부품의 누락이 빈번하게 되었고, 또한 고정핀을 이용함으로써 조립공수가 많아짐에 따른 원가상승과, 조립자동화 구현에 장애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다른 실시예로써 구동부품 조립장치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동축(20)에 구동기어(21)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구동축(20)은 원주면 상에 D-(ntting)(16)을 이루고, 일단에 E링홈(E-Ring Home)(17)을 형성하며, 상기 구동축(20)에 조립되는 구동기어(21)는 기어부(24)의 일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고정부(26)를 이루고, 상기 구동축(20)과 조립되어 접촉하게 되는 내면은 상기 구동축(20)의 D컷팅면(16)을 메울 수 있도록한 미원형면(18)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구동축(20)의 D컷팅면(16)과 상기 구동기어(21)의 미원형면(18)이 일치되게 조립시키고 구동축(20)의 E링홈(17)에 E링(19)을 끼워서 고정 되도록 한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구동축에 구동기어를 조립시 조립 공수가 많아짐에 따른 원가상승과 조립자동화 구현에 장애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동기어를 구동축에 고정시킬때 고정핀을 이용하지 않고도 분해, 조립이 가능하고 조립자동화가 가능하도록한 구동부품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통상의 구동부품 조립장치에 있어, 구동축에 구동기어를 조립할시 별도의 고정핀을 사용하지 않고 구동기어에 일체로된 맞춤키이와 잠금리브를 형성시켜, 조립되게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중 동일한 부품들은 가능한한 어느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 다른 구동부품ㆍ조립장치는 제4,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동축(20)에 구동기어(21)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구동축(20)은 일단에서 축방향으로 외주면 상에 파여진 안내홈(22)을, 형성하고, 외주면상의 일측에 축면 중심을 향하도록 대칭되게 파여진 잠금홈(23)을 형성하며, 상기 구동축(20)에 조립되는 구동기어(21)는 기어부(24)의 일측에는 단차지게 돌기되어 조립시 손잡이 역할을 하는 돌기부(25)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단차진 고정부(26)와 상기 고정부(26)의 끝에서 신장되어 일단에 잠금 역활을 하는 훅크(27a)와 분리시 손잡이 역활을 하는 분리리브(27b)를 갖는 잠금부(27)를 형성하며, 상기 구동축(20)의 안내홈(22)에 끼워지도록한 맞춤리브(28)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구동부품 조립장치를 제4, 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구동축(20)의 안내홈(22)과 상기 구동기어(21)의 맞춤리브(28) 끝이 일치되도록 한뒤 구동기어(21)를 밀어주면 상기 맞춤리브(28)가 안내홈(22)을 따라 슬라이딩 하고 동시에 잠금부(27)의 훅크(27a)가 삽입되는 힘에의해 텐션을 받아 상기 구동축의 지름만큼 벌어지면서 구동축의 외주면상을 슬라이딩 하게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맞춤리브(28)가 슬라이딩을 완료하게 되면, 동시에 상기 잠금부(27)의 훅크(27a)가 상기 구동축(20)의 잠금홈(23)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은 구동부품 조립장치에 있어서 별도의 고정핀을 사용하지 않고 조립함에 다라 조립공정이 간소하게 되어 생산성 향상을 가져오고, 조립 자동화가 가능하게됨으로써 원가절감과, 부품의 질을 향상시키는 잇점이 있다.

Claims (6)

  1. 구동부품 조립장치에 있어서, 구동축(20)은 일단에서 축방향으로 외주면에 안내홈(22)을 형성하고, 외주면의 일측에 축면 중심을 향하도록 대칭되게 파여진 잠금홈(23)을 형성하며, 상기 구동축은(20)에 조립되는 구동기어(21)를 기어부(24)의 일측에 단차지게 돌기되어 조립/분리시 잡을수 있도록 돌기부(25)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단차진 고정부(26)와, 상기 고정부(26)의 끝에서 신장되어 일단에 잠금역활을 하는 훅크(27a)와, 분리시 손잡이 역활을 하는 분리리브(27b)를 갖는 잠금부(27)를 형성하며, 상기 구동축(20)과 조립시 접촉하게 되는 내면에는 상기 구동축(20)의 안내홈(22)에 끼워져 회전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키이의 역활을 하는 맞춤리브(28)를 형성하여 조립시 상기 구동축(20)의 안내홈(22)에 상기 구동기어(21)의 맞춤리브(28)가 슬라이딩하면서 조립되고 상기 구동기어(21)의 잠금부(27)에 있는 훅크(27a)가 상기 구동축(20)이 축방향으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구동측(20)의 잠금홈(23)에 끼워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품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6)는 두 개의 잠금부(27)를 형성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품 조립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27)는 텐션에 적응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게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품 조립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27)의 훅크(27a)는 구동축(20)과의 조립저항을 줄이기 위해 조립 접촉부분을 경사지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품 조립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27)의 분리리브(27b)는 조립을 방해하지 않는 크기의 사각박판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품 조립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홈(23)은 사각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품 조립장치.
KR2019950012111U 1995-05-31 1995-05-31 구동부품 조립장치 KR01221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2111U KR0122125Y1 (ko) 1995-05-31 1995-05-31 구동부품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2111U KR0122125Y1 (ko) 1995-05-31 1995-05-31 구동부품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9085U KR960039085U (ko) 1996-12-18
KR0122125Y1 true KR0122125Y1 (ko) 1998-10-01

Family

ID=19414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2111U KR0122125Y1 (ko) 1995-05-31 1995-05-31 구동부품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1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9085U (ko) 1996-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052C (zh) 用于适应各种标准预制备形式的门的门闩锁的可更换面板
US20040189022A1 (en) Post-removable construction of a door lock device
KR20080037420A (ko) 드럼세탁기
KR0122125Y1 (ko) 구동부품 조립장치
KR100237864B1 (ko) 차량의 메인 스위치
US3880534A (en) Molded control knob
KR100340738B1 (ko) 다연형 나사식 터미널장치
US5336861A (en) Switch with removable button frame
JP4825068B2 (ja) モール
US6030127A (en) Guider assembly for rotary component
US6471536B1 (en) Zero Insertion Force socket having mechanical fastening device
US1800055A (en) Instrument-control element
KR970001869Y1 (ko) 기어 고정장치
JPS6350871Y2 (ko)
KR100704604B1 (ko) 차량의 윈도우글라스 레귤레이터 핸들유닛
KR200198135Y1 (ko) 비디오테이프 레코오더의 바디고정장치
KR0139359B1 (ko) 자동차 변속레버
KR0138939Y1 (ko) 풀리
KR950006381Y1 (ko) 축에 기어를 고정시키는 장치
KR0122091Y1 (ko) 위성수신기의 스마트 카드 홀더
KR0116438Y1 (ko) 시동모우터의 솔레노이드컨택트어셈블리
KR200313222Y1 (ko) 전자칩 고정을 위한 테이프 권취용 보빈
JP2004119336A (ja) ダイヤル装置
KR200323872Y1 (ko) 자동차 도어용 스위치 조립유니트
KR880001056Y1 (ko) 프린터(printer)의 폼트랙터(forms tractor)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