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807Y1 - 차량의 시트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트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807Y1
KR0138807Y1 KR2019940038657U KR19940038657U KR0138807Y1 KR 0138807 Y1 KR0138807 Y1 KR 0138807Y1 KR 2019940038657 U KR2019940038657 U KR 2019940038657U KR 19940038657 U KR19940038657 U KR 19940038657U KR 0138807 Y1 KR0138807 Y1 KR 01388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ylinder
disc
sea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8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1393U (ko
Inventor
김영갑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38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807Y1/ko
Publication of KR9600213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13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8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8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0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with independent front and/or rear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varying hardness or support of upholstery, e.g. for tuning seat comfort when driving curved r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878Hydraulic or pneumatic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시트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핸들조작에 따라 회전되는 캔슬캠이 구비되고 상기 캔슬캠 전방에 슬리트가 형성된 원판을 부착하며 상기 원판 일측에 원판의 슬리트를 감지하여 핸들의 조타각속도를 측정하는 브라켓트를 장착하고 이 브라켓트에서 보내는 각속도 신호를 연산 및 판단하는 전자제어장치와 상기 전자제어장치 일측에 설치된 에어 콤프레셔에서 시트가 수평이 유지되도록 각각의 다리부에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승차감 및 자세를 안정하게 유지하면서 편안하게 승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시트 높이 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시트 높이 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제2도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시트 높이 조절장치에서 다리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판 10a : 슬리트(slit)
12 : 발광다이오드 13 : 수광다이오드
14 : 브라켓트 15 : 전자제어장치
16 : 에어 콤프레셔 17 : 공급관
20 : 시트 21 : 다리부
22 : 프레임 23 : 보울트
24,25 : 제1,2실린더 24a : 걸림돌기
25a : 걸림턱 26 : 에어 스프링
본 고안은 차량의 시트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 하단에 장착된 다리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높이를 가변시킴으로써, 차량이 급경사면을 주행할때 다리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승차감과 안정된 자세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시트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버스용 차량의 실내에는 승객과 운전자가 앉을 수 있도록 시트가 설치 되는바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시트 대부분이 차체의 플로어 패널에 고정된 상ㆍ하 고정레일상에 시트가 고정설치되어 고정레일을 이용하여 시트 자체를 앞ㆍ뒤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으나, 차량의 급경사면 및 언덕등을 주행할때 시트 자체를 전후,좌우로 높이를 조절하여 수평감을 유지시킬 수 없어 승객이나 운전자의 자세유지가 어려워 불안정한 자세로 승차하였기 때문에 승차감이 저하됨은 물론 차체가 기울어지는 각도 만큼 일측으로 쏠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심할 경우에는 시트에서 떨어지는등 안전운행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핸들의 조작에 따라 조타각속도를 측정하고, 이 각속도를 연산 및 판단하는 전자제어장치(ECU)를 통해 시트를 지지하는 4개의 다리부 각각에 전달하여 차량의 급경사면 주행시 수평감을 유지시킴으로써,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승차감 및 자세를 안정하게 유지하면서 편안하게 승차할 수 있는 차량의 시트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차량이 급경사면 및 언덕등을 주행할때 차량의 핸들조작에 따라 회전되도록 캔슬캠이 구비되고, 상기 캔슬캠 전방에 부착되어 캔슬캠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되는 원주면에 슬리트가 형성된 원판과, 상기 원판 일측에는 장착되어 원판의 슬리트를 감지하여 핸들의 조타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발광다이오드 및 수광다이오드가 부착된 브라켓트와, 상기 브라켓트 외측으로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핸들조작에 따른 각속도를 연산 및 판단하는 전자제어장치와, 상기 전자제어장치 일측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콤프레셔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 콤프레셔에서 각각 상이하게 공급된 에어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어 시트를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다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시트 높이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시트 높이 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차량의 핸들조작에 따라 회전되도록 원판(10)이 전방에 장착된 캔슬캠(cacel cam)(11)이 구비되고, 상기 원판(10)의 원주면에는 복수개의 슬리트(slit)(10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판(10) 일측에는 발광다이오드(led)(12) 및 수광다이오드(13)가 부착된 ㄷ자 형상의 브라켓트(14)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트(14) 외측에는 핸들조작에 따른 각속도를 연산 및 판단하는 전자제어장치(15)가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고, 이 전자제어장치(15) 일측에는 시트(20)를 지지하는 4개의 다리부(21)에 각각 달리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콤프레셔(air compressur)(16)가 다수의 와이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 콤프레셔(16)에는 다리부(LH1,LH2,RH1,RH2)(20)와 공급관(17)으로 상호 결합되어 있다. 상기 다리부(21)는 시트 저면에 장착된 프레임(22)에 보울트(23)등 적당한 고정부재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걸림돌기(24a)가 형성된 제1실린더(24)가 고정되고, 이 제1실린더(24) 하방에는 상면에 내측으로 걸림턱(25a)이 형성된 제2실린더(25)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실린더(25)의 중공부에는 에어 콤프레셔(16)와 에어탱크(도시되지않음)에 일끝이 각각 연결된 에어 스프링(26)이 내설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시트 높이 조절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속버스 운전자가 급경사면 및 언덕등을 주행할때에는, 핸들의 조작에 따라서 캔슬캠(11)이 회전됨과 동시에 캔슬캠(11) 전방에 부착된 원판(10)이 회전되면, 브라켓트(14) 양측에 부착된 발광 및 수광다이오드(12)(13)가 원판(10)의 슬리트(10a)를 감지하여 조타각속도를 측정한다. 그 후, 상기 측정된 조타각속도는 와이어를 통하여 전자제어장치(15)로 전달되고, 이 전자제어장치(15)에서는 차량이 전후,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각을 연산 및 판단하여 에어 콤프레셔(16)를 작동시키면, 상기 에어 콤프레셔(16)에서 각각의 다리부(21)로 공급관(17)을 통해 에어를 공급함에 따라 상기 공급관(17)에 일끝에 연결된 에어 스프링(26)이 인장함과 동시에 제1실린더(24)가 경사각에 대해 알맞은 높이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실린더(24)의 걸림돌기(24a)가 제2실린더(25)에 형성된 걸림턱(25a)에 맞닿음되어 제1실린더(24)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면서 차량내에 설치된 시트(20)상에 앉은 승객이 안정된 자세가 유지되게 즉, 승차감이 편안하도록 다리부(21)의 높이를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차량이 변화되는 경사면을 계속해서 주행하면, 조타각속도를 전자제어장치(15)에서 연산, 판단하여 제2실린더(25)에 내설된 에어 스프링(26)에 에어를 공급하거나 또는 에어탱크로 에어를 유출시켜 시트(20)가 항상 수평이 유지되도록 다리부(21)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시트 높이 조절장치에 의하면, 핸들의 조작에 따라 조타각속도를 측정하고, 이 각속도를 연산 및 판단하는 전자제어장치(ECU)를 통해 시트를 지지하는 4개의 다리부 각각에 전달하여 차량의 급경사면 주행시 수평감을 유지시킴으로써,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승차감 및 자세를 안정하게 유지하면서 편안하게 승차할 수 있다.

Claims (2)

  1. 차량이 급경사면 및 언덕등을 주행할때 차량의 핸들조작에 따라 회전되도록 캔슬캠이 구비되고, 상기 캔슬캠 전방에 부착되어 캔슬캠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되는 원주면에 슬리트가 형성된 원판과, 상기 원판 일측에는 장착되어 원판의 슬리트를 감지하여 핸들의 조타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발광다이오드 및 수광다이오드가 부착된 브라켓트와, 상기 브라켓트 외측으로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핸들조작에 따른 각속도를 연산 및 판단하는 전자제어장치와, 상기 전자제어장치 일측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콤프레셔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 콤프레셔에서 각각 상이하게 공급된 에어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어 시트를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다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높이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시트 저면에 장착된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승 및 하강하는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 하방에 제2실린더가 장착되며, 상기 제2실린더에 형성된 중공부에 내설되어 에어 콤프레셔에서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인장되는 에어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높이 조절장치.
KR2019940038657U 1994-12-30 1994-12-30 차량의 시트 높이 조절장치 KR01388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657U KR0138807Y1 (ko) 1994-12-30 1994-12-30 차량의 시트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657U KR0138807Y1 (ko) 1994-12-30 1994-12-30 차량의 시트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393U KR960021393U (ko) 1996-07-18
KR0138807Y1 true KR0138807Y1 (ko) 1999-04-01

Family

ID=19404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8657U KR0138807Y1 (ko) 1994-12-30 1994-12-30 차량의 시트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8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393U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1755B2 (en) Vehicle with driver's seat with adjustable inclination
US4779695A (en) Snowmobile seat construction
JPH08238138A (ja) 車両用座席
US4527831A (en) Motorcycle
CN110217140B (zh) 车辆座椅调节系统、调节方法及车辆
US7967388B2 (en) Vehicle backrest structure
KR100787676B1 (ko) 주행 적응형 시트 서포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38807Y1 (ko) 차량의 시트 높이 조절장치
US4598948A (en) Vehicle armrest support
JPH10323258A (ja) 車両用シート
US20050093357A1 (en) Structure of backrest assembly for standing ride type driver's platform in industrial vehicle
KR20040108154A (ko) 자세제어용 자동차 시트
WO2024090445A1 (ja) 乗物用シート
JP2665814B2 (ja) 引力傾動検出器及びこの検出器を使用する車両座席の座面調節装置
US20100033003A1 (en) Sit/stand support for a vehicle
KR20010049462A (ko) 자전거용 좌석 조립체
CN107791917B (zh) 具有倾斜搁脚板的机动车辆
KR100214999B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JPH0547708Y2 (ko)
KR19980011321U (ko) 시트 평형유지 시스템
JP2024062959A (ja) 乗物用シート
JPH04254272A (ja) 電動三輪車のシート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9980067322U (ko) 차량용 씨트 조절장치
JPS62128840A (ja) 自動姿勢制御シ−ト
JP2000108962A (ja) 自動二輪車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