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169Y1 -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원고분리유니트 - Google Patents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원고분리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169Y1
KR0138169Y1 KR2019960007133U KR19960007133U KR0138169Y1 KR 0138169 Y1 KR0138169 Y1 KR 0138169Y1 KR 2019960007133 U KR2019960007133 U KR 2019960007133U KR 19960007133 U KR19960007133 U KR 19960007133U KR 0138169 Y1 KR0138169 Y1 KR 01381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belt
document
stopper guid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71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0044U (ko
Inventor
주동성
Original Assignee
우석형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형, 주식회사신도리코 filed Critical 우석형
Priority to KR20199600071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169Y1/ko
Publication of KR9700600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0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1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1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사기, 팩시밀리, 프린터 등의 사무기기에 장착되어 원고를 순차적으로 급지하는 자동원고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셋트된 다매의 원고를 한장씩 분리하여 급지하기 위하여 하단에 원호형의 원호바(12)가 형성되고, 상측 전단부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수직되게 연장되되 분리롤러(19)의 중심부 직상단에 위치하는 스토퍼가이드(14)가 형성되며, 상측 외측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고정대(13,13')가 일체로 형성된 측판(11,11')과; 상기 고정대(13,13')의 단부 각각에 일측이 고정되는 스프링(15,15')과; 상기 스프링(15,15')의 타단이 걸쳐서 고정되는 회동축(6)과; 상기 측판(11,11')의 상측 후단부에 회전되지 않도록 걸쳐져 위치하는 고정롤(17)과; 상기 원호바(12)와 스토퍼가이드(14)와 회동축(16)과 고정롤(17)에 환형으로 걸쳐지며, 외측면은 상기 분리롤러(19)와 접하는 분리벨트(18)로 구성하므로서 원고의 셋트시에 선단이 정열되어 별도의 스토퍼와 변형방지 보강수단이가 필요하지 않으며, 원고 분리급지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원고분리유니트
제1도는 종래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원고분리유니트 구성도.
제2도는 종래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원고분리유니트 사용상태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원고분리유니트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원고분리유니트 사용 상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측판 12 : 원호바
13 : 고정대 14 : 스토퍼가이드
15 : 스프링 16 : 회동축
17 : 고정롤 18 : 분리벨트
19 : 분리롤러 20 : 원고대
본 고안은 복사기, 팩시밀리, 프린터 등의 사무기기에 장착되어 원고를 순차적으로 급지하는 자동원고급지장치에 셋트된 다매의 원고를 한장씩 분리하여 급지하는 원고분리유니트에 있어서, 셋트되는 원고의 선단을 정열하고 이를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급지하는 원고분리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기기에 장착되어 원고를 순차적으로 급지하는 자동원고급지장치에는 셋트된 원고를 한장씩 분리하여 급지하는 원고분리유니트가 사용되어 지며, 이를 첨부된 제1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양측 측판(1)의 하단부에 원호형의 원호바(2)를 구성하여 연결하고, 상기 측판(1) 각각의 상단 전단부에는 앞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고정대(3)를 구성하여 스프링(5)의 일단이 걸쳐져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대(3)에 일단이 걸쳐지는 스프링(5)의 타단에는 회동축(6)을 고정하고, 상기 측판(1)의 상단 후단부에는 고정롤(7)을 구비하되 고정롤축(7a)을 사각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측판(1)에 걸쳐져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므로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며, 내부에는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바(4)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원호바(2)와 회동축(6)과 고정롤(7)에 걸쳐지도록 분리벨트(8)를 위치시켜 원고분리유니트를 구성하므로서, 상기 회동축(6)에 걸쳐져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5)에 의해서 상기 분리벨트(8)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원호바(2)와 회동축(6)과 고정롤(7)에 걸쳐지는 분리벨트(8)의 일측이 분리롤러(9)에 접하도록 위치되므로, 원고대(20)에 셋트되어 있는 원고(10)를 한장씩 분리하여 급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분리벨트(8)가 걸쳐지는 상기 원호바(2), 회동축(6), 고정롤(7)과 분리벨트(8)와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각각의 마찰력의 합보다 상기 분리벨트(8)와 상기 분리롤러(9)와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이 더 크며, 상기 원호바(2), 회동축(6), 고정롤(7)과 분리벨트(8)와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각각의 마찰력의 합보다 상기 분리벨트(8)와 원고(10)와의 마찰력이 더 작도록 하며, 상기 분리벨트(8)와 원고(10)와의 마찰력이 상기 분리롤러(9)와 원고(10)와의 마찰력보다 작고, 원고(10)간의 마찰력보다는 크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자동원고급지장치 원고분리유니트의 사용상태를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고대(20)에 셋트되어지는 다매의 원고(10)의 급지하기 위해 분리롤러(9)가 구동을 시작하면 상기 분리롤러(9)에 접하여 있는 분리벨트(8)가 함께 회전되어 지면서 원고대(20)에 셋트되어 있는 원고(10) 중에서 상기 분리롤러(9)와 접하여 있는 원고(10)가 함께 급지되어 지되, 상기 원고(10)가 일정 이상 급지되어 지면 상기 분리롤러(9)에 의해 원고(10)는 계속하여 급지되지만 분리벨트(8)는 원고(10)와의 마찰력만을 갖게 되므로 원호바(2), 회동축(6), 고정롤(7)과 분리벨트(8)와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각각의 마찰력의 합에 의해서 회전을 멈추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원고(10)가 2매이상 급지되는 경우에는 분리롤러(9)와 접하고 있는 원고(10)만이 급지되고, 그 이외의 원고는 상기 분리벨트(8)와의 마찰력에 의해서 멈추게 되므로서 한장씩의 원고만이 급지되어 지며, 상기 분리벨트(8)의 회전에 의해서 전체의 분리벨트면이 고르게 사용되므로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종래의 원고분리유니트는 사용자가 최초로 다매의 원고(10)를 원고대(20)에 셋트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고(10)를 너무 깊숙하게 셋트하는 경우에는 초기부터 분리롤러(8)와 분리롤러(9)사이에 여러장의 원고가 끼워지게 되어 다매의 원고가 한꺼번에 급지되어 에러가 발생되어 지므로서 신뢰있는 원고 분리급지 동작이 이루어 지지 못하며, 또는 사용자가 원고(10)를 너무 후단에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분리롤러(9)와 원고(10)가 접하지 않아 초기의 원고 분리급지 동작에 에러가 발생되어 지므로 원고의 셋트에 있어서 많은 주의를 필요로하게 되며, 원고(10)가 미급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셋트되는 원고의 선단을 맞추어주는 스토퍼를 별도로 구성하고 픽업롤러(도시되지 않았음)를 통하여 원고가 분리롤러(9)까지 이송되도록 구성하므로서 그 제조비용이 높고, 스토퍼가 픽업롤러에 의해서 기기의 소형화에 커다란 장애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원고분리유니트에 원고의 선단을 지지하는 스토퍼가 일체로 구성되도록 하므로서, 사용자가 다매의 원고를 셋트함에 있어서 특별한 주의를 요하지 않으며, 별도의 스토퍼가 필요하지 않은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원고분리유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분리롤러와 접하여 원고대에 셋트된 다매의 원고를 분리하여 급지하는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원고분리유니트에 있어서, 하단에는 원호형의 원호바가 형성되고, 상측 전단부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수직되게 연장되되 상기 분리롤러의 중심부 직상단에 위치하는 스토퍼가이드가 형성되며, 상측 외측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고정대가 일체로 형성된 측판과; 상기 고정대의 단부 각각에 일측이 고정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걸쳐져 고정되는 회동축과; 상기 측판의 상측 후단부에 회전되지 않도록 걸쳐져 위치하는 고정롤과; 상기 원호바와 스토퍼가이드와 회동축과 고정롤에 환형으로 걸쳐지며, 외측면은 상기 분리롤러와 접하는 분리벨트를 포함하는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원고분리유니트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원고분리유니트 구성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원고분리유니트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11은 측판, 12는 원호바, 13은 고정대, 14는 스토퍼가이드, 15는 스프링, 16은 회동축, 17은 고정롤, 18은 분리벨트, 19는 분리롤러, 20은 원고대를 각각 나타낸다.
원고대(20)에 셋트된 다매의 원고(10)를 한장씩 분리하여 급지하기 위하여 분리롤러(19)와 접하여 위치하는 원고분리유니트를 구성하되, 측판(11,11')의 하단에 원호형의 원호바(11)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측 전단부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수직되게 연장된 스토퍼가이드(14)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측판(11,11')의 상측 외측으로는 전방으로 연장된 고정대(13,13')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가이드(14)의 하단부가 상기 분리롤러(19)의 중심부 직상단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13,13')의 단부 각각에 스프링(15,15')의 일측을 고정하고, 상기 스프링(15,15')의 타단에는 회동축(16)의 양단부가 걸쳐져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측판(11,11')의 상측 후단부에는 고정롤(17)을 위치시키되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고정롤(17)의 양단에 사각형의 고정롤축(17a)을 구성하고 상기 측판(11,11')에 상기 고정롤축(17a)이 걸쳐져 위치하도록 사각형의 홈을 구성하는 것 등에 의하여 상기 고정롤(17)이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환형의 분리벨트(18)를 상기 원호바(12)와 스토퍼가이드(14)와 회동축(16)과 고정롤(17)에 걸쳐지도록 위치시키며, 상기 분리벨트(18)의 외측면이 상기 분리롤러(19)와 접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분리벨트(18)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상기 분리벨트(18)의 내측으로 접하고 있는 상기 원호바(12)와, 스토퍼가이드(14)와, 회동축(16)과, 고정롤(17)과에 발생되는 각각의 마찰력의 합이, 상기 분리벨트(18)의 외측으로 접하는 상기 분기롤러(19)와의 마찰력보다는 작도록 구성하며, 상기 분리벨트(18)와 원고(10)와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이 원고(10)와 원고(10)간에 발생되는 마찰력보다는 크도록 구성하므로서, 분기롤러(19)가 회전하면 분리벨트(18)도 함께 회전하되 원고(10)가 상기 분리벨트(18)와 분기롤러(19) 사이에 진입되어 지면 상기 분리롤러(19)는 계속하여 회전하되 상기 분리벨트(18)는 내부에 있는 원호바(12), 스토퍼가이드(14), 회동축(16), 고정롤(17)과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을 멈추게 되므로, 상기 분리롤러(19)와 접하고 있는 원고(10)만이 급지되고, 그 이외의 원고는 상기 분리벨트(18)와 접하여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하여 급지되지 않게 되어 한장의 원고(10)만이 급지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을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환형의 분리벨트(18)가 원호바(12)와, 스토퍼가이드(14), 회동축(16) 및 고정롤(17) 각각에 걸쳐져 위치하되, 분리롤러(19)의 중심부 상측에 상기 스토퍼가이드(14)의 하단이 위치하게 되므로서 상기 회동축(16)과 상기 스토퍼가이드(14)의 하단에 걸쳐지는 분리벨트(18)에 경사각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다매의 원고(10)를 셋트할 때에 원고(10)의 선단을 지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무리하게 원고(10)를 셋트하더라도 상기 스토퍼가이드(14)에 의해서 분리벨트(18)가 지지되어 원고의 선단을 정열해 주게 되며, 상기 스토퍼가이드(14)의 하단이 상기 분리롤러(19)의 중심부 상측에 위치하게 되므로서 원고(10)의 셋트과정에서 상기 분리벨트(18)와 분리롤러(19) 사이에 다매의 원고가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서 급지동작 급지동작 초기에 여러장의 원고가 한꺼번에 급지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가이드(14)와, 상기 스토퍼가이드(14)의 하단부와 회동축(16)에 걸쳐지는 상기 분리벨트(18)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각(A°)이 25°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분리벨트(18)가 상기 스토퍼가이드(14)의 하단부에서 변곡되는 과정에서 분리벨트(18) 에 손상이 발생되거나, 원고대(20)에 셋트된 원고(10)의 급지경사도가 급격하여 최하단의 원고부터 순차적으로 급지하는 데에 신뢰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며, 상기 경사각(A°)이 40°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분리벨트(18) 와 분리롤러(19) 사이에 다매의 원고가 진입되어 셋트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경사각(A°)을 25°내지 40°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판(11,11')의 내측으로 상측 전단부 상측에서 하측으로 수직되게 연장된 스토퍼가이드(14)가 일체로 형성되므로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필요로하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원고분리유니트는 사용자가 다매의 원고를 무리하게 셋트하더라도 스토퍼가이드에 의해 원고의 선단이 정열되도록 하므로서 별도의 스토퍼가 필요하지 않고, 스토퍼가이드를 구비하므로서 변형방지를 위한 별도의 보강수단이 요구되지 않으며, 분리벨트와 분리롤러 사이에 다매의 원고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원고의 분리급지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제시된 실시예 및 첨부도면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3)

  1. 분리롤러(19)와 접하여 원고대(20)에 셋트된 다매의 원고(10)를 분리하여 급지하는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원고분리유니트에 있어서, 하단에는 원호형의 원호바(12)가 형성되고, 상측 전단부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수직되게 연장되되 상기 분리롤러(19)의 중심부 직상단에 위치하는 스토퍼가이드(14)가 형성되며, 상측 외측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고정대(13,13')가 일체로 형성된 측판(11,11'); 상기 고정대(13,13')의 단부 각각의 일측이 고정되는 스프링(15,15'); 상기 스프링(15,15')의 타단이 걸쳐져 고정되는 회동축(16); 상기 측판(11,11')의 상측 후단부에 회전되지 않도록 걸쳐져 위치하는 고정롤(17); 및 상기 원호바(12)와 스토퍼가이드(14)와 회동축(16)과 고정롤(17)에 환형으로 걸쳐지며, 외측면은 상기 분리롤러(19)와 접하는 분리벨트(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원고분리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벨트(18)는 상기 분리벨트(18)와 상기 원호바(12), 스토퍼가이드(14), 회동축(16), 고정롤(17)과의 마찰력의 합이 상기 분리벨트(18)와 상기 분리롤러(19)와의 마찰력보다 작으며, 상기 분리벨트(18)와 원고(10)와의 마찰력이 원고(10)간의 마찰력보다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원고분리유니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이드(14)와, 상기 스토퍼가이드(14)의 하단부와 회동축(16)에 걸쳐지는 상기 분리벨트(18)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각(A°)이 25°내지 40°중 어느 한 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원고분리유니트.
KR2019960007133U 1996-04-03 1996-04-03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원고분리유니트 KR01381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7133U KR0138169Y1 (ko) 1996-04-03 1996-04-03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원고분리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7133U KR0138169Y1 (ko) 1996-04-03 1996-04-03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원고분리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044U KR970060044U (ko) 1997-11-10
KR0138169Y1 true KR0138169Y1 (ko) 1999-05-01

Family

ID=19453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7133U KR0138169Y1 (ko) 1996-04-03 1996-04-03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원고분리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1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044U (ko) 199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6149B2 (en) Image processing devices and sheet feeding devices
US20020096819A1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automatic document using the same
CN100367749C (zh) 纸张传送设备
CN1325349C (zh) 在图像阅读设备中的给纸器
JP3225000U (ja) スキャン装置及び多機能プリンター
JPH048115Y2 (ko)
JP3388114B2 (ja) 原稿搬送装置
KR0138169Y1 (ko)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원고분리유니트
JP2936431B2 (ja) 給紙装置
JP3535650B2 (ja) 画像読取装置
JPH05254684A (ja) 給紙装置
JP2002179270A (ja) シート分離装置
JP3378123B2 (ja) 原稿分離搬送装置
JP2511668Y2 (ja) 原稿分離給送装置
JP3503224B2 (ja) 紙送り機構
KR970001902Y1 (ko) 급지장치
KR20000018136U (ko) 화상형성장치의 원고 분리급지장치
KR930002197B1 (ko) 화상독취장치
JP3406148B2 (ja) 自動原稿給紙装置
CN1527152A (zh) 图像形成装置
JPH04101939A (ja) 自動給紙装置
KR200172457Y1 (ko) 원고 긁힘이 방지되는 복합기
JP2000191168A (ja) 自動原稿給紙装置
KR100290323B1 (ko) 팩시밀리의원고급지장치
JPH0739897Y2 (ja) 原稿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